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018Y1 - 디지털 의복 - Google Patents

디지털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018Y1
KR200457018Y1 KR2020090004538U KR20090004538U KR200457018Y1 KR 200457018 Y1 KR200457018 Y1 KR 200457018Y1 KR 2020090004538 U KR2020090004538 U KR 2020090004538U KR 20090004538 U KR20090004538 U KR 20090004538U KR 200457018 Y1 KR200457018 Y1 KR 200457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evices
garment
lay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482U (ko
Inventor
최의중
채제욱
김현준
이주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2020090004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018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4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0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21Accessories or supplementary instruments therefor, e.g. cord hang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각종 디지털 장비를 통합 운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의 땀을 신속히 의복으로 흡수하여 빠르게 방출시킬 수 있도록 흡한속건 섬유로 형성되고, 전도성 직물재로 형성되며 심전도 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전극(11)과 체온 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체온센서(12) 및 상기 체온센서와 후술하는 전자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3)가 구비되고, 이들 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인너 레이어(10)와; 인너 레이어(10)에서 배출된 땀과 열 및 내장된 장치에서 배출된 열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통기성 섬유로 형성되고, 전원부(21)와 전원제어부(22), CPU(25) 및 HMD 컨버터(26)가 배치되며, 각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의복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미들 레이어(20)와; 의복의 최상층으로서 외부의 수분으로부터 장치 및 인체를 보호하고 내부의 습기는 방출할 수 있도록 투습방수소재로 형성되고, 외부에 설치되는 무선통신시스템(40)을 위한 안테나(35)가 구비된 아우터 레이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과 땀 및 각종 디지털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의복에 설치되는 각종 디지털 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두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다양한 외부 환경하에서 사람의 동작이나 활동을 방해하지 않고 오히려 활동성과 각종 디지털 장치에 대한 기기 운용성이 향상된다.
디지털, 유비쿼터스, 흡한속건, 투습방수, HMD 컨버터, USB 허브, 직물안테나, CPU, 와이어패스, 무선통신시스템

Description

디지털 의복{Digital Cloths}
본 고안은 인체의 동작 특성과 인체공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각종 디지털 장치 및 센서를 내장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각종 장비를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의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첨단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장치(Digital Device)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각종 디지털 장치는 점차적으로 소형화 및 일체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필요한 각종 디지털 장치들을 휴대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근미래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하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장치들이 더욱 긴요하게 사용될 것이다.
유비쿼터스란,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의미하는데, 최근 노트북 컴퓨터나 PDA의 보급, 광대역통신이나 무선 LAN의 보급으로 그런 환경에 가까이 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본래의 유비쿼터스는 여기서 더 나아가 휴대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착용식 컴퓨터(Wearable Computer)는 물론, 몸에 지니지 않아도 어떤 공간에 다양한 디지털 장치를 집어넣어 그것들이 서 로 동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컴퓨터 등의 디지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미래의 첨단화된 환경하에서 인간이 휴대 가능한 디지털 장치로는 컴퓨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CPU, 디스플레이, 전원장치,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은 물론 네트워킹이 가능한 개인휴대 통신기, 신체 생체신호를 추적할 수 있는 생체신호 센서, 외부환경을 측정하는 각종 센서들이 포함된다.
