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446B1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446B1
KR102480446B1 KR1020210018009A KR20210018009A KR102480446B1 KR 102480446 B1 KR102480446 B1 KR 102480446B1 KR 1020210018009 A KR1020210018009 A KR 1020210018009A KR 20210018009 A KR20210018009 A KR 20210018009A KR 102480446 B1 KR102480446 B1 KR 10248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housing
spac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695A (ko
Inventor
서진호
박재용
이광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4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8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06F39/4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상기 의류처리실과 분리되어 상기 의류처리실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기계실을 가진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생성된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구를 가진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급수구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의류에 대하여 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의 각종 처리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젖은 의류를 건조하거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거나, 의류의 주름을 개선하는 등 의류에 대한 각종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이다.
최근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개선시키는 스티머(steamer) 등이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되도록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리프레셔는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개선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키고, 스티머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다리미와 다르게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의류의 구김을 개선 및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향해 스팀(steam)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스팀발생장치가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급수통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급수하여야 하는데, 스팀발생장치에 급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안에 요구되고 있다.
KR 10-1430477 B1
본 발명은, 급수통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스팀발생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급수할 때, 스팀발생장치에 급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별도의 추가 구성요소 없이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상기 의류처리실과 분리되어 상기 의류처리실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기계실을 가진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생성된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구를 가진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급수구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급수구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급수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제1 공간과,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구를 가진 제2 공간과,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구분하되,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상기 스팀토출구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제1 유로를 가진 공간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1 유로 상에 마련되어, 스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급수구는, 상기 제1 유로 상에 마련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급수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가열장치와 상기 스팀토출구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격벽 중 하나는 상기 급수구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이용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 급수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된 공간의 저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제1 공간과,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구를 가진 제2 공간과,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구분하되,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상기 스팀토출구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제1 유로를 가진 공간분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상기 제2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공간측으로 갈수록 저면이 낮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분리된 기계실 내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에 있어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생성된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구를 가진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급수구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통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스팀발생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급수할 때, 스팀발생장치에 급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별도의 추가 구성요소 없이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실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스팀발생장치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스팀발생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스팀발생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또 다른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유로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유로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스팀행정단계를 구체화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의류처리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실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11)과, 의류처리실(11)의 하부에 분리되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가열 또는 순환시켜,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되는 기계실(2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은 하나의 캐비넷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의류처리실(11)의 전방에는 의류처리실(11) 개폐를 위한 도어(140)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비넷 또는 도어(40)의 외면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작동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 또는 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갖되,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유입구(12a)과, 공기유입구(12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다시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하기 위한 공기토출구(12b)가 의류처리실(11)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는 기계실(20)과 근접한 의류처리실(11)의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은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을 구분하는 가로면으로서 반드시 수평의 편평한 형태만을 가리키진 않는다.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의 의류처리실(11) 내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2a)는 의류처리실(11)의 전방 도어(40)측에 위치할 수 있고, 공기배출구(12b)는 의류처리실(11)의 후방 배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 내부, 구체적으로 후면에는 기계실(20) 내부에 마련된 스팀발생장치(100)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부(13)가 위치하여,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를 향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100)와 스팀분사부(13)는 호스로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장치(100)에 의해 발생된 스팀은 호스를 따라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스팀분사부(13)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스팀발생장치(100)가 스팀을 발생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100)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급수통(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은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물채움알림시 급수통(31)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보충한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통(31)에서 스팀발생장치(100)의 급수구(17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급수펌프장치는 급수통(31)의 일면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스팀발생장치(100)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미도시)는 급수통(31)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급수통(31) 내 물이 소정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저수위인 경우 외부로 물채움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상기 급수통(31) 이외에 응축수가 집수되는 배수통(32)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 내부나 기계실(20) 내부에 스팀공급 등으로 발생된 응축수를 섬프에 집수하고, 섬프에 집수된 응축수는 응축수펌프장치에 의해 배수통(32)으로 유도될 수 있다.
