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106B1 -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 및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기 - Google Patents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 및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106B1
KR102476106B1 KR1020217010422A KR20217010422A KR102476106B1 KR 102476106 B1 KR102476106 B1 KR 102476106B1 KR 1020217010422 A KR1020217010422 A KR 1020217010422A KR 20217010422 A KR20217010422 A KR 20217010422A KR 102476106 B1 KR102476106 B1 KR 102476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network
assistance data
side device
positioning as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105A (ko
Inventor
하이양 쵄
하이양 ??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25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involving aiding data received from a cooperating element, e.g. assisted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36Assistance data, e.g. base station almana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5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aid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 및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기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며, 또한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은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포함함 -; 및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 및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기
본 출원은 2018년 9월 20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201811102324.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획득 및 제공 방법, 장치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위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s, LBS)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기타 포지셔닝 시스템을 통해 단말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또한 지리적 정보 시스템을 결합하여 사용자를 위해 위치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오늘날에 이르러,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에 기초한 실외 포지셔닝 기술(예컨대 중국의 베이더우 위성 포지셔닝 기술)은 현재의 이동 단말을 포함하여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이동 단말은 보조 글로벌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Auxiliary-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의 포지셔닝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일부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여 포지셔닝 측정 및/또는 포지셔닝 계산을 보조할 필요가 있다. 현재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제공 방식에는 주로 다음 두가지가 있다:
방식 1: 전용 LPP(LTE Positioning Protocol, LTE 포지셔닝 프로토콜) 시그널링을 통해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접속 상태에 있는 단말로 송신하며;
방식 2: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PosSIB(Positioning SIB, 포지셔닝 시스템 정보 블록)를 통해 아이들 상태 또는 비접속 상태에 있는 단말로 송신한다.
그러나, 상술한 RRC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아이들 상태 또는 비접속 상태에 있는 단말로 송신하는 방식을 이용할 때, 지속적인 브로드캐스트는 비교적 많은 시스템 자원을 점유하는 것을 초래하며, 해당 셀 아래의 포지셔닝 사용자가 매우 적거나 또는 없을 경우, 상당한 자원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은, 관련 기술에서 브로드캐스트의 방식을 통해 단말에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할 때 지속적인 브로드캐스트는 시스템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 및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며,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에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가 포함되며,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에서, 정보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가 지시한 송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에서, 상기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에서, 상기 송신 방식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됨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을 경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가 포함되며,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지시한 송신 방식을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상기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상기 송신 방식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며;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를 더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며,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가 포함되며,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획득한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가 지시한 송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송신 방식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됨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을 경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가 포함되며,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할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지시한 송신 방식을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송신 방식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관리 서버를 더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할 때,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 획득 모듈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1 요청 모듈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며,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됨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을 경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요청 모듈;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기 위한 제3 수신 모듈;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의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브로드캐스트의 방식으로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여, 사용자 기기더러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유형을 획득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 주동적으로 요청 정보를 송신하여, 필요로 하는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게 한다. 해당 방식을 이용하면, 사용자 기기는 주동적으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속적으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여 자원 낭비를 조성하는 것을 피면함으로써, 네트워크 오버헤드의 절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 방법의 시스템 아키텍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실시방식의 흐름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 방식의 흐름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작업 흐름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사용자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포지셔닝 관리 서버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의 일 실시방식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의 또 다른 실시방식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문제, 기술방안 및 우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이하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시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및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는바, 예컨대,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원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원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등 현재의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으며, 특히 미래의 제5 세대 이동 통신 기술(5G)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및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이 