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841B1 -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841B1
KR102475841B1 KR1020220083314A KR20220083314A KR102475841B1 KR 102475841 B1 KR102475841 B1 KR 102475841B1 KR 1020220083314 A KR1020220083314 A KR 1020220083314A KR 20220083314 A KR20220083314 A KR 20220083314A KR 102475841 B1 KR102475841 B1 KR 102475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guide
module
disposed
moving ba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에스티
Priority to KR102022008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841B1/ko
Priority to KR1020220167872A priority patent/KR102522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1Control or correction devices in association with moving strips
    • B21D43/023Centering devices, e.g. edge gui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되는 강판의 위치를 조정하는 고정가이드모듈(100); 상기 고정가이드모듈(100)을 통과한 강판을 이동시키는 피더모듈(200); 상기 피터모듈(200)을 통과한 강판에 홀을 형성시키는 펀치모듈(400); 상기 피더모듈(200) 및 펀치모듈(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더모듈(200)을 통과한 강판을 상기 펀치모듈(400)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모듈(300); 상기 펀치모듈(400)을 통과한 강판을 절단하는 절단모듈(600); 상기 펀치모듈(400) 및 절단모듈(6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펀치모듈(400)을 통과한 강판을 상기 절단모듈(600)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모듈(500);을 포함하는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판을 이동시키는 피더모듈의 입구 측에 상기 강판의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가이드모듈이 배치되기 때문에, 고속 이동되는 강판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STEEL CORE}
본 발명은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로 구성되는데, 드럼세탁기 등에 사용되는 모터는 회전하는 로터가 외측에, 스테이터가 로터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형태의 스테이터의 경우, 코일이 와인딩되는 코어의 티스 부분이 코어의 외주면을 따라 바깥쪽 방사상으로 형성된 형태의 코어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의 코어를 아우터 타입 스테이터 코어(outer type stator core)라고 한다. 반면, 코어의 티스 부분이 코어의 원의 중심쪽으로 향하는 형태의 코어를 이너 타입 스테이터 코어(inner type stator core)라 한다.
종래의 스테이터 코어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전기강판으로부터 6등분한 원호형상의 코어를 타발하고, 이 타발된 코어를 여러장 적층하여 6개의 분할코어 적층체를 형성한 다음, 이 6개의 분할코어 적층체를 용접하여 하나의 코어를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전기강판에 곡선호 모양으로 타발하기 때문에 전기강판으로부터 타발되고 남아서 버려지는 부분이 매우 많아서, 자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기 강판을 직선으로 타발할 수 있다면 버려지는 전기강판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1880호(이하 "선행특허문헌 1")에서는 전기강판을 직선으로 타발하고, 각 공정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제조비용을 낮춘 스파이럴 코어의 제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2628호(이하 "선행특허문헌 2")에서는 타발된 전기 강판을 스파이럴 형태로 와인딩하고 2 단계로 가압하여 스테이터 코어를 제조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18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2628호
본 발명은 강판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강판의 위치를 조정하는 고정가이드모듈(100); 상기 고정가이드모듈(100)을 통과한 강판을 이동시키는 피더모듈(200); 상기 피터모듈(200)을 통과한 강판에 홀을 형성시키는 펀치모듈(400); 상기 피더모듈(200) 및 펀치모듈(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더모듈(200)을 통과한 강판을 상기 펀치모듈(400)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모듈(300); 상기 펀치모듈(400)을 통과한 강판을 절단하는 절단모듈(600); 상기 펀치모듈(400) 및 절단모듈(6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펀치모듈(400)을 통과한 강판을 상기 절단모듈(600)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모듈(500);을 포함하는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가이드모듈(100)은, 상기 강판의 진행과 직교하는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상기 강판의 진행과 직교하는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강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강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과 치합되며, 치합된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을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바(150);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과 치합되며, 치합된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을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바(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를 가압하여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이동바고정어셈블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에 상기 제 1 이동바(150)가 관통되는 제 1-1 관통홀(111)과,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1-2 관통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에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2-1 관통홀(121)과,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2-2 관통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은, 상기 제 1 이동바(150)가 관통되는 제 1-1 블럭홀(130a)과,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1-2 블럭홀(130b)과, 상기 강판(20)의 좌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좌측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은, 상기 제 1 이동바(150)가 관통되는 제 2-1 블럭홀(140a)과,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2-2 블럭홀(140a)와, 상기 강판(20)의 우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우측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롤러는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 