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789B1 - 관리 서버 및 관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관리 서버 및 관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789B1
KR102480789B1 KR1020227005835A KR20227005835A KR102480789B1 KR 102480789 B1 KR102480789 B1 KR 102480789B1 KR 1020227005835 A KR1020227005835 A KR 1020227005835A KR 20227005835 A KR20227005835 A KR 20227005835A KR 102480789 B1 KR102480789 B1 KR 10248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 introduction
reward
video
r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633A (ko
Inventor
야스유키 이토
Original Assignee
옴니비젼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35380 external-priority patent/WO2021048903A1/ja
Application filed by 옴니비젼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옴니비젼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3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3Comparative campaig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컨텐츠의 제공자에게 보수를 적절히 부여하고, 컨텐츠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하고, 그 과제 해결의 수단으로서, 상품 소개 동영상의 작성에 관해 준수할 필요가 있는 소정의 상품 소개 룰을 상품마다 등록하고, 제공자로부터의 상품 소개 동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상품 소개 동영상이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 상품 소개 동영상을 대응하는 상품과 관련지어 등록하고, 상품의 판매가 성립한 경우에, 해당 상품에 관련지어 등록된 복수의 상품 소개 동영상 중 상품의 구입자에게 시청된 상품 소개 동영상 중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의 특정 룰에 따라 해당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1 또는 2 이상의 상품 소개 동영상을 특정하고, 특정된 상품 소개 동영상을 제공한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미리 정해진 소정의 보수 결정 룰에 따라 결정하고, 결정된 보수를 나타내는 보수 정보를 보존하는 처리를 실행 가능한 관리 서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리 서버 및 관리 프로그램
본 발명은,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결정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및 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품 판매자는,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 판매를 위한 광고를 웹사이트에 게재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상품을 소개하는 컨텐츠가 게재된 웹사이트에 배너 광고를 게재하고, 상품 판매자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고객을 유도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1-117847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고객이 배너 광고 경유로 상품 판매자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액세스했는지 여부만을 판단 기준으로 하여, 배너 광고를 게재한 웹사이트의 운영자에게 보수를 부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해당 웹사이트에 게재된 컨텐츠가 상품 판매에 공헌했는지에 대해서는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컨텐츠의 제공자에게 보수를 적절히 부여하는 관리 서버 및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수를 적절히 부여할 수 있으므로, 상품을 소개하는 컨텐츠의 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관리 서버 및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는,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1 또는 2 이상의 상품 소개 컨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품 소개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결정하는 보수 결정 수단; 및 상기 보수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수를 나타내는 보수 정보를 보존하는 보수 정보 보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컨텐츠의 제공자에게 보수를 적절히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절한 보수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상품 소개 컨텐츠의 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는, 상기 특정 수단이, 상품을 구입한 구입자가 상기 상품의 구입 전에 열람한 상품 소개 컨텐츠 중에서, 미리 정해진 특정 룰에 따라,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기 상품 소개 컨텐츠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상기의 구성을 채용하면,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컨텐츠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는, 상기 보수 결정 수단이, 복수의 상기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결정할 때는, 미리 정해진 보수 결정 룰에 따라, 각 제공자의 보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상기의 구성을 채용하면, 상품 소개 컨텐츠의 공헌 정도에 따라 부여하는 보수를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제공자로부터의 더욱 질이 높은 상품 소개 컨텐츠의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 소개 컨텐츠가, 상품 소개 동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상기의 구성을 채용하면, 더욱 고안된 상품의 소개가 이루어지게 되고, 제공자로부터의 더욱 질이 높은 상품 소개 컨텐츠의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프로그램은,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1 또는 2 이상의 상품 소개 컨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기능; 상기 특정 기능에 의해 특정된 상품 소개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결정하는 보수 결정 기능; 및 상기 보수 결정 기능에 의해 결정된 보수를 나타내는 보수 정보를 보존하는 보수 정보 보존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컨텐츠의 제공자에게 보수를 적절히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절한 보수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상품 소개 컨텐츠의 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컨텐츠의 제공자에게 보수를 적절히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절한 보수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상품 소개 컨텐츠의 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서비스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상품 판매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1)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관리 서버(1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설정·관리부(120)에 의해 상품 판매 서비스에 등록된 상품 판매자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설정·관리부(120)에 의해 상품 판매 서비스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설정·관리부(120)에 의해 상품 판매 서비스에 등록된 인스트럭터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설정·관리부(120)에 의해 상품 판매 서비스에 등록되어 상품에 관련지어진 상품 소개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설정·관리부(120)에 의해 상품 판매 서비스에 등록된 고객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상품 판매 처리부(140)에 의한 상품 판매 서비스에 있어서의 상품 소개 컨텐츠의 열람 이력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상품 판매 처리부(140)에 의한 인센티브의 결정 결과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상품 판매 처리부(140)에 의한 상품 판매 서비스 사이트의 화면 표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에 의한 인센티브의 결정까지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1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서비스는,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컨텐츠를 특정하고, 해당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결정할 수 있는 점이 큰 특징이다. 이하에 있어서, 상품 판매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상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전기 제품이나 자전거, 스포츠 용품 등의 물건에 한정되지 않고, 보험이나 여행의 신청 등의 서비스, 디지털 컨텐츠, 관전 티켓 등을 포함하여 상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서비스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서비스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품 판매 서비스에서는,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자와, 상품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을 소개하는 인스트럭터와, 상품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을 구입하는 고객이 적어도 등장한다. 여기서의 인스트럭터는, 상품 소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자의 일 예이다.
본 예에서는, 관리 서버(10)가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품을 판매하는 기능은, 관리 서버(10) 이외의 다른 장치가 제공해도 좋다. 관리 서버(10)는,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해 액세스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품 판매자의 단말(30)과, 인스트럭터의 단말(40)과, 고객의 단말(50)에 액세스할 수 있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10)는, 상품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을 소개하는 컨텐츠(이하, 상품 소개 컨텐츠라고 한다)로부터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컨텐츠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품 소개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결정하고, 결정한 인센티브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존한다.
여기서의 인센티브는,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동영상을 제공한 인스트럭터에 대해 지불되는 금전을 말하고, 보수의 일 예이다. 한편, 상품 소개 컨텐츠는, 상품 소개 동영상을 포함해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품 판매자의 단말(30a), 인스트럭터의 단말(40a), 및 고객의 단말(50a)은, 각각 관리 서버(10)와 정보의 송수신을 한다. 여기서, 상품 판매자(A)는, 축구화(A)를 상품으로 하여 단말(30a)을 사용하여 관리 서버(10)에 등록하고 있다. 여기서, 상품 판매자(A)는, 축구화(A)가 판매되었을 때에, 축구화(A)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동영상을 제공한 인스트럭터에 대한 인센티브를 판매 가격의 10%로 하는 것을, 단말(30a)을 사용하여 관리 서버(10)에 등록하고 있다. 또한, 상품 판매자(A)는, 자신의 상품을 소개할 때에 준수할 필요가 있는 룰을, 단말(30a)을 사용하여 상품 소개 룰로서 등록해도 좋다.
또 한편, 인스트럭터(M)는, 상품 판매자(A)가 상품으로서 등록한 축구화(A)를 소개하는 동영상을, 단말(40a)을 사용하여 상품 소개 컨텐츠의 일 예인 상품 소개 동영상(A)으로서 작성하고, 관리 서버(10)에 제공하고 있다. 상품 소개 동영상(A)은, 상품 판매자(A)가 등록한 상품 소개 룰에 따라 작성된다.