그런데, 현재에는 상기한 휴대가능한 디지털 장치들을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별도로 휴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환경성이 취약하고 각종 디지털 장치들의 통합 운용이 곤란하다. 즉, 사람들이 각자의 필요에 따라 제한된 수의 디지털 장치만을 휴대하게 되므로, 유비쿼터스 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디지털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가방 등의 물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디지털 장치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결과 최근에는 상기한 디지털 장치들이 탑재되어 일체화된 의복, 즉 디지털 의복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의복은 상기한 디지털 장치들을 의복 내에 분산 배치하여 다양한 외부 환경하에서 동작 및 활동을 방해하지 않아야 할 필요가 있으며, 오히려 활동성과 기기 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즉, 디지털 의복은 인체에서 발생한 열과 수분의 배출이 원활해야 하며,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각종 디지털 장치가 인체공학적으로 배치되어야 하고, 디지털 장치들을 보호함과 아울러 이들 디지털 장치들과 외부장치간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의복의 구조 및 의복 내에 배치되는 각종 디지털 장치의 배치 형태는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과 수분을 배출하는 인너 레이어와 각종 디지털 장비의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해 각 장치들을 인체공학적으로 배치한 미들 에리어 및 디지털 장비를 보호하고 외부장치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아우터 레이어의 3겹의 구조로 함으로써, 인체의 동작과 생리적 특성에 적합하게 한 디지털 의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인체의 발한정도를 고려하여 디지털 장치와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과 수분을 의복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디지털 장치를 배치함과 아울러 생체신호 센서 전극이 피부에 밀착되도록 동작에 따른 피부의 늘어남 정도에 따라 전극을 배치함으로써 인체의 동작에 무관하게 각종 디지털 장치들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의복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 내의 배선 길이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디지털 의복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은, 피부의 땀을 신속히 의복으로 흡수하여 빠르게 방출시킬 수 있도록 흡한속건 섬유로 형성되고, 전도성 직물재로 형성되며 심전도 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전극과 체온 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체온센서 및 상기 체온센서와 후술하는 전자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되고, 이들 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인너 레이어와; 상기 인너 레이어에서 배출된 땀과 열 및 내장된 장치에서 배출된 열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통기성 섬유로 형성되고, 전원부와 전원제어부, CPU 및 HMD 컨버터가 배치되며, 각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의복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미들 레이어와; 최상층으로서 외부의 수분으로부터 장치 및 인체를 보호하고 내부의 습기는 방출할 수 있도록 투습방수소재로 형성되고, 외부에 설치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위한 안테나가 구비된 아우터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에 따르면, 상기 미들 레이어는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배치되는 와이어패스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인너 레이어의 컨트롤러와의 전원 연결을 위한 전선이 통과되는 단추구멍 및 상기 CPU와 다른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USB 허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레이어에는 상기 무선통신시스템과 헬멧시스템을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단추구멍 및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선이 통과하는 복수의 단추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에 따르면, 상기 헬멧시스템은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진 음성송수신기와 위치 확인을 위한 GPS 및 헬멧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HM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에 따르면, 상기 전극은 가장 안정된 자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인너 레이어의 왼쪽 가슴부위 상하측 및 오른쪽 가슴부위 중앙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체온센서는 상기 인너 레이어의 양측 겨드랑이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인너 레이어의 오른쪽 옆구리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에 따르면, 상기 전원부는 상기 미들 레이어의 뒤허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미들 레이어의 뒤허리 오른쪽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CPU는 상기 미들 레이어의 오른쪽 옆구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HMD 컨버터는 오른쪽 윗가슴 부분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USB 허브는 상기 미들 레이어의 왼쪽 옆구리 및 오른쪽 옆구리 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는 인체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는 직물안테나이며, 상기 아우터 레이어의 왼쪽 가슴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은, 흡한속건섬유로 형성된 인너 레이어와 통기성 섬유로 형성된 미들 레이어 및 투습방수소재로 형성된 아우터 레이어의 세겹으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과 땀 및 각종 디지털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의복에 설치되는 각종 디지털 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에 따르면, 인너 레이어에 심전도 및 체온을 측정하는 센서가 부착됨에 따라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인체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착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에 따르면, 각종 디지털 장치를 미들 레이어에 배치함으로써 외부 노출을 