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861B1 -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861B1
KR102479861B1 KR1020220121236A KR20220121236A KR102479861B1 KR 102479861 B1 KR102479861 B1 KR 102479861B1 KR 1020220121236 A KR1020220121236 A KR 1020220121236A KR 20220121236 A KR20220121236 A KR 20220121236A KR 102479861 B1 KR102479861 B1 KR 102479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ylinder
striker plate
hole
ratche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주)젠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젠터스 filed Critical (주)젠터스
Priority to KR102022012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천장면, 벽면, 상기 천장면 또는 벽면에 조명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 한쪽 끝이 고정된 와이어 행거, 상기 와이어 행거의 자유단에 매달리고, 실린더의 상부에 탭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측방으로 래칫볼트가 돌출하여 형성된 플러그, 상기 조명본체에 고정되고, 안쪽에 상기 플러그의 실린더와 래칫볼트가 통과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 및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하측에 고정되고, 안쪽의 한쪽에 상기 래칫볼트와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의 회전 위치와 범위를 정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의 래칫볼트와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을 일직선상에 놓고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 상기 플러그의 실린더와 래칫볼트를 삽입한 뒤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에서 상기 플러그가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DROP PREVENTING SAFETY SYSTEM OF CEILING LIGHT}
본 발명은 주택이나 빌딩, 건물 등 실내조명을 위해 실내 공간의 천장 또는 벽 마감면에 직접 부착하는 조명기구가 외력에 의해 마감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낙하방지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기구의 낙하방지 및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설치가 쉽고 간편하며, 아울러 작업자의 설치 작업 불량으로 인해 와이어 행거를 정상적으로 연결하지 않을 경우 조명기구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하자를 미연에 방지하는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발광다이오드와 빛을 확산시키는 도광판의 거리를 적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생하는 점광원의 빛이 도광판을 통해 면광원(빛을 발하는 부분이 면상으로 확산을 하는 광원)의 빛으로 바뀌는 이른바 LED 평판등이 개발되어 기존의 형광등을 대체하고 있다.
특히 측면발광형 LED 평판등은 발광다이오드의 위치를 측면에 배치하여 비교적 얇은 두께로 제품의 슬림화 및 박형화가 유리하고 장수명 특성을 유지하여 최근 대면적 플랫 타입(flat-type) 평판등의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측면발광형 LED 평판등은 천장에 배선되어 있는 전선을 인출하여 적정 길이로 잘라 피복을 벗긴 후, 작업자 1명이 조명장치(100)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작업자 1명이 PSU(Power Supply Unit)에 전선을 연결한 다음, 천장 마감면에 밀착시킨 채로 그 테두리에 나사못(screw)을 일일이 박아서 천장에 고정하기 때문에 설치가 상당히 불편하고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반드시 2명의 작업자가 필요하여 그에 따른 인건비 부담으로 설치 비용이 상승하는 등 설치 시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측면발광형 LED 평판등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천장 마감면이 단단해야 하므로 미리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잡거나 확인해야 하고, 특히 아파트와 같은 주택의 경우 천장 마감면이 지지력이 취약한 석고보드로 이루어진 특성상 석고용 앵커를 박은 뒤 나사못으로 고정해야 하는데, 이때 무거운 LED 평판등을 들고 넓은 천장 마감면에서 석고용 앵커의 박는 위치를 정확하게 잡는 것은 매우 힘들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LED 평판등 따위의 조명기구는 설치 과정에서 부주의한 경우 또는 구조물에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할 경우 고정수단이 쉽게 풀리거나 고정력이 상실되어 천장 마감면에서 아래로 떨어지면서 파손은 물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천장 마감면에 브래킷을 고정하고, 조명기구를 와이어 행거로 브래킷 또는 지지목과 연결하여 작업자 혼자서도 설치나 교체 또는 점검 등의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조명등의 낙하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 행거의 한쪽 단부를 조명등에 고정하고, 반대쪽 단부를 천장 내부의 지지목(channel)에 고정하여 조명등의 낙하를 방지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전동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와이어 행거의 한쪽 단부를 브래킷이나 지지목에 나사못으로 조여서 고정한 후, 천장에 매달린 와이어 행거의 자유단을 조명기구에 나사못으로 조여서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작업자 혼자서 설치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데다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작업자가 실수 또는 부주의나 고의로 와이어 행거를 연결하지 않은 설치 작업 불량이 있더라도 조명기구의 설치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와이어 행거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거나 불량 상태를 점검하기가 쉽지 않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이로 인해 조명기구가 천장면에서 이탈하여 아래로 떨어질 수 있는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은 조명기구 설치 작업의 편의성(간편성)과 낙하사고에 이르는 일이 없도록 하는 신뢰성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소비자의 요구 및 기대를 충족하지 못하는 등 기술적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 및 완성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선행기술조사 및 심사에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널리 사용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 10-2021-0145434 A(2021. 12. 02.) KR 10-1956157 B1(2019. 03. 04) KR 10-2361399 B1(2022. 02. 07) KR 10-2022-0104657 A(2022. 07. 2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낙하방지용 LED 조명기구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조명기구의 중력에 의한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원터치형으로 작업자 혼자서도 설치가 쉽고 간편하며, 아울러 설치 작업 불량으로 인해 와이어 행거를 정상적으로 연결하지 않을 경우 조명기구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하자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작업자 혼자 조명기구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설치 작업 불량으로 인한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천장면, 벽면, 상기 천장면 또는 벽면에 조명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 한쪽 끝이 고정된 와이어 행거, 상기 와이어 행거의 자유단에 매달리고, 실린더의 상부에 상기 실린더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갖는 탭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측방으로 래칫볼트가 돌출하여 형성된 플러그, 상기 조명본체에 고정되고, 안쪽에 상기 플러그의 실린더와 래칫볼트가 통과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 및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하측에 고정되고, 안쪽에 상기 실린더와 상기 래칫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의 한쪽에 상기 플러그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 시 상기 래칫볼트와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의 회전 위치와 방향 및 범위를 정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의 래칫볼트와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을 일직선상에 놓고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 상기 플러그의 실린더와 래칫볼트를 삽입한 뒤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에서 상기 플러그가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작업자 혼자서도 조명본체를 원터치형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천장면 등에 설치 시 걸리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줄이고 설치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장면 등에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중력에 의한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에 상기 관통구멍과 수직으로 교차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보다 폭이 좁은 잠금구멍, 상기 플러그의 래칫볼트 상면에 돌출하여 형성되고, 넓이가 상기 래칫볼트의 넓이보다 작고 상기 잠금구멍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데드볼트 및 상기 플러그의 실린더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 상기 플러그의 실린더와 래칫볼트를 삽입한 뒤 상기 실린더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 