배수통(32)은 급수통(31)과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응축수배출알림시 배수통(32)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버린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통(32) 역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는 배수통(32)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배수통(32) 내 물이 소정 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고수위인 경우 외부로 응축수배출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발생장치
전술한 바와 같이, 기계실(20) 내부에는 급수통(31)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100)와, 급수통(31)에서 스팀발생장치(100)의 급수구(17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스팀발생장치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6은 각각 도 3의 스팀발생장치의 배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1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진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 수용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장치(120)는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명령에 따라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물을 직·간접적으로 가열하여 기화시키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물을 가열하고, 기화된 스팀이 하우징(110)의 상부로 상승하여 스팀토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스팀토출구(130)를 통해 토출된 스팀은 호스를 따라 스팀분사부(13)에 공급되어, 스팀분사부(13)가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에 스팀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팀토출구(130)는 기화된 스팀이 외부로 토출되기 위한 구멍으로써 하우징(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의류처리실(11) 하부의 기계실(20) 내 마련된 스팀발생장치(100)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의류처리실(11) 내 스팀분사부(13)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장치(120)는 물을 직·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예로서, 온도 변화가 빠르면서 온도 제어가 용이한 발열 가능한 세라믹 히터일 수 있다. 가열장치(120)는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서 단면이 원형인 막대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가열장치(120)는 하우징(110)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가열장치(1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하우징(110)은, 도 3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하우징(110)은 물 수용공간을 갖도록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12)와, 본체(112)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112)의 상부 가장자리와, 이와 마주하는 커버(111)의 저면 사이에는 기밀성 및 수밀성을 갖기 위해 씰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에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구(130)를 가질 수 있고, 스팀토출구(130)와 반대로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물을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멍으로서 배수구(140)는 하우징(110)의 하부, 구체적으로 저면 또는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일 측에는 외부에서 급수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170)가 마련될 수 있으며, 급수구(170)를 통해 외부의 급수통(31)에 수용된 물이 급수펌프장치에 의해 가압되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급수구(170)는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되, 여기서 급수구(17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위치한 급수구(170)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물은, 도 8의 도면부호 b의 유로를 따라 하부로 낙하할 수 있고, 낙수는 급수구(170)의 하부에 위치한 온도센서(160)에 접촉한 다음, 하우징(110) 내부에 저수될 수 있다.
급수구(170)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물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급수펌프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급수호스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의 급수구(170) 전방에는 격벽이 마련될 수 있고, 급수구(170)를 통해 유입된 물이 격벽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유도하여, 물이 온도센서(160)에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60)는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 설치될 수 있고, 그 설치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급수구(170)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급수구(170)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구(170)의 하부에 온도센서(160)의 측정부가 위치하여, 급수구(170)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물이 접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도센서(160)가 급수구(17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온도센서(160)는 하우징(110) 내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수단(15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저수위 상태의 하우징(110)에 급수구(170)를 통해 급수할 때 낙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160)는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액체와 기체를 포함한 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160)는 급수구(170)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경우, 낙하하는 물이 접촉하여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급수구(170)를 통해 물이 유입되지 않는 경우 온도센서(160)는 하우징(110)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열장치(120)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하는 경우 온도센서(160)는 발생하는 스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이용하여 스팀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센서(160)는 급수구(17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접촉할 수 있도록 급수구(170)의 하부에 위치하되, 이와 동시에 가열장치(120)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스팀토출구(13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유로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급수펌프장치를 작동하여 급수통(31)에서 하우징(110)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후 