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997B1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997B1
KR102477997B1 KR1020190069674A KR20190069674A KR102477997B1 KR 102477997 B1 KR102477997 B1 KR 102477997B1 KR 1020190069674 A KR1020190069674 A KR 1020190069674A KR 20190069674 A KR20190069674 A KR 20190069674A KR 102477997 B1 KR102477997 B1 KR 102477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etection
area
slide
operatio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614A (ko
Inventor
하루히사 우에다
준 카미야
타카히로 아키모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5/225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lide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조작면(303b)은 배면측에의 돌출량, 질감 및 색중의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르고, 제1 검출면은, 제1 조작면과,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측의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인접해서 설치된 제2 조작면에 걸쳐서 설치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 조작되는 터치 조작면을 포함하는 조작 유닛의 배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촬상장치에는, 방향 패드와 다이얼 등의 설정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부재가 탑재되어 있다.
최근에는, 표시 디바이스로서 터치 패널을 탑재하는 제품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유저는 터치 패널에 표시된 설정 항목을 터치하는 것만으로, 그 항목을 선택/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부재로서 터치 센서를 탑재하는 제품도 있다. 촬상장치를 이용해서 동영상 촬영을 행하는 경우의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터치 센서도 매우 기대된다.
종래의 메커니컬 방식의 조작 부재를 이용해서 동영상 촬영 중에 설정을 행하면, 조작 소리가 잡음으로서 기록된다. 그렇지만, 터치 센서를 사용한 조작 부재에서는 기록되는 조작 소리를 저감할 수 있다.
터치 패널 및 터치 센서의 방식에는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등이 있다. 각 방식은 단점과 장점이 있고, 용도에 따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방식 중에서도, 정전용량 방식은, 고정밀하게 터치를 검출할 수 있고, 많은 기기에 채용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236765호에는, 촬상장치의 배면의 표시 화면 주변에 터치 조작 부재를 L자 모양으로 배치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터치 패널 사용 시에 표시 화면에 직접 손가락이 접촉함으로써 표시 화면을 손가락으로 얼룩지게 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게다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236765호에는 메커니컬 조작 부재 삭감에 의한 기기 자체의 소형화, 초박형화를 실현하고, 또 기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10061호에는, 촬상장치의 상면부에 터치 조작 부재를 배치하여, 조작 부재를 유저가 파지하면서 복수의 촬영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236765호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10061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서는, 터치 조작 부재에 대해서 설정된 다양한 기능을 파악해서 조작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유저가 촬상장치의 배면에 배치된 표시 화면을 보면서 다양한 기능을 조작한다고 가정하고, 터치 조작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뷰파인더 및 상면 커버 등에도 표시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고기능 촬상장치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터치 조작 부재의 배치가 이용되는 경우, 뷰파인더나 상면 커버의 표시를 보면서 터치 조작 부재를 조작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뷰파인더를 들여다보면서 터치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경우, 유저는 터치 조작 부재를 보지 않고 터치 조작 부재를 터치한다. 이렇게 하여, 유저가 오조작을 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가 적어도 2개 이상의 표시 모니터를 보면서 조작 가능한 터치 조작 부재를 탑재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가 뷰파인더를 들여다보면서도 터치 검출부를 파악해서 조작 가능한 터치 조작 부재를 탑재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전자기기는, 터치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지는 터치 조작면을 포함하는 제1 조작 유닛과, 상기 터치 조작면의 내측에 배치되고 터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면과, 유저가 파지하도록 구성된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 검출면은,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서 먼 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검출면 내지 제N 검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터치 검출면으로 분할되고, 상기 파지부는,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터치 검출면 중에서 상기 제N 검출면에 가장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터치 조작면은, 제1 조작면, 및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제2 조작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작면은 돌출량, 질감 및 색 중의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검출면은, 상기 파지부에서 먼 쪽의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상기 제2 조작면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제1 조작면과 상기 제1 검출면이 서로 중첩하는 제1 터치 검출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조작면과 상기 제1 검출면이 서로 중첩하는 제2 터치 검출 영역의 면적보다 넓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도다.
도 2는 디지털 카메라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다.
도 3은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과 터치 바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터치 바의 분해도다. 도 4b는 터치 바의 플렉시블 기판의 장착도다. 도 4c는 터치 바의 단면도다.
도 5a는 디지털 카메라 상면도다. 도 5b는 디지털 카메라를 파지한 배면도다.
도 6a는 디지털 카메라를 파지한 상면도다. 도 6b는 디지털 카메라를 파지한 배면도다.
도 7a 및 7b는 터치 바를 유저가 조작하는 개략도이다.
도 8a 및 8b는 터치 바와 표시부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다.
도 9a 및 9b는 터치 바의 슬라이드 방향과 표시부의 스크롤 방향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10a 및 10b는 탭 조작의 개념도다.
도 11a 및 11b는 슬라이드 조작의 개념도다.
도 12는 전면 누름 조작의 개념도다.
도 13a 및 13b는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접촉 면적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접촉 면적과 터치 검출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다.
도 15는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도와 터치 바의 다른 내부 구성도다.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검출의 개략도다.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학 방식의 터치 검출의 개략도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외관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촬상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 1a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방면 사시도이며, 도 1b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배면 사시도다.
도 1a 및 1b에 있어서, 표시부(28)는 화상이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카메라(100)의 배면에 설치된다. 터치 패널(70a)은, 표시부(28)의 표시면(조작면)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출할 수 있다.
뷰파인더외 표시부(43)는, 셔터 속도와 조리개의 설정 값 등, 카메라(100)의 다양한 설정 값을 표시하기 위한 카메라(100)의 상면에 설치된다.
셔터 버튼(61)은 촬영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부다. 모드 전환 스위치(60)는 각종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부다.
단자 커버(40)는 외부기기와 디지털 카메라(100)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 등의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보호하는 커버다.
메인 전자 다이얼(71)은 조작부(70)에 포함되는 회전 조작 부재이다. 이 메인 전자 다이얼(71)을 돌림으로써, 셔터 속도나 조리개의 설정 값의 변경 등을 행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72)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의 ON 및 OFF를 전환하는 조작 부재다.
서브 전자 다이얼(73)은 조작부(70)에 포함되는 회전 조작 부재이며, 선택 프레임의 이동이나 화상 이송 등을 행할 수 있다.
방향 패드(74)는 조작부(70)에 포함되고, 위, 하, 좌, 우 부분을 각각 밀어넣기 가능한 방향 패드(4방향 키)다.
방향 패드(74)는 그것의 누른 부분에 따른 조작이 가능하다. SET 버튼(75)은 조작부(70)에 포함된 푸시 버튼이며, 주로 선택 항목의 결정에 사용된다.
동영상 버튼(76)은, 동영상 촬영(기록)의 개시나 정지의 지시에 사용된다. 자동 노출(AE) 록(automatic exposure lock) 버튼(77)은 조작부(70)에 포함된다. 촬영 대기 상태에서 AE 록 버튼(77)을 누름으로써, 노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확대 버튼(78)은 조작부(70)에 포함되고, 촬영 모드의 라이브 뷰(LV) 표시에 있어서 확대 모드의 ON, OFF를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작 버튼이다.
확대 모드를 ON으로 한 후에 메인 전자 다이얼(71)을 조작함으로써, LV 화상의 확대, 축소를 행할 수 있다.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확대 버튼(78)은 재생 화상을 확대하고, 확대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확대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재생 버튼(79)은 조작부(70)에 포함되고,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작 버튼이다.
촬영 모드 중에 재생 버튼(79)을 누르는 것으로, 촬영 모드가 재생 모드로 이행하고, 기록 매체(200)에 기록된 화상 중에 최신의 화상을 표시부(28)에 표시시킬 수 있다.
메뉴 버튼(81)은, 조작부(70)에 포함된다. 메뉴 버튼(81)이 눌러지면, 각종의 설정 가능한 메뉴 화면이 표시부(28)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부(28)에 표시된 메뉴 화면, 방향 패드(74), 및 SET 버튼(75)을 사용해서 직감적으로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터치 바(82)는 터치 조작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한 라인형의 조작 부재(라인 터치 센서)이다.
터치 바(82)는 터치 바(82)가 파지부로서의 그립부(90)를 잡은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터치 바(82)는 터치 바(82)에 대한 탭 조작(엄지손가락으로 터치 바(82)를 터치해서 소정기간 내에서 엄지손가락을 이동하지 않고 터치 바(82)로부터 엄지손가락을 떼어 놓는 조작)과, 좌우로의 슬라이드 조작(엄지손가락으로 터치 바(82)를 터치한 후, 터치 바(82)를 터치한 채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조작) 등을 접수 가능하다.
터치 바(82)는 터치 패널(70a)과는 다른 조작 부재이며, 표시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있다.
통신 단자(10)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렌즈측(디지털 카메라(100)와 착탈가능)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접안부(16)는, 접안 뷰파인더(들여다보기(look-in)형의 뷰파인더)의 접안부이다. 유저는, 접안부(16)를 통해 접안 뷰파인더 내부의 전자 뷰파인더(EVF)(29)에 표시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접안 검출부(57)는 접안부(16)에 촬영자가 접안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접안 검출 센서다.
커버(202)는 기록 매체(200)가 격납되는 슬롯의 커버이다.
그립부(90)는,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를 홀드업(hold up)할 때에 오른손으로 잡기 쉬운 형상으로 한 그립 유닛이다.
그립부(90)를 오른손의 소지, 약지, 중지로 잡아서 디지털 카메라를 유지한 상태에서, 오른손의 검지로 셔터 버튼(61) 및 메인 전자 다이얼(71)이 조작 가능한 위치에 셔터 버튼(61) 및 메인 전자 다이얼(71)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같은 상태에서,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서브 전자 다이얼(73) 및 터치 바(82)가 조작 가능한 위치에, 서브 전자 다이얼(73) 및 터치 바(82)가 배치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에 있어서, 렌즈 유닛(150)에는, 교환 가능한 촬영 렌즈가 탑재된다.
렌즈(103)는 통상,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지만, 도 2는 간략화를 위해서 한 개의 렌즈만을 나타낸다.
통신 단자(6)는 렌즈 유닛(150)이 디지털 카메라(100)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단자이다. 통신 단자(10)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렌즈 유닛(150)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단자다.
렌즈 유닛(150)은, 이 통신 단자 6, 10을 통해 시스템 제어부(50)와 통신한다.
그리고, 렌즈 유닛(150) 내부의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4)는 조리개 구동회로(2)를 통해 조리개(1)를 제어하고, 오토포커스(AF) 구동회로(3)를 통해서 렌즈(103)의 위치를 변위시킴으로써, 렌즈(103)의 초점을 맞춘다.
AE 센서(17)는, 렌즈 유닛(150)을 통한 피사체의 휘도를 측광한다.
초점 검출부(11)는, 시스템 제어부(50)에 디포커스(defocus)량 정보를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디포커스량 정보에 의거하여 렌즈 유닛(150)을 제어함으로써, 위상차 AF를 행한다.
초점 검출부(11)는, 전용의 위상차 센서여도 되고, 촬상부(22)의 촬상면 위상차 센서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셔터(101)는, 시스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촬상부(22)의 노광 시간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포컬 플레인 셔터(focal-plane shutter)다.
