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939B1 -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939B1
KR102477939B1 KR1020210063129A KR20210063129A KR102477939B1 KR 102477939 B1 KR102477939 B1 KR 102477939B1 KR 1020210063129 A KR1020210063129 A KR 1020210063129A KR 20210063129 A KR20210063129 A KR 20210063129A KR 102477939 B1 KR102477939 B1 KR 102477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haft
module
insert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5647A (ko
Inventor
황용석
Original Assignee
(주)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텍 filed Critical (주)바텍
Priority to KR102021006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939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fittings into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0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lever mechanism
    • B30B1/08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lever mechanism operated by fluid-pressur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2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forming shaped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튜브를 포함하는 관체(1)의 단부에 적어도 2종 규격의 커넥터(2)를 선택적으로 압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는 관체 확관공정과 커넥터 압입공정이 복합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무인 자동화가 가능함과 더불어 커넥터 조립 품질 개선 및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특히, 셔틀블록의 직선 이동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인서트 샤프트가 관체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는 간단한 작동 구조에 의해 적어도 2종의 커넥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압입할 수 있는 척모듈(100), 셔틀블록(200), 확관모듈(300), 인서트모듈(40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Connector automatic assembly device}
본 발명은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관체, 튜브를 포함하는 관체에 커넥터 삽입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품질 개선 및 작업 효율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자동차에 조립되는 연료/냉각수의 파이프, 튜브를 포함하는 관체의 연결 및 분기나 관로 연장을 위해 원터치방식의 다양한 커넥터들이 개발되고, 이러한 커넥터는 호스들을 연결 시 수밀성이 유지되어야 함과 아울러,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력과 탈착에 편의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커넥터를 관체에 결합 시 기밀이 유지되어야 하고, 관체 사이즈 및 주변 부품의 위치에 따라 설치 방향이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지만,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는 실정이므로 작업자의 부 주위로 관체의 미조립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미조립은 누수의 주요인이 되고, 또한 미조립 시 관로 내에서의 이상압력발생 시 관체가 쉽게 이탈하는 등 조립이 불안정하고 구조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0771974호에서, 연료 수송용 수지 튜브를 상대 파이프에 접속하기 위한 퀵 커넥터와 수지 튜브의 결합 구조로서, 커넥터 본체, 리테이너, 및 시일 부재를 포함하고, 소형 차량에 사용되며, 상기 커넥터 본체는 전체적으로 대략 통 형상을 갖고, 축선 방향의 일측에 리테이너 유지부를 구비하며, 타측에 상기 수지 튜브의 일단부로부터 수지 튜브 내부로 압입되는 압입부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 유지부에 유지되는 부재로서, 상기 상대 파이프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대 파이프의 삽입측의 축선 방향 단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볼록형 또는 오목형의 파이프측 결합부에 결합되어, 삽입된 상기 상대 파이프를 축선 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리테이너 유지부보다 상기 압입부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대 파이프의 파이프측 결합부보다 선단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삽입된 상대 파이프의 삽입 단부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삽입 단부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면 사이를 기밀하게 밀봉하는 것이고; 상기 수지 튜브는 내경이 5 mm 이하인 소직경의 것이며, 상기 압입부가 압입되는 수지 튜브의 피압입부는 압입 이전에 미리 확관(擴管)되고, 상기 압입부는 이렇게 확관된 상기 피압입부에 빠짐 방지 상태로 압입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연료 수송용 수지 튜브가 작은 직경을 갖는 경우에도, 수지 튜브를 지장 없이 상대 파이프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나, 확관과 압입공정이 각각 수동으로 이루어져 생산성이 떨어지고,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관체 확관공정과 커넥터 압입공정이 복합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무인 자동화가 가능함과 더불어 커넥터 조립 품질 개선 및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특히, 셔틀블록의 직선 이동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인서트 샤프트가 관체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는 간단한 작동 구조에 의해 적어도 2종의 커넥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압입할 수 있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파이프, 튜브를 포함하는 관체(1)의 단부에 적어도 2종 규격의 커넥터(2)를 선택적으로 압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에 의해 형개작동되고, 관체(1)의 단부가 