좌측에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 1 좌측롤러(131), 제 2 좌측롤러(132) 및 제 3 좌측롤러(133)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롤러는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 좌측에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 1 우측롤러(141), 제 2 우측롤러(142) 및 제 3 우측롤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강판을 이동시키는 피더모듈의 입구 측에 상기 강판의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가이드모듈이 배치되기 때문에, 고속 이동되는 강판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고정가이드모듈이 강판의 좌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좌측롤러와, 강판의 우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우측롤러가 배치되기 때문에, 강판의 양측을 밀착된 상태로 가압하여 고속 이동시 직진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강제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좌측롤러가 제 1 이동바 및 제 2 이동바를 기준으로 전방, 중간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고, 우측롤러가 제 1 이동바 및 제 2 이동바를 기준으로 전방, 중간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얇은 강판이 고속이동되는 과정에서 휨변형되더라도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직진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제 1 이동바 및 제 2 이동바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이동바고정어셈블리가 배치되기 때문에, 좌측롤러 및 우측롤러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기 제 1 이동바 및 제 2 이동바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가이드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더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가이드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우측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가이드모듈이 도시된 좌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가이드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더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가이드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우측롤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는, 공급되는 강판의 위치를 조정하는 고정가이드모듈(100)과, 상기 고정가이드모듈(100)을 통과한 강판을 이동시키는 피더모듈(200)과, 상기 피터모듈(200)을 통과한 강판에 홀을 형성시키는 펀치모듈(400)과, 상기 피더모듈(200) 및 펀치모듈(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더모듈(200)을 통과한 강판을 상기 펀치모듈(400)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모듈(300)과, 상기 펀치모듈(400)을 통과한 강판을 절단하는 절단모듈(600)과, 상기 펀치모듈(400) 및 절단모듈(6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펀치모듈(400)을 통과한 강판을 상기 절단모듈(600)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모듈(500)을 포함한다.
강판은 롤 형태로 말려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가이드모듈(100)에 연속공급된다.
상기 고정가이드모듈(100)은, 연속 공급되는 강판(10)의 좌측가장자리 및 우측가장자리에 밀착되고, 강판(10)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고정가이드모듈(100)은, 상기 강판의 진행과 직교하는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과, 상기 강판의 진행과 직교하는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과,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강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과,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강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과,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과 치합되며, 치합된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을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바(150)와,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과 치합되며, 치합된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을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바(160)와,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를 가압하여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이동바고정어셈블리(17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은 강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은 강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이 상기 강판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은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에 상기 제 1 이동바(150)가 관통되는 제 1-1 관통홀(111)과,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1-2 관통홀(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1 관통홀(111) 및 제 1-2 관통홀(112)이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를 지지한다.
상기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에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2-1 관통홀(121)과,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2-2 관통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1 관통홀(121) 및 제 2-2 관통홀(122)이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를 지지한다.
제 1-1 관통홀(111) 및 제 2-1 관통홀(121)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2 관통홀(122) 및 제 1-2 관통홀(112)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이 강판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이 강판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은, 상기 제 1 이동바(150)가 관통되는 제 1-1 블럭홀(130a)과,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1-2 블럭홀(130b)과, 상기 강판(20)의 좌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좌측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은, 상기 제 1 이동바(150)가 관통되는 제 2-1 블럭홀(140a)과,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2-2 블럭홀(140a)와, 상기 강판(20)의 우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우측롤러를 포함한다.