응용되는 가능한 응용 시나리오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및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무선 통선 시스템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100), 네트워크측 기기(200) 및 포지셔닝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포지셔닝 관리 서버(300)는 포지셔닝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네트워크측 기기(200)는 코어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사용자 기기(100)에 포지셔닝 측정 정보 또는 포지셔닝 기준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포지셔닝 관리 서버(300)와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200)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노드 기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100)는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휴대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핸드헬드 장치,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기타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착용 가능한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사용자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용 육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사용자 기기 등일 수 있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는 관련 기술에서 브로드캐스트의 방식을 통해 단말에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할 때, 지속적인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으로 인해, 시스템 자원 낭비를 조성하는 문제에 견주어,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의 방식으로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 기기더러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유형을 획득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 주동적으로 요청 정보를 송신하여, 필요로 하는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게 한다. 해당 방식을 이용하면, 사용자 기기는 주동적으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속적으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여 자원 낭비를 조성하는 것을 피면함으로써, 네트워크 오버헤드의 절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 실시 방식은,
S210,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10)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및
S220,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S220)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며,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포함함 -; 및
S230,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의 방식으로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는 것을 통해, 아이들(IDLE) 상태 또는 비활성화(INACTIVE) 상태에 있는 사용자 기기가 포지셔닝을 수행하는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필요로 할 때, 네트워크측 기기에 주동적으로 요청 정보를 송신하여, 필요로 하는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게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는,
예컨대,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글로벌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ATELLITE SYSTEM, GLONASS), 갈릴레오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GALILEO), 준천정 위성 시스템(Quasi-Zenith Satellite System, QZSS), 베이더우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DS) 및 위성 기반 보강 시스템(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s, SBAS)을 포함하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중 한가지 유형에 기초한 포지셔닝 데이터;
예컨대, 광역 확장 시스템(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WAAS), 유럽 지구 정지 내비게이션 중첩 서비스(European Geostationary Navigation Overlay Service, EGNOS), 다기능 위성 보강 시스템(Multi-Functional Satellite Augmentation System, MSAS) 및 보조형 정지궤도 보강 내비게이션 GAGAN(GPS-aided GEO augmented navigation)시스템을 포함하는 SBAS 시스템 중 한가지 유형에 기초한 포지셔닝 데이터;
예컨대, 베이더우의 지반 보강 시스템과 같은 미래의 도입되는 새로운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새로운 지반 보강 시스템에 기초한 포지셔닝 데이터; 및
도착 차등 시간 포지셔닝 법(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에 기초한 포지셔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브로스캐스트의 방식을 통해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유형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즉, 사용자 기기에 상술한 각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어떤 유형을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지를 송신하며, 예컨대, 어떤 유형의 GNSS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 및/또는 어떤 유형의 SBAS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는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 기기에 상술한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해당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 포함된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GNSS의 기본 정보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한다. 예컨대, 해당 기본 정보는 기본 스타이페메리스 및/또는 시간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방식을 토대로,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10)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포함하며, 즉, 사용자 기기가 확정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서 지시된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에 속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제공한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유형 정보, 이미 수신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 및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유형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측 기기가 기타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정보를 추가로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더 필요로 한다고 판단했을 때, 추가로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포지셔닝 보조 정보를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로 확정하며, 또한 진일보하여 확정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예컨대, 사용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시한 제공할 수 있는 GNSS 시스템의 유형, 이미 수신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 및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GNSS 시스템의 유형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측 기기가 예컨대 광역 차동 보정 정보와 같은 기타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정보를 추가로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더 필요로 한다고 판단했을 때,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진일보하여,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10)에서, 해당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S220)에서, 포지셔닝 관련 정보가 지시한 송신 방식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는 포지셔닝 정보 요청의 송신 방식을 지시하는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이한 식별 정보를 통해 사용자 기기가 상이한 송신 방식을 이용하여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 방식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preamble 송신의 방식을 이용할 때, 사용자 기기는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용 preamble을 통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응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는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에서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할 때, 동시에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용 preamble을 지시한다. 해당 방식을 토대로, 단계 S220에서, 사용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할 때, 물리층의 자원을 통해 요청한 상이한 유형의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구분하며, 예컨대, 상이한 preamble은 상이한 유형의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요청함을 나타낸다.
