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650B1 -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650B1
KR102478650B1 KR1020210018646A KR20210018646A KR102478650B1 KR 102478650 B1 KR102478650 B1 KR 102478650B1 KR 1020210018646 A KR1020210018646 A KR 1020210018646A KR 20210018646 A KR20210018646 A KR 20210018646A KR 102478650 B1 KR102478650 B1 KR 102478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pouch
type secondary
alignmen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972A (ko
Inventor
정종홍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레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레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레버
Priority to KR102021001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650B1/ko
Priority to PCT/KR2022/001946 priority patent/WO2022173202A1/ko
Publication of KR2022011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3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 B29C66/4332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by folding a sheet 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개시되는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는, 270도 폴딩된 폴딩면의 접착층을 접착이 파괴된 부분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이차전지의 본방을 정렬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는 이차전지의 본방에 접촉해 본방을 정렬시키는 정렬 바디; 및 본방 정렬 시 본방의 상부면 측으로 압축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DEVICE FOR ALIGNING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Disclosure)은,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장자리(terrace)가 270도 폴딩된 이차전지의 본방을 정렬시킬 수 있게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이차전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2)와, 전극 조립체(2)를 수용하는 파우치 케이스(3) 및 전극 조립체(2)로부터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전극 탭(4)을 포함한다.
그리고 파우치 케이스(3)는 전극 조립체(2)의 수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본체(5)와, 이 케이스 본체(5)를 덮는 케이스 커버(6)를 포함한다. 이때 케이스 본체(5)와 케이스 커버(6)는 전극 조립체(2)와 전해액이 수용되는 본방(main chamber)을 형성하며, 케이스 본체(5)와 케이스 커버(6)의 가장자리(terrace)는 통상적으로 접착(sealing)되어 제공된다.
또한, 접착된 파우치형 이차전지(1)의 가장자리(7), 즉 전극 탭(4)이 노출되지 않는 가장자리(7; terrace)는 접착 부분에서 발생하는 부식을 방지하고, 파우치의 강성을 향상시키며, 전체 크기를 감소시켜 파우치형 이차전지(1)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단으로 폴딩(folding; 도 2 참조)되는데, 폴딩된 가장자리(이하 "폴딩면(8)" 이라 한다)는 폴딩 이전의 상태로 복원되지 않도록 테이프(9; 도 2 참조)들이 부착된다.
여기서, 가장자리(7)는 일반적으로 상부 측으로 90도 절곡되어 되고, 90도 절곡된 가장자리(7)는 다시 본방 측으로 90도 절곡되어 180도 절곡되며, 180도 절곡된 가장자리(7)는 다시 상부 측으로 90도 절곡된다. 즉, 가장자리(7)는 270도 폴딩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차전지(1)는 가장자리(7) 폴딩 시 접착(sealing)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는 이차전지(1)의 불량으로 이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 270도 폴딩된 이차전지(1)의 가장자리(7), 즉 폴딩면(8)의 접착층을 접착이 파괴된 부분으로 유동시키는 방안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안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46728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4322호.
