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711B1 -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711B1
KR102480711B1 KR1020220060339A KR20220060339A KR102480711B1 KR 102480711 B1 KR102480711 B1 KR 102480711B1 KR 1020220060339 A KR1020220060339 A KR 1020220060339A KR 20220060339 A KR20220060339 A KR 20220060339A KR 102480711 B1 KR102480711 B1 KR 10248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efecation pad
defecation
hous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아연
구승회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6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conveying belt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면에 낙하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낙하홀을 개폐하는 지지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고,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와; 배변패드가 권취된 보빈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와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배변패드를 전개하는 패드 권취부와; 상기 패드 권취부의 보빈에 권취된 배변패드의 일측 끝단을 가압하는 패드 고정기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전개된 배변패드의 타측을 절단하는 패드 절단기와; 상기 지지판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낙하된 배변패드의 양측단을 세로방향으로 밀봉하는 수직밀봉기와; 양측단이 밀봉된 상기 배변패드의 상단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하는 수평밀봉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반려인이 직접 배변패드를 처리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배변패드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Smart companion animal defecation pad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려동물의 배변활동으로 오염된 배변패드를 반려인이 손을 대지 않고 자동으로 밀봉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1인가구와 노령가구의 증가와 같은 전통적인 가족구조의 변화와 그 외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반려동물(Companion animal)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은 강아지, 고양이로부터 토끼, 새, 햄스터 등 그 종류가 다양한데, 특히 사람과의 친밀도 및 충성도가 높은 강아지를 반려동물로서 많이 기르고 있다.
한편, 아파트 또는 빌라 등과 같이 개별적인 외부 공간이 없는 주거형태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은 주로 실내에서 생활하도록 키워지고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인 강아지의 배변활동 역시 실내에서 이루어지는데 강아지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 배변패드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배변패드를 사용하는 경우 반려견의 대변이나 소변을 바로 치우지 않으면 집안에 변 냄새가 가득 차게 되어 수시로 신경을 써주어야 하고, 배설물의 처리 과정에서 사람 또는 주변 물품에 배설 잔여물이 묻을 수 있어서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97233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배변활동으로 인해 오염된 배변패드를 반려인이 직접 자신의 손으로 처리하지 않고, 기계적 구성을 통해 자동으로 밀봉 처리함으로써 위생성이 향상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는 상면에 낙하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낙하홀을 개폐하는 지지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고,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와; 배변패드가 권취된 보빈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와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배변패드를 전개하는 패드 권취부와; 상기 패드 권취부의 보빈에 권취된 배변패드의 일측 끝단을 가압하는 패드 고정기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전개된 배변패드의 타측을 절단하는 패드 절단기와; 상기 지지판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낙하된 배변패드의 양측단을 세로방향으로 밀봉하는 수직밀봉기와; 양측단이 밀봉된 상기 배변패드의 상단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하는 수평밀봉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은 통과홀이 형성된 격벽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격벽에는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과홀을 개폐하며, 상기 수직밀봉기와 수평밀봉기는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밀봉기에 의해 양측단이 세로방향으로 밀봉된 배변패드가 상기 통과홀을 통해 낙하된 후 수평밀봉기에 의해 상단이 밀봉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 권취부는 양측 하단이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에 각각 고정된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함체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외부로 풀려 나오는 배변패드가 권취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래치휠과;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끝단이 상기 래치휠의 기어치 사이에 끼워져 배변패드가 보빈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보빈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폴(Pawl)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패드 고정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 끝부분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로 구성되어, 배변패드의 일측 끝단은 하측으로 진출한 상기 실린더의 로드 하단에 가압된다.
또한, 상기 패드 절단기는 양측 하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 양측단에 각각 고정된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모터축과 함께 회전하는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에 감겨 있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하단에 연결된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의 하단에 구비되어 배변패드의 타측을 열로 절단하는 열선;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밀봉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두 쌍의 실린더와; 상기 두 쌍의 실린더 로드 끝단에 설치된 히팅바;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밀봉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와; 상기 한 쌍의 실린더 로드 끝단에 설치된 히팅바;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패드 고정기의 옆에는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배변패드의 일측 끝단이 감지되면 상기 패드 절단기가 배변패드의 타측을 절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측부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는 서랍이 구비되어 밀봉된 배변패드가 수납된다.