여기서, 고객(X)은, 인스트럭터(M)가 작성한 상품 소개 동영상(A)을, 단말(50a)을 사용하여 열람하고, 축구화(A)를 구입한다. 관리 서버(10)는, 고객(X)에 대한 축구화(A)의 판매 처리의 완료와 고객(X)의 상품 소개 동영상(A)의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축구화(A)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동영상(A)을 제공한 인스트럭터(M)에, 인센티브를 지불한다. 여기서, 인센티브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매 가격의 10%이다. 한편, 관리 서버(10)는, 축구화(A)가 판매되었을 때에 인센티브를 인스트럭터(M)에 지불할 필요는 없고, 해당 인센티브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존해 두고 다른 타이밍에 지불을 해도 좋다.
다음으로,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1)의 전체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은, 상품 판매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1)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품 판매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1)은, 관리 서버(10)와, 상품 판매자의 단말(30)과, 인스트럭터의 단말(40)과, 고객의 단말(50)을 포함한다. 한편, 시스템(1)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의 단말을 복수인이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건 서버(10), 상품 판매자의 단말(30), 인스트럭터의 단말(40), 고객의 단말(50)은, 각각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2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상품 판매자가 단일의 단말(30)이 도이되어 있지만, 물론 상품 판매자의 단말(30)은, 복수대 존재해도 좋다. 즉, 복수의 상품 판매자가, 통신 네트워크(20)에 접속되어 관리 서버(10)에 액세스 가능한 각각의 단말(30)을 사용하여, 상품 판매 서비스를 이용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인스트럭터, 복수의 고객이, 각각의 단말(40), 단말(50)을 사용하여 상품 판매 서비스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상품 판매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관리하는 관리 서버(10)와, 상품 판매자의 단말(30)과, 인스트럭터의 단말(40)이, 각각 다른 주체에 의한 서버 또는 단말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품 판매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상품 판매자이기도 하는 경우도 상정되고, 상품 판매 서비스의 운영 주체가 인스트럭터이기도 하는 경우도 상정되듯이, 이들의 주체가 복수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상품 판매자의 단말(30), 인스트럭터의 단말(40), 및 고객의 단말(50)은, PC(Personal Computer)나 스마트폰, 텔레비전 수상기, 태블릿 단말 등이다.
이어서, 제1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의 기능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것은, 관리 서버(1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관리 서버(10)는, 통신부(110)와, 설정·관리부(120)와, 기억부(130)와, 상품 판매 처리부(140)와,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해 1 또는 2 이상의 상품 판매자의 단말(30), 1 또는 2 이상의 인스트럭터의 단말(40), 및, 1 또는 2 이상의 고객의 단말(50)과 각종의 정보의 송수신을 한다.
설정·관리부(120)는, 상품 판매자, 제공자, 및 고객이 상품 판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각종 설정·관리를 한다. 여기서의 “설정·관리”는, 각종 정보의 등록, 변경, 삭제, 신청, 승인 등을 포함하여 설정·관리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설정·관리부(120)에 의한, 상품 판매 서비스를 실시할 때의 각종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각종 정보는, 후술하는 기억부(130)가 기억한다.
[상품 판매자에 관한 설정·관리]
먼저, 설정·관리부(120)에 의한, 상품 판매자가 단말(30)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기초하는, 상품 판매자에 관한 설정·관리 처리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설정·관리부(120)는, 상품 판매 서비스에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필요한 상품 판매자 정보를 등록한다. 상품 판매자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 판매자명이나 소재지, 전화 번호 등의 상품 판매자에 관한 정보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설정·관리부(120)에 의해 상품 판매 서비스에 등록된 상품 판매자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 4에 나타내는 일 예에서는, 각 상품 판매자는, 식별 정보인 상품 판매자 No가 할당되어 등록되고, 또한 대응하는 상품 판매자명과, 상품 판매자의 소재지와, 상품 판매자가 관리 서버(10)에 등록한 상품에 할당된 상품 No가 등록되어 있다. 한편, 상품 판매자 No 등의 각 정보를 식별하는 숫자(No)는, 식별 가능하면 대신 영숫자나 기호 등어도 좋다.
또한, 설정·관리부(120)는, 상품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를 등록한다. 상품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의 명칭이나 일련 번호, 사이즈, 중량, 설명 문장, 상품의 화상·동영상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상품 정보로서, 상품의 판매 개시 일시나 판매 종료 일시, 상품 판매 서비스의 사이트로의 표시 개시 일시나 표시 종료 일시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설정·관리부(120)는, 상품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소개 컨텐츠의 작성에 관해 준수할 필요가 있는 상품 소개 룰을 설정한다. 상품 소개 룰은, 1 또는 2 이상의 룰로 구성된다. 상품 소개 룰로서 설정되는 예로서는, 상품에 관해 반드시 소정의 사항에 대해 소개하는 것이나 소정의 표현을 사용하여 소개하는 것, 소정의 순번으로 소개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품 소개 룰은, 상품이 판매되었을 때에 부여하는 보수의 결정 방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품 소개 룰을 정하는 것에 의해, 제공자가 제공하는 상품 소개 컨텐츠의 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제공자가, 동일한 상품을 소개하기 위해, 각각 상품 소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질을 유지한 상태로 경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공자는, 상품 소개 룰에 동의하여 상품 소개 컨텐츠를 작성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공자는, 상품 설명 룰에 동의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자신의 단말(40)을 사용하여 관리 서버(10)에 송신한다.
한편, 설정·관리부(120)는, 상품 소개 룰을, 1의 상품에 있어서의 효능이나 기능, 디자인 등의 소정의 구분마다 설정해도 좋다. 그 경우, 제공자는, 소정의 구분마다 각각의 상품 소개 룰에 동의하고, 각각의 상품 소개 룰에 따른 복수의 상품 소개 컨텐츠를 작성한다. 예를 들면, 제공자는, 단말(40)을 사용하여, 복수의 구분에 대응하는 상품 설명 룰의 전부를 일괄하여 동의하는 취지를 단말(40)에 입력해도 좋고, 또는 복수의 구분간에 공통되는 상품 설명 룰만을 일괄로 동의하거나, 완전히 구분마다 개별로 상품 설명 룰에 동의하거나 하는 취지를 단말(40)에 입력해도 좋다.
또한, 설정·관리부(120)는, 판매하는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소개 컨텐츠를 작성하는 제공자에 대한 조건을 상품 소개 룰로서 설정해도 좋다. 제공자에 대한 조건의 예로서는, 상품이 속하는 분야에 정통하고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이 운동 기구인 경우, 제공자에 대한 조건은, 스포츠짐에서의 트레이너 경험을 3년 이상 갖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상품이 와인인 경우, 제공자에 대한 조건은, 소믈리에 자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공자에 대한 조건을 판매하는 상품에 맞춰 설정하는 것에 의해, 경험이나 지식을 기초로 한 질 높은 상품 소개 컨텐츠의 제공만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공자에 대한 조건으로서, 제공자의 연령을 지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품 판매자는, 특정한 연령층을 타겟으로 한 상품을 관리 서버(10)에 등록할 때, 제공자의 연령을 해당 연령층으로 지정하는 것에 의해, 고객이 더욱 친근감이나 공감을 가질 수 있는 상품 소개 컨텐츠를 작성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설정·관리부(120)는, 제공자의 모집 기간을 설정해도 좋다. 또한, 설정·관리부(120)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제공자를 확보한 단계에서 모집을 종료해도 좋고, 한편에서, 만족을 충족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제공자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모집 기간을 경과한 후에도 모집을 계속하도록 기간의 설정을 변경해도 좋다.
