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861B1 -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861B1
KR102478861B1 KR1020200149714A KR20200149714A KR102478861B1 KR 102478861 B1 KR102478861 B1 KR 102478861B1 KR 1020200149714 A KR1020200149714 A KR 1020200149714A KR 20200149714 A KR20200149714 A KR 20200149714A KR 102478861 B1 KR102478861 B1 KR 10247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dental implant
implant packaging
butt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3640A (ko
Inventor
서진우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9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861B1/ko
Priority to PCT/KR2021/011807 priority patent/WO2022102925A1/ko
Publication of KR2022006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플란트 포장 앰플 내의 픽스쳐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픽스쳐가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픽스쳐의 식립을 위해 앰플을 개봉한 후 픽스쳐에 드라이버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과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드라이버 체결에 따른 안정성과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은,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와;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실린더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토글 버튼과; 상기 토글 버튼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토글 버튼의 상승 이동시 탄성변형되며 픽스쳐의 양 측면부를 파지하는 그리퍼와; 상기 픽스쳐의 하단과 점접촉을 이루며 상기 픽스쳐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서포트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Packaging ampoule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포장 앰플 내의 픽스쳐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픽스쳐가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픽스쳐의 식립을 위해 앰플을 개봉한 후 픽스쳐에 드라이버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과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회복시켜 주는 대체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말한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체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만든 인공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뼈에 심은 뒤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그 인공 치근에 보철물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 또는 이러한 치과 시술방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는 티타늄으로 구성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와, 픽스쳐 상에 고정되어 보철물을 지지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Abutment screw) 및 어버트먼트에 고정되는 인공치아로서의 보철물(Prosthesis)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 구성들은 인체의 조직 내에 삽입되는 구성들인 만큼 멸균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그 포장과 운반, 그리고 포장의 개봉시에 오염이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치조골에 직접 식립되는 임플란트용 픽스쳐는 멸균상태가 유지된 별도의 보관용 앰플(Ampoule) 내에 삽입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이러한 임플란트용 픽스쳐를 보관하기 위한 기존의 보관용 앰플의 경우 픽스쳐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게 하는 초친수성 표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앰플 내에서 픽스쳐를 친수성 보존액에 침지하여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픽스쳐를 보관용 앰플 내에 친수성 보존액에 침지한 상태로 장기간 동안 보관할 경우 픽스쳐와 이를 지지하는 주변 구조물과의 과도한 접촉으로 인해 픽스쳐에 변색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보관용 앰플 내에서 픽스쳐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의 과도한 접촉으로 인해 픽스쳐의 하단부에 변색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픽스쳐와 픽스쳐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대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부식(Crevice corrosion)과 마모부식(Fretting corrosion)에 의한 결과이다. 기존의 임플란트 보관용 앰플의 경우 이러한 부분이 고려되지 않아 픽스쳐 제품의 일부에서 변색이 발생하였으며, 이렇게 픽스쳐의 하단부에서 시작된 변색이 점차 주변으로 확장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픽스쳐 제품에 대한 현저한 품질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임플란트용 픽스쳐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용 앰플의 경우 앰플을 개봉하여 픽스쳐를 취출할 때에 일련의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보관용 앰플로부터 픽스쳐를 취출한 후 픽스쳐를 홀딩한 상태에서 픽스쳐에 드라이버를 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픽스쳐의 식립작업을 위해 보관용 앰플을 개봉한 후 픽스쳐의 취출을 위해 드라이버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픽스쳐가 드라이버 체결시 발생하는 하중과 회전력을 온전하게 지지하지 못하여 드라이버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7386호(2011.05.20)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임플란트 포장 앰플 내에서 픽스쳐와, 픽스쳐를 지지하는 구조물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틈부식과 마모부식에 의한 픽스쳐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픽스쳐의 식립을 위하여 앰플을 개봉한 후 픽스쳐에 