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845B1 -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845B1
KR102596845B1 KR1020230056483A KR20230056483A KR102596845B1 KR 102596845 B1 KR102596845 B1 KR 102596845B1 KR 1020230056483 A KR1020230056483 A KR 1020230056483A KR 20230056483 A KR20230056483 A KR 20230056483A KR 102596845 B1 KR102596845 B1 KR 10259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
led
schedule
area
c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택
신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벤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벤션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벤션랩
Priority to KR1020230056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01K11/008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incorporat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Zo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유우 혹은 건유우로 구분된 젖소에 대해서, 각각에 대한 제1스케쥴 혹은 제2스케쥴로 LED모듈을 제어하고, 젖소가 받은 과거의 LED조사정보에 기초하여 부족한 광량을 보상하는 보상제1스케쥴 혹은 보상제2스케쥴를 도출하는,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Barn Environment for Increasing Milk Production Efficiency of Dairy Cows}
본 발명은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유우 혹은 건유우로 구분된 젖소에 대해서, 각각에 대한 제1스케쥴 혹은 제2스케쥴로 LED모듈을 제어하고, 젖소가 받은 과거의 LED조사정보에 기초하여 부족한 광량을 보상하는 보상제1스케쥴 혹은 보상제2스케쥴를 도출하는,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젖소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얼룩 점박이 젖소가 대표적인 품종인 홀스타인종이며,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 사육되는 소들이다. 우유 생산 측면에서 젖소는, 크케 건유우와 착유우로 구분할 수 있다.
건유우는 젖을 짜지 않는 젖소로, 임신 후기부터 분만 전까지의 기간을 말하고, 착유우는 젖을 짜는 젖소로, 분만 후부터 임신 중기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한편, 멜라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으로, 밤에 어두워지면 분비가 증가하고 낮에 밝아지면 분비가 감소한다.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는 조명은 파란색 계열의 빛이 많은 백색광이나 푸른색광을 포함할 수 있고, 반면에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조명은 주황색 계열의 빛이 많은 황색광이나 붉은색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조명을 이용하면, 멜라토닌을 조절할 수 있다.
젖소의 우유 생산량은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는데, 그 중 하나가 수면 시간이다. 젖소는 하루에 약 4~6시간 정도 수면을 취한다. 착유우의 경우에는 깨어있는 동안 우유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우유 생산을 위해서는 수면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젖소가 받는 조명을 제어하여 젖소의 멜라토닌을 조절하여 우유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명이 필요하다.
삭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81422호(2022.12.2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52229호(2022.04.27.)
본 발명은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유우 혹은 건유우로 구분된 젖소에 대해서, 각각에 대한 제1스케쥴 혹은 제2스케쥴로 LED모듈을 제어하고, 젖소가 받은 과거의 LED조사정보에 기초하여 부족한 광량을 보상하는 보상제1스케쥴 혹은 보상제2스케쥴를 도출하는,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축사; 각각의 젖소에 부착되는 UWB태그; 상기 UWB태그 및 서비스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UWB앵커; 복수의 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1LED;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2LED; 젖소의 숙면을 유도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3LED;를 포함하는, 복수의 LED모듈; 상기 UWB앵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LED모듈을 제어하는 광제어부; 및 상기 UWB앵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젖소에 대한 단위시간당 먹이활동에 대한 먹이활동정보를 생성하는 먹이활동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제어부는, 각각의 젖소에 대해서, 단위시간구간 동안의 해당 젖소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해당 젖소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LED모듈의 동작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제1LED, 제2LED, 및 제3LED가 조사된 시간을 포함하는 LED조사정보를 생성하는 젖소별LED정보생성부;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착유우에 대한 제1스케쥴로 제어하는 착유우영역부; 및 복수의 영역이 포함하는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건유우에 대한 제2스케쥴로 제어하는 건유우영역부;를 포함하는,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은 사료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료영역은, 상기 축사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축사의 일측면으로부터 젖소가 머리를 내밀어 사료를 먹을 수 있고, 상기 UWB태그는 젖소의 머리에 부착되고, 상기 먹이활동부는, 젖소가 상기 사료영역에 머리를 내밀어, 상기 UWB앵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가 사료영역인 경우에 먹이활동을 한다고 판단하여, 해당 젖소에 대한 시간에 따른 먹이활동정보를 생성하는 먹이활동정보생성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스케쥴은 24시간에 대한 스케쥴이고, 상기 제1LED를 제1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3LED를 제2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1LED와 제2LED가 동시에 동작하는 시간이 존재하여, 상기 제1시간 및 제2시간의 합은 24시간 이상이고, 상기 제2스케쥴은, 상기 제2LED를 제3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3LED를 제4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2LED와 제3LED가 동시에 동작하는 시간이 존재하여, 상기 제3시간 및 제4시간의 합은 24간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제어부는, 기설정된 주기로, 각각의 젖소의 과거의 상기 LED조사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젖소를 정상광조사착유우, 비정상광조사착유우, 정상광조사건유우, 비정상광조사건유우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젖소분류단계; 및 해당 젖소가 비정상광조사착유우인 경우에, 해당 젖소에 대한 상기 과거의 LED조사정보와 상기 제1스케쥴과의 차이정보에 기반하여, 보정제1스케쥴을 도출하고, 해당 젖소가 비정상광조사건유우인 경우에, 해당 젖소에 대한 상기 LED조사정보와 상기 제2스케쥴과의 차이정보에 기반하여,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하는 제1보정스케쥴도출단계;를 수행하는 제1보정스케쥴도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유우영역부는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착유우에 대한 제1스케쥴 혹은 제1보정스케쥴로 제어하고, 상기 건유우영역부는 복수의 영역 중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건유우에 대한 제2스케쥴 혹은 제2보정스케쥴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제1LED가 