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570B1 - 이종소재용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이종소재용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570B1
KR102479570B1 KR1020200165794A KR20200165794A KR102479570B1 KR 102479570 B1 KR102479570 B1 KR 102479570B1 KR 1020200165794 A KR1020200165794 A KR 1020200165794A KR 20200165794 A KR20200165794 A KR 20200165794A KR 102479570 B1 KR102479570 B1 KR 10247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bonding
fixing
j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864A (ko
Inventor
최현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to KR1020200165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5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27Setting rivets by friction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0Particular elements, e.g. supports; Suspension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riv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083Self-drilling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종소재용 접합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이종소재용 접합장치는: 복수개의 소재가 적층되도록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와 연결되고, 소재를 가압하여 지지대에 소재를 고정하는 고정대를 구비하는 지지부와; 설치부와, 설치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하여 소재에 접합부재를 통전가압 접합시키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접합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소재용 접합장치{BONDING DEVICE FOR DIFFERENT MATERIAL}
본 발명은 이종소재용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소재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제거하여 이중소재의 접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통전 접합기능을 증가시켜 접합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종소재용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재의 고강도 경량화 추세에 따라 스틸을 포함하는 판재와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등과 같은 비철 금속판재의 접합이 시도되거나, 스틸을 포함하는 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등과 같은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판재의 접합이 시도된다. 특히, 플로우 드릴 스크류의 통전가압 용접을 통한 이종소재 기계적 접합에서는 이중소재의 접합시 이중소재 간에 틈새가 발생되어 이중소재의 접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1777호(발명의 명칭: 복합판재 및 이의 접합 방법, 등록일: 2020.07.0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소재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제거하여 이중소재의 접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통전 접합기능을 증가시켜 접합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종소재용 접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종소재용 접합장치는: 복수개의 소재가 적층되도록 상기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대에 상기 소재를 고정하는 고정대를 구비하는 지지부; 및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하여 상기 소재에 재를 통전가압 접합시키는 를 구비하는 접합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대와 연결되고, 상기 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승되어 상기 접합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접합부재에 전류를 공급하는 통전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와 상기 통전단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합부의 하강시 상기 통전단자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접합부와 상기 통전단자부를 통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통전단자부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본체; 및 상기 지지대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소재를 지지하는 소재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지대본체 및 상기 접합부지지대와 연결되는 고정대몸체; 및 상기 고정대몸체와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소재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대몸체와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소재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전단자부는, 상기 지지대본체에 설치되고,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와 연결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작동에 상승되어 상기 접합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접합부재에 전류를 공급하는 통전단자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용 접합장치는 소재를 지지함은 물론, 소재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지지부를 통해 복수개의 소재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제거하여 이중소재의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전단자부를 통해 접합부의 통전가압 접합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접합공정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용 접합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용 접합장치의 접합부가 소재에 접합부재를 통전가압 접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용 접합장치의 접합부재가 소재에 통전가압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용 접합장치의 고정대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용 접합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용 접합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용 접합장치의 접합부가 소재에 접합부재를 통전가압 접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용 접합장치의 접합부재가 소재에 통전가압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용 접합장치의 고정대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용 접합장치(1)는 지지부(100), 접합모듈부(200), 통전단자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지지대(110)와 고정대(120)를 구비한다. 지지대(110)는 복수개의 소재(10)가 적층되도록 소재(10)를 지지한다. 지지대(110)에는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진 복수개의 소재(10)가 적층된다. 일 예로, 복수개의 소재(10)는 제1소재(11)와 제2소재(12)를 포함하며, 제1소재(11)는 스틸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성형된 판재일 수 있다. 제2소재(12)는 제1소재(11)와는 다른 재질을 성형된 판재일 수 있다.
