KR102481422B1 -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 - Google Patents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422B1
KR102481422B1 KR1020190156085A KR20190156085A KR102481422B1 KR 102481422 B1 KR102481422 B1 KR 102481422B1 KR 1020190156085 A KR1020190156085 A KR 1020190156085A KR 20190156085 A KR20190156085 A KR 20190156085A KR 102481422 B1 KR102481422 B1 KR 102481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area
egg production
information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616A (ko
Inventor
여기혁
Original Assignee
영농조합법인킹스파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농조합법인킹스파머스 filed Critical 영농조합법인킹스파머스
Priority to KR102019015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4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A01K43/04Grading eg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1Higher-level, semantic clustering, classification or understanding of video scenes, e.g. detection, labelling or Markovian modelling of sport events or news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2Counting objects in im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physics (AREA)
  • Zo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에서 가축의 사육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구역 별로 측정되는 가축의 건강 정보 및 알의 생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강 정보 및 상기 생산 정보를 기초로,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가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가축이 위치하는 구역의 관리자 단말로 가축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METHOD AND SERVICE SERVER FOR MANAGING LIVESTOCK BREEDING VIA SMART FARM}
본 발명은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역 별로 가축의 건강 및 알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구역 별로 가축 및 알에 대한 이상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구역 별로 축사의 환경을 제어하는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이다.
국내 대다수의 양계 농가들은 공장식 축산, 이른바 배터리케이지라는 밀식 사육 환경에서 기른 닭으로 계란을 생산하여 이윤을 극대화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공장식 축산 농장에서는 몸이 좋은 유익한 계란을 얻기란 거의 불가능한 환경이며, 닭 2마리가 A4 용지 크기에서 옴짝달싹 못하며 산란하는 기계로 전략해버렸고, 그런 환경에서 나오는 수많은 폐해들은 오롯이 소비자들이 감당해야 할 몫이 되었다.
공장식 축산에서의 문제점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데, 스트레스가 극심한 환경에서 닭이 키워지다 보니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이 계란에 검출되고 흙목욕을 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인위적으로 진드기를 없애기 위해 살충제를 뿌리며 각종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력 결핍에 항생제를 복용시키고 산란을 위한 촉진제, 노른자의 색을 내는 착색제, 난각의 색을 위해 햇빛을 차단시킨 무창계사(비타민D 결핍), 산란율을 높이기 위해 수면 시간을 제한하는 점등 프로그램, GMO 사료, 오메가6 과다의 옥수수 사료 등 공장식 축산의 문제는 심각한 상태이다.
이렇듯 문제가 심각해지니 선진국에서는 공장식 배터리 사육을 금지하고 동물복지형 사육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러한 동물복지형 사육은 이미 국제적인 추세이다.
이에 따라 공장식 축산이 아닌 강소농 방식인 동물복지 스마트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가축들을 분리하여 사육하기 위해서는 구역 별로 가축 사육에 대한 최적 환경을 만들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구역 별로 분리되어 있는 가축 뿐만 아니라 가축에서 생산되는 알의 상태까지 파악하여, 구역 별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구역 별로 분리되어 있는 가축 및 알을 용이하게 관리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역 별로 가축의 건강 및 알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구역 별로 가축 및 알에 대한 이상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구역 별로 축사의 환경을 제어하는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에서 가축의 사육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구역 별로 측정되는 가축의 건강 정보 및 알의 생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강 정보 및 상기 생산 정보를 기초로,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가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가축이 위치하는 구역의 관리자 단말로 가축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축의 이상 여부 판단 단계는, 구역 별로 설정된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 및 구역 별로 측정된 알의 생산 수를 비교하여,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축 사육 관리 방법은,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 및 상기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구역 별로 상기 알의 생산 수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축 사육 관리 방법은, 상기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 상기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 및 상기 알의 생산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구역 별로 알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알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알이 위치하는 구역의 관리자 단말로 알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축 사육 관리 방법은, 상기 가축의 개체 수 및 상기 알의 생산 수를 비교한 결과, 가축에 이상이 없는 정상 구역이 확인되면, 정상 구역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축의 이상 여부 판단 단계는, 사료 공급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더 