또한, 설정·관리부(120)는,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소개 컨텐츠가 해당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경우의 보수를 설정한다. 보수의 일 예인 인센티브는, 예를 들면, 판매에 공헌한 상품 1개당 고정 금액이어도 좋고, 또한 판매에 공헌한 상품의 가격에 대한 소정 비율의 금액이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상품이, 참가 판매 가격이 존재하지 않는 무료 이벤트 등에 대한 참가인 경우, 인센티브는, 참가 1인당 고정 금액이어도 좋고, 혹은 소정 인원수의 참가마다 고정 금액이어도 좋다. 한편, 보수는, 현금 이외에도 전자 화폐나 소매업이나 서비스업의 포인트, 또는 현물이어도 좋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설정·관리부(120)에 의해 상품 판매 서비스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 5에 나타내는 일 예에서는, 각 상품은, 식별 정보인 상품 No가 할당되어 등록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상품 No에 대응하여, 상품명과, 가격과, 인센티브와, 상품 소개 룰과, 판매 개시일과, 판매 종료일이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상품 No가 1이고 상품명이 축구화(A)인 상품의 경우, 인센티브는 판매 가격의 10%이고, 상품 소개 룰은 상품 소개 동영상의 동영상 시간이 5분 이상 10분 미만인 것이다. 또한, 상품 No가 2이고 상품명이 청소기(B)인 상품의 경우, 인센티브는 판매 가격의 20%이고, 상품 소개 룰은 상품의 기능별로 상품 소개 동영상을 작성하는 것과, 각 상품 소개 동영상의 동영상 시간이 5분 이상인 것이다. 한편, 상품 No가 2인 상품은, 판매 종료일이 미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품 No가 3이로 상품명이 이벤트(C)(에 대한 참가)인 상품의 경우, 가격이 0엔(참가 무료)이고, 인센티브는 참가자 1인마다 300엔이다. 또한, 상품 소개 룰은, 정해진 순번으로 설명하는 것과, 상품 소개 동영상을 작성하는 인스트럭터의 연령이 30세 이상인 것이다. 또한, 상품 No가 4이고 상품명이 축구화(D)인 상품의 경우, 상품 소개 룰은, 정해진 순번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제공자에 관한 설정·관리]
이어서, 설정·관리부(120)에 의한, 제공자가 자신의 단말(40)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기초하는, 제공자에 관한 설정·관리 처리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설정·관리부(120)는, 상품 소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제공자 정보를 등록한다. 제공자 정보는, 예를 들면 제공자명이나 소재지, 전화 번호, 전문 분야 등의 인스트럭터에 관한 정보이다. 여기서, 제공자는, 자신이 갖는 자격이나 연령을 증명하는 데이터를 관리 서버(10)에 제출해도 좋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여, 설정·관리부(120)에 의해 상품 판매 서비스에 등록된 인스트럭터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 6에 나타내는 일 예에서는, 식별 정보인 인스트럭터 No가 할당되어 등록되고, 또한 대응하는 인스트럭터명과, 인스트럭터의 소재지와, 전문 분야와, 인스트럭터가 관리 서버(10)에 제공한 상품 소개 동영상의 넘버가 등록되어 있다. 한편, 인스트럭터 No가 4인 인스트럭터는, 기타 정보로서 연령이 35세로 등록되어 있다.
한편, 설정·관리부(120)는, 단독의 제공자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공자를 제공자의 집합으로서 등록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공자의 집합으로서는, 어느 한 제공자를 대표 제공자로 하고, 다른 제공자를 종속 제공자로서 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상품 소개 룰의 동의는, 대표 제공자만이 하는 것으로 종속 제공자도 마찬가지로 동의한 것으로 간주되어도 좋다. 또한, 제공자의 집합에 대해 보수가 부여된 경우, 대표 제공자는, 보수를 최초로 받고, 받은 보수를 종속 제공자에게 분배해도 좋다. 또한, 다른 제공자의 집합의 예로서는, 소정의 역할을 주지 않고 그룹 제공자로서 상품 설명 컨텐츠의 작성 작업을 분담하는 것도 들 수 있다. 설정·관리부(120)는, 그룹 제공자 내의 어느 한 제공자가 보수를 받았을 때의 보수 분배를 미리 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공자를 집합으로서 등록하는 것에 의해, 제공자의 활동 방법을 더욱 다양화시키고, 결과로서 상품 소개 컨텐츠의 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공자의 집합은, 소정의 구분마다 나누어 복수의 상품 소개 컨텐츠를 작성하는 경우, 상이한 복수의 제공자를 각각의 상품 소개 컨텐츠의 작성에 할당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품의 기능별로 상품 소개 컨텐츠를 작성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각각 기능에 익숙한 제공자에게 담당시킬 수 있어, 전체로서 상품 소개 컨텐츠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해당 상품의 판매에 대한 공헌으로서 받은 보수는, 상품의 기능별로 각각 상품 소개 컨텐츠를 작성한 제공자 내에서 분배되어도 좋다.
[상품 소개 컨텐츠에 관한 설정·관리]
이어서, 설정·관리부(120)에 의한, 상품 소개 컨텐츠에 관한 설정·관리 처리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설정·관리부(120)는, 제공자로부터 송신된 상품 소개 컨텐츠를 등록한다. 상품 소개 컨텐츠는, 관리 서버(10)에 제공된 후, 등록될 때에 상품 소개 룰에 따른 내용인지가 확인되고, 소개한 상품과의 관련짓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품 소개 룰 중, 동영상 시간이 지정된 범위내인지 여부 등의 확인은, 설정·관리부(120)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품이 소정의 순번으로 설명되어 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상품 판매자, 상품 판매 서비스 운영자, 또는 서비스 운영을 위탁받은 제3자에 의해 확인된다. 설정·관리부(120)는, 제공된 상품 소개 컨텐츠가 상품 소개 룰에 따르고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 해당 상품 소개 컨텐츠를 관리 서버(10)상에 등록한다. 한편, 상품 소개 컨텐츠가 상품 소개 동영상이나 상품 소개 음성인 경우, 상품을 소개하는 제공자 자신이 반드시 등장할 필요는 없다. 설정·관리부(120)는, 상품 소개 컨텐츠가 상품 소개 룰에 따른 내용으로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품 판매자가 해당 상품 소개 컨텐츠에 승인을 하고, 상품과의 관련짓기를 해도 좋다.
한편, 설정·관리부(120)는, 1의 상품 소개 컨텐츠와 복수의 상품을 관련지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설정·관리부(120)는, 복수의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소개 컨텐츠를 해당 복수의 상품과 관련지어도 좋다. 복수의 상품을 소개하는 경우로서는, 복수의 상품이 세트로 사용되는 것이나, 복수의 상품을 시기마다 고객에게 보내는 형식인 것, 상품이 정기 구입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의 판매 형태에 따른 소개를 할 수 있으므로, 상품에 대해 더욱 매력적으로 소개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설정·관리부(120)에 의해 상품 판매 서비스에 등록되어 상품에 관련지어진 상품 소개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 7에 나타내는 일 예에서는, 상품 소개 컨텐츠의 일 예인 상품 소개 동영상은, 식별 정보인 동영상 No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동영상 No에 대응하여, 인스트럭터 No와, 관련지어진 상품 No와, 동영상 시간과, (필요한 경우에만) 기타가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동영상 No가 2인 상품 소개 동영상은, 2명의 인스트럭터가 작성하고 있기 때문에, 인스트럭터 No에는 1 및 2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동영상 No가 4 및 5인 상품 소개 동영상은, 상품 No가 2인 상품을 기능별로 소개한 상품 소개 동영상이고, 기타로서 어느 기능을 소개한 것인지가 표시되어 있다.