일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클램핑되도록 로딩홈(110)이 구비되는 척모듈(100); 상기 척모듈(100)과 대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복수의 가이드부시(220)가 설치되고, 서보모터에 의해 가이드레일(240)을 타고 위치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셔틀블록(200); 상기 셔틀블록(200)의 가이드부시(220)에 삽입되어 직선이동되는 익스팬딩 샤프트(310)와, 익스팬딩 샤프트(310)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1탄성체(320)와, 익스팬딩 샤프트(310) 단부에 설치되어 관체(1)를 확관 성형하는 확관 핀(330)을 포함하는 확관모듈(300); 상기 셔틀블록(200)의 다른 가이드부시(220)에 삽입되어 직선이동되는 복수의 인서트 샤프트(410)와, 인서트 샤프트(410)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탄성체(420)와, 인서트 샤프트(410) 단부에 설치되어 적어도 2종 규격의 커넥터(2)가 장착되는 홀더(430)를 포함하는 인서트모듈(400); 및 상기 척모듈(100)에 클램핑된 관체(1)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실린더 작동에 의해 익스팬딩 샤프트(310), 복수의 인서트 샤프트(4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밀편(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셔틀블록(200)의 직선 이동에 의해 확관모듈(300)의 익스팬딩 샤프트(310)가 관체(1)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면, 밀편(500) 작동에 의해 익스팬딩 샤프트(310)가 관체(1) 측으로 직선 이동되어 확관 핀(330)이 관체(10) 단부를 확관 성형하고, 이후 셔틀블록(20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인서트 샤프트(410)가 관체(1)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면, 밀편(500) 작동에 의해 인서트 샤프트(410)가 직선 이동되어 홀더(430)에 준비된 커넥터(2)가 압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척모듈(100)은, 실린더 작동에 의해 형개작동되는 한 쌍의 척블록(120)과, 척블록(120)에 탑재되고, 서로 대향하는 면에 로딩홈(110)이 형성되어 관체(1)를 클램핑하는 척(130)과, 관체(1) 단부와 대응하는 로딩홈(110)에 설치되어 관체(1) 외주면을 탄성 지지하는 척 쿠션(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430)는, 커넥터(2) 외주면과 대응하도록 음각 형성되어 커넥터(2)를 수용하는 홀더격실(432)과, 홀더(430)에 장착되고, 홀더격실(432)과 연장선상에서 커넥터(2) 단면과 접촉되어 커넥터(2) 위치를 고정하는 스톱편(434)과, 스톱편(434)에 설치되어 커넥터(2) 락홈(2a) 위치 및 커넥터(2)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센서(4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관 핀(330)은, 전방으로 관통되는 분사구(332)와, 분사구(332)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라인(334)을 포함하고, 상기 확관모듈(300)의 확관 핀(330)에 의해 관체(1)를 확관 성형 과정 중에 분사구(332)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관체(1) 내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편(500)과 대응하는 익스팬딩 샤프트(310) 단부 및 인서트 샤프트(410) 단부에 워크 볼트(312)(412)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워크 볼트(312)(412)에 의해 익스팬딩 샤프트(310) 및 인서트 샤프트(410) 길이를 조절하여, 밀편(500) 가압력에 의한 직선 이동 거리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모듈(400)의 홀더(430)는 센터링모듈(440)에 의해 커넥터(2) 조립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센터링모듈(440)은, 인서트 샤프트(410) 단부에 설치되는 샤프트블록(442)과, 샤프트블록(442)을 타고 상하 직선 이동되고 일측에 홀더(430)가 설치되는 홀더블록(444)과, 홀더블록(444) 상,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샤프트블록(442) 상하단부에 가압되도록 구비되는 상, 하부 조절노브(446)(4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관체 확관공정과 커넥터 압입공정이 복합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무인 자동화가 가능함과 더불어 커넥터 조립 품질 개선 및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특히, 셔틀블록의 직선 이동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인서트 샤프트가 관체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는 간단한 작동 구조에 의해 적어도 2종의 커넥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압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의 확관 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의 인서트모듈에 의한 커넥터 압입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의 커넥터 압입 공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의 커넥터 규격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의 확관 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의 인서트모듈에 의한 커넥터 압입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의 커넥터 압입 공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의 커넥터 규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튜브를 포함하는 관체(1)의 단부에 적어도 2종 규격의 커넥터(2)를 선택적으로 압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는 관체 확관공정과 커넥터 압입공정이 복합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무인 자동화가 가능함과 더불어 커넥터 조립 품질 개선 및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특히, 셔틀블록의 직선 이동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인서트 샤프트가 관체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는 간단한 작동 구조에 의해 적어도 2종의 커넥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압입할 수 있는 척모듈(100), 셔틀블록(200), 확관모듈(300), 인서트모듈(40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척모듈(100)은 실린더에 의해 형개작동되고, 관체(1)의 단부가 일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클램핑되도록 로딩홈(110)이 구비된다.
