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445B1 -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445B1
KR102477445B1 KR1020200160419A KR20200160419A KR102477445B1 KR 102477445 B1 KR102477445 B1 KR 102477445B1 KR 1020200160419 A KR1020200160419 A KR 1020200160419A KR 20200160419 A KR20200160419 A KR 20200160419A KR 102477445 B1 KR102477445 B1 KR 102477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waste plastic
specific gravity
treatment tank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2614A (ko
Inventor
정연철
Original Assignee
(주)컴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윈 filed Critical (주)컴윈
Priority to KR102020016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4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hydraulic classifiers, e.g. of launder, tank, spiral or helical chute concentrator type
    • B03B5/626Helical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에서 폐플라스틱을 선별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비중의 폐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는 복수개의 폐플라스틱 처리조를 폐플라스틱 선별 비중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각 처리조에서 채워지는 염수에 대해서는 각 처리조에서 선별하는 비중에 대응되게 염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또한, 각 처리조에서 폐플라스틱의 선별 시 선별 비중에 대응되는 세기의 와류를 발생시켜 폐플라스틱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WASTE PLASIC SORTING SYSTEM}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선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을 선별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비중의 폐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는 복수개의 폐플라스틱 처리조를 폐플라스틱 선별 비중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각 처리조에서 채워지는 염수에 대해서는 각 처리조에서 선별하는 비중에 대응되게 염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또한, 각 처리조에서 폐플라스틱의 선별 시 선별 비중에 대응되는 세기의 와류를 발생시켜 폐플라스틱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혼합 폐기물은 쓰레기 집하장으로 수거되고, 캔이나, 병, 폐플라스틱 등은 재활용품으로 선별되어 재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 중에서 특히 도 1에서 보여지는 같은 폐비닐, 플라스틱 재질의 포장재, 플라스틱 필름 등과 같은 폐플라스틱은 매립되는 경우 분해가 되지 않아 토양오염의 원인이 되고, 소각하는 경우 다이옥신 등의 유해가스를 발생하게 문제가 있어 종류별로 선별 분리하여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위와 같은 폐플라스틱의 선별에 있어서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작업에 의한 폐플라스틱의 선별 시, 작업자가 컨베이어의 양측에서 갈고리 등의 도구로 운반중인 혼합 폐기물 중에서 폐플라스틱을 일일이 수거하여 선별하여야 하는 등 수작업 선별 방법은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폐플라스틱의 선별에 있어서 플라스틱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중에 따라 폐플라스틱을 분류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비중 차이를 이용한 분류방법에 있어서도 하나의 기준 비중값을 중심으로 폐플라스틱을 2가지 종류로만 선별하도록 되어 있어, 추가적인 선별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등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2115223호(등록일자 2020년 05월 20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플라스틱을 선별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비중의 폐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는 복수개의 폐플라스틱 처리조를 폐플라스틱 선별 비중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각 처리조에서 채워지는 염수에 대해서는 각 처리조에서 선별하는 비중에 대응되게 염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또한, 각 처리조에서 폐플라스틱의 선별 시 선별 비중에 대응되는 세기의 와류를 발생시켜 폐플라스틱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은, 분쇄된 폐플라스틱을 공급하는 폐플라스틱 공급부와, 상기 폐플라스틱을 기설정된 복수의 타겟 비중에 따라 수중에서 선별하기 위한 복수의 비중별 염도값을 저장하는 염도값 저장부와, 상기 복수의 비중별 염도값 중 선택된 하나의 염도값으로 염도가 조절된 타겟 염수가 채워지고, 하단 일측에는 상기 분쇄된 폐플라스틱 상기 타겟 비중보다 높아 바닥으로 가라앉은 침하 폐플라스틱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타겟 염수에 기설정된 세기의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 발생부와, 상기 처리조에서 분류하여야 하는 폐플라스틱의 타겟 비중을 인식하고, 상기 염도값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비중에 대응하는 염도값을 