[고객에 관한 설정·관리]
이어서, 설정·관리부(120)에 의한, 고객이 단말(50)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기초하는, 고객에 관한 설정·관리 처리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설정·관리부(120)는, 고객이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필요한 고객 정보를 등록한다. 고객 정보는, 예를 들면 고객명이나 상품의 배송처, 전화 번호, 상품 판매 서비스의 이용 형태 등이다. 여기서, 상품 판매 서비스의 이용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상품 판매 서비스의 사이트 정책에 동의하고 고객의 정보를 관리 서버(10)에 등록하는 회원이나, 관리 서버(10)에 등록하지 않고 상품 판매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게스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여, 설정·관리부(120)에 의해 상품 판매 서비스에 등록된 고객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 8에 나타내는 일 예에서는, 각 고객은, 식별 정보인 고객 No가 할당되어 등록되고, 또한 대응하는 고객명과, 상품의 배송처와, 상품의 구입 금액의 지불 방법이 등록되어 있다.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컨텐츠의 특정에 관한 설정·관리]
이어서, 설정·관리부(120)에 의한,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컨텐츠의 특정 방법의 설정·관리예에 대해 설명한다.
설정·관리부(120)는,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1 또는 2 이상의 상품 소개 컨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룰을 설정한다. 즉, 특정 룰은, 상품 판매 서비스에 있어서 상품을 고객이 구입한 경우에, 보수의 수취 대상이 되는 상품 소개 컨텐츠를 특정하는 룰이다. 특정 룰은, 고객의 상품 소개 컨텐츠의 열람 이력 등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다. 특정 룰은, 각각의 상품마다 정해져도 좋고, 각각의 상품 판매자 단위로 정해져도 좋다. 이하, 고객이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소개 컨텐츠를 열람하고, 그 후 해당 상품을 구입한 경우에 있어서의 특정 룰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특정 룰은, 상품 소개 컨텐츠를 열람 후의 소정의 시간 내에 상품을 구입한 경우에, 해당 상품 소개 컨텐츠를,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컨텐츠(이하, 판매 공헌 컨텐츠라고도 한다)로 특정한다. 고객에 직접 구입 행동을 일으키게 한 상품 소개 컨텐츠를 평가하는 것에 의해, 상품의 정보를 고객에 알릴 뿐만 아니라, 고객이 실제로 상품을 구입할 의향을 일으키게 하는 바와 같은 상품 소개 컨텐츠의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룰은, 상품의 구입 이전에 열람한 해당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소개 컨텐츠를, 판매 공헌 컨텐츠로 특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여기서, 고객이 복수의 상품 소개 컨텐츠를 열람하고 있은 경우, 특정 룰은, 어느 한 상품 소개 컨텐츠가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것으로 하여 특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어느 한 상품 소개 컨텐츠를 특정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열람된, 최초에 열람된, 또는 끝에서 2번째로 열람된, 등과 같이 열람 순번에 기초하여 판매 공헌 컨텐츠가 특정되어도 좋다. 이외에도, 특정 룰은, 고객이 복수의 상품 소개 컨텐츠를 열람하고 있은 경우, 2 이상의 상품 소개 컨텐츠를, 판매 공헌 컨텐츠로 특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열람 순번이 끝에서 소정 번째까지의 상품 소개 컨텐츠나, 열람된 모든 상품 소개 컨텐츠가, 판매 공헌 컨텐츠로 특정되어도 좋다.
또한, 특정 룰은, 고객이 복수의 상품 소개 컨텐츠를 열람하고 있은 경우, 복수의 상품 소개 컨텐츠 중 열람 시간이 가장 긴 상품 소개 컨텐츠를, 판매 공헌 컨텐츠로 특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 고객이 가장 많은 정보를 얻거나, 가장 크게 영향을 받거나 한 상품 소개 컨텐츠를 평가할 수 있어, 예를 들면 고객이 싫증나지 않고 계속 열람할 수 있는 상품 소개 컨텐츠의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품 소개 컨텐츠가 상품 소개 동영상을 포함하는 경우, 동영상의 시청 시간에 기초하여 특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특정 룰은, 고객이 복수의 상품 소개 컨텐츠를 열람하고 있은 경우, 복수의 상품 소개 컨텐츠 중 열람 회수가 가장 많은 상품 소개 컨텐츠를, 판매 공헌 컨텐츠로 특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특정 룰은, 소정 부분이 열람된 상품 소개 컨텐츠를, 판매 공헌 컨텐츠로 특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여기서, 소정 부분이란, 상품 소개 컨텐츠에서 열람 가능한 내용 중, 예를 들면 상품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는 내용이나 상품이 갖는 고유의 특징 등을 소개하는 내용을 말한다. 소정 부분을 열람하여 상품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알린 상품 소개 컨텐츠를 평가하는 것에 의해, 판매 공헌 컨텐츠를 더욱 정확히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의 단말(50)에 의한 각 정보에 대한 액세스 일시에 의해 상품 소개 컨텐츠와 상품의 구입의 관계성을 판정하여 특정해도 좋지만, 예를 들면 고객의 단말(50)이 화면 표시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고객의 단말(50)이 액세스한 페이지의 천이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이 이루어져도 좋다. 즉, 특정 룰은, 상품 소개 컨텐츠가 게재된 페이지로부터의 천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 소개 컨텐츠를 판매 공헌 컨텐츠로 특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품 소개 컨텐츠가 게재된 페이지에서 직접 상품의 구입 페이지로 천이한 경우에는, 해당 상품 소개 컨텐츠가 판매 공헌 컨텐츠로 특정되어도 좋다. 상품 소개 컨텐츠가 게재된 페이지에서, 관계가 없는 다른 페이지로 천이한 후에 상품의 구입 페이지로 천이한 경우에는, 판매 공헌 컨텐츠로 특정되지 않아도 좋다. 도중에 다른 페이지로 천이한 후에 상품의 구입 페이지로 천이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상품 판매 사이트로부터 링크백되지 못하고 상품 소개 컨텐츠가 게재된 페이지와 상품의 구입 페이지간의 천이 관계에 대해 파악할 수 없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특정 룰의 구체예는, 각각이 결합되어 사용되어도 좋다. 상품의 종류나 판매 방법 등에 따라, 특정 룰의 결정 방법은 다를 수 있다. 특정 룰이 미리 정해지는 것에 의해, 복수의 제공자간에서의 경쟁이 발생하여 상품 소개 컨텐츠의 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고객이 상품 소개 컨텐츠의 열람 후에 상품을 구입한 경우에도, 특정 룰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상품 소개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컨텐츠는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어도 좋다.
[보수의 결정에 관한 설정·관리]
이어서, 설정·관리부(120)에 의한, 판매 공헌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에 대한 보수의 결정 방법의 설정·관리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1 또는 2 이상의 판매 공헌 컨텐츠를 작성한 제공자가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제공자가 미리 정해진 보수를 모두 받는다.