기초로,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축 사육 관리 방법은, 상기 가축의 건강 정보를 통해 가축 사육 영역의 환경이 구역 별로 제어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알의 생산 정보를 통해 알 생산 영역의 환경이 구역 별로 제어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축의 사육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구역 별로 측정되는 가축의 건강 정보 및 알의 생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건강 정보 및 상기 생산 정보를 기초로,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가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가축이 위치하는 구역의 관리자 단말로 가축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정보 분석부는, 구역 별로 설정된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 및 구역 별로 측정된 알의 생산 수를 비교하여,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분석부는,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 및 상기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구역 별로 상기 알의 생산 수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 상기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 및 상기 알의 생산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구역 별로 알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는, 알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알이 위치하는 구역의 관리자 단말로 알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가축의 개체 수 및 상기 알의 생산 수를 비교한 결과, 가축에 이상이 없는 정상 구역이 확인되면, 정상 구역의 문이 개방되도록 환경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분석부는, 사료 공급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더 기초로,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가축의 건강 정보를 통해 가축 사육 영역의 환경이 구역 별로 제어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알의 생산 정보를 통해 알 생산 영역의 환경이 구역 별로 제어되도록 처리하는 환경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역 별로 가축 및 알에 대한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구역 별로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구역 별로 분리되어 있는 가축 및 알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축사 환경 제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사육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및 알의 상태에 따라 구역 별로 환경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별로 구분되어 있는 알 생산 영역, 가축 사육 영역 및 사료 공급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사육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사육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사육 관리 시스템은 제1 구역(100)에 설치된 장치, 제2 구역(200)에 설치된 장치, 게이트웨이(300), 서비스 서버(400) 및 복수의 관리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구역(100) 및 제2 구역(200)은 가축을 그룹 별로 구분하여 사육하는데 필요한 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탉과 수탉의 비율을 15:1로 했을 때 100% 유정란의 생산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 15마리의 암탉과 1마리의 수탉을 그룹화하여, 닭 그룹 별로 사육하기 위한 공간을 제1 구역(100)과 제2 구역(200)으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축사의 일부를 제1 구역(100)과 제2 구역(200)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축사의 크기에 따라 3개 이상의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구역(100) 또는 제2 구역(200)에 설치된 장치는 가축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 축사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카메라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구역(100) 또는 제2 구역(200)에 설치된 장치가 가축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인 경우, 해당 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100)에 위치한 가축에 장착되어 있는 온도 센서를 통해 가축의 온도를 센싱하여 가축의 건강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구역(100) 또는 제2 구역(200)에 설치된 장치가 축사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인 경우, 해당 센서를 통해 알의 생산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100)에서 알 생산 영역으로 설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무게 센서를 통해 알의 무게를 센싱하여 알의 생산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구역(100) 또는 제2 구역(200)에 설치된 장치가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를 통해 해당 구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1 구역(100) 또는 제2 구역(200)에 설치된 장치는 게이트웨이(300)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300)로 가축의 건강 정보, 알의 생산 정보, 구역의 영상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역(100) 및 제2 구역(200)에 설치된 복수의 장치는 각각 개별적으로 가축의 건강 정보, 알의 생산 정보, 구역의 영상 정보 등을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역(100)에 설치된 복수의 장치 중 대표 장치가 제1 구역(100)에서 측정된 정보를 통합하여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구역(200)에 설치된 복수의 장치 중 대표 장치가 제2 구역(200)에서 측정된 정보를 통합하여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300)는 서비스 서버(400)와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300)는 제1 구역(100), 제2 구역(200) 등 구역 별로 수신된 정보를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되어, 가축의 건강 정보, 알의 생산 정보, 구역의 영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수신한 가축의 건강 정보, 알의 생산 정보, 구역의 영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구역 별로 복수의 관리자 단말(500) 