상기 척모듈(100)은, 실린더 작동에 의해 형개작동되는 한 쌍의 척블록(120)과, 척블록(120)에 탑재되고, 서로 대향하는 면에 로딩홈(110)이 형성되어 관체(1)를 클램핑하는 척(130)과, 관체(1) 단부와 대응하는 로딩홈(110)에 설치되어 관체(1) 외주면을 탄성 지지하는 척 쿠션(1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척블록(120) 중 어느 하나의 척블록(120)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실린더 작동에 의해 직선 이동되어 관체(1)를 클램핑/언클램핑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홈(110)은 관체(1)의 다양한 형상, 지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에 적합한 규격별로 2D, 3D로 가공되고, 상기 관체(1) 규격 변경에 대응하여 그에 적합한 로딩홈(110)을 가진 척(130)을 적용할 수 있도록 척블록(120) 상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척 쿠션(140)은 고무, 우레탄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로딩홈(110) 단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척(130)의 로딩홈(110)에 관체(1)가 장착시, 척 쿠션(140)에 의해 관체(1) 손상이 방지됨과 더불어 확관 성형 중에 밀림이 방지되어 성형 정밀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셔틀블록(200)은 상기 척모듈(100)과 대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복수의 가이드부시(220)가 설치되고, 서보모터에 의해 가이드레일(240)을 타고 위치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셔틀블록(200)은 척(130)에 장착된 관체(1)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이때 셔틀블록(200)은 서보모터에 의해 직선 이동 거리가 정밀하게 제어되어 후술하는 확관모듈(300), 인서트모듈(400) 중 어느 하나가 관체(1)아 동축상에 위치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관모듈(300)은 상기 셔틀블록(200)의 가이드부시(220)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되는 익스팬딩 샤프트(310)와, 익스팬딩 샤프트(310)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1탄성체(320)와, 익스팬딩 샤프트(310) 단부에 설치되어 관체(1)를 확관 성형하는 확관 핀(330)을 포함한다.
상기 확관모듈(300)은 확관 핀(330)의 직선 이동에 의해 관체(1)를 확관 성형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확관 핀(330)은 단부에 서로 상이한 사이즈의 경사단턱이 형성되어, 단일의 확관 핀(330)을 이용하여, 확관 핀(330) 삽입 깊이에 따라 확관 사이즈가 정밀 제어되도록 구비된다.
도 3에서, 상기 확관 핀(330)은, 전방으로 관통되는 분사구(332)와, 분사구(332)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라인(334)을 포함한다.
상기 확관모듈(300)의 확관 핀(330)에 의해 관체(1)를 확관 성형 과정 중에 분사구(332)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관체(1) 내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확관 과정 이후 이물질 제거공정이 생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모듈(400)은 상기 셔틀블록(200)의 다른 가이드부시(220)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되는 복수의 인서트 샤프트(410)와, 인서트 샤프트(410)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탄성체(420)와, 인서트 샤프트(410) 단부에 설치되어 적어도 2종 규격의 커넥터(2)가 장착되는 홀더(430)를 포함한다.
도 4에서, 상기 홀더(430)는, 커넥터(2) 외주면과 대응하도록 음각 형성되어 커넥터(2)를 수용하는 홀더격실(432)과, 홀더(430)에 장착되고, 홀더격실(432)과 연장선상에서 커넥터(2) 단면과 접촉되어 커넥터(2) 위치를 고정하는 스톱편(434)과, 스톱편(434)에 설치되어 커넥터(2) 락홈(2a) 위치 및 커넥터(2)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센서(436)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436)는 커넥터(2) 락홈(2a)과 대응한 위치에 락홈(2a)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커넥터(2) 규격을 검출하게 된다.