제어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이용하여 급수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100)는 하우징(110) 내 수용된 물의 높이를 감지 또는 측정하기 위한 수위감지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수단(150)의 설치 높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가열장치(120)의 상부 그리고 온도센서(160)의 상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열장치(120)가 세라믹히터 따위와 같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이상과열되어 화재나 고장을 일으키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는 수위감지수단(150)에 의해 물이 감지되지 않았을 때 급수펌프장치를 작동하고 급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가열장치(120)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에서 작동되지 않도록 가열장치(120)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팀발생장치(100)는 복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수위감지수단(150) 역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수단(150)은 하우징(110) 내 소정의 높이에 하나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수위감지수단(150)을 이용하여 전도도 등을 측정함으로써 수위감지수단(150)이 설치된 해당 높이에 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제어부는 수위감지수단(150)이 설치된 높이를 기준으로 하우징(110) 내 수위의 고·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위감지수단(150)에 물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하우징(110) 내 고수위(또는 만수위)임을 판단할 수 있고, 수위감지수단(150)에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하우징(110) 내 저수위임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가 수위감지수단(150)을 이용하여 하우징(110) 내 저수위임을 판단한 경우, 급수펌프장치를 작동하여 급수통(31) 내 저장된 물을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토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100)는, 가열장치(120)의 이상과열을 감지하여 가열장치(1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시키기 위한 안전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에 의한 가열장치(120)의 작동 제어 이외에, 추가로 안정장치(180)를 이용하여 2중으로 스팀발생장치(100)의 화재나 고장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또 다른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가열장치(120)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제1 공간(S1)과, 가열장치(120)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구(130)를 가진 제2 공간(S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제1 및 제2 공간(S1, S2)을 분리하기 위해 제1 및 제2 공간(S1,S2) 사이에 개재된 공간분리부(113~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간(S1)은 공간 내 수용된 물을 가열장치(120)에 의해 기화되는 공간을 가리키고, 제2 공간(S2)은 공간분리부(113~115)를 거쳐 상기 제1 공간(S1)으로부터 유입된 스팀이 스팀토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공간을 가리킬 수 있다. 이때, 제1 공간(S1)은 제2 공간(S2) 보다 부피가 큰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공간분리부(113~115)는 제1 및 제2 공간(S1, S2)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분리부(113~115)는 가열장치(120)와 스팀토출구(130) 사이에 위치한 복수 개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격벽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면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판상일 수 있고, 상기 격벽은 일 면상 적어도 일부에 돌출부가 부가된 형태 따위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온도센서(160) 또는 급수구(170)의 전방에 위치한 제3 격벽(115)은 상기 온도센서(160) 또는 급수구(170)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벽(115a, 11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격벽(115)과 이로부터 돌출 형성된 가이드벽(115a, 115b)에 의해 단면이 'ㄷ'자인 요홈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요홈을 향하여 급수구(170)에서 하우징(110) 내부로 물이 유입됨으로써, 물이 흩어지지 않고 요홈의 내벽을 따라 하방으로 유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요홈에 온도센서(160)가 마련됨으로써, 요홈의 내벽을 따라 하방으로 유도되는 물이 온도센서(160)에 집중되도록 하여, 온도센서(160)가 급수구(17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공간분리부(113~115)의 복수 개의 격벽은, 격벽의 말단부가 마주하는 하우징(110)의 내벽과의 사이에 서로 이격하도록 마련되어,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제1 공간(S1)에서 발생된 스팀이 제2 공간(S2)의 스팀토출구(130)로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격벽과 하우징(11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이격 공간들은 제1 및 제2 유로(f1, f2)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유로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제1 유로(f1)는 하우징(110)의 내상벽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가리키고, 제2 유로(f2)는 하우징(110)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가리킬 수 있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공간(S1, S2) 사이에는 공간분리부(113~115)가 개재될 수 있으며, 공간분리부(113~115)는, 상부에 제1 개구부(op1)를 가진 제1 격벽(113)과, 상부에 제2 개구부(op2)를 가진 제2 격벽(114)과, 상기 서로 대향한 제1 및 제2 개구부(op1, op2) 사이를 차단하는 제3 격벽(115)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3 격벽(115)의 말단부에도 이와 마주하는 하우징(110)의 내벽과 이격하도록 제3 개구부(op3)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3 격벽(115)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제1 및 제2 개구부(op1, op2)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개구부(op1, op2)의 상하방향의 높이보다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격벽(113, 114)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제1 공간(S1)에서 발생된 스팀이 하우징(110)의 내상부에서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제1 및 제2 개구부(op1, op2)의 높이보다 상당히 긴 것이 바람직하며, 제3 격벽(115)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op1, op2)의 높이보다 길지만 제1 및 제2 격벽(113, 114)의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상당히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및 제2 격벽(113, 114)의 상하방향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도 8 참조).