작동하는 제1시간 혹은 상기 제2LED가 작동하는 제3시간 동안 젖소의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시간 혹은 상기 제3시간 동안 젖소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에 대한 활동정보를 생성하는 활동정보생성단계; 상기 제3LED가 작동하는 제2시간 혹은 제4시간 동안 젖소의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시간 혹은 제4시간 동안 젖소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에 대한 뒤척임정보를 생성하는 뒤척임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활동정보, 상기 뒤척임정보 및 상기 먹이활동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젖소에 대한 생체주기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생체주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젖소에 대한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하는 제2보정스케쥴도출단계;를 수행하는, 제2보정스케쥴도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유우영역부는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착유우에 대한 제1스케쥴 혹은 제1보정스케쥴로 제어하고, 상기 건유우영역부는 복수의 영역 중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건유우에 대한 제2스케쥴 혹은 제2보정스케쥴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는, 사용자단말에 상기 1 이상의 구역별로 현재의 구역온도정보 및 각 구역별로 설치된 복수의 에어컨의 상태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1 이상의 구역 각각에 대한 설정온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축사 환경 조성 방법으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축사; 각각의 젖소에 부착되는 UWB태그; 상기 UWB태그 및 서비스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UWB앵커; 복수의 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1LED;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2LED; 젖소의 숙면을 유도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3LED;를 포함하는, 복수의 LED모듈; 상기 UWB앵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LED모듈을 제어하는 광제어부; 및 상기 UWB앵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젖소에 대한 단위시간당 먹이활동에 대한 먹이활동정보를 생성하는 먹이활동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광제어부에 의해서, 각각의 젖소에 대해서, 단위시간구간 동안의 해당 젖소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해당 젖소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LED모듈의 동작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제1LED, 제2LED, 및 제3LED가 조사된 시간을 포함하는 LED조사정보를 생성하는 젖소별LED정보생성단계; 상기 광제어부에 의해서,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착유우에 대한 제1스케쥴로 제어하는 착유우영역단계; 및 상기 광제어부에 의해서, 복수의 영역이 포함하는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건유우에 대한 제2스케쥴로 제어하는 건유우영역단계;를 포함하는, 축사 환경 조성 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서버가 습도모듈로부터 습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습도정보에 기초하여 가습기를 제어하므로, 젖소에게 최적의 습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젖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젖소의 위치가 사료영역인 경우에 먹이활동을 한다고 판단하여 먹이활동정보를 생성하므로, 젖소의 먹이활동에 따른 건강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젖소 각각이 착유우인지, 건유우인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젖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젖소가 위치한 영역의 LED모듈을 제어하므로, 각각의 젖소의 종류(착유우 및 건유우)에 따라 최적화된 광을 조사하여 우유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록색 파장대의 세기가 센 제1LED 및 붉은색 계열 파장대의 광인 제3LED를 제1스케쥴에 따라 제어하므로, 착유우에 대해 멜라토닌이 억제되어 유우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록색 파장대의 세기가 약한 제2LED 및 붉은색 계열 파장대의 광인 제3LED를 제2스케쥴에 따라 제어하므로, 건유우에 대해 멜라토닌이 분비되어, 충분한 휴식에 따라 향후 건유우가 착유우가 됐을 때, 유우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각각의 젖소별로 LED조사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젖소별로 최적화된 스케쥴(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정스케쥴도출부에서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 도출에 따라 광량이 부족했던 젖소에 대해 광량을 보상하여, 우유 생산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보정스케쥴도출부에서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 도출에 따라 젖소의 생체주기정보에 기초하여, 젖소의 컨디션에 따른 해당 젖소에 광량을 보상하여, 우유 생산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이활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유우영역부 및 건유우영역부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소별LED정보생성부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사정보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보정스케쥴도출부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보정스케쥴도출부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10) 환경 조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10) 환경 조성 시스템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축사(10), 상기 축사(10) 일측면에 배치되는 사료영역(20),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LED모듈(2000), 습도모듈(5000), 및 복수의 UWB앵커(4000), 및 서비스서버(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축사(10) 및 축사(10)에 배치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축사(10)는 젖소가 사육되는 장소로, 젖소가 돌아다닐 수 있다. 상기 축사(10)는 구분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물리적으로 나뉘어진 영역이 아닌, 축사(10) 환경 조성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임의로 구분한 영역에 해당한다. 즉, 젖소는 각각의 영역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다. 상기 영역은 착유우영역 및 건유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각각의 영역에는, 해당 영역에 대해 LED모듈(2000) 및 습도모듈(5000)이 설치될 수 있어, 해당 영역은, 해당 LED모듈(2000)에 따라 광이 조사되는 종류, 밝기 등이 조절되고, 해당 습도모듈(5000)에 따라 해당 영역의 습도가 제어될 수 있다.
축사(10) 내의 젖소에는 UWB태그(30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UWB태크는 해당 젖소의 위치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UWB앵커(40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축사(10) 내 혹은 외부에 상기 UWB앵커(4000)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어, 젖소에 부착된 UWB태그(3000)로부터 데이터를 더욱 정교하게 수신할 수 있다.
사료영역(20)은 젖소의 사료가 배치되는 영역이고, 상기 복수의 영역과는 물리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젖소는 머리를 내밀어 사료를 먹을 수 있다.
