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017B1 - Smart suit - Google Patents

Smart s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017B1
KR102478017B1 KR1020200051900A KR20200051900A KR102478017B1 KR 102478017 B1 KR102478017 B1 KR 102478017B1 KR 1020200051900 A KR1020200051900 A KR 1020200051900A KR 20200051900 A KR20200051900 A KR 20200051900A KR 102478017 B1 KR102478017 B1 KR 102478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fixing part
waist
coupled
thi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9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33382A (en
Inventor
권대규
오승용
김경
차은혜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017B1/en
Publication of KR2021013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3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62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with hook and loop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보조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보조 작업복은 착용자의 등에 배치되는 중앙연결부; 일단이 중앙연결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등중앙띠를 구비하며, 등중앙띠의 종단에서 착용자의 좌, 우측 어깨를 감쌀 수 있도록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어깨고정부; 일단이 중앙연결부의 좌, 우측 각각에 결합되는 연결띠를 구비하며, 연결띠의 타단 각각에 착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허리고정부; 착용자의 허벅지 각각에 고정되는 한 쌍의 허벅지고정부; 일단이 중앙연결부의 하측 좌, 우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허벅지고정부에 고정되어 척추와 하지의 근력을 보조하는 탄성밴드; 및 허리고정부와 허벅지고정부를 연결하여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에 탄성밴드와 함께 추가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탄성부;를 포함하며, 탄성밴드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밸크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에, 탄성밴드와 보조탄성부를 통해 하지 근력을 보조하여 힘을 저감시켜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체적으로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며, 착용 및 사용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지 않아 노약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which include: a central connecting portion disposed on a wearer's back; a shoulder fixing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upward, an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so as to cover the left and right shoulders of the wearer at the ends of the back central belt; A pair of waist fixing parts having one end coupl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and coupled to each other end of the connection belt to wrap around the wearer's waist; A pair of thigh fixing parts fixed to each of the wearer's thighs; An elastic band having one end coupled to each of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thigh fixing part to assist muscle strength of the spine and lower extremities; and an auxiliary elastic part that connects the waist fixing part and the thigh fixing part to provide additional restoring force together with the elastic band when the wearer gets up after sitting d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lifting heavy objects, it is possible to provide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that can improve work efficiency and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by reducing the force by assisting th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through the elastic band and the auxiliary elastic part. In particular, it is formed entirely of light material, and since it is simple to wear and use, it does not require separate training, so even the elderly can use it easily.

Description

스마트 보조 작업복{Smart suit}Smart auxiliary working clothes {Smart suit}

본 발명은 스마트 보조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에, 탄성밴드와 보조탄성부를 통해 하지 근력을 보조하여 힘을 저감시켜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보조 작업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and more specifically, when lifting heavy objects, smart auxiliary that can improve work efficiency and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by assisting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through an elastic band and an auxiliary elastic part to reduce the force. It's about work clothes.

최근 고령화 사회가 심화됨에 따라 근력이 약한 노인 및 근력이 저하된 환자, 장애인 등의 보행을 원활하게 할수 있는 보행보조기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연구도 활발해지는 추세에 있다. 시골이나 서민주택가에서는 보행보조기 대행으로 유모차를 끌고 다니시는 할머니들을 어렵지 않게 목격할 수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Recently, with the intensification of an aging societ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walking aids that can facilitate walking of the elderly, patients with reduced muscle strength, and the disabled, etc., and research is on the rise. It is also a situation where it is not difficult to witness grandmothers who carry strollers as substitutes for walking aids in the countryside or in low-income residential areas.

그러나 이러한 유모차와 유사한 형태의 바퀴 달린 보조기구들은 보조기구에 의지해 보행을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의지해야 할 사람이 그 보행기구를 밀어서 이동시켜야 하며 도로의 상태가 나쁜 곳이나 장소가 협소한 곳 등에서의 이동이 어려울 수 있다.However, these wheeled assistive devices similar to strollers rely on the assistive devices to walk, but the person to rely on must push and move the walking devices, and they can be used in poor road conditions or in narrow places. movement can be difficult.