RRC 메시지 송신의 방식을 이용할 때, 사용자 기기는 RRC 시스템 요청 메지시 중에서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유형 정보가 캐리되는 방식을 통해,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할 것을 요청한다. 또한 해당 방식을 토대로, RRC 시스템 정보를 통해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RRC의 시스템 요청 메시지 중에 캐리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유형 정보는, GNSS 중 한가지 유형(예컨대, GPS,GLONASS 또는 BDS 등)의 식별 정보, 또는 광역 차동 보정 시스템의 SBAS의 식별 정보, 또는 기타 포지셔닝 방법(예컨대 관측 도착 차등 시간에 기초한 삼각 포지셔닝 방법(OTDOA), 업링크 신호 도착 차등 시간에 기초한 삼각 포지셔닝 방법(UTDOA)의 유형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방식에서, RRC 메시지 송신의 방식을 이용하고, 네트워크 기기가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가 OTDOA 유형일 때, 사용자 기기는 자신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제공하고, 네트워크를 보조하여 OTDOA의 측정 타깃 셀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공하지 않는 정황 하에, 네트워크측 기기는 맹목적으로 주위의 모든 셀의 정보를 모두 송신하여, 라디오의 시그널링 오버헤드 증가를 초래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실시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10,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S310)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S320,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20)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됨 -;
S330,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330); 및
S340,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을 경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방식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한다.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는 구체적으로 그 중 한가지 유형의 GNSS, 또는 한가지 유형의 SBAS 시스템의 포지셔닝 데이터, 또는 OTDOA의 포지셔닝 데이터일 수 있다.
상술한 방식을 토대로, 네트워크측 기기는 사용자 기기에 상술한 각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어떤 유형을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지를 송신하며, 예컨대, 어떤 유형의 GNSS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 및/또는 어떤 유형의 SBAS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는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 기기에 상술한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해당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 포함된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GNSS의 기본 정보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한다. 예컨대, 해당 기본 정보는 기본 스타이페메리스 및/또는 시간 등을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S310)에서, 해당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20)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지시한 송신 방식을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는 포지셔닝 정보 요청의 송신 방식을 지시하는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이한 식별 정보를 통해 사용자 기기가 상이한 송신 방식을 이용하여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다.
preamble 송신의 방식을 이용할 때, 사용자 기기는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용 preamble을 통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응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는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에서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할 때, 동시에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용 preamble을 지시한다. 해당 방식을 토대로, 사용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할 때, 물리층의 자원을 통해 요청한 상이한 유형의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구분하며, 예컨대, 상이한 preamble은 상이한 유형의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요청함을 나타낸다.
RRC 메시지 송신의 방식을 이용할 때, 사용자 기기는 RRC 시스템 요청 메지시 중에서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유형 정보가 캐리되는 방식을 통해,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할 것을 요청한다. 또한 해당 방식을 토대로, RRC 시스템 정보를 통해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20) 후에, 진일보하여 사용자 기기가 요청한 타깃 위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현재 저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저장시, 즉,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을 경우, 사용자 기기에 필요되는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며;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제공될 수 없을 경우, 즉,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이용할 수 없거나, 유효하지 않거나 또는 저장되지 않을 때,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의해 사용자 기기가 필요로 하는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하며,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포지셔닝 관리 서버가 획득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사용자 기기에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할 수 있다.