시 상기 소켓의 바닥면과 접촉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플러그의 데드볼트가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잠금구멍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 작용이 발생하는 금속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플러그가 저절로 회전하여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아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플러그의 탭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 상기 소켓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플러그가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소켓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플러그의 탭과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고, 상면에 상기 플러그의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클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한 낙하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클램프의 한쪽 끝부분에 형성되어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플러그의 실린더를 움켜잡는 집게형 그리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클램프가 플러그의 탭과 스트라이커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저절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소켓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걸고리, 상기 클램프의 다른 한쪽(반대쪽)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안쪽에 연결구멍이 뚫린 손잡이 및 상기 소켓에 상기 클램프를 매달기 위해 한쪽 끝은 상기 소켓의 걸고리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은 상기 클램프의 연결구멍에 연결된 스트랩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클램프의 분실 등을 방지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삽입공간의 바닥에 장착되고, 단선된 전선의 한쪽 종단에 각각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접속이 끊어진 상태의 접촉단자 및 상기 조명본체에 장치되고, 음극 또는 양극 전선 중 어느 하나가 단선하여 상기 전선의 다른 한쪽 종단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PSU(Power Supply Unit)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편은 도체로 이루어져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 상기 플러그의 실린더와 래칫볼트를 삽입한 뒤 상기 실린더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 시 면접촉으로 상기 접촉단자의 끊어진 사이를 이어 상기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배선 및 스위치 역할을 함으로써 설치 작업 불량으로 인해 와이어 행거를 정상적으로 연결하지 않을 경우 조명본체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조명본체는, 빛의 경로 및 산란과 확산을 유도하는 라이트 패널, 전원공급 시 발광하는 LED 칩 패키지(광원)를 기판 위에 탑재하여 상기 라이트 패널의 측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 모듈, 상기 라이트 패널의 사방 테두리를 감싸듯이 지지하고, 상기 LED 모듈을 내장하는 에지 프레임, 상기 에지 프레임 중의 양쪽에 대칭적으로 고정된 마그넷, 상기 에지 프레임 중의 양쪽에 대칭적으로 고정된 홀더 및 상기 브래킷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장치되고 상기 홀더 안에 탄력적으로 걸려서 상기 조명본체를 지지하는 로크를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마그넷에 달라붙는 자성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 혼자서도 천장의 정확한 설치 위치에 신속하고 용이하면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본체가 천장 마감면으로부터 떨어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로크는, 상기 브래킷의 좌우 양쪽 끝부분에 각각 고정되고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선단의 끝 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바깥쪽 끝부분에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상기 홀더 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래치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어 이동 범위를 제한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안쪽으로 위치 이동 시 원래의 일정한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래치가 상기 홀더 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천장 마감면에 직접 설치 시 걸리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줄이고 설치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시에 천장 마감면에서 한층 더 쉽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작업자 혼자서도 조명본체를 원터치형으로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천장면 등에 조명본체를 설치 시 걸리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줄이고 설치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본체가 천장면 등에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중력에 의한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의 설치 작업 불량으로 인해 와이어 행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경우 조명본체가 작동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하여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브래킷을 천장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그 양쪽 끝부분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로크가 조명본체의 홀더 안에 끼워져 걸리도록 위치를 조정하고 근접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천장면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조명본체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된 마그넷과 브래킷 간의 자기력(인력) 작용으로 인해 조명본체가 브래킷에 매달려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혼자서도 별도의 공구 없이 천장면에 쉽고 용이하면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의 피로도를 줄이고 편의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설치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설치 인력 및 비용(인건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조명본체가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마그넷과 브래킷 간의 자기력(인력)을 이겨내고 브래킷에서 분리되더라도 래치가 2차적으로 홀더에 걸리기 때문에 천장에서 중력에 의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마그넷과 브래킷 간의 자기력(인력) 작용을 이용한 이중 잠금 구조를 갖추고 있어 로크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유격이나 조립 오차 등으로 인한 높낮이 차이, 즉 브래킷의 사방 4곳에 배치된 로크들 간의 높낮이 차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조명본체가 천장면으로부터 떨어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외관상 보기 좋지 않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래치가 홀더 안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가드와의 접촉 간섭으로 인해 조명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밀려서 이동되는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원공급장치(PSU)의 교체나 수리 등 유지보수를 위해 조명본체를 천장에서 분리할 때 로크와 홀더가 조명본체에 가려서 보이지 않아도 브래킷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방향으로만 자연스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수리나 유지보수 작업이 한층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일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를 분해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소켓을 제외한 일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플러그와 클램프를 분해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설치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의 작동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브래킷과 로크 및 홀더를 분해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브래킷과 로크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조명본체의 설치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또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부" 및 "유닛"의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듈"의 의미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고,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할 수 있고,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일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 1]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크게 와이어 행거(30), 플러그(40),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소켓(60) 및 클램프(70)를 포함하고 있다.