각각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100)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제1 관리자인 경우, 서비스 서버(400)는 제1 구역(100)의 상태 정보를 제1 관리자 단말(5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구역(200)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제2 관리자인 경우, 서비스 서버(400)는 제2 구역(200)의 상태 정보를 제2 관리자 단말(52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관리자 단말(500) 각각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Wearbale)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리자 단말(500)은 축사의 각 구역을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자들이 이용하는 단말로, 제1 구역(100)의 관리자로 지정된 제1 관리자가 이용하는 제1 관리자 단말(510), 제2 구역(200)의 관리자로 지정된 제2 관리자가 이용하는 제2 관리자 단말(5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관리자 단말(51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2 관리자 단말(520) 등의 다른 관리자 단말에서 제1 관리자 단말(51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역(100)은 제1 관리자가 관리하고, 제2 구역(200)은 제2 관리자가 관리할 수 있지만, 이외에도, 복수의 구역을 한 명의 관리자가 관리할 수 있고, 하나의 구역을 복수의 관리자가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100) 및 제2 구역(200)의 관리자로 제1 관리자만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서버(400)는 제1 구역(100) 및 제2 구역(200)의 상태 정보를 제1 관리자 단말(5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구역(100)의 관리자로 제1 관리자 및 제2 관리자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서버(400)는 제1 구역(100)의 상태 정보를 제1 관리자 단말(510) 및 제2 관리자 단말(5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4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400)는 통신부(410), 정보 분석부(420) 및 환경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410)는 서비스 서버(400)의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구역 별로 측정되는 가축의 건강 정보 및 알의 생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구역 별로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는데 있어,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고, 구역 별로 설치된 장치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10)는 제1 구역(100)에서 측청된 가축의 건강 정보 및 알의 생산 정보를 게이트웨이(300)을 통해 수신하고, 제2 구역(200)에서 측정된 가축의 건강 정보 및 알의 생산 정보를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10)는 제1 구역(100)에서 측정된 가축의 건강 정보 및 알의 생산 정보를 제1 구역(100)에 설치된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하고, 제2 구역(200)에서 측정된 가축의 건강 정보 및 알의 생산 정보를 제2 구역(200)에 설치된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420)는 통신부(410)에서 수신한 건강 정보 및 생산 정보를 기초로,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분석부(420)는 가축에 장착된 다양한 센서(온도 센서, 활동량계 센서, 이동 감지 센서 등)를 통해 측정되는 가축의 건강 정보를 이용하여 구역 별로 가축의 건강에 대해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알 생산 영역에 설치된 무게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알의 생산 정보를 이용하여, 구역 별로 가축이 알을 제대로 생산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정보 분석부(420)는 구역 별로 설정된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 및 구역 별로 측정된 알의 생산 수를 비교하여,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100)에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로 5마리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정보 분석부(420)는 제1 구역(100)에서 측정된 알의 생산 수가 5개인지 확인하여, 제1 구역(100)의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알의 생산 수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정보 분석부(420)는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 및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구역 별로 알의 생산 수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역(100) 및 제2 구역(200)은 각각 가축 사육 영역과 알 생산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정보 분석부(420)는 제1 구역(100)의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구역(100)에서 생산된 알의 수를 분석할 수 있으며, 제1 구역(100)의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구역(100)에서 생산된 알의 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분석부(420)는 제1 구역(100)의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분석한 결과 1kg로 확인되고, 알의 평균 무게가 100g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구역(100)에서 생산된 알의 수를 10개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분석부(420)는 제1 구역(100)의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각각의 알을 인식함으로써, 제1 구역(100)에서 생산된 알의 수를 분석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420)는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 및 알의 생산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구역 별로 알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분석부(420)는 제1 구역(100)의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제1 구역(100)에서 생산된 알의 수가 10개로 분석되었는데, 알의 평균 무게가 100g으로 설정되어 있어 제1 구역(100)의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되는 무게는 1kg가 되어야 하지만, 제1 구역(100)의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분석한 결과 950g으로 확인되면, 제1 구역(100)에서 생산된 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분석부(420)는 사료 