또한, 상기 수직밀봉기에 의해 양측단이 세로방향으로 밀봉된 배변패드를 수평방향으로 양측에서 압박하여 배변패드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패드 압축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패드 압축기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와; 상기 한 쌍의 실린더 로드 끝단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배변패드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탄성매트;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는 반려동물이 배변패드 위에 배설물을 배출한 경우 반려인이 직접 배변패드를 처리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배변패드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변패드를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의 배설물에서 발생된 악취가 실내공간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의 컨베이어와 패드 권취부를 보인 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의 단면을 보인 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의 컨베이어와 패드 권취부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의 단면을 보인 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2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30)와,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30)에 설치되는 패드 권취부(40)와, 상기 패드 권취부(40)에서 풀려 나온 배변패드(P)을 가압하는 패드 고정기(50)와, 상기 패드 권취부(40)에서 풀려 나온 배변패드(P)를 절단하는 패드 절단기(60)와, 상기 배변패드(P)의 양측단을 밀봉하는 수직밀봉기(70)와, 상기 배변패드(P)의 상단을 밀봉하는 수평밀봉기(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본 발명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이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낙하홀(1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은 격벽(12)을 통하여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된다.
상기 격벽(12)에는 낙하홀(11)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통과홀(12a)이 형성된다. 뒤에서도 설명하겠지만 이 통과홀(12a)을 통해서 양측단이 밀봉된 배변패드(P)가 격벽(12) 아래로 낙하한다.
그리고, 격벽(12)에는 한 쌍의 도어(1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통과홀(12a)을 개폐한다. 부연하면, 격벽(12) 아래쪽에 해당되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는 한 쌍의 실린더(13a)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이 실린더(13a)의 로드가 도어(13)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실린더(13a)의 로드가 몸체 밖으로 진출하면 도어(13)가 닫히고 실린더(13a)의 로드가 몸체 안으로 진입하면 도어(13)가 열리면서 통과홀(12a)이 개방된다.
상기 지지판(20)은 상면에 전개된 배변패드(P)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반려동물이 배변패드(P) 위쪽으로 올라왔을 때 배변패드(P)와 반려동물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판(20)은 하우징(10)의 상면에 형성된 낙하홀(11)을 개폐한다.
부연하면, 격벽(12) 위쪽에 해당되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는 한 쌍의 실린더(21)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이 실린더(21)의 로드가 지지판(20)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실린더(21)의 로드가 몸체 밖으로 진출하면 지지판(20)이 닫혀 배변패드(P)를 밑에서 지지하고, 실린더(21)의 로드가 몸체 안으로 진입하면 지지판(20)이 열리면서 낙하홀(11)이 개방된다. 이렇게 낙하홀(11)이 개방되면 위쪽에 있던 배변패드(P)가 하우징(10) 내부공간으로 낙하된다.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30)는 하우징(10)의 내부 상단 양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에 설치되어 구동모터(31)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상기 구동모터(31)는 정역방향으로 모터축의 회전이 가능하여 컨베이어(30)도 마찬가지로 정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패드 권취부(40)는 배변패드(P)가 권취된 보빈(42)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30)와 함께 움직이면서 지지판(20)의 상면에 배변패드(P)를 전개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패드 권취부(40)는 함체(41)와, 상기 함체(4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42)과, 상기 보빈(42)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래치휠(43)과, 끝단이 상기 래치휠(43)의 기어치 사이에 끼워지는 폴(Pawl,44)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41)는 양측 하단이 한 쌍의 컨베이어(30)의 상측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컨베이어(30)가 회전을 하면 함체(41)도 컨베이어(30)를 따라 직선운동을 한다.
상기 보빈(42)은 외주면에 배변패드(P)가 권취된 것으로서, 함체(41)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배변패드(P)가 함체(41) 외부로 풀려 나온다. 이때 보빈(42)에 권취되는 배변패드(P)는 약간 두꺼운 비닐과 같은 것으로서 열에 의해 절단 또는 융착이 가능한 것으로 구성한다.
상기 래치휠(43)은 외측면에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된다.