와이어 행거(30)는 건물의 천장면, 벽면, 천장면 또는 벽면에 조명본체(10)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20) 중 어느 하나에 한쪽 끝이 고정되어 있다.
즉, 와이어 행거(30)는 조명본체(10)가 천장 등에 매달린 상태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낙하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의 위쪽 끝은 천장면이나 벽면에 직접 고정되거나 천장면 또는 벽면에 부착된 브래킷(2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어 행거(30)는 일정 무게 이상의 조명본체(10)를 견디는 줄, 즉 조명본체(10)가 매달려도 끊어지지 않고,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여러 가닥의 강철 철사 또는 합성섬유사를 합쳐 꼬아 만든 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40)는 와이어 행거(30)의 자유단에 매달려 있다.
즉, 와이어 행거(30)의 자유단은 플러그(40)의 상부에 뚫려 있는 구멍(48)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40)의 가운데 부분에는 원통형 실린더(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41)의 상부에는 그 실린더(4l)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갖는 탭(4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41)의 하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모양의 래칫볼트(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실린더(41)와 탭(42)은 전체적으로 정면에서 볼 때 마치 알파벳 T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41)와 래칫볼트(43)는 전체적으로 정면에서 볼 때 마치 역십자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래칫볼트(43)의 상면에는 데드볼트(44)가 돌출되어 있다.
즉, 데드볼트(44)의 넓이는 래칫볼트(43)의 넓이보다 작고, 잠금구멍(52)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41)의 하부에는 직사각형의 판재를 굽히는 변형을 주어 스프링 작용이 발생하도록 한 금속편(45)이 결합되어 있다.
즉, 금속편(45)은 관통구멍(51)에 실린더(41)와 래칫볼트(43)를 삽입한 뒤 실린더(41)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 시 소켓(60)의 바닥면과 밀착 접촉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스프링 작용이 발생하여 데드볼트(44)가 잠금구멍(5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탭(42)의 양쪽 측면 하부에는 결합홈(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41)의 하단에는 금속편(45)을 나사 등으로 조여서 고정할 경우 진동, 충격, 반격응력 또는 변형 등에 의하여 나사가 풀려서 금속편(45)이 실린더(41)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테이너(47)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탭(42)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는 플러그(40)의 상부를 두 손가락으로 잡고 쉽게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브(49)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노브(49)는 래칫볼트(43) 및 데드볼트(44)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래칫볼트(43) 및 데드볼트(44)의 현재 방향, 즉 플러그(40)의 잠금 또는 풀림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는 한쪽이 조명본체(10)의 에지 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다.
즉,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는 소켓(60)의 상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서 결합되어 있고, 그 한쪽 끝부분이 소켓(60)과 함께 조명본체(10)에 나사 조임 또는 볼팅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의 다른 한쪽(반대쪽) 안쪽에는 실린더(41)와 래칫볼트(43)가 통과하도록 관통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에는 관통구멍(51)과 수직으로 교차되고, 그 관통구멍(51)보다 폭이 좁은 잠금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즉, 관통구멍(51)과 잠금구멍(52)은 마치 열십자 모양으로 뚫려 있다.
소켓(60)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고, 한쪽이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와 함께 나사 조임이나 볼팅 방식으로 죄어 조명본체(10)의 에지 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60)의 안쪽에는 실린더(41)와 래칫볼트(4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공간(61) 내의 한쪽 구석에는 플러그(40)가 90도 각도로 회전 시 래칫볼트(43)와 접촉하여 플러그(40)의 회전 위치와 방향 및 범위를 정하는 스토퍼(62)가 형성되어 있다.
즉, 플러그(40)의 양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래칫볼트(43)가 삽입공간(61)에 삽입 시 그 한쪽 부분이 스토퍼(62)와 접촉하여 플러그(40)의 회전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제한하고, 또 플러그(40)가 90도 각도로 회전 시 래칫볼트(43)의 다른 한쪽(반대쪽) 부분이 스토퍼(62)와 접촉하여 정확한 조작 여부를 확인하고 완전히 잠그는 위치 및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소켓(60)의 상부 측면에는 가이드홈(63)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켓(60)의 한쪽 측면에는 걸고리(6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70)는 플러그(40)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의 관통구멍(51)에 끼워진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홈(63)을 따라 탭(42)과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70)의 상면에는 플러그(40)의 결합홈(46)에 끼워지는 결합돌기(7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70)의 한쪽 끝부분에는 집게형 그리퍼(7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그리퍼(72)는 탭(42)과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사이에 삽입 시 실린더(41)와의 접촉 및 간섭으로 인해 탄성 변형되면서 벌어졌다가 클램프(70)가 탭(42)과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사이에 완전히 삽입되면 원래대로 복원되어 실린더(41)를 움켜잡은 상태를 유지하여 클램프(70)가 탭(42)과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사이에서 저절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클램프(70)의 다른 한쪽(반대쪽) 끝부분에는 안쪽에 연결구멍(74)이 뚫린 손잡이(7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켓(60)에 클램프(70)를 매달기 위한 스트랩(75)이 구비되어 있다.
