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707A -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707A
KR20200054707A KR1020180138337A KR20180138337A KR20200054707A KR 20200054707 A KR20200054707 A KR 20200054707A KR 1020180138337 A KR1020180138337 A KR 1020180138337A KR 20180138337 A KR20180138337 A KR 20180138337A KR 20200054707 A KR20200054707 A KR 20200054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lets
sows
growth
cag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100B1 (ko
Inventor
심상완
Original Assignee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8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1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은 축사에서 사육되는 모돈과 자돈이 거주하는 돼지우리에 공급되는 냉난방 온도를 구분하여 공급하는 것에 의해 돼지 폐사율을 감축하고, 축사에 공급되는 냉난방 전달 방식을 직접전달방식인 대류냉난방이 아닌 간접전달방식인 복사냉난방으로 적용하여 돼지 폐사율을 감축하고, 축사 내에 열감지 카메라를 포함한 각종 감지장치를 설치하여, 냉난방 온도에 따라 반응하는 돼지의 상태 변화를 확인하고, 돼지의 생장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수유시간이 시작되면 수유를 위해 자돈이 모돈우리로 이동하게 하고 수유시간이 경과하면 자돈이 자돈우리로 이동하도록 유도한 후 모돈과 자돈이 거주하는 공간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A management system of the pigsty for livestock growth of pigs}
본 발명은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축사에서 사육되는 모돈과 자돈이 거주하는 공간을 모돈 우리와 자돈 우리로 구분하여 사육함으로 폐사율을 낮추고 돼지 생장을 촉진하기 위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돼지우리에 공급되는 냉난방을 중앙공급식이 아닌 모돈 우리와 자돈 우리로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냉난방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모돈별, 자돈별로 최적화된 냉난방을 공급함으로 폐사율을 감축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돈 우리와 자돈 우리에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냉난방을 직접전달방식인 대류 방식이 아닌 간접전달방식인 복사냉난방 방식으로 적용하여 돼지 폐사율을 감축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 내에 각종 감지장치를 설치하여, 냉난방 온도에 따라 반응하는 돼지의 상태 변화를 확인하고, 돼지의 생장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유시간이 시작되면 수유를 위해 자돈이 모돈우리로 이동하게 하고 수유시간이 경과하면 자돈이 자돈우리로 이동하도록 유도한 후 모돈과 자돈이 거주하는 공간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발명이다.
우리나라가 경제적으로 빈곤한 과거 시절에 비해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진 21세기는 삶이 다방면으로 성장하면서,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육류 소비량도 함께 커지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면적에 비해 인구가 많고 육류 생산량이 적기 때문에 외국에서 육류를 많이 수입하고 있는 실정인데, 외국에서 수입되는 육류는 장거리 이송에 따른 신선도, 검역, 위생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국민의 안전하고 신선한 먹을거리 공급이라는 측면에서 국내 축산농가의 육류 생산량을 증대시켜 수입 육류를 최대한 대체하는 방안이 필요한 것이다.
한편, 미국, 네덜란드, 덴마크와 같은 선진국의 축산농가에 비해 국내 축산농가의 문제점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축 폐사율에 있다.
특히, 돼지의 경우 양돈 생산성 지표인 MSY(최대유지생산 : Maximum Sustainable Yield)가 선진국의 약 70%에 불과한 수준이라 양돈 생산비가 선진국에 비해 25%정도 더 상승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국내 축산농가의 가격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MSY의 비율을 높이려면, 어미돼지인 모돈과 새끼돼지인 자돈간의 적합한 생장 환경을 조성하고 사육방식을 개선하여 돼지의 폐사율을 감소시켜야 하는 것이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4833호 축사 환기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형 축사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6221호 축사 환기와 연계된 지열 냉난방 시스템 및 제어방법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5510호 이유 자돈사
본 발명은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축사에서 사육되는 모돈과 자돈이 거주하는 공간을 모돈 우리와 자돈 우리로 구분하여 사육함으로 폐사율을 낮추고 돼지 생장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돼지우리에 공급되는 냉난방을 중앙공급식이 아닌 모돈 우리와 자돈 우리로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냉난방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모돈별, 자돈별로 최적화된 냉난방을 공급함으로 폐사율을 감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돈 우리와 자돈 우리에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냉난방을 직접전달방식인 대류 방식이 아닌 간접전달방식인 복사냉난방 방식으로 적용하여 돼지 폐사율을 감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 내에 각종 감지장치를 설치하여, 냉난방 온도에 따라 반응하는 돼지의 상태 변화를 확인하고, 돼지의 생장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유시간이 시작되면 수유를 위해 자돈이 모돈우리로 이동하게 하고 수유시간이 경과하면 자돈이 자돈우리로 이동하도록 유도한 후 모돈과 자돈이 거주하는 공간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은,
축사에서 사육하는 돼지를 모돈과 자돈으로 각각 구분하여 생장시키기 위한 공간으로서, 모돈이 거주하는 모돈우리(110)와 자돈이 거주하는 자돈우리(120)를 포함하는 돼지우리부(100)와;
상기 돼지우리부(100)의 냉난방을 위해 복사냉난방 방식으로 모돈우리(110)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제1패널부(210)와, 자돈우리(120)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제2패널부(220)와,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를 구분 구획하는 제3패널부(230)를 포함하는 냉난방공급패널부(200)와;
상기 돼지우리부(100) 내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 모습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돼지우리부(100) 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와 같은 모돈과 자돈의 생장환경 조건을 감지하여 생장환경정보를 생성하고, 모돈과 자돈의 체온을 감지하여 모돈과 자돈의 체온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장치부(300)와;