도 1의 (B)는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10) 환경 조성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10) 환경 조성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축사(10); 각각의 젖소에 부착되는 UWB태그(3000); 상기 UWB태그(3000) 및 서비스서버(1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UWB앵커(4000); 복수의 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1LED(2100);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2LED(2200); 젖소의 숙면을 유도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3LED(2300);를 포함하는, 복수의 LED모듈(2000); 상기 UWB앵커(40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LED모듈(2000)을 제어하는 광제어부(1100); 및 상기 UWB앵커(40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젖소에 대한 단위시간당 먹이활동에 대한 먹이활동정보를 생성하는 먹이활동부(1200);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1000);를 포함하고, 상기 광제어부(1100)는, 각각의 젖소에 대해서, 단위시간구간 동안의 해당 젖소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해당 젖소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LED모듈(2000)의 동작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제1LED(2100), 제2LED(2200), 및 제3LED(2300)가 조사된 시간을 포함하는 LED조사정보를 생성하는 젖소별LED정보생성부(1130);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2000)을 착유우에 대한 제1스케쥴로 제어하는 착유우영역부(1110); 및복수의 영역이 포함하는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2000)을 건유우에 대한 제2스케쥴로 제어하는 건유우영역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축사(10) 환경 조성 시스템은 서비스서버(10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LED모듈(2000), 습도모듈(5000), 및 UWB앵커(40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10) 환경 조성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LED모듈(2000)은 제1LED(2100), 제2LED(2200), 및 제3LED(2300)를 포함할 수 있고, 서비스서버(1000)(바람직하게는 서비스서버(1000)의 광제어부(110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LED(2100)는 멜라토닌 분비를 최소화해주는 파장의 빛을 조사할 수 있고, 상기 제2LED(2200)는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해주는 파장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LED(2100)는 청록색 파장대의 세기가 세고, 제2LED(2200)는 청록색 파장대의 세기가 약한 LED에 해당할 수 있고, 제3LED(2300)는 수면을 돕는 붉은색 계열 파장대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습도모듈(5000)은 가습기(5100) 및 습도센서(5200)를 포함할 수 있고, 서비스서버(100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습도센서(5200)는 습도모듈(5000)이 설치되어 있는 해당 영역에 대한 습도를 측정할 수 있고, 해당 영역에 대한 습도를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송신할 수 있다.
UWB태그(3000)는 젖소 각각에 부착될 수 있고, 위치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UWB앵커(4000)에 송신할 수 있다.
UWB앵커(4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UWB태그(300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서비스서버(10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서비스서버(1000)에서 위치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UWB앵커(400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도출하여 서비스서버(1000)에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0)는,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10) 환경 조성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1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웹페이지 혹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0)는 광제어부(1100), 먹이활동부(1200) 및 습도제어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제어부(1100)는 상기 LED모듈(2000)을 제어할 수 있고, 먹이활동부(1200)는 젖소의 먹이활동에 대한 먹이활동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습도제어부(1300)는 상기 습도모듈(500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제어부(1100)는, 착유우영역부(1110), 건유우영역부(1120), 젖소별LED정보생성부(1130), 제1보정스케쥴도출부(1140) 및 제2보정스케쥴도출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제어부(1100)는, 상기 UWV앵커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한 해당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LED모듈(2000)을 제어할 수 있다.
개략적으로, 착유우영역부(1110)는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한 LED모듈(2000)을 제어할 수 있다.
건유우영역부(1120)는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한 LED모듈(2000)을 제어 제어할 수 있다.
젖소별LED정보생성부(1130)는 젖소별로, 어떠한 빛을 조사받았는지에 대한 LED조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보정스케쥴도출부(1140)는 과거의 LED조사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젖소가 위치한 LED모듈(2000)을 제어 제어할 수 있다.
제2보정스케쥴도출부(1150)는 위치정보에 기초한 평시간의 활동정보, 수면시간의 뒤척임정보 및 상기 먹이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LED모듈(20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습도제어부(1300)(5000)는 상기 습도센서(5200)로부터 해당 영역에 대한 습도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고, 상기 습도정보를 기초로 해당 영역에 대한 가습기(5100)를 제어하여, 해당 영역에 대해 젖소에 최적화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각각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이활동부(1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UWB앵커(40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젖소에 대한 단위시간당 먹이활동에 대한 먹이활동정보를 생성하는 먹이활동부(1200);를 포함하고, 축사(10) 환경 조성 시스템은 사료영역(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료영역(20)은, 상기 축사(1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축사(10)의 일측면으로부터 젖소가 머리를 내밀어 사료를 먹을 수 있고, 상기 UWB태그(3000)는 젖소의 머리에 부착되고, 상기 먹이활동부(1200)는, 젖소가 상기 사료영역(20)에 머리를 내밀어, 상기 UWB앵커(40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가 사료영역(20)인 경우에 먹이활동을 한다고 판단하여, 해당 젖소에 대한 시간에 따른 먹이활동정보를 생성하는 먹이활동정보생성단계(S100);를 수행할 수 있다.
사료영역(20)은 축사(10)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철창으로, 구별될 수 있어, 젖소는 축사(10)로부터 머리를 내밀어 사료를 먹을 수 있다.
먹이활동부(1200)가 수행하는 먹이활동정보생성단계(S100)는, 젖소에게 부착되는 UWB태그(3000)는 젖소의 머리(바람직하게는 귀)에 위치할 수 있어, 젖소가 사료영역(20)의 사료를 먹기위해 사료영역(20)에 머리를 내밀면, 해당 젖소의 위치는 사료영역(20)으로 인식될 수 할 수 있다.