또한, 몸에 착용하는 형태로써 동력으로 작동되는 보행보조기구의 경우에는 구동모터, 배터리 등으로 인해 무게가 무거워져서 취급과 사용이 어려울 수 있으며, 그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를 손수레 형태의 바퀴가 달린 주행체에 장착하거나, 그 동력을 몸에 부착된 기구에 전달해 사용토록 한 보행보조기구의 경우에는, 그 이용자가 상기 주행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행동할 수 없고 도로상태가 나쁜 곳이나 협소한 장소에서의 이동과 행동이 어려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alking aid that is worn on the body and operated by power, it may be difficult to handle and use because the weight is heavy due to a driving motor, a battery, etc. In the case of a walking aid that is mounted on a vehicle with wheels or is used by transmitting its power to a device attached to the body, the user cannot move away from the vehicle and is unable to move in places with bad road conditions. There was a problem that movement and action in a narrow place could be difficult.

(한국등록특허 제10-1693976호, 2017년 1월 2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93976, January 2, 2017)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에, 탄성밴드와 보조탄성부를 통해 하지 근력을 보조하여 힘을 저감시켜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auxiliary workwear capable of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by reducing the force by assisting th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through an elastic band and an auxiliary elastic part when lifting a heavy object.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은 착용자의 등에 배치되는 중앙연결부; 일단이 중앙연결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등중앙띠를 구비하며, 등중앙띠의 종단에서 착용자의 좌, 우측 어깨를 감쌀 수 있도록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어깨고정부; 일단이 중앙연결부의 좌, 우측 각각에 결합되는 연결띠를 구비하며, 연결띠의 타단 각각에 착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허리고정부; 착용자의 허벅지 각각에 고정되는 한 쌍의 허벅지고정부; 일단이 중앙연결부의 하측 좌, 우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허벅지고정부에 고정되어 척추와 하지의 근력을 보조하는 탄성밴드; 및 허리고정부와 허벅지고정부를 연결하여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에 탄성밴드와 함께 추가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탄성부;를 포함하며, 탄성밴드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밸크로를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entral connection portion disposed on the wearer's back; a shoulder fixing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upward, an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so as to cover the left and right shoulders of the wearer at the ends of the back central belt; A pair of waist fixing parts having one end coupl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and coupled to each other end of the connection belt to wrap around the wearer's waist; A pair of thigh fixing parts fixed to each of the wearer's thighs; An elastic band having one end coupled to each of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thigh fixing part to assist muscle strength of the spine and lower extremities; and an auxiliary elastic part that connects the waist fixing part and the thigh fixing part to provide additional restoring force together with the elastic band when the wearer gets up after sitting down.

여기서, 납작한 코일 및 납작한 코일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다리를 구비할 수 있다.Here, a flat coil and connecting bridges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around the flat coil may be provided.

여기서, 연결다리는 허벅지고정부와 허리고정부에 구비되는 강도조절부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ng leg may be coupled through a strength adjusting unit provided at the thigh fixing part and the waist fixing part.

여기서, 한 쌍의 허벅지고정부 각각은 벨크로로 형성되는 허벅지고정띠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허벅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pair of thigh fixing parts may be fixed to the wearer's thigh by having a thigh fixing strap formed of Velcro.

한 쌍의 허리고정부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허리고정부를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밸크로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Any one of the pair of waist fixing parts may include a Velcro fixing part in order to fix the pair of adjacent waist fixing parts to the wearer's waist.

여기서, 어깨고정부는 종단이 좌, 우 각각의 허리고정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end of the shoulder fixing part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waist fixing parts.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보조 작업복은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에, 탄성밴드와 보조탄성부를 통해 하지 근력을 보조하여 힘을 저감시켜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제공할 수 있다.Smart auxiliary work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that can improve work efficiency and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by reducing the force by assisting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through elastic bands and auxiliary elastic parts when lifting heavy objects. .

특히, 전체적으로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며, 착용 및 사용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지 않아 노약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formed entirely of light material, and since it is simple to wear and use, it does not require separate training, so even the elderly can use it easil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의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상세 사진이다.
도 3은 도 1의 'B'부분 상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착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의 전면 사진이다.
도 6은 착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의 후면 사진이다.
도 7은 착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물건을 들어올릴 때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1 is a picture of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photograph of part 'A' of FIG. 1 .
3 is a detailed photograph of 'B' part of FIG. 1 .
4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auxiliary work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picture of the wearer wearing the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icture of the back of the wearer wearing the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hotograph showing when the wearer lifts an object while wearing the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n"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ar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grav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의 사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분 상세 사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분 상세 사진이다.1 is a picture of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picture of part 'A' in FIG. 1, and FIG. 3 is a detailed picture of part 'B' i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10)은 중앙연결부(110), 어깨고정부(120), 허리고정부(130), 허벅지고정부(140), 탄성밴드(150) 및 보조탄성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the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entral connection part 110, a shoulder fixing part 120, a waist fixing part 130, and a thigh fixing part 14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band 150 and an auxiliary elastic part 160.