피하면서도 인체의 열이나 땀으로부터 디지털 장치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에 따르면, 각종 디지털 장치가 구비된 미들 레이어에 USB 단자를 추가로 설치하여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하에서 디지털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에 따르면, 유비쿼터스 하에서 사람이 휴대할 수 있는 각종 디지털 장치들이 의복 내에 분산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외부 환경하에서 사람의 동작이나 활동을 방해하지 않고 오히려 활동성과 기기 운용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의복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의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인너 레이어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미들 레이어가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아우터 레이어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또, 도 6은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체표면 신장도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7은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인체의 발열 부위가 도시된 참고도이며, 도 8은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인체의 발한 부위가 도시된 참고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의복은, 피부의 땀을 신속히 의복으로 흡수하여 빠르게 방출시킬 수 있도록 흡한속건 섬유(吸汗速乾纖維)로 형성되고, 전도성(傳導性) 직물재(織物材)로 형성되며 심전도(心電圖) 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전극(11)과 체온 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체온센서(12) 및 상기 체온센서와 후술하는 전자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3)가 구비되고, 이들 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인너 레이어(Inner Layer, 10)와; 상기 인너 레이어(10)에서 배출된 땀과 열 및 내장된 장치에서 배출된 열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통기성 섬유(通氣性纖維)로 형성되고, 전원부(21)와 전원제어부(22), CPU(25) 및 HMD 컨버터(Head Mounted Display Converter, 26)가 배치되며, 각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의복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미들 레이어(Middle Layer, 20)와; 최상층으로서 외부의 수분으로부터 장치 및 인체를 보호하고 내부의 습기는 방출할 수 있도록 투습방수소재(透濕防水素材)로 형성되고, 무선통신시스템(Radio, 40)을 걸 수 있는 체인(31) 및 상기 무선통신시스템(40)을 위한 안테나(35)가 구비된 아우터 레이어(Outer Layer, 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들 레이어(20)에는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배치되는 와이어패스(Wire Path, 27)가 복수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인너 레이어(10)의 컨트롤러(13)와의 전원 연결을 위한 전선이 통과되는 단추구멍(23) 및 상기 CPU(25)와 다른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USB 허브(2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레이어(30)에는 상기 무선통신시스템(40)과 헬멧시스템(45)을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단추구멍(33) 및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선이 통과하는 복수의 단추구멍(3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헬멧시스템(45)은, 음성통신을 위한 이어폰(Ear Phone) 및 마이크로폰(Micro Phone)으로 이루어진 음성송수신기와, 위치 확인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헬멧(도시 생략)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지털 의복에 배치되는 각 장치들은 전원연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회로가 구성되도록 다수의 유연한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에 적용되는 각종 장치는 활동에 무리가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의복에 각종 디지털 장치들을 배치할 때, 운동성을 해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에 따라 인체의 각 부위 중 디지털 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위치에서 부착 가능한 부위를 알아내기 위하여 각종 인체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5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체표면의 신장도(伸張度)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연두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동작에 따른 신장율이 20% 미만으로서, 디지털 장치의 부착에 비교적 안정한 곳에 해당한다. 그리고, 문양으로 표시된 부분은 동작에 따른 신장율이 20% 이상인 곳으로,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피부가 많이 늘어나게 되므로 디지털 장치를 직접 부착할 경우 안정성이 떨어지는 곳에 해당한다. 따라서, 각종 디지털 장치를 설치할 경우 도 5에서 문양으로 표시된 부분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람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상기한 체표면의 신장도 외에 중요한 것은 인체의 발열(發熱) 및 발한(發汗)이다. 따라서, 디지털 장치를 의복 내에 내장할 경우 인체의 발열 및 발한에 주의해야 한다. 디지털 장치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과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경우, 착용자가 느끼는 열기는 매우 커지게 되므로 의복 설계에 있어서 열의 방출을 고려하는 것은 당연하다. 특히 활동량이 극도로 많은 사람의 경우에는 열을 원활하게 방출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또, 의복의 설계에 있어서 발한 조절도 매우 중요한데, 의복 내의 습도가 올라갈 경우 착용자가 느끼는 불쾌감은 매우 커지게 되고, 땀으로 인한 수분이 디지털 장치에 침두할 경우에는 기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의복의 설계에 있어서 열과 수분을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상기한 인체의 발열 및 발한의 경우도 인체의 부위마다 정도차가 있는데,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발열 부위와 발한 부위를 고려하여 의복을 설계함으로써 능동 적인 환기 시스템이 되도록 의복을 설계하여야 한다.
상기한 인체 부위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장치간 연결을 고려하여 각종 디지털 장치를 배치하여 디지털 의복을 설계한다.