위의 과정에 기초하여, 단계 S340 후에,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본 개시의 상술한 방법에서, 단계 S340에서, 포지셔징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틀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해당 요청 메시지 중에는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유형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유형 정보는 상기 언급된 GNSS의 임의의 한가지 유형 또는 SBAS의 임의의 한가지 유형일 수 있다. 진일보하여, 해당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 Positioning Protocol Annex, NRPPa) 메시지를 통해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NRPPa 메시지는 전문적으로 브로드캐스트를 필요로 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새롭게 정의된 메시지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관리 서버는 해당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NRPPa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기기가 필요로 하는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의 방식으로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 기기는 주동적으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을 송신하여,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속적으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여 자원 낭비를 조성하는 것을 피면함으로써, 네트워크 오버헤드의 절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 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10,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410); 및
S420, 상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4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S410)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며
여기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420)에서,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술한 방식을 토대로, 사용자 기기가 주동적으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을 송신할 때, 네트워크측 기기는 사용자 기기가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유형에 기초하여,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의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사용자 기기가 필요로 하는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기기, 네트워크측 기기 및 포지셔닝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은,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할 수 있으며,
S510, 네트워크측 기기가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S510) - 해당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즉, 사용자 기기에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유형을 브로드캐스함 -;
S520, 사용자 기기가 포지셔닝을 수행할 대,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S520) - 해당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됨 -;
S530, 네트워크측 기기는 사용자 기기가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공할 수 있을 때 S540을 수행하며; 제공할 수 없을 때 S550을 수행하며;
S540, 네트워크측 기기가 사용자 기기에 사용자 기기가 필요로 하는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S540);
S550, 네트워크측 기기가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550);
S560, 포지셔닝 관리 서버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고, 또한 S540을 수행하는 단계(S560); 및
S570, 사용자 기기가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고, 또한 후속의 포지셔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57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 방식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S510)에서, 또한 사용자 기기가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해당 송신 방식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송신할 때, GPS의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용 preamble 코드의 번호는 55이며, BDS의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용 preamble 코드의 번호는 56이라고 지시한다.
단계 S510의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시한 상술한 송신 방식을 토대로, 아이들(IDLE) 상태 또는 비활성화(INACTIVE) 상태 하의 사용자 기기가 포지셔닝을 수행할 때 BDS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필요로 할 때, 단계 S520에서, 업링크 랜덤 액세스 자원을 통해 번호 56인 preamble 코드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는 해당 preamble의 정보를 수신한 후,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을 송신할 때 수신 확인을 준다. 그 후 단계 S530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해당 preamble의 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필요로 하는 BDS 시스템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고, 또한 네트워크측 기기에 유효한 BDS 시스템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가 저장된 것을 확정할 때, 네트워크측 기기는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사용자 기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측 기기에 유효한 BDS 시스템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았을 때,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보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 중 예컨대 베이더우 시스템과 같은 요청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유형 정보가 캐리된다. 포지셔닝 관리 서버는 해당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최신 유효한 베이더우 시스템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암호화가 가능하며, 운영자의 전략에 달려 있음)를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포지셔넝 보조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셀 내의 해당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며, 사용자 기기는 해당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 후 후속의 포지셔닝 과정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 방식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S510)에서, 또한 사용자 기기가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해당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단계 S510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네트워크 측이 GNSS 중 GPS 및 BDS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송신을 지원하는 것을 브로드캐스트하며, 또한 RRC 시그널링을 통해 관련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요청을 필요로 하는 것을 지시한다. 사용자 기기가 필요로 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RRC 정보 통신을 통해 메시지 중 원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 유형 정보를 캐리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바, 예컨대, 베이더우, 광역 차동 데이터 또는 OTDOA 등이다. 네트워크측 기기가 해당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후, 네트워크측 기기에 유효한 요청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았을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해당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 중 요청할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정보도 캐리된다. 포지셔닝 관리 서버는 해당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최신 유효한 베이더우 시스템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암호화가 가능하며, 운영자의 전략에 달려 있음)를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포지셔넝 보조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셀 내의 해당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며, 사용자 기기는 해당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 후 후속의 포지셔닝 과정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측 기기는 자신이 지원하는 GNSS(예컨대, GPS, GLONASS, 갈릴레오, 베이더우 시스템 등과 같은 글로벌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SBAS(예컨대, WAAS, EGNOS 등과 같은 위성 기반 보강 시스템)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사용자 기기는 자신이 획득할 것을 원하는 GNSS 및 SBAS의 정보를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 관련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가 없을 때 해당 요청을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의해 관련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하며, 네트워크측 기기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사용자 기기에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를 더 제공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601), 및 버스 인터페이스(602)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601)에 연결된 메모리(603)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603)는 상기 프로세서(601)가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601)는 상기 메모리(603) 중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호출하여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송수신기(604)는 