저장되어 있는 생장 시기별 돼지의 생장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감지장치부(300)에서 생성한 영상정보와 생장환경정보와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냉난방공급패널부(200)를 통해 돼지우리부(100)의 냉난방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관리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상기 제1패널부(210)과 제2패널부(220)을 이용하여,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냉난방을 각각 모돈과 자돈의 생장조건정보에 따라 구분되게 제어하고, 수유시간 여부에 따라 제3패널부(230)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은 축사에서 사육되는 모돈과 자돈이 거주하는 돼지우리에 공급되는 냉난방 온도를 구분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동일한 온도 공급으로 인해 돼지가 받게 되는 스트레스를 감소하여 돼지 폐사율을 감축시키고 MSY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에 공급되는 냉난방 전달 방식을 직접전달방식인 대류냉난방이 아닌 간접전달방식인 복사냉난방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돼지가 직접전달방식의 냉난방 공급으로 인해 받게 되는 스트레스가 적은 돼지의 생장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에 돼지 폐사율을 감축시켜 농가의 소득증대도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 내에 열감지 카메라를 포함한 각종 감지장치를 설치하여, 냉난방 온도에 따라 반응하는 돼지의 상태 변화를 확인하고, 돼지의 생장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기 때문에, 축적된 장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돼지의 생장을 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유시간이 시작되면 수유를 위해 자돈이 모돈우리로 이동하게 하고 수유시간이 경과하면 자돈이 자돈우리로 이동하도록 유도한 후 모돈과 자돈이 거주하는 공간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모돈에 의해 자돈이 압사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모돈과 자돈이 좁은 공간에서 함께 있을 때 받는 스트레스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냉난방공급패널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에서 수유시간 시작과 수유시간 경과후의 상태도
도 7는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제3패널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모니터링화면 상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제2사육정보제어창 사용 예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에는 돼지 사육을 위해 축사에 공급되는 냉난방은 직접전달방식인 중앙공급형 대류냉난방 방식을 적용하였으나 상기 방식은 사육되는 돼지 중 모돈이나 자돈 중 어느 하나에 맞추어져 있어 나머지 하나의 돼지(자돈이나 모돈 중 하나)에게는 생장환경이 적절치 않기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가 크기 때문에 돼지 폐사율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개별적인 복사냉난방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모돈이나 자돈에 맞는 생장환경이 구축되어 모돈이든 자돈이든 받는 스트레스가 적게 되어 돼지 폐사율을 감축시키고 MSY(최대유지생산 : Maximum Sustainable Yield)도 향상시키는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냉난방공급패널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관리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이하 시스템)은 돼지우리부(100), 냉난방공급패널부(200), 감지장치부(300), 관리제어부(400), 환기장치(500), 가습장치(600), 조명장치(700), 모니터링화면(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움직임감지센서(900)와, 자돈유장치(1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에는 중앙공급식에 의해 돼지우리의 모돈과 자돈에 동일한 온도를 공급했는데, 어미인 모돈에 비해 새끼인 자돈은 주변 환경에 신속하게 적응하지 못하고 온도변화에도 민감하여, 돼지우리에 중앙 공급식으로 공급되는 난방과 냉방에 의한 온도 변화에 스트레스를 받아 쉽게 폐사하거나 자돈이 모돈에 깔려 압사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상기 문제로부터 자돈을 보호하기 위해, 돼지우리부(100)를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모돈우리(110)에는 모돈(20)이 거주하고 자돈우리(120)에는 자돈(30)이 거주하게 구분하여 생장시킨다.
도 1과 3을 참조하면, 상기 냉난방공급패널부(200)는 복수의 제1패널부(210)과 제2패널부(220), 제3패널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는 각각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에 알맞은 냉난방 온도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와 사이 공간에 제3패널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제3패널부(230)는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를 구분 구획하도록 물리적으로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 사이 공간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1패널부(210)과 제2패널부(220)은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에 개별적으로 냉난방을 공급하게 되며, 모돈(20)이나 자돈(30)의 생장 특정에 적합한 온도 환경을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에 개별적으로 조성할 수 있어 자돈(30)의 폐사율을 줄이고 돼지의 생장을 촉진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에는 중앙의 냉풍기나 온풍기를 통한 중앙공급식의 대류 방식으로 온도제어를 하였으나, 본 발명은 복사 냉난방(radiant cooling and heating) 방식인 상기 제1패널부(210)과 제2패널부(220)로 인해 중앙공급식의 대류 방식에 의한 온풍이나 냉풍에 의한 불쾌감도 거의 없어 돼지가 받게 되는 스트레스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난방공급패널부(200)의 제1패널부(210), 제2패널부(220)는,
관리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모돈우리(110) 또는 자돈우리(120)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높이거나 내리기 위한 온수나 냉수를 공급관(202)에 공급하는 냉온수생성부(201)와,
냉난방을 위해 상기 냉온수생성부(201)를 통해 공급된 온수 또는 냉수가 채워지는 관로인 공급관(202)과,
상기 공급관(202)과 함께 패널의 내부공간을 충진하는 패널내장재(203)와,
상기 공급관(202)과 패널내장재(203)가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패널외판(204)을 포함하고,
상기 냉온수생성부(201)는 가열이나 냉각에 의해 냉수나 온수로 사용될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탱크(2011)와 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관리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가열냉각수단(2012)과 가열되거나 냉각된 물을 공급관(202)에 공급하는 물공급수단(20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온수생성부(201)는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높이거나 내리기 위한 온수나 냉수를 생성하는 일종의 보일러이며, 제어밸브(2014)를 통해 입수와 출수가 제어된다.