공급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더 기초로,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역(100) 및 제2 구역(200)은 각각 가축 사육 영역, 알 생산 영역, 사료 공급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정보 분석부(420)는 사료 공급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가축이 사료를 제대로 먹고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축 사육 영역, 알 생산 영역 및 사료 공급 영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정보 분석부(420)에서 구역 별로 가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 결과, 가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410)는 이상 가축이 위치하는 구역의 관리자 단말로 가축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분석부(420)에서 제1 구역(100)에 위치한 가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통신부(410)는 제1 구역(100)을 관리하는 제1 관리자 단말(510)로 가축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420)에서 구역 별로 알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 결과, 알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410)는 이상 알이 위치하는 구역의 관리자 단말로 알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분석부(420)에서 제2 구역(200)에 위치한 알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통신부(410)는 제2 구역(200)을 관리하는 제2 관리자 단말(520)로 알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환경 제어부(430)는 축사의 환경을 조절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축사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제어부(430)는 구역 별로 설치된 문, 창문 등이 개폐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구역 별로 공급되는 사료의 공급 여부 및 공급되는 양이 조절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구역 별로 온도, 빛의 조사량 등이 조절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환경 제어부(430)는 축사의 환경을 구역 별로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제어 장치에 대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분석부(420)에서 가축의 개체 수 및 알의 생산 수를 비교한 결과, 가축에 이상이 없는 정상 구역이 확인되면, 환경 제어부(430)는 정상 구역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100)에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로 5마리가 등록되어 있는데, 정보 분석부(420)는 제1 구역(100)에서 측정된 알의 생산 수가 5개인지 확인함으로써, 제1 구역(100)에 위치하는 가축 5마리가 알 5개를 정상적으로 생산하여, 제1 구역(100)이 가축에 이상이 없는 정상 구역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환경 제어부(430)는 제1 구역(100)이 정상 구역으로 확인되면, 제1 구역(100)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알을 생산한 가축들이 제1 구역(100)을 벗어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환경 제어부(430)는 가축의 건강 정보를 통해 가축 사육 영역의 환경이 구역 별로 제어되도록 처리하고, 알의 생산 정보를 통해 알 생산 영역의 환경이 구역 별로 제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분석부(420)는 제1 구역(100)에 위치하는 가축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환경 제어부(430)는 제1 구역(100)의 가축 사육 영역에 대한 환경이 가축의 건강 상태에 따라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분석부(420)는 제2 구역(200)의 알 생산 영역에 알이 생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환경 제어부(430)는 제2 구역(200)의 알 생산 영역에 대한 환경이 알 생산 수에 따라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및 알의 상태에 따라 구역 별로 환경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S301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400)는 가축 및 알의 상태를 구역 별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가축 및 알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데 있어, 서비스 서버(400)는 구역 별로 측정되는 가축의 건강 정보 및 알의 생산 정보를 수신하여, 가축 및 알의 상태를 구역 별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400)는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제1 구역(100) 및 제2 구역(200)에서 측정되는 가축의 건강 정보 및 알의 생산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400)는 제1 구역(100)에 설치된 통신 장치로부터 제1 구역(100)에서 측정되는 가축의 건강 정보 및 알의 생산 정보를 수신하고, 제2 구역(200)에 설치된 통신 장치로부터 제2 구역(200)에서 측정되는 가축의 건강 정보 및 알의 생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축 및 알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데 있어, 서비스 서버(400)는 구역 별로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가축 및 알의 상태를 구역 별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0)는 제1 구역(100)의 가축 사육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제1 구역(100)의 가축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제2 구역(200)의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제2 구역(200)의 알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후, S302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400)는 S301 단계에서 수행한 가축 및 알의 상태에 대한 구역 별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구역 별로 가축 및 알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400)는 구역 별로 측정된 건강 정보 및 생산 정보를 기초로, 구역 별로 가축 및 알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구역(100)에서 측정된 건강 정보 및 생산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100)에 위치한 가축 및 알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가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구역 별로 설정된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 및 구역 별로 측정된 알의 생산 수를 