버스 인터페이스(602)에 연결되고, 프로세서(601)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01)는 메모리(603) 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며,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01)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가 포함되며,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01)가 획득한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601)는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가 지시한 송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방식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6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6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604)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605)는 또한 기기에 외접 또는 내접할 수 있는 상이페이스일 수 있고, 접속된 기기들은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6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603)는 프로세서(601)가 작업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술한 실시예의 전부 또는 부분 단계의 구현은 하드웨어를 통해 완성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관련된 하드웨어를 지시하는 것을 통해 완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방법의 부분 또는 전부 단계를 수행하는 시그널링을 포함하며;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일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매체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고, 송수신기(701), 메모리(702), 프로세서(700) 및 상기 메모리(702)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70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프로세서(700)는 메모리(702) 중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호출하여 수행한다.
송수신기(701)는 프로세서(700)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700)는 메모리(702) 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됨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을 경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700)는 또한,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및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가 포함되며,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700)가 상기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할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700)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지시한 송신 방식을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방식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700)는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7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7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702)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701)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700)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702)는 프로세서(700)가 작업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술한 실시예의 전부 또는 부분 단계의 구현은 하드웨어를 통해 완성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관련된 하드웨어를 지시하는 것을 통해 완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방법의 부분 또는 전부 단계를 수행하는 시그널링을 포함하며;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일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매체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포지셔닝 관리 서버를 더 제공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801), 메모리(802), 프로세서(800) 및 상기 메모리(802)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80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프로세서(800)는 메모리(802) 중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호출하여 수행한다.
송수신기(801)는 프로세서(800)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00)는 메모리(802) 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02)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800)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할 때,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8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802)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801)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800)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802)는 프로세서(800)가 작업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술한 실시예의 전부 또는 부분 단계의 구현은 하드웨어를 통해 완성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관련된 하드웨어를 지시하는 것을 통해 완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방법의 부분 또는 전부 단계를 수행하는 시그널링을 포함하며;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일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매체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를 더 제공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 획득 모듈(910)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1 요청 모듈(920)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며,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930);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요청 모듈(920)은 또한,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가 포함되며,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1 요청 모듈(920)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할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가 지시한 송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방식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를 더 제공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1001)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1002)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됨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1003);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을 경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요청 모듈(1004);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요청 모듈(1004)은 또한,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및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가 포함되며,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제1 송신 모듈(1001)은 상기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할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제2 송신 모듈(1001)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할 때,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지시한 송신 방식을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방식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2 요청 모듈(1004)이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기 위한 제3 수신 모듈(1101);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1102);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수신 모듈(1101)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획득할 때,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며;
여기서, 제3 송신 모듈(1102)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할 때,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 은,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또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 방식의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술한 실시예 방법은 소프트웨어에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의 방식을 결합으로 실현가능한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를 통하여서도 실현 가능하지만, 많은 상황에서, 전자가 더욱 양호한 실시 방식임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복수개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단말( 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더러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계시 하에, 본 개시의 취지 및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정황하에 더 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상 기술한 것은 본 개시의 선택적인 실시 방식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본 개시에서 기술한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약간의 개진과 윤색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진과 윤색 또한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지적해야 한다.