이때, 상기 제어밸브(2014)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자식 밸브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관(202)은 냉난방을 위해 상기 냉온수공급부(201)를 통해 공급된 온수 또는 냉수가 채워지는 관로로 일종의 배관이며, 공급관(202)은 패널에서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온도를 전달하기 위해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패널내장재(203)는 공급관(202)이 배치된 패널 내부 공간의 나머지 부분을 충진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공급관(202)을 보호하고 온도전달을 촉진하기 위한 내장재로서 재질은 온도전달 성질이 높은 재질이면 본 발명에서는 충분하다.
상기 패널외판(204)은 공급관(202)과 패널내장재(203)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에서 수유시간과 수유시간 경과후의 상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제3패널 작동 상태도이다.
도 6과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패널부(230)는,
수유시간 여부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 공간을 구분 구획하는 제3패널(231)과,
관리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3패널(231)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232)를 포함하고,
이 경우 관리제어부(400)는,
수유시간이 되면 자돈우리(120)에 거주하는 자돈이 수유를 위해 모돈우리(110)로 이동하도록 제3패널(231)을 자돈이 통과할 정도의 높이로 상승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232)의 제어를 수행하고, 수유시간이 경과되어 자돈우리(120)로 돌아간 자돈이 다시 모돈우리(110)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3패널(231)을 하강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232)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과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패널부(230)는 제1패널부(210)과 제2패널부(220)와 달리 냉난방 온도를 공급하는 기능이 없는 대신에 물리적으로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를 구분 구획하며, 제3패널(231)과 슬라이딩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패널(231)은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공간을 물리적으로 구분 구획하는 차단체이며, 수유시간의 여부에 따라 슬라이딩부(232)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일종의 관문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232)는 구동장치가 발생하는 동력과 동력전달기구의 동력 전달에 의해, 슬라이딩 가이드에 삽입된 제3패널(231)을 기계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운동기구장치로서, 도 7을 참조한다.
도 6의 상단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수유시간이 되면 자돈우리(120)에 거주하는 자돈이 수유를 위해 모돈우리(110)로 이동할 수 있게, 제3패널(231)을 자돈이 통과할 정도의 높이로 상승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232)의 제어를 수행한다.
도 6의 하단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설정된 수유시간이 경과되어 자돈우리(120)로 돌아간 자돈이 다시 모돈우리(110)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3패널(231)을 하강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232)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렇게 상기 제3패널(231)의 상승과 하강을 통해 수유시간 이외에 자돈(30)들을 모돈우리(110)에 거주하는 모돈(20)과 분리시키는 이유는, 그 동안 돼지농가에서 모돈(20)에 의해 자돈(30)이 압사당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했고, 모돈(20) 주변에 자돈(30)들이 너무 몰려있으면 서로 받게 되는 스트레스가 커져 폐사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유시간 여부에 따라 상기 제3패널(231)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를 구분하여 모돈(20)과 자돈(30)들을 격리해서 사육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은 제3패널(231)의 상승과 하강을 안전하게 제어하여 자돈(30)들이 다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움직임감지센서(900)와 자돈유도장치(10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와 3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장치부(300)는 돼지우리부(100) 내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 모습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돼지우리부(100) 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같은 모돈과 자돈의 생장환경 조건을 감지하여 생장환경정보를 생성하고, 모돈과 자돈의 체온을 감지하여 모돈과 자돈의 체온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온도 감지센서부(310), 습도 감지센서부(320), 이산화탄소 감지센서부(330), 카메라(340), 열화상 감지카메라(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온도 감지센서부(310)는 모돈우리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 감지센서(311)와 자돈우리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 감지센서(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 감지센서(311)는 모돈우리(110)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모돈우리(110) 내의 온도 제어를 하기 위한 관리제어부(400)의 기초 자료인 모돈우리(110)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구성이고, 상기 제2온도 감지센서(312)는 자돈우리(120)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자돈우리(120) 내의 온도 제어를 하기 위한 관리제어부(400)의 기초 자료인 자돈우리(120)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센서부(310)는 축사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제3온도 감지센서(3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온도 감지센서(313)를 통해 축사 외부 온도를 감지하여 돼지우리부(100)의 내부 온도 조절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습도 감지센서부(320)는 모돈우리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1습도 감지센서(321)와 자돈우리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습도 감지센서(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습도 감지센서(321)는 모돈우리(110) 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모돈우리(110) 내의 습도 제어를 하기 위한 관리제어부(400)의 기초 자료인 모돈우리(110)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구성이고, 상기 제2습도 감지센서(322)는 자돈우리(120) 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자돈우리(120) 내의 습도 제어를 하기 위한 관리제어부(400)의 