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507B1 -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대용량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 - Google Patents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대용량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507B1
KR102477507B1 KR1020210007725A KR20210007725A KR102477507B1 KR 102477507 B1 KR102477507 B1 KR 102477507B1 KR 1020210007725 A KR1020210007725 A KR 1020210007725A KR 20210007725 A KR20210007725 A KR 20210007725A KR 102477507 B1 KR102477507 B1 KR 102477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rming
clothing
hanger
clothi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091A (ko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린에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린에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린에이드
Priority to KR1020210007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50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36Rigid or semi-rigid luggage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A45C7/004Rigid or semi-rigid luggage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inflatable and de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3Suit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22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n integrated expansion device
    • A45C7/0027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n integrated expansion device with slide fastener strip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이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내부에 의복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이 형성된 의복보관부, 상기 의복보관부의 외피에 형성되며, 상기 보관공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보관공간에 의복을 넣을 수 있는 의복 삽입부, 상기 의복보관부의 위쪽에 형성되는 제1 손잡이, 상기 의복보관부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는 의복보관케이스가되, 상기 의복보관부의 위쪽과 아래쪽이 가운데 방향으로 접어져 올려짐으로써 내부 수납 공간과 상단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어,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보관케이스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에 의한 의복보관케이스는 필요에 따라, 양복 등 의복을 보관하는 케이스, 대용량 세탁 대상물을 담을 수 있는 토트백형 가방 또는 세탁 후 세탁물을 정돈된 상태로 배송할 수 있는 박스형 가방 등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하고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서비스 이용자(고객)에게 보다 간편하게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대용량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GARMENT STORAGE CASE TRANSFORMABLE INTO A BOX SHAPED BAG FOR LAUNDRY AND LAUNDRY DELIVERY SERVICES}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발명(이하 '본원발명'이라 한다)은 의복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이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① 양복 등 의복을 보관하는 케이스(이른바 '수트 케이스'), ② 대용량 세탁 대상물을 담을 수 있는 토트백형 가방, ③ 세탁 후 세탁물을 정돈된 상태로 배송할 수 있는 박스형 가방을 하나의 의복보관케이스로 구현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서비스 이용자(고객) 입장에서도 간편하게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에 최적화된 의복보관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에 사용되는 가방은 세탁 예정인 세탁 대상물, 세탁 후 세탁물 및 개별로 옷걸이에 걸어 보관하는 신사복 등 수납 대상에 따라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세탁 대상물 또는 세탁 후 세탁물이 신사복 등이면 개별로 외피로 둘러싸인 의복보관케이스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옷걸이와 함께 수납하되, 옷걸이 걸이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옷걸이 봉이나 옷걸이 고리에 걸 수 있어야 한다. 반면에 세탁 예정인 세탁 대상물은 통상 많은 양을 담을 수 있되 운반이 용이하면 된다. 이 경우 토트백형 가방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토트백(tote bag)형 가방은 상부가 벌어져 있는 쇼핑백 같은 가방을 의미한다. 상부에 손잡이가 두 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세탁 후 세탁물은 정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가방에 수납하여 운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박스형 가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박스형 가방은 가방의 형상이 육면체인 가방을 의미한다. 박스형 가방은 큰 부피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내부 수납 공간 또한 육면체 공간으로 되어 있어 특히 수납 물건을 쌓아 넣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가방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구에 적합한 가방을 각각 구비한다는 것은 경제적이지 않고, 관리도 쉽지 않다. 세탁 및 세탁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그 요구에 따라 가방을 배분하는 것도 비용을 발생시키고 효율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다양한 요구를 하나로서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세탁 후 배송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대용량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관련 공개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공보 1996-0008628호가 있다. (출원번호 1994-0015451) 상기 선행기술도 본원발명과 비슷한 취지로 쇼핑백 겸용 슈트 케이스를 제공하나, 본원발명과 달리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공보 1996-0008628호. (출원번호 1994-0015451)