확인하며, 상기 타겟 염수가 상기 확인된 염도값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염도 조절부와, 상기 처리조의 상단 일측으로 상기 타겟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부와, 상기 염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처리조에 상기 타겟 염수가 상기 처리조상 기설정된 타겟 높이로 채워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와류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와류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와류의 세기가 상기 타겟 비중에 대응되는 타겟 세기로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는, 서로 다른 타겟 비중의 폐플라스틱을 분류하기 위해 서로 다른 타겟 염수로 채워진 복수개의 처리조로 구성되며, 각 처리조는 타겟 비중의 크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처리조는, 상기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이전 순서에 배열된 처리조의 배출구에서 배출된 상기 침하 폐플라스틱이 다음 순서에 배열된 처리조로 공급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처리조의 전체 숫자는, 상기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선별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타겟 비중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처리조의 상단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내 상기 타겟 염수의 상부로 부상한 상기 타겟 비중의 타겟 폐플라스틱을 수거하는 폐플라스틱 수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조에 폐플라스틱이 투입되는 경우, 상기 와류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타겟 염수에 와류가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와류 발생부가 구동된 시작 시간으로부터 상기 타겟 비중의 폐플라스틱을 선별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산출된 타겟 시간이 경과하는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타겟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와류 발생부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폐플라스틱 수거부를 통해 상기 타겟 폐플라스틱에 대한 수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처리조의 하단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와류를 발생시키는 회전 날개와, 상기 회전 날개를 구동하여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 날개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플라스틱 수거부에서 상기 타겟 폐플라스틱의 수거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침하 폐플라스틱이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에서 폐플라스틱을 선별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비중의 폐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는 복수개의 폐플라스틱 처리조를 폐플라스틱 선별 비중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각 처리조에서 채워지는 염수에 대해서는 각 처리조에서 선별하는 비중에 대응되게 염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또한, 각 처리조에서 폐플라스틱의 선별 시 선별 비중에 대응되는 세기의 와류를 발생시켜 폐플라스틱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 재활용 수거된 폐플라스틱 사진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에서 비중차를 이용한 순차적 폐플라스틱 선별 동작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에서 비중차를 이용한 폐플라스틱 선별 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에서 비중차를 이용한 순차적 폐플라스틱 선별 동작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의 구조와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310)은 폐플라스틱 공급부(312), 염도값 저장부(314), 처리조(316), 와류 발생부(318), 염도 조절부(320), 염수 공급부(322), 폐플라스틱 수거부(324), 제어부(3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폐플라스틱 공급부(312)는 분쇄된 폐플라스틱을 공급한다. 회사, 일반 가정 등으로부터 재활용을 위해 수거되거나, 건물 철거 등을 통해 수거되는 폐플라스틱은 다양한 종류와 다양한 형태와 크기가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폐플라스틱은 폐플라스틱에 대한 비중차를 이용한 선별전 전처리 과정으로서 파쇄기 등을 통해 일정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폐플라스틱은 위와 같은 분쇄된 폐플라스틱을 처리조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비중 차를 이용하여 폐플라스틱을 비중별로 선별하는 처리조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처리조는 선별되는 폐플라스틱의 비중의 크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태일 수 있으므로, 폐플라스틱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분쇄된 폐플라스틱은 복수개의 처리조 중 첫 번째 처리조로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염도값 저장부(314)는 폐플라스틱을 기설정된 복수의 타겟 비중에 따라 수중에서 선별하기 위한 복수의 비중별 염도값을 저장한다.