촬상부(22)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소자 등으로 구성되는 촬상소자다.
A/D(analog-to-digital) 변환기(23)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A/D 변환기(23)는, 촬상부(22)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화상 처리부(24)는, A/D 변환기(23)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1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 보간 및 축소와 같은 리사이즈 처리와 색 변환 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24)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24)에 의해 취득된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시스템 제어부(50)가 노광 제어 및 측거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TTL(through-the-lens) 방식으로 AF 처리, AE 처리, EF(pre-flash)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화상처리부(24)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취득한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TTL 방식으로 AWB(auto white balance) 처리를 행한다.
A/D 변환기(23)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는, 화상처리부(24) 및 메모리 제어부(15)를 통해서 또는 메모리 제어부(15)를 통해 메모리(32)에 직접 기록된다.
메모리(32)는, 촬상부(22)에 의해 취득되고 A/D 변환기(2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와, 표시부(28) 또는 EVF(29)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메모리(32)는, 소정매수의 정지화상과 소정시간의 동화상 및 음성을 기억하는데 충분한 기억 용량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32)는 화상표시용의 메모리(비디오 메모리)를 겸하고 있다.
D/A(digital-to-analog) 변환기(19)는, 메모리(3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표시용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표시부(28) 혹은 EVF(29)에 공급한다.
이렇게 해서 메모리(32)에 기록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는 D/A 변환기(19)를 통해 표시부(28) 또는 EVF(29)에 표시된다.
표시부(28) 혹은 EVF(29)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EL(electroluminescent)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기 위에, D/A 변환기(19)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따른 표시를 행한다.
아날로그 신호는 A/D 변환기(23)에 의해 일단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디지털 신호는 메모리(32)에 축적되어 D/A 변환기(19)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아날로그 신호는 표시부(28) 또는 EVF(29)에 순차 전송되어 표시됨으로써, 표시부(28) 또는 EVF(29)가 LV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하, 라이브 뷰로 표시되는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LV 화상)"이라고 칭한다.
뷰파인더외 액정 표시부(43)에는, 뷰파인더외 표시부 구동회로(44)를 통해서, 셔터 속도와 조리개의 설정 값 등, 카메라(100)의 다양한 설정 값이 표시된다.
불휘발성 메모리(56)는, 전기적으로 소거·기록 가능한 메모리이다. 불휘발성 메모리(56)로서는, 예를 들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56)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 또는 회로로 이루어지는 제어부이며, 디지털 카메라(100) 전체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억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각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52)로서는, 예를 들면 RAM(random-access memory)을 사용한다.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혹은 변수와, 불휘발성 메모리(56)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등이 시스템 메모리(52)에 로드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모리(32), D/A 변환기(19), 및 표시부(28)를 제어함으로써, 표시 제어도 행한다.
시스템 타이머(53)는 각종 제어에 사용되는 시간이나 내장된 시계의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다.
모드 선택 스위치(60), 제1 셔터 스위치(62), 제2 셔터 스위치(64), 및 조작부(70)는 시스템 제어부(50)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유닛이다.
모드 선택 스위치(60)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 모드를 정지 화상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데 사용된다.
정지 화상 촬영 모드는, 오토 촬영 모드, 오토 씬 판별 모드, 메뉴얼 모드, 조리개 우선 모드(Av 모드), 셔터 속도 우선 모드(Tv 모드), 및 프로그램 AE 모드(P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정지 화상 촬영 모드는 촬영 씬에 따라 촬영 설정이 되는 각종 씬 모드와, 커스텀 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모드 선택 스위치(60)를 이용해서, 유저는, 이들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직접 전환할 수 있다.
또는, 모드 선택 스위치(60)를 이용해서, 유저는 촬영 모드의 일람 화면으로 일단 전환한 후에, 일람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다른 조작 부재를 이용해서 선택된 모드로 전환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동영상 촬영 모드에도 복수의 모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제1셔터 스위치(62)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설치된 셔터 버튼(61)의 조작 도중, 소위 반 누름(촬영 준비 지시)으로 ON 되어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를 발생한다.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에 의거해, AF 처리, AE 처리, AWB 처리, EF 처리 등의 촬영 준비 동작을 시작한다.
제2 셔터 스위치(64)는, 셔터 버튼(61)의 조작 완료, 소위 완전 누름(촬영 지시)으로 ON 되어 제2 셔터 스위치 신호(SW2)를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제2 셔터 스위치 신호(SW2)에 의거해, 촬상부(22)로부터의 신호 판독으로부터 기록 매체(200)에 촬상된 화상을 화상 파일로서 기록할 때까지의 일련의 촬영 처리의 동작을 시작한다.
조작부(70)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부로서의 각종 조작 부재다. 조작부(70)에는, 적어도 이하의 조작부가 포함되어 있다.
조작부의 예로서, 셔터 버튼(61), 메인 전자 다이얼(71), 전원 스위치(72), 서브 전자 다이얼(73), 방향 패드(74), 및 SET 버튼(75)이 있다.
또한, 조작부의 예로서 동영상 버튼(76), AF 록 버튼(77), 확대 버튼(78), 재생 버튼(79), 메뉴 버튼(81), 터치 바(82)가 있다.
전원 제어부(80)는, 전지 검출 회로, DC-DC(direct-current-to-direct-current) 컨버터, 전류를 인가할 블록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전원 제어부(80)는 전지의 장착의 유무, 전지의 종류, 및 전지의 잔량을 검출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80)는,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50)의 지시에 의거하여 DC-DC 컨버터를 제어하고,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 기록 매체(200)를 포함하는 각부에 공급한다.
전원부(30)는, 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 등의 일차 전지, NiCd(nickel-cadmium) 전지, NiMH(nickel-metal hydrate) 전지, Li(lithium-ion) 전지 등의 이차전지, AC(alternating current) 어댑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록 매체 인터페이스(I/F)(18)는, 메모리 카드와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200)와의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200)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이며, 반도체 메모리, 광 디스크, 혹은 자기 디스크로 구성된다.
통신부(54)는, 무선으로 또는 유선 접속용 케이블을 통해서 외부기기와 접속하고, 외부기기에/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부(54)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나 인터넷과도 접속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54)는, Bluetooth(등록상표)나 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해서도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다.
통신부(54)는 촬상부(22)로 촬상한 화상(LV 화상을 포함한다)이나, 기록 매체(200)에 기억된 화상을 송신 가능하고, 또한 외부기기로부터 화상이나 그 밖의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 검출부(55)는 중력 방향에 대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자세를 검출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자세 검출부(55)에 의해 검출된 자세에 의거하여, 촬상부(22)로 촬영된 화상이, 디지털 카메라(100)를 횡으로 홀드업한 채 촬영된 화상인지, 종으로 홀드업한 채 촬영된 화상인지를 판별 가능하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자세 검출부(55)로 검출된 자세에 따른 방향 정보를 촬상부(22)로 촬상된 화상의 화상 파일에 부가하거나, 자세 검출부(55)로 검출된 자세에 의거하여 화상을 회전시켜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 검출부(55)로서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gyro)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자세 검출부(55)로서의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를 사용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의 움직임(카메라(100)가 팬(panned), 틸트(tilted), 리프트(lifted), 정지(rest)하고 있는지 아닌지 등)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뷰파인더의 접안부(16)의 설명)
접안 검출부(57)는 뷰파인더의 접안부(16)에 대한 눈(물체)의 접근(접안) 및 이탈(이안(離眼))을 검출(접근 검출)하기 위한 접안 검출 센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검출부(57)로 검출된 상태에 따라, 표시부(28)와 EVF(29)의 표시 상태와 비표시 상태를 전환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적어도 촬영 대기 상태에 있고, 또한, 표시처(display destination)의 전환이 자동전환일 경우에, 비접안 중에 표시처를 표시부(28)로 설정하고, 표시부(28)의 표시를 온으로 하며, EVF(29)를 비표시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접안 중에는, 표시처를 EVF(29)로 설정하고, EVF(29)의 표시를 온으로 하며, 표시부(28)를 비표시 상태로 설정한다.
접안 검출부(57)로서, 예를 들면 적외선 근접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안 검출부(57)는 EVF(29)을 내장하는 뷰파인더의 접안부(16)에의 어떠한 물체의 접근을 검출할 수 있다.
물체가 접근한 경우에, 접안 검출부(57)의 투광부(도시 생략)로부터 투광한 적외선이 물체에 의해 반사된다. 그리고, 반사된 적외선은 적외선 근접 센서의 수광부(도시 생략)에 의해 수광된다.
수광된 적외선의 양에 근거해, 물체가 접안부(16)로부터 어느 거리까지 접근하는지(접안 거리)도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안 검출부(57)는, 접안부(16)에의 물체의 근접 거리를 검출하는 접안 검출를 행한다.
비접안 상태(비접근 상태)에서, 접안부(16)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서 접안부(16)에 접근하는 물체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접안되었다고 검출한다.
접안 상태(접근 상태)에서, 접근을 검출하고 있었던 물체가 소정거리이상 접안부(16)로부터 벗어났을 경우에, 이안(離眼)되었다고 검출한다.
접안을 검출하는 임계값(threshold)과, 이안을 검출하는 임계값은 예를 들면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접안을 검출한 후에는, 이안을 검출할 때까지 접안상태인 것으로 한다. 이안을 검출한 후에는, 접안을 검출할 때까지 비접안상태인 것으로 한다.
적외선 근접 센서는 일례이며, 접안 검출부(57)로서는, 센서가 접안으로서 간주할 수 있는 눈이나 물체의 접근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센서를 채용해도 된다.
(터치 패널(70a)의 설명)
터치 패널(70a)과 표시부(28)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70a)은 빛의 투과율이 표시부(28)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터치 패널(70a)은 표시부(28)의 표시면의 상층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70a)에 있어서의 입력 좌표는, 표시부(28)의 표시 화면상의 표시 좌표와 관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치 유저가 표시부(28)위에 표시된 화면을 직접적으로 조작 가능한 것처럼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을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에의 이하의 조작 혹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패널(70a)에 터치하지 않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펜이 새롭게 터치 패널(70a)에 터치한 상태, 즉, 터치의 개시(이하, "터치 다운"이라고 칭한다).
·터치 패널(70a)을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하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온"이라고 칭한다).
·터치 패널(70a)을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한 채 손가락이나 펜을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무브"라고 칭한다).
·터치 패널(70a)에 터치하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펜을 터치 패널(70a)로부터 떼어 놓은 상태, 즉, 터치의 종료(이하, "터치 업"이라고 칭한다).
·터치 패널(70a)에 아무것도 터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하, "터치 오프"라고 칭한다).
터치 다운이 검출되면, 동시에 터치 온도 검출된다.
터치 다운 후에, 터치 업이 검출되지 않는 한, 통상은 터치 온이 계속해서 검출된다. 터치 무브는 터치 온이 검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검출된다.
터치 온이 검출된 경우에도, 터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있으면, 터치 무브는 검출되지 않는다.
터치 패널(70a)에 터치하고 있었던 모든 손가락이나 펜의 터치 업이 검출된 후에는, 터치 오프가 검출된다.