기초 자료인 자돈우리(120)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습도 감지센서부(320)를 통해 감지되는 습도 상태에 따라 관리제어부(400)를 통해 환기장치(500) 또는 가습장치(600)를 제어할 수 있게 하여 모돈과 자돈의 생장에 적합한 습도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센서부(330)는 모돈우리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제1이산화탄소 감지센서(331)와 자돈우리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제2이산화탄소 감지센서(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산화탄소 감지센서(331)는 모돈우리(110)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모돈우리(110)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제어를 하기 위한 관리제어부(400)의 기초 자료인 모돈우리(110)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구성이고, 상기 제2이산화탄소 감지센서(332)는 자돈우리(120)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자돈우리(120)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제어를 하기 위한 관리제어부(400)의 기초 자료인 자돈우리(120)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센서부(330)를 통해 감지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상태에 따라 관리제어부(400)를 통해 환기장치(500)를 제어할 수 있게 하여 모돈과 자돈의 생장에 적합한 이산화탄소 농도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 카메라(340)는 돼지우리부(100)에 거주하는 모돈과 자돈의 상태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제어부(40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가 적용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돼지우리부(100)에 구분되어 거주하는 모돈과 자돈의 생장조건인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돼지의 생장 모습을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화상 감지카메라(350)는 돼지우리부(100)에 거주하는 모돈과 자돈의 체온을 감지하는 카메라 장치로서, 관리자는 돼지의 실제 모습뿐만 아니라 열화상 감지카메라(350)를 통해 제공받는 열감지 정보를 바탕으로 모돈이나 자돈의 체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제공받는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 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영상정보, 모돈이나 자돈의 체온 정보를 이용해 관리제어부(400)를 통해 냉난방공급패널부(200)를 통한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 내의 온도 제어, 환기장치(500), 가습장치(600), 조명장치(700)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저장되어 있는 생장 시기별 돼지의 생장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감지장치부(300)에서 생성한 생장환경정보와 모돈이나 자돈의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냉난방공급패널부(200)를 통해 돼지우리부(100)의 냉난방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구성수단이다.
또한,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수유시간이 되면 제3패널(231)을 상승시키는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고, 설정된 수유시간이 경과되면 제3패널(231)을 하강시키는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며, 이때, 수유시간의 시작과 종료는 상기 관리제어부(400)에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상기 감지장치부(300)에서 생성한 생장환경정보와 모돈이나 자돈의 체온정보를 기초 자료로 하고 저장되어 있는 생장 시기별 돼지의 생장조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패널부(210)과 제2패널부(220)을 통해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냉난방을 각각 모돈과 자돈의 생장조건정보에 맞게 제어하며, 이를 위해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상기 감지장치부(300)에서 전송한 영상정보, 생장환경정보, 체온정보를 저장하고, 돼지의 생장 시기별 생장조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410)과,
상기 감지장치부(300)에서 전송한 생장환경정보와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현재 생장환경을 파악하고, 파악 결과 저장수단(410)에 저장되어 있는 생장 시기별 돼지의 생장조건정보와 맞지 않는 경우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현재 생장환경이 생장조건정보에 적합하도록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냉난방 온도를 실시간으로 개별 제어하기 위해 냉난방공급패널부(200)의 제1패널부(210), 제2패널부(220)을 각각 제어하는 패널온도제어수단(420)과,
관리자가 축사 내부의 돼지 상태를 확인하고, 생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정보, 생장환경정보, 체온정보, 패널온도제어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하는 통신수단(430)과,
관리자가 축사 내부의 돼지의 상태를 확인하고, 생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정보, 생장환경정보, 체온정보, 패널온도제어정보를 모니터링 화면에 제공하는 모니터링부(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수단(410)은 감지장치부(300)에서 전송한 영상정보, 생장환경정보, 체온정보를 저장하기도 하지만 자돈과 모돈의 생장에 관한 정보인 돼지의 생장 시기별 생장조건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장치이다.
특히, 상기 저장수단(410)은 감지장치부(300)에서 전송한 영상정보, 생장환경정보, 체온정보를 주기적(년, 계절, 월, 일, 시간)으로 저장하여 돼지 생장 빅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저장수단(410)은 서버용의 대용량 저장장치(data storage)를 적용해야 하며, 이렇게 저장되는 생장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돼지 생장조건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것이다.
상기 저장수단(410)에 저장된 생장조건정보는 모돈과 자돈의 품종별(예:요크셔, 랜드레이스, 토종돼지 등), 모돈의 상태별(임신중, 출산 후 수유중, 정상), 자돈의 월령별로 생장에 필요한 온도, 습도, 조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감지장치부(300)에서 생성한 모돈우리(110)나 자돈우리(120) 내부의 현재 환경정보인 생장환경정보를 감지하여 현재 상태를 파악한 후, 상기 생장환경정보가 저장수단(410)에 저장된 생장조건정보과 맞지 않는 경우 모돈우리(110)나 자돈우리(120) 내부의 현재 환경을 생장조건정보에 맞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패널온도제어수단(420)은 상기 감지장치부(300)에서 전송한 생장환경정보와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현재 생장환경을 파악하고, 파악 결과 저장수단(410)에 저장되어 있는 생장 시기별 돼지의 생장조건정보와 맞지 않는 경우 상기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현재 생장환경이 생장조건정보에 적합하도록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냉난방 온도를 실시간으로 개별 제어하기 위해 냉난방공급패널부(200)의 제1패널부(210), 제2패널부(220)를 각각 제어한다.