제1 공간(S1)의 위치를 전방, 제2 공간(S2)의 위치를 후방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제3 격벽(115)의 위치는 제1 및 제2 격벽(113, 114) 사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나, 전방에 위치한 제1 격벽(113)과 후방에 위치한 제2 격벽(114) 사이의 위치이면 족하다.
결국, 제1 공간(S1)에서 발생된 스팀은 제1 개구부(op1) - 제3 개구부(op3) - 제2 개구부(op2)를 순차로 거치는 대략 U자형의 제1 유로(f1)를 통해 스팀토출구(130)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열장치(120)에 의해 발생된 스팀은, 제1 및 제2 개구부(op1, op2) 사이를 가로막는 제3 격벽(115)에 의하여, 복수의 격벽 사이를 우회하여 스팀토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격벽(113~115)의 위치는 앞선 실시예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유로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공간(S1, S2) 사이에 개재된 공간분리부(113'~115')는 상부에 제1 개구부(op1)를 가진 제1 격벽(113')과, 상부에 제2 개구부(op2)를 가진 제2 격벽(114')과, 제1 격벽(113)의 앞, 즉 제1 공간(S1) 측에 위치하여 제1 개구부(op1)의 전방을 차단하는 제3 격벽(115')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3 격벽(115')의 말단부에도 이와 마주하는 하우징(110)의 내벽과 이격하도록 제3 개구부(op3)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공간(S1)의 위치를 전방, 제2 공간(S2)의 위치를 후방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제3 격벽(115')의 위치는 제1 격벽(113')의 전방에 위치하면 족하나, 제3, 제1 및 제2 격벽(115', 113', 114')들 간의 간격이 균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수위감지수단(150)이 마련되되, 이때, 수위감지수단(150)은 상기 제2 공간(S2)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물이 가열되는 제1 공간(S1)과, 하우징(110) 내 수위를 측정 또는 감지하는 제2 공간(S2)이 공간분리부(113~115)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가열장치(120)는 전체 공간 중 분리 구획된 일부의 제1 공간(S1)에 수용된 비교적 적은 용량의 물만 가열하여 신속히 기화시킴으로써 초기 스팀분사가 이루어지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 제1 공간(S1)에 마련된 가열장치(120)에 의해 물이 기화될 때 발생하는 수면의 흔들림은 공간분리부(113~115)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제2 공간(S2)에 마련된 수위감지수단(150)이 수위를 감지할 때 감지 오류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말해, 동일한 물을 수용하는 하우징(110)에 동일열량의 가열장치를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적은 용량의 물만 가열하여 신속히 기화시킴으로써 초기 스팀분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반대로 초기 스팀분사를 신속히 하기 위해, 가열장치(120)가 마련된 공간 이외의 공간은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스팀발생장치(100)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위감지수단(150)이 마련된 상기 제2 공간(S2)의 저면(a)은 경사진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수단(150)은 하우징(110) 내 소정의 높이에 하나만 설치되어, 물의 감지 여부에 따라 저수위/고수위를 판정하도록 하기 때문에, 수면의 흔들림에 의해 수위감지수단(150)에 의한 측정 결과는 불규칙하게 빠른 속도로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위를 판정하는 제어부는 채터링(chattering)에 의해 오판정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위감지수단(150)이 마련된 공간을 형성하는 저면(a)을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경사면을 따라 수면이 형성되는 경우, 수면의 흔들림이나 수위의 변화는 경사면에 의해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채터링을 상쇄하여, 이를 근거로 수위를 판정하는 제어부의 오판정 문제는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저면(a)의 경사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제2 공간(S2)의 저면이 제1 공간(S1)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즉, 저면(a)을 하우징(110) 내 물이 제1 공간(S1)으로 집수되도록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가열장치(120)가 하우징(110) 내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기화시킬 때, 가열장치(120) 주변에 외부로부터 가열되지 않은 물이 급수되지 않도록 하고, 온도센서(160)가 급수구(17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급수구(170)는 상기 제2 공간(S2)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구(170)는 온도센서(16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급수구(17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낙하할 때 발생하는 수면의 흔들림이나 소음을 줄이기 위해, 급수구(170)의 내측말단부를 제3 격벽(115) 근처까지 연장형성토록 하거나, 또는 급수구(170)의 전방에 위치한 제3 격벽(115)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벽(115a, 115b)을 마련하여 가이드벽(115a, 115b)에 의해 형성된 요홈 내부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공간(S2)으로 급수된 물은 가이드벽(115a, 115b)을 따라 낙하하여 하우징(110) 내부에 저수되되, 낙수 과정에서 온도센서(160)를 접촉할 수 있다.