상기 폴(44)은 함체(41)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끝단이 래치휠(43)의 기어치 사이에 끼워진다.
이러한 래치휠(43)과 폴(44)은 보빈(42)이 일방향으로는 회전하면서 역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즉 래치휠(43)과 폴(44)은 배변패드(P)가 보빈(42)에서 풀려 나오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되도록 하면서 배변패드(P)가 보빈(42)에 권취되는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패드 고정기(50)는 패드 권취부(40)의 보빈(42)에 권취된 배변패드(P)의 일측 끝단을 가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패드 고정기(50)는 하우징(10)의 상측 끝부분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로 구성된다.
그리고, 패드 권취부(40)에서 풀려 나온 배변패드(P)의 일측 끝단은 패드 고정기(50)와 하우징(10)의 상면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패드 고정기(50)인 실린더의 로드(51)가 하측으로 진출하면 배변패드(P)의 일측 끝단은 실린더의 로드(51) 하단과 하우징(10)의 상면 사이에서 강하게 가압되어 배변패드(P)를 반대쪽으로 잡아당기더라도 배변패드(P)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상기 패드 절단기(60)는 하우징(10)의 상면과 지지판(20)의 상면에 전개된 배변패드(P)의 타측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패드 절단기(60)는 함체(61)와, 상기 함체(61)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62)와, 상기 모터(62)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모터축과 함께 회전하는 권취봉(63)과, 상기 권취봉(63)에 감겨 있는 와이어(64)와, 상기 와이어(64)의 하단에 연결된 무게추(65)와, 상기 무게추(65)의 하단에 구비된 열선(66)으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61)는 양측 하단이 하우징(10)의 상면 양측단에 각각 고정된다. 부연하면 함체(61)는 양측단이 하우징(10)의 상면에 고정되되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 아래 공간으로 패드 권취부(40)가 컨베이어(30)를 따라 직선운동한다.
상기 권취봉(63)은 함체(61)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모터(62)로부터 제공된 동력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64)가 외주면에 감기도록 하거나 외주면에 감겨 있던 와이어(64)가 풀리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64)는 권취봉(63)의 일측 끝부분과 타측 끝부분에 각각 하나씩 감겨 있다.
상기 무게추(65)는 일정한 중량을 갖는 것으로서, 와이어(64)의 하단에 연결되어 와이어(64)를 아래쪽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모터(62)의 모터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64)가 권취봉(63)에서 풀려 나오게 하면 무게추(65)의 중량에 의해 와이어(64)가 아래쪽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겨진다.
상기 열선(66)은 무게추(65)의 하단에 구비되어 무게추(65)와 함께 승강한다. 이러한 열선(66)은 배변패드(P)의 타측을 열로 절단한다.
즉, 패드 권취부(40)의 보빈(42)에서 풀려 나온 배변패드(P)의 일측 끝단이 패드 고정기(5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패드 권취부(40)가 패드 고정기(50)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면 배변패드(P)가 보빈(42)에서 풀려 나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하우징(10)의 상면과 지지판(20)의 상면에 배변패드(P)가 전개되면 패드 절단기(60)의 열선(66)이 하강하여 하우징(10) 상면측에 위치한 배변패드(P)의 타측을 열로 절단한다.
상기 수직밀봉기(70)는 지지판(20)이 하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낙하된 배변패드(P)의 양측단을 세로방향으로 밀봉한다. 이러한 수직밀봉기(70)는 두 쌍의 실린더(71)와, 상기 두 쌍의 실린더 로드 끝단에 설치된 히팅바(72)로 구성된다.
상기 두 쌍의 실린더(71)는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 히팅바(72)는 실린더(71)의 로드 끝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따라서 실린더(71)의 로드가 전진하면 서로 마주보는 히팅바(72)는 서로를 향해 가깝게 이동하다가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배변패드(P)의 양쪽 끝단을 세로 방향으로 열융착하여 밀봉한다.
여기서, 지지판(20)이 아래로 회동하여 배변패드(P)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낙하될 때 배변패드(P)의 상측부분은 지지판(20)의 상면에 걸쳐져 있는 형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양측단이 열융착된다.
그리고, 배변패드(P)의 열융착시 배변패드(P)의 하단은 도어(13)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이다.