본 발명(Disclosure)은, 270도 폴딩된 폴딩면의 접착층을 용융시켜 폴딩 시 접착이 파괴된 부분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이차전지의 본방을 정렬시킬 수 있게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는, 테라스에 폴딩면이 형성된 이차전지의 본방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설치되며, 본방 측으로 이동해 본방을 정렬시키는 정렬바디;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에서, 정렬 바디들은, 본방 하부면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 및 본방의 측면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에서, 제 2 접촉부는 폴딩면에 간섭되지 않게 본방의 하부면과 이어지는 본방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에서,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에서, 제 1 접촉부에는 본방 정렬 시 본방 하부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돌출된 돌기들이 다수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에서,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는, 정렬 바디들에 의한 본방 정렬 시 본방의 상부면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본방이 정렬 바디들로부터의 융기 또는 들뜸을 방지하는 제 1 에어분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에서, 제 1 에어 분사유닛은, 압축 에어를 발생시키는 제 1 콤프레셔; 및 제 1 콤프레셔 측에서 공급되는 압축 에어를 본방의 상부면 측으로 분사하는 제 1 분사노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에서, 제 1 분사노즐들은 유로를 통해 제 1 콤프레셔와 연결되되, 제 1 분사노즐들은 유로에서 본방의 상부면과 마주하게 분기되는 분기유로 상에 설치되거나, 내부에 유로와 연결되는 유로챔버를 형성하면서 본방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플레이트의 하부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에서,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는, 정렬 바디들에 의한 본방 정렬 시 본방의 하부면 측으로 에어를 분사해 본방을 유동시킬 수 있게 하는 제 2 에어분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에서, 제 2 에어 분사유닛은, 압축 에어를 발생시키는 제 2 콤프레셔; 및 제 2 콤프레셔 측에서 공급되는 압축 에어를 본방의 하부면 측으로 분사하는 제 2 분사노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에서, 제 2 분사노즐들은 유로를 통해 제 2 콤프레셔와 연결되되, 제 2 분사노즐들은 본방 하부면에 접촉하는 정렬 바디들의 제 1 접촉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장자리가 270도 폴딩된 이차전지의 본방이 융기되거나 들뜨림 없이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가장자리가 270도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100)는, 파우치형 이차전지(1; 도 1 및 도 2 참조)의 가장자리(7; 도 1 참조)를 절곡시켜 기 설정(목적)된 단면 형상으로 접을 수 있게 하는 폴딩공정(도시되지 않음)과 이어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이차전지(1)는 주행로봇(D)에 탑재되어 폴딩공정을 거치게 되며, 주행로봇(D)에 탑재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100)로 안내된다.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100)는 정렬 바디(110a, 110b)들과, 제 1 에어 분사 유닛(120) 및 제 2 에어 분사 유닛(130)들을 포함한다.
먼저, 정렬 바디(110a, 110b)들은 이차전지(1)의 본방(M)에 접촉해 본방(M)을 정렬시킨다.
정렬 바디(110a, 110b)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제공되며, 주행로봇(D)에 탑재되어 안내되는 이차전지(1)의 본방(M)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설치된다.
이때, 정렬 바디(110a, 110b)들은 이차전지(1)의 본방(M)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하게 설치된다.
한편, 정렬 바디(110a, 110b)들은 본방(M)의 하부면과 폴딩면(8)에 간섭되지 않게 이차전지(1)의 본방(M)의 하부면과 본방(M)의 하부면과 이어지는 본방(M)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정렬 바디(110a, 110b)들은 본방(B)의 하부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112a, 112b)와, 본방(B)의 측면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114a, 114b)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접촉부(112a, 112b)와 제 2 접촉부(114a, 114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교차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각 제 1 접촉부(112a, 112b)와 제 2 접촉부(114a, 1145b)를 가지는 정렬 바디(110a, 110b)들은 정렬 바디(110a, 110b)들 사이에 이차전지(1)가 위치하면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본방(M)의 하부면 및 본방(M)의 측면에 접촉해 본방(M)을 정렬시키고, 본방(M)의 정렬이 완료되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정렬 바디(110a, 110b)들의 이동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정렬 바디(110a, 110b)들은 스테인리스(SUS) 또는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렬 바디(110a, 110b)들의 제 1 접촉부(112a, 112b)에는 본방(M) 정렬 시 본방(M) 하부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돌출된 돌기(dome)들이 다수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에어 분사 유닛(120)은 정렬 바디(110a, 110b)들에 의한 본방(M) 정렬 시 본방(M)의 상부면 측으로 압축 에어를 분사해 본방(M)이 융기되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한다.
제 1 에어 분사 유닛(120)은 압축 에어를 발생시키는 통상의 제 1 콤프레셔(124)와, 제 1 콤프레셔(124) 측에서 공급되는 압축 에어를 분사하는 제 1 분사노즐(122)들을 포함한다.
제 1 분사노즐(122)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바디(110a, 110b) 사이로 안내되는 이차전지(1)에 간섭되지 않게 정렬 바디(110a, 110b)들 사이에 설치되며, 이차전지(1)의 본방(M) 상부면 측으로 압축 에어를 분사할 수 있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분사노즐(122)들은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유로(관)를 통해 제 1 콤프레셔(124)와 연결되되, 제 1 분사노즐(122)들은 하나의 유로에서 본방(M)의 상부면과 마주하게 분기되는 분기유로 상에 설치되거나, 내부에 유로챔버를 형성하면서 본방(M)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플레이트의 하부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분사노즐(122)들은 본방(M)의 상부면 전역에 압축 에어를 분사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에어 분사 유닛(130)은 정렬 바디(110a, 110b)들에 의한 본방(M) 정렬 시 본방(M)의 하부면 측으로 압축 에어를 분사해 본방(M)이 유동시킬 수 있게 한다.