이렇게 제2 공간(S2)으로 급수된 물이 가열장치(120)가 마련된 제1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간분리부(113~115)는 제2 유로(f2)를 가질 수 있다(도 10 및 11 참조). 즉 제2 공간(S2) 내 급수구(170)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2 유로(f2)에 의해 제1 공간(S1)과 공유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0(b) 및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격벽(113, 113', 114, 114')은 각각의 일 측부에 제1' 및 제2' 개구부(op1', op2')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격벽(113, 113', 114, 114')의 각 일 측부는 하우징(110)의 내벽과 접하지 않고 이격 형성됨으로써, 물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구부(op1', op2')를 거쳐 흐르는 제2 유로(f2)가 형성될 때, 제1' 및 제2' 개구부(op1', op2')는 서로 대향하지 않고, 엇갈려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b)와 도 11(b) 각각에 도시한 제1' 및 제2' 개구부(op1', op2')의 엇갈린 방향은 서로 다르나, 본 발명은 그 중 어느 것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제1' 및 제2' 개구부(op1', op2')가 서로 엇갈려 제1 및 제2 격벽(113, 113', 114, 114')이 배치됨으로써, 제1 공간(S1)에 마련된 가열장치(120)에 의해 물이 기화될 때 발생하는 수면의 흔들림은 제2 공간(S2)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100)는 공간분리부(113~115)를 통해 제1 및 제2 공간(S1, S2)이 구분되나, 스팀이 이동하는 제1 유로(f1)와 물이 이동하는 제2 유로(f2)를 분리함으로써, 하우징(110) 내 물이 있는 하부와 스팀이 있는 상부가 분리되어, 서로 간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발생된 스팀의 재액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구(170)의 하부에 위치하여 급수구(17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급수구(170)의 하부에 온도센서(16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160)는 스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스팀의 온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가열장치(120)에 의해 가열되어 발생된 스팀이 스팀토출구(130)를 향하여 이동하는 상기 제1 유로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16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위치하되, 급수구(17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 온도센서(160)는 전방에 마련된 제3 격벽(115)을 향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3 격벽(115)에 돌출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벽(115a, 115b)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온도센서(160)를 이용하여, 가열장치(120)가 작동 중일 때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이용하여 스팀발생장치 내 스팀발생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급수펌프장치가 작동 중일 때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이용하여 급수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급수펌프장치의 작동 전과 작동 후에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변화를 이용하여, 급수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급수의 이상은 급수펌프장치의 고장이나 급수호스 또는 급수구(170)의 막힘 등에 의해 급수량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를 모두 가리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가 급수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스팀발생장치(100)의 가열장치(120)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행정단계(S10)와, 그 다음 의류처리실(11) 내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처리실(11)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스팀행정단계를 구체화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스팀행정단계(S1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스팀발생장치(100)의 가열장치(120)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단계(S120)와, 수위감지수단(150)을 이용하여 하우징(110) 내 수위가 기 설정된 지정수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30)와, 수위가 상기 지정수위 미만이면, 급수펌프장치를 작동하여 스팀발생장치(100)의 급수구(17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S140)와, 온도센서(160)를 이용하여, 급수구(170)를 통해 스팀발생장치(100)의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제1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우징(110) 내부로의 급수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이용하여, 급수통(31)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스팀발생장치(100)의 하우징(110) 내부로 급수할 때, 스팀발생장치(100)에 급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먼저, 가열장치(120)가 작동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스팀토출구(130)를 통해 스팀을 분사하는 단계(S120)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스팀발생명령에 따른 스팀분사시간이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의류처리코스 중 어느 한 행정에 따른 스팀분사시간 등의 기 설정된 시간만큼 스팀이 발생 및/또는 분사하도록 제어부는 가열장치(120)를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하우징(110) 내 스팀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이용하여 스팀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스팀발생장치(100)에서 스팀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가열장치(120)의 작동에 의해 물이 기화되어 스팀이 발생하는 중이면,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은 100℃일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이 100℃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제어부는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을 근거로 스팀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스팀의 온도의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온도센서(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로(f1) 상에, 그리고 제2 공간(S2) 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는 제1 유로(f1) 상에 설치된 온도센서(160)를 이용하여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스팀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스팀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100)가 스팀을 발생하여 스팀분사부(13)를 통해 스팀의 분사를 시작한 이후,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스팀이 발생하도록 또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스팀을 분사하도록 하기 위해, 기 설정된 스팀분사시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S131)할 수 있다.