상기 수평밀봉기(80)는 양측단이 밀봉된 배변패드(P)의 상단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한다.
즉, 수직밀봉기(70)와 수평밀봉기(80)는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되 격벽(12)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데, 수직밀봉기(70)에 의해 양측단이 세로방향으로 밀봉된 배변패드(P)가 격벽(12)의 통과홀(12a)을 통해 낙하된 후 수평밀봉기(80)에 의해 상단이 밀봉된다.
이러한 수평밀봉기(80)는 한 쌍의 실린더(81)와, 상기 한 쌍의 실린더(81) 로드 끝단에 설치된 히팅바(82)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실린더(81)는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 히팅바(82)는 실린더(81)의 로드 끝단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따라서 실린더(81)의 로드가 전진하면 서로 마주보는 히팅바(82)는 서로를 향해 가깝게 이동하다가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배변패드(P)의 상단 부분을 가로 방향으로 열융착하여 밀봉한다. 이로써 배변패드(P)는 그 안에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수용한 상태로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다.
여기서, 배변패드(P)의 상단 부분이 수평밀봉기(80)에 의해 열융착될 때 배변패드(P)는 하우징(10)의 하측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입되는 서랍(90)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배변패드(P)가 일정량 이상 수납되면 서랍(90)을 잡아당겨 내부에 수납된 배변패드(P)를 버리면 된다.
한편, 패드 고정기(50)의 옆에는 센서(52)를 설치하여 센서(52)에 의해 배변패드(P)의 일측 끝단이 감지되면 패드 절단기(60)가 배변패드(P)의 타측을 자동으로 절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패드 압축기(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 압축기(100)는 수직밀봉기(70)에 의해 양측단이 세로방향으로 밀봉된 배변패드(P)를 수평방향으로 양측에서 압박하여 배변패드(P)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배변패드(P)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패드 압축기(10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실린더(110)와, 상기 한 쌍의 실린더(110) 로드 끝단에 설치되는 지지판(120)과, 상기 지지판(120)에 설치되는 탄성매트(130)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실린더(11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120)은 로드 끝단에 설치되어 로드가 전후진할 때 함께 전후진한다. 이러한 지지판(120)은 딱딱한 경성 재질로 만들어져 탄성이 없다.
상기 탄성매트(130)는 지지판(12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지지판(120)과 함께 움직임으로써 배변패드(P)의 양측면을 가압한다. 이러한 탄성매트(130)는 스폰지와 같은 고탄성 재질로 만들어져 배변패드(P)를 양측에서 눌렀을 때 배변패드(P)의 양측면을 완전히 밀착시키지는 않고 반려동물의 배변 형태에 따라 살짝 눌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의 처리장치의 동작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0)의 상면과 지지판(20)의 상면에 배변패드(P)가 전개된 상태에서 반려동물이 배변패드(P)의 상면에 배설물을 배출하면 하우징(10)의 상면 또는 지지판(2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미도시)가 배설물을 감지한다(센서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반려인이 배설물을 배출 사실을 인지한 후 하우징 일측에 구비된 동작버튼(미도시)을 눌러 본 발명의 배변패드 처리장치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배설물이 감지되면 지지판(20)이 하측으로 회동하여 배변패드(P)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낙하된다.
배변패드(P)가 낙하되면 배변패드(P)는 격벽(12)에 설치된 도어(13)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상단부분이 지지판(20)에 걸쳐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수직밀봉기(70)에 의해 배변패드(P)의 양측단이 상하방향으로 열융착된다.
배변패드(P)의 양측단이 상하방향으로 열융착되고 난 이후에는 패드 압축기(100)의 실린더(110) 로드에 설치된 지지판(120)과 탄성매트(130)가 양쪽에서 전진하여 배변패드(P)를 가압한다. 이렇게 탄성매트(130)가 배변패드(P)를 양쪽에서 가압하면 배변패드(P) 내부에 있는 공기가 개방된 배변패드(P)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배변패드(P)의 부피가 감소한다.
이후 도어(13)가 하측으로 회동하여 배변패드(P)가 서랍(90) 내부로 낙하된다. 이 상태에서 수평밀봉기(80)에 의해 배변패드(P)의 상단이 좌우방향으로 열융착된다.