제 1-1 블럭홀 및 제 2-1 블럭홀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1 블럭록 및 제 2-2 블럭홀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롤러는 제 1 좌측롤러(131), 제 2 좌측롤러(132) 및 제 3 좌측롤러(133)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롤러는 제 1 우측롤러(141), 제 2 우측롤러(142) 및 제 3 우측롤러(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좌측롤러(131), 제 2 좌측롤러(132) 및 제 3 좌측롤러(133)가 강판의 진행방향 좌측에 배치되고, 강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우측롤러(141), 제 2 우측롤러(142) 및 제 3 우측롤러(143)가 강판의 진행방향 우측에 배치되고, 강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좌측롤러(131)가 제 1 좌측롤러축(134)에 조립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좌측롤러(132)가 제 2 좌측롤러축(135)에 조립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 3 좌측롤러(133)가 제 3 좌측롤러축(136)에 조립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우측롤러(141)가 제 1 우측롤러축(144)에 조립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우측롤러(142)가 제 2 우측롤러축(145)에 조립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 3 우측롤러(143)가 제 3 우측롤러축(146)에 조립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 제 2 좌측롤러축(135) 및 제 3 좌측롤러축(136)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 우측롤러축(144), 제 2 우측롤러축(145) 및 제 3 우측롤러축(146)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좌측롤러축(135) 및 제 2 우측롤러축(145)이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 및 제 1 우측롤러축(144)이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 보다 전방 측에 배치된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좌측롤러축(136) 및 제 3 우측롤러축(146)이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 보다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좌측롤러들 및 우측롤러들에서 발생된 진동이 효과적으로 상쇄되지 않을 경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 및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 1 이동바 및 제 2 이동바를 통해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으로 전파되어 가공정밀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의 전방, 중간 및 후방에 각각 롤러축들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강판(20)의 고속 이동 시 발생되는 진동이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 및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에서 상쇄 또는 감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공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강판의 이동 시,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 제 2 좌측롤러축(135) 및 제 3 좌측롤러축(136)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좌측롤러(131), 제 2 좌측롤러(132) 및 제 3 좌측롤러(133)가 각각 회전되면서 상기 강판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강판의 좌우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강판의 이동 시, 상기 제 1 우측롤러축(144), 제 2 우측롤러축(145) 및 제 3 우측롤러축(146)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우측롤러(141), 제 2 우측롤러(142) 및 제 3 우측롤러(143)가 각각 회전되면서 상기 강판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강판의 좌우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좌측롤러 및 우측롤러를 강판(20)에 밀착시켜, 상기 강판(20)의 이동방향에 대해 98% 이상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펀치모듈(400) 및 절단모듈(600)의 가공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강판(20)이 98% 이상의 직진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상기 펀치모듈(400)에서 250mm 기준으로 홀가공위치가 2/100 내지 5/100의 오차를 발생시켜 가공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20)이 98% 이상의 직진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절단모듈(600)에서 250mm 기준으로 5/100 내지 10/100의 오차를 발생시켜 가공불량을 유발한다.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 제 2 좌측롤러축(135) 및 제 3 좌측롤러축(136)은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함께 이동된다.
상기 제 1 좌측롤러(131), 제 2 좌측롤러(132) 및 제 3 좌측롤러(133)의 우측 가장자리에 상기 강판의 좌측가장자리가 지지된다.
상기 제 1 우측롤러(141), 제 2 우측롤러(142) 및 제 3 우측롤러(143)의 좌측 가장자리에 상기 강판의 우측 가장자리가 지지된다.
상기 제 1 우측롤러축(144), 제 2 우측롤러축(145) 및 제 3 우측롤러축(146)은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함께 이동된다.
상기 제 1 좌측롤러(131), 제 2 좌측롤러(132), 제 3 좌측롤러(133), 제 1 우측롤러(141), 제 2 우측롤러(142) 및 제 3 우측롤러(143)의 높이 내에 상기 강판이 위치된다.
상기 제 1 좌측롤러(131), 제 2 좌측롤러(132), 제 3 좌측롤러(133), 제 1 우측롤러(141), 제 2 우측롤러(142) 및 제 3 우측롤러(143)는 디스크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강판이 삽입되는 각각의 롤러홈이 형성된다.
상기 각 롤러홈을 구분할 경우, 제 1 좌측롤러홈(미도시), 제 2 좌측롤러홈(미도시), 제 3 좌측롤러홈(미도시), 제 1 우측롤러홈(141a), 제 2 우측롤러홈(미도시) 및 제 3 우측롤러홈(미도시)이라 한다.
상기 강판이 제 1 좌측롤러홈(미도시), 제 2 좌측롤러홈(미도시), 제 3 좌측롤러홈(미도시), 제 1 우측롤러홈(141a), 제 2 우측롤러홈(미도시) 및 제 3 우측롤러홈(미도시)에 끼워진 상태로 고속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강판의 이동 시, 상기 제 1 좌측롤러(131), 제 2 좌측롤러(132), 제 3 좌측롤러(133), 제 1 우측롤러(141), 제 2 우측롤러(142) 및 제 3 우측롤러(143)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 1 좌측롤러(131), 제 2 좌측롤러(132), 제 3 좌측롤러(133), 제 1 우측롤러(141), 제 2 우측롤러(142) 및 제 3 우측롤러(143)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 및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동바(150)는 강판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를 순서대로 관통한다.