Claims (34)

  1. 사용자 기기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며,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가 포함되며,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는 것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가 지시한 송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것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며,
    상기 송신 방식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6.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됨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을 경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 중에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가 포함되며,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는 것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지시한 송신 방식을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것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방식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며,
    상기 송신 방식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일 때,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상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12.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송신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며;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엔알 포지셔닝 추가 프로토콜(NRPPa) 메시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인,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14. 사용자 기기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한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 획득 모듈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네트워크측 기기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1 요청 모듈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며,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
    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
  15.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에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 상기 포지셔닝 관련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할 수 있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송신한 포지셔닝 정보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 - 상기 포지셔닝 정보 요청 중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획득을 요청한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됨 -;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을 경우, 포지셔닝 관리 서버에 상기 타깃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요청 모듈;
    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217010422A 2018-09-20 2019-09-20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 및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기 KR102476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102324.0 2018-09-20
CN201811102324.0A CN110933715B (zh) 2018-09-20 2018-09-20 获取及提供定位辅助数据的方法、装置及设备
PCT/CN2019/106931 WO2020057630A1 (zh) 2018-09-20 2019-09-20 获取及提供定位辅助数据的方法、装置及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105A KR20210057105A (ko) 2021-05-20
KR102476106B1 true KR102476106B1 (ko) 2022-12-08

Family

ID=69855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422A KR102476106B1 (ko) 2018-09-20 2019-09-20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 및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86085A1 (ko)
EP (1) EP3855800A4 (ko)
KR (1) KR102476106B1 (ko)
CN (1) CN110933715B (ko)
WO (1) WO2020057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8121B2 (en) * 2019-10-03 2023-04-25 Qualcomm Incorporated Real time difference (RTD) reporting for mobile device-based positioning
CN113498050B (zh) * 2020-04-01 2022-09-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能力获取、发送方法、定位服务器及设备
WO2021203443A1 (zh) * 2020-04-10 2021-10-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信息上报的方法及通信装置
CN111610542A (zh) * 2020-05-04 2020-09-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定位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CN114071672B (zh) * 2020-08-07 2024-05-0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终端及基站
CN114071668B (zh) * 2020-08-07 2024-04-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终端及基站
WO2022073215A1 (en) * 2020-10-09 2022-04-14 Nokia Shanghai Bell Co., Ltd. Updating positioning assistance configuration
CN112887934B (zh) * 2021-01-25 2023-02-17 爱驰汽车有限公司 基于共享定位辅助设备的定位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CN114422020B (zh) * 2022-01-12 2023-03-14 清华大学 一种宽带卫星通信系统导航服务方法、系统和介质
CN116582946A (zh) * 2022-01-30 2023-08-11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系统信息发送、接收方法及设备、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8209A1 (en) * 2006-02-28 2009-09-10 Kimmo Alan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ssisted navigation systems
US20180063680A1 (en) * 2016-08-26 2018-03-01 Qualcomm Incorporated Otdoa positioning via local wireless transmitters
US20180199160A1 (en) * 2017-01-09 2018-07-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control plane location in a fifth generation wirel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0917B1 (en) * 1999-10-04 2003-07-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lecommunications network broadcasting of service capabilities
US6895249B2 (en) * 2000-07-14 2005-05-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position location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50663B2 (en) * 2001-08-24 2005-09-27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of locating a mobile station based on observed time difference
US7123928B2 (en) * 2003-07-21 2006-10-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using a base station almanac for position determination
US8509761B2 (en) * 2005-09-15 2013-08-13 At&T Mobility Ii Llc Location based services quality assessment