이들의 조작 및 상태와, 터치 패널(70a)을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 좌표를 내부 버스를 통해서 시스템 제어부(50)에 통지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제어부(50)에 통지된 정보에 의거하여, 터치 패널(70a) 위에 어떤 조작(터치 조작)이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
터치 무브의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 위에서 이동하는 손가락이나 펜의 이동 방향도, 위치 좌표의 변화에 의거하여, 터치 패널(70a) 위의 수직 및 수평성분마다 판정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손가락이 터치 패널(70a)을 터치한 채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재빠르게 손가락을 이동시킨 후에, 빠른 이동 직후 터치 패널(70a)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내는 조작을 "플릭(flick)이라고 부른다.
즉, 플릭은 플립(flipping) 방식으로 터치 패널(70a)을 손가락으로 재빠르게 추적하는 조작이다.
소정거리이상을,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되고, 터치 무브 직후에 터치 업이 검출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플릭(flick)이 행해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슬라이드 조작 후에 플릭이 행해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장소(예를 들면, 2점)를 동시에 터치하고, 터치 위치를 서로 가까이 하는 터치 조작을 "핀치 인(pinch-in)이라고 칭하고, 터치 위치를 서로 멀리하는 터치 조작을 "핀치 아웃(pinch-out)"이라고 칭한다.
핀치 아웃과 핀치 인을 총칭해서 "핀치 조작"(혹은 간단히 "핀치")이라고 칭한다.
터치 패널(70a)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유도 방식, 화상인식 방식, 광센서 방식 등, 다양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터치 패널이어도 된다.
방식에 의해, 터치 패널(70a)에 대한 손가락이나 펜의 접촉이 있었던 것으로 터치가 있었다고 검출하는 방식이나, 터치 패널(70a)에 대한 손가락이나 펜의 접근이 있었던 것으로 터치가 있었다고 검출하는 방식이 포함되지만, 어느 방식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바(82)에 관한 출력 정보에 의거하여, 터치 바(82)를 손가락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 좌표를 산출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바(82)에의 이하의 조작, 혹은 이하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바(82)를 터치하지 않고 있었던 손가락이 새롭게 터치 바(82)를 터치한 상태, 즉, 터치의 개시(이하, "터치 다운"이라고 칭한다).
·터치 바(82)를 손가락이 터치하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온"이라고 칭한다).
·터치 바(82)를 손가락이 터치한 채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상태(이하, "터치 무브"라고 칭한다).
·터치 바(82)를 터치하고 있었던 손가락을 터치 바(82)에서 떼어내는 상태, 즉, 터치의 종료 (이하, "터치 업"이라고 칭한다).
·터치 바(82)를 아무것도 터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 (이하, "터치 오프"라고 칭한다).
터치 다운이 검출되면, 동시에 터치 온인 것도 검출된다.
터치 다운 후에, 터치 업이 검출되지 않는 한, 통상은 터치 온이 계속해서 검출된다.
터치 온이 검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터치 무브가 검출된다.
터치 온이 검출되어 있어도, 터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있으면, 터치 무브는 검출되지 않는다.
터치 바(82)를 터치하고 있었던 손가락의 터치 업이 검출된 후는, 터치 오프가 검출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이들의 조작·상태와 위치 좌표에 의거하여, 터치 바(82)위에서 어떤 조작(터치 조작)이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
터치 무브의 경우에는, 터치 바(82)위에서 수평방향(좌우측 방향)의 이동을 검출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소정거리이상을 이동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바(82)를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슬라이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소정시간 이내에 터치를 떼어내는 조작이 있는 경우에, 탭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터치 바(82)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이다.
다만, 저항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유도 방식, 화상인식 방식, 광센서 방식 등, 별도의 방식의 터치 센서이 사용되어도 된다.
(저항막 방식)
예를 들면, 도 16은 저항막 방식의 도 3의 터치 센서 전극(302)의 짧은 변(Y 방향)의 중앙을 지나가는 선분을 따른 키 톱(key top)(303)의 단면도와, 저항막 전극(402)으로부터 출력되는 터치 센서 출력과 단면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다.
유저의 엄지손가락으로부터의 누르는 힘(pressing force)은 키 톱(303)을 구부려서 터치 센서 전극(402)의 전압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터치 검출을 행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항막 전극(402a)은 파지부(300)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 때문에, 유저의 엄지손가락이 키 톱(303)에서 약간 떨어져서 엄지손가락의 누르는 힘이 저하하기 쉽다. 이에 따라, 저항막 전극(402a)에의 압력은 저하한다.
파지부(300)로부터 떨어진 저항막 전극(402a)에서도 안정한 검출을 얻기 위해서, 제2 터치 검출 영역(402a2)을 설치함으로써, 전극 면적을 확대한다.
제2 터치 검출 영역(402a2)은 키 톱 외형선 303a으로부터 튀어나온 영역이며, 손가락과 키 톱(303)은 제2 터치 검출 영역(402a2)에서 서로 비접촉이 된다. 그렇지만, 키 톱(303)은 엄지손가락과 키 톱(303)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해서 원호(circular)로 휜다.
그 때문에, 제2 터치 검출 영역(402a2)에도 압력이 전해진다. 이에 따라, 터치 센서 출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광센서 방식)
또한, 도 17은 광센서 방식(광학 방식)의 도 3의 터치 센서 전극(302)의 짧은 변(Y 방향)의 중앙을 지나가는 선분을 따른 키 톱(303)의 단면도와, 단면도, 발광부(501), 및 수광부(502)로부터 출력되는 터치 센서 출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다.
유저의 엄지손가락이 키 톱(303)과 접촉하면, 발광부(501)로부터 나온 빛이 엄지손가락의 표면에 의해 반사되고, 수광부(502)가 반사된 빛을 수광함으로써, 터치 검출을 행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광부(502a)는 파지부(300)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유저의 엄지손가락이 키 톱(303)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엄지손가락의 누르는 힘이 저하하기 쉽다. 그 결과, 엄지손가락의 접촉 면적이 적어져, 수광부(502a)의 출력이 저하한다.
파지부(300)로부터 떨어져 있는 수광부(502a)에서도 안정한 검출을 얻기 위해서, 제2 터치 검출 영역(502a2)을 설치함으로써, 수광 면적을 확대한다.
제2 터치 검출 영역(502a2)은 키 톱 외형선 303a로부터 튀어나온 영역이며, 손가락과 키 톱(303)은 제2 터치 검출 영역(502a2)에서 서로 비접촉이 된다.
그러나, 발광부(501)로부터 나온 빛은 키 톱(303)과 엄지손가락의 접촉부에 의해 반사되어, 제2 터치 검출 영역(502a2)에도 도달한다. 그에 따라, 터치 센서 출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뿐만 아니라, 별도의 방식의 터치 센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바(82)를 사용한 조작)
다음에, 도 10a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터치 바(82)를 사용한 조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a 및 10b는 탭 조작의 개념도이다. 도 11a 및 11b는 슬라이드 조작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전체면 누름 조작의 개념도다.
도 10a 내지 도 12의 모두는, 터치 바(82) 및 프린트 회로 기판(301)의 외형을 생략하고, 전극(302)과, 유저가 조작을 행하는 조작 손가락(500)만을 나타낸다.
또한, 전극(302)은 접안부(16)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터치 센서 전극 302a, 제2 터치 센서 전극 302b, 제3 터치 센서 전극 302c의 3개의 전극으로 구성된다.
전극(302)이, 유저가 조작을 행하는 조작 손가락(500)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탭 조작, 슬라이드 조작, 및 전체면 누름 조작이 가능해진다.
실제로는, 전극(302)의 가까운 쪽에 배치되는 터치 바(82)에 유저의 조작 손가락(500)이 접하는 것으로, 터치 검출을 행한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탭 조작, 슬라이드 조작, 및 전체면 누름 조작의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조작 손가락(500)이 전극(302)과 접촉하여, 터치 검출이 행해진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탭 조작)
도 10a 및 10b는, 탭 조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다. 도 10a는 좌탭(left tap) 조작의 개념도이다. 도 10b는 우탭(right tap) 조작의 개념도다.
도 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저의 조작 손가락(500)이 제1 터치 센서 전극 302a에 접촉하고, 제1 터치 센서 전극 302a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으로, 이 조작을 좌탭 조작으로서 검출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저의 조작 손가락(500)이 제3 터치 센서 전극 302c에 접촉하고, 제3 터치 센서 전극 302c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으로, 이 조작을 우탭 조작으로서 검출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좌탭 조작 및 우탭 조작의 2개의 탭 조작을 설명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터치 센서 전극 302b을 사용하여, 중앙 탭 조작을 제공해해도 된다.
(슬라이드 조작)
도 11a 및 11b는, 슬라이드 조작의 개념도다. 도 11a는, 우측 슬라이드 조작의 개념도이다. 도 11b는, 좌측 슬라이드 조작의 개념도다.
도 1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극(302)에 있어서, 조작 손가락(500)이 제1 터치 센서 전극 302a에 접촉한 후, 제3 터치 센서 전극 302c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 조작이 우측 슬라이드 조작으로서 검출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1l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손가락(500)이 제3 터치 센서 전극 302c에 접촉한 후, 제1 터치 센서 전극 302a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 조작이 좌측 슬라이드 조작으로서 검출된다.
슬라이드 조작의 개시 위치는 제1 터치 센서 전극 302a이나 제3 터치 센서 전극 302c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터치 센서 전극 302b에의 접촉으로 슬라이드 조작이 시작되어도 된다.
즉, 조작 손가락(500)이 제2 터치 센서 전극 302b에 접촉한 후, 제3 터치 센서 전극 302c의 방향으로 조작 손가락(500)을 이동시키는 조작을 우측 슬라이드 조작으로서 검출해도 된다.
유저의 조작 손가락(500)이 제2 터치 센서 전극 302b에 접촉한 후, 제1 터치 센서 전극 302a의 방향으로 조작 손가락(500)을 이동시키는 조작을 좌측 슬라이드 조작으로서 검출해도 된다.
(전체면 누름 조작)
도 12는, 전체면 누름 조작의 개념도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체 전극(302), 즉 제1 터치 센서 전극 302a, 제2 터치 센서 전극 302b, 및 제3 터치 센서 전극 302c의 모두가 조작 손가락(500)으로 한 번에 접촉되면, 이 조작은 전체면 누름 조작으로서 검출된다.
탭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의 조작 손가락(500)이 전극(302)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전극(302)을 누르는 것에 반해, 전체면 누름 조작의 조작 손가락(500)은, 전극(30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전극(302)를 누른다.
즉, 전체면 누름 조작은 탭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보다 입력을 제공하기 더 어려운 조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전체면 누름 조작은 유저가 의식해서 조작하지 않으면 행할 수 없는 조작이다.
전체면 누름 조작은,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드시 전체 전극(302)에 접촉하는 것으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제1 터치 센서 전극 302a의 일부 및 제3 터치 센서 전극 302c의 일부가 접촉되지 않더라도, 이 조작을 전체면 누름 조작으로서 인식해도 된다.