드라이버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픽스쳐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드라이버 체결작업을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은,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와;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실린더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토글 버튼과; 상기 토글 버튼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토글 버튼의 상승 이동시 탄성변형되며 픽스쳐의 양 측면부를 파지하는 그리퍼와; 상기 픽스쳐의 하단과 점접촉을 이루며 상기 픽스쳐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서포트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토글 버튼은, 상기 실린더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개구부를 따라 직선이동하는 한 쌍의 버튼부와; 상기 실린더와 그리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양측 버튼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 포장 앰플은 상기 그리퍼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단에 상기 서포트 핀이 결합되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임플란트 포장 앰플은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홀더가 지지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리퍼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토글 버튼의 상승 이동시 탄성변형되며 상기 픽스쳐의 양 측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부에는 완만한 곡면 형상을 이루며 바깥쪽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핀의 상면에는 상기 픽스쳐의 하단과 접촉을 이루는 원뿔형상의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포트 핀의 외주면 일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과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의 상면 부분과 상기 서포트 핀의 하면 부분에는 각각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버튼부의 상단 안쪽 부분에는 상기 버튼부의 상승 이동시 상기 그리퍼의 볼록부와 초기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실린더의 하단과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와; 상기 토글 버튼의 양측 버튼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구조에 따르면, 포장 앰플 내에 수납되는 픽스쳐가 서포트 핀의 상부에서 점접촉을 이루며 지지됨으로써 픽스쳐와 상기 픽스쳐를 지지하는 하단 구조물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틈부식과 마모부식에 의한 픽스쳐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픽스쳐의 식립작업을 위해 앰플 개봉 후 픽스쳐에 드라이버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드라이버를 통해 픽스쳐에 전달되는 하중을 그리퍼의 파지부를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드라이버의 체결시 픽스쳐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라이버 체결작업에 따른 안정성과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 포장 앰플 내부에 수납되는 앰플 본체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섹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섹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실린더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7은 도 5의 토글 버튼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8은 도 5의 그리퍼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9는 도 5의 서포트 핀과 홀더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서포트 핀과 홀더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
도 11은 도 5의 베이스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12는 토글 버튼의 상승 이동에 따른 그리퍼의 탄성 변형에 의해 픽스쳐의 측면부가 파지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3은 픽스쳐의 취출을 위해 앰플 개봉 후 드라이버를 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함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100)은 보틀(Bottle;110), 상기 보틀(10) 내부에 수납되는 앰플 본체(120), 상기 보틀(110) 상부에 결합되는 앰플 캡(130), 앰플 캡(1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캡(1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 구성이 갖추어져 있는 앰플 본체(12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임플란트 포장 앰플 내부에 수납되는 앰플 본체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A 섹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섹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앰플 본체(120)는 실린더(121)와, 실린더(121) 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글 버튼(Toggle button;123)과, 토글 버튼(123)의 안쪽에 배치되어 토글 버튼(123)의 상승 이동시 탄성 변형되며 픽스쳐(Fixture;F)의 측면을 파지하는 그리퍼(Gripper;124)와, 픽스쳐(F)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서포트 핀(Support pin;125)과, 상기 서포트 핀(125)의 하단에 결합되는 홀더(Holder;126)와, 홀더(126)가 중앙부에 고정되며 실린더(121)의 하단에 결합되는 베이스(base;128)와, 실린더(121)의 상단을 개폐하는 인너 캡(Inner cap;129)을 포함한다.
도 6은 앰플 본체(120) 내에 구비되는 실린더(121)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21)는 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픽스쳐(F), 토글 버튼(123), 그리퍼(124), 서포트 핀(125), 홀더(126), 및 가이드 부싱(127)이 수납되며, 하부에는 베이스(128)가 결합되고, 상부에는 인너 캡(129)이 결합된다.
그리고, 실린더(121)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양측 외주면 부분에는 토글 버튼(123)의 버튼부(123a)가 배치되어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실린더(121)의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절개된 형태를 갖는 한 쌍의 개구부(122)가 형성된다.