본원발명은 필요에 따라 의복보관케이스 또는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의복보관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세탁 후 세탁물을 정돈된 상태에서 운송할 수 있는 대용량 박스형 가방을 형성하는 의복보관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의복보관케이스의 보관공간에 깊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되, 의복보관케이스 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그 형태를 간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박스형 가방 전후벽 및 측벽이 사각형을 유지하면서 상부덮개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박스형 가방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의복보관케이스가 박스형 가방이 아닌 의복 보관 용도로 사용될 때 가방 측벽형성날개를 상기 의복보관케이스에 밀착하여 정돈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내부에 의복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이 형성된 의복보관부, 상기 의복보관부의 외피에 형성되며, 상기 보관공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보관공간에 의복을 넣을 수 있는 의복 삽입부, 상기 의복보관부의 위쪽에 형성되는 제1 손잡이, 상기 의복보관부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는 의복보관케이스가되, 상기 의복보관부의 위쪽과 아래쪽이 가운데 방향으로 접어져 올려짐으로써 내부 수납 공간과 상단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어,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보관케이스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상기 의복보관케이스는 접어져 육면체 박스형 가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의복보관부의 중심부는 바닥형성부가고, 상기 바닥형성부 위아래는 전후벽형성부가며, 상기 바닥형성부 좌우측으로 측벽형성날개가 형성되되, 상기 바닥형성부를 중심으로, 상기 전후벽형성부와 상기 측벽형성날개를 접어 올려 서로 대응하는 모서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육면체 박스형 가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의복보관부의 상부에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관공간에 옷걸이에 옷을 건 상태로 상기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을 통하여 상기 옷걸이 걸이구가 노출되게 상기 의복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보관공간에 넣어지는 옷걸이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공간 상부의 깊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의복보관부의 상부는 상기 의복보관부의 안쪽 외피와 바깥쪽 외피를 연결하는 공간 형성 외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보관공간 안에 있는 옷걸이의 옷걸이 걸이구가 밖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의복보관부의 상부에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공간에 넣어지는 옷걸이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공간 상부의 깊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의복보관부의 상부는 상기 의복보관부의 안쪽 외피와 바깥쪽 외피를 연결하는 공간 형성 상부 외피가 형성되되, 상기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은 상기 공간 형성 상부 외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공간 형성 외피는 접어져 상기 안쪽 외피와 상기 바깥쪽 외피가 밀착된 형태이다가, 상기 보관공간에 의복이나 옷걸이를 넣을 때 펼쳐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전후벽형성부의 양쪽 측면 모서리에는 전후벽지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형성날개의 위아래에는 측벽지퍼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전후벽지퍼에 대응하는 상기 측벽지퍼가 상기 바닥형성부부터 위쪽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육면체 박스형 가방을 형성하는 것을 본원발명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전후벽형성부의 위쪽 방향 높이는 상기 측벽형성날개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전후벽지퍼 위로 상부덮개가 형성되고, 상기 의복보관케이스로 박스형 가방을 형성한 경우 상기 상부덮개가 상단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것을 본원발명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전후벽형성부는 제1벽형성부 및 상기 제2벽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벽형성부 상단에는 제1덮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벽형성부 상단에는 제2덮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덮개 바깥쪽에 제1덮개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덮개탈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덮개 안쪽에 제2덮개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단개구부를 상기 제1덮개로 덮은 후 그 위를 상기 제2덮개로 덮되, 상기 제1덮개탈착부와 상기 제2덮개탈착부가 맞대어 부착되면서 상기 상단개구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측벽형성날개의 위쪽 방향 끝단 보다 길게 상부덮개가 형성되어, 상기 의복보관케이스로 박스형 가방을 형성한 경우 상기 상부덮개가 상단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것을 본원발명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측벽형성날개의 위쪽 방향 끝단에는 길게 연장된 돌출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착부는 상기 상단개구부를 덮은 상기 상부덮개에 부착되는 것을 본원발명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제1덮개탈착부는 좌우로 길게로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탈착부는 중앙에 짧게 형성되며, 상기 측벽형성날개의 위쪽 방향 끝단에는 길게 연장된 돌출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착부는 상기 제1덮개탈착부의 좌우 양단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단개구부를 상기 제1덮개로 덮고, 상기 제1덮개 