고정대(120)는 지지대(110)와 연결되고, 소재(10)를 가압하여 지지대(110)에 소재(10)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대(120)는 지지대(110)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되고, 일측이 소재(10)의 상측을 가압하여 고정대(120)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지지대(110)는 소재(10)의 하측을 받치며, 고정대(120)는 소재(10)의 상측을 가압하여 지지대(110) 상에 소재(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소재(10)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가 제거되면서 복수개의 소재(10)가 서로 밀착될 수 있어, 후술된 접합부(220)를 통해 접합부재(20)가 복수개의 소재(10)에 통전가압 접합될 때 접합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접합모듈부(200)는 설치부(210)와 접합부(220)를 포함한다. 설치부(210)는 바닥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바닥 상을 이동할 수 있다. 접합부(220)는 설치부(2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하여 소재(10)에 접합부재(20)를 통전가압 접합시킨다. 이때, 접합부재(20)는 스크류일 수 있다. 접합부재(20)가 스크류인 것은 한정된 것이 아니라, 접합부재(20)가 소재(10)에 통전가압 접합되는 범위 내에서 핀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접합부(220)는 하강되어 소재(10)에 접합부재(20)를 결합시킨다. 이때, 접합부(220)는 하강하면서 회전되는 구성으로, 접합부재(20)를 복수개의 소재(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부재(20)는 접합부(220)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접합부(220)는 전원부(30)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아 접합부재(20)에 전달한다.
소재(10)에 접합부재(20)가 결합되면, 접합부재(20)가 접합부(220)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아 통전 가열되고, 접합부재(20)는 복수개의 소재(10)에 용융접합된다.
접합부(220)는 접합부본체(221)와 통전부(222)를 포함한다. 접합부본체(221)는 지지대(110)의 상방에 위치되어 설치부(2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접합부재(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통전부(222)는 접합부본체(221)와 연결되며, 접합부재(20)에 전류를 공급하여 접합부재(20)가 통전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통전부(222)는 전원부(30)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아 접합부재(20)에 전달한다.
지지부(100)는 접합부지지대(130)를 더 포함한다. 접합부지지대(130)는 고정대(120)와 연결되고, 접합부(220)를 지지한다. 접합부지지대(130)는 접합부지지대본체(131)와 접합부지지블록(132)을 포함한다. 접합부지지대본체(131)는 고정대(120)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된다. 접합부지지블록(132)은 접합부지지대본체(131)와 연결되고, 접합부(220)의 측부에 접촉되어 접합부(220)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접합부(220)는 승강시 접합부지지대(130)에 의해 지지되어 흔들림이 줄어들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통전단자부(300)는 지지대(1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승되어 상기 접합부재(20)에 접촉되며, 접합부재(20)에 전류를 공급한다. 통전단자부(300)는 접합부(220)의 하강시 상승되어 접합부재(20)의 하부에 접촉되고, 접합부재(20)에 전류를 공급하여 접합부재(20)의 통전 가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접합부(220)의 작업이 활성화되어 복수개의 소재(10)에 접합부재(20)가 빠르게 용융접합될 수 있다(도 3, 도 4 참조). 이때, 통전단자부(300)는 전원부(30)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아 접합부재(20)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접합부(220)의 통전가압 접합능력이 증가됨으로써, 접합공정 시간을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접합부(220)와 통전단자부(3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접합부(220)의 하강시 통전단자부(300)를 상승시키고, 접합부(220)와 통전단자부(300)를 통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접합부(220)의 하강시 통전단자부(300)를 상승시키고, 전원부(30)를 작동시켜 접합부(220)와 통전단자부(300)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한다. 반대로, 제어부(400)는 접합부(220)의 상승시 통전단자부(300)의 하강시키고, 전원부(30)의 작동을 멈춰 접합부(220)와 통전단자부(300)에 전류의 공급을 차단한다.