즉, 스트랩(75)의 한쪽 끝은 소켓의 걸고리(64)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은 클램프의 연결구멍(74)에 연결되어 있다.
조명본체(10)는 발광다이오드(LED)의 빛을 이용해 실내를 밝게 비추는 대면적 플랫 타입(flat-type) 평판등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조명본체(10)는 빛의 경로 및 산란과 확산을 유도하는 라이트 패널(11)과, 전원공급 시 발광하는 LED 칩 패키지(광원)를 기판 위에 탑재하여 라이트 패널(11)의 측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 모듈(12)과, 라이트 패널(11)의 사방 테두리를 감싸듯이 지지하고, LED 모듈(12)을 내장하는 에지 프레임(13)을 포함하고 있다.
라이트 패널(11)은 빛의 경로 및 산란과 확산을 유도하여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하는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즉, 라이트 패널(11)은 에지 프레임(13)에 내장된 LED 모듈(12)에 발산되는 점광원의 빛을 전체의 면에 균일하게 확산시켜 면광원의 빛으로 고르고 안정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배광 특성을 구현하여 LED 모듈(12)로부터 생성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조명의 효율을 극대화한다.
여기서 라이트 패널(11)은 LED 모듈(12)에 발산되는 빛을 전체의 면에 균일하게 전달 및 고르게 방출하는 역할의 도광판과, 이 도광판의 상면에 적층 또는 부착되어 도광판을 통해 입사(누설)되는 빛을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도광판의 하측 배치되어 도광판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산란 및 확산시켜 LED 모듈(12)로부터 방출된 점광원의 빛을 면광원의 빛으로 변환하여 실내 등의 외부를 향해 고르게 방출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판의 상면에 적층 또는 부착되어 도광판을 통해서 방출하는 빛이 상면으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방열효과는 물론 도광판의 상면을 보호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광판의 양쪽 측면에 위치하는 LED 모듈(12)에서 생성된 빛은 도광판의 내부로 유입되어 그 상면에 적층된 반사판에 부딪히면서 산란 및 난반사되고, 도광판 하측의 확산판을 통하여 면광원으로 변환된 상태로 전면으로 방출된다.
여기서 도광판은 아크릴 수지(PMM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투과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고, 그 표면이나 이면에는 도트 인쇄방식이나 "V"자 형 홈을 가공하여 일정 형태의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반사판과 확산판은 필름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특히 확산판의 예로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와 저분자 액정의 조합이나 폴리비닐 알코올과 저분자 액정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아크릴 확산제나 광흡수물질을 더 포함하여 구현하거나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아울러 백커버는 LED 모듈(12)에서 발생된 열을 원활하게 방출하기 위해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판 등으로 방열판의 기능을 겸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 테두리 부분은 도광판과 함께 에지 프레임(13)에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LED 모듈(12)은 에지 프레임(13)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공급 시 발광하여 라이트 패널(11)의 도광판 측면을 향해 빛을 고르게 조사한다.
즉, LED 모듈(12)은 라이트 패널(11)의 사방 측면 테두리를 마치 사각 틀 형태로 감싸서 지지하는 4개의 에지 프레임(13)들 중 적어도 어느 양쪽의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에지 프레임(13) 내에 각각 삽입되어 전원공급 시 도광판의 내부로 빛을 고르게 입사시키고, 이렇게 입사된 빛은 반사판에 의해 반사 및 굴절되고, 확산판에 의해 확산되어 실내를 향해 균일하게 방출된다.
이때, LED 모듈(12)에서 발광하는 빛은 2,700K 대역(웜화이트 계열) 내지 6,500K 대역(쿨화이트 계열)의 색온도로 발광하는 백색광일 수 있다.
여기서 LED 모듈(12)은 띠 형태의 PCB 회로기판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된 다수의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LED 스트립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발광소자로는 고휘도 백색 LED(Light Emitting Diode) 칩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그 외에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LED 모듈(12)의 발광소자들은 PCB 회로기판상의 회로배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LED 모듈(12)의 끝단은 PSU(90)에 연결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거나 전기적인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에지 프레임(13)은 라이트 패널(11) 사방의 테두리를 감싸서 지지하고, LED 모듈(12)을 내장하여 보호하면서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재의 역할을 한다.
즉, 에지 프레임(13)은 4개가 조합되어 가운데 부분에 조명공간을 갖는 다각형 틀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에지 프레임(13)의 측면 중 라이트 패널(11)의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에는 LED 모듈(12)의 LED 스트립바를 내장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고전압의 교류 전류를 저전압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전원공급장치(SMPS)와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정전류 회로로 이루어진 PSU(90)를 둘러싸서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로 스커트(1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지 프레임(13)의 홈에는 LED 모듈(12)의 발광소자에서 발산하는 빛이 라이트 패널(11)의 도광판 측면으로 입사되도록 라이트 패널(11)의 일부분이 삽입된 채로 LED 모듈(12)의 LED 스트립바 발광소자에 밀착되어 있다.