바깥쪽에 형성된 상기 제1덮개탈착부의 좌우 양단에 상기 돌출부착부를 부착하고, 그 위에 상기 제2덮개를 덮되, 상기 제2덮개탈착부를 상기 제1덮개탈착부에 부착하여, 상기 박스형 가방 전후벽 및 측벽이 사각형을 유지하면서 상부덮개에 부착 고정되는 것을 본원발명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의복보관부의 폭은 상기 측벽형성날개와 상기 측벽형성날개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착부의 합보다 커서, 상기 측벽형성날개를 상기 의복보관부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닥형성부로 접을 수 있는 것을 본원발명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측벽형성날개는 상기 바닥형성부의 좌우로 형성되는 제1날개 및 제2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날개 위쪽 방향으로 제1돌출부착부가 돌출되어 있되, 상기 의복보관부의 폭은 상기 제1날개의 높이와 상기 제1날개 위쪽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착부의 높이 합보다 커서, 상기 제1날개를 상기 의복보관부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게 상기 바닥형성부로 접을 수 있고; 상기 제1날개 위쪽 방향으로는, 상기 제2날개에 구비된 제2돌출부착부에 대응한 제1돌출부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날개를 상기 바닥형성부로 접은 위로; 상기 제2날개를 상기 바닥형성부로 접어 상기 제1돌출부착부와 상기 제2돌출부착부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측벽형성날개가 상기 의복보관부의 상기 바닥형성부 위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본원발명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의복보관케이스는 내부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가방으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의복보관케이스 또는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의복보관케이스는 측벽형성날개로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이 가능하여 세탁 후 세탁물을 정돈된 상태에서 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과 공간 형성 외피는 보관공간에 의복과 함께 옷걸이를 넣은 상태에서 옷걸이 걸이구를 외부로 노출시켜 걸어 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 형성 외피는 접어지는 형태이므로 의복보관케이스 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때 그 형태를 간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의복보관케이스의 상부덮개와 탈부착부 구조에 따라, 박스형 가방 전후벽 및 측벽이 사각형을 유지하면서 상부덮개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박스형 가방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의복보관케이스의 측벽형성날개와 그 탈부착부 등에 의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의복보관케이스를 박스형 가방이 아닌 의복 보관 용도로 사용할 때 상기 가방 측벽형성날개를 상기 의복보관케이스에 밀착하여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의 정면을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에 보관 중인 의복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보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의 공간 형성 외피와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으로 도 4는 상기 의복보관케이스 상부를 조금 벌린 상태를, 도 5는 상기 공간 형성 외피와 상기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이 보이도록 벌린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의 박스형 가방 형성 지퍼를 보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를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하는 것을 단계적으로 보인 것으로, 도 7은 박스형 가방 형성 지퍼를 일부 위쪽 방향으로 올린 상태이고, 도 8은 전후벽형성부와 제1날개의 박스형 가방 형성 지퍼를 체결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9는 박스형 가방 형성 지퍼를 모두 체결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의 안쪽과 바깥쪽을 보인 것으로 도 10은 안쪽 면에서 박스형 가방의 내면을 형성하는 부위와 탈부착부를 보인 것이고, 도 11은 바깥쪽 면에서 박스형 가방 형성 지퍼와 탈부착부를 보인 것이다.
도 1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로 박스형 가방을 형성한 것으로서, 탈부착부가 부착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의복보관케이스로 형성한 박스형 가방의 일부를 절개하여 그 안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의 측벽형성날개를 접는 단계를 보인 것으로, 도 14는 제1날개만을 접은 상태를, 도 15는 제2날개까지 접은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의 정면을 보인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의복보관케이스는 안에 담기는 의복에 따라 그 형태가 결정되나, 통상 위아래로 길게 형성되며, 그 내부에 의복을 넣을 수 있는 보관공간(도 3의 도면부호 11)이 형성된 의복보관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의복보관부(10)의 위쪽에는 제1 손잡이(21), 아래쪽에는 제2 손잡이(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의복보관부(10)의 외피에는 상기 보관공간(11)과 통하여 상기 보관공간(11)에 의복을 넣을 수 있는 의복 삽입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의복 삽입부(12)는 상기 의복을 상기 보관공간(11)에 넣은 후 닫을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의복 삽입부(12)에는 의복 삽입부 지퍼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의복 삽입부(12) 자체 또는 상기 의복 삽입부 모서리에서 연장된 테이프(tape)에 지퍼 이빨(teeth, 도면부호 13a)이 형성되고, 상기 지퍼를 열거다 닫을 수 있는 지퍼 슬라이더(slider, 도면부호 13b)가 상기 지퍼 이빨(13a)에 결합되어 있다. (이는 통상의 지퍼의 구조이므로, 이후 지퍼에 관한 설명은 본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원발명은 상기 의복보관부(10)의 위쪽과 아래쪽이 가운데 방향으로 접어져 올려짐으로써 내부 수납 공간과 상단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어,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보관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의복보관케이스는 접어져 육면체 '박스형 가방'을 형성한다(도 13 참고, 도면 부호 80). 상기 의복보관부(10)의 중심부는 바닥형성부(15)이다. 이는 상기 의복보관케이스로 박스형 가방을 형성하였을 때 바닥을 형성한다.