즉, 해당 젖소가 먹이활동을 하는 동안에, 해당 젖소의 UWB태그(3000)가 UWB앵커(4000)에 위치정보에 관련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UWB앵커(4000)는 해당 데이터를 서비스서버(1000)에 송신할 수 있어,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해당 젖소에 대한 위치정도를 사료영역(20)으로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먹이활동정보생성단계(S100)에서는, 젖소가 사료영역(20)에 위치하는 경우에, 해당 젖소가 먹이활동을 한다고 판단할 수 있고, 해당 젖소에 대해서 시간에 따른 먹이활동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먹이활동정보는 서비스서버(1000)의 DB에 저장될 수 있고,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먹이활동정보생성단계(S100)는 각각의 젖소에 대해 수행될 수 있어, 서비스서버(1000)는 각각의 젖소에 대해, 시간에 따른 먹이활동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2의 (B)는 먹이활동정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먹이활동정보는 그래프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먹이활동정보는 시간에 따라 저장될 수 있고, 각각의 일자별로, 해당 젖소가 먹이활동을 한 시간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먹이활동정보는 시간에 따라 저장되어, 해당 젖소가 각각의 일자별로 먹이활동을 한 횟수, 및 각각의 횟수에 대한 시간을 알 수 있어, 젖소에 대한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유우영역부(1110) 및 건유우영역부(1120)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제어부(1100)는,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2000)을 착유우에 대한 제1스케쥴로 제어하는 착유우영역부(1110); 및 복수의 영역이 포함하는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2000)을 건유우에 대한 제2스케쥴로 제어하는 건유우영역부(1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케쥴은 24시간에 대한 스케쥴이고, 상기 제1LED(2100)를 제1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3LED(2300)를 제2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1LED(2100)와 제2LED(2200)가 동시에 동작하는 시간이 존재하여, 상기 제1시간 및 제2시간의 합은 24시간 이상이고, 상기 제2스케쥴은, 상기 제2LED(2200)를 제3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3LED(2300)를 제4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2LED(2200)와 제3LED(2300)가 동시에 동작하는 시간이 존재하여, 상기 제3시간 및 제4시간의 합은 24간 이상일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0)에는, 각각의 젖소의 젖소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젖소정보는 해당 젖소에 부착한 UWB태그(3000)에 대한 정보, 해당 젖소의 종류(착유우 혹은 건유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축사(10)에 구분되어진 복수의 영역은 해당 영역에 위치한 젖소의 종류에 따라 착유우영역 및 건유우영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영역에 착유우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은 착유우영역에 해당할 수 있고, 어느 영역에 건유우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은 건유우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0)의 광제어부(1100)가 포함하는 착유우영역부(1110)는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영역에 대해, 해당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LED모듈(2000)을 제1스케쥴로 제어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0)의 광제어부(1100)가 포함하는 건유우영역부(1120)는 복수의 영역 중 건유우영역에 대해, 해당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LED모듈(2000)을 제2스케쥴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제1스케쥴을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제1스케쥴은 착유우의 우유 생산성 향상을 위해 최적화된 LED 조사 스케쥴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스케쥴은 제1LED(2100)를 제1시간동안 조사할 수 있고, 제3LED(2300)를 제2시간동안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6시간 내지 18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시간은 바람직하게는, 8시간 내지 6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스케쥴은 24시간에 대한 스케쥴에 해당할 수 있어, 24시간 중 어느 시간부터 제1LED(2100)를 제1시간동안 조사하고, 24시간 중 어느 시간부터 제3LED(2300)를 제3시간동안 조사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 및 제2시간의 합은 24시간을 넘을 수 있는데, 이는 제1LED(2100) 및 제3LED(2300)가 함께 조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젖소가 활동하는 시간 동안에는 제1LED(2100)를 조사하여 멜라토닌을 억제할 수 있어 젖소가 잠에 들지 않고 우유를 생산할 수 있게 하고, 젖소가 잠을 자야하는 시간 동안은 제3LED(2300)를 조사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고, 젖소가 잠에서 깨야되는 시간쯤에는 제1LED(2100) 및 제3LED(2300)를 함께 조사하여 젖소가 자연스럽게 기상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의 (C)는 제2스케쥴을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제2스케쥴은 건유우가 축우유가 됐을 때, 우유 생산성 향상을 위해 최적화된 LED 조사 스케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건유우가 적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스케쥴은 제2LED(2200)를 제3시간동안 조사할 수 있고, 제3LED(2300)를 제4시간동안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3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6시간 내지 18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4시간은 바람직하게는, 8시간 내지 6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2스케쥴은 24시간에 대한 스케쥴에 해당할 수 있어, 24시간 중 어느 시간부터 제2LED(2200)를 제3시간동안 조사하고, 24시간 중 어느 시간부터 제3LED(2300)를 제4시간동안 조사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시간 및 제4시간의 합은 24시간을 넘을 수 있는데, 이는 제2LED(2200) 및 제3LED(2300)가 함께 조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젖소가 활동하는 시간 동안에 제2LED(2200)를 조사하여 멜라토닌을 생산할 수 있어 젖소가 이후에 숙면을 취하며 푹 쉴 수 있게 하고, 젖소가 잠을 자야하는 시간 동안은 제3LED(2300)를 조사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고, 젖소가 잠에서 깨야되는 시간쯤에는 제2LED(2200) 및 제3LED(2300)를 함께 조사하여 젖소가 기상 후에도 이후에 숙면을 취할 수 있게 유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광제어부(1100)는, LED모듈(2000)을 표준스케쥴에 따라 제어할 수도 있는데, 상기 표준스케쥴은 제1LED(2100)를 제5시간동안 작동하고, 제2LED(2200)를 제6시간동안 작동하고, 제3LED(2300)를 제7시간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1LED(2100), 제2LED(2200) 및 제3LED(2300)가 동시에 작동하는 시간이 존재하여, 상기 제5시간, 제6시간 및 제7시간의 합은 24시간 이상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소별LED정보생성부(1130)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제어부(1100)는, 각각의 젖소에 대해서, 단위시간구간 동안의 해당 젖소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해당 젖소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LED모듈(2000)의 동작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제1LED(2100), 제2LED(2200), 및 제3LED(2300)가 조사된 시간을 포함하는 LED조사정보를 생성하는 젖소별LED정보생성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는 젖소의 위치정보에 대해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4의 (B)는 LED조사정보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젖소는 축사(10) 내를 돌아다닐 수 있어, 젖소는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된다.
서비스서버(1000)에는 해당 젖소의 위치정보가 도출될 수 있어, 해당 젖소의 시간에 따라 어느 영역에 위치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1000)에는 각각의 LED모듈(2000)의 동작히스토리가 시간에 따라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동작히스토리는 해당 시간에 LED모듈(2000)의 제1LED(2100), 제2LED(2200) 및 제3LED(2300)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였는지, 해당 LED의 세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서버(1000)는, 위치정보 및 동작히스토리에 기초하여, 해당 젖소가 시간에 따라 조사받은 제1LED(2100), 제2LED(2200) 및 제3LED(2300)의 광량을 포함하는 LED조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정보는 단위시간구간 동안 도출될 수 있어, 상기 LED조사정보는 단위시간구간 단위로 각각의 LED에 대해서 도출될 수 있다.