이러한 에지 프레임(13)은 LED 모듈(12)을 안정적으로 내장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알루미늄 프로파일 형태로 압출 등의 가공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에지 프레임(13)들의 서로 맞닿는 모서리 부분은 코너연결구(15)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연결 및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각각의 양단을 서로 수직하게 맞닿은 상태로 배치한 뒤 마찰교반용접(friction stir welding) 등의 방식으로 용접하여 일체화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에지 프레임(13)들은 코너연결구(15)를 이용하여 사각형 틀체와 같은 형태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코너연결구(15)는 에지 프레임(13)들의 서로 이웃하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하기 위해 평면상에서 볼 때 마치 'ㄱ'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너연결구(15)는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아울러 에지 프레임(13)에는 LED 모듈(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높이는 방열핀(미도시)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에지 프레임(13)의 상면 상에는 결합강도를 보강하고 휨 변형이나 뒤틀림 등을 방지하여 에지 프레임(13)들 간의 연결 및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PSU(90) 등의 부품을 내장 및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미부호)이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본체(10)는 마그넷(110), 홀더(120) 및 로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110)은 조명본체(10)를 브래킷(20)에 자기력으로 고정하기 위해 조명본체(10)의 양쪽 테두리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에지 프레임(13)에 전후로 나란히 장착되어 있다.
즉, 마그넷(110)은 원판형 디스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뚫린 체결구멍(111)을 통해 좌우의 에지 프레임(13)에 각각 전후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112)로 죄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마그넷(110)의 체결구멍(111)의 테두리에는 그 표면 아래로 볼트(112)의 헤드부를 묻기 위하여 카운터 싱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마그넷(110)은 조명본체(10)를 브래킷(20)에 설치 시 편의를 제고하고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에지 프레임(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한 쌍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그넷(110)은 에지 프레임(13)의 안쪽 사방 4곳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마그넷(110)은 내열성 및 부식성이 우수한 마그네틱 자석이나 네오디움 자석 등과 같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120)는 로크(130)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리도록 조명본체(10)의 양쪽 에지 프레임(13)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즉, 홀더(120)는 에지 프레임(13)보다 위로 돌출되지 않게 스커트(14) 안쪽에 고정되어 있고, 그 가운데 부분에 마그넷(110)이 노출된 채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120)의 전후 끝부분에는 각각 로크의 래치(134)와의 접촉 간섭으로 조명본체(10)가 전후 방향으로 밀려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1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홀더(120)는 알루미늄 압출이나 두께가 얇은 금속판재를 소성가공으로 벤딩 성형하여 구비할 수 있다.
로크(130)는 홀더(120) 안에 탄력적으로 걸려서 조명본체(10)의 매달린 상태를 지지하기 위해 브래킷(20)의 양쪽 끝부분 또는 사방 4곳에 각각 장치되어 있다.
즉, 로크(130)는 조명본체(10)를 마그넷(110)의 자기력으로 부착함과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밀어서 걸 때 탄성 작용에 의해 일부분이 홀더(120) 안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간섭하는 현상을 일으켜 조명본체(10)가 브래킷(20)에 매달리고 잠금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로크(130)는 하우징(131)과 슬라이더(133) 및 코일스프링(136)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31)은 선단의 끝 면이 개구된 채로 브래킷(20)의 좌우 양쪽 끝부분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 상면에는 슬라이더(133)의 이동을 일정한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이드 슬롯(132)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133)는 납작한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31) 내에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33)의 바깥쪽 끝부분에는 코일스프링(136)의 탄성 작용에 의해 하우징(131)의 한쪽 선단 면 개구를 통해 홀더(120) 안에 탄력적으로 질리어 끼워지는 래치(13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133)의 상면에는 가이드 슬롯(132)에 삽입되어 이동 범위를 제한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돌기(13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134)의 아랫면에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안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경사면(137)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36)은 슬라이더(133)가 안쪽으로 위치 이동 시 원래의 일정한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여 래치(134)가 홀더(120) 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우징(131)에 내장되어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36)은 홀더(120)와 접촉에 따라 슬라이더(133)가 안쪽으로 밀릴 때 압축변형되면서 슬라이더(133)를 원래의 일정한 위치로 미는 힘이 항상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미는 힘 즉, 척력에 의해 래치(134)가 홀더(120) 안에 끼워져 걸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스프링(136)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브래킷(20)은 실내 공간의 천장 마감면에 나사못을 박아서 직접 고정하는 것으로, 조명본체(10)를 천장에 매달아 지지하기 위해 평면상에서 볼 때 마치 'H'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20)의 높이는 조명본체(10)의 가장자리가 천장 마감면과 밀착되도록 에지 프레임(13)의 스커트(14)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즉, 브래킷(20)은 조명본체(10)가 매달린 상태에서 스커트(14)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하 두께가 갖는 높이는 스커트(14)의 높이보다 낮게, 길이 및 폭은 에지 프레임(13)들의 서로 마주하는 간격보다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브래킷(20)에는 천장의 보강목, 지지목 등에 나사못으로 고정이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나사구멍(미부호)과 전선 배선구멍(미부호) 및 와이어 행거(30)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 등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브래킷(20)은 철판과 같은 두께가 얇은 금속판재를 프레스 판금가공 등의 소성가공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아울러 브래킷(20)은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그 횡단면의 형상이 마치 '└┘'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은 하나의 조명본체(10)에 대하여 와이어 행거(30), 플러그(40),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및 소켓(60)이 각각 하나만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하나의 조명본체(10)에 2개 이상의 와이어 행거(30) 등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 또는 긴 길이를 갖는 조명본체(10)에 대해서는 더욱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2개의 와이어 행거(30)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2개의 와이어 행거(30) 등은 조명본체(10)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모듈(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PSU(90)의 전기회로를 상용전원에 연결하는 음극 또는 양극 전선 중 어느 하나를 끊어서 그 종단을 접촉단자(80)와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전선(81)과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모듈(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PSU(90)의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음극 또는 양극 전선 중 어느 하나를 끊어서 그 종단을 접촉단자(80)와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전선(81)과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은 먼저, 브래킷(20)을 천장면이나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나사못(screw)을 박아서 단단히 고정하고, 천장이나 벽면에 배선되어 있는 전선을 인출하여 PSU(90)를 연결한 다음, 천장면, 벽면, 브래킷(20) 중 어느 하나에 와이어 행거(30)의 한쪽 끝을 고정하고 다른 쪽 끝에 플러그(40)를 고정한다.