상기 바닥형성부(15) 위쪽은 제1벽형성부(20)이고, 상기 바닥형성부(15) 아래쪽은 제2벽형성부(30)이다. 상기 제1벽형성부(20)와 상기 제2벽형성부(30)를 '전후벽형성부'라 통칭한다. 상기 전후벽형성부는 상기 의복보관케이스가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될 때 박스형 가방의 전후벽을 형성한다.
상기 바닥형성부(15) 좌우측으로 제1날개(40)와 제2날개(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날개(40)와 상기 제2날개(50)를 '측벽형성날개'라 통칭한다. 상기 측벽형성날개는 상기 의복보관케이스가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될 때 상기 박스형 가방의 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바닥형성부(15)를 중심으로, 상기 제1벽형성부(20), 상기 제2벽형성부(30), 상기 제1날개(40) 및 상기 제2날개(50)를 접어 올려 서로 대응하는 모서리를 체결함으로써, 본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로 상기 육면체 박스형 가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 도 8, 도 9 및 도 12 등 참고.)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형성부(15)를 기준으로 전후벽형성부 및 측벽형성날개 방향을 '위쪽 방향'이라 칭하기도 하였다. 이는, 예를 들어 도 1의 제2벽형성부(30)가 도면상 아래에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스형 가방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바닥형성부(15)에서 위쪽 방향을 향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에 보관 중인 의복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인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보관공간(11)에 의복(16, 본 도면에는 양복이 도시되어 있음)과 옷걸이(17)가 함께 보관될 수 있으며, 상기 옷걸이(17)에 형성된 옷걸이 걸이구(18)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보인 것이다.
상기 상기 보관공간(11)에 넣어지는 의복(16)이나 옷걸이(17)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공간(11)의 상부에 깊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의복보관부(10)의 상부는 상기 의복보관부(10)의 안쪽 외피(10a)와 바깥쪽 외피(10b)를 연결하는 공간 형성 외피(10c)가 구비되어 있다. (도 11의 우측 위아래의 일부 확대 도면에서 상기 안쪽 외피(10a)와 상기 바깥쪽 외피(10b)의 연결 구조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깊이(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보관공간(11)에 위치하는 의복에 외피가 가하는 힘을 줄여 의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의복보관부(10)에 상기 의복(16)을 넣고 위아래 반으로 접어 상기 제1 손잡이(21)와 상기 제2 손잡이(31)를 잡고 상기 의복보관케이스를 운반할 수 있는데, 이는 공지의 내용이므로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의 공간 형성 외피와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으로 도 4는 상기 의복보관케이스 상부를 조금 벌린 상태를, 도 5는 상기 공간 형성 외피와 상기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이 보이도록 벌린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상기 의복보관부(10) 상부에서, 상기 보관공간(11) 내의 의복(16)이 걸린 옷걸이(17)의 옷걸이 걸이구(18)가 외부로 노출되어, 노출된 상기 옷걸이 걸이구(18)를 옷걸이 봉이나 옷걸이 고리 등에 걸어 상기 보관공간(11)에 상기 의복(16)이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의복(16)과 상기 의복보관케이스를 동시에 걸어 둘 수 있는 게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는 상기 보관공간(11) 내 옷걸이(17)의 옷걸이 걸이구(18)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의복보관부(10)의 상부에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19)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도 11, 도 3,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 형성 외피(10c)는 접어져 상기 안쪽 외피(10a)와 상기 바깥쪽 외피(10b)가 밀착된 형태이다가, 상기 보관공간(11)에 상기 의복(16)이나 상기 옷걸이(17)를 넣을 때 펼쳐지는 구조인데, 이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의복보관케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될 수 있고(도 12, 도 13 참고), 이때 상기 공간 형성 외피(10c) 부분은 제2덮개를 형성한다(도 9의 도면부호 33). 의복보관케이스가 양복 등 의복을 보관하는 케이스로 쓰일 때에는 상기 공간 형성 외피(10c)가 펼쳐진 상태에서 쓰이는 게 바람직하지만, 상기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되어 사용될 때에는 접어진 상태로 쓰이는 게 형상이 간결하게 정리되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19)은 상기 공간 형성 외피(10c)에 형성되어 있다. 이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가 박스형 가방(80)으로 변형되어 사용될 때, 상기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19)이 접어져 있는 상기 공간 형성 외피(10c)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의 박스형 가방 형성 지퍼를 보인 것이다. 상기 '박스형 가방 형성 지퍼'는 후술하는 전후벽지퍼(60)와 측벽지퍼(70)를 의미한다.