즉, 상기 패널온도제어수단(420)은 모돈과 자돈의 품종별, 모돈의 상태별(임신중, 수유중, 정상), 자돈의 월령별로 생장에 필요한 온도로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냉난방을 실시간으로 개별 제어한다.
돼지는 생장에 있어서 온도에 민감한데, 특히 자돈은 생장 월령별로 적합지 않은 온도에 노출되는 경우 폐사율이 높아진다.
종래에는 모돈우리와 자돈우리를 구분하지 않고 중앙공급방식으로 축사 내부 온도를 제어하였고, 특히 모돈에 맞추어 실내 온도를 제어하였기 때문에 자돈의 생장이 효과적이지 않고 심한 경우 폐사에까지 이르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돼지우리를 모돈우리와 자돈우리로 구분하고 모돈우리 공간과 자돈우리 공간의 온도를 각각 모돈과 자돈이 생장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개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온도도 모돈과 자돈의 품종별, 모돈의 상태별(임신중, 수유중, 정상), 자돈의 월령별로 구분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돼지 생장율은 더욱 높이고 폐사율은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통신수단(430)은 관리자가 축사 내부의 돼지 상태를 확인하고, 생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정보, 생장환경정보, 체온정보, 패널온도제어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하는 통신장치이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40)는 PC 또는 스마트 기기가 될 수 있으며, 웹 기반에 의한 축사 관리 웹 사이트(web site)를 이용하여 관리자가 수시로 돼지의 생육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440)는 관리자가 축사 내부의 돼지의 상태를 확인하고, 생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정보, 생장환경정보, 체온정보, 패널온도제어정보를 모니터링 화면에 제공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440)에 구현되는 모니터링 화면은 모니터링화면(800)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과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은 환기장치(500), 가습장치(600), 조명장치(7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500)는 돼지우리부(10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구성수단으로, 환기장치(500)는 감지장치부(300)가 생성한 생장환경정보속의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에 따라 관리제어부(400)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상기 가습장치(600)는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에 각각 설치되어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제1가습장치(610), 제2가습장치(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가습장치(610)는 모돈우리(110), 제2가습장치(620)는 자돈우리(120)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습장치(600)는 상기 생장환경정보속의 습도 정보와 모돈이나 자돈의 체온정보에 따른 관리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습도를 제어한다.
상기 조명장치(700)는 돼지우리부(100)의 내부에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명장치로서, 모돈우리(110)에는 제1조명장치(710), 자돈우리(120)에 제2조명장치(720)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조명장치(700)에 적용되는 조명장치는 여러 종류의 조명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LED 램프, 할로겐 램프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저장수단(410)에 저장된 모돈과 자돈의 품종별, 모돈의 상태별(임신중, 수유중), 자돈의 월령별 생장에 필요한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 조명장치(700)를 통해 모돈과 자돈의 생장조건에 맞게 조도를 제어한다.
다시 도 5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은 움직임감지센서(900)와 자돈유도장치(1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움직임감지센서(900)는 수유를 마친 모돈우리(110)에 잔류중인 자돈(30)의 유무를 감지하고 모돈(20)을 제외한 잔류중인 자돈(30)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관리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움직임감지센서(900)가 모돈우리(110)에 잔류중인 자돈(30)의 유무 감지는 모돈우리(110) 내의 움직임 객체가 1개인지 아니면 2개 이상인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돈우리(110)에서 자돈우리(120)로 이동할 수 있는 객체는 자돈뿐이다. 왜냐하면 제3패널(231)은 자돈이 통과할 정도의 높이로 상승하기 때문에 제3패널(231)이 상승한 상태에서 자돈우리로 이동할 수 있는 객체는 자돈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돈우리(110) 내에서 움직임 객체가 2개 이상이면 자돈이 모돈우리(110)에 존재한다는 것이고, 움직임 객체가 1개뿐이면 그 움직임 객체는 모돈이고 자돈은 모두 자돈우리로 이동한 것이기 때문에 이 경우 움직임감지센서(900)는 감지신호를 관리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움직임감지센서(9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관리제어부(400)는 슬라이딩부를 제어하여 제3패널(231)을 초기 위치로 하강시키는 것이다.
상기 자돈유도장치(1000)는 모돈우리(110)에 잔류중인 자돈이 자돈우리(12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자돈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소리 또는 음악을 발생시키는 구성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수유시간이 되면 제3패널(231)을 자돈이 통과할 정도의 높이로 상승하도록 슬라이딩부(232)의 제어를 수행하여 자돈(30)들이 수유할 수 있도록 모돈우리(110)로 이동하게 한다.