도 7은 실린더(121)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글 버튼(123)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글 버튼(123)은 실린더(121)의 양측 개구부(122)에 배치되는 한 쌍의 버튼부(123a)와, 상기 한 쌍의 버튼부(123a)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123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버튼부(123a) 및 연결부(123b)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통구조를 이루는 하나의 토글 버튼(123)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한 쌍의 버튼부(123a)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토글 버튼(123)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조작을 가능케 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버튼부(123a)는 실린더(121)의 양측 개구부(122) 내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12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구조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버튼부(123a)는 실린더(121)의 양측 개구부(12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버튼부(123a)를 조작하여 토글 버튼(123)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상기 토글 버튼(123)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에 따라 그리퍼(124)가 탄성 변형되며 픽스쳐(F)의 양 측면을 경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양측 버튼부(123a)의 상단 안쪽 부분에는 상기 버튼부(123a)의 상승 이동 시 그리퍼(124)의 양측 볼록부(124e) 부분과 초기 접촉되는 부분인 경사면(123c)이 형성된다. 이 경사면(123c)은 버튼부(123a)의 상승이동 과정에서 버튼부(123a)와 그리퍼(124)의 양측 볼록부(124e) 간의 초기접촉을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양측 파지부(124b)의 원활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부(123b)는 실린더(121)와 그리퍼(124)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 버튼부(123a) 사이를 원통 구조로 연결한다. 따라서, 버튼부(123a)와 연결부(123b)는 전체적으로 원통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어, 토글 버튼(123)이 실린더(121)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없이 상하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즉, 토글 버튼(123)은 버튼부(123a)가 실린더(121)의 개구부(122) 내에 위치되어 개구된 공간을 통해 실린더(121)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버튼부(123a)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을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토글 버튼(123)의 상하이동은 개구부(122) 안쪽 공간 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상하이동 폭이 제한될 수 있다.
도 8은 토글 버튼(123)의 안쪽 부분에 설치되는 그리퍼(124)의 상세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리퍼(124)는 토글 버튼(123)의 안쪽 부분에 배치되어 토글 버튼(123)의 상승시 버튼부(123a)와의 접촉을 통해 탄성 변형이 이루어져 픽스쳐(F)의 양 측면 부분을 파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리퍼(124)는 베이스(128)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124a)와, 결합부(124a)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픽스쳐(F)의 양 측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124b)로 구성된다.
결합부(124a)는 베이스(128)의 상면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그 중앙에는 베이스(128)의 중앙부에 위치한 기둥모양을 갖는 돌출부(128c) 부분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홀(124c)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홀(124c)은 돌출부(128c)의 외곽 형상과 대응되는 홀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결합홀(124c)은 원형 홀 구조에서 서로 마주보는 양쪽 부분에 직선 구간이 형성된 모양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리퍼(124)의 결합홀(124c) 부분을 베이스(128)의 돌출부(128c) 부분에 끼워넣어 베이스(128)의 상면에 안착시키게 되고, 상기 결합홀(124c)이 돌출부(128c) 부분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홀(124c)의 형상과 돌출부(128c)의 외곽 형상으로 인해 그리퍼(124)는 베이스(128)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결합부(124a)의 양측에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파지부(124b)는 그 상단부에 픽스쳐(F)의 양 측면 부분에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접촉단(124d)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접촉단(124d)는 픽스쳐(F)의 양 측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픽스쳐(F)의 양 측면부와의 접촉시 픽스쳐(F)를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단(124d)과 인접된 파지부(124b)의 하부에는 토글 버튼(123)의 상승이동 과정에서 버튼부(123a)의 경사면(123c)과 용이하게 간섭될 수 있도록 완만한 곡면 형상을 이루며 파지부(124b)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를 갖는 볼록부(124e)가 형성된다.
따라서, 토글 버튼(123)의 상승 이동시 파지부(124b) 상부에 위치된 볼록부(124e)는 버튼부(123a)의 상단의 경사면(123c)을 통해 버튼부(123a)의 내면으로 용이하게 진입한 후 상기 버튼부(123a)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파지부(124b)가 탄성 변형되며 실린더(121)의 중심쪽으로 이동되면서 상부의 접촉단(124d)이 픽스쳐(F)의 양 측면과 접촉하여 픽스쳐(F)의 양 측면을 강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픽스쳐(F)의 재질은 타 금속에 비해 가볍고 합금처리를 통해 강성을 높일 수 있고, 부식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생체에 적합한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 순수 티타늄 소재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픽스쳐(F)의 양 측면과 접촉하여 지지해주는 구조물인 그리퍼(124) 또한 상기 픽스쳐(F)와 동일한 티타늄(Titanium) 소재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픽스쳐(F)의 측면을 깜싸면서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접촉단(124d) 부분만을 티타늄 소재로 구성하고, 그 외에 부분은 다른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픽스쳐(F)의 양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그리퍼(124)는, 바람직하게는 티타늄 소재의 금속 판재를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잘라낸 후 프레스기로 절곡시켜 제작할 수 있으며, 집게와 같이 오무리는 힘에 의해 탄성 회복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픽스쳐(F)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서포트 핀(125)과, 서포트 핀(125)이 상단에 결합되는 홀더(126)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서포트 핀(125)은 픽스쳐(F)를 하부에서 집적적으로 접촉하며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서포트 핀(125)은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면 중앙부에는 픽스쳐(F)의 하단과 접촉되는 원뿔 형상을 갖는 지지돌기(125a)가 형성된다.