중앙연결부(110)는 착용자의 등에 배치된다. 중앙연결부(110)는 대략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등중앙띠(121), 연결띠(130) 및 탄성밴드(1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고리를 구비할 수 있다.The central connection part 110 is disposed on the wearer's back.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rings to which the back center belt 121, the connection belt 130, and the elastic band 150 may be coupled.

이때, 중앙연결부(110)는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심전도 센서(210)와 사용자 단말기(M)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제어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entral connection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290 having an electrocardiogram sensor 210 capable of monitoring the user's condi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M.

어깨고정부(120)는 등중앙띠(121)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된다. 등중앙띠(121)는 일단이 중앙연결부(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된다. 등중앙띠(121)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보다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있어서, 늘어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등중앙띠(121)는 관성센서(2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shoulder fixing part 120 has a back center belt 121 and is worn on the wearer's shoulder. One end of the back center band 121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110 and extends upward. The back center band 121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stretch because it has relatively strength rather than a material with elasticity. At this time, the back center belt 121 may include an inertial sensor 220 .

그리고, 어깨고정부(120)는 일단이 등중앙띠(1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착용자의 좌, 우측 어깨를 감쌀 수 있도록 양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된 어깨고정부(120)의 타단은 허리고정부(130)에 고정되며, 착용자의 어깨에 따라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ulder fixing part 12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back center belt 121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so as to cover the left and right shoulders of the wearer. The other end of the extended shoulder fixing part 120 is fixed to the waist fixing part 130, and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part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wearer's shoulder.

허리고정부(130)는 일단이 중앙연결부의 좌, 우측 각각에 결합되는 연결띠(131)를 구비한다. 연결띠(131)는 착용자의 허리사이즈에 따라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허리고정부(13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데, 연결띠(131)의 타단 각각에 착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허리고정부(130)는 착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부분은 쿠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쿠션재질의 바깥측에는 플라스틱재질의 연결보조구가 결합되어 중앙연결부(110)와 연결띠(131)와 견고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The waist fixing part 130 includes a connecting strap 131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connecting part, respectively. The connection strap 131 may be formed to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wearer's waist size. The waist fixing part 130 is provided as a pair, and is formed to wrap around the wearer's waist at each of the other ends of the connecting strap 131. The waist fixing part 130 is preferably formed of a cushion material for a part in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and a plastic connection aid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ushion material to form a central connection part 110 and a connection belt 131. can induce a strong bond with

이때, 한 쌍의 허리고정부(130)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허리고정부(130)를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밸크로 고정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밸크로 고정부(132)가 구비되지 않은 타측 허리고정부(130)에는 연결고리(134)가 구비된다. 따라서, 허리고정부(130)를 통해서 착용자의 허리에 견고하게 착용되도록 하여 신체에 작용하는 힘의 밸런스가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f the pair of waist fixing parts 130 may be provided with a Velcro fixing part 132 to fix the pair of adjacent waist fixing parts 130 to the wearer's waist. In addition, a connection ring 134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waist fixing part 130, which is not provided with the Velcro fixing part 13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balance of the force acting on the body is uniform by being firmly worn on the wearer's waist through the waist fixing part 130.

허벅지고정부(140)는 착용자의 허벅지 각각에 고정된다. 허벅지고정부(140)는 착용자의 허벅지에 독립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각각 벨크로로 형성되는 허벅지고정띠(14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허벅지고정부(140)에는 근전도센서(230)를 구비될 수 있다.The thigh fixing part 140 is fixed to each of the wearer's thighs. Since the thigh fixing part 140 is independently coupled to the wearer's thigh, each thigh fixing strap 141 formed of Velcro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thigh fixing part 140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myogram sensor 230.