다음에, 설정된 수유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바로 제3패널(231)을 하강시키는 것이 아니고, 자돈유도장치(1000)를 작동시켜 모돈우리(110)에 잔류중인 자돈(30)들이 자돈우리(120)로 이동하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그 다음에,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움직임감지센서(900)를 통해 잔류중인 자돈(30)이 없다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슬라이딩부(232)를 제어하여 제3패널(231)을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움직임감지센서(900)를 통해 잔류중인 자돈(30)이 확인되면 자돈유도장치(100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켜 잔류중인 자돈(30)이 자돈우리(120)로 이동하게 하는데, 만약 자돈(30)이 모돈우리(110)에 계속 잔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모니터링부(440)의 모니터링화면(800)에 알람신호를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움직임감지센서(900)와 자돈유도장치(1000)를 이용하여, 수유를 마친 자돈(30)들이 모두 자돈우리로 이동한 후 제3패널(231)을 하강시켜 모돈과 자돈을 분리시켜 안전하게 관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자돈유도장치(1000)에서 재생되는 소리 또는 음악은 관리제어부(400)에서 설정하는데, 예를 들면, 아침, 점심, 저녁별로 다양하게 설정 하거나, 요일별, 계절별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고, 수유시간 이 외에도 동물들이 좋아할만한 소리 또는 음악을 재생하여 돼지축사에서 사육중인 모돈(20)과 자돈(30)들의 스트레스를 감소하여 폐사율을 감소시키는데 일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모니터링화면 예시 상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의 제2사육정보제어창 사용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관리제어부(400)를 통해 돼지의 생장조건정보를 이용하여 각 구성이 자동으로 각 조건에 맞게 작동하도록 하여 돼지의 생장을 관리한다.
본 발명의 관리제어부(400)의 모니터링부(440)는 감지장치부(300)에서 전송하는 정보(생장환경정보, 체온정보 등)를 모니터링화면(800)을 통해 모돈과 자돈으로 구분되어 거주하는 돼지의 생장환경정보와 돼지의 체온정보와 생장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모니터링화면(800)을 통해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화면(800)은 모니터링부(440)를 통해 구현되는 화면으로, 주화면(810), 보조화면(820), 날짜정보창(830), 제1사육정보창(840), 제2사육정보창(8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화면(810)은 모니터링화면(800)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보조화면(820) 중 관리자가 선택한 보조화면(820)을 확대해서 표시하면서 열화상 감지카메라(350)를 통해 전달되는 돼지의 체온상태도 함께 표시한다.
상기 보조화면(820)은 썸네일 형식의 작은 화면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돼지우리부(100)에 설치된 카메라(340)가 전송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상기 날짜정보창(830)은 현재 날짜, 계절,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창이다.
상기 제1사육정보창(840)은 주화면(810)에 표시되는 돼지우리에서 사육되는 돼지의 품종 정보, 모돈과 자돈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정보창이다.
상기 제2사육정보창(850)은 관리자가 선택하여 주화면(810)에서 표시되고 있는 돼지우리부(100)의 환경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환경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창이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보조화면(820)상의 6번 돼지우리를 선택하면 해당 우리에 설치된 카메라(340)가 전송한 영상정보가 주화면(810)에 표시되고, 제1사육정보창(840)에는 6번 돼지우리에서 사육되는 돼지의 품종 정보, 모돈과 자돈의 상태정보가 표시되고, 제2사육정보창(850)에는 6번 우리의 환경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온도(예: 6번 우리의 모돈 우리 온도)를 선택하면 도 9의 하단 그림과 같이 상하 화살표가 생성된다. 관리자는 상하 화살표 중 1개를 선택해서 제1온도(예: 6번 우리의 모돈 우리 온도)의 온도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은 냉난방공급패널부(2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돼지우리의 습도와 이산화탄소 농도 등도 환기장치(500), 가습장치(600)를 통해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시스템
20 : 모돈
30 : 자돈
40 : 관리자 단말기
100 : 돼지우리부
200 : 냉난방공급패널부
300 : 감지장치부
400 : 관리제어부
500 : 환기장치
600 : 가습장치
700 : 조명장치
800 : 모니터링화면
900 : 움직임감지센서
1000 : 자돈유도장치

Claims (9)

  1.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축사에서 사육하는 돼지를 모돈과 자돈으로 각각 구분하여 생장시키기 위한 공간으로서, 모돈이 거주하는 모돈우리(110)와 자돈이 거주하는 자돈우리(120)를 포함하는 돼지우리부(100)와;
    상기 돼지우리부(100)의 냉난방을 위해 복사냉난방 방식으로 모돈우리(110)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제1패널부(210)와, 자돈우리(120)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제2패널부(220)와,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를 구분 구획하는 제3패널부(230)를 포함하는 냉난방공급패널부(200)와;
    상기 돼지우리부(100) 내의 모돈과 자돈의 생장 모습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돼지우리부(100) 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와 같은 모돈과 자돈의 생장환경 조건을 감지하여 생장환경정보를 생성하고, 모돈과 자돈의 체온을 감지하여 모돈과 자돈의 체온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장치부(300)와;
    저장되어 있는 생장 시기별 돼지의 생장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감지장치부(300)에서 생성한 영상정보와 생장환경정보와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냉난방공급패널부(200)를 통해 돼지우리부(100)의 냉난방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관리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상기 제1패널부(210)과 제2패널부(220)을 이용하여,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냉난방을 각각 모돈과 자돈의 생장조건정보에 따라 구분되게 제어하고, 수유시간 여부에 따라 제3패널부(230)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돼지우리부(10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장치(500)와;
    돼지우리부(100)의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습장치(600)와;