이때, 복수의 타겟 비중이라 함은 폐플라스틱의 다양한 비중값 중 폐플라스틱에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기설정된 수의 비중값을 선택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염도값은 복수의 타겟 비중에 선택되는 경우, 각 타겟 비중을 가지는 폐플라스틱이 염수가 채워진 처리조에서 처리조의 상부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하는 값으로 미리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리조(316)는 복수의 비중별 염도값 중 선택된 하나의 염도값으로 염도가 조절된 타겟 염수가 채워질 수 있고, 하단 일측에는 분쇄된 폐플라스틱 타겟 비중보다 높아 바닥으로 가라앉은 침하 폐플라스틱(210)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중 차를 이용하여 폐플라스틱을 비중별로 선별하기 위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처리조는 선별되는 폐플라스틱의 비중의 크기 순서에 따라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이 복수개의 처리조가 폐플라스틱별 선별 비중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됨에 따라, 이전 순서에 배열된 처리조에서 비중차이로 인해 처리조의 바닥으로 가라앉은 침하 폐플라스틱은 해당 처리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어 다음 순서에 배열된 처리조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초에 투입된 분쇄된 폐플라스틱은 복수개의 처리조를 거치면서 예를 들어 비중이 작은 폐플라스틱부터 순차적으로 선별될 수 있어 폐플라스틱에 대한 선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복수개의 처리조의 전체 숫자는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선별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타겟 비중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와류 발생부(318)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처리조의 하부에 위치하여 타겟 염수(230)에 기설정된 세기의 와류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와류 발생부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처리조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각 처리조에 하나씩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와류 발생부는 세부 구성 요소로서 회전 날개와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날개는 리조의 하단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와류를 발생시키며, 모터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 날개를 구동하여 회전시킨다.
염도 조절부(320)는 각 처리조에서 분류하여야 하는 폐플라스틱의 타겟 비중을 인식하고, 염도값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비중에 대응하는 염도값을 확인한다. 이어, 염도 조절부는 각 처리조로 공급되는 타겟 염수가 대응되는 염도값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염수 공급부(322)는 염도 조절부에서 각 처리조에 대응되는 염도값으로 조절된 타겟 염수를 각 처리조의 상단 일측으로 공급하여 각 처리조에 타겟 염수가 채워지도록 한다.
폐플라스틱 수거부(324)는 처리조의 상단 타측에 형성되어 처리조내 타겟 염수의 상부로 부상한 타겟 비중의 타겟 폐플라스틱을 수거한다.
즉, 각 처리조에 투입된 폐플라스틱은 각 처리조에 채워진 염수와 와류를 통해 선별되어 타겟 비중에 대응되는 비중을 가진 폐플라스틱이 처리조의 상부로 부상되게 된다. 이에 따라, 폐플라스틱 수거부는 제어부(326)의 제어에 따라 각 처리조에서 타겟 비중의 폐플라스틱 선별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처리조내 타겟 염수의 상부로 부상한 타겟 비중의 타겟 폐플라스틱을 수거하게 된다.
제어부(32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3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26)는 염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처리조에 타겟 염수가 처리조상 기설정된 타겟 높이로 채워지도록 제어하며, 와류 발생부를 제어하여 와류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와류의 세기가 타겟 비중에 대응되는 타겟 세기로 조절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각 처리조에서 와류의 타겟 세기를 조절함에 있어서, 제어부는 와류 발생부가 구동된 시작 시간으로부터 타겟 비중의 폐플라스틱을 선별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산출된 타겟 시간이 경과하는 여부를 검사한 후, 타겟 시간이 경과한 경우, 와류 발생부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어 제어부는 폐플라스틱 수거부를 통해 선별작업이 완료된 타겟 비중의 폐플라스틱에 대한 수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폐플라스틱 수거부에서 타겟 폐플라스틱의 수거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처리조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침하 폐플라스틱이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이 각 처리조에서 배출된 침하 폐플라스틱은 다음 순서에 배열된 처리조로 투입되는 것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비중별로 보다 효율적으로 선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에서 비중차를 이용한 폐플라스틱 선별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310)은 폐플라스틱을 기설정된 복수의 타겟 비중에 따라 수중에서 선별하기 위한 복수의 비중별 염도값을 저장한다(S10). 이때, 복수의 타겟 비중이라 함은 폐플라스틱의 다양한 비중값 중 폐플라스틱에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기설정된 수의 비중값을 선택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염도값은 복수의 타겟 비중에 선택되는 경우, 각 타겟 비중을 가지는 폐플라스틱이 염수가 채워진 처리조에서 처리조의 상부로 부상할 수 있도록 미리 산출된 값일 수 있다.