한편, 젖소가 복수의 영역을 돌아다니면, 해당 영역의 LED모듈(2000)은 해당 젖소의 종류에 따라 제1스케쥴 혹은 제2스케쥴의 해당 시간의 스케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젖소는 영역#1에서 영역#4로 이동하고, 영역#4에서 영역#3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젖소의 종류가 착유우라고 한다면, 젖소가 영역#1에 있는 시간동안, 해당 시간에 대한 제1스케쥴로 LED모듈#1(2000.1)이 동작될 수 있고, 젖소가 영역#1에서 영역#4로 이동하는 경우에, 영역#1의 LED모듈#1(2000.1)은 동작이 중지될 수 있고, 젖소가 영역#4에 있는 시간동안, 해당 시간에 대한 제1스케쥴로 LED모듈#4(2000.4)이 동작될 수 있고, 젖소가 영역#4에서 영역#3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영역#4의 LED모듈#4(2000.4)은 동작이 중지될 수 있고, 젖소가 영역#3에 있는 시간동안, 해당 시간에 대한 제1스케쥴로 LED모듈#3(2000.3)이 동작될 수 있다.
즉, 젖소가 위치한 각각의 LED모듈(2000)은 제1스케쥴 혹은 제2스케쥴 상의 현재 시간에 동기화 되어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조사정보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조사정보는, 해당 젖소에 조사된 시간에 따른 제1LED(2100), 제2LED(2200), 및 제3LED(2300) 각각의 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 및 (B)는 LED조사정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당 젖소가 시간에 따라 조사받은 제1LED(2100)에 대한 LED조사정보를 도시하였다. 도 5의 (A)에는 3일(D1, D2 및 D3) 동안의 시간에 따른 광량이 포함되어 있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당 젖소가 시간에 따라 조사받은 제1LED(2100)(A) 및 제3LED(2300)(B)에 대한 LED조사정보를 도시하였다. 도 5의 (B)는 도 4의 (A)의 젖소에 대한 LED조사정보에 해당할 수 있는데, 젖소가 영역#1, 영역#4 및 영역#3에 이동함에 따라서, LED모듈#1(2000.1), LED모듈#4(2000.4) 및 LED모듈#3(2000.3)의 순서로, 각각 해당 젖소가 영역#1에 머문 T1, 영역#4에 머문 T2, 및 영역#3에서 머문 T3 시간 동안 작동한 동작히스토리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도 5의 (B)에서는 제3LED(2300)가 작동함을 알 수 있으므로, 상기 영역#3에서 잠을 잤을 것을 알 수 있고, 젖소가 잠을 깨야되는 시간뿐만 아니라, 젖소가 잠을 청해야하는 시간에도 제1LED(2100) 및 제3LED(2300)가 함께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5의 (B)는 제1스케쥴에 따라 광량을 받은 젖소의 LED조사정보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보정스케쥴도출부(1140)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제어부(1100)는, 기설정된 주기로, 각각의 젖소의 과거의 상기 LED조사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젖소를 정상광조사착유우, 비정상광조사착유우, 정상광조사건유우, 비정상광조사건유우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젖소분류단계; 및 해당 젖소가 비정상광조사착유우인 경우에, 해당 젖소에 대한 상기 과거의 LED조사정보와 상기 제1스케쥴과의 차이정보에 기반하여, 보정제1스케쥴을 도출하고, 해당 젖소가 비정상광조사건유우인 경우에, 해당 젖소에 대한 상기 LED조사정보와 상기 제2스케쥴과의 차이정보에 기반하여,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하는 제1보정스케쥴도출단계;를 수행하는 제1보정스케쥴도출부(1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유우영역부(1110)는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2000)을 착유우에 대한 제1스케쥴 혹은 제1보정스케쥴로 제어하고, 상기 건유우영역부(1120)는 복수의 영역 중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2000)을 건유우에 대한 제2스케쥴 혹은 제2보정스케쥴로 제어할 수 있다.
제1보정스케쥴도출부(1140)는 젖소분류단계 및 제1보정스케쥴도출단계를 수행하여, 해당 젖소에 대한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할 수 있다.
도 6의 (A)는 젖소분류단계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젖소분류단계에서는, 젖소 각각에 대해, 젖소의 과거의 LED조사정보를 기초로 해당 젖소가 정상광조사착유우, 비정상광조사착유우, 정상광조사건유우, 및 비정상광조사건유우인지 중 어느 하나인지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거의 LED조사정보에 대한 평균LED조사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상기 평균LED조사정보가 기설정된 표준LED조사정보에 부합하거나,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젖소를 정상광조사착유우 혹은 정상광조사건유우로 분류하고, 상기 평균LED조사정보가 기설정된 표준LED조사정보에 부합하지 않거나,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젖소를 비정상광조사착유우 혹은 비정상광조사건유우로 분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젖소분류단계에서는, 상기 LED조사정보에는 과거의 날에 대한 제1LED(2100) 혹은 제2LED(2200)를 조사받은 광량이 포함되어 있고, 각각의 날에 대해 제1LED(2100) 혹은 제2LED(2200)를 조사받은 일자별총광량을 도출할 수 있다.
젖소분류단계에서는 기설정된 복수의 과거의 날 (바람직하게는, 과거의 3일)에 대한 각각의 LED조사정보의 일자별총광량을 도출하여, 평균을 낸 평균LED조사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6의 (A)에서는 일 실시예로 LED조사정보#1 내지 LED조사정보#3 각각의 일자별총광량을 도출하여, 평균을 낸 평균LED조사정보를 산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산출한 평균LED조사정보가 기설정된 표준LED조사정보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젖소를 정상광조사착유우 혹은 정상광조사건유우로 분류하고, 산출한 평균LED조사정보가 기설정된 표준LED조사정보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젖소를 비정상광조사착유우 혹은 비정상광조사건유우로 분류할 수 있다.