비교하여,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0)는 제1 구역(100)에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로 5마리가 설정되어 있으면, 제1 구역(100)에서 측정된 알의 생산 수가 5개인지 비교하여, 5마리의 가축이 모두 정상적으로 알을 생산하였는지 확인함으로써, 제1 구역(100)의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알의 생산 수를 분석하기 위해,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 및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구역 별로 알의 생산 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0)는 제1 구역(100)의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통해 제1 구역(100)에서 생산된 알의 수를 분석할 수 있으며, 제1 구역(100)의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통해 제1 구역(100)에서 생산된 알의 수를 분석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 및 알의 생산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구역 별로 알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0)는 제1 구역(100)의 알 생산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통해 제1 구역(100)에서 생산된 알의 총 무게를 분석하고, 제1 구역(100)의 알 생산 영역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통해 제1 구역(100)에서 생산된 알의 수를 분석하고, 알의 생산 수와 알의 총 무게를 통해 제1 구역(100)에서 생산된 알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가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사료 공급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더 기초로,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0)는 제1 구역(100)의 사료 공급 영역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통해, 사료 공급 전의 무게와 사료 공급 후의 무게를 비교하여, 사료가 정해진 무게만큼 줄어들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제1 구역(100)에 위치하는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구역별 가축 및 알의 이상 여부를 확인한 결과,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303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400)는 이상 구역을 담당하는 관리자 단말로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100)의 가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서버(400)는 이상 가축이 위치하는 제1 구역(100)의 제1 관리자 단말(510)로 가축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역(200)의 알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서버(400)는 이상 알이 위치하는 제2 구역(200)의 제2 관리자 단말(520)로 알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구역별 가축 및 알의 이상 여부를 확인한 결과,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서버(400)는 이상 구역을 담당하는 관리자 단말로 이상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동시에, S304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400)는 이상 구역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400)는 가축의 건강 정보를 통해 가축 사육 영역의 환경이 구역 별로 제어되도록 처리하고, 알의 생산 정보를 통해 알 생산 영역의 환경이 구역 별로 제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0)는 제1 구역(100)에 위치하는 가축의 건강 정보를 분석한 결과, 가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가축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1 구역(100)의 가축 사육 영역에 대한 환경이 제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400)는 제2 구역(200)에 위치하는 알 상태를 분석한 결과, 알이 생산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구역(200)의 알 생산 영역에 대한 환경이 알 보관에 적합하게 제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구역별 가축 및 알의 이상 여부를 확인한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S304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400)는 정상 구역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400)는 구역 별로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 및 알의 생산 수를 분석하여, 가축의 개체 수 및 알의 생산 수를 비교할 수 있으며, 비교 결과, 가축에 이상이 없는 정상 구역으로 확인되면, 정상 구역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0)는 제1 구역(100)에서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와 제1 구역(100)에서 생산된 알의 수를 비교한 결과, 제1 구역(100)에 위치하는 가축들이 모두 정상적으로 알을 생산하여, 제1 구역(100)이 정상 구역으로 확인되면, 제1 구역(100)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별로 구분되어 있는 알 생산 영역, 가축 사육 영역 및 사료 공급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구역(100)은 제1 알 생산 영역(110), 제1 가축 사육 영역(120) 및 제1 사료 공급 영역(13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2 구역(200)은 제2 알 생산 영역(210), 제2 가축 사육 영역(220) 및 제2 사료 공급 영역(2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알 생산 영역(110) 및 제2 알 생산 영역(210)은 알이 생산되는 영역으로, 알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센서가 구역 별로 설치될 수 있으며, 구역 별로 설치된 무게 센서를 통해 제1 알 생산 영역(110) 및 제2 알 생산 영역(210)에서 생산되는 알의 무게가 구역 별로 측정될 수 있다.
제1 가축 사육 영역(120) 및 제2 가축 사육 영역(220)은 가축이 생활하는 영역으로, 제1 가축 사육 영역(120) 및 제2 가축 사육 영역(220)에 위치하는 가축에는 가축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사료 공급 영역(130) 및 제2 사료 공급 영역(230)은 사료가 공급되면 가축들이 사료를 먹는 영역으로, 사료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센서가 구역 별로 설치될 수 있으며, 구역 별로 설치된 무게 센서를 통해 사료 공급 전과 사료 공급 후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사 내부에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되어, 제1 알 생산 영역(110), 제1 가축 사육 영역(120), 제1 사료 공급 영역(130), 제2 알 생산 영역(210), 제2 가축 사육 영역(220) 및 제2 사료 공급 영역(230) 각각에 대한 영상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역 별로 가축 및 알에 대한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구역 별로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구역 별로 분리되어 있는 가축 및 알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축사 환경 제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 구역