한편, 도 6에서 상기 커넥터(2) 규격을 살펴보면, 도 6 (a) 내지 (d)는 90° 규격으로 락홈(2a) 위치에 따라 상, 하, 좌, 우 타입으로 구분되고, 도 6 (e) 내지 (h)는 135° 규격으로 락홈(2a) 위치에 따라 상, 하, 좌, 우 타입으로 구분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인서트모듈(400)의 홀더(430)는 센터링모듈(440)에 의해 커넥터(2) 조립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센터링모듈(440)은, 도 2와 같이 인서트 샤프트(410) 단부에 설치되는 샤프트블록(442)과, 샤프트블록(442)을 타고 상하 직선 이동되고 일측에 홀더(430)가 설치되는 홀더블록(444)과, 홀더블록(444) 상, 하부에 나사 결합하여 샤프트블록(442) 상하단부에 가압되도록 구비되는 상, 하부 조절노브(446)(446')를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상, 하부 조절노브(446)(446') 중 어느 하나를 풀고, 다른 하나를 조이는 방식으로 홀더(430) 높낮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여 관체(1)와 커넥터(2) 간에 압입 센터를 미세조절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편(500)은 상기 척모듈(100)에 클램핑된 관체(1)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실린더 작동에 의해 익스팬딩 샤프트(310), 복수의 인서트 샤프트(4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단일의 밀편(500) 및 실린더를 이용하여 샤프트(310) 및 복수의 인서트 샤프트(4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장치의 제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고장율이 현저히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밀편(500)과 대응하는 익스팬딩 샤프트(310) 단부 및 인서트 샤프트(410) 단부에 워크 볼트(312)(412)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워크 볼트(312)(412)에 의해 익스팬딩 샤프트(310) 및 인서트 샤프트(410) 길이를 조절됨에 따라 밀편(500) 가압력에 의한 확관 핀(330) 및 홀더(430)의 직선 이동 거리를 정밀 제어된다.
작동 상에 있어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셔틀블록(200)의 직선 이동에 의해 확관모듈(300)의 익스팬딩 샤프트(310)가 관체(1)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면, 도 5 (a)와 같이 밀편(500) 작동에 의해 익스팬딩 샤프트(310)가 관체(1) 측으로 직선 이동되어 확관 핀(330)이 관체(10) 단부를 확관 성형하고, 이후, 도 5 (b) 내지 (c)처럼 셔틀블록(20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인서트 샤프트(410)가 관체(1)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면, 밀편(500) 작동에 의해 인서트 샤프트(410)가 직선 이동되어 홀더(430)에 준비된 커넥터(2)가 압입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셔틀블록(20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인서트 샤프트(410)가 관체(1)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는 간단한 작동 구조에 의해 적어도 2종의 커넥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압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 척모듈 110 : 로딩홈
200 : 셔틀블록 220 : 가이드부시
240 : 가이드레일 300 : 확관모듈
310 : 익스팬딩 샤프트 320 : 제1탄성체
330 : 확관 핀 400 : 인서트모듈
410 : 인서트 샤프트 420 : 제2탄성체
430 : 홀더 500 : 밀편

Claims (7)

  1. 파이프, 튜브를 포함하는 관체(1)의 단부에 적어도 2종 규격의 커넥터(2)를 선택적으로 압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에 의해 형개작동되고, 관체(1)의 단부가 일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클램핑되도록 로딩홈(110)이 구비되는 척모듈(100);
    상기 척모듈(100)과 대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복수의 가이드부시(220)가 설치되고, 서보모터에 의해 가이드레일(240)을 타고 위치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셔틀블록(200);
    상기 셔틀블록(200)의 가이드부시(220)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되는 익스팬딩 샤프트(310)와, 익스팬딩 샤프트(310)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1탄성체(320)와, 익스팬딩 샤프트(310) 단부에 설치되어 관체(1)를 확관 성형하는 확관 핀(330)을 포함하는 확관모듈(300);
    상기 셔틀블록(200)의 다른 가이드부시(220)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되는 복수의 인서트 샤프트(410)와, 인서트 샤프트(410)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탄성체(420)와, 인서트 샤프트(410) 단부에 설치되어 적어도 2종 규격의 커넥터(2)가 장착되는 홀더(430)를 포함하는 인서트모듈(400); 및
    상기 척모듈(100)에 클램핑된 관체(1)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실린더 작동에 의해 익스팬딩 샤프트(310), 복수의 인서트 샤프트(4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밀편(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블록(200)의 직선 이동에 의해 확관모듈(300)의 익스팬딩 샤프트(310)가 관체(1)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면, 밀편(500) 작동에 의해 익스팬딩 샤프트(310)가 관체(1) 측으로 직선 이동되어 확관 핀(330)이 관체(10) 단부를 확관 성형하고, 이후 셔틀블록(20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인서트 샤프트(410)가 관체(1) 단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면, 밀편(500) 작동에 의해 인서트 샤프트(410)가 직선 이동되어 홀더(430)에 준비된 커넥터(2)가 압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척모듈(100)은, 실린더 작동에 의해 형개작동되는 한 쌍의 척블록(120)과, 척블록(120)에 탑재되고, 서로 대향하는 면에 로딩홈(110)이 형성되어 관체(1)를 클램핑하는 척(130)과, 관체(1) 단부와 대응하는 로딩홈(110)에 설치되어 관체(1) 외주면을 탄성 지지하는 척 쿠션(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30)는, 커넥터(2) 외주면과 대응하도록 음각 형성되어 커넥터(2)를 수용하는 홀더격실(432)과, 홀더(430)에 장착되고, 홀더격실(432)과 연장선상에서 커넥터(2) 단면과 접촉되어 커넥터(2) 위치를 고정하는 스톱편(434)과, 스톱편(434)에 설치되어 커넥터(2) 락홈(2a) 위치 및 커넥터(2)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센서(4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 핀(330)은, 전방으로 관통되는 분사구(332)와, 분사구(332)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라인(334)을 포함하고,