지지대(110)는 지지대본체(111)와 소재지지대(112)를 포함한다. 소재지지대(112)에는 통전단자부(300)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소재지지대(112)는 지지대본체(111)와 연결되고, 소재(10)를 지지한다. 일 예로, 소재지지대(112)는 제1소재지지대(112a)와 제2소재지지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소재지지대(112a)는 지지대본체(111)와 연결되고, 소재(10)의 하부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소재지지대(112b)는 제1소재지지대(112a)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지지대본체(111)와 연결되고, 소재(10)의 하부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대(120)는 고정대몸체(121)와 고정부(122)를 포함한다. 고정대몸체(121)는 지지대본체(111) 및 접합부지지대(130)와 연결된다. 고정대몸체(121)는 지지대본체(111) 및 접합부지지대(130)와 연결된다. 고정대몸체(121)는 제1고정대몸체(121a), 제2고정대몸체(121b) 및 제3고정대몸체(121c)를 포함한다. 제1고정대몸체(121a)는 지지대본체(111)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된다. 제2고정대몸체(121b)는 제1고정대몸체(121a)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접합부지지대(130)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된다. 제3고정대몸체(121c)는 제2고정대몸체(121b)의 하측에서 지지대본체(111)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후술된 고정부(122)가 연결된다.
고정부(122)는 고정대몸체(121)와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소재(10)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고정부(122)는 탄성부재(122a)와 고정블록(122b)을 포함한다. 탄성부재(122a)는 고정대몸체(121)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22a)는 고정대몸체(121)의 제3고정대몸체(121c)와 연결된다.
고정블록(122b)은 탄성부재(122a)와 연결되고, 탄성부재(122a)의 탄성복원력으로 소재(10)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소재(10)가 지지대(110)의 소재지지대(112)에 놓여질 때 소재(10)는 고정블록(122b)을 가압하게 되고, 고정블록(122b)과 연결된 탄성부재(122a)가 탄성변형되어 압축된다.
이후, 소재(10)가 소재지지대(112)에 놓여지면, 탄성부재(122a)가 원상태로 복원하면서 소재(10)를 가압하게 되고, 소재(10)가 소재지지대(112) 상에서 고정된다. 이때, 고정블록(122b)에는 삽입홈부(122c)가 형성되며, 삽입홈부(122c)는 크기가 제3고정대몸체(121c)의 크기보다 크므로, 탄성부재(122a)가 소재(10)에 의해 가압되면 삽입홈부(122c)에 제3고정대몸체(121c)가 겹쳐지게 된다(도 5 참조).
통전단자부(300)는 길이조절부(310)와 통전단자블록(320)을 포함한다. 길이조절부(310)는 지지대본체(111)에 설치되고, 길이가 조절된다. 길이조절부(310)는 실린더로 길이가 늘어거나 줄어들 수 있다. 이때, 길이조절부(310)는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통전단자블록(320)은 길이조절부(310)와 연결되고, 길이조절부(310)의 작동에 상승되어 접합부재(20)에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통전단자블록(320)은 길이조절부(310)의 길이가 늘어나면 상승되어 접합부재(20)에 접촉되며, 접합부재(20)에 전류를 공급한다. 반대로, 통전단자블록(320)은 길이조절부(310)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하강되어 접합부재(20)에 미접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용 접합장치(1)는 소재(10)를 지지함은 물론, 소재(1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지지부(100)를 통해 복수개의 소재(10)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제거하여 이중소재의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통전단자부(300)를 통해 접합부(220)의 통전가압 접합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접합공정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이종소재용 접합장치 10 : 소재
11 : 제1소재 12 : 제2소재
20 : 접합부재 30 : 전원부
40 : 설치부 100 : 지지부
110 : 지지대 111 : 지지대본체
112 : 소재지지대 112a : 제1소재지지대
112b : 제2소재지지대 120 : 고정대
121 : 고정대몸체 121a : 제1고정대몸체
121b : 제2고정대몸체 121c : 제3고정대몸체
122 : 고정부 122a : 탄성부재
122b : 고정블록 122c : 삽입홈부
130 : 접합부지지대 131 : 접합부지지대본체
132 : 접합부지지블록 200 : 접합부
210 : 접합부본체 220 : 통전부
300 : 통전단자부 310 : 길이조절부
320 : 통전단자블록 400 : 제어부

Claims (8)

  1. 복수개의 소재가 적층되도록 상기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대에 상기 소재를 고정하는 고정대를 구비하는 지지부;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하여 상기 소재에 접합부재를 통전가압 접합시키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접합모듈부; 및
    상기 지지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승되어 상기 접합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접합부재에 전류를 공급하는 통전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대와 연결되고, 상기 접합부를 지지하는 접합부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와 상기 통전단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합부의 하강시 상기 통전단자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접합부와 상기 통전단자부를 통전시키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통전단자부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지대본체 및 상기 접합부지지대와 연결되는 고정대몸체; 및
    상기 고정대몸체와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소재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몸체는,
    상기 지지대본체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는 제1고정대몸체;
    상기 제1고정대몸체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접합부지지대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는 제2고정대몸체; 및
    상기 제2고정대몸체의 하측에서 상기 지지대본체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탄성부재가 연결되는 제3고정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용 접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통전단자부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본체; 및
    상기 지지대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소재를 지지하는 소재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용 접합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대몸체와 연결되는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소재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용 접합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부는,
    상기 지지대본체에 설치되고,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와 연결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작동에 상승되어 상기 접합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접합부재에 전류를 공급하는 통전단자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용 접합장치.