여기서 와이어 행거(30)는 사전에 브래킷(20)과 플러그(40)를 연결하고 있는 상태로 제공하고,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와 소켓(60)은 조명본체(10)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함으로써 설치 작업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어서 조명본체(10)를 한 손으로 들고 플러그(40)의 래칫볼트(43)와 관통구멍(51)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관통구멍(51)을 통과시켜 삽입공간(61)에 플러그(40)의 실린더(41)와 래칫볼트(43)를 삽입한 뒤 90도 각도로 회전시키면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에서 플러그(40)의 래칫볼트(43)가 걸려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삽입공간(61)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62)는 플러그(40)의 래칫볼트(43)와 접촉하여 자연스럽게 플러그(40)의 회전 위치와 범위를 잠금 상태에 놓이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금속편(45)은 플러그(40)의 실린더(41)와 래칫볼트(43)를 삽입과 동시에 가압하는 과정에서 삽입공간(61)의 바닥면과 면접촉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플러그(40)를 상승시키는 스프링 작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래칫볼트(43)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데드볼트(44)가 관통구멍(51)보다 폭이 좁은 잠금구멍(52)에 끼워져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소켓(60)의 가이드홈(63)을 따라 클램프(70)를 끼워서 탭(42)과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사이에 장착하면 플러그(40)가 이중으로 잠기면서 저절로 움직이거나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의 관통구멍(51)에 플러그(40)의 래칫볼트(43)를 삽입한 뒤 플러그(40)의 노브(49)를 잡고 돌려서 잠그는 방식으로 조명본체(10)를 천장면이나 브래킷(20)과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가 쉽고 간편함은 물론이고, 플러그(40)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및 클램프(70)가 이중 잠금 구조를 갖추고 있어 조명본체(10)가 천장면 등에 설치된 상태를 한층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중력에 의한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조명본체(10)의 좌우 양쪽 중 한쪽 에지 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는 전후 한 쌍의 홀더(120)를 천장면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20)의 좌우 양쪽 끝부분 중 한쪽 끝부분에 장치된 전후 한 쌍의 로크(130)에 걸어 놓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반대쪽의 에지 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는 다른 쪽 홀더(120)를 회전시켜 반대쪽 로크(13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조명본체(10)를 천장을 향해 밀어올리면, 서로 간의 접촉 간섭에 의해 슬라이더(133)의 래치(134)가 홀더(120)의 안내면(122)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가이드 슬롯(132)과 가이드 돌기(135)의 안내에 따라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코일스프링(136)은 서서히 압축되면서 척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후, 슬라이더(133)의 래치(134)가 홀더(120)의 안으로 완전히 들어가서 접촉 간섭이 해제되거나 작업자가 미는 힘을 해제하면, 그 코일스프링(136)의 축적된 탄성 에너지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133)가 탄력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하게 된다.
즉, 슬라이더(133)의 래치(134)가 홀더(120) 안에 끼워져 걸리어 양호한 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조명본체(10)의 에지 프레임(13) 상에 고정되어 있는 마그넷(110)의 자기력으로 인해 조명본체(10)가 천장면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20)에 자연스럽게 달라붙을 수 있다.
즉, 마그넷(110)과 브래킷(20) 간에 인력이 작용하므로 설치 과정이 수월하고 안정적이며, 아울러 하우징(131)과 슬라이더(133) 간의 유격이나 조립 오차 등으로 인한 브래킷(20)의 사방 4곳에 배치된 로크(130)들 간의 높낮이 차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조명본체(10)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짐 없이 천장면으로부터 떨어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래치(134)를 홀더(120) 안에 끼운 상태에서는 가드(121)와의 접촉 간섭으로 인해 조명본체(10)가 전후 방향으로 밀려서 이동되는 않기 때문에 라이트 패널(11) 등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홀더(120)와 로크(130)의 위치 및 방향을 찾기가 쉽고, 이에 따라 조명본체(10)의 수리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한 분리가 한층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은 작업자 혼자서도 조명본체(10)를 와이어 행거(30)에 원터치형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매달 수 있어 낙하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조명본체(10)를 와이어 행거(30)에 매다는 작업에 걸리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110)과 브래킷(20) 간의 자기력 작용과 함께 홀더(120)와 래치(134)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서로 간섭하는 현상을 일으켜 이중 잠금 상태로 놓이기 때문에 즉, 자기력과 마찰력을 이용해 이중으로 잡아주어 조명본체(10)가 움직이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조명본체(10)가 브래킷(20)에 매달린 상태를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조명본체(10)를 조작하여 마그넷(110)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 밖으로 밀어내거나 떼어내지 않는 한 자유로이 움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명본체(10)가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마그넷(110)과 브래킷(20) 간의 자기력(인력)을 이겨내고 브래킷(20)에서 분리되더라도 홀더(120)와 로크(130)가 2차적으로 걸리기 때문에 천장에서 외력이나 중력에 의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조명본체(10)의 에지 프레임(13)이나 코너연결구(15)에 구멍을 뚫고 천장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나사못으로 일일이 조여서 고정할 필요가 없어 그로 인한 디자인적인 심미감의 저하를 막을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 또는 사용자(소비자) 혼자서도 천장의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 2]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크게 와이어 행거(30), 플러그(40),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소켓(60), 클램프(70), 접촉단자(80) 및 PSU(9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과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접촉단자(80)는 단선된 전선(81)을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배선 및 스위치 역할을 하기 위해 삽입공간(61) 내의 바닥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접촉단자(80)는 전기적으로 접속이 끊어진 상태로 단선된 전선(81)의 한쪽 종단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81)의 반대쪽 종단에는 PSU(90)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82)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단자(80)는 절연판 상에 열린 상태의 전기회로를 금속막으로 부착시킨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SU(90)는 음극 또는 양극 전선 중 어느 하나가 단선하여 전선(81)의 다른 한쪽 종단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 조명본체(10)에 장치되어 있다.