따라서, 픽스쳐(F)의 하단은 원뿔 형상을 갖는 지지돌기(125a)와 점접촉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지지돌기(125a)를 통해 최소의 접촉면적을 가지면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픽스쳐(F)와 이를 지지해주는 서포트 핀(125) 사이에는 틈부식(Crevice corrosion)이나 마모부식(Fretting corrosion)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이로 인해 장기간 보관 시에도 픽스쳐(F)가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서포트 핀(125)은 원통형 구조를 갖는 홀더(126)의 상단에 결합되어 픽스쳐(F)를 하부에서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홀더(126)는 그리퍼(124)의 안쪽 부분에 배치되어 그 하단이 베이스(128)의 돌출부(128c) 부분에 압입 고정된다.
또한, 서포트 핀(125)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결합홈(125b)이 형성된다. 이와 대응하여 홀더(126)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125b)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홀더(126)의 중심부 방향을 향해 돌출된 형태의 결합돌기(126a)가 형성된다.
따라서, 서포트 핀(125)과 홀더(126)의 결합은, 상기 서포트 핀(125)에 형성된 결합홈(125b) 부분을 홀더(126)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26a) 부분에 끼워 맞춘 다음 서포트 핀(125)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홀더(126)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홀더(126)의 상단부 내주면 부분에는 홀더(126)의 중심부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환형 모양의 걸림턱(126b)이 형성되고, 서포트 핀(125)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26b)이 삽입되어 요철구조로 결합될 수 있는 환형 모양의 걸림홈(125c)이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핀(125)은 도 10의 확대도에 나타낸 결합구조로 홀더(126)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 핀(125)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홀더(126)에 결합하게 될 경우 결합의 용이성을 위하여 홀더(126)의 걸림턱(126b) 상부면에 하향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126c)을 형성하고, 상기 홀더(126)와 최초 접촉되는 서포트 핀(125)의 하면 테두리 부분에도 상기 홀더(126)의 경사면(126c)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또 다른 경사면(125d)을 형성함으로써, 서포트 핀(125)의 경사면(125d)이 홀더(126)의 걸림턱(126b) 부분에 형성된 경사면(126c)을 타고 하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서포트 핀(125)이 홀더(126)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합홈(125b)과 결합돌기(126a)가 요철구조로 서로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서포트 핀(125)은 홀더(126)에 대해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은 실린더(121)의 하단에 결합되는 베이스(128)의 상세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8)는 실린더(121)의 하단에 후크 방식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128a)와, 상기 체결부(128a)와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토글 버튼(123)의 양측 버튼부(123a)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128b)와, 베이스(128)의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홀더(126)의 하단과 결합되는 돌출부(128c)를 구비한다.