이어,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310)은 각 처리조에서 분류하여야 하는 폐플라스틱의 타겟 비중을 인식하고, 염도값 저장부를 참조하여 타겟 비중에 대응하는 염도값을 확인하고, 각 처리조로 공급되는 타겟 염수가 대응되는 염도값으로 조절한 후(S12), 각 처리조로 염도 조절된 염수를 공급한다(S14).
또한,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310)은 분쇄된 폐플라스틱을 복수의 처리조 중 첫 번째 처리조로 투입한다(S16).
이어,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310)은 폐플라스틱에 대한 선별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해당 처리조에 와류를 발생시켜 염수에 의한 비중차와 와류를 통해 투입된 폐플라스틱으로 해당 처리조에 설정된 타겟 비중에 해당하는 폐플라스틱이 선별되도록 한다(S18).
이어,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310)은 비중차이로 인해 처리조의 바닥으로 가라앉은 침하 폐플라스틱을 복수의 처리조 중 다음 순서에 배열된 처리조로 투입하면서 폐플라스틱이 비중별로 순차적으로 선별되도록 한다(S2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에서 폐플라스틱을 선별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비중의 폐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는 복수개의 폐플라스틱 처리조를 폐플라스틱 선별 비중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각 처리조에서 채워지는 염수에 대해서는 각 처리조에서 선별하는 비중에 대응되게 염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또한, 각 처리조에서 폐플라스틱의 선별 시 선별 비중에 대응되는 세기의 와류를 발생시켜 폐플라스틱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312 : 폐플라스틱 공급부 314 : 염도값 저장부
316 : 처리조 318 : 와류 발생부
320 : 염도 조절부 322 : 염수 공급부
324 : 폐플라스틱 수거부 326 : 제어부

Claims (5)

  1.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으로서,
    분쇄된 폐플라스틱을 공급하는 폐플라스틱 공급부와,
    상기 폐플라스틱을 기설정된 복수의 타겟 비중에 따라 수중에서 선별하기 위한 복수의 비중별 염도값을 저장하는 염도값 저장부와,
    상기 복수의 비중별 염도값 중 선택된 하나의 염도값으로 염도가 조절된 타겟 염수가 채워지고, 하단 일측에는 상기 분쇄된 폐플라스틱 상기 타겟 비중보다 높아 바닥으로 가라앉은 침하 폐플라스틱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타겟 염수에 기설정된 세기의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 발생부와,
    상기 처리조에서 분류하여야 하는 폐플라스틱의 타겟 비중을 인식하고, 상기 염도값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비중에 대응하는 염도값을 확인하며, 상기 타겟 염수가 상기 확인된 염도값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염도 조절부와,
    상기 처리조의 상단 일측으로 상기 타겟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부와,
    상기 처리조의 상단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내 상기 타겟 염수의 상부로 부상한 상기 타겟 비중의 타겟 폐플라스틱을 수거하는 폐플라스틱 수거부와,
    상기 염수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처리조에 상기 타겟 염수가 상기 처리조상 기설정된 타겟 높이로 채워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처리조에 폐플라스틱이 투입되는 경우, 상기 와류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타겟 염수에 와류를 발생시키고 와류의 세기가 상기 타겟 비중에 대응되는 타겟 세기로 조절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와류 발생부가 구동된 시작 시간으로부터 상기 타겟 비중의 폐플라스틱을 선별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산출된 타겟 시간이 경과하는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타겟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와류 발생부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폐플라스틱 수거부를 통해 상기 타겟 폐플라스틱에 대한 수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폐플라스틱 수거부에서 타겟 폐플라스틱의 수거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처리조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침하 폐플라스틱이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조는, 서로 다른 타겟 비중의 폐플라스틱을 분류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타겟 염수로 채워진 복수개의 처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처리조는 타겟 비중의 크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되 이전 순서에 배열된 처리조의 배출구에서 배출된 상기 침하 폐플라스틱과 염수가 다음 순서에 배열된 처리조로 공급되도록 다단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처리조의 전체 숫자는 상기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선별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타겟 