즉, PSU(90)는 고전압의 교류 전류를 저전압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전원공급장치(SMPS)와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정전류 회로로 이루어지고,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음극 또는 양극 전선 중 어느 하나의 중간 부분이 끊어져 그 종단이 접촉단자(80)에 고정된 한 쌍의 전선(81)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PSU(90)는 LED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용전원으로부터 인가된 AC 전원을 LED 컨버터에서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이에 따라 LED 모듈(12)이 구동하여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은 플러그(40)의 래칫볼트(43)와 관통구멍(51)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관통구멍(51)을 통과시켜 삽입공간(61)에 플러그(40)의 실린더(41)와 래칫볼트(43)를 삽입한 뒤 90도 각도로 회전시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편(45)이 삽입공간(61)의 바닥면과 면접촉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플러그(40)를 상승시키는 스프링 작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래칫볼트(43)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데드볼트(44)가 관통구멍(51)보다 폭이 좁은 잠금구멍(52)에 끼워져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체로 이루어진 금속편(45)의 하부 양단이 삽입공간(61)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는 접촉단자(80)와 밀착으로 면접촉되면서 그 접촉단자(80)의 끊어진 사이를 이어 전선(8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금속편(45)과 접촉단자(80)가 배선 및 스위치 역할을 하기 때문에 PSU(90)에서 조명본체(10)의 LED 모듈(12)에 공급하는 전류는 금속편(45)과 접촉단자(8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만 전선(81)을 통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조명본체(10)가 천장면 등에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중력에 의한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설치 작업 불량으로 와이어 행거(30)에 매달린 플러그(40)가 조명본체(10)의 접촉단자(80)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PSU(9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조명본체(10)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낙하사고 등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조명본체 20: 브래킷
30: 와이어 행거 40: 플러그
41: 실린더 42: 탭
43: 래칫볼트 44: 데드볼트
45: 금속편 46: 결합홈
47: 리테이너 50: 스트라이커 플레이트
51: 관통구멍 52: 잠금구멍
60: 소켓 61: 삽입공간
62: 스토퍼 63: 가이드홈
64: 걸고리
70: 클램프 71: 결합돌기
72: 그리퍼 73: 손잡이
74: 연결구멍 75: 스트랩
80: 접촉단자 81: 전선
90: PSU

Claims (6)

  1. 천장면, 벽면, 상기 천장면 또는 벽면에 조명본체(10)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20) 중 어느 하나에 한쪽 끝이 고정된 와이어 행거(30);
    상기 와이어 행거(30)의 자유단에 매달리고, 실린더(41)의 상부에 상기 실린더(41)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갖는 탭(42)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41)의 하부에 측방으로 래칫볼트(43)가 돌출하여 형성된 플러그(40);
    상기 조명본체(10)에 한쪽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안쪽에 상기 실린더(41)와 상기 래칫볼트(43)가 통과하도록 관통구멍(51)이 형성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의 하측에 고정되고, 안쪽에 상기 실린더(41)와 상기 래칫볼트(4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6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61) 내의 한쪽에 상기 플러그(4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 시 상기 래칫볼트(43)와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40)의 회전 방향 및 범위를 정하는 스토퍼(62)가 형성된 소켓(60); 및
    상기 실린더(41)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구멍(51)에 상기 실린더(41)와 상기 래칫볼트(43)를 삽입하여 통과시킨 뒤 상기 플러그(40)가 상기 실린더(41)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 시 상기 삽입공간(61)의 바닥면과 접촉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에서 상기 플러그(40)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 작용이 발생하는 금속편(45);
    을 포함하는,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에 상기 관통구멍(51)과 수직으로 교차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51)보다 폭이 좁은 잠금구멍(52); 및
    상기 래칫볼트(43)의 상면에 돌출하여 형성되고, 넓이가 상기 래칫볼트(43)의 넓이보다 작고 상기 잠금구멍(52)의 크기와 대응하는 데드볼트(44);
    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탭(42)의 양쪽 측면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46);
    상기 소켓(6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63); 및
    상기 플러그(40)가 움직이거나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홈(63)을 따라 상기 탭(42)과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사이에 삽입되고, 상면에 상기 결합홈(46)에 끼워지는 결합돌기(71)가 형성된 클램프(70);
    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70)의 한쪽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탭(42)과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사이에 삽입 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실린더(41)를 움켜잡아 상기 클램프(70)가 상기 탭(42)과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사이에서 저절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그리퍼(72);
    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6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걸고리(64);
    상기 클램프(70)의 다른 한쪽(반대쪽)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안쪽에 연결구멍(74)이 뚫린 손잡이(73); 및