여기서, 픽스쳐(F)가 임플란트 포장 앰플(100) 내에 장시간 보관 상태로 유지되는 평상시에는 토글 버튼(123)은 실린더(121)의 최하단까지 내려온 상태가 되고, 이 경우 토글 버튼(123)의 양측 버튼부(123a)는 베이스(128)의 양측 지지부(128b) 상단에 접촉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베이스(128)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128c) 부분에는 홀더(126)가 압입 고정되는데, 이 경우 돌출부(128c) 외곽에 끼워지는 홀더(126)의 하단 내주면 형상 구조는 상기 돌출부(128c)의 외곽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홀더(126)는 베이스(128)의 돌출부(128c) 부분에 압입 고정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포장 앰플(100)에 있어서 토글 버튼(123)의 상승 조작 전후의 그리퍼(124) 모습을 비교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2의 (a)는 포장 앰플(100) 내에서 픽스쳐(F)가 장시간 보관 상태로 유지되는 평상시의 토글 버튼(123) 위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경우, 토글 버튼(123)의 양측 버튼부(123a)는 개구부(122)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며, 베이스(128)의 지지부(128b) 상단과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어 하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도 12의 (b)는 토클 버튼(123)의 상승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글 버튼(123)의 상승 초기에는 양측 버튼부(123a)의 상단 안쪽 면에 형성된 경사면(123c)과 그리퍼(124)의 파지부(124b) 부분에 형성된 볼록부(124e) 부분이 먼저 접촉되어 그리퍼(124)의 양측 파지부(124b)에 대한 탄성 변형을 유발하고, 그 이후 그리퍼(124)의 볼록부(124e) 부분이 버튼부(123a)의 내주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그리퍼(124)의 양측 파지부(124b)가 탄성 변형되어 중심부 쪽으로 이동하면서 파지부(124b) 상단의 접촉단(124d) 부분이 픽스쳐(F)의 양 측면과 접촉을 이루게 됨으로써, 픽스쳐(F) 양 측면은 그리퍼(124)의 파지부(124b)를 통해 견고한 지지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픽스쳐(F)를 인체에 식립하기 위하여 포장 앰플(100)을 개봉한 후 드라이버(D)를 픽스쳐(F)에 체결하여 픽스쳐(F)를 취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앰플 본체(120)에서 픽스쳐(F)를 취출하고자 할경우 사용자가 토글 버튼(123)의 양측 버튼부(123a)를 손가락으로 움켜잡고 위로 상승시키면 전술된 도 12의 (b)의 과정을 통해 그리퍼(124)의 양측 파지부(124b) 부분이 탄성 변형되면서 파지부(124b) 상단의 접촉단(124d) 부분이 픽스쳐(F)의 양 측면 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하며 잡아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121) 상단의 인너 캡(129)을 개봉한 후 드라이버(D)의 축(DS)을 픽스쳐(F) 상단에 체결하여 실린더(121) 밖으로 취출하게 되는데, 이때 픽스쳐(F)는 토글 버튼(123)의 양측 버튼부(123a)를 통해 압박되어 변형된 그리퍼(124)의 파지부(124b)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드라이버(D)의 축(DS)을 픽스쳐(F)의 상단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드라이버(D)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픽스쳐(F)의 양 측면부가 파지부(124b) 상단의 접촉단(124d)을 통해 감싸진 상태로 조여질 수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D)의 축(DS)의 체결시 픽스쳐(F)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드라이버(D)의 체결작업을 한층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100) 구조에 따르면, 포장 앰플(100) 내에 수납되는 픽스쳐(F)와 상기 픽스쳐(F)를 지지하는 하단 구조물, 즉, 서포트 핀(125)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기존과 같이 픽스쳐와 지지 구조물 사이의 접촉에 따른 틈부식과 마모부식으로 인해 픽스쳐(F)가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픽스쳐(F)의 식립작업을 위해 앰플 개봉 후 픽스쳐(F)에 드라이버(D)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드라이버(D)를 통해 픽스쳐(F)에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그리퍼(124)의 파지부(124b)를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아울러, 드라이버(D) 체결과정에서 파지부(124b) 상단의 접촉단(124d) 부위가 픽스쳐(F)의 측면을 견고하게 잡아주기 때문에 픽스쳐(F)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드라이버 체결작업시 안정성과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임플란트 포장 앰플 110 : 보틀부
120 : 앰플 본체 121 : 실린더
122 : 개구부 123 : 토글 버튼
123a : 버튼부 123b : 연결부
124 : 그리퍼 124a : 결합부
124b : 파지부 124c : 결합홀
124d : 접촉단 125 : 서포트 핀
125a : 지지돌기 125b : 결합홈
125c : 걸림홈 125d, 126c : 경사면
126 : 홀더 126a : 결합돌기
126b : 걸림턱 127 : 가이드 부싱
128 : 베이스 128a : 체결부
128b : 지지부 128c : 돌출부
129 : 인너 캡 130 : 앰플 캡
140 : 커버 캡

Claims (12)

  1.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실린더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토글 버튼;
    상기 토글 버튼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토글 버튼의 상승 이동시 탄성변형되며 픽스쳐의 양 측면부를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를 구비한 그리퍼;
    상기 픽스쳐의 하단과 점접촉을 이루며 상기 픽스쳐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서포트 핀;
    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버튼은,
    상기 실린더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개구부를 따라 직선이동하는 한 쌍의 버튼부;