    돼지우리부(100)의 내부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명장치(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장치(600)와 조명장치(700)는 상기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모돈과 자돈의 품종별, 모돈의 상태별(임신중, 수유중), 자돈의 월령별 생장에 필요한 온도, 습도, 조도에 관한 정보인 돼지의 생장 시기별 생장조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4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상기 생장환경정보속의 이산화탄소 농도 정보에 따라 환기장치(500)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상기 생장환경정보속의 습도 정보와 모돈이나 자돈의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 가습장치(600)를 통해 모돈과 자돈의 생장조건에 맞게 습도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저장수단(410)에 저장된 모돈과 자돈의 품종별, 모돈의 상태별(임신중, 수유중), 자돈의 월령별 생장에 필요한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 조명장치(700)를 통해 모돈과 자돈의 생장조건에 맞게 조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공급패널부(200)를 구성하는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은,
    상기 관리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모돈우리(110) 또는 자돈우리(120)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높이거나 내리기 위한 온수나 냉수를 공급관(202)에 공급하는 냉온수생성부(201)와,
    냉난방을 위해 상기 냉온수생성부(201)를 통해 공급된 온수 또는 냉수가 채워지는 관로인 공급관(202)과,
    상기 공급관(202)과 함께 패널의 내부공간을 충진하는 패널내장재(203)와,
    상기 공급관(202)과 패널내장재(203가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패널외판(204)을 포함하고,
    상기 냉온수생성부(201)는 가열이나 냉각에 의해 냉수나 온수로 사용될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탱크(2011)와 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관리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가열냉각수단(2012)과 가열되거나 냉각된 물을 공급관(202)에 공급하는 물공급수단(20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부(300)는,
    상기 모돈우리(110)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 감지센서(311)와, 자돈우리(120)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 감지센서(312)를 포함하는 온도 감지센서부(310)와,
    상기 모돈우리(110)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1습도 감지센서(321)와, 자돈우리(120)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습도 감지센서(322)를 포함하는 습도 감지센서부(320)와,
    상기 모돈우리(110)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제1이산화탄소 감지센서(331)와, 자돈우리(120)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제2이산화탄소 감지센서(332)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부(330)와,
    돼지우리부(100)에 거주하는 모돈과 자돈의 상태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340)와,
    돼지우리부(100)에 거주하는 모돈과 자돈의 체온을 감지하는 열화상 감지카메라(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상기 감지장치부(300)에서 전송한 영상정보, 생장환경정보, 체온정보를 저장하고, 돼지의 생장 시기별 생장조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410)과,
    상기 감지장치부(300)에서 전송한 생장환경정보와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현재 생장환경을 파악하고, 파악 결과 저장수단(410)에 저장되어 있는 생장 시기별 돼지의 생장조건정보와 맞지 않는 경우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현재 생장환경이 생장조건정보에 적합하도록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냉난방 온도를 실시간으로 개별 제어하기 위해 냉난방공급패널부(200)의 제1패널부(210), 제2패널부(220)을 각각 제어하는 패널온도제어수단(420)과,
    관리자가 축사 내부의 돼지 상태를 확인하고, 생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정보, 생장환경정보, 체온정보, 패널온도제어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하는 통신수단(430)과,
    관리자가 돼지우리 내부의 돼지의 생육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하고, 생장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정보, 생장환경정보, 체온정보, 패널온도제어정보를 모니터링화면(800)에 제공하는 모니터링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410)에 저장된 생장조건정보는,
    모돈과 자돈의 품종별, 모돈의 상태별, 자돈의 월령별 생장에 필요한 온도, 습도, 조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온도제어수단(420)은,
    상기 생장조건정보를 이용하여 모돈과 자돈의 품종별, 모돈의 상태별(임신중, 수유중), 자돈의 월령별 생장에 필요한 온도로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의 냉난방을 실시간으로 개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패널부(230)는,
    수유시간 여부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모돈우리(110)와 자돈우리(120) 공간을 구분 구획하는 제3패널(231)과,
    관리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3패널(231)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232)를 포함하고,
    이 경우 관리제어부(400)는,
    수유시간이 되면 자돈우리(120)에 거주하는 자돈이 수유를 위해 모돈우리(1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패널(231)을 자돈만이 통과할 정도의 높이로 상승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232)의 제어를 수행하고, 수유시간이 경과되어 자돈우리(120)로 돌아간 자돈이 다시 모돈우리(110)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3패널(231)을 하강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232)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모돈우리(110)에 잔류중인 자돈의 유무를 감지하고 자돈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관리제어부(400)로 전송하는 움직임감지센서(900);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움직임감지센서(9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3패널(231)이 하강하도록 슬라이딩부(23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모돈우리(110)에 잔류중인 자돈이 자돈우리(12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자돈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소리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자돈유도장치(1000);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관리제어부(400)는,
    설정된 수유시간이 경과하면 자돈유도장치(10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시스템.