즉, 앞가슴의 중심 부위와 등 부분은 발열과 발한을 고려하여 디지털 장치의 배치를 피하고, 동작에 큰 영향을 받는 관절 부위 및 배 부위에도 디지털 장치의 배치를 피하여 설계한다. 물론, 장치간 연결을 위한 전선의 배치 및 사용자 편의성 을 고려하여, 각종 디지털 장치들을 직물 내에 최단배선거리로 배치함과 아울러 CPU 및 전원 제어부가 적절하게 배치되도록 디지털 의복을 설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11)은 가장 안정된 자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인너 레이어(10)의 왼쪽 가슴부위 상하측 및 오른쪽 가슴부위 중앙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체온센서(12)는 상기 인너 레이어(10)의 양측 겨드랑이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컨트롤러(13)는 상기 인너 레이어(10)의 오른쪽 옆구리 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11)을 통해 착용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함과 아울러 상기 체온센서(12)를 통해 착용자의 체온을 빠르게 감지하여, 착용자에게 이를 통보함으로써 착용자가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21)는 상기 미들 레이어(20)의 뒤허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제어부(22)는 상기 미들 레이어(20)의 뒤허리 오른쪽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CPU(25)는 상기 미들 레이어(20)의 오른쪽 옆구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HMD 컨버터(26)는 오른쪽 윗가슴 부분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USB 허브(24)는 상기 미들 레이어(20)의 왼쪽 옆구리 및 오른쪽 옆구리 부분에 배치된다. 즉, 헬멧 시스템(45)과의 원활한 연결을 위하여 상기 HMD 컨버터(26)는 오른쪽 윗가슴 부분에 배치하고, 상기 CPU(25)는 상기 HMD 컨버터(26)와의 최단배선거리를 확보함과 아울러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하여 안정적이 되도록 오른쪽 옆구리 부분에 배치한다. 물론, 상기 CPU(25)와의 최단배선거리의 확보를 위하여 상기 전원제어부(22)를 상기 미들 레이어(20)의 뒤허리 부분에 배치하는 것이다.
또, 상기 아우터 레이어(30)의 왼쪽 가슴부위에는 무선통신시스템을 위한 안 테나(35)를 배치하는데, 상기 안테나(35)는 인체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는 직물안테나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레이어(30)의 외부면에는 체인(31)을 설치하여 무선통신시스템(40)을 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아우터 레이어(30)에는 복수의 단추구멍(33)(3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무선통신시스템(40)에 대한 전원 연결 및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내장된 각종 디지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착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의복에 배치된 각종 디지털 장치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체공학적이며 인체생리학적으로 쾌적함을 줄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다양한 외부 환경하에서 동작 및 활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활동성과 기기 운용성을 향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은 방위산업 분야에 적용할 경우, 육군, 해군, 공군, 특전사 전투복 등의 다양한 분야의 전투복에 사용가능하며, 민수분야에 적용할 경우에는 스포츠웨어나 일상복뿐 아니라 특수분야의 의복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 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의복이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디지털 의복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인너 레이어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미들 레이어가 도시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아우터 레이어가 도시된 구성도.
도 6은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체표면 신장도를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인체의 발열 부위가 도시된 참고도.
도 8은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인체의 발한 부위가 도시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너 레이어 11: 전극
12: 체온센서 13: 컨트롤러
20: 미들 레이어 21: 전원부
22: 전원제어부 23: 단추구멍
24: USB 허브 25: CPU
26: HMD 컨버터 27: 와이어패스
30: 아우터 레이어 31: 체인
33, 34: 단추구멍 35: 안테나
40: 무선통신시스템 45: 헬멧시스템

Claims (7)

  1. 피부의 땀을 신속히 의복으로 흡수하여 빠르게 방출시킬 수 있도록 흡한속건 섬유로 형성되고, 전도성 직물재로 형성되며 심전도 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전극(11)과 체온 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체온센서(12) 및 상기 체온센서(12)와 후술하는 전자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3)가 구비되고, 이들 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인너 레이어(10)와;
    상기 인너 레이어(10)에서 배출된 땀과 열 및 내장된 장치에서 배출된 열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통기성 섬유로 형성되고, 전원부(21)와 전원제어부(22), CPU(25) 및 HMD 컨버터(26)가 배치되며, 각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의복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미들 레이어(20)와;
    최상층으로서 외부의 수분으로부터 장치 및 인체를 보호하고 내부의 습기는 방출할 수 있도록 투습방수소재로 형성되고, 외부에 설치되는 무선통신시스템(40)을 위한 안테나(35)가 구비된 아우터 레이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레이어(20)는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배치되는 와이어패스(27)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인너 레이어(10)의 컨트롤러(13)와의 전원 연결을 위한 전선이 통과되는 단추구멍(23) 및 상기 CPU(25)와 다른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USB 허브(2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레이어(30)에는 상기 무선통신시스템(40)과 헬멧시스템(45)을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단추구멍(33) 및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선이 통과하는 복수의 단추구멍(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시스템(45)은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진 음성송수신기와 위치 확인을 위한 GPS 및 헬멧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HM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복.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1)은 안정된 자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인너 레이어(10)의 왼쪽 가슴부위 상하측 및 오른쪽 가슴부위 중앙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체온센서(12)는 상기 인너 레이어(10)의 양측 겨드랑이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컨트롤러(13)는 상기 인너 레이어(10)의 오른쪽 옆구리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복.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21)는 상기 미들 레이어(20)의 뒤허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제어부(22)는 상기 미들 레이어(20)의 뒤허리 오른쪽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CPU(25)는 상기 미들 레이어(20)의 오른쪽 옆구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HMD 컨버터(26)는 오른쪽 윗가슴 부분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USB 허브(24)는 상기 미들 레이어(20)의 왼쪽 옆구리 및 오른쪽 옆구리 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35)는 인체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는 직물안테나이며, 상기 아우터 레이어(30)의 왼쪽 가슴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복.