    상기 확관모듈(300)의 확관 핀(330)에 의해 관체(1)를 확관 성형 과정 중에 분사구(332)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관체(1) 내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편(500)과 대응하는 익스팬딩 샤프트(310) 단부 및 인서트 샤프트(410) 단부에 워크 볼트(312)(412)가 나사 결합하고, 상기 워크 볼트(312)(412)에 의해 익스팬딩 샤프트(310) 및 인서트 샤프트(410) 길이를 조절하여, 밀편(500) 가압력에 의한 직선 이동 거리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모듈(400)의 홀더(430)는 센터링모듈(440)에 의해 커넥터(2) 조립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센터링모듈(440)은, 인서트 샤프트(410) 단부에 설치되는 샤프트블록(442)과, 샤프트블록(442)을 타고 상하 직선 이동되고 일측에 홀더(430)가 설치되는 홀더블록(444)과, 홀더블록(444) 상, 하부에 나사 결합하여 샤프트블록(442) 상하단부에 가압되도록 구비되는 상, 하부 조절노브(446)(4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KR1020210063129A 2021-05-17 2021-05-17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KR10247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129A KR102477939B1 (ko) 2021-05-17 2021-05-17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129A KR102477939B1 (ko) 2021-05-17 2021-05-17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647A KR20220155647A (ko) 2022-11-24
KR102477939B1 true KR102477939B1 (ko) 2022-12-15

Family

ID=8423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129A KR102477939B1 (ko) 2021-05-17 2021-05-17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3495B (zh) * 2024-01-18 2024-03-15 广州坤江汽车配件工业制造有限公司 一种管式机油冷却器自动装配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864B1 (ko) 2008-12-03 2011-07-19 동재공업주식회사 유, 공압 호스이음용 커플러의 다중 이음장치
KR101695309B1 (ko) 2016-10-12 2017-01-11 김봉길 휴대용 어댑터 체결기
KR102062003B1 (ko) 2019-06-25 2020-01-02 이기영 파이프 타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012Y1 (ko) * 1987-09-12 1991-05-09 우광세라믹스 주식회사 전기포트(po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864B1 (ko) 2008-12-03 2011-07-19 동재공업주식회사 유, 공압 호스이음용 커플러의 다중 이음장치
KR101695309B1 (ko) 2016-10-12 2017-01-11 김봉길 휴대용 어댑터 체결기
KR102062003B1 (ko) 2019-06-25 2020-01-02 이기영 파이프 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647A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1466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and clamp device
KR102477939B1 (ko) 커넥터 자동 조립 장치
US9925632B2 (en) Alignment device for assembling components and method of use
KR102402005B1 (ko) 플러그 커넥터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가스 매체용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
CN1426872A (zh) 具有可松开连接的夹头及工件托架组件的夹紧装置
US20100140920A1 (en) Pipe joint including a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a joint section of a pipe joint
CN111283583A (zh) 柔性定位模块
CN112705938A (zh) 一种o型圈自动装配设备
US4945621A (en) Device for assembling a connector to a tube
JP3912721B2 (ja) 搬送装置
JP2007321904A (ja) カルダン継手の組立方法
US200301267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ightening fixing band and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apparatus
CN110587270A (zh) 活塞销压装装置
US200400001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statically testing pipe
CN213945542U (zh) 一种销钉安装装置
KR100705264B1 (ko) 하이드로포밍 튜브의 용접부 자동 정렬장치
KR20170122170A (ko) 파이프 플랜지 성형장치
CN216846898U (zh) 发动机夹持设备
CN113134727A (zh) 一种带浮动功能的合箱抓具
CN214556780U (zh) 折弯机用模具自动夹紧装置
KR101993367B1 (ko) 센터링 디바이스
CN111251244B (zh) 螺纹套镶嵌工装及方法
CN219140144U (zh) 一种快速接头
CN212122504U (zh) 一种车床自动气动夹具
CN115213828A (zh) 一种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