상기 전후벽형성부[제1벽형성부(20) 및/또는 제2벽형성부(30)]의 양쪽 측면 모서리에는 전후벽지퍼(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스형 가방 형성 날개[제1날개(40)와 제2날개(50)]의 위아래에는 측벽지퍼(70)가 형성되어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의복보관케이스는 상기 전후벽지퍼(60)에 대응하는 상기 측벽지퍼(70)가 상기 바닥형성부(15)부터 위쪽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육면체 박스형 가방을 형성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를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하는 것을 단계적으로 보인 것으로, 도 7은 박스형 가방 형성 지퍼를 일부 위쪽 방향으로 올린 상태이고, 도 8은 전후벽형성부와 제1날개의 박스형 가방 형성 지퍼를 체결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9는 박스형 가방 형성 지퍼를 모두 체결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9에서 보인 상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상부덮개로 상단개구부(81)를 덮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박스형 가방의 경우 상대적으로 상단개구부(81)가 크고 사각형 형태이므로 이를 덮는 구조가 추가로 강구되어야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의 안쪽과 바깥쪽을 보인 것으로 도 10은 안쪽 면에서 박스형 가방의 내면을 형성하는 부위와 탈부착부를 보인 것이고, 도 11는 바깥쪽 면에서 박스형 가방 형성 지퍼와 탈부착부를 보인 것이다.
상부덮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술한 전후벽형성부[제1벽형성부(20) 및/또는 상기 제2벽형성부(30)]의 위쪽 방향 높이(d)는 측벽형성날개의 위쪽 방향 높이(c)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기 전후벽지퍼(60) 위로 상부덮개[제1덮개(23) 및/또는 제2덮개(33)]가 형성되어, 상기 의복보관케이스로 박스형 가방(80)을 형성한 경우 상기 상부덮개(23·33)로 상기 상단개구부(81)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23·33)의 위쪽 방향 높이는 상기 측벽형성날개의 폭(a)에 대응한다. 상기 손잡이[제1 손잡이(21) 및/또는 제2 손잡이(31)]는 상기 상부덮개(23·33)와 간섭되지 않게 그 아래 상기 전후벽형성부에 위치하는 손잡이고정부[제1 손잡이고정부(22) 및/또는 제2 손잡이고정부(32)]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1덮개(23) 바깥쪽에 제1덮개탈착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덮개탈착부(24)에 대응하여 상기 제2덮개(33) 안쪽에 제2덮개탈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개구부(81)를 상기 제1덮개(23)로 덮은 후 그 위를 상기 제2덮개(33)로 덮되, 상기 제1덮개탈착부(24)와 상기 제2덮개탈착부(34)를 맞대어 부착하여 견고하게 상기 상부덮개를 덮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와 달리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측벽형성날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측벽형성날개(40·50)의 위 방향 끝단 보다 길게 측벽 상부덮개(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의복보관케이스로 박스형 가방(80)을 형성한 경우 상기 측벽 상부덮개가 상기 상단개구부(81)를 덮을 수도 있다.]