KR2020090004538U 2009-04-16 2009-04-16 디지털 의복 KR200457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538U KR200457018Y1 (ko) 2009-04-16 2009-04-16 디지털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538U KR200457018Y1 (ko) 2009-04-16 2009-04-16 디지털 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482U KR20100010482U (ko) 2010-10-26
KR200457018Y1 true KR200457018Y1 (ko) 2011-12-01

Family

ID=4420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538U KR200457018Y1 (ko) 2009-04-16 2009-04-16 디지털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0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9351A (zh) * 2018-08-09 2019-01-25 深圳智裳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瘦身衣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113B1 (ko) * 2016-12-23 2021-02-0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자직물 구조에서의 생체환경정보 측정 및 보정 방법
JP2022078518A (ja) * 2020-11-13 2022-05-2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極パッドおよび低周波治療器
KR102476833B1 (ko) * 2021-04-05 2022-12-12 (주)인터오션 외부전력 공급이 가능한 건식 잠수복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감성과학회지, Vol.8, No.3, pp.277-290, 2006
한국감성과학회지, Vol.9, No.2, pp.141-150, 200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9351A (zh) * 2018-08-09 2019-01-25 深圳智裳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瘦身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482U (ko)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1886B2 (en) Circumferential array of electromyographic (EMG) sensors
US11060926B2 (en) Sensor assemblies; sensor-enabled garments and objects; devices and systems for data collection
US20180184735A1 (en) Physiological monitoring garments with enhanced sensor stabilization
US7783334B2 (en) Garment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
WO2012015479A2 (en) Physiological status monitoring system
KR200457018Y1 (ko) 디지털 의복
WO2018121708A1 (en) Wearable motion capture apparatus and virtual reality system
CN108344524B (zh) 一种用于测量温度及电信号的可穿戴贴片
US20190159727A1 (en) Sensor-enabled footwear; sensors, interfaces and sensor systems for data collection
KR101687154B1 (ko) 전도성 실을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
WO2017120063A1 (en) Sensor-enabled footwear; sensors, interfaces and sensor systems for data collection
KR20010032170A (ko) 어패럴용 매립식 무선 송수신기
US11259580B2 (en) Health monitoring garment and system
US20210100460A1 (en) Conformable Garment for Physiological Sensing
WO2017185050A1 (en) Sensor assemblies; sensor-enabled garments and objects; devices and systems for data collection
KR20230128012A (ko) 제어 가능한 변위 시스템을 지닌 의류
KR20230125794A (ko) 텍스타일과 전기접착 시스템을 위한 인터페이스
US20220400980A1 (en) Wearable Assembly Comprising a Wearable Article and an Electronics Module Arranged to Be Removably Coupled to the Wearable Article
US20160301482A1 (en) Sleeved garment equipped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TWM463109U (zh) 生理感測織物
GB2593433A (en) Electronics arrangement for a wearable article
KR101550410B1 (ko) 엑스 밴드 형태의 건강 관리용 디지털 의류
KR101418080B1 (ko) 건강 관리용 디지털 의류
JP2019050935A (ja) 身体装着具
JP2019050936A (ja) 身体装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