이하, 도 3 내지 6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터치 바(82)의 배치 위치와 내부 구성의 설명)
도 3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전자기기)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터치 바(82)의 배치 위치와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터치 바(82)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배면 측에 접안부(16)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터치 바(82)는, 서브 전자 다이얼(73)과, 오른손으로 그립(90)을 잡고 카메라(100)를 보유했을 때에 엄지손가락의 위치가 되는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와도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터치 바(82)의 내부 구성의 확대도다. 터치 바(82)는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으로서의 터치 센서 전극(302)을 구비한다. 터치 센서 전극(302)은 탭 조작 및 좌우(도 3에 나타낸 슬라이드 방향)로의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하다.
터치 센서 전극(의 터치 검출면)(302)은, 접안부(16)측으로부터 3개의 부분, 즉 터치 센서 전극 302a, 302b, 302c로 터치 센서 전극(302)이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서 전극(의 터치 검출면)(302)의 분할 수를 3개로 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분할 수는 3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개 혹은 4개 이상이어도 된다.
도 3의 확대도에서, 점선은 터치 바(82)의 외관 부품인 키 톱(303)의 외형선이다.
또한, 일점쇄선은 터치 센서 전극(302)의 짧은 변(Y 방향)의 중앙을 지나가는 선분이다.
키 톱 외형선 303a에 내포되는 영역은 터치 센서 전극(302)과 중첩하고, 터치 검출이 가능한 영역이라고 유저에게서 인식되는 제1 조작면이다.
그리고, 키 톱 외형선 303a와 키 톱 외형선 303b에 내포되는 영역은 터치 센서 전극(302)과 중첩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이 영역은 터치 검출이 행해지지 않는 비검출 영역이라고 유저에게서 인식되는 제2 조작면이다.
키 톱 외형선 303a에 내포되는 제1 조작면의 좌우단(X 방향의 끝)에는 각각 도그레그(dogleg) 형상(화살표 형상)의 지표 303c, 303d가 설치되어 있다.
지표 303c, 303d는 유저가 터치 바(82) 위의 슬라이드 방향을 알 수 있도록 터치 바(82) 위의 슬라이드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지표 303c, 303d는 볼록 또는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어, 유저가 엄지손가락을 터치 바(82)에 접촉시켜서 슬라이드했을 때에, 유저가 좌우단을 각각 느낌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키 톱(303)에 터치 검출이 행해지지 않는 비검출 영역을 설치하는 이유는 후술한다.
각 터치 센서 전극은 프린트 회로 기판(301)에 동박(copper foil)으로 구성되어, 프린트 회로 기판(301) 위의 동박 배선(304)에 의해 시스템 제어부(50)에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바(82)에 관한 출력 정보, 즉 터치 센서 전극 302a, 302b, 302c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위치 좌표를 산출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조작 혹은 상태에 의거하여, 터치 바(82) 위에 어떤 조작이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
터치 센서 전극 302a의 면적이 터치 센서 전극 302c보다도 상대적으로 커서, 터치 센서 전극 302a에 입력을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서 전극 302a의 면적은 약 36 mm2이고, 터치 센서 전극 302b는 약 34 mm2이며, 터치 센서 전극 302c은 약 26 mm2이다.
터치 센서 전극 302a의 면적은 터치 센서 전극 302c의 면적에 대하여 1.3∼1.4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터치 센서 전극 302a, 302b, 302c의 대소관계는 302a> 302b> 302c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터치 센서 전극 302a는 키 톱 외형선 303a로 표시되는 제1 조작면보다 접안부(16)측에 더 튀어나온 형상이다.
키 톱 외형선 303a에 내포된 터치 센서 전극 302a의 영역은 제1 터치 검출 영역(302a1)이며, 키 톱 외형선 303a로부터 튀어나와 있는 터치 센서 전극 302a의 영역은 제2 터치 검출 영역(302a2)이다.
또한, 키 톱 외형선 303a와 303b에 내포되는 제2 조작면에 있어서, 제2 터치 검출 영역(302a2)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을 제2 터치 비검출 영역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터치 센서 전극 302a는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 때문에, 유저의 엄지손가락이 터치 센서 전극 302a으로부터 약간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충분한 터치 면적 없이 안정한 검출을 얻기 위해서, 제2 터치 검출 영역(302a2)을 설치함으로써, 전극 면적을 확대한다.
다만, 제2 터치 검출 영역(302a2)이 지나치게 튀어나오면, 유저가 키 톱(303)의 제2 조작면을 접촉했을 경우에도, 터치가 오검출된다.
그 때문에, 튀어나온 터치 센서 전극 302a의 양이 키 톱(303)의 제1 조작면의 좌단과 지표 303c 사이의 길이 303e보다 크지 않다.
이것에 의해, 터치 센서 전극 302a는,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로부터의 거리 및 접안부(16)에의 인접으로 인한 입력 제공의 어려움을 제거할 수 있어, 원하는 입력을 제공하는 용이성에 대한 조정을 향상시킨다.
이 조정에 의해, 위치 좌표의 산출과 조작의 판정을, 유저의 조작 의도에 따라 정확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엄지손가락의 접촉 면적과 터치 검출량과의 관계)
다음에, 도 13a 및 13b를 참조하여 키 톱(303)과 터치 센서 전극(302)과 터치 검출량과의 관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a 및 13b는, 도 3의 터치 센서 전극(302)의 짧은 변(Y 방향)의 중앙을 지나가는 선분을 따른 키 톱(303)의 단면도와, 터치 센서 전극(302)으로부터 출력되는 터치 센서 출력과 단면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다.
도 13a는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의 그립부(90)를 파지하면서 파지부(300)에 근접하는 터치 센서 전극 302c 위의 키 톱(303)에 엄지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엄지손가락의 접촉부와 터치 센서 전극(302)과의 사이의 정전용량 C가 커지고, 정전용량 C의 변화량이 터치 센서 출력으로서 검출된다.
도 13a의 그래프는 터치 센서 전극(302)의 각 전극 302a, 302b, 302c에 대응한 정전용량 C을 나타내고, 터치 센서 전극 302c의 터치 센서 출력은 그래프의 사선(shaded)부의 면적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정전용량 C는, 유저의 손가락과 터치 센서 전극(302)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 S와 터치간 거리 D에 의거해 하기의 식으로 취득된다. 유저의 손가락과 터치 센서 전극(302)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 S가 크고, 터치간 거리 D가 짧을수록, 정전용량 C은 커진다.
C = ε× S/D [F]
또한, ε은 유전율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의 비유전율(relative permittivity)은 대략 1이다. 키 톱(303)의 재질은 수지재이기 때문에, 키 톱(303)은 공기에 비해 대략 3배의 비유전율 갖는다.
그 때문에, 엄지손가락과 키 톱(303)과의 접촉부에 있어서는, 공기에 비해 대략 3배의 비유전율과 가장 짧은 터치간 거리 D에 의거해 정전용량 C이 검출된다.
도 1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저는 키 톱(303)의 파지부(300)에 근접하는 부분을 누르기 때문에, 키 톱(303)에 대해서 엄지손가락을 강하게 누를 수 있다. 이 때문에, 엄지손가락과 키 톱(303)과의 접촉 면적이 커지고, 터치 센서 출력이 커진다.
이 때문에, 터치 센서 전극 302c는 키 톱 외형선 303a로 표시된 제1 조작면보다 파지부(300)측으로 더 튀어나올 필요가 없다. 터치 센서 전극 302c가 크게 튀어나올 경우, 유저가 파지부(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터치 센서 전극 302c을 누르게 되면, 터치 센서 전극 302c이 오검출될 수도 있다.
또한, 엄지손가락과 키 톱(303)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 영역에서도 터치 센서 전극(302)과 손가락이 서로 대향하는 한, 정전용량 C가 검출된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 공기를 통해서 터치간 거리 D가 길어지기 때문에, 접촉부와 비교해 터치 센서 출력이 저하한다.
다음에, 도 13b는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의 그립부(90)를 파지하면서 접안부(16)에 근접하는 터치 센서 전극 302a 위의 키 톱(303)에 엄지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유저가 엄지손가락을 파지부(300)에 근접한 터치 센서 전극 302c로부터 접안부(16)에 근접한 터치 센서 전극 302a 위로 이동시키면, 터치 센서 전극 302c으로 검출되는 정전용량 C가 저하한다.
그리고, 터치 센서 전극 302a에 의해 검출되는 정전용량 C가 증가한다.
유저가 엄지손가락을 터치 센서 전극 302a로 이동시킬 때에, 유저가 키 톱(303)에 엄지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시키면, 도 13b의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터치 검출량도 슬라이드한다.
터치 센서 출력은 그래프의 면적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도 13b의 그래프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저가 키 톱(303)에 엄지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시키면, 전극 302c, 302b, 302a의 순으로 터치 센서 출력이 증감한다.
이때, 전극 302c, 302b, 302a의 터치 센서 출력 간의 비율에 따라, 엄지손가락의 슬라이드 위치를 선형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1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전극 302a는 파지부(300)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유저의 엄지손가락이 키 톱(303)으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엄지손가락의 누르는 힘이 저하하기 쉽다. 이 때문에, 엄지손가락과 키 톱(303)과의 접촉 면적은 작아지기 쉽다.
그 때문에, 도 13b의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접촉 부분에서는, 공기를 통해서 터치간 거리 D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터치 센서 전극 302a의 터치 센서 출력은 작아지기 쉽다.
터치 센서 출력이 작으면, 터치 조작의 반응성이나 선형성이 나빠질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300)로부터 떨어져 있는 터치 센서 전극 302a이라도 안정한 검출을 얻기 위해서, 제2 터치 검출 영역(302a2)을 설치함으로써, 전극 면적을 확대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키 톱(303)의 단면도와, 터치 센서 전극(302)으로부터 출력되는 터치 센서 출력과 단면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다.
터치 검출 영역(302a2)은 키 톱 외형선 303a로부터 튀어나온 영역이며, 손가락과 키 톱(303)은 터치 검출 영역(302a2)에서 서로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전극(302)과 손가락이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서는, 공기를 통해서 정전용량 C가 검출된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의 중심이 터치 센서 전극 302a의 바로 위에 위치했을 경우, 엄지손가락과 터치 센서 전극 302a는, 엄지손가락이 터치 센서 전극 302a로부터 튀어나오는 관계에 있다. 이 때문에, 엄지손가락은 터치 검출 영역(302a2)을 내포한다.
터치 검출 영역(302a2)의 터치 센서 출력은 공기를 통해서 취득되기 때문에, 도 14의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1/3 이하가 된다.
그러나, 유저의 엄지손가락이 키 톱(303)으로부터 약간 벗어나 있다는 사실로 인해 접촉 면적이 작아진 만큼 터치 센서 출력의 저하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터치 센서 전극 302c은, 서브 전자 다이얼(73)에 가까운 터치 센서 전극(302c)의 부분이 커트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터치 센서 전극 302c는 X축 방향으로 터치 센서 전극 302c가 서브 전자 다이얼(73)에 가까울수록 커트 영역이 커지도록 경사면 형상으로 커트되어 있다.
그 때문에, 터치 센서 전극(302)의 면적은 키 톱 외형선 303a로 표시되는 제1 조작면보다 작고, 커트(cut) 영역을 제1 터치 비검출 영역(301a)이라고 한다.