상기 측벽형성날개[제1날개(40) 및/또는 제2날개(50)]의 위쪽 방향 끝단에는 길게 연장된 돌출부착부[제1돌출부착부(41) 및/또는 제2돌출부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착부는 상기 상단개구부(81)를 덮은 상기 상부덮개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의 상기 제1덮개탈착부(24)는 상기 제1덮개(23)의 좌우로 길게로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탈착부(34)는 상기 제2덮개(33)의 중앙에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벽형성날개의 위쪽 방향 끝단에 길게 연장된 돌출부착부(41·51)는 상기 제1덮개탈착부(24)의 좌우 양단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원발명에 따른 박스형 가방(80)의 상부덮개(23·33)를 덮는 순서는, 우선 상기 상단개구부(81)를 상기 제1덮개(23)로 덮고, 상기 제1덮개(23) 바깥쪽에 형성된 상기 제1덮개탈착부(24)의 좌우 양단에 상기 돌출부착부[제1돌출부착부(41) 및/또는 제2돌출부착부(51)]를 부착하고, 그 위에 상기 제2덮개(33)를 덮되, 상기 제2덮개탈착부(34)를 상기 제1덮개탈착부(24)에 부착하여, 상기 박스형 가방 전후벽 및 측벽이 사각형을 유지하면서 상부덮개에 부착 고정되도록 한다. 도 1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로 박스형 가방을 형성한 것으로서, 탈부착부가 부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덮개탈착부(24)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2개 이상의 탈부착부로 분리되어 형성되더라도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런 실시 예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 탈부착부는 붙였다 뗄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똑딱 단추 또는 스냅 단추[snap fastener]나 묶음 끈, 자석 또는 일반 끼움 단추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사용 편의성을 고려한다면 본 실시 예와 같이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hook and loop fastener) 또는 벨크로(velcro)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크로는 후크부와 루프부로 대응되어야 하는데, 본 명세서에는 이를 나누어 표시하지 않았다. 필요에 따라 접착 가능하도록 형성해 주면 된다.
도 1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의복보관케이스로 형성한 박스형 가방의 일부를 절개하여 그 안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덮개까지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박스형 가방은 세탁 예정인 세탁 대상물을 정돈하지 않고 대량으로 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이 끝난 세탁물을 바르게 접어 쌓아 보관,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은 세탁 후 배송 서비스 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한편, 본원발명에 따른 의복보관케이스를 단순 의복 보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측벽형성날개(40·50)가 돌출되어 이를 정리해 줄 필요가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의복보관케이스의 측벽형성날개를 접는 단계를 보인 것으로, 도 14는 제1날개만을 접은 상태를, 도 15는 제2날개까지 접은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를 위해 본원발명에 따른 의복보관부(10)의 폭(도 10의 도면부호 e)은 상기 측벽형성날개의 높이(도 10의 도면부호 c)와 상기 측벽형성날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착부의 높이(도 10의 도면부호 b) 합보다 크다. 이런 경우, 상기 측벽형성날개(40·50)를 상기 의복보관부(10)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게 상기 바닥형성부(15)로 접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측벽형성날개(40·50)는 상기 바닥형성부(15)의 좌우로 형성되는 제1날개(40) 및 제2날개(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날개(40) 위쪽 방향으로 제1돌출부착부(41)가 돌출되어 있되, 상기 의복보관부(10)의 폭(도 10의 도면부호 e)은 상기 제1날개(40)의 높이(도 10의 도면부호 c)와 상기 제1날개(40) 위쪽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착부(41)의 높이(도 10의 도면부호 b) 합보다 커서, 상기 제1날개(40)를 상기 의복보관부(10)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게 상기 바닥형성부(15)로 접을 수 있고; 상기 제1날개(40) 위쪽 방향으로는 상기 제2돌출부착부(51)에 대응한 제1돌출부착부(4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날개(40)를 상기 바닥형성부(15)로 접은 위로; 상기 제2날개(50)를 상기 바닥형성부(15)로 접어 상기 제1돌출부착부(41)와 상기 제2돌출부착부(51)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측벽형성날개가 상기 의복보관부(10)의 상기 바닥형성부(15) 위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돌출부착부(41)는 길게 하나로 형성된 것이나, 2개 이상으로 분리된 탈부착부로도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이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주 내의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의복보관부
10a 안쪽 외피
10b 바깥쪽 외피
10c 공간 형성 외피
11 보관공간
12 의복 삽입부
13a 지퍼 이빨
13b 지퍼 슬라이더
15 바닥형성부
16 의복
17 옷걸이
18 옷걸이 걸이구
19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
20 제1벽형성부
21 제1 손잡이
22 제1 손잡이고정부
23 제1덮개
24 제1덮개탈착부
30 제2벽형성부
31 제2 손잡이
32 제2 손잡이고정부
33 제2덮개
34 제2덮개탈착부
40 제1날개
41 제1돌출부착부
50 제2날개
51 제2돌출부착부
60 전후벽지퍼
70 측벽지퍼
80 박스형 가방
81 상단개구부
a 측벽형성날개의 높이
b 측벽형성날개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착부의 높이