제 2 에어 분사 유닛(130)은 압축 에어를 발생시키는 통상의 제 2 콤프레셔(134)와, 제 2 콤프레셔(134) 측에서 공급되는 압축 에어를 분사하는 제 2 분사노즐(132)들을 포함한다.
제 2 분사노즐(132)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바디(110a, 110b)들의 제 1 접촉부(112a, 112b)에 설치되며, 이차전지(1)의 본방(M) 하부면 측으로 압축 에어를 분사할 수 있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 2 분사노즐(132)들은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유로(관)를 통해 제 2 콤프레셔(134)와 연결되며, 제 2 분사노즐(132)들에서 분사되는 압축에어의 분사압력은 제 1 분사노즐(122)들에서 분사되는 압축에어의 분사압력과 같거나 낮을 수 있다.
즉, 폴딩공정에서 폴딩면(8)이 형성된 이차전지(1)가 주행로봇(D)에 탑재(진공 흡착)된 상태로 안내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100)는, 우선 정렬 바디(110a, 110b)들을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렬 바디(110a, 110b)들을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각각의 정렬 바디(110a, 110b)들의 제 1 접촉부(112a, 112b)는 우선 본방(M)의 하부면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주행로봇(D)은 이차전지(1)를 정렬 바디(110a, 110b)들의제 1 접촉부(112a, 112b)에 내려 놓고 폴딩공정 측으로 이동되고, 제 2 에어 분사 유닛(130)의 제 2 분사노즐(132)들에서 압축에어가 분사된다.
그리고 계속 대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렬 바디(110a, 110b)들의 제 2 접촉부(114a, 114b)가 본방(M)의 측면에 접촉하면, 이차전지(1)의 본방(M)은 정렬되는데, 이때 제 1 에어 분사 유닛(120)의 제 1 분사노즐(122)들을 통해 정렬되는 본방(M)의 상부면 측으로 압축에어를 분사해 정렬되는 본방(M)이 융기되거나 들뜨기 않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100)에 의해 본방(M)의 정렬이 완료되면, 후행공정으로부터 또 다른 주행로봇이 정렬이 완료된 이차전지(1)의 본방(M) 하부 측으로 안내되어 이차전지(1)를 탑재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에어 분사 유닛(120, 130)의 작동이 중지되고, 정렬 바디(110a, 110b)들이 복귀되면 정렬이 완료된 이차전지(1)는 주행로봇을 따라 후행공정 측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100)는 가장자리가 270도 폴딩된 이차전지(1)의 본방(M)을 융기되거나 들뜨림 없이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게 한다.