KR1020180138337A 2018-11-12 2018-11-12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 KR102263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37A KR102263100B1 (ko) 2018-11-12 2018-11-12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37A KR102263100B1 (ko) 2018-11-12 2018-11-12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707A true KR20200054707A (ko) 2020-05-20
KR102263100B1 KR102263100B1 (ko) 2021-06-09

Family

ID=7091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337A KR102263100B1 (ko) 2018-11-12 2018-11-12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1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528B1 (ko) * 2020-10-19 2021-07-28 농업회사법인 효진팜 주식회사 축사관리스템 구축방법
CN113842122A (zh) * 2021-09-24 2021-12-28 西南大学 一种哺乳母猪生理参数智能采集系统
CN115191361A (zh) * 2022-07-26 2022-10-18 安徽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大约克母猪产床
KR102596845B1 (ko) * 2023-04-28 2023-11-01 주식회사 인벤션랩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8483A (ko) 2022-04-18 2023-10-2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새끼 염소를 위한 보온 상자
KR20230148492A (ko) 2022-04-18 2023-10-2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송아지를 위한 보온 상자
KR20230148496A (ko) 2022-04-18 2023-10-2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포유 자돈의 보온틀
KR20230158250A (ko) 2022-05-11 2023-11-2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송아지를 위한 보온수단 설치 장치
KR20230170333A (ko) 2022-06-10 2023-12-1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이유 자돈을 위한 보온수단 설치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510Y1 (ko) 2003-06-19 2003-09-03 주식회사 우주테크 이유 자돈사
KR20060086648A (ko) * 2005-01-27 2006-08-01 전길상 포유모돈과 자돈이 분리기거 가능한 친환경 돈사
KR100764833B1 (ko) 2007-04-25 2007-10-09 (주)소하테크 축사 환기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컨테이너형 축사
KR20090056221A (ko) 2007-11-30 2009-06-0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축사 환기와 연계된 지열 냉난방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20106100A (ko) * 2011-03-17 2012-09-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돈사 급이기용 몰이기구
KR101895770B1 (ko) * 2017-12-28 2018-09-07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510Y1 (ko) 2003-06-19 2003-09-03 주식회사 우주테크 이유 자돈사
KR20060086648A (ko) * 2005-01-27 2006-08-01 전길상 포유모돈과 자돈이 분리기거 가능한 친환경 돈사
KR100764833B1 (ko) 2007-04-25 2007-10-09 (주)소하테크 축사 환기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컨테이너형 축사
KR20090056221A (ko) 2007-11-30 2009-06-0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축사 환기와 연계된 지열 냉난방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20106100A (ko) * 2011-03-17 2012-09-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돈사 급이기용 몰이기구
KR101895770B1 (ko) * 2017-12-28 2018-09-07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528B1 (ko) * 2020-10-19 2021-07-28 농업회사법인 효진팜 주식회사 축사관리스템 구축방법
CN113842122A (zh) * 2021-09-24 2021-12-28 西南大学 一种哺乳母猪生理参数智能采集系统
CN113842122B (zh) * 2021-09-24 2024-02-23 西南大学 一种哺乳母猪生理参数智能采集系统
CN115191361A (zh) * 2022-07-26 2022-10-18 安徽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大约克母猪产床
KR102596845B1 (ko) * 2023-04-28 2023-11-01 주식회사 인벤션랩 젖소의 산원유 생산효율 증대를 위한 축사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100B1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100B1 (ko)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 관리 시스템
KR101895770B1 (ko)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KR101856845B1 (ko) 곤충 사육장치와 그 사육장치의 사육관리시스템 및 그 사육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1931270B1 (ko) 영상 분석을 이용한 자돈 사육 시스템
KR101981570B1 (ko) 돼지의 생장조건정보에 관한 빅 데이터 생성 및 구축 시스템
US20120125264A1 (en) Intelligent Climate Control in Domestic Animal Stables
CN104855304B (zh) 一种早期箱体育雏装置和育雏方法
Lacy Broiler management
CN205040427U (zh) 一种适于蛋鸡雏鸡的多功能脱温鸡舍
Ramirez et al. Impact of housing environment and management on pre-/post-weaning piglet productivity
KR20200055839A (ko) 돼지의 생장조건정보에 관한 빅 데이터 생성 및 구축 시스템
KR200454695Y1 (ko) 사육장 환기 시스템
KR20190063271A (ko) 양계장 관리 시스템
US20230116693A1 (en) A control device, a lighting system, and a method
JP2008022759A (ja) 給餌装置、給餌方法
CN112578833A (zh) 基于物联网技术的猪舍环境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2035671B1 (ko) 사양장치 정보를 활용한 이유자돈사 환경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CN203788867U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智能养猪系统
CN112544563A (zh) 一种用于饲养热带动物的饲养箱
TWM518873U (zh) 智慧寵物箱
Reed et al. Understanding the Basics of Rabbit Care
CN116257102B (zh) 基于数字孪生猪场远程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3583402B (zh) 鹌鹑育雏室温度调节系统
Da Silva et al. Energy balance in the poultry-shed system and its influence on broiler performance
EA021397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огрева новорожденных животн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