다만, 터치 센서 전극 302c이 제1 조작면보다 지나치게 작으면, 유저가 터치 검출가능한 영역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제1 조작면을 유저가 터치한 경우에도 터치 검출을 행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터치 센서 전극 302c이 키 톱(303)의 터치 검출 영역의 지표 303d와 반 이상 중첩한다.
이것에 의해, 서브 전자 다이얼(73)에 대하여 활발한 조작이 행해지더라도, 의도하지 않는 입력이 터치 센서 전극 302c에 제공될 가능성은 낮다.
또한, 프린트 기판(301)에서는, 터치 센서 전극 302c을 작게 함으로써 생긴 빈 영역에는 위치결정 구멍(305)이 설치되어 있다.
촬상장치(전자기기)(100)는, 제1 조작 유닛(82)의 터치 조작면(303)이 배치된 배면측의 면에 제1 표시부(29)를 가지고 있다.
촬상장치(전자기기)(100)는, 제1 조작 유닛(82)의 터치 조작면(303)에 대하여, 터치 검출면(302)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제2 표시부 28 및 43을 가지고 있다.
터치 조작면(303)은, 비도전성이다.
터치 검출면(302)은, 터치 조작면(30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촬상장치(전자기기)(100)는, 터치 조작면(303)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된 도전성의 커버 404, 406을 가지고 있다.
터치 검출면(302)은, 제1 표시부(29)측에서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으로 제1 터치 검출면(302a) 내지 제N의 터치 검출면(302n)의 적어도 2개의 검출면으로 분할되어 있다.
유저가 파지하는 파지부(90)는,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터치 검출면 중에서 제N의 터치 검출면(302n)에 가장 근접해 있다. N은 자연수다.
도 3에 있어서, N=3이다. 파지부(90)는,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으로 제3 터치 검출면(302c)에 가장 근접해 있다.
제2 표시부(28)는, 터치 조작면(303)이 배치된 배면측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표면에 설치된다.
도 3은 촬상장치(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경우의 촬상장치(100)를 나타낸다.
제2 표시부(28)에 표시되고 제1 조작 유닛(82)을 이용하여 조작 가능한 설정 항목의 스크롤 방향과 터치 조작면(303)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제2 표시부(28)가 배치되어 있다.
제2 표시부(43)는, 터치 조작면(303)이 배치된 배면측의 전자기기(100)의 표면과 다른 전자기기(1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표시부(43)에 표시되며 제1 조작 유닛(82)을 이용하여 조작 가능한 설정 항목의 스크롤 방향과, 터치 조작면(303)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제2 표시부(43)가 배치되어 있다.
제2 표시부(28)는, 터치 패널이다.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제2 표시부(28)의 터치 패널면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터치 조작면(303)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제2 표시부(28)가 배치되어 있다.
터치 조작면(303) 위에서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터치 검출면 중에서 제N의 터치 검출면(302n)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회전 조작 부재(73)가 설치된다(도 3 참조).
도 3에서, N=3이므로, 제3 터치 검출면(302c)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회전 조작 부재(서브 전자 다이얼)(73)가 설치된다.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회전 조작 부재(73)의 회전 방향과 터치 조작면(303)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회전 조작 부재(서브 전자 다이얼)(73)가 배치되어 있다.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회전 조작 부재(73)를 회전 조작하는 유저의 손가락의 궤적 위에 제1 조작 유닛(82)이 배치되어 있다.
제1 표시부(29)는,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으로 터치 조작면(303)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또한 제1 조작 유닛(82)의 터치 조작면(303)에 대하여 배면측으로 돌출한 접안부(16)이다.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접안부(16)에 표시되며 제1 조작 유닛(82)을 이용하여 조작 가능한 설정 항목의 스크롤 방향과, 터치 조작면(303)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접안부(16)가 배치되어 있다.
터치 검출면(302)이 커버 404, 406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터치 검출면(302)은, 커버 404, 406과 이격되어 있다.
터치 조작면(303)은, 터치 검출면(302)과 중첩하는 제1 조작면(303a)과, 제1 조작면(303a)의 외주에 배치되고 또한 터치 검출면(302)과 중첩하지 않는 제2 조작면(303b)을 포함한다.
제1 조작면(303a)과 제2 조작면(303b)은 배면측으로의 돌출량, 질감 및 색 중의 어느 하나가 서로 상이하다.
제1 조작면(303a)의 질감과 제2 조작면(303b)의 질감은 서로 상이하다.
제1 조작면(303a)의 표면의 색과 제2 조작면(303b)의 표면의 색은 서로 상이하다.
제1 조작면(303a)은, 제2 조작면(303b)보다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으로 더 돌출한다.
제1 조작면(303a)의 배면측을 향하는 방향의 높이는, 파지부 90, 300의 배면측을 향하는 방향의 높이보다는 높고, 또한, 접안부(16)의 배면측을 향하는 방향의 높이보다는 낮다.
터치 조작면(303)의 재질은, 글래스 필러(glass filler) 함유의 수지다.
제1 조작면(303a)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의 길이는,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의 면에 위치하는 파지부(300)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또한, 제1 조작면(303a)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의 길이는, 회전 조작 부재( 73)를 회전 조작하는 회전 조작 폭보다 길다.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 부재(73)로부터 순차적으로 제2 조작면(303b), 제1 조작면(303a), 제2 조작면(303b)이 배열되어 있다.
제1 조작면(303a)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회전 조작 부재(73)의 터치 검출면(302)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제2 조작면(303b)의 각각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회전 조작 부재(73)의 터치 검출면(302)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제1 전극면(302a)은, 제1 조작면(303a)과,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으로 돌출부측의 제1 조작면(303a)의 외연에 인접해서 설치된 제2 조작면(303b)에 걸쳐서 설치된다.
제1 조작면(303a)은, 제2 조작면(303b)보다 전자기기의 배면측으로 더 돌출한다.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제1 조작면(303a)과 제1 전극면(302a)이 서로 중첩하는 제1 터치 검출 영역의 면적은, 제2 조작면(303b)과 제1 전극면(302a)이 서로 중첩하는 제2 터치 검출 영역(302a2)의 면적보다 넓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으로 제1 조작 부재(터치 바)(82)의 조작면(303)에 인접해서 배치된 제2 조작 부재(서브 전자 다이얼)(73)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제2 조작 부재(73)는, 적어도 2개의 터치 전극면 중에서 제N의 전극면(302n)에 가장 근접해 있다.
검출 유닛(302)의 터치 전극면의 짧은 변의 중점을 통과하고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분을 정의했다.
그 경우, 선분에 대하여, 제N의 전극면(302n)의 제2 조작 부재(73)에 가까운 측의 영역을 제1 영역이라고 한다.
제N의 검출면(302n)의 제2 조작 부재(73)로부터 먼 측의 영역을 제2 영역이라고 했을 때, 제1 영역의 표면적은 제2 영역의 표면적보다 좁다.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제1 조작면(303a)은, 제1 조작면(303a)과 터치 검출면(302)이 서로 중첩하는 제1 터치 검출 영역(302a1)과, 제1 조작면(303a)과 터치 검출면(302)이 서로 중첩하지 않는 제1 터치 비검출 영역(301a)을 구비한다.
제2 조작면(303b)은, 제2 조작면(303b)과 터치 검출면(302)이 서로 중첩하는 제2 터치 검출 영역(302a2)과 제2 조작면(303b)과 터치 검출면(302)이 서로 중첩하지 않는 제2 터치 비검출 영역을 구비한다.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2 터치 비검출 영역, 제2 터치 검출 영역(302a2), 제1 터치 검출 영역(302a1)이 배치되어 있다.
제2 터치 비검출 영역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의 폭은, 제2 터치 검출 영역(302a2)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의 폭보다 넓다.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제1 조작면(303a)과 제1 전극면(302a)이 서로 중첩하는 터치 검출 영역에 제1 터치 지표(303c)가 설치된다.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제1 조작면(303a)과 제N의 전극면(302n)이 서로 중첩하는 터치 검출 영역에 제2 터치 지표(303d)가 설치된다.
제1 터치 지표(303c)는 제1 터치 검출 영역(302a1)에 설치된다.
제2 터치 검출 영역(302a2)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의 폭은, 제1 터치 지표(303c)로부터 제2 터치 검출 영역(302a2)까지의 길이 303e보다 짧다.
제2 터치 지표(303d)는, 제1 조작면(303a)과 제N의 전극면(302n)이 서로 중첩하는 터치 검출 영역 및 제1 조작면(303a)과 제N의 전극면(302n)이 서로 중첩하지 않는 터치 비검출 영역의 양쪽의 영역에 걸쳐서 설치된다.
터치 검출 영역에 설치된 제2 터치 지표(303d)의 면적은, 터치 비검출 영역에 설치된 제2 터치 지표(303d)의 면적보다 넓다.
제1 조작 유닛(82)은, 표시부(28)의 조작면과 슬라이드 방향(X 방향)으로 중첩하고, 또한, 표시부(28)의 조작면과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 방향)으로 중첩하지 않는다.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제1 조작 유닛(82)은, 표시부(28)의 조작면에 대하여 전방면측(Z 방향)으로 오목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터치 검출면(302)의 짧은 변의 중점을 통과하고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분을 정의했을 경우, 선분에 대하여, 제1 터치 비검출 영역(301a)의 표시부(28)로부터 먼 측의 영역을 제1영역이라고 한다.
제1 터치 비검출 영역(301a)의 표시부(28)에 가까운 측의 영역을 제2 영역이라고 했을 때, 그리고 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봤을 때, 제1 영역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은, 제2 영역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보다 넓다.
(터치 바(82)의 할당 기능의 설명)
이때, 유저의 조작 의도에 따라 정확하게 조작 판정이 행해지지 않으면, 이것은 오조작이 되어버린다.
그렇지만, 터치 바(82)의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로부터의 거리나 터치 바(82)와 기기 위의 다른 부재와의 배치 관계에 의거해서, 의지 일치율(intention concordance rate)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해 터치바(82)에의 터치 용이함이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 근방에서는 터치 바(82)에 터치하기 쉽다. 터치 바(82)가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로부터 접안부(16)에 가까울수록, 엄지손가락이 더 펴져야 한다. 따라서, 터치 바(82)를 터치하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
또한, 접안부(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안 뷰파인더 내부의 EVF(29)에 표시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접안 뷰파인더다.
그렇지만, 편안한 아이 포인트(eye point)를 확보할 목적이나 접안 상태에서 코가 표시부(28)와 접촉하기 어렵게 할 목적으로, 접안부(16)가 외장측(배면측)으로 튀어나온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이 접안부(16)는 터치 바(82)의 터치면에 대하여 Z방향으로 15mm 이상 튀어나와 있다.
이 때문에, 접안부(16)에 인접한 터치 바(82)의 끝에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은 슬라이드 조작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입력이 끝에서 끝까지 제공될 수 없는 경우, 설정 값을 변경하기위한 스텝의 수가 감소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15mm 이상의 높이를 갖는 비교적 큰 볼록 형상을 예시했다. 그렇지만, 약 1mm 이상의 높이를 갖는 볼록 형상이 있는 경우에는 조작성에 대한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서브 전자 다이얼(7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조작 부재이다.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서브 전자 다이얼(73)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복수의 스텝에서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조작시, 서브 전자 다이얼(73)에 인접하는 터치 바(82)에 의도하지 않게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접촉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터치 바(82)의 상세 구성에 관하여 설명)
다음에, 터치 바(82)의 상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터치 바(82)의 분해도이다. 터치 바(82)는 외관 부품으로서의 키 톱(303)과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검출을 행하는 전극(302)을 갖는 프린트 회로 기판(30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검출 방법에서는, 유저의 손가락이 키 톱(303)에 접촉했을 때에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전극(302)이 검출한다.