만약, 스팀발생 및/또는 스팀분사를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스팀분사시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스팀분사(S120)를 지속하고, 그렇지 않고 현재 스팀분사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장치(120)의 작동을 정지하고 스팀행정단계(S10)를 종료할 수 있다.
가열장치(120)를 작동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을 의류처리실(11)에 분사(S120)시킨 다음에, 제어부는 수위감지수단(150)을 이용하여 하우징(110) 내 수위를 감지(S130)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수단(150)은 하우징(110) 내 소정의 높이에 하나만 마련되어, 설치 높이에 물의 감지여부에 따라 해당 높이를 기준으로 하우징(110) 내 수위의 고·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수위감지수단(150)을 이용하여 기 지정된 수위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급수펌프장치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최초 스팀을 발생하여 스팀을 분사한 이후, 수위감지수단(150)에 의해 기 지정된 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 급수펌프장치를 작동(S140)하여 급수통(31)에 수용된 물을 하우징(110) 내로 공급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수위감지수단(150)에 의해 기 지정된 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팀발생 및 분사과정(S120)을 지속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100)는 하우징(100) 내 공간을 구획하여 비교적 적은 용량의 물에 대해 짧은 주기로 스팀을 반복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최초 스팀 발생 및 분사 이후 급수펌프를 작동하는 단계(S140)는 최초 하우징(110) 내 투입되는 급수량(q1)보다 적은 급수량(q2)만큼 급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팀행정단계(S10)를 최초 시작할 때, 스팀분사단계(S120) 이전에 제어부는 수위감지수단(150)을 이용하여 기 지정된 수위가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기 지정된 수위가 감지되면 스팀분사단계(S120)에서 스팀을 발생 및 분사하면 되지만, 기 지정된 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 급수펌프장치를 작동(S121)하되, 이때 하우징(110) 내 투입되는 급수량(q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분사단계(S120) 이후 급수펌프장치의 작동(S140)에 의해 하우징(110) 내 투입되는 급수량(q2)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S121 단계에서 하우징(110)에 급수되는 물량은 200ml일 수 있고, S140 단계에서 하우징(110)에 급수되는 물량은 50ml일 수 있으며, S120 단계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양은 50m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팀행정단계(S10)를 최초로 시작할 때, 제어부는 수위감지수단(150)을 이용하여 기 지정된 수위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S110)하고, 현재 수위가 기 지정된 수위 미만의 저수위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급수펌프장치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작동하거나 기 설정된 급수량만큼 작동(S121, S122)하여, 하우징(110) 내부에 200ml만큼의 물량을 급수할 수 있다.
이때, 급수펌프장치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작동하거나 기 설정된 급수량만큼 작동(S121, S122)하였으나, 제어부가 수위감지수단(150)을 이용하여 감지된 수위가 여전히 기 지정된 수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이상급수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급수펌프장치의 작동을 정지하고 각종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에러를 외부에 표시(S123)할 수 있다.