도 6의 (A)는 착유우에 대한 정상광조사착유우 및 비정상광조사착유우만 도시하였으나, 젖소분류단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건유우에 대한 정상광조사건유우 및 비정상조사광유우도 도출할 수 있다.
도 6의 (B)는 제1보정스케쥴도출단계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제1보정스케쥴도출단계는 비정상광조사착유우 및 비정상광조사건유우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고, 해당 젖소에 대한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보정스케쥴도출단계에서는, 비정상적으로 광을 조사받은 젖소에 대해 과거 동안 부족하게 조사받았던 광에 대한 보상을 위해서, 보정된 스케쥴을 도출할 수 있다.
비정상광조사착유우인 젖소에 대해서, 과거의 LED조사정보 및 제1스케쥴과의 차이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차이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케쥴을 수정하여, 부족했던 광량을 보충한 보정제1스케쥴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비정상광조사건유우인 젖소에 대해서, 과거의 LED조사정보 및 제2스케쥴과의 차이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차이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스케쥴을 수정하여, 부족했던 광량을 보충한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보정스케쥴도출단계에서는, 상기 젖소분류단계에서 산출한 평균LED조사정보, 및 기설정된 표준LED조사정보의 차이값을 차이정보로 도출할 수 있고, 상기 차이정보만큼의 광량을 상기 제1스케쥴 혹은 제2스케쥴에 추가하여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이정보는 24시간에 대해 균등하게 분배되어 제1LED(2100), 제2LED(2200) 및 제3LED(2300) 중 1 이상의 세기를 강화시켜 보상하는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이정보는 상기 제1스케쥴 혹은 상기 제2스케쥴 상에서 제1LED(2100), 제2LED(2200) 및 제3LED(2300) 중 1 이상의 대한 작동시간을 늘려 보상하는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0)는, 보정제1스케쥴 및 보정제2스케쥴의 도출에 따라, 해당 젖소가 위치한 LED모듈(2000)에 대해서, 보정제1스케쥴 및 보정제2스케쥴 혹은 제1스케쥴 및 제2스케쥴로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보정스케쥴도출부(1150)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제1LED(2100)가 작동하는 제1시간 혹은 상기 제2LED(2200)가 작동하는 제3시간 동안 젖소의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시간 혹은 상기 제3시간 동안 젖소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에 대한 활동정보를 생성하는 활동정보생성단계(S100); 상기 제3LED(2300)가 작동하는 제2시간 혹은 제4시간 동안 젖소의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시간 혹은 제4시간 동안 젖소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에 대한 뒤척임정보를 생성하는 뒤척임정보생성단계(S200); 및 상기 활동정보, 상기 뒤척임정보 및 상기 먹이활동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젖소에 대한 생체주기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생체주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젖소에 대한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하는 제2보정스케쥴도출단계(S300);를 수행하는, 제2보정스케쥴도출부(1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유우영역부(1110)는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2000)을 착유우에 대한 제1스케쥴 혹은 제1보정스케쥴로 제어하고, 상기 건유우영역부(1120)는 복수의 영역 중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2000)을 건유우에 대한 제2스케쥴 혹은 제2보정스케쥴로 제어할 수 있다.
제2보정스케쥴도출부(1150)는 활동정보생성단계(S100), 뒤척임정보생성단계(S200), 및 제2보정스케쥴도출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2보정스케쥴도출부(1150)는, 젖소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활동시간 동안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에 대한 활동정보, 취침시간 동안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에 대한 뒤척임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활동정보, 뒤척임정보 및 상기 먹이활동정보를 기초로 생체주기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생체주기정보에 기초하여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할 수 있다.
활동정보생성단계(S100)에서는, 제1스케쥴 상에서 제1LED(2100)가 작동하는 제1시간, 혹은 제2스케쥴 상에서 제2LED(2200)가 작동하는 제2시간 동안 젖소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시간 혹은 상기 제2시간 동안의 해당 젖소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에 대한 활동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활동정보생성단계(S100)에서는 젖소가 깨어있는 시간 동안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정보는, 걸음수, 소비 칼로리량, 운동량(이동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뒤척임정보생성단계(S200)에서는, 제1스케쥴 상에서 제3LED(2300)가 작동하는 제2시간, 혹은 제2스케쥴 상에서 제3LED(2300)가 작동하는 제4시간 동안 젖소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시간 혹은 상기 제4시간 동안의 해당 젖소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에 대한 뒤척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뒤척임정보생성단계(S200)에서는 젖소가 잠을 자야 하는 시간 동안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뒤척임정보는, 걸음수, 소비 칼로리량, 운동량(이동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젖소에는 자이로센서가 더 부착될 수 있고,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수신한 방위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뒤척임정보생성단계(S200)에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에 기초하여 뒤척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방위정보를 통해서, 이동이 없는 경우에도 수면 중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뒤척임정보를 생성함으로 잠을 자지 않는 젖소를 골라낼 수 있고, 젖소에 대한 수면의 질을 알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2보정스케쥴도출단계(S300)에서는, 활동정보생성단계(S100)에서 생성한 활동정보, 뒤척임정보생성단계(S200)에서 생성한 뒤척임정보, 및 먹이활동부(1200)에서 생성한 먹이활동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젖소에 대한 생체주기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생체주기정보는, 해당 젖소의 하루에 대한 기록으로, 하루 동안의 활동정보(걸음수, 소비 칼로리량, 운동량(이동거리) 등), 수면시간, 식사량을 포함할 수 있고, 시간에 따른 활동정보, 시간에 따른 뒤척임정보, 시간에 따른 먹이활동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주기정보는 젖소별로, 일자별로 도출될 수 있다.