KR1020200165794A 2020-12-01 2020-12-01 이종소재용 접합장치 KR10247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794A KR102479570B1 (ko) 2020-12-01 2020-12-01 이종소재용 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794A KR102479570B1 (ko) 2020-12-01 2020-12-01 이종소재용 접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864A KR20220076864A (ko) 2022-06-08
KR102479570B1 true KR102479570B1 (ko) 2022-12-21

Family

ID=8198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794A KR102479570B1 (ko) 2020-12-01 2020-12-01 이종소재용 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5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18B1 (ko) * 2013-12-30 2015-06-02 (주)엠에스오토텍 스틸 소재와 이종 소재의 접합장치 및 방법
KR102020297B1 (ko) * 2017-12-28 2019-09-1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셀프 피어싱 리벳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91Y1 (ko) * 2009-12-10 2012-05-2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루프패널용 스폿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18B1 (ko) * 2013-12-30 2015-06-02 (주)엠에스오토텍 스틸 소재와 이종 소재의 접합장치 및 방법
KR102020297B1 (ko) * 2017-12-28 2019-09-1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셀프 피어싱 리벳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864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344B1 (ko) 박판용접용 클램프 지그
US7235757B2 (en) Device for tightly fastening at least two members
CN102844851B (zh) 超声波焊接系统及利用该超声波焊接系统的方法
JP2011194464A (ja) スポット溶接方法及びスポット溶接装置
CN113459202A (zh) Pcb生产板自动压板装置、钻孔机及方法
KR102479570B1 (ko) 이종소재용 접합장치
KR100986074B1 (ko) 플라스틱 접합용 레이저 접합 장치
KR20130005802U (ko) 이종두께 및 이종재료 접합을 위한 지그장치
JP7218880B2 (ja) チップ製造装置、チップの製造方法、切削工具用チップ及び台座
CN114226947B (zh) 一种端子超声波焊接装置及焊接方法
KR100910492B1 (ko) 용접 장치
CN210498782U (zh) 超声波焊接机
KR102061652B1 (ko) 프레스 융착 장치
CN210451337U (zh) 一种焊接工装设备
KR101931728B1 (ko) 일체형 예열지그를 가지는 진동융착기
KR101176768B1 (ko) 난방용 발열부재 제조장치
KR20130005456U (ko) 자동차 스포일러의 진동 용착 장치
JPH1135122A (ja) ガイド付き搬送ベル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3893125B2 (ja) 加圧力可変溶接ヘッド
JP2009195936A (ja) 足踏み式接合ヘッド
JP3586840B2 (ja) 部分接着積層材の製造方法及び装置
CN215618406U (zh) Pcb生产板自动压板装置及钻孔机
KR100277607B1 (ko) 스폿트 용접시 흔적 제거장치
CN212070827U (zh) 一种激光热压焊治具
KR102612570B1 (ko) 이종소재 접합용 엘리먼트를 이용한 저항용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