제어부는 최초 스팀을 분사(S12)하기 이전에 수위감지수단(150)을 이용하여 현재 수위가 기 지정된 수위 이상의 고수위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을 스팀토출구(130)를 통해 스팀을 분사(S120)할 수 있다. 이때, 분사되는 스팀의 양은 50ml일 수 있다.
그 다음, 다시 측정한 하우징(110) 내 수위가 고수위이면 스팀분사상태(S120)를 유지하여, 50ml의 스팀을 분사할 수 있고, 적어도 1회 이상의 스팀분사 후 하우징(110)의 수위가 저수위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급수펌프장치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작동하거나 기 설정된 급수량만큼 작동(S140)하여, 하우징(110)에 스팀 발생양만큼, 즉 50ml만큼의 물량을 급수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현재 수위가 기 지정된 수위 미만의 저수위로 판단하여, 하우징(110) 내 급수를 위해 급수펌프장치의 작동할 때, 온도센서(160)를 이용하여 급수구(170)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제1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어부는 제1 온도를 이용하여 하우징(110) 내부의 급수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팀행정단계(S10)를 시작하여 최초 스팀분사단계(S120) 이전에 급수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다르게, 최초 스팀분사단계(S120) 이후 급수이상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온도센서(160)를 이용하여 급수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즉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급수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분사단계(S21) 이후 제어부는 온도센서(160)를 이용하여 제2 온도를 측정(S220)할 수 있다. 도 13 및 14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급수펌프장치를 작동(S230)하기 이전에 제어부는 하우징(110) 내부 공간, 바람직하게는 제1 유로(f1) 상에 마련된 온도센서(160)를 이용하여 제2 온도(일 예로 100℃)를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이때는 스팀을 발생하여 스팀을 분사하는 단계(S120)이후로서,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는 가열된 물에 의해 기화된 스팀의 온도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는 급수펌프장치를 작동(S230, S140)하여 급수구(170)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이후 제어부는 급수구(170)의 하부에 마련된 온도센서(160)를 이용하여 제1 온도(일 예로 20℃)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렇게 측정된 제1 및 제2 온도를 비교(S250)하여, 제1 및 제2 온도의 온도변화를 산출하고, 온도변화를 이용하여 급수의 이상여부를 판단(S26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가 제1 온도가 제2 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온도변화를 산출하면, 급수펌프장치에 의해 급수구(170)를 통해 급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제어부가 제1 온도가 제2 온도의 이상인 것으로 온도변화를 산출하면, 급수펌프장치에 의해 급수구(170)를 통한 급수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온도센서(160)를 이용하여 측정된 제1 및 제2 온도를 근거로 한 온도변화를 산출(S150)할 수 있고, 산출된 온도변화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지 않고, 그 범위를 벗어나면, 온도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정상급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수위감지수단(150)을 이용하여 기 지정된 수위를 감지하고, 기 지정된 수위를 기준으로 수위가 고수위인지 저수위인지에 따라 스팀을 분사(S120)하거나 급수펌프장치를 작동(S140)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가 제1 및 제2 온도를 이용하여 산출된 온도변화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여 급수펌프장치에 의한 급수가 정상급수가 아닌 이상급수로 판단하면, 제어부는 재차 급수펌프장치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작동하거나 기 설정된 급수량만큼 급수통(31)에 수용된 물을 공급(S140, S160)하도록 재시도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가 급수펌프장치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작동하거나 기 설정된 급수량만큼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온도센서(160)를 이용하여 제1 온도를 재측정(S220)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로의 급수이상여부를 재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1 및 제2 온도를 비교하여 급수의 이상여부를 재판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상기 급수이상여부를 재판단한 이후 급수가 정상급수가 아닌 이상급수로 판단되면, 급수펌프장치는 물론 작동 중인 가열장치(120)의 작동을 정지하고 각종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에러를 외부에 표시(S170)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스팀분사단계(S120) 이후에 스팀분사시간에 도달(S131)하거나, 또는 스팀분사단계(S120) 이후 저수위로 판단되었으나 이상급수로 판단한 경우, 의류처리실(11) 내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처리실(11)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100)가 스팀을 발생하여 의류처리실(11) 내 스팀을 분사하는 도중 하우징(110) 내 물부족 등으로 가열장치(120)가 미작동하더라도, 여전히 의류처리실(11) 내부는 다습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의류처리실(11) 내 곰팡이가 발생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 역시 다습한 분위기에 의해 젖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스팀분사시간이 완료(S131)되어 가열장치(120)의 작동이 정지됨으로써 정상적으로 스팀행정단계(S10)가 종료된 다음 건조행정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 하우징(110) 내 물부족 등으로 비정상적인 스팀행정단계(S10)가 종료된 다음에도 건조행정단계(S20)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의류처리실(11) 내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기계실(20) 내부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일 예로 전기식히터 또는 가스식히터)나 히트펌프가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히트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그리고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고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를 거쳐 응축기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증발기와 응축기가 열교환기로서 기계실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거쳐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
전술한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단계 또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단계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단계들을 갖는 제어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의류처리장치 11: 의류처리실
12a: 공기유입구 12b: 공기토출구
13: 스팀분사부 20: 기계실
31: 급수통 32: 배수통
40: 도어 100: 스팀발생장치
110: 하우징 111: 커버
112: 본체 113: 제1 격벽