그 때문에, 키 톱(303)은 비도전 부재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터치 검출의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키 톱(303)의 비도전 부재의 유전율은 높아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비도전 부재는 유전율이 높은 글래스 필러를 함유한 비도전성의 수지 재료에 의해 취득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키 톱(303)은 키 톱 고정 부재에 나사 1402로 고정되고, 키 톱 고정 부재는 키 톱(303)과 함께 나사 403으로 디지털 카메라(100)의 상부 커버(upper cover)(404)에 고정된다.
또한, 키 톱(303)은 나사 405에 의해 키 톱 고정 부재와 함께 디지털 카메라(100)의 배면 커버(406)에 고정된다.
상부 커버(404)와 배면 커버(406)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기 노이즈 차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전성의 재료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전성의 재료는 마그네슘 합금이나 도전 수지이다. 다음에,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린트 회로 기판(301)은 키 톱(303)의 뒤쪽에 부착된다.
키 톱(303)의 뒤쪽에는 보스(boss)(407)와 리브(ribs)(408)가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 회로 기판(301)은, 위치결정 구멍(305)에 보스(407)를 끼워 맞추고 리브(408)에 대해 프린트 회로 기판(301)을 누른 상태에서 프린트 회로 기판(301)이 터치 바(82)의 키 톱(303)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양면 테이프로 부착된다.
이때, 터치 센서의 검출을 저해하지 않도록 대략 50μm ~ 100μm의 두께를 갖는 얇은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프린트 회로 기판(301)과, 프린트 회로 기판(301)에 배선시키는 터치 센서 전극(302)을, 한정된 영역에서 그리고 터치 센서 전극(302)에 가까운 위치에서 고정밀하게 조작면으로서의 키 톱(303)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4c는 터치 바(82)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 톱(303)은 키 톱 외형선 303a에 내포되는 터치 검출 영역과, 키 톱 외형선 303a 및 303b 사이의 터치 비검출 영역을 가지고 있다.
키 톱 외형선 303a의 내측을 제1 조작면으로 하고, 키 톱 외형선 303a의 외측과 키 톱 외형선 303b의 내측을 제2 조작면으로 한다(도 3 참조).
키 톱 외형선 303a의 내측의 제1 조작면과 터치 센서 전극(302)이 서로 중첩하는 영역을 제1 터치 검출 영역(302a1)이라고 하고, 키 톱 외형선 303a의 내측의 제1 조작면과 터치 센서 전극(302)이 서로 중첩하지 않는 영역을 제1 터치 비검출 영역(301a)이라고 한다.
제1 조작면의 외주는 제2 조작면으로 둘러싸여 있다(도 3 참조).
제2 조작면과 터치 센서 전극(302)이 서로 중첩하는 영역을 제2 터치 검출 영역(302a2)이라고 한다. 제2 조작면과 터치 센서 전극(302)이 서로 중첩하지 않는 영역을 제2 터치 비검출 영역이라고 한다(도 3 참조).
촬상장치(100)의 배면에 배치된 평면인 제1 조작면은, 제1 조작면의 외주를 둘러싼 제2 조작면보다도 배면측으로 더 돌출해 있다.
즉, 제1 조작면의 표면이, 배면측의 제2 조작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다.
이것은, 도전 재료로 구성되는, 상부 커버(404) 및 배면 커버(406)와, 터치 센서 전극(302)과의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두지 않으면, 터치 검출의 정전용량이 도전 재료로 디스차지되어, 터치 검출의 출력이 저하한다.
도 4c는 터치 센서 전극(302)과 상부 커버(404) 사이의 클리어런스(clearance) 409와, 터치 센서 전극(302)과 배면 커버(406) 사이의 클리어런스 410을 나타낸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전극(302)에 있어서는, 적어도 1mm 이상의 클리어런스를 제공함으로써, 터치 검출에 필요한 출력을 취득할 수 있다.
이상의 이유로, 키 톱(303)은 터치 비검출 영역을 전체 둘레에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유저가 EVF(29)를 들여다보면서 터치 바(82)에 대하여 터치 조작을 행한 경우에, 이 조작은 터치 바(82)를 보지 않고 행해진다. 따라서, 터치 검출 영역과 터치 비검출 영역의 판별을 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도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키 톱(303)의 터치 검출 영역은 터치 비검출 영역에 대하여 철면(protruding surface) 형상(411)을 갖고, 터치 비검출 영역은 요면(recessed) 형상(412)을 가짐으로써, 터치 바(82)를 보지 않고 터치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터치 검출 영역(제1 조작면)의 철면 형상(411)의 높이는 요면 형상(412)의 높이보다 1mm 높다.
유저가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를 파지했을 경우에, 유저가 용이하게 터치 검출의 오조작을 하지 않도록 철면 형상(411)이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의 면보다 Z 방향으로 높다.
또한, 유저가 접안부(16)의 EVF(29)을 들여다봤을 때에, 유저가 용이하게 터치 검출의 오조작을 하지 않도록 터치 검출 영역의 철면 형상(411)의 높이는 접안부(16)의 면보다 Z 방향으로 낮다.
또한, 키 톱(303)의 터치 검출 영역의 표면은 터치 비검출 영역의 표면보다 더 매끄한 질감을 갖고, 터치 비검출 영역의 표면은 거친 질감을 가짐으로써, 터치 검출 영역과 터치 비검출 영역의 판별을 할 수 있다.
또한, 키 톱(303)의 터치 검출 영역의 표면의 색을, 터치 비검출 영역의 색과 다르게 함으로써, 터치 검출 영역의 시인성을 상승시킨다.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설명)
도 1b 및 도 4a과 같이, 서브 전자 다이얼(73)은, 터치 바(82)의 터치면(401)에 대하여 촬상장치(100)의 전방면측(Z 방향)으로 오목한 위치에 설치된다.
그렇지만, 터치 바(82)의 터치면(401)과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서브 전자 다이얼(73)을 회동하는 접촉면의 Z 방향의 단차(difference in level)는 작다.
따라서, 유저가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조작시, 서브 전자 다이얼(73)에 인접하는 터치 바(82)에 의도하지 않게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도 1b 및 도 4a에 있어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서브 전자 다이얼(73)은 터치 바(82)의 터치면(401)에 대하여 촬상장치(100)의 전방면측(Z 방향)으로 오목한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나, 반대로, 터치 바(82)의 터치면(401)에 대하여 촬상장치(100)의 배면측(Z 방향)으로 돌출한 위치에 서브 전자 다이얼(73)이 설치되는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터치 바(82)의 터치면(401)과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서브 전자 다이얼(73)을 회동하는 접촉면 사이의 배면측(Z 방향)으로 돌출하는 단차가 작다.
따라서, 유저가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조작시, 서브 전자 다이얼(73)에 인접하는 터치 바(82)에 의도하지 않게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서브 전자 다이얼(73)은, Y 방향을 하나의 회전축으로 해서, X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 조작 부재다.
촬상장치(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제1 조작 부재로서의 터치 바(82)는, 표시부로서의 터치 패널(28)의 조작면과 슬라이드 방향(X 방향)으로 겹친다.
그리고, 제1 조작 부재로서의 터치 바(82)는, 표시부로서의 터치 패널(28)의 조작면과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다.
촬상장치(전자기기)(100)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터치 바(82)는, 터치 패널(28)의 조작면에 대하여 전방면측(Z 방향)으로 오목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터치 바(82)의 조작면(303)(터치면 401)과 터치 패널(28)의 조작면(터치면) 사이의 Z방향의 단차는 비교적 크다.
따라서, 유저가 터치 패널(28)의 조작시, 터치 패널(28)에 인접하는 터치 바(82)에 의도하지 않게 손가락이 접촉할 가능성은 낮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터치 바(82)의 터치면과 터치 패널(28)의 터치면 사이의 Z방향의 단차는, 터치 바(82)의 터치면(401)과 서브 전자 다이얼(73)을 회동하는 접촉면 사이의 Z방향의 단차보다 크다.
검출 유닛으로서의 터치 센서 전극(302)의 터치 검출면의 짧은 변의 중점을 통과하고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 A(도 3)을 정의한다.
그 경우, 선분 A(중심선)에 대하여, 제N의 터치 검출면(302n)의 제2 조작 부재(73)에 가까운 측의 영역을 제1 영역이라고 한다.
그리고, 제N의 터치 검출면(302n)의 표시부(터치 패널)(28)에 가까운 측의 영역을 제2 영역이라고 했을 때, 제1 영역의 표면적은 제2 영역의 표면적보다 작다.
(선형성의 설명)
도 3에 나타낸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전극(302)에 있어서는, 터치 센서 전극 302b에 인접하는 터치 센서 전극 302a 및 302c에 대하여, 도그레그(dogleg) 경사면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을 행했을 때, 터치 센서 전극 302a ~ 302c의 정전용량의 입력 값이 서서히 인접한 전극으로 시프트한다. 따라서, 선형성을 확보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전극(302)에 있어서는, 도그레그 경사면 형상의 정점이 터치 센서 전극(302)의 Y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또 정점의 각도 Θ1 및 Θ2가 대략 90도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도 5a 및 5b는 키 톱(303)과, 키 톱(303)과 인접하는, 서브 전자 다이얼(73)과,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와의 사이즈 관계를 나타낸다.
도 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글 구성소자의 X방향 폭은 아래와 같다.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의 X방향 폭 L1,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X방향 폭 L2, 및 키 톱(303)의 터치 검출 영역의 X방향 폭 L3은 L1 <L2, L2≤L3을 충족한다.
예를 들면, 일본인의 엄지손가락의 평균 폭이 약 20mm이다. 따라서, 평균 폭의 절반인 10mm이 디지털 카메라(100)를 파지하고 있는 경우 엄지손가락과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와의 접촉 면적이라고 상정하면,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의 X방향 폭 L1은 5mm 이상 필요하다.
서브 전자 다이얼(73)이나 터치 바(82)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거리가 엄지손가락의 접촉 면적의 2배 이상이 아니면, 1회의 슬라이드 조작에 있어서의 설정 값의 변경 범위가 작다.
그래서, 반복해서 슬라이드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때문에, 적어도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X방향 폭 L2 및 키 톱(303)의 터치 검출 영역의 X방향 폭 L3은 10mm 이상 필요하다.
또한, 터치 바(82)는 서브 전자 다이얼(73)과 동등의 슬라이드 조작성을 갖게 한다.
