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833B1 -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 Google Patents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833B1
KR102476833B1 KR1020210043755A KR20210043755A KR102476833B1 KR 102476833 B1 KR102476833 B1 KR 102476833B1 KR 1020210043755 A KR1020210043755 A KR 1020210043755A KR 20210043755 A KR20210043755 A KR 20210043755A KR 102476833 B1 KR102476833 B1 KR 102476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suit
external power
module
power supply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8083A (ko
Inventor
채재익
Original Assignee
(주)인터오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오션 filed Critical (주)인터오션
Priority to KR1020210043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833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04Resilient s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04Resilient suits
    • B63C2011/043Dry suit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에 관한 기술로, 잠수복 본체 및 상기 잠수복 본체를 관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잠수복 본체 외부에 배치되는 일단은 외부전력공급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잠수복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은 상기 잠수복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내측전력수요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력공급모듈로부터 상기 내측전력수요모듈로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하는 외부전력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Drysuit with external power supply}
본 발명은 건식 잠수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조끼와 같은 건식 잠수복 내부의 전력수요부로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복은 잠수부가 물속에서 작업을 할 때 입는 특수복의 하나로, 잠수복은 크게 발포 네오프렌으로 몸에 꼭 맞게 제조되어 내부에 공기가 없게 하고 옷의 내부로 스며드는 물이 잠수부의 체온으로 데워져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습식 잠수복과, 방수 실과 지퍼 등을 이용하여 잠수복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잠수복 내부가 물에 젖지 않으며 공기층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체온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잠수복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건식 잠수복은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아 주로 내의 등을 착용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며, 공기층에 의한 체온 유지가 습식 잠수복에 비해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잠수할 필요가 있거나 수온이 매우 낮은 곳에서 보다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잠수부가 상기와 같은 건식 잠수복을 사용하는 경우, 체온 유지를 위하여 내의로 발열조끼 등을 착용하기도 하나, 발열조끼 등 발열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공급이 필요하게 되므로 배터리 및 전원스위치가 일체로 구비된 발열조끼를 종래에는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0789호와 같이 잠수복 자체나 건식 잠수복 내부에 입는 발열조끼 등에 발열수단이 일체로 구비되나, 이와 같은 경우 잠수복이나 발열조끼가 슬림하게 제작되어야 하므로 대용량의 배터리 적용이 어려우므로, 이로 인해 오랜 시간 발열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잠수복이나 발열조끼에 배터리가 일체로 장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잠수 작업 과정에서 움직임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발열조끼 등 건식 잠수복 내부의 전력수요부로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건식 잠수복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한 이해가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은 ,잠수복 본체 및 상기 잠수복 본체를 관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잠수복 본체 외부에 배치되는 일단은 외부전력공급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잠수복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은 상기 잠수복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내측전력수요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력공급모듈로부터 상기 내측전력수요모듈로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하는 외부전력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전력연결모듈은 상기 잠수복 본체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중앙부에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재 및 일단에는 상기 잠수복 본체 외부의 상기 외부전력공급모듈과 연결되는 외측 포트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잠수복 본체 내부의 상기 전력수요모듈과 연결되는 내측 포트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통홀에 삽입 장착 가능한 전력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전력연결모듈은 상기 잠수복 본체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통부재, 상기 관통부재의 상기 잠수복 본체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전력공급모듈과 연결되는 외측 포트부 및 상기 관통부재의 상기 잠수복 본체 내측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수요모듈과 연결되는 내측 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부재는 상기 잠수복 본체와 결합되는 외주부는 연질소재의 잠수복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포트부는 수중에서 연결이 가능한 수중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전력공급모듈은 외장배터리, 상기 외장배터리가 내부에 수용되는 방수케이스 및 일단에는 상기 방수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외장배터리와 연결되는 배터리연결포트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방수케이스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외부전력연결모듈과 연결되는 본체연결포트부가 구비되는 케이블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케이블은 상기 잠수복 본체 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에, 상기 잠수복 본체에 구비되거나 상기 잠수복 본체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외측전력수요모듈로 전력 공급을 가능하도록 상기 외측전력수요모듈과 연결되는 보조포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은, 잠수복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전력공급모듈과 내측전력수요모듈을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전력연결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잠수복 내부에 배치되는 전력수요부분으로 전력을 오랜 시간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잠수부가 오랜 시간 안정적으로 잠수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은, 외부전력공급모듈은 외장배터리와, 외장배터리가 수용되는 방수케이스와, 케이블연결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고가의 잠수용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하여 그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은, 크게 잠수복 본체(100)와 외부전력연결모듈(200)을 포함한다.