이렇게 배변패드(P)의 밀봉작업이 끝난 이후에는 도어(13)와 지지판(20)이 원위치된다.
이후 컨베이어(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드 고정기(50)의 맞은편에 멀리 떨어져 있던 패드 권취부(40)가 패드 고정기(50) 쪽으로 이동하여 배변패드(P)의 일측 끝단이 패드 고정기(5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패드 고정기(50)인 실린더의 로드가 하측으로 진출하여 배변패드(P)의 일측 끝단을 강하게 가압한다.
배변패드(P)의 일측 끝단이 가압된 후에는 컨베이어(3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드 권취부(40)가 패드 고정기(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되면 패드 권취부(40)의 보빈(42)에서 배변패드(P)가 풀려 나오면서 하우징(10)의 상면과 지지판(20)의 상면에 전개된다.
배변패드(P)가 전개된 이후에는 패드 절단기(60)의 열선(66)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배변패드(P)의 타측을 절단함으로써 반려동물이 배변패드(P) 위에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10: 하우징 11: 낙하홀
12: 격벽 12a: 통과홀
13: 도어 13a: 실린더
20: 지지판 21: 실린더
30: 컨베이어 31: 구동모터
40: 패드 권취부 41: 함체
42: 보빈 43: 래치휠
44: 폴 50: 패드 고정기
51: 로드 52: 센서
60: 패드 절단기 61: 함체
62: 모터 63: 권취봉
64: 와이어 65: 무게추
66: 열선 70: 수직밀봉기
71: 실린더 72: 히팅바
80: 수평밀봉기 81: 실린더
82: 히팅바 90: 서랍
P: 배변패드

Claims (11)

  1. 상면에 낙하홀(11)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낙하홀(11)을 개폐하는 지지판(2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고, 구동모터(31)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30)와;
    배변패드(P)가 권취된 보빈(42)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30)에 설치되어 컨베이어(30)와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배변패드(P)를 전개하는 패드 권취부(40)와;
    상기 패드 권취부(40)의 보빈(42)에 권취된 배변패드(P)의 일측 끝단을 가압하는 패드 고정기(50)와;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전개된 배변패드(P)의 타측을 절단하는 패드 절단기(60)와;
    상기 지지판(20)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낙하된 배변패드(P)의 양측단을 세로방향으로 밀봉하는 수직밀봉기(70)와;
    상기 수직밀봉기(70)에 의해 양측단이 세로방향으로 밀봉된 배변패드(P)를 수평방향으로 양측에서 압박하여 배변패드(P)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패드 압축기(100)와;
    양측단이 밀봉된 상기 배변패드(P)의 상단을 가로방향으로 밀봉하는 수평밀봉기(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통과홀(12a)이 형성된 격벽(12)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격벽(12)에는 도어(1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과홀(12a)을 개폐하며,
    상기 수직밀봉기(70)와 수평밀봉기(80)는 상기 격벽(12)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밀봉기(70)에 의해 양측단이 세로방향으로 밀봉된 배변패드(P)가 상기 통과홀(12a)을 통해 낙하된 후 수평밀봉기(80)에 의해 상단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 권취부(40)는 양측 하단이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30)에 각각 고정된 함체(41)와;
    상기 함체(4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함체(41)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외부로 풀려 나오는 배변패드(P)가 권취된 보빈(42)과;
    상기 보빈(42)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래치휠(43)과;
    상기 함체(41)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끝단이 상기 래치휠(43)의 기어치 사이에 끼워져 배변패드(P)가 보빈(42)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보빈(42)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폴(Pawl,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 고정기(5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측 끝부분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로 구성되어, 배변패드(P)의 일측 끝단은 하측으로 진출한 상기 실린더의 로드(51) 하단에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 절단기(60)는 양측 하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양측단에 각각 고정된 함체(61)와;
    상기 함체(61)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62)와;
    상기 모터(62)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모터축과 함께 회전하는 권취봉(63)과;
    상기 권취봉(63)에 감겨 있는 와이어(64)와;
    상기 와이어(64)의 하단에 연결된 무게추(65)와;
    상기 무게추(65)의 하단에 구비되어 배변패드(P)의 타측을 열로 절단하는 열선(6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밀봉기(7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두 쌍의 실린더(71)와;
    상기 두 쌍의 실린더(71) 로드 끝단에 설치된 히팅바(7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밀봉기(8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81)와;