비중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며;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처리조의 하단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와류를 발생시키는 회전 날개와, 상기 회전 날개를 구동하여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 날개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60419A 2020-11-25 2020-11-25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 KR102477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419A KR102477445B1 (ko) 2020-11-25 2020-11-25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419A KR102477445B1 (ko) 2020-11-25 2020-11-25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614A KR20220072614A (ko) 2022-06-02
KR102477445B1 true KR102477445B1 (ko) 2022-12-14

Family

ID=8198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419A KR102477445B1 (ko) 2020-11-25 2020-11-25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4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195B1 (ko) 2023-01-16 2023-07-04 한국에코산업 주식회사 플라스틱 재활용품의 종류별 선별방법
KR102624662B1 (ko) 2023-01-16 2024-01-15 한국에코산업 주식회사 생활쓰레기에 포함된 플라스틱 재활용품의 종류별 선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450B1 (ko) 2022-12-19 2023-12-21 정치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펠릿 조성물
KR102616455B1 (ko) 2022-12-19 2023-12-21 정치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펠릿 조성물 제조방법
KR102632522B1 (ko) 2023-06-05 2024-01-31 조용중 플라스틱 선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805B1 (ko) * 2007-09-12 2010-02-02 우경호 폐기물 분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051A (ko) * 2003-02-13 2004-08-19 최종배 비중차를 이용한 폐기물 분리 방법 및 장치
KR102115223B1 (ko) 2018-07-09 2020-06-05 엠엔테크(주) 경량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805B1 (ko) * 2007-09-12 2010-02-02 우경호 폐기물 분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195B1 (ko) 2023-01-16 2023-07-04 한국에코산업 주식회사 플라스틱 재활용품의 종류별 선별방법
KR102624662B1 (ko) 2023-01-16 2024-01-15 한국에코산업 주식회사 생활쓰레기에 포함된 플라스틱 재활용품의 종류별 선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614A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7445B1 (ko)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
US85171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materials from soil
KR101949321B1 (ko)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JP2014500140A (ja) 混合固形廃棄物の機械選別およびリサイクル可能品の回収
KR101931687B1 (ko) 폐기물 선별기
KR101653304B1 (ko) 풍력을 이용한 연료재료 선별장치
EP4063034A2 (en) Small footprint pre-treatment plant and decentralized food waste separation and treatment
KR102017478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선별장치
JPH0790181B2 (ja) 比重差による廃棄プラスチック材の選別機
EP0469903A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mixture of plastic material into fractions
JP3761832B2 (ja) 廃プラスチック選別システム
CZ2015961A3 (cs) Způsob recyklace abraziva z řezání vysokotlakým vodním paprskem z řezacího kalu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0152297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235794B1 (ko) 재활용 분쇄물 회수 장치
KR20240076121A (ko) 폐플라스틱 선별 시스템
JP2983522B1 (ja) 上昇水流を利用した選別装置
KR102051412B1 (ko)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KR20200089034A (ko) 음식물 및 식품잔반 폐기물 자원화 전처리 공정의 비중분리기
JP2000061439A (ja) 不燃廃棄物の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533846B1 (ko) 건설폐기물내의 재활용자재 선별장치
US5139204A (en) Method for recovering hazardous waste material
KR20080006527U (ko) 쓰레기 선별기
JP2000167838A (ja) 不燃廃棄物の処理装置
KR200342452Y1 (ko) 건설폐기물내의 재활용자재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