우선, 잠수복 본체(100)는, 건식 잠수복의 기본 형태를 구성하는 것으로, 잠수부의 상체 및 하체가 모두 수용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며, 종래의 수중에서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구성되는 건식 잠수복 본체(100)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전력연결모듈(200)은, 발열조끼와 같이 잠수복 본체(100) 내부에 위치되나 전력을 필요로 하는 내측전력수요모듈(400)로 잠수복 본체(100) 외부에 위치되는 외부전력공급모듈(3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달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전력연결모듈(200)은, 상기 잠수복 본체(100)를 관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잠수복 본체(100) 외부에 배치되는 일단은 외부전력공급모듈(300)과 연결되고, 상기 잠수복 본체(100)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은 상기 잠수복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는 내측전력수요모듈(400)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력공급모듈(300)로부터 상기 내측전력수요모듈(400)로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도 1를 참조하면, 외부전력연결모듈(200)은, 상기 잠수복 본체(100)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통부재(210), 상기 관통부재(210)의 상기 잠수복 본체(100)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전력공급모듈(300)과 연결되는 외측 포트부(220) 및 상기 관통부재(210)의 상기 잠수복 본체(100) 내측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수요모듈과 연결되는 내측 포트부(2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잠수복 본체(100)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통부재(210)에 외측 포트부(220)와 내측 포트부(230)가 일체로 구비된 예를 나타낸다.
또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부전력연결모듈(200)은, 상기 잠수복 본체(100)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중앙부에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재(210) 및 일단에는 상기 잠수복 본체(100) 외부의 상기 외부전력공급모듈(300)과 연결되는 외측 포트부(22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잠수복 본체(100) 내부의 상기 전력수요모듈과 연결되는 내측 포트부(230)가 구비되며, 상기 연통홀에 삽입 장착 가능한 전력케이블(2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외측 포트부(220)와 내측 포트부(230)가 구비되는 전력케이블(240)이 관통부재(210)를 관통하여 장착된 예시로, 이때 관통부재(210)는 전력케이블(240)이 관통 삽입되되, 잠수복 본체(100)의 외부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관통부재(210)의 방수구조는 종래의 각종 전기기기 함체에 케이블을 인입시킬 때 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케이블 그랜드 부재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관통부재(210)는 고무로 된 패킹을 커넥터부재에 삽입하여 조이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커넥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전력연결모듈(200)의 관통부재(210)는 잠수복 본체(100)와 결합되는 외주부에 연질소재의 잠수복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연질 소재의 잠수복연결부재에 의해 관통부재(210)가 잠수복 본체(100)와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다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전력연결모듈(200)의 외측 포트부(220)와 내측 포트부(230)는 USB방식 포트, 핀방식 포트 등 전력연결을 가능하도록 하는 전력을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포트 방식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이때, 외측 포트부(220)는 수중에서도 외부전력공급모듈(3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수중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부전력공급모듈(300)은, 잠수복 본체(100) 외부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수중에서도 사용 가능한 외장배터리(310)와, 외장배터리(310)와 잠수복 본체(100)에 구비된 외부전력연결모듈(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블연결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연결모듈(330)은,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외장배터리(3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잠수복 본체(100)에 구비되는 관통부재(210)에 일체로 형성된 외측 포트부(220)와 연결되는 연결케이블(33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연결모듈(330)은, 다른 예로 , 상기 외장배터리(310)가 내부에 수용되는 방수케이스(320)와, 방수케이스(320)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케이스관통몸체(331)와, 일단에는 방수케이스(320) 내부에 배치되는 외장배터리(310)와 연결되는 배터리연결포트부(333)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방수케이스(320) 외부에 배치되는 잠수복 본체(100)에 구비되는 외부전력연결모듈(200)과 연결되는 본체연결포트부(334)가 구비되는 연결케이블(332)을 포함하여, 외장배터리(310)로부터 외부전력연결모듈(200) 측으로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외장배터리(310)가 수중에서 사용되도록 제작되는 고가의 배터리가 아닌 일반 외장배터리(310)를 사용 가능하게 되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때, 케이스관통몸체(331)는, 배터리연결포트부(333)와 본체연결포트부(334)는, USB방식 포트, 핀방식 포트 등 전력연결을 가능하도록 하는 전력을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포트 방식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이때, 본체연결포트부(334)는 수중에서도 외부전력공급모듈(3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수중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잠수복 본체(100) 측에 구비되는 외부전력연결모듈(200)과 외부전력공급모듈(300)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잠수복 본체(10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외측전력수요모듈(500)로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외측전력수요모듈(500)과 연결되는 보조포트부(7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외측전력수요모듈(500)은 잠수부가 잠수 중에 사용하는 조명장치 등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를 일컫는다.