c 측벽형성날개의 위쪽 방향 높이
d 전후벽형성부의 위쪽 방향 높이
e 의복보관부의 폭

Claims (14)

  1. 보관공간이 형성된 의복보관부(10), 상기 보관공간에 의복을 넣을 수 있는 의복 삽입부(12), 상기 의복보관부(1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바닥형성부(15), 상기 바닥형성부 위아래 형성되는 전후벽형성부(20·30), 상기 바닥형성부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측벽형성날개(40·50)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벽형성부의 양쪽 측면 모서리에는 전후벽지퍼(60)가, 상기 측벽형성날개의 양쪽 측면 모서리에는 측벽지퍼(70)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형성부를 중심으로, 상기 전후벽형성부와 상기 측벽형성날개를 접어 올려 서로 대응하는 모서리가 체결됨으로써, 상단개구부(81)가 형성된 육면체 박스형 가방이 형성되되; 상기 전후벽형성부(20)의 위쪽 방향 높이는 상기 측벽형성날개의 높이보다 높아, 상기 전후벽지퍼(60) 위로 상기 상단개구부를 덮는 상부덮개가 형성된 의복보관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후벽형성부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상부덮개와 간섭되지 않게 상기 손잡이를 고정할 수 있는 상기 손잡이 아래 형성된 손잡이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후벽형성부는 제1벽형성부(20) 및 제2벽형성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벽형성부의 상단에는 제1덮개(23)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벽형성부 상단에는 제2덮개(33)가 형성되며, 상기 제1덮개 바깥쪽에 제1덮개탈착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덮개탈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덮개 안쪽에 제2덮개탈착부(34)가 형성되어, 상기 제1덮개탈착부와 상기 제2덮개탈착부가 맞대어 부착되면서 상기 상단개구부(81)는 상기 제1덮개로 덮은 후 그 위로 상기 제2덮개가 덮이고;
    상기 측벽형성날개(40·50)는 상기 바닥형성부의 좌우로 형성되는 제1날개(40) 및 제2날개(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날개 위쪽 방향으로 제1돌출부착부(41)가 길게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2날개(50) 위쪽 방향으로는 상기 제1돌출부착부에 대응한 제2돌출부착부(51)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날개(40)를 상기 바닥형성부로 접은 위로, 상기 제2날개(50)를 상기 바닥형성부로 접어 상기 제1돌출부착부(41)에 상기 제2돌출부착부(51)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1덮개탈착부는 상기 제1덮개의 좌우로 길게로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탈착부는 상기 제2덮개 중앙에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착부(41) 및/또는 상기 제2돌출부착부(51)는 상기 제1덮개탈착부의 상기 제2덮개탈착부가 부착되지 않는 좌우 양단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단개구부를 상기 제1덮개로 덮고, 상기 제1덮개 바깥쪽에 형성된 상기 제1덮개탈착부의 좌우 양단에 상기 제1돌출부착부(41) 및/또는 상기 제2돌출부착부(51)를 부착하고, 그 위에 상기 제2덮개를 덮되, 상기 제2덮개탈착부가 상기 제1덮개탈착부의 중앙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박스형 가방 전후벽 및 측벽이 사각형을 유지하면서 상부덮개에 부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보관케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의복보관부의 위쪽에 형성되는 제1 손잡이, 상기 의복보관부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보관케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보관부의 상부에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관공간에 옷걸이에 옷을 건 상태로 상기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을 통하여 상기 옷걸이 걸이구가 노출되게 상기 의복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보관케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공간에 넣어지는 옷걸이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공간 상부의 깊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의복보관부의 상부는 상기 의복보관부의 안쪽 외피와 바깥쪽 외피를 연결하는 공간 형성 외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보관케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공간 안에 있는 옷걸이의 옷걸이 걸이구가 밖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의복보관부의 상부에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공간에 넣어지는 옷걸이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공간 상부의 깊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의복보관부의 상부는 상기 의복보관부의 안쪽 외피와 바깥쪽 외피를 연결하는 공간 형성 상부 외피가 형성되되; 상기 옷걸이 걸이구 노출공은 상기 공간 형성 상부 외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보관케이스.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형성 외피는 접어져 상기 안쪽 외피와 상기 바깥쪽 외피가 밀착된 형태이다가, 상기 보관공간에 의복이나 옷걸이를 넣을 때 펼쳐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보관케이스.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보관부의 폭은 상기 측벽형성날개의 높이와 상기 측벽형성날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착부의 높이 합보다 커서, 상기 측벽형성날개를 상기 의복보관부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게 상기 바닥형성부로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보관케이스.