그 때문에, 키 톱(303)의 터치 검출 영역의 X방향 폭 L3은,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X방향 폭 L2과 동등 이상의 길이일 필요가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Y방향 폭 H1, 키 톱(303)의 터치 검출 영역의 Y방향 폭 H2, 및 터치 비검출 영역의 Y방향 폭 H3은 H1≤H2, H1>H3을 충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바(82)는 서브 전자 다이얼(73)과 동등의 슬라이드 조작성을 갖게 한다, 그 때문에, 키 톱(303)의 터치 검출 영역의 Y방향 폭 H2은 적어도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Y방향 폭 H1보다도 동등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키 톱(303)의 터치 비검출 영역의 Y방향 폭 H3은, 키 톱(303)의 터치 비검출 영역이 검출 영역으로서 오인식되지 않도록 적어도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Y방향 폭 H1보다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도 6a는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를 파지한 상태를 디지털 카메라(100)의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b는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를 파지한 상태를 배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는, 일반적으로 그립(90)을 배면측에 투영한 위치에 있다. 러버(rubber)를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에 부착함으로써,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시에 그립감을 높이는 경우가 많다.
또한, 도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터치 바(82)와 서브 전자 다이얼(73)과의 위치 관계는,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를 중심으로 엄지손가락의 회전 궤적 위에 터치 바(82)와 서브 전자 다이얼(73)을 배치함으로써, 그립(90)을 잡으면서 터치 바(82)와 서브 전자 다이얼(73)을 조작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회전 방향과 터치 바(82) 위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은 엄지손가락의 회전 궤적에 따라 도 6b의 X 방향과 일치하여, 터치 바(82)와 서브 전자 다이얼(73)의 조작성은 서로 유사하다.
또한, 터치 바(82)는, 엄지손가락 대기 위치(300)에 인접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가 그립부(90)를 잡은 상태에서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탭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을, 유저가 좌우(도 3에 나타낸 슬라이드 방향)로 행하기 쉽도록 터치 바(82)가 배치가 되어 있다.
터치 바(82)에, 조작에 따라 기능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터치 바(82)에, 조작 부재로서의 메인 전자 다이얼(71)이나 서브 전자 다이얼(73)을 이용해서 설정 가능한 노출 관계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노출 관계의 설정 값은 셔터 속도(Tv), 조리개 값(Av),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감도, 및 오토 노출 모드 시의 노출 보정값이다.
예를 들면, ISO 감도 설정의 기능을 터치 바(82)에 할당했을 경우를 설명한다.
터치 바(82)의 좌측 절반 정도의 위치에서 탭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 ISO 감도를, 1/3 스텝 저감도로 설정하는 기능이 터치 바(82)에 할당된다.
우측 절반 정도의 위치 좌표에서 탭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촬영 ISO 감도를 1/3 스텝 고감도로 설정하는 기능이 터치 바(82)에 할당된다..
또한,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 ISO 감도를 슬라이드의 단계마다 1/3 스텝씩 증감하는 기능이 터치 바(82)에 할당된다.
할당되는 이들 기능은 유저에 의해 커스터마이즈(customized) 가능하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경이 가능하다. 좌측 절반 정도의 위치에서 탭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 ISO 감도를 자동 설정으로 설정하는 기능이 터치 바(82)에 할당된다.
또한, 다음과 같은 변경이 가능하다. 우측 절반 정도의 위치 좌표에서 탭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촬영 ISO 감도를 최고 ISO 감도로 설정하는 기능이 터치 바(82)에 할당된다.
또한, 터치 바(82)에는, 노출 관계의 설정 값 이외에도 화이트 밸런스 설정, AF 모드의 설정, 드라이브 모드의 설정, 및 재생 화상 전송이 할당 가능하다.
또한,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는, 마이크의 녹음 레벨 조정 기능과 동영상 재생의 빨리 감기 및 되감기 기능을 터치 바(82)에 할당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바(82)는 다양한 기능을 조작 가능하다. 그렇지만, 터치 바(82)에 대해 설정된 다양한 기능을 파악해서 조작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배치된 표시 화면을 보면서 다양한 기능을 조작할 필요가 있다.
도 7a는 카메라 배면에 설치된 표시부(28)나 카메라(100)의 상면에 설치된 뷰파인더외 표시부(43)를 보면서 터치 바(82)를 유저가 조작하는 개략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7b는 접안 뷰파인더 내의 EVF(29)를 보면서 터치 바(82)를 유저가 조작하는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7a 및 7b와 같이 복수의 표시부를 갖는 카메라의 경우, 유저는 다양한 스타일로 촬영이나 촬영 기능을 설정한다. 이 때문에, 터치 바(82)는 조작 중에 유저가 어느 표시부를 보든 터치 바(82)를 조작하는 것이 쉬운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특징인 복수의 표시부와 터치 바(82)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다.
도 8a는 카메라(100)의 배면에 설치되는, 터치 바(82) 및 표시부(28)와, 접안 뷰파인더 내의 EVF(29)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도 8b는 카메라(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터치 바(82)와 뷰파인더외 표시부(43)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도 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터치 바(82)는 표시부(28)의 상변(upper side) 28a와 EVF(29)의 우변(right side) 29a에 인접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터치 바(82)는 뷰파인더외 표시부(43)의 하변(lower side) 43a에 인접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표시부로 둘러싸진 터치 바(82)를 배치함으로써, 도 7a 및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중에 유저가 어느 표시부를 보든 표시 화면과 터치 조작을 파악하면서 터치 바(82)를 조작할 수 있다.
특히, 프로 카메라맨이나 하이 아마추어라고 불리는 카메라 유저는 EVF(29)나 뷰파인더외 표시부(43)를 보면서 재빠르게 촬영 설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바(82)의 배치에 근거해서, 표시부를 들여다보는 동작과 터치 조작을 일련의 동작으로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a 및 9b는 표시부의 표시 화면과 터치 바(82) 위의 슬라이드 방향과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다. 도 9a는 노출 관계의 촬영 설정 값이 표시된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카메라(100)의 배면에 설치된 표시부(28)에는, 표시 화면의 하부 28b에 촬영 설정 값이 X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촬영 화상은, 촬영 화상이 X 방향(수평으로 긴)으로 긴 사이즈이다. 촬영 화상의 긴 변과 짧은 변의 비율(어스펙트비)은 3:2나 4:3이다.
그 때문에, 촬상된 화상의 재생 표시나 LV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28)와 EVF(29)는, 촬영 화상의 어스펙트비에 따라 X방향으로 길다.
표시부(28)에서는, 도 9a와 같이 LV 표시 시에 피사체상과 표시가 서로 중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또한 촬영 설정 값을 모두 일렬로 표시하기 위해서, 설정 값을, 표시 화면의 하부 28b에 X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다.
특히, 메뉴얼 노출 모드 시의 측광값이나 오토 노출 모드 시의 보정값을 나타내는 노출 미터(28c)는 긴 표시 폭을 갖기 때문에, 노출 미터(28c)의 값은 Y 방향으로 나란히 표시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노출 미터(28c)의 측광값이나 보정값을 나타내는 노출 미터 커서(28d)는 설정 값이 변경되면 미터(28c) 위를 X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설정 값을 나타내는 커서의 이동과 슬라이드에 의한 설정 값의 표시 전환을 스크롤이라고 하고, 그 스크롤의 방향을 스크롤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설정 변경 가능한 설정 값은 설정 값 선택 커서(28e)에 의해 선택되고, 조작 부재로서의 메인 전자 다이얼(71)이나 서브 전자 다이얼(73), 혹은 터치 바(82)를 이용해서 커서에 의해 선택된 설정을 변경 가능하다.
표시부(28)와 마찬가지로, EVF(29)의 표시 화면의 하부 29b에는 노출 미터(29c)와 노출 미터 커서(29d)를 포함하는 각 설정 값과, 설정 값 선택 커서(29e)가 X 방향으로 나란히 표시되어 있다.
뷰파인더외 표시부(43)는 촬영 화상을 표시하지 않고, 설정 값만 표시한다. 이 때문에, 설정 값과 설정 값 선택 커서(43e)는 나란히 표시되지 않는다.
다만, 뷰파인더외 표시부(43)의 노출 미터(43c)와 노출 미터 커서(43d)의 표시 방향은 표시부(28)와 EVF(29)의 노출 미터에 맞춰서 X 방향이라고 한다.
따라서, 터치 바(82)에 대해 슬라이드 조작을 행함으로써 오토 노출 모드 시 노출 보정값을 변경한 경우에, 각 표시부의 노출 미터의 노출 미터 커서는 X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또한, 메뉴얼 노출 모드 시에 터치 바(82)를 이용해서 셔터 속도(Tv), 조리개 값(Av), 또는 ISO 감도를 변경했을 경우에도, 각 표시부의 노출 미터의 노출 미터 커서는 X방향으로 스크롤한다.
그 때문에, 터치 바(82)에 대한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을 각 노출 미터 커서의 스크롤 방향과 동일게 함으로써, 유저는 노출 미터 커서의 이동과 관련지어서 슬라이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b는 ISO 감도를 터치 바(82)를 이용해서 변경했을 경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각 표시부에 대한 설정 값 선택 커서(28e, 29e, 43e)는 ISO 감도의 항목을 선택한 상태이다. 따라서, 터치 바(82)를 이용해서 설정 변경 가능하다.
유저가 터치 바(82)에 엄지손가락을 접촉시켜, 슬라이드 조작을 시작하면, 표시부(28)와 EVF(29)에 ISO 감도 미터 28f와 29f가 각각 표시된다.
유저가 터치 바(82) 위의 엄지손가락을 X방향 오른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ISO 감도 미터 28f, 29f의 표시는 X방향 오른쪽으로 스크롤하고, ISO 감도는 100의 ISO로부터 400의 ISO로 변경된다.
그리고, ISO 감도의 변경에 따라 노출 값이 2스텝 증가한다. 이 때문에, 각 표시부 위의 노출 미터의 노출 미터 커서(28d, 29d, 43d)는 X방향 오른쪽으로 스크롤한다.
터치 바(82)를 이용해서 셔터 속도(Tv)나 조리개 값(Av)을 변경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각 설정 값의 미터가 표시되고 X방향으로 스크롤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표시부 위의 노출 미터 커서와 각 설정 값의 미터의 표시의 스크롤 방향과 터치 바(82) 위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을 동일하게 한다.
따라서, 유저는 각 표시부를 보면서 직감적으로 터치 바(82)를 이용해서 다양한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터치 바(82) 위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은 X방향이다. 그렇지만, 터치 바(82) 위의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은 각 표시부에 표시되는 설정 값의 미터의 표시의 스크롤 방향과 동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X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EVF(29)와 바(82)와의 위치 관계를 설명했다.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러, 펜타프리즘, 및 초점판을 포함하는 광학 뷰파인더에 있어서의 초점판에 중첩한 투과형의 액정 표시부를 이용해서도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EVF(29)을 포함하는 접안 뷰파인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평면적인 표면적 면에 있어서는 터치 센서 전극의 크기를 고려해서 설명했다. 또한, 곡면 형상이나 요철 형상과 같은 3차원 형상으로서 터치 센서 전극을 고려해서 입력을 제공하는 이용성을 조정해도 된다.
(터치 센서 전극의 형상의 다른 예)
또한, 터치 센서 전극 302a는 키 톱 외형선 303a로 표시되는 제1 조작면보다 접안부(16)측으로 더 튀어나온 형상이다.