또한, 외부전력연결모듈(200)의 관통부재(210), 외부전력공급모듈(300)의 외장배터리(310) 및 외부전력공급모듈(300)의 방수케이스(320) 중 적어도 한 곳에 전력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잠수복 본체
200 : 외부전력연결모듈
210 : 관통부재
220 : 외측 포트부
230 : 내측 포트부
240 : 전력케이블
300 : 외부전력공급모듈
310 : 외장배터리
320 : 방수케이스
330 : 케이블연결모듈
331 : 케이스관통몸체
332 : 연결케이블
333 : 배터리연결포트부
334 : 본체연결포트부
400 : 내측전력수요모듈
500 : 외측전력수요모듈
600 : 제어스위치
700 : 보조포트부

Claims (7)

  1. 잠수복 본체; 및 상기 잠수복 본체를 관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잠수복 본체 외부에 배치되는 일단은 외부전력공급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잠수복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은 상기 잠수복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내측전력수요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력공급모듈로부터 상기 내측전력수요모듈로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하는 외부전력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건식 잠수복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력연결모듈은,
    상기 잠수복 본체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중앙부에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며, 외주부에는 상기 잠수복 본체와 결합되는 연질소재의 잠수복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관통부재; 및 일단에는 상기 잠수복 본체 외부의 상기 외부전력공급모듈과 연결되는 외측 포트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잠수복 본체 내부의 상기 내측전력수요모듈과 연결되는 내측 포트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통홀에 삽입 장착 가능한 전력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전력공급모듈은,
    외장배터리; 상기 외장배터리가 내부에 수용되는 방수케이스; 및 일단에는 상기 방수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외장배터리와 연결되는 배터리연결포트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방수케이스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외부전력연결모듈과 연결되는 본체연결포트부가 구비되는 케이블연결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연결모듈은 상기 방수케이스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스관통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케이블은,
    상기 잠수복 본체 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에, 상기 잠수복 본체에 구비되거나 상기 잠수복 본체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외측전력수요모듈로 전력 공급을 가능하도록 상기 외측전력수요모듈과 연결되는 보조포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재, 외장배터리 및 방수케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전력공급제어를 위한 제어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포트부는,
    수중에서 연결이 가능한 수중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6. 삭제
  7. 삭제
KR1020210043755A 2021-04-05 2021-04-05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KR102476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755A KR102476833B1 (ko) 2021-04-05 2021-04-05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755A KR102476833B1 (ko) 2021-04-05 2021-04-05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083A KR20220138083A (ko) 2022-10-12
KR102476833B1 true KR102476833B1 (ko) 2022-12-12

Family

ID=8359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755A KR102476833B1 (ko) 2021-04-05 2021-04-05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649A (ko) 2022-10-25 2024-05-03 최정태 발열 장치를 포함하는 드라이슈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006B1 (ko) * 2016-05-30 2016-11-29 여운균 조명장치를 구비한 잠수복용 방수 커넥터
CN106314725A (zh) * 2016-08-31 2017-01-11 中潜股份有限公司 电加热干式潜水服
JP2018182285A (ja) * 2017-04-14 2018-11-15 孟華 喩 布帛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634A (ko) * 2001-07-12 2003-01-10 박민호 오토바이용 방한복
KR200457018Y1 (ko) * 2009-04-16 2011-12-01 국방과학연구소 디지털 의복
KR101981172B1 (ko) * 2017-07-25 2019-05-22 주식회사 우공사 발열조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006B1 (ko) * 2016-05-30 2016-11-29 여운균 조명장치를 구비한 잠수복용 방수 커넥터
CN106314725A (zh) * 2016-08-31 2017-01-11 中潜股份有限公司 电加热干式潜水服
JP2018182285A (ja) * 2017-04-14 2018-11-15 孟華 喩 布帛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083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833B1 (ko)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US5888083A (en) Miniature underwater connector
US9547133B2 (en) LED illuminator for side-emitting optical fibers
US20120291184A1 (en) Protective helmet
MX2022002575A (es) Compuesto de encapsulado de celda electrica y metodo de elaboracion.
US9851752B2 (en) Modular dive computer
US20160221654A1 (en) Electrical Forward-Moving Assistant Apparatus
US50221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derwater acoustic receiving system installation in diving helmet
CN104149950B (zh) 一种水下采集系统的水密封箱
CN207490212U (zh) 一种防水矩形连接器
KR20140120790A (ko) 발열장치가 구성된 잠수복하의
KR101228715B1 (ko) 수중작업복용 수중발열장치 및 그 장치가 결합된 수중작업복
CN208522165U (zh) 防水插头
CN205298960U (zh) 管道专用保温被
CN206163845U (zh) 一种插头开关控制盒
WO2018045975A1 (zh) 一种带红外信号定位的漂浮式水上充电桩
CN101894925B (zh) 电源供电箱
CN210882559U (zh) 一种电暖型潜水服
KR102001776B1 (ko) 구명조끼용 인플레이터
CN206433061U (zh) 一种水下摄像设备
CN218867501U (zh) 一种充电座
KR200322028Y1 (ko) 방수용 케이블 튜브
KR200446556Y1 (ko) 다목적용 페네트레이터 판
ATE272820T1 (de) Gasspulverwaltungssystem für gasgespulten taucherhitzer
KR100877602B1 (ko) 잠수용 웨이트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