114: 제2 격벽 115: 제3 격벽
120: 가열장치 130: 스팀토출구
140: 배수구 150: 수위감지수단
160: 온도센서 170: 급수구
180: 안전장치

Claims (10)

  1.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상기 의류처리실과 분리되어 상기 의류처리실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기계실을 가진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생성된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구를 가진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스팀토출구의 주변과 상기 급수구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스팀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스팀의 온도는 물론, 상기 급수구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물과 접촉하여 물의 온도를 측정하되,
    상기 급수구의 높이는, 상기 스팀토출구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온도센서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제1 공간과,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구를 가진 제2 공간과,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구분하되,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상기 스팀토출구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제1 유로를 가진 공간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1 유로 상에 마련되어, 스팀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상기 제1 유로 상에 마련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급수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가열장치와 상기 스팀토출구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격벽 중 하나는 상기 급수구의 전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이용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 급수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된 공간의 저면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제1 공간과,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구를 가진 제2 공간과,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구분하되,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상기 스팀토출구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제1 유로를 가진 공간분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상기 제2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공간측으로 갈수록 저면이 낮아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분리된 기계실 내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에 있어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생성된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구를 가진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스팀토출구의 주변과 상기 급수구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스팀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스팀의 온도는 물론, 상기 급수구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물과 접촉하여 물의 온도를 측정하되,
    상기 급수구의 높이는, 상기 스팀토출구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온도센서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KR1020210018009A 2021-02-09 2021-02-09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80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09A KR102480446B1 (ko) 2021-02-09 2021-02-09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09A KR102480446B1 (ko) 2021-02-09 2021-02-09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695A KR20220114695A (ko) 2022-08-17
KR102480446B1 true KR102480446B1 (ko) 2022-12-23

Family

ID=8311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009A KR102480446B1 (ko) 2021-02-09 2021-02-09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4400A (ja) * 2012-09-13 2014-03-27 Panasonic Corp 衣類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17B1 (ko) * 2006-06-27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KR101430477B1 (ko) 2008-04-01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4400A (ja) * 2012-09-13 2014-03-27 Panasonic Corp 衣類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695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8335B1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KR10136628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28259B1 (ko) 의류건조기
US9689109B2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1563496B (zh) 用于提供过热水的设备
US20090228156A1 (en)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83323B2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2482827B (zh) 在衣物器具中使用的蒸汽发生器及衣物器具
KR2009010511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80446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2572028B1 (en) Laundry drier with a steam generator
KR10248344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11469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13426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5023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6496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102302A (ko) 냉장고의 야채실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20418B1 (ko) 액체 공급 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장치
KR102578445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EP3335613A1 (en) Device for the condensation of steam in an air recirculation circuit of an industrial dishwasher or the like
KR101313683B1 (ko) 돌비현상 방지용 스팀 컨벡션 오븐
KR20220169171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KR2021008904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55770A (ko) 열탕식 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KR20220092122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