    상기 실린더와 그리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버튼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단에 상기 서포트 핀이 결합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홀더가 지지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토글 버튼의 상승 이동시 탄성변형되며 상기 픽스쳐의 양 측면을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완만한 곡면 형상을 이루며 바깥쪽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의 볼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핀의 상면에는 상기 픽스쳐의 하단과 접촉을 이루는 원뿔형상의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핀의 외주면 일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과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상면 부분과 상기 서포트 핀의 하면 부분에는 각각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상단 안쪽 부분에는 상기 버튼부의 상승 이동시 상기 그리퍼의 볼록부와 초기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실린더의 하단과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와;
    상기 토글 버튼의 양측 버튼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KR1020200149714A 2020-11-10 2020-11-10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KR10247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714A KR102478861B1 (ko) 2020-11-10 2020-11-10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PCT/KR2021/011807 WO2022102925A1 (ko) 2020-11-10 2021-09-02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714A KR102478861B1 (ko) 2020-11-10 2020-11-10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640A KR20220063640A (ko) 2022-05-17
KR102478861B1 true KR102478861B1 (ko) 2022-12-20

Family

ID=8160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714A KR102478861B1 (ko) 2020-11-10 2020-11-10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8861B1 (ko)
WO (1) WO202210292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2892A1 (en) * 2013-01-23 2014-07-24 Jjgc Industria E Comercio De Materiais Dentarios S.A. Packaging system for storing, capturing and transporting dental implants
KR101511332B1 (ko) * 2013-10-11 2015-04-14 (주)위드메이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64955B1 (ko) 2018-01-19 2020-01-10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5948A1 (de) * 2003-02-12 2004-09-02 Heraeus Kulzer Gmbh & Co. Kg Verpackung für ein Dentalimplantat
KR200404051Y1 (ko) * 2005-09-02 2005-12-16 주식회사 조인원 임플란트 포장용기용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FR2948279B1 (fr) * 2009-07-27 2012-08-24 Luponax Plastic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pour implant dentaire
KR101037386B1 (ko) 2009-09-02 2011-05-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픽스츄어 포장용 앰플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2892A1 (en) * 2013-01-23 2014-07-24 Jjgc Industria E Comercio De Materiais Dentarios S.A. Packaging system for storing, capturing and transporting dental implants
KR101511332B1 (ko) * 2013-10-11 2015-04-14 (주)위드메이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64955B1 (ko) 2018-01-19 2020-01-10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640A (ko) 2022-05-17
WO2022102925A1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8551B2 (ja) 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用収納容器
US20230219741A1 (en) Package for drills, a method and an arrangement therefore
US4786252A (en) Orthodontic appliance
JP5311393B2 (ja) 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用収納容器
US6955258B2 (en) Dental implant packaging system
JP2004188177A5 (ko)
US6322363B1 (en) Dental pliers
KR10247886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US20190315563A1 (en) Package for drills, a method and an arrangement therefore
US20240081957A1 (en) Dental implant
CN103876844B (zh) 用于牙科植入物的包装装置
KR200448457Y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47886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TW201808233A (zh) 保持器、包裝與保持器之組合體、手術裝置用轉接器及具有支撐結構的手術裝置用保持器
JP2008125982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を収容するためのパッケージ
KR10247620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 앰플
KR20170112505A (ko) 치과용 임플란트
EP3622916B1 (en) Forceps for removing dental implant fixture
JP2826307B1 (ja) ボンディングワイヤ用スプールケース
EP1582173A1 (en) Dental implant
US11517424B2 (en) Tool for molding dysphonia treatment tool, and method for bending front piece of dysphonia treatment tool
JP6725319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キャップ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KR102005916B1 (ko) 수납용기 내에서 치과용 임플란트를 지지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가지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납용기
US10321978B2 (en) Orthodontic bracket
KR102080210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