상기 제 1 이동바(150)의 좌측단이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좌측으로 돌출되고, 제 1 이동바(150)의 우측단이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우측으로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이동바(160)의 좌측단이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좌측으로 돌출되고, 제 2 이동바(160)의 우측단이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우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가 강판의 이동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이동바(150)가 상기 제 2 이동바(160) 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2 이동바(1600가 상기 피더모듈(20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이동바(150)의 회전 시,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이동바(160)의 회전 시,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강판(20)의 좌우 폭에 대응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1 블럭홀의 내주면에 제 1 블럭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이동바(150)의 외주면에 제 1 이동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이동나사산 및 제 1 블럭나사산이 치합되고, 상기 제 1 이동바(150)의 회전 시,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 1-2 블럭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 2 이동바(160)의 회전 시 상기 제 2 이동바(160)와 슬립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2-2 블럭홀의 내주면에 제 2 블럭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이동바(160)의 외주면에 제 2 이동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이동나사산 및 제 2 블럭나사산이 치합되고, 상기 제 2 이동바(160)의 회전 시,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 2-1 블럭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 1 이동바(150)의 회전 시 상기 제 1 이동바(150)와 슬립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이동나사산 및 제 1 블럭나사산이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강판이 고속으로 이동되어도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이동나사산 및 제 2 블럭나사산이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강판이 고속으로 이동되어도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 및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바고정어셈블리(170)가 배치된다.
상기 이동바고정어셈블리(170)는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 및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를 직접 고정하는 대신,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를 고정시켜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 및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의 이동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바고정어셈블리(170)는 상기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바고정어셈블리(170)는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의 각 우측단(151)(161)을 고정시킨다.
상기 이동바고정어셈블리(170)는,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의 각 우측단(151)(161)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고정블럭(172)와,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의 각 우측단(151)(161)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고정블럭(174)와, 상기 로어고정블럭(172) 및 어퍼고정블럭(17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회전 시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로어고정블럭(172) 및 어퍼고정블럭(174)을 밀착시키는 블럭회전축(176)과, 상기 블럭회전축(176)과 교차되게 배치되는 핸들(178)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178)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럭회전축(176)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로어고정블럭(172) 및 어퍼고정블럭(174)을 밀착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로어고정블럭(172) 및 어퍼고정블럭(174)에 상기 블럭회전축(176)이 관통되는 로어블럭관통홀(미도시) 및 어퍼블럭관통홀(미도시)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로어블럭관통홀 또는 어퍼블럭관통홀의 각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회전축(176)의 외주면에도 미도시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블럭회전축(176)의 회전 시, 블럭회전축(176)의 나사산 및 블럭관통홀의 나사산이 치합되어 상기 로어고정블럭(172) 및 어퍼고정블럭(174)을 밀착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178)이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되고, 수평하게 배치됨으로써, 핸들(178)의 회전 시 상기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로어블럭관통홀 또는 어퍼블럭관통홀이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의 중간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고정블럭(172) 및 어퍼고정블럭(174)의 밀착 시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에 균일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럭회전축(176), 제 2 좌측롤러축(135) 및 제 2 우측롤러축(145)이 좌우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다.
상기 피더모듈(200)은 피더하우징(210)과, 상기 피더하우징(210)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강판(20)의 상면에 밀착되는 어퍼피더롤러(미도시)와, 상기 피더하우징(210)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강판(20)의 저면에 밀착되는 로어피더롤러(미도시)와, 상기 피더하우징(210)에 배치되는 피더모터(미도시)와, 상기 피더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피더구동부(225)와, 상기 피더하우징(21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피더롤러 또는 로어피더롤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피더종동부(220)와, 상기 피더구동부 및 피더종동부(220)를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피더벨트(230)를 포함한다.
상기 피더모듈(200)은, 상기 피더하우징(210)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피더롤러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는 어퍼높이조절레버(240)와, 상기 피더하우징(210)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피더롤러의 상호 높낮이를 조절하는 로어높이조절레버(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높이조절레버(240) 또는 로어높이조절레버(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어퍼피더롤러 및 로어피더롤러의 상하 간격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어퍼높이조절레버(240) 및 로어높이조절레버(250)를 통해 강판의 두께 및 높낮이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모듈(300)이 상기 피더모듈(200)을 통과한 강판(20)을 상기 펀치모듈(400)로 안내한다.