허벅지고정부(140)는 착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부분은 쿠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쿠션재질의 바깥측에는 플라스틱재질의 연결보조구가 결합되어 탄성밴드(150)와 보조탄성부(160)와 견고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The thigh fixing part 140 is preferably formed of a cushion material for a part in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and a plastic connection auxiliary tool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ushion material to form an elastic band 150 and an auxiliary elastic part 160. ) and a strong bond can be induced.

탄성밴드(150)는 일단이 중앙연결부(110)의 하측 좌, 우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허벅지고정부(140)에 연결되어 척추와 하지의 근력을 보조한다. 이때, 탄성밴드(140)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밸크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리길이나 신체적인 조건들을 고려해서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착용 및 하지 근력 보조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elastic band 150 has one end coupled to each of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1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high fixing part 140 to assist in the strength of the spine and lower extremities. At this time, the elastic band 140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adjustable Velcro. Therefore, by adjusting the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user's legs or physical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more conveniently wear and increase the effect of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ssistance.

보조탄성부(160)는 허리고정부(130)와 허벅지고정부(140)를 연결하여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에 탄성밴드(150)와 함께 추가적인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때, 보조탄성부(160)는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중앙에 납작한 코일(161)로 형성되고, 납작한 코일(161)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연결다리(162)가 형성되어 각각 허리고정부(130) 및 허벅지고정부(140) 각각에 힌지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몸에 불편함을 최소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작업에 따른 움직임에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조탄성부(16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커버(16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auxiliary elastic part 160 connects the waist fixing part 130 and the thigh fixing part 140 to provide additional restoring force together with the elastic band 150 when the wearer gets up from sitting. At this time, the auxiliary elastic part 160 can be implemented as a spring, which is formed with a flat coil 161 in the center, and connecting bridges 162 are formed in both directions around the flat coil 161, so that each waist fixing part 130 ) And the thigh fixing portion 140 may be coupled to each hin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discomfort to the wearer's body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comfortable fit even when the wearer moves according to the work. In addition, a protective cover 164 formed to surround the auxiliary elastic part 160 may be further provided.

양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다리(162)는 강도조절부(163)를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강도조절부(163)는 일방향을 따라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그 홀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다리(162)를 홀을 따라 일방향으로 위치시키고 볼트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연결다리(162)의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강도조절부(163)는 허리고정부(130)와 허벅지고정부(140)에 구비되는데, 이와 같이, 연결다리(162)의 길이가 조정되면,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탄성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connection bridge 162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may be coupled through the strength adjusting unit 163 . In the strength adjusting unit 163,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long one direction, and bolts may be fastened to the holes. Therefore, by positioning the connecting bridge 162 in one direction along the hole and fastening it through a bol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bridge 162 can be adjusted and fixed. The strength adjusting unit 163 is provided on the waist fixing part 130 and the thigh fixing part 140. As such, whe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leg 162 is adjusted,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r the strength of the elastic force can be adjusted. It has a characteristic.

또한, 보조탄성부(160)는 허리고정부(130)와 허벅지고정부(140)에 강도조절부(163)를 통해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연결다리(162)와 납작한 코일(161)을 따라 전체적으로 광센서(240)가 결합될 수 있다. 광센서(240)를 통해 보조탄성부(160)의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확인되면, 강도조절부(163)를 통해 보조탄성부(160)를 분리하여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elastic part 160 is coupled to the waist fixing part 130 and the thigh fixing part 140 to be replaceable through the strength adjusting part 163. The optical sensor 240 may be coupled as a whole along the connection bridge 162 and the flat coil 161 . When it is confirmed through the optical sensor 240 that replacement of the auxiliary elastic part 160 is required, usability can be increased by separating the auxiliary elastic part 160 through the strength control unit 163 and replacing it.

탄성밴드(150) 및 보조탄성부(160)는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에 복원력을 제공하고, 그 복원력을 통해 착용자가 들어 올리려는 물건의 무게를 경감시켜 힘을 들이지 않고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약자와 같이 힘이 부족한 사람들도 중량의 무게를 안전하게 들어 올리도록 할 수 있다.The elastic band 150 and the auxiliary elastic part 160 provide restoring force when the wearer gets up from sitting, and through the restoring force,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lifted by the wearer is reduced so that the wearer can lift it without exerting effort, thereby helping the elderly and the weak. Even people with less strength can be made to lift weights saf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은 전체적인 재질이 천재질로 형성되어 산업용에 비해서 가볍고,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being lightweight, easy to wear and convenient to use as the overall material is formed of natural material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의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auxiliary work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은 심전도 센서(210), 관성센서(220), 근전도센서(230), 광센서(240) 및 프로세서(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mart auxiliary work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cardiogram sensor 210, an inertial sensor 220, an electromyogram sensor 230, an optical sensor 240, and a processor 250.