한편에서, 특정된 판매 공헌 컨텐츠가 복수 존재하고, 설정·관리부(120)는, 복수의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결정할 때의 판매 공헌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에 대한 인센티브의 결정 방법인 보수 결정 룰을 등록한다. 보수 결정 룰은, 판매 공헌 컨텐츠를 제공한 복수의 제공자에 대해 보수를 분배하는 방법이다. 이하, 보수 결정 룰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보수 결정 룰은, 각각의 판매 공헌 컨텐츠마다 균등하게 보수를 분배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판매 공헌 컨텐츠의 수로 보수는 균등하게 분할된다. 따라서, 2 이상의 판매 공헌 컨텐츠를 동일한 제공자가 제공하고 있는 경우, 해당 제공자는, 제공한 각각의 판매 공헌 컨텐츠마다 보수를 받는다. 판매 공헌 컨텐츠마다 보수가 분할되는 것에 의해, 하나의 상품에 대해 더욱 많은 상품 소개 컨텐츠를 제공자에게 작성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에서, 보수 결정 룰은, 판매 공헌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마다 보수를 균등하게 분배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판매 공헌 컨텐츠를 제공한 수에 관계 없이, 제공자의 수로 보수는 분할된다. 제공자마다 보수가 분할되는 것에 의해, 상품 소개 컨텐츠의 난립의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보수 결정 룰은, 복수의 판매 공헌 컨텐츠 중, 판매에 대한 공헌의 정도가 다른 판매 공헌 컨텐츠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되는 판매 공헌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의 보수를 다른 제공자보다 많이 하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보수 결정 룰은, 복수의 판매 공헌 컨텐츠 중, 상품의 판매 완료 전에 있어서 고객이 마지막으로 열람한 판매 공헌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의 보수를 다른 제공자보다 많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상품 구입의 결정이 된 가능성이 높은 판매 공헌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에 대해 많이 보수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제공자로부터의 질이 높은 상품 소개 컨텐츠의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보수 결정 룰은, 판매 공헌 컨텐츠마다 공헌의 정도에 따른 보수를 결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보수 결정 룰은, 공헌의 정도가 높은 판매 공헌 컨텐츠가 많아짐에 따라 받는 보수가 많아지는 것이어도 좋다. 판매의 공헌 정도의 판정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 완료 전에 있어서 고객이 마지막으로 열람했는지 여부, 판매 공헌 컨텐츠의 열람 비율이 높은지 여부 등에 기초하는 판정을 들 수 있다.
이상, 설정·관리부(120)에 의한 각종 설정·관리 처리의 예에 대해 설명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기억부(130)는, 관리 서버(10)에 있어서의 상품 판매 서비스에 관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기억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설정·관리부(120)에 의해 설정된 상품 판매자, 제공자, 및 고객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130)는, 후술하는 상품 판매 처리부(140)에 의한 상품 판매에 관한 정보 및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가 결정한 보수를 나타내는 보수 정보를 보존하는 보수 정보 보존부의 일 예이다. 기억부(130)는, 보수 정보를 제공자마다 집계할 수 있도록 보존해도 좋다.
상품 판매 처리부(140)는, 상품 판매 서비스에 등록된 고객에의 상품의 판매에 관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상품 판매 처리부(140)는,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에 있어서 상품 판매 서비스 사이트에 액세스한 고객의 단말(30)에 있어서의 상품의 판매에 관한 각종 정보의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고객은, 단말(30)에 보존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상품 소개 서비스 사이트에 액세스해도 좋다.
여기서, 도 11을 참조하여, 상품 판매 처리부(140)에 의한 상품 판매 서비스 사이트의 화면 표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의 상측에 나타내는 것은, 상품의 소개 및 판매를 하기 위한 표시 화면(DS)이다. 표시 화면(DS)에는, 상품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DR1)과, 상품 소개 동영상의 섬네일을 나타내는 영역(DR2)과, 상품의 구입 수속을 진행할 수 있는 구입 버튼(DB1)과, 상품 소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동영상 재생 버튼(DB2)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고객이 단말(30)상에서 동영상 재생 버튼(DB2)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면, 도 11의 하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1의 상측에서 상품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소개 동영상이 표시 화면(DS)의 전체로 재생된다. 상품 소개 동영상에서는, 인스트럭터가 상품의 소개를 하고 있다. 한편, 도 11의 하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품 소개 동영상이 표시 화면(DS) 전체로 재생되고 있는 도중에 상품의 구입 수속이 가능한 구입 버튼(DB3)이 표시되어 있다. 상품 소개 동영상이 재생중에 구입 수속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고객이 상품을 구입하고자 했던 타이밍을 놓치지 않고, 상품 구입에 연결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구입 버튼 DB1 및 DB3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는 판매 처리는, 동일한 페이지상에서 완료되어도 좋고, 또는 다른 페이지로 천이하여 해당 페이지에서 완료되어도 좋다. 다른 페이지에서 판매 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도 11의 상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품 소개 컨텐츠가 표시되는 페이지에서 판매 처리가 이루어지는 페이지로의 천이를, URL의 링크나 태그 설정 등으로 기억부(130)가 기억한다.
도 11에 나타낸 화면 표시예는 어디까지나 일 예이며 해당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품 정보, 상품 소개 컨텐츠 및 구입 페이지는, 별도의 페이지에 표시되어도 좋고, 일부 혹은 모두가 동일 페이지에 표시되어도 좋다. 상품 소개 동영상은, 도 11의 상측에 있어서의 상품 소개 동영상의 섬네일을 나타내는 영역(DR2)내에서 재생되어도 좋다. 한편, 고객의 단말(50)이 음성 인식 처리가 가능한 단말인 경우, 동영상 재생 처리나 상품 구입 처리를, 고객의 단말(50)이 인식한 고객의 음성에 기초하여 실행해도 좋다. 도 11에 나타낸 예에서는 상품 소개 컨텐츠가 상품 소개 동영상이었지만, 예를 들면 고객의 단말(50)이 스마트 스피커인 경우, 음성만으로 상품의 소개가 이루어져도 좋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여, 상품 판매 처리부(140)에 의한 상품 판매 서비스에 있어서의 상품 소개 컨텐츠의 열람 이력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 9에 나타내는 일 예에서는, 시청 이력 No가 할당되고, 대응하는 고객 No와, 상품 소개 동영상 No와, 시청 일시와, 시청 비율이 기록되어 있다. 후술하는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판매 공헌 컨텐츠의 특정 처리나 인센티브의 결정 처리를 실행한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한다.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는,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1 또는 2 이상의 상품 소개 컨텐츠(판매 공헌 컨텐츠)를 특정하는 특정부의 일 예이다.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는, 판매 공헌 컨텐츠를, 상술한 특정 룰에 따라 특정해도 좋다.
또한,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는, 특정한 상품 소개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결정하는 보수 결정부의 일 예이기도 하다.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는, 복수의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결정할 때는, 상술한 보수 결정 룰에 따라,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결정해도 좋다.
또한,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는, 결정한 보수를 나타내는 보수 정보를 보수 정보 보존부의 일 예인 기억부(130)에 보존시킨다. 보수 정보는, 예를 들면 판매된 상품을 나타내는 정보나, 고객이 열람한 상품 소개 컨텐츠 및 판매 공헌 컨텐츠를 나타내는 정보, 판매 공헌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를 나타내는 정보, 보수의 분배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한편, 보수를 받는 제공자가 상술한 제공자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인 경우, 보수의 수취 후에, 보수가 제공자의 집합 내에서 더욱 분배된다.
여기서, 도 10을 참조하여, 상품 판매 처리부(140)에 의한 인센티브의 결정 결과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 10에 나타내는 일 예에서는, 인센티브 결정 No가 할당되고, 상품 No와, 대응하는 상품을 구입한 고객 No와, 매매가 성립한 일시와, 고객이 상품 구입 전에 시청한 상품 소개 동영상의 시청 동영상 No와,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가 특정한 판매 공헌 동영상의 No와, 판매 공헌 동영상을 제공한 인스트럭터의 No와, 보수 정보의 일 예인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가 결정한 인센티브의 결정 결과가 기록되어 있다.