그러나, 터치 센서 전극 302a는 키 톱(303) 위의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튀어나와도, 터치 센서 전극 302a의 터치 센서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5는 터치 센서 전극 302a가 키 톱(303) 위의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키 톱 외형선 303a로부터 튀어나왔을 경우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배면도와 터치 바(82)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터치 센서 전극 302a3가 디지털 카메라(100)의 상방으로 튀어나온 영역이다. 터치 센서 전극 302a4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하방으로 튀어나온 영역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의 엄지손가락과 이 엄지손가락에 대향하는 터치 센서 전극과의 비(ratio)에 따라 터치 센서 출력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더 안정적인 터치 센서 전극 302a의 터치 센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촬상장치로서 기능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복사기, 레이저 빔 프린터(LBP), 및 잉크젯 프린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모니터를 파지하면서, 터치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을 행함으로써 카피 매수나 카피 용지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터치 조작면에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바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및 스마트워치 등의 휴대 가능한 소형의 컴퓨터인 모바일 기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를 적용할 수 있다.
각 모바일 기기의 화면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바를 배치함으로써, 화상 전송 혹은 선택을 위한 터치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의료기기, 및 게임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를 적용할 수 있다.
자동차의 스티어링(steering)부에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바를 배치함으로써, 스티어링 조작을 행하면서, 터치 조작에 의한 메뉴 전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한 음량의 미세 조정, 및 자동차 네비게이션 화면의 축소/확대 등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기로서, 핸디 X선 기기의 파지부에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바를 배치함으로써,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조작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면측에 돌출한 돌출부 부근에 배치된 터치 조작면에 있어서, 스무스한 터치 조작 및 스무스한 슬라이드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경 및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전자기기로서,
    터치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지는 터치 조작면을 포함하는 제1 조작 유닛과,
    상기 터치 조작면의 내측에 배치되고 터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면과,
    유저가 파지하도록 구성된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 검출면은,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서 먼 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검출면 내지 제N 검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터치 검출면으로 분할되고,
    상기 파지부는,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터치 검출면 중에서 상기 제N 검출면에 가장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터치 조작면은, 제1 조작면, 및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제2 조작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작면은 돌출량, 질감 및 색 중의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검출면은, 상기 파지부에서 먼 쪽의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상기 제2 조작면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제1 조작면과 상기 제1 검출면이 서로 중첩하는 제1 터치 검출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조작면과 상기 제1 검출면이 서로 중첩하는 제2 터치 검출 영역의 면적보다 넓은, 전자기기.
  2. 전자기기로서,
    터치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지는 터치 조작면을 포함하는 제1 조작 유닛과,
    상기 터치 조작면의 내측에 배치되고 터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면과,
    유저가 파지하도록 구성된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 검출면은,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서 먼 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검출면 내지 제N 검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터치검출면으로 분할되고,
    상기 파지부는,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터치 검출면 중에서 상기 제N 검출면에 가장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터치 조작면은, 제1 조작면, 및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제2 조작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작면은 돌출량, 질감 및 색 중의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검출면은, 상기 파지부에서 먼 쪽의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상기 제2 조작면에 걸쳐서 설치되고,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면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검출면은, 상기 돌출부 측의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상기 제2 조작면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제1 검출면은, 상기 제1 조작면과,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측의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상기 제2 조작면에 걸쳐서 설치되는, 전자기기.
  3. 전자기기로서,
    터치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지는 터치 조작면을 포함하는 제1 조작 유닛과,
    상기 터치 조작면의 내측에 배치되고 터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면과,
    유저가 파지하도록 구성된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 검출면은,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서 먼 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검출면 내지 제N 검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터치검출면으로 분할되고,
    상기 파지부는,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터치 검출면 중에서 상기 제N 검출면에 가장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터치 조작면은, 제1 조작면, 및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제2 조작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작면은 돌출량, 질감 및 색 중의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검출면은, 상기 파지부에서 먼 쪽의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상기 제2 조작면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제2 조작면에 존재하는 상기 제1 검출면의 검출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조작면에 존재하는 상기 제N 검출면의 검출 영역의 면적보다 넓은, 전자기기.
  4. 전자기기로서,
    터치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지는 터치 조작면을 포함하는 제1 조작 유닛과,
    상기 터치 조작면의 내측에 배치되고 터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면과,
    유저가 파지하도록 구성된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 검출면은,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서 먼 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검출면 내지 제N 검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터치검출면으로 분할되고,
    상기 파지부는,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터치 검출면 중에서 상기 제N 검출면에 가장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터치 조작면은, 제1 조작면, 및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제2 조작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작면은 돌출량, 질감 및 색 중의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검출면은, 상기 파지부에서 먼 쪽의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상기 제2 조작면에 걸쳐서 설치되고,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유닛의 상기 터치 조작면에 인접해서 배치된 제2 조작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조작 유닛은,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터치 검출면 중에서 상기 제N 검출면에 가장 가깝게 설치되고,
    검출 유닛의 터치 검출면의 짧은 변의 중점을 지나가고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을 정의했을 경우, 상기 선분에 대하여 상기 제2 조작 유닛에 가까운 측의 상기 제N 검출면의 영역을 제1영역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2 조작 유닛에서 먼 측의 상기 제N 검출면의 영역을 제2영역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 영역의 표면적은 상기 제2 영역의 표면적보다 작은, 전자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면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검출면은, 상기 돌출부 측의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상기 제2 조작면에 걸쳐서 설치되는, 전자기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면은, 상기 제1 조작면과 상기 터치 검출면이 서로 중첩하는 제1 터치 검출 영역과, 상기 제1 조작면과 상기 터치 검출면이 서로 중첩하지 않는 제1 터치 비검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작면은, 상기 제2 조작면과 상기 터치 검출면이 서로 중첩하는 제2 터치 검출 영역과, 상기 제2 조작면과 상기 터치 검출면이 서로 중첩하지 않는 제2 터치 비검출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면에는,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 측에서 순차적으로 상기 제2 터치 비검출 영역, 상기 제2 터치 검출 영역, 및 상기 제1 터치 검출 영역이 배치되고,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비검출 영역의 폭은,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검출 영역의 폭보다 넓은, 전자기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면과 상기 제1 검출면이 서로 중첩하는 터치 검출 영역에 제1 터치 지표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조작면과 상기 제N 검출면이 서로 중첩하는 터치 검출 영역에 제2 터치 지표가 설치되는, 전자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지표가 제1 터치 검출 영역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 제2 터치 검출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터치 지표로부터 상기 제2 터치 검출 영역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전자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지표는, 상기 제1 조작면과 상기 제N 검출면이 서로 중첩하는 터치 검출 영역, 및 상기 제1 조작면과 상기 제N 검출면이 서로 중첩하지 않는 터치 비검출 영역의 양쪽에 걸쳐서 설치되고,
    터치 검출 영역에 설치된 상기 제2 터치 지표의 표면적은, 터치 비검출 영역에 설치된 상기 제2 터치 지표의 표면적보다 넓은, 전자기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드 조작과 탭 조작이 가능한 조작면을 포함하는 표시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작 유닛과 상기 표시 유닛의 조작면은,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작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의 조작면에 대하여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위치에 배치되는, 전자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면의 짧은 변의 중점을 지나가고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을 정의했을 경우, 상기 선분에 대하여 상기 표시 유닛에서 먼 측의 제1 터치 비검출 영역의 영역을 제1 영역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표시 유닛에 가까운 측의 상기 제1 터치 비검출 영역의 영역을 제2 영역이라고 정의하면,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폭은,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폭보다 넓은, 전자기기.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접안부인, 전자기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면은, 상기 제1 조작면과,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측의 상기 제1 조작면의 외연에 설치된 상기 제2 조작면에 걸쳐서 설치되는, 전자기기.
  15. 삭제
KR1020190069674A 2018-06-29 2019-06-13 전자기기 KR102477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25512 2018-06-29
JP2018125512 2018-06-29
JPJP-P-2019-092371 2019-05-15
JP2019092371A JP6676807B2 (ja) 2018-06-29 2019-05-15 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14A KR20200002614A (ko) 2020-01-08
KR102477997B1 true KR102477997B1 (ko) 2022-12-15

Family

ID=6915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674A KR102477997B1 (ko) 2018-06-29 2019-06-13 전자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588251B1 (ko)
JP (1) JP6676807B2 (ko)
KR (1) KR102477997B1 (ko)
BR (1) BR102019012418A2 (ko)
PH (1) PH12019000224A1 (ko)
RU (1) RU2719401C1 (ko)
SG (1) SG10201905853P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6765A (ja) 2008-03-31 2008-10-02 Fujifilm Corp 携帯型電子機器
JP2015026220A (ja) * 2013-07-25 2015-02-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880A (ja) * 2000-10-11 2002-04-19 Sony Corp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4127982B2 (ja) * 2001-05-28 2008-07-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US6972749B2 (en) * 2001-08-29 2005-12-06 Microsoft Corporation Touch-sensitive device for scrolling a document on a display
US7495659B2 (en) * 2003-11-25 2009-02-24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NZ553141A (en) * 2004-07-19 2009-08-28 Creative Tech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 scrolling
JP2006092321A (ja) * 2004-09-24 2006-04-06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タッチパッド装置
US20070097089A1 (en) * 2005-10-31 2007-05-03 Battles Amy E Imaging device control using touch pad
US8537121B2 (en) * 2006-05-26 2013-09-17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function slider in touchpad
JP2009164757A (ja) * 2007-12-28 2009-07-23 Victor Co Of Japan Ltd 画像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JP5717510B2 (ja) * 2010-04-08 2015-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12010061A (ja) * 2010-06-24 2012-01-12 Nikon Corp 撮像装置
US8710968B2 (en) * 2010-10-07 2014-04-29 Motorola Mobility Llc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virtual textures in electronic devices
TWI581135B (zh) * 2011-09-30 2017-05-01 加拿都公司 觸感薄膜、觸感裝置及電子裝置
US8766940B1 (en) * 2012-01-06 2014-07-01 Google Inc. Textured linear trackpad
KR102250599B1 (ko) * 2014-02-11 2021-05-10 이주협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6765A (ja) 2008-03-31 2008-10-02 Fujifilm Corp 携帯型電子機器
JP2015026220A (ja) * 2013-07-25 2015-02-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09419A (ja) 2020-01-16
KR20200002614A (ko) 2020-01-08
BR102019012418A2 (pt) 2020-01-14
RU2719401C1 (ru) 2020-04-17
JP6676807B2 (ja) 2020-04-08
EP3588251A1 (en) 2020-01-01
SG10201905853PA (en) 2020-01-30
EP3588251B1 (en) 2022-03-30
PH12019000224A1 (en) 202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61945B (zh) 电子装备
JP7187190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10897568B2 (en) Electronic device
US11184528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28107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proved in operability of operation section
CN110661941B (zh) 电子设备
US11010000B2 (en) Electronic equipment having a touch operating member that can be operated while viewing display monitors
US11418703B2 (en) Electronic equipment to perform functions based on different touches to a touch detecting face
KR102477997B1 (ko) 전자기기
JP7195788B2 (ja) 電子機器
JP7129244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20021174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7278723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7258480B2 (ja) 撮像装置
JP2019191800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