US9066308B2 (en) * 2007-12-04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upported network information for positioning
US9435874B2 (en) * 2009-04-21 2016-09-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ositioning for terminals in a wireless network
CN101998229A (zh) * 2009-08-17 2011-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止定位进程的方法与装置
CN101998626B (zh) * 2009-08-25 2014-07-0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演进型基站定位能力的通知方法及设备
US9100809B2 (en) * 2009-12-21 2015-08-04 Julia Olincy Olincy Automatic response option mobile system for responding to incoming texts or calls or both
CN102137332B (zh) * 2010-01-26 2016-03-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广播下发辅助定位数据的方法及系统
US8436769B2 (en) * 2010-08-19 2013-05-07 Mediatek Inc. Apparatus for performing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s and storage media
CN102469578A (zh) * 2010-11-05 2012-05-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定位业务的方法及系统
CN102438311B (zh) * 2012-01-21 2015-08-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mdt定位方式的选择方法和设备
EP2807784A1 (en) * 2012-01-27 2014-12-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or methods for providing epdcch in a multiple carrier based and/or quasi-collated network
US20140162693A1 (en) * 2012-06-15 2014-06-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in a venue
US20140036794A1 (en) * 2012-08-03 2014-02-06 Ali T. Koc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EP3222109A4 (en) * 2014-11-17 2018-07-04 Intel IP Corporatio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 assisted domain selection
CN107925496B (zh) * 2015-08-25 2019-09-17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测量用于定位的参考信号的方法及设备
US9723437B1 (en) * 2016-02-01 2017-08-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ositioning performance on a mobile device with carrier aggregation capabilities
US10687288B2 (en) * 2016-02-02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across transmitting nodes using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US10461902B2 (en) * 2016-02-03 2019-10-29 Sony Corporatio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735156B2 (en) * 2016-03-24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for enhanced carrier aggregation
CN107306448B (zh) * 2016-04-25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定位方法及装置
CN108205150B (zh) * 2016-12-19 2021-07-27 千寻位置网络有限公司 差分定位方法及系统
CN206350034U (zh) * 2016-12-23 2017-07-21 深圳市德传技术有限公司 一种rtu控制终端及远程智能采集和控制系统
US10070393B2 (en) * 2017-01-30 2018-09-04 Blackberry Limited Control of uplink data transmission
US11012820B2 (en) * 2017-05-05 2021-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US11356804B2 (en) * 2018-02-25 2022-06-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supporting broadcast of location assistance data in a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8209A1 (en) * 2006-02-28 2009-09-10 Kimmo Alan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ssisted navigation systems
US20180063680A1 (en) * 2016-08-26 2018-03-01 Qualcomm Incorporated Otdoa positioning via local wireless transmitters
US20180199160A1 (en) * 2017-01-09 2018-07-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control plane location in a fifth generation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33715A (zh) 2020-03-27
KR20210057105A (ko) 2021-05-20
CN110933715B (zh) 2021-11-05
WO2020057630A1 (zh) 2020-03-26
EP3855800A4 (en) 2021-11-17
EP3855800A1 (en) 2021-07-28
US20210286085A1 (en)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106B1 (ko)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획득 및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기
CN111971980B (zh) 分布式定位管理功能
EP22788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for a location service
US90663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upported network information for positioning
US11540249B2 (en) Positioning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NG-RAN node and core network node
WO2017070909A1 (zh) 移动网络中的定位方法、基站和移动终端
CN112738821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9282428B1 (en) Positioning request in paging message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818678B2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9137774B2 (en) Position measurement system, positio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position information administration device, and position measurement method
US107754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ybrid mode positioning sche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43128A (ko)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배치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465325B (zh) 一种移动终端的定位方法及移动终端
WO2016029391A1 (zh) 一种接入网节点、核心网节点和寻呼方法
US20240098679A1 (en) User device positioning using assistance data
CN110913327A (zh) 一种传输定位辅助信息的方法及装置
US20230033454A1 (en) Ue-based and ue-assisted positioning with downlink and uplink measurements for ue in idle or inactive mode
JP2008002880A (ja) 測位アシスト方法、測位アシストサーバ及び測位システム
WO2022188183A1 (zh) 一种位置信息发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3698792A (zh) 网络服务器、终端、定位系统和定位方法
WO202306532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idelink positioning
CN108401499B (zh) 确定位置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WO2023131195A1 (zh) 定位配置方法、定位方法及设备
WO2024073979A1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performing sidelink positioning without sidelink positioning protocol session
EP4135361A1 (en) Policy control for broadcast se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