Claims (11)

  1. 테라스에 270도 폴딩된 폴딩면이 형성된 이차전지의 본방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방 측으로 이동해 상기 본방을 정렬시키는 정렬바디;들을 가지되,
    상기 정렬 바디들은,
    상기 본방 하부면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 및
    상기 폴딩면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본방의 하부면과 이어지는 상기 본방의 측면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부는 직각으로 교차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 1 접촉부에는 상기 본방 정렬 시 상기 본방 하부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돌출된 돌기들이 다수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는,
    상기 정렬 바디들에 의한 상기 본방 정렬 시 상기 본방의 상부면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본방이 상기 정렬 바디들로부터의 들뜸을 방지하는 제 1 에어분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 분사유닛은,
    압축 에어를 발생시키는 제 1 콤프레셔; 및
    상기 제 1 콤프레셔 측에서 공급되는 압축 에어를 상기 본방의 상부면 측으로 분사하는 제 1 분사노즐;들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사노즐들은 유로를 통해 상기 제 1 콤프레셔와 연결되되,
    상기 제 1 분사노즐들은 유로에서 상기 본방의 상부면과 마주하게 분기되는 분기유로 상에 설치되거나, 내부에 상기 유로와 연결되는 유로챔버를 형성하면서 상기 본방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플레이트의 하부면 상에 설치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는,
    상기 정렬 바디들에 의한 상기 본방 정렬 시 상기 본방의 하부면 측으로 에어를 분사해 본방을 유동시킬 수 있게 하는 제 2 에어분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 분사유닛은,
    압축 에어를 발생시키는 제 2 콤프레셔; 및
    상기 제 2 콤프레셔 측에서 공급되는 압축 에어를 상기 본방의 하부면 측으로 분사하는 제 2 분사노즐;들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사노즐들은 유로를 통해 상기 제 2 콤프레셔와 연결되되,
    상기 제 2 분사노즐들은 상기 본방 하부면에 접촉하는 상기 정렬 바디들의 제 1 접촉부에 설치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KR1020210018646A 2021-02-09 2021-02-09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KR102478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646A KR102478650B1 (ko) 2021-02-09 2021-02-09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PCT/KR2022/001946 WO2022173202A1 (ko) 2021-02-09 2022-02-09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646A KR102478650B1 (ko) 2021-02-09 2021-02-09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972A KR20220114972A (ko) 2022-08-17
KR102478650B1 true KR102478650B1 (ko) 2022-12-19

Family

ID=8283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646A KR102478650B1 (ko) 2021-02-09 2021-02-09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8650B1 (ko)
WO (1) WO20221732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442B1 (ko) 2023-03-15 2023-08-16 주식회사 티더블유 전극판 정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593B1 (ko) * 2020-01-23 2020-07-10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티 이차전지 셀의 테라스를 처리하기 위한 폴딩 설비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포함된 셀 얼라인먼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729B1 (ko) * 2005-07-01 2007-06-29 오성엘에스티(주) 기판 정렬장치
JP5337366B2 (ja) * 2007-10-22 2013-1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池製造方法及び電池
KR100946728B1 (ko) 2009-07-21 2010-03-12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반도체 제조공정의 배기용 댐퍼
KR101271492B1 (ko) * 2010-12-02 2013-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전극시트 커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KR101233111B1 (ko) * 2011-07-07 2013-02-15 우리마이크론(주) 기판 정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61148A (ko) * 2012-11-13 2014-05-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5623A (ko) * 2013-10-21 2015-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60041402A (ko) *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17201B1 (ko) 2018-03-29 2021-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얼라인 검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극조립체의 얼라인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593B1 (ko) * 2020-01-23 2020-07-10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티 이차전지 셀의 테라스를 처리하기 위한 폴딩 설비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포함된 셀 얼라인먼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442B1 (ko) 2023-03-15 2023-08-16 주식회사 티더블유 전극판 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3202A1 (ko) 2022-08-18
KR20220114972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650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정렬 장치
EP3352245A1 (en) Battery module and end plate of the battery module
CN208962640U (zh) 曲面治具、压合装置及贴胶系统
JP5760015B2 (ja) 蓄電池の内漏液防止カバー(batterycoverforpreventionelectrolyteleakage)
KR101773241B1 (ko) 정렬 장치
CN108428836A (zh) 二次电池顶盖用防爆阀、顶盖组件、二次电池及汽车
US11108109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ss-fitting battery top cover
KR102394494B1 (ko) 이차전지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CN109127520A (zh) 水洗式膜清洗设备
CN112352342A (zh) 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KR20130034615A (ko) 핸드 및 기판 반송 장치
CN107458747A (zh) 隔片和相关方法
KR102089242B1 (ko) 연료 분사 밸브
CN206344162U (zh) 一种机械手及蒸镀装置
US20230091329A1 (en) High-pressure gas tank module
CN207690886U (zh) 二次电池顶盖用防爆阀、顶盖组件、二次电池及汽车
US11335966B2 (en) Cas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CN205678148U (zh) 一种阀门
US20200091526A1 (en) Fuel cell module
JP6063070B2 (ja) 接着剤塗布ヘッド
KR20130013432A (ko) 액적 분사 장치
CN206441715U (zh) 伯努利末端执行器
JP4135208B2 (ja) 電解液密封用シール部材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6615028B2 (ja) 塗布装置
KR20230158284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