  14. 삭제
KR1020210007725A 2021-01-19 2021-01-19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대용량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 KR102477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725A KR102477507B1 (ko) 2021-01-19 2021-01-19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대용량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725A KR102477507B1 (ko) 2021-01-19 2021-01-19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대용량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091A KR20220105091A (ko) 2022-07-26
KR102477507B1 true KR102477507B1 (ko) 2022-12-14

Family

ID=8260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725A KR102477507B1 (ko) 2021-01-19 2021-01-19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대용량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2426A (ko) 2022-11-01 2024-05-10 이성민 물품 포장용 상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878B2 (ja) * 1994-03-30 2000-08-07 川崎製鉄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KR200398342Y1 (ko) 2005-07-29 2005-10-12 박복현 의복케이스 겸용 가방
US20080283350A1 (en) 2007-05-14 2008-11-20 Vorderkunz John B Carry-On Luggage With Garment Hanging Feature
JP2011030878A (ja) * 2009-08-04 2011-02-17 Tokai Koshi:Kk 衣類搬送用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0910A (ja) * 1991-11-13 1993-05-28 Shiyatoo Buran Kk バツグ
KR0127228B1 (ko) 1994-08-22 1998-10-01 이희종 자동판매기 온도센서의 출력 독취방법
JPH08275812A (ja) * 1995-04-04 1996-10-22 Poritetsukusu Kk
JP3072878U (ja) * 2000-04-28 2000-11-02 新和産業株式会社 包装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878B2 (ja) * 1994-03-30 2000-08-07 川崎製鉄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KR200398342Y1 (ko) 2005-07-29 2005-10-12 박복현 의복케이스 겸용 가방
US20080283350A1 (en) 2007-05-14 2008-11-20 Vorderkunz John B Carry-On Luggage With Garment Hanging Feature
JP2011030878A (ja) * 2009-08-04 2011-02-17 Tokai Koshi:Kk 衣類搬送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091A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760B2 (en) Bag with detachable hanging accessory portion
US10306970B2 (en) Hair extension storage organizer
US20070183691A1 (en) Hanging Laundry Basket
US20110142373A1 (en) Flexibly collapsible bag for being self-stored in itself in two different places thereof
US20050045500A1 (en) Luggage bag having a removable garment bag
KR102477507B1 (ko)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대용량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
US4801010A (en) Garment bag with strap to secure closure flap in bundled configuration
US6454089B1 (en) Cases
KR200444269Y1 (ko) 옷걸이 기능을 갖는 여행용 가방
JPS6222223Y2 (ko)
JP3099417U (ja) キャリーバッグ用の補助バッグ
JP3223988U (ja) 携帯用バッグ
JP3049733U (ja) スーパーマーケット専用のショッピングバッグ
JP3026731U (ja) かばん
CN219007852U (zh) 侧袋以及具有其的推车
CN217218374U (zh) 一种多种状态的包
KR102627475B1 (ko) 가방
CN211910763U (zh) 一种可翻口折叠的手提包
JP2003334110A (ja) 鞄類の構造
JPS621932Y2 (ko)
EP3906807A1 (en) Foldable, self-opening bag
JP3008643U (ja)
US20060124418A1 (en) Luggage with low-profile hanger bracket and harness
JP6046223B1 (ja) 使用形態の変更が可能なバッグ
JPS63356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