110 : 제1 알 생산 영역
120 : 제1 가축 사육 영역
130 : 제1 사료 공급 영역
200 : 제2 구역
210 : 제2 알 생산 영역
220 : 제2 가축 사육 영역
230 : 제2 사료 공급 영역
300 : 게이트웨이
400 : 서비스 서버
410 : 통신부
420 : 정보 분석부
430 : 환경 제어부
500 : 복수의 관리자 단말
510 : 제1 관리자 단말
520 : 제2 관리자 단말

Claims (14)

  1. 서비스 서버에서 가축의 사육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가 사료공급영역, 가축사육영역 및 알생산영역으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 별로 상기 가축사육영역에서 측정되는 가축의 가축건강정보 및 상기 알생산영역에서 측정되는 알의 알생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가축건강정보 및 상기 알생산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역 별로 설정된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 및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에 비례하여 구역 별로 측정된 알의 생산 수를 비교하여 가축의 건강 이상 및 가축의 알의 생산여부의 이상에 따라 구역 별로 가축의 건강 및 알의 생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구역별로 가축의 건강 및 알의 생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가축의 건강이 이상하고, 알의 생산이 이상한 구역의 관리자 단말로 가축이상알림정보 및 알이상알림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알의 생산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알생산영역에서 가축의 개체 수에 비례하여 가축이 알을 생산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알생산영역에서 측정된 무게정보 및 상기 알생산영역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기초로 알의 생산 수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분석된 상기 알의 생산 수, 상기 알생산영역에서 측정된 무게정보 및 상기 알생산영역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기초로 구역 별로 알의 생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축의 건강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가축사육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가축건강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료공급영역에서 측정된 사료무게정보를 기초로 사료 공급전의 무게와 사료 공급 후의 무게를 비교하여 사료의 무게가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에 비례한 변화를 확인하여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축의 건강 및 알의 생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가축사육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가축건강정보, 상기 사료공급영역에서 측정된 사료무게정보, 상기 알의 생산 수, 상기 알생산영역에서 측정된 무게정보 및 상기 알생산영역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기초로 분석하여 가축의 건강 및 알의 생산의 이상을 판단하고,
    상기 가축의 건강 및 알의 생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가축의 건강 이상 및 가축의 알의 생산 이상이 발생한 이상구역의 가축사육영역에 위치하는 가축건강정보를 기초로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와, 상기 이상구역의 알생산영역에서 측정된 무게정보와, 상기 이상구역의 알생산영역을 촬영한 영상정보와, 상기 이상구역의 알생산영역에서 측정된 무게정보 및 상기 이상구역의 알생산영역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기초로 분석된 상기 이상구역의 알의 생산 수와, 상기 이상구역의 사료공급영역에서 측정된 사료무게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가축이 개체 수에 비례하여 알을 생산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이상구역을 정상구역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상구역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이상구역에 위치하는 가축이 상기 이상구역을 벗어나도록 문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건강정보를 통상기 가축건강정보를 통해 가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가축의 건강상태에 따라 상기 가축사육영역의 환경이 구역 별로 제어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알생산정보를 통해 알에 이상이 있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알의 생산상태에 따라 상기 알생산영역의 환경이 구역 별로 제어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8. 가축의 사육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사료공급영역, 가축사육영역 및 알생산영역으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 별로 상기 가축사육영역에서 측정되는 가축의 가축건강정보 및 상기 알생산영역에서 측정되는 알의 알생산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가축건강정보 및 상기 알생산정보를 기초로, 구역 별로 설정된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 및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에 비례하여 구역 별로 측정된 알의 생산 수를 비교하여 가축의 건강 이상 및 가축의 알의 생산여부의 이상에 따라 구역 별로 가축의 건강 및 알의 생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구역별로 가축의 건강 및 알의 생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가축의 건강이 이상하고, 알의 생산이 이상한 구역의 관리자 단말로 가축이상알림정보 및 알이상알림정보를 각각 전송하고,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알생산영역에서 가축의 개체 수에 비례하여 가축이 알을 생산한 경우, 상기 알생산영역에서 측정된 무게정보 및 상기 알생산영역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기초로 알의 생산 수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알의 생산 수, 상기 알생산영역에서 측정된 무게정보 및 상기 알생산영역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기초로 구역 별로 알의 생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가축사육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가축건강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료공급영역에서 측정된 사료무게정보를 기초로 사료 공급전의 무게와 사료 공급 후의 무게를 비교하여 사료의 무게가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에 비례한 변화를 확인하여 구역 별로 가축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가축사육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가축건강정보, 상기 사료공급영역에서 측정된 사료무게정보, 상기 알의 생산 수, 상기 알생산영역에서 측정된 무게정보 및 상기 알생산영역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기초로 분석하여 가축의 건강 및 알의 생산의 이상을 판단하며,