인센티브 결정 No1에서는,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가, 고객 No4의 고객이 상품 No1의 축구화(A)를 구입하여 구입 전에 시청한 시청 동영상 No가 1인 상품 소개 동영상을 공헌 동영상으로서 특정하고, 축구화(A)의 가격의 10%인 1000엔을 인센티브로서 결정한 것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인센티브 결정 No2에서는,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가 2의 공헌 동영상을 특정하고 있고, 축구화(A)의 가격의 10%을 균등하게 분배하고, 2의 인스트럭터에 대해 각 500엔의 인센티브를 결정한 것이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룰로서 상품 소개 동영상의 시청 비율이 50% 이상인 것이 정해져 있는 경우, 인센티브 결정 No3에서는, 고객이 상품의 구입 전에 동영상 No2의 상품 소개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었지만, 도 9의 시청 이력 No4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상품 소개 동영상의 시청 비율이 10%이기 때문에,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는 동영상 No2의 상품 소개 동영상이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것으로 특정하지 않고, 판매 공헌 동영상은 없는 것으로 판정한 것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인센티브 결정 No3에서는, 인센티브의 지불 대상의 인스트럭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인센티브 결정 No4에서는,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청소기(B)를 기능별로 소개한, 시청 동영상 No가 4인 상품 소개 동영상 및 시청 동영상 No가 5인 상품 소개 동영상을 판매 공헌 동영상으로 특정하고, 두 동영상을 제공한 인스트럭터 No가 3인 인스트럭터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불하는 것이 기록되어 있다. 인센티브 결정 No5에서는,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가, 고객 No4의 고객이 상품 No3의 참가 무료의 이벤트(C)에 참가하고 시청 동영상 No가 3인 상품 소개 동영상을 공헌 동영상으로서 특정하고, 미리 정해진 참가자 1명의 인센티브인 300엔을 지불하는 것이 기록되어 있다.
이어서, 도 1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에 의한 인센티브의 결정까지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품 판매 처리부(140)에 의해 고객에 대한 상품의 판매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S01: N), 스텝 S01로 복귀한다. 한편, 상품 판매 처리부(140)에 의해 고객에 대한 상품의 판매가 완료된 경우(S01: Y),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는, 판매 공헌 동영상의 특정 처리를 실행하고, 판매 공헌 동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02: N),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는, 판매 공헌 동영상의 특정 처리를 실행하고, 1 또는 2 이상의 판매 공헌 동영상을 특정한 경우(S02: Y), 특정한 판매 공헌 동영상을 제공한 제공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결정한다(S03). 인센티브를 결정하면,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는, 인센티브의 결정 결과를 나타내는 보수 정보를 보존하고(S04),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에 의하면,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1 또는 2 이상의 상품 소개 컨텐츠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품 소개 컨텐츠를 제공한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결정하고, 결정한 보수를 나타내는 보수 정보를 보존시키도록 했으므로, 판매 공헌 컨텐츠의 제공자에게 보수를 적절히 부여하는 관리 서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에 의하면, 적절한 보수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상품 소개 컨텐츠의 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관리 서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가, 상품을 구입한 구입자가 상품의 구입 전에 열람한 상품 소개 컨텐츠 중에서, 미리 정해진 특정 룰에 따라,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컨텐츠를 특정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컨텐츠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가, 복수의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결정할 때는, 미리 정해진 보수 결정 룰에 따라, 각 제공자의 보수를 결정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상품 소개 컨텐츠의 공헌 정도에 따라 부여하는 보수를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제공자로부터의 더욱 질이 높은 상품 소개 컨텐츠의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에 의하면, 상품 소개 컨텐츠가 상품 소개 동영상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더욱 고안된 상품의 소개가 이루어지게 되고, 제공자로부터의 더욱 질이 높은 상품 소개 컨텐츠의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예]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객은, 동일한 상품 판매 서비스 내에 있어서 상품 소개 컨텐츠의 열람 및 상품의 구입을 모두 하고 있었지만, 상품의 구입에 대해서는, 상품 판매 서비스와 제휴한 다른 웹사이트나 실제 점포에서 해도 좋다. 다른 웹사이트나 실제 점포에서의 상품의 판매를 나타내는 정보와, 고객의 상품 소개 컨텐츠의 열람 이력을 대응시켜,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가 판매 공헌 컨텐츠를 특정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설정·관리부(120)는, 등록한 각각의 상품 소개 컨텐츠의 열람 이력에 대응하는 열람 코드를 등록한다. 열람 코드는, 영숫자나 문자열, 바코드 등 상품 소개 컨텐츠의 열람 이력을 식별 가능한 정보면 된다. 열람 코드는, 상품 소개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 내에 각 상품 소개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등록된다. 또한, 상품 판매 처리부(140)는, 고객의 단말(30)에 상품 소개 컨텐츠를 표시시킬 때에, 대응하는 해당 열람 코드도 표시시킨다. 고객은, 예를 들면 상품 판매 서비스와 제휴한 다른 웹사이트나 실제 점포에 있어서의 상품 소개 컨텐츠가 소개한 상품의 구입시에, 해당 열람 코드를 다른 웹사이트나 실제 점포에 대해 제시한다. 제시하는 방법으로서는, 열람 코드의 직접 입력이나 POS 계산 단말에 의한 바코드의 판독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의 실제 점포에 있어서의 상품의 구입은, 예를 들면 고객이 웹사이트에서 상품의 구입 수속을 완료한 후에, 실제 점포에서 상품을 받는 경우도 포함한다.
다른 웹사이트나 실제 점포의 운영자는, 고객으로부터 제시된 열람 코드와, 판매 상품명과, 상품의 판매 일시를 본 시스템의 관리 서버(10)에 제공한다. 관리 서버(10)의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는, 제공된 열람 코드에 대응하는 열람 이력에 기록되어 있는 고객명 및 상품 소개 컨텐츠가 소개한 상품명 및 제공된 판매 상품명 및 상품의 판매 일시에 기초하여, 상품 소개 컨텐츠를 판매 공헌 동영상으로서 특정한다. 이때, 고객 정보는, 본 상품 판매 서비스와 다른 웹사이트 혹은 실제 점포의 운영자 사이에서 공유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판매 공헌 동영상의 특정에 있어서, 상품명에 대신하여, 또는 상품명에 더하여, 다른 웹사이트나 실제 점포에서 관리되고 있는 상품 ID를 사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다른 웹사이트나 실제 점포에 있어서의 판매 실적도 인센티브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제공자는 인센티브를 받는 기회가 늘어나기 때문에, 상품 소개 컨텐츠의 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소개 룰은,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타사 제품을 부정하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등의 구입자가 의식해야 할 모럴을 규정하는 내용이어도 좋고, 상품이 소정의 순번으로 설명되어 있는지 등의 상품 판매자(상품 제작자)의 요망을 반영시키기 위한 규정이어도 좋고, 상품 소개 동영상의 볼륨이 10분 이상의 재생 시간이 아니면 안되는 등의 컨텐츠에 관한 기술적 조건을 규정하는 내용이어도 좋다. 또한, 제공자에 의해 작성된 상품 소개 컨텐츠가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은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품 소개 동영상의 볼륨이 10분 이상의 재생 시간이 아니면 안되는 등 기술적 조건에 대해서는, 상품 소개 컨텐츠의 데이터를 관리 서버(10)에서 해석하면 판정 가능하다. 또한, 제공자가 상품 소개 컨텐츠를 등록할 때에, 상품 소개 룰을 준수하는 것에 대해 서약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리 서버(10)에 송신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관리 서버(10)에 상품 소개 동영상을 등록하기 위한 브라우저상에서, “내가 제공하는 상품 소개 동영상은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하게 작성된 것에 틀림 없습니다.” 등과 같은 상품 소개 룰의 준수를 확인하는 문장에 관한 체크박스를 제시하여, 제공자가 체크를 하여 송신한 경우만을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특정 룰로서, 구입자가 구입 결정에 공헌한 것으로 생각하는 상품 소개 동영상을 선택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선택된 상품 소개 동영상 중에서 소정수(예를 들면, 최대로 n개(n은 자연수))의 상품 소개 동영상을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특정하도록 해도 좋다. 구입자에 의한 선택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구입자가 시청한 상품 소개 동영상을 일람표로 하여 구입자에게 제시하여, 구입자가 구입 결정에 공헌한 것으로 생각되는 상품 소개 동영상을, 예를 들면 체크박스에 체크를 넣어서 선택한 것을 선택 정보로서 관리 서버(10)에 송신하도록 해도 좋고, 구입자가 공헌한 것으로 생각하는 상품 소개 동영상의 URL을 기재한 정보를 선택 정보로서 관리 서버(10)에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즉, 관리 서버(10)에서, 구입자가 공헌한 것으로 생각하는 상품 소개 동영상에 관한 선택 정보를 취득 가능한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어도 좋다.