심전도 센서(210)는 착용자의 등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심전도를 센싱할 수 있다. 심전도 센서(210)를 통해 센싱되는 착용자의 심전도는 실시간으로 센싱된다. 프로세서(250)는 심전도 센서(210)를 통해 센싱된 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진동부(260)를 통해 알람을 형성하여 작업을 중단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심전도 센서(210)를 통해 센싱되는 값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290)로 전달될 수 있다.The electrocardiogram sensor 210 may be located on the wearer's back to sense the wearer's electrocardiogram. The wearer's electrocardiogram sensed through the electrocardiogram sensor 210 is sensed in real time. When the value sensed through the electrocardiogram sensor 210 is out of a preset range, the processor 250 may form an alarm through the vibrator 260 and request to stop the operation. In this case, the value sensed through the electrocardiogram sensor 210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90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관성센서(220)는 착용자의 기울어진 등의 각도 및 움직임을 센싱한다. 만약, 착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어 올릴 때에, 잘못된 자세로 들어 올리게 되면 허리를 다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로세서(250)는 착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어 올릴 때에, 착용자의 허리각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진동부(260)를 통해 진동을 형성하고, 더불어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것을 요구하는 경고메세지를 사용자 단말기(290)를 통해서 추가로 제공하여 착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진동부(260)는 중앙연결부(110)에 구비되는 패드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ertial sensor 220 senses the tilted back angle and movement of the wearer. If the wearer lifts a heavy load in an incorrect posture, a safety accident that can injure the back may occur. To prevent this, the processor 250 generates vibration through the vibration unit 260 when the wearer's waist angle is out of a preset range when the wearer lifts a heavy load, and requests that the wearer's posture be corr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f the wearer by additionally providing a warning mess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290. The vibrating unit 260 may be formed by being attached to a pad provided in the central connection unit 110 .

근전도센서(230)는 착용자의 허벅지 근육량을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근전도센서(230)를 통해 획득되는 근육량 정보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로 감소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착용자의 허벅지 근육량이 기설정된 범위 이하로 감소한 상태에서 중량의 물건을 들어 올리는 작업을 하게 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알람을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EMG sensor 230 may sense the amount of muscle in the wearer's thigh. The processor 250 determines whether the muscle mas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EMG sensor 230 is in a reduced state below a preset range. If the wearer performs an operation of lifting a heavy object in a state where the muscle mass of the thigh of the wearer is reduced below a predetermined range, safety accidents may occur, so safety accidents may be prevented by forming an alarm.

광센서(240)는 보조탄성부(160)가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서 탄성범위를 초과한 소성상태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센싱한다. 만약, 프로세서(250)는 광센서(240)를 통해 보조탄성부(160)가 탄성범위를 벗어나 그 기능을 상실하여,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형성하여 보조탄성부(160)의 교체를 유도하여 사용중에 부상을 당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광센서(240)는 변형률게이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얇고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코일형태로 형성되면서 길게 형성되는 보조탄성부(160)의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센싱할 수 있게 된다.The optical sensor 240 senses whether the auxiliary elastic part 160 has reached a plastic state exceeding the elastic range due to repetitive work. If, through the optical sensor 240, the processor 250 determines that the auxiliary elastic part 160 is out of the elastic range and loses its function and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an alarm is formed to the user to form an auxiliary elastic part ( 160) can be induced to prevent injury during use. The optical sensor 240 is relatively thin, thin, and long compared to the strain gauge, and can more effectively sense the state of the auxiliary elastic part 160 that is formed in a coil shape and is long.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 이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심전도 센서(210), 관성센서(220), 근전도센서(230), 광센서(240) 각각이 IoT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fter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user terminal through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or Bluetoo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In addition, each of the electrocardiogram sensor 210, the inertial sensor 220, the electromyogram sensor 230, and the optical sensor 2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oT sensor.