이어서, 제2보정스케쥴도출단계(S300)에서는, 상기 생체주기정보를 기초로, 해당 젖소에 대한 제1스케쥴 혹은 제2스케쥴 대해 보상된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보정스케쥴도출단계(S300)에서 도출한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은 제1LED(2100), 제2LED(2200) 및 제3LED(2300) 중 1 이상의 세기를 강화시켜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보정스케쥴도출단계(S300)에서 도출한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은 제1LED(2100), 제2LED(2200) 및 제3LED(2300) 중 1 이상의 대한 작동시간을 늘려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젖소의 수면시간이 적으면, 제1스케쥴 혹은 제2스케쥴 상에서 제3LED(2300)의 작동시간을 늘려 보상할 수 있고, 제1스케쥴 상에서 제2LED(2200) 작동 시간을 취침 시간 전에 추가하여 젖소에 대한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0)는, 보정제1스케쥴 및 보정제2스케쥴의 도출에 따라, 해당 젖소가 위치한 LED모듈(2000)에 대해서, 보정제1스케쥴 및 보정제2스케쥴 혹은 제1스케쥴 및 제2스케쥴로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컴퓨팅장치(11000)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는 도 2에 도시된 서비스서버(1000)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는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서비스서버(1000) 혹은 사용자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서비스서버(1000) 혹은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서버가 습도모듈로부터 습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습도정보에 기초하여 가습기를 제어하므로, 젖소에게 최적의 습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젖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젖소의 위치가 사료영역인 경우에 먹이활동을 한다고 판단하여 먹이활동정보를 생성하므로, 젖소의 먹이활동에 따른 건강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젖소 각각이 착유우인지, 건유우인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젖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젖소가 위치한 영역의 LED모듈을 제어하므로, 각각의 젖소의 종류(착유우 및 건유우)에 따라 최적화된 광을 조사하여 우유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록색 파장대의 세기가 센 제1LED 및 붉은색 계열 파장대의 광인 제3LED를 제1스케쥴에 따라 제어하므로, 착유우에 대해 멜라토닌이 억제되어 유우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록색 파장대의 세기가 약한 제2LED 및 붉은색 계열 파장대의 광인 제3LED를 제2스케쥴에 따라 제어하므로, 건유우에 대해 멜라토닌이 분비되어, 충분한 휴식에 따라 향후 건유우가 착유우가 됐을 때, 유우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각각의 젖소별로 LED조사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젖소별로 최적화된 스케쥴(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정스케쥴도출부에서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 도출에 따라 광량이 부족했던 젖소에 대해 광량을 보상하여, 우유 생산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보정스케쥴도출부에서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 도출에 따라 젖소의 생체주기정보에 기초하여, 젖소의 컨디션에 따른 해당 젖소에 광량을 보상하여, 우유 생산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축사;
    복수의 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1LED;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2LED; 젖소의 숙면을 유도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3LED;를 포함하는, 복수의 LED모듈;
    각각의 젖소에 부착되는 UWB태그;
    상기 UWB태그 및 서비스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UWB앵커;
    상기 UWB앵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LED모듈을 제어하는 광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제어부는,
    각각의 젖소에 대해서, 단위시간구간 동안의 해당 젖소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해당 젖소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LED모듈의 동작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제1LED, 제2LED, 및 제3LED가 조사된 시간을 포함하는 LED조사정보를 생성하는 젖소별LED정보생성부;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착유우에 대한 제1스케쥴로 제어하는 착유우영역부; 및
    복수의 영역 중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건유우에 대한 제2스케쥴로 제어하는 건유우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케쥴은 24시간에 대한 스케쥴이고,
    상기 제1LED를 제1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3LED를 제2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2스케쥴은 24시간에 대한 스케쥴이고,
    상기 제2LED를 제3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3LED를 제4시간 동안 작동하는,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케쥴은,
    상기 제1LED와 제2LED가 동시에 동작하는 시간이 존재하여, 상기 제1시간 및 제2시간의 합은 24시간 이상이고,
    상기 제2스케쥴은,
    상기 제2LED와 제3LED가 동시에 동작하는 시간이 존재하여, 상기 제3시간 및 제4시간의 합은 24간 이상인,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제어부는,
    기설정된 주기로, 각각의 젖소의 과거의 상기 LED조사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젖소를 정상광조사착유우, 비정상광조사착유우, 정상광조사건유우, 비정상광조사건유우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젖소분류단계; 및
    해당 젖소가 비정상광조사착유우인 경우에, 해당 젖소에 대한 상기 과거의 LED조사정보와 상기 제1스케쥴과의 차이정보에 기반하여, 보정제1스케쥴을 도출하고, 해당 젖소가 비정상광조사건유우인 경우에, 해당 젖소에 대한 상기 LED조사정보와 상기 제2스케쥴과의 차이정보에 기반하여,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하는 제1보정스케쥴도출단계;를 수행하는 제1보정스케쥴도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유우영역부는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착유우에 대한 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1스케쥴로 제어하고,
    상기 건유우영역부는 복수의 영역 중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건유우에 대한 제2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로 제어하는,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은 사료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료영역은,
    상기 축사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축사의 일측면으로부터 젖소가 머리를 내밀어 사료를 먹을 수 있고,
    상기 UWB태그는 젖소의 머리에 부착되고,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UWB앵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젖소에 대한 단위시간당 먹이활동에 대한 먹이활동정보를 생성하는 먹이활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먹이활동부는,
    젖소가 상기 사료영역에 머리를 내밀어, 상기 UWB앵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가 사료영역인 경우에 먹이활동을 한다고 판단하여, 해당 젖소에 대한 시간에 따른 먹이활동정보를 생성하는 먹이활동정보생성단계;를 수행하는,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제1LED가 작동하는 제1시간 혹은 상기 제2LED가 작동하는 제3시간 동안 젖소의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시간 혹은 상기 제3시간 동안 젖소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에 대한 활동정보를 생성하는 활동정보생성단계;
    상기 제3LED가 작동하는 제2시간 혹은 제4시간 동안 젖소의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시간 혹은 제4시간 동안 젖소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에 대한 뒤척임정보를 생성하는 뒤척임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활동정보, 상기 뒤척임정보 및 상기 먹이활동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젖소에 대한 생체주기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생체주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젖소에 대한 보정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을 도출하는 제2보정스케쥴도출단계;를 수행하는, 제2보정스케쥴도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유우영역부는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착유우에 대한 제1스케쥴 혹은 보정제1스케쥴로 제어하고,
    상기 건유우영역부는 복수의 영역 중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건유우에 대한 제2스케쥴 혹은 보정제2스케쥴로 제어하는,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6.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축사 환경 조성 방법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축사;
    복수의 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1LED;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2LED; 젖소의 숙면을 유도하는 파장대를 방출하는 제3LED;를 포함하는, 복수의 LED모듈;
    각각의 젖소에 부착되는 UWB태그;
    상기 UWB태그 및 서비스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UWB앵커;
    상기 UWB앵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젖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LED모듈을 제어하는 광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광제어부에 의해서, 각각의 젖소에 대해서, 단위시간구간 동안의 해당 젖소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해당 젖소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LED모듈의 동작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제1LED, 제2LED, 및 제3LED가 조사된 시간을 포함하는 LED조사정보를 생성하는 젖소별LED정보생성단계;
    광제어부에 의해서, 복수의 영역 중 착유우가 위치한 착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착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착유우에 대한 제1스케쥴로 제어하는 착유우영역단계; 및
    광제어부에 의해서, 복수의 영역 중 건유우가 위치한 건유우영역에 대해서, 상기 건유우영역에 위치한 상기 LED모듈을 건유우에 대한 제2스케쥴로 제어하는 건유우영역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케쥴은 24시간에 대한 스케쥴이고,
    상기 제1LED를 제1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3LED를 제2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2스케쥴은 24시간에 대한 스케쥴이고,
    상기 제2LED를 제3시간 동안 작동하고, 상기 제3LED를 제4시간 동안 작동하는, 축사 환경 조성 방법.