또한, 구입자가 공헌한 것으로 생각하는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선택 가능한 개수를 소정수(예를 들면, m개 이하(m은 자연수))로 제한해도 좋다. 나아가, 선택 정보로서, 복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에 대해 상기 구입자가 공헌도의 크기에 따라 순위 매김을 한 순위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구입자가 선택한 개수보다 적은 수의 상품 소개 동영상을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특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m≥구입자가 선택한 개수>n의 경우), 순위 정보에 있어서 순위가 빠른 것으로부터 n개의 상품 소개 동영상을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특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자에게 제공되는 인센티브에 차이를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다양한 특정 룰을 적용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상품 소개 컨텐츠에 관한 최저 시청 시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품 소개 동영상에 관한 최저 시청 시간을 30초로 설정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를 설정하면, 예를 들면 10초밖에 시청되지 않은 상품 소개 동영상은, 상품 판매에 공헌한 상품 소개 동영상의 후보에서 제외하고, 특정 룰을 적용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품 판매 서비스는, 관리 서버(10)에서 제공하는 경우 이외에, 관리 서버(10)와 제휴하는 외부 판매 사이트가 제공해도 좋다. 외부의 판매 사이트나 EC몰과의 제휴를 하는 것에 의해, 상품 판매자가 복수의 판매 사이트나 EC몰에서 상품을 판매할 때도 고객은 상품 소개 동영상을 시청하여 상품을 구입할 수 있고, 상품 소개 동영상의 제공자의 인센티브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백화점, 편의점, 약국, 홈센터 등의 해당 상품을 구입 가능한 점포의 웹사이트나 상품 소개 사이트와 관리 서버(10)가 제휴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고객이 그들의 사이트 열람과 제휴하여 상품 소개 동영상 시청 후에 접수 번호나 QR코드(등록상표) 등 유니크한 특정 방법(동영상 시청 코드)을 표시 혹은 구입자 단말에 다운로드하고, 고객이 점포에서 상품을 구입할 때에 취득한 접수 번호나 QR코드(등록상표)를 제시하고, 점포의 판매 장치(POS 등)로 구입과 동영상 시청 코드의 제휴를 확정하는 것에 의해, 상품 소개 동영상의 제공자에게 인센티브의 지불이 가능해진다.
즉, 구입자에 의한 상품의 구입 사실과, 그 상품의 구입에 공헌한 상품 소개 동영상의 특정이 가능하면, 상품 판매 서비스의 형태는, 관리 서버(10)가 직접 관리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소개 컨텐츠는, 관리 서버(10)에 저장시켜 제공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3자가 관리하는 외부의 서버에 저당되어 있는 경우 등, 상품 구입을 검토하고 있는 시청자가 상품 소개 컨텐츠에 액세스 가능하면 어떠한 제공 형태여도 좋다. 또한, 상품 소개 컨텐츠에는, 상품 소개 동영상이나 상품 소개 음성이 포함되지만, 미리 제작된 상품 소개 동영상이나 상품 소개 음성을 등록하여 제공하는 경우 이외에, 촬영과 동시에 전송을 하는 형태(생중계, live 스트리밍)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소개 컨텐츠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 미리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지를 판정할 수 없기 때문에, 사후적으로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생각된다.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 상품 소개 컨텐츠인 것이 사후적으로 확인되고, 상품의 구입자가 해당 상품 소개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던 것을 특정하는 수단이 존재하면, 구입자가 live 스트리밍 동영상을 보고 상품을 구입한 경우에도, 그 live 스트리밍 동영상의 제공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품 소개 컨텐츠는, 모든 내용이 상품 소개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어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재생 시간 30분의 동영상 중, 도중에 15분간이 상품의 소개를 하고 있는 코너인 경우에, 그 상품의 소개를 하고 있는 부분을 시청한 것을 특정 가능하면, 그러한 일부에 상품 소개를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해서도, 상품 소개 동영상이 될 수 있다. 상품 소개의 부분을 특정하는 수단으로서는, 12분에서 27분까지가 상품 소개 부분인 것으로 하는 바와 같은 시간으로 구분하는 수법, 챕터를 붙여 구분하는 수법, 상품 소개 부분만 특정하는 동영상의 URL을 설정하는 수법, 등, 다양한 특정 수단이 생각된다. 이와 같이, 컨텐츠 중의 일부가 상품 소개 컨텐츠에 해당 하는 바와 같은 경우여도, 해당 일 부분을 상품의 구입자가 시청한 것을 특정할 수 있으면, 컨텐츠 중의 일부가 상품 소개 컨텐츠에 해당 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도, 제공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관리 서버는,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소개 컨텐츠로서의 상품 소개 동영상의 작성에 관해 준수할 필요가 있는 소정의 상품 소개 룰을 상품마다 등록하는 상품 소개 룰 등록 수단;
제공자에 의해 작성되어 송신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상품 소개 동영상이 상기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대응하는 상기 상품과 관련지어 등록하는 상품 소개 동영상 등록 수단;
상기 상품의 판매가 성립한 경우에, 해당 상품에 관련지어 등록된 복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 중 상품의 구입자에게 시청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 중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의 특정 룰에 따라 해당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제공한 상기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미리 정해진 소정의 보수 결정 룰에 따라 결정하는 보수 결정 수단; 및
상기 보수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수를 나타내는 보수 정보를 보존하는 보수 정보 보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품 소개 룰 등록 수단 및 상품 소개 동영상 등록 수단은,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설정·관리부(120)에서 실현되고, 특정 수단, 보수 결정 수단 및 보수 정보 보존 수단은,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센티브 결정 처리부(150)에서 실현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종 구성은, 각각 단독으로 적용하는 경우 이외에, 모순되지 않는 한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시스템
10: 관리 서버
20: 통신 네트워크
30: 단말(상품 판매자)
40: 단말(인스트럭터)
50: 단말(고객)

Claims (10)

  1.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소개 컨텐츠로서의 상품 소개 동영상의 작성에 관해 준수할 필요가 있는 소정의 상품 소개 룰을 상품마다 등록하는 상품 소개 룰 등록 수단;
    제공자에 의해 작성되어 송신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상품 소개 동영상이 상기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대응하는 상기 상품과 관련지어 등록하는 상품 소개 동영상 등록 수단;
    상기 상품의 판매가 성립한 경우에, 해당 상품에 관련지어 등록된 복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 중 상품의 구입자에게 시청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 중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의 특정 룰에 따라 해당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제공한 상기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미리 정해진 소정의 보수 결정 룰에 따라 결정하는 보수 결정 수단; 및
    상기 보수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수를 나타내는 보수 정보를 보존하는 보수 정보 보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상기 구입자에 의해 시청된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것을, 상기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특정되기 위한 조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미리 설정한 소정 부분이 시청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상기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특정하는 특정 룰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판매 성립 이전에 상기 구입자가 복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은 경우, 복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 중 시청 시간이 가장 긴 것으로부터 n개의 상품 소개 동영상을 상기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특정하는 특정 룰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5.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판매 성립 이전에 상기 구입자가 복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은 경우, 복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 중 시청 회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부터 n개의 상품 소개 동영상을 상기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특정하는 특정 룰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판매 성립 이전에 상기 구입자가 복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은 경우, 복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 중 상기 구입자가 구입 결정에 공헌한 것으로 생각하는 m개 이하의 상품 소개 동영상을 선택한 선택 정보를 취득하고, 그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m개의 상품 소개 동영상 중에서 최대로 n개의 상품 소개 동영상을 상기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특정하는 특정 룰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는, 상기 구입자에게 선택된 복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에 대해 상기 구입자가 공헌도의 크기에 따라 순위 매김을 한 순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수단은, 상기 구입자가 선택한 개수보다 적은 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판매에 공헌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특정하는 경우, 상기 순위 정보에 있어서 순위가 빠른 것으로부터 n개의 상품 소개 동영상을 상기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특정하는 특정 룰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상기 구입자가 구입 직전에 시청하고 있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상기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으로서 특정하는 특정 룰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9.