프로세서(250)는 착용자의 신체정보를 사전 획득 및 저장 관리한다. 예를 들어, 심전도 정보 및 근육량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미리 저장된 착용자 정보와 현재 착용자의 심전도 정보 및 근육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착용자의 신체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프로세서(250)는 현재 작업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기기에 구비되는 진동부(260)를 통해 경고 알람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 및 근육량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processor 250 pre-acquires, stores, and manages wearer's body information. For example,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and muscle mass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e processor 250 may compare pre-stored wearer information with current wearer's ECG information and muscle mass information with wearer's body information acquired in real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operation is impossible, the processor 250 may generate a warning alarm through the vibration unit 260 provided in the auxiliary device. Also, the processor 250 may update and store the user's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and muscle mass informatio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IoT 카메라(270)와 연동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프로세서(250)는 주위에 있는 IoT 카메라(270)와 네트워크 통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자세 및 작업동작을 촬영하면서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만약, 착용자가 부적절한 자세로 들어 올리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IoT 카메라(270)는 실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80)를 활성화시켜 정확한 자세를 착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중량의 물건을 들어올릴 때에 사용자가 부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근골격계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nked with the IoT camera 270. When the user's movement is detected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the processor 250 communicates with the nearby IoT cameras 270 over the network to determine the user's location, and analyzes the user's posture and work motion in real time while film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is lifting in an inappropriate posture, an alarm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IoT camera 270 activates the display unit 280 provided in the room to guide the wearer to the correct posture, thereby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that may occur due to injury to the user when lifting a heavy object.

이에 더하여, 착용자가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착용하게 되면, 관성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다. 이때, 관성센서(220)를 통해 사용자가 준비운동을 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준비운동의 판단은 미리 사용자에게 제공된 준비운동 범위의 움직임일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250)는 착용자가 준비운동이 없는 상태에서 중량의 물건을 들어 올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280)를 활성화시켜 준비운동 동작이 제공되는 영상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중량의 물건을 들어 올리기 전에 준비운동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o this, when the wearer wears the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the user's movement is sensed through the inertial sensor.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inertial sensor 220 whether the user has performed a warm-up exercise. The determination of the warm-up exercise may be a movement within a warm-up exercise range provided to the user in advan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uch movement, the processor 250 determines that the wearer is lifting a heavy object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warm-up, and activates the display unit 280 to display an image in which the warm-up is provided. can be made available. Therefore,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by allowing the user to perform a warm-up before lifting a heavy object.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250)는 스마트 보조 작업복에 구비된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되고, 스마트 단말기가 스마트 보조 작업복에 구비되는 IoT로 형성되는 센서모듈과 네트워크 통신하며 상기 설명한 내용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25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as an example, but it is provided in a separate user smart terminal, and the smart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sensor module formed of the IoT provided in the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and network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content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보조 작업복은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에, 탄성밴드와 보조탄성부를 통해 하지 근력을 보조하여 힘을 저감시켜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체적으로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며, 착용 및 사용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지 않아 노약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Smart auxiliary work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that can improve work efficiency and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by reducing the force by assisting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through elastic bands and auxiliary elastic parts when lifting heavy objects. . In particular, it is formed entirely of light material, and since it is simple to wear and use, it does not require separate training, so even the elderly can use it easily.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0 : 스마트 보조 작업복 110 : 중앙연결부
120 : 어깨고정부 130 : 허리고정부
140 : 허벅지고정부 150 : 탄성밴드
160 : 보조탄성부 210 : 심전도 센서
220 : 관성센서 230 : 근전도센서
240 : 광센서 250 : 프로세서
260 : 진동부 270 : IOT 카메라
280 : 디스플레이부 290 : 제어부
10: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110: central connection part
120: shoulder fixing part 130: waist fixing part
140: thigh fixing part 150: elastic band
160: auxiliary elastic part 210: electrocardiogram sensor
220: inertial sensor 230: electromyography sensor
240: optical sensor 250: processor
260: vibration unit 270: IOT camera
280: display unit 290: control unit

Claims (6)