    상기 한 쌍의 실린더(81) 로드 끝단에 설치된 히팅바(8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 고정기(50)의 옆에는 센서(52)가 설치되어 상기 센서(52)에 의해 배변패드(P)의 일측 끝단이 감지되면 상기 패드 절단기(60)가 배변패드(P)의 타측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하측부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는 서랍(90)이 구비되어 밀봉된 배변패드(P)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 압축기(10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110)와;
    상기 한 쌍의 실린더(110) 로드 끝단에 설치되는 지지판(120)과;
    상기 지지판(120)에 설치되어 상기 배변패드(P)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탄성매트(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KR1020220060339A 2022-05-17 2022-05-17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KR10248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339A KR102480711B1 (ko) 2022-05-17 2022-05-17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339A KR102480711B1 (ko) 2022-05-17 2022-05-17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711B1 true KR102480711B1 (ko) 2022-12-22

Family

ID=8457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339A KR102480711B1 (ko) 2022-05-17 2022-05-17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71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5297A (ja) * 2008-05-30 2009-12-10 Hikari Furniture Co Ltd トイレ装置
KR20140011163A (ko) * 2012-07-18 2014-01-28 박천순 애완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KR20150074552A (ko) * 2013-12-24 2015-07-02 이덕규 인분 퇴비화를 위한 인분 자동수거 장치
KR20160142507A (ko) * 2015-06-03 2016-12-13 나상민 반려동물 자동 배변 밀폐 처리장치
KR20170139960A (ko) * 2016-06-10 2017-12-20 노현길 용변처리장치
KR101972338B1 (ko) 2018-10-02 2019-04-25 주식회사 피앤엘코리아 애완견용 배변 자동 처리장치
KR20200015193A (ko) * 2018-08-03 2020-02-12 이미화 반려동물용 배변 처리장치
KR20220084820A (ko) * 2020-12-14 2022-06-21 윤영빈 배변패드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5297A (ja) * 2008-05-30 2009-12-10 Hikari Furniture Co Ltd トイレ装置
KR20140011163A (ko) * 2012-07-18 2014-01-28 박천순 애완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KR20150074552A (ko) * 2013-12-24 2015-07-02 이덕규 인분 퇴비화를 위한 인분 자동수거 장치
KR20160142507A (ko) * 2015-06-03 2016-12-13 나상민 반려동물 자동 배변 밀폐 처리장치
KR20170139960A (ko) * 2016-06-10 2017-12-20 노현길 용변처리장치
KR20200015193A (ko) * 2018-08-03 2020-02-12 이미화 반려동물용 배변 처리장치
KR101972338B1 (ko) 2018-10-02 2019-04-25 주식회사 피앤엘코리아 애완견용 배변 자동 처리장치
KR20220084820A (ko) * 2020-12-14 2022-06-21 윤영빈 배변패드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878B1 (ko) 반려동물 자동 배변 밀폐 처리장치
US7958846B2 (en) Animal litter device
KR101578491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CA2647955C (en) Animal litter device
US5279258A (en) Automated portable pet toilet
KR102311995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1070284B1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US6827035B2 (en) Self-refreshening litter box
US8316801B1 (en) Waste disposal system for canines
CN105918141A (zh) 智能猫砂盆
KR101610777B1 (ko) 애완동물 배변기
US20160007560A1 (en) Animal waste pad system
KR2014000210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80711B1 (ko)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패드 처리장치
CN106305441B (zh) 一种宠物粪便处理保姆机及处理方法
KR200477509Y1 (ko) 애완동물 배변판
CN211960500U (zh) 一种新型宠物兔集便器
KR102307252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WO2019123960A1 (ja) 犬用トイレ
KR102585328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20170066995A (ko)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GB1563204A (en) Animal stall provided with a multi-layer bedding material
CN213153425U (zh) 一种畜牧养殖用自动撒料装置
CN209463901U (zh) 一种生态厕所
CN218353910U (zh) 一种防臭猫厕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