    상기 소켓(60)에 상기 클램프(70)를 매달기 위해 한쪽 끝은 상기 소켓의 걸고리(64)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은 상기 클램프의 연결구멍(74)에 연결된 스트랩(75);
    을 더 포함하는,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61) 내의 바닥에 장착되고, 단선된 전선(81)의 한쪽 종단에 각각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접속이 끊어진 상태의 접촉단자(80); 및
    상기 조명본체(10)에 장치되고, 음극 또는 양극 전선 중 어느 하나가 단선하여 상기 전선(81)의 다른 한쪽 종단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PSU(9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편(45)은 도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구멍(51)에 상기 실린더(41)와 상기 래칫볼트(43)를 삽입하여 통과시킨 뒤 상기 실린더(41)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 시 상기 접촉단자(80)의 끊어진 사이를 이어 상기 전선(81)을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배선 및 스위치 역할을 하는,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KR1020220121236A 2022-09-24 2022-09-24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KR102479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236A KR102479861B1 (ko) 2022-09-24 2022-09-24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236A KR102479861B1 (ko) 2022-09-24 2022-09-24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861B1 true KR102479861B1 (ko) 2022-12-21

Family

ID=8453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236A KR102479861B1 (ko) 2022-09-24 2022-09-24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8040A (zh) * 2023-11-27 2023-12-29 广东广兴洲照明有限公司 一种磁吸式吸顶灯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6724A (ja) * 2001-07-19 2003-02-07 Mitsuboshi Denki Seisakusho:Kk 天井直付け照明器具取付け装置
JP3982708B2 (ja) * 2005-08-12 2007-09-26 センタック株式会社 直付照明器具用取付アダプタ
JP2010009984A (ja) * 2008-06-27 2010-01-14 Sharp Corp 落下防止部材及び該落下防止部材を備える照明装置
JP5772473B2 (ja) * 2011-10-07 2015-09-02 岩崎電気株式会社 ランプ
JP2018120737A (ja) * 2017-01-25 2018-08-02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
KR101956157B1 (ko) 2018-09-11 2019-03-08 윤재진 천장형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JP6759952B2 (ja) * 2016-10-06 2020-09-23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用の落下防止具
JP2021157988A (ja) * 2020-03-27 2021-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
KR20210145434A (ko) 2020-05-25 2021-12-02 이엠 주식회사 추락 방지용 조명 장치 및 그것의 시공 방법
KR102361399B1 (ko) 2021-05-26 2022-02-14 이비테크(주) 낙하방지 보조브라켓을 이용한 등기구 설치방법
KR20220104657A (ko) 2022-03-17 2022-07-26 주식회사 지비스 낙하 위험이 있는 전기 제품을 위한 안전 보증 시스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6724A (ja) * 2001-07-19 2003-02-07 Mitsuboshi Denki Seisakusho:Kk 天井直付け照明器具取付け装置
JP3982708B2 (ja) * 2005-08-12 2007-09-26 センタック株式会社 直付照明器具用取付アダプタ
JP2010009984A (ja) * 2008-06-27 2010-01-14 Sharp Corp 落下防止部材及び該落下防止部材を備える照明装置
JP5772473B2 (ja) * 2011-10-07 2015-09-02 岩崎電気株式会社 ランプ
JP6759952B2 (ja) * 2016-10-06 2020-09-23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用の落下防止具
JP2018120737A (ja) * 2017-01-25 2018-08-02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
KR101956157B1 (ko) 2018-09-11 2019-03-08 윤재진 천장형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JP2021157988A (ja) * 2020-03-27 2021-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
KR20210145434A (ko) 2020-05-25 2021-12-02 이엠 주식회사 추락 방지용 조명 장치 및 그것의 시공 방법
KR102361399B1 (ko) 2021-05-26 2022-02-14 이비테크(주) 낙하방지 보조브라켓을 이용한 등기구 설치방법
KR20220104657A (ko) 2022-03-17 2022-07-26 주식회사 지비스 낙하 위험이 있는 전기 제품을 위한 안전 보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8040A (zh) * 2023-11-27 2023-12-29 广东广兴洲照明有限公司 一种磁吸式吸顶灯
CN117308040B (zh) * 2023-11-27 2024-02-23 广东广兴洲照明有限公司 一种磁吸式吸顶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8455B2 (en) Casing for lighting assembly
US11649938B2 (en) Thin profile surface mount lighting apparatus
KR101852712B1 (ko) 직부형 led 평판조명기구
US7918598B2 (en) LED light fixture
KR101582770B1 (ko) 광원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JP5600607B2 (ja) Led照明器具
KR102479861B1 (ko) 조명기구 낙하방지용 안전시스템
JP2010135233A (ja) 照明器具
KR20150001858U (ko) 다목적 led 전등
KR102195876B1 (ko) 레이스웨이 결합형 led 조명장치
KR200476822Y1 (ko) 탈부착식 led 기판 모듈을 갖는 조명등
KR101453938B1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조명장치
KR102181274B1 (ko)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설치방법
JP2013069553A (ja) 照明器具
KR102199621B1 (ko) 직부형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KR20240042342A (ko) 조명기구 낙하방지장치
KR101037896B1 (ko) 엘이디를 이용한 간접 조명기구
KR101635557B1 (ko) 평판 조명기기
KR102151007B1 (ko)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KR101160809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KR102171917B1 (ko) Led 엣지평판형 천장등
KR101792944B1 (ko) 취부가 용이한 천장형 led 등기구
JP5297313B2 (ja) 照明器具
KR20230000297U (ko) Led 평판등
KR20230002103U (ko) 천장 설치용 led 평판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