스마트 보조 작업복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에 배치되는 중앙연결부;
일단이 상기 중앙연결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등중앙띠를 구비하며, 상기 등중앙띠의 종단에서 착용자의 좌, 우측 어깨를 감쌀 수 있도록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어깨고정부;
일단이 상기 중앙연결부의 좌, 우측 각각에 결합되는 연결띠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띠의 타단 각각에 착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허리고정부;
착용자의 허벅지 각각에 고정되는 한 쌍의 허벅지고정부;
일단이 상기 중앙연결부의 하측 좌, 우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허벅지고정부에 연결되어 척추와 하지의 근력을 보조하는 탄성밴드; 및
납작한 코일 및 상기 납작한 코일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각각 상기 허리고정부와 상기 허벅지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다리를 구비하여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에 상기 탄성밴드와 함께 추가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밴드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밸크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조 작업복.
In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A central connecting portion disposed on the wearer's back;
a shoulder fixing part having a back central band having one e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upward, an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so as to cover the wearer's left and right shoulders at the ends of the back central belt;
a pair of waist fixing parts having one end coupl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and coupled to each other end of the connection belt to wrap around a wearer's waist;
A pair of thigh fixing parts fixed to each of the wearer's thighs;
an elastic band having one end coupled to each of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high fixing part to assist in the strength of the spine and lower extremities; and
A flat coil and a connection leg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centered on the flat coil and coupled to the waist fixing part and the thigh fixing part, respectively, to provide additional restoring force along with the elastic band when the wearer gets up after sitting down Auxiliary elastic part including;
The elastic band,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length-adjustable Velcro.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다리는,
상기 허벅지고정부와 상기 허리고정부에 구비되는 강도조절부를 통해 결합되는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조 작업복.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bridge is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ed length is adjusted through the strength adjusting portion provided in the thigh fixing part and the waist fix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허벅지고정부 각각은,
벨크로로 형성되는 허벅지고정띠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허벅지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조 작업복.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air of thigh fixing parts,
Smart auxiliary work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each fixed to the wearer's thighs by having a thigh strap formed of Velcr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허리고정부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허리고정부를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밸크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조 작업복.
According to claim 1,
One of the pair of waist fixing parts,
Smart auxiliary workwe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Velcro fixing part in order to fix a pair of waist fixing parts adjacent to each other to the wearer's wai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고정부는,
종단이 상기 좌, 우 각각의 허리고정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조 작업복.

According to claim 1,
The shoulder fixing part,
Smart auxiliary work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coupl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waist fixing parts.

KR1020200051900A 2020-04-29 2020-04-29 Smart suit KR102478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900A KR102478017B1 (en) 2020-04-29 2020-04-29 Smart s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900A KR102478017B1 (en) 2020-04-29 2020-04-29 Smart s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382A KR20210133382A (en) 2021-11-08
KR102478017B1 true KR102478017B1 (en) 2022-12-15

Family

ID=7848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900A KR102478017B1 (en) 2020-04-29 2020-04-29 Smart s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01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177Y1 (en) * 2005-07-20 2005-10-20 김현태 Security belt
KR101424597B1 (en) * 2013-03-08 2014-08-04 주식회사 동명 Safety harnes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976B1 (en) 2015-04-08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177Y1 (en) * 2005-07-20 2005-10-20 김현태 Security belt
KR101424597B1 (en) * 2013-03-08 2014-08-04 주식회사 동명 Safety har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382A (en)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664B1 (en) A mo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17895B1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EP2923685B1 (en) Walking assist device
KR101913187B1 (en) A walking aiding device for a hemiplegic pati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0426637B2 (en) Exoskeleton ankle robot
JP6113293B2 (en) Robot for walking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JP5934971B2 (en) Wearable motion assist device
KR20130111763A (en) Walk assist apparatus
US20180000682A1 (en) Physical therapy and walker apparatus
KR101025512B1 (en) Walking Assistant Apparatus for High Walking Stability
WO2019156002A1 (en) Walking aid and walking aid method
KR20160023293A (en) Wearing crutch
KR102478017B1 (en) Smart suit
WO2020051651A1 (en) Exoskeleton
CN115556077B (en) Intelligent wearable waist-assisting exoskeleton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06726373A (en) A kind of interim walking auxiliary robot
KR20230001283A (en) Auxiliary work clothes with interchangeable elastic member
KR102123694B1 (en) Robot for assisting in walking
KR20080006437A (en) Exercising apparatus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CN109044741A (en) Tumble-preventing device
US20080208096A1 (en) Mobility Aids
KR20190092182A (en) Wearable electric walking aids
CN216091333U (en) Neurological walking aid
JP3207555U (en) Walking assist belt
KR102555926B1 (en) Muscular assistance suit device for physical lab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