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 결정 수단은, 복수의 상기 제공자에 대해 보수를 지불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 중, 판매에 대한 공헌의 정도가 다른 상품 소개 동영상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되는 상품 소개 동영상을 제공한 제공자의 보수를 다른 제공자보다 많이 하는 보수 결정 룰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10. 관리 서버에,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소개 컨텐츠로서의 상품 소개 동영상의 작성에 관해 준수할 필요가 있는 소정의 상품 소개 룰을 상품마다 등록하는 상품 소개 룰 등록 기능;
    제공자에 의해 작성되어 송신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상품 소개 동영상이 상기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품 소개 룰에 적합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대응하는 상기 상품과 관련지어 등록하는 상품 소개 동영상 등록 기능;
    상기 상품의 판매가 성립한 경우에, 해당 상품에 관련지어 등록된 복수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 중 상품의 구입자에게 시청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 중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의 특정 룰에 따라 해당 상품의 판매에 공헌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특정하는 특정 기능;
    상기 특정 기능에 의해 특정된 상기 상품 소개 동영상을 제공한 상기 제공자에 대한 보수를, 미리 정해진 소정의 보수 결정 룰에 따라 결정하는 보수 결정 기능; 및
    상기 보수 결정 기능에 의해 결정된 보수를 나타내는 보수 정보를 보존하는 보수 정보 보존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관리 프로그램.
KR1020227005835A 2019-09-09 2020-03-31 관리 서버 및 관리 프로그램 KR102480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9/035380 2019-09-09
PCT/JP2019/035380 WO2021048903A1 (ja) 2019-09-09 2019-09-09 管理サーバ及び管理プログラム
PCT/JP2020/014864 WO2021049072A1 (ja) 2019-09-09 2020-03-31 管理サーバ及び管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633A KR20220032633A (ko) 2022-03-15
KR102480789B1 true KR102480789B1 (ko) 2022-12-23

Family

ID=7274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835A KR102480789B1 (ko) 2019-09-09 2020-03-31 관리 서버 및 관리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66313B1 (ko)
KR (1) KR102480789B1 (ko)
CN (1) CN114341912A (ko)
AU (1) AU2020346475A1 (ko)
CA (1) CA3152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3224B1 (ja) * 2020-12-25 2021-08-04 功憲 末次 売上貢献度還元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744B1 (ko) 2018-12-21 2020-03-02 성재훈 상품 구매 및 광고 시청에 따른 적립금 분배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상품 판매 시스템
KR102287896B1 (ko) 2020-09-18 2021-08-11 윤석주 라이브 콘텐츠 기반 실시간 결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0040B2 (ja) 1999-10-22 2003-08-25 株式会社ファ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ネットワーク広告配信管理・ポイント還元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広告配信管理・ポイント還元システムの管理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10056374A1 (en) * 2000-06-22 2001-12-27 Joao Raymond Antho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ensation for advertisement viewing and/or participation and/or for survey participation
KR100828881B1 (ko) * 2005-07-08 2008-05-09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웹 사이트 상에서 추천 컨텐츠를 통한 수익배분 시스템 및방법
JP2007200258A (ja) * 2006-01-26 2007-08-09 Calling:Kk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サイトにおける共同購入とポイントシステムを組み合わせた商品の販売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1014077A (ja) * 2009-07-06 2011-01-20 Nec Corp アフィリエイト報酬額計算システム、及びアフィリエイト報酬額計算用プログラム
WO2014184919A1 (ja) * 2013-05-16 2014-11-20 楽天株式会社 報酬決定装置、報酬決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172728A4 (en) * 2014-07-24 2018-11-21 Llc Bca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critical mass in a mobile advertising, media, and communications platform
JP6767757B2 (ja) * 2016-03-11 2020-10-14 ヤフー株式会社 広告動画管理装置、広告動画管理システム、広告動画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広告動画管理方法
KR101893568B1 (ko) * 2017-02-10 2018-08-30 주식회사 힐링애드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CN108650531A (zh) * 2018-07-17 2018-10-12 北京引领海逛科技有限公司 视频内容快速匹配产品的方法和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744B1 (ko) 2018-12-21 2020-03-02 성재훈 상품 구매 및 광고 시청에 따른 적립금 분배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상품 판매 시스템
KR102287896B1 (ko) 2020-09-18 2021-08-11 윤석주 라이브 콘텐츠 기반 실시간 결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46475A1 (en) 2022-03-24
CN114341912A (zh) 2022-04-12
KR20220032633A (ko) 2022-03-15
JPWO2021049072A1 (ja) 2021-09-27
CA3152235A1 (en) 2021-03-18
JP6766313B1 (ja)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4343B2 (en) Embedded storefront
Breuer et al. Short-and long-term effects of online advertising: Differences between new and existing customers
KR101355312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7360659B2 (ja) 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システム、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Ha et al. Manufacturer rebate competition in a supply chain with a common retailer
KR20070006503A (ko) 웹 사이트 상에서 추천 컨텐츠를 통한 수익배분 시스템 및방법
US20140222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urator recommended sale of commodities
US201001216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ers access to incentive deals
JP595716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445793B2 (en) Review text output system and review text output method
KR102480789B1 (ko) 관리 서버 및 관리 프로그램
US20230336832A1 (en) Management server and management program
KR101737424B1 (ko) 사용자의 구매 및 참여 가능성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326436B1 (ko) 정보 제공 장치, 보수 지불 처리 방법, 및 보수 지불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200097544A (ko) 리셀러들을 위한 콘텐츠 큐레이션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KR20190107835A (ko) 멀티채널 쇼핑몰 시스템
US20210312496A1 (en) Management server and management program
JP7145823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KR10057056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서바이벌 이벤트 진행 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20120076694A (ko) 온라인 상품판매사이트의 상품 구매자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온라인 상품판매시스템
JP6820309B2 (ja) 販促システム、販促方法、及びプログラム
Sharma et al. Comparative Analysis on Online Vs. Offline Shopping
Prasetyo et al. The Fundamental Decision Making: TV Shopping Model as Business Strategic in Retail Industry (Case Study: PT MNC GS Homeshopping)
KR20010067813A (ko) 랭킹 시스템을 이용한 공동 역경매 방법
KR20100123280A (ko) 지식 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