KR1020230056483A 2023-04-28 2023-04-28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596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483A KR102596845B1 (ko) 2023-04-28 2023-04-28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483A KR102596845B1 (ko) 2023-04-28 2023-04-28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845B1 true KR102596845B1 (ko) 2023-11-01

Family

ID=8874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483A KR102596845B1 (ko) 2023-04-28 2023-04-28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84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8930A1 (en) * 2007-08-27 2009-03-05 Maasland N.V. System for and method of managing a group of animals
KR20190047397A (ko) * 2017-10-27 2019-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의 행동과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90254249A1 (en) * 2018-02-19 2019-08-22 Alejandro Gonzalo Caamaño Fernandez Automatic system and apparatus for mastitis detection by means of electrical properties measurements of milk.
KR101995453B1 (ko) * 2019-01-07 2019-10-01 (주) 케이에스에스 축산 환경정보 측정단말기 및 환경정화 통합관리 시스템
KR20200054707A (ko) * 2018-11-12 2020-05-20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
KR20220052229A (ko) 2020-10-20 2022-04-27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곤충 사육 상자
KR102481422B1 (ko) 2019-11-28 2022-12-28 영농조합법인킹스파머스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
US20230037527A1 (en) * 2019-12-20 2023-02-09 Xiant Technologies, Inc. Synchronization of lighting networks for agriculture product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8930A1 (en) * 2007-08-27 2009-03-05 Maasland N.V. System for and method of managing a group of animals
KR20190047397A (ko) * 2017-10-27 2019-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의 행동과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90254249A1 (en) * 2018-02-19 2019-08-22 Alejandro Gonzalo Caamaño Fernandez Automatic system and apparatus for mastitis detection by means of electrical properties measurements of milk.
KR20200054707A (ko) * 2018-11-12 2020-05-20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
KR101995453B1 (ko) * 2019-01-07 2019-10-01 (주) 케이에스에스 축산 환경정보 측정단말기 및 환경정화 통합관리 시스템
KR102481422B1 (ko) 2019-11-28 2022-12-28 영농조합법인킹스파머스 스마트팜을 통한 가축 사육 관리 방법 및 서비스 서버
US20230037527A1 (en) * 2019-12-20 2023-02-09 Xiant Technologies, Inc. Synchronization of lighting networks for agriculture production
KR20220052229A (ko) 2020-10-20 2022-04-27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곤충 사육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7598A1 (en) Methods for pet wellness platform
EP3091833B1 (en) A method of livestock rearing and a livestock shed
US20220071186A1 (en) Insect breed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CN101014973A (zh) 用于优化动物生产的系统和方法
KR101677274B1 (ko) 곤충사육장의 온도 및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u-Haan et al. The use of distillers dried grains plus solubles as a feed ingredient on air emissions and performance from laying hens
EP1535510A3 (en) Method for controlled breeding of free-range animals
CN206164658U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家畜养殖智能控制系统
CN106383537A (zh) 一种家畜养殖智能系统
Mertens Methods in modelling feeding behaviour and intake in herbivores
CN102458101A (zh) 驯养动物圈舍中的智能气候控制
US20220022426A1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 livestock facility
KR102596845B1 (ko)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CN205161497U (zh) 基于物联网的家兔标准化养殖智能监控系统
Revanth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IoT Based Smart Poultry Farm
Andersen et al. Using Evolutionary Operation technique to evaluate different management initiatives at herd level
Gaillard et al. Effects of the environment and animal behavior on nutrient requirements for gestating sows: Future improvements in precision feeding
CN109006538A (zh) 智能化育肥猪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Shanmugapriya et al. Poultry Farm Surveillance System Utilizing IoT and Wireless Sensor Network
Lee et al. Micro-and macroenvironmental conditions and stability of terrestrial models
WO2021203757A1 (zh) 一种个体管控畜禽养殖方法
Song et al. Dynamics of air temperature, velocity and ammonia emissions in enclosed and conventional pig housing systems
Barsagadea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Intelligent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Poultry System 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mrita et al. POULTRY ENVIRONMENT AND PRODUCTION CONTROL AND OPTIMIZATION—A SUMMARY OF WHERE WE ARE AND WHERE WE WANT TO GO
CN112578833A (zh) 基于物联网技术的猪舍环境控制系统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