    상기 정보 분석부는,
    가축의 건강 이상 및 가축의 알의 생산 이상이 발생한 이상구역의 가축사육영역에 위치하는 가축건강정보를 기초로 알을 생산하는 가축의 개체 수와, 상기 이상구역의 알생산영역에서 측정된 무게정보와, 상기 이상구역의 알생산영역을 촬영한 영상정보와, 상기 이상구역의 알생산영역에서 측정된 무게정보 및 상기 이상구역의 알생산영역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기초로 분석된 상기 이상구역의 알의 생산 수와, 상기 이상구역의 사료공급영역에서 측정된 사료무게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가축이 개체 수에 비례하여 알을 생산하는 경우, 상기 이상구역을 정상구역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상구역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이상구역에 위치하는 가축이 상기 이상구역을 벗어나도록 문의 개방을 제어하는, 서비스 서버.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건강정보를 통해 가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가축의 건강상태에 따라 상기 가축사육영역의 환경이 구역 별로 제어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알생산정보를 통해 알에 이상이 있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 알의 생산상태에 따라 상기 알생산영역의 환경이 구역 별로 제어되도록 처리하는 환경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KR1020190156085A 2019-11-28 2019-11-28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 KR102481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085A KR102481422B1 (ko) 2019-11-28 2019-11-28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085A KR102481422B1 (ko) 2019-11-28 2019-11-28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16A KR20210066616A (ko) 2021-06-07
KR102481422B1 true KR102481422B1 (ko) 2022-12-28

Family

ID=7637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085A KR102481422B1 (ko) 2019-11-28 2019-11-28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845B1 (ko) 2023-04-28 2023-11-01 주식회사 인벤션랩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4644B (zh) * 2021-08-17 2022-08-09 湖南金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卷积神经网络的农产品身份识别及数量盘点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2461A (ja) * 2014-07-31 2016-03-10 近藤電子株式会社 家禽の健康状態診断装置
KR101687787B1 (ko) * 2015-12-04 2016-12-20 주식회사 하농 과산계 선별 시스템
KR101749860B1 (ko) * 2016-03-04 2017-06-23 김승균 축사 환경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14353B1 (ko) * 2018-12-11 2019-08-26 에이비주식회사 머신러닝 기반의 스마트팜 가축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2461A (ja) * 2014-07-31 2016-03-10 近藤電子株式会社 家禽の健康状態診断装置
KR101687787B1 (ko) * 2015-12-04 2016-12-20 주식회사 하농 과산계 선별 시스템
KR101749860B1 (ko) * 2016-03-04 2017-06-23 김승균 축사 환경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14353B1 (ko) * 2018-12-11 2019-08-26 에이비주식회사 머신러닝 기반의 스마트팜 가축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845B1 (ko) 2023-04-28 2023-11-01 주식회사 인벤션랩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16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422B1 (ko)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
Kashiha et al. Development of an early warning system for a broiler house using computer vision
KR101749860B1 (ko) 축사 환경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6203238B2 (ja) 畜産管理システム
JP2016178636A (ja) 弱光トレイルカメラ
KR102396172B1 (ko) 인공지능 기반의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7092B1 (ko) 행동 패턴 인식을 이용한 소의 발정 탐지 시스템
WO2020138526A1 (ko) 곤충의 사육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72796B1 (ko) 곤충의 생육 환경 제어시스템
JP2019205425A (ja) 死亡鶏検知システム、鶏生死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鶏生死判定装置
Handigolkar et al. Iot based smart poultry farming using commodity hardware and software
WO2021014906A1 (ja) 体重推定システム、体重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07478B1 (ko) 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가축 질병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74975A (zh) 猪只采食行为预测方法及装置
CN106338971A (zh) 一种基于多用户的水产养殖监控系统
DE102006048321A1 (de) Identifikationssystem für Tiere und Betriebsverfahren hierfür
KR20110030888A (ko) 가축용 체온 감지시스템
KR101740556B1 (ko) 중앙 제어 장치 및 이에 의한 사육 환경의 조절 방법
CN110402456A (zh) 异常检测系统、异常检测方法以及程序
KR102047428B1 (ko) 되새김 활동 측정을 이용한 소의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268040B1 (ko) 기계학습을 이용한 가축관리장치 및 방법
KR20140065673A (ko) 해상 가두리 자가 진단 시스템
US8918475B2 (en) Method of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one or more agricultural devices
González et al. Real-time monitoring of poultry activity in breeding farms
Nicolas et al. An IoT monitoring assistant for chicken layer fa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