상기 펀치모듈(400)이 공급된 강판을 가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펀치모듈(400)이 공급된 강판을 홀 가공한다.
상기 제 2 가이드모듈(500)이 상기 펀치모듈(400)에서 가공된 강판을 상기 절단모듈(600)로 안내한다.
상기 절단모듈(600)은 상기 제 2 가이드모듈(500)을 통해 공급된 강판을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가이드모듈이 도시된 좌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가이드모듈(100)은 좌측롤러들 및 우측롤러들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모듈(700)이 더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측롤러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우측롤러에도 동일한 구조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좌측롤러(131), 제 2 좌측롤러(132) 및 제 3 좌측롤러(133)는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 제 2 좌측롤러축(135) 및 제 3 좌측롤러축(136)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은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제 1 좌측축홀(734)와, 상기 제 2 좌측롤러축(135)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제 2 좌측축홀(735)와, 상기 제 3 좌측롤러축(136)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제 3 좌측축홀(73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좌측축홀(734), 제 2 좌측축홀(735) 및 제 3 좌측축홀(736)이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의 상단이 상기 제 1 좌측롤러(131)와 공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제 1 좌측축홀(734)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넙적한 제 1 좌측롤러축판(7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제 1 좌측롤러축홈(74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좌측롤러축(135)의 상단이 상기 제 2 좌측롤러(132)와 공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제 2 좌측축홀(735)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좌측롤러축(135)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넙적한 제 2 좌측롤러축판(7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좌측롤러축(135)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제 2 좌측롤러축홈(745)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좌측롤러축(136)의 상단이 상기 제 3 좌측롤러(133)와 공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제 3 좌측축홀(736)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좌측롤러축(136)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넙적한 제 3 좌측롤러축판(7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좌측롤러축(136)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제 3 좌측롤러축홈(746)이 형성된다.
상기 높낮이조절모듈(700)은,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의 제 1 좌측롤러축홈(744)과 치합되고, 회전 시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과,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의 외측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통해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을 회전시키는 제 1 높낮이조절핸들(75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높낮이조절모듈(700)은, 상기 제 2 좌측롤러축(135)의 제 2 좌측롤러축홈(745)과 치합되고, 회전 시 상기 제 2 좌측롤러축(135)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과,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의 외측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통해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을 회전시키는 제 2 높낮이조절핸들(752)과, 상기 제 3 좌측롤러축(135)의 제 3 좌측롤러축홈(746)과 치합되고, 회전 시 상기 제 3 좌측롤러축(136)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과,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의 외측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통해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을 회전시키는 제 3 높낮이조절핸들(753)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이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의 전면(1131)에서 후면(1132) 방향으로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이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의 후면(1132)에서 전면(1131) 방향으로 삽입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이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의 좌측면(1133)에서 우측방향으로 삽입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 및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제 1 높낮이조절핸들(751), 제 2 높낮이조절핸들(752) 및 제 3 높낮이조절핸들(753)를 조작할 수 있는 작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 및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이 동일 높이에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이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 및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과 직교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의 외주면에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의 제 1 좌측롤러축홈(744)과 대응되는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 및 제 1 좌측롤러축(134)이 직교되고,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의 회전 시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 및 제 1 좌측롤러축(134)이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의 하중 및 외력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 1 좌측롤러(131)의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의 외주면에 상기 제 2 좌측롤러축(135)의 제 2 좌측롤러축홈(745)과 대응되는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 및 제 2 좌측롤러축(135)이 직교되고,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의 회전 시 상기 제 2 좌측롤러축(13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 및 제 2 좌측롤러축(135)이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좌측롤러축(135)의 하중 및 외력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 2 좌측롤러(132)의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의 외주면에 상기 제 3 좌측롤러축(136)의 제 3 좌측롤러축홈(746)과 대응되는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 및 제 3 좌측롤러축(136)이 직교되고,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의 회전 시 상기 제 3 좌측롤러축(136)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 및 제 3 좌측롤러축(136)이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 3 좌측롤러축(136)의 하중 및 외력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 3 좌측롤러(133)의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의 전방측단에 제 1 회전판(761)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전판(761)에 제 1 높낮이조절핸들(751)이 편심되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의 좌측단에 제 2 회전판(762)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회전판(762)에 제 2 높낮이조절핸들(752)이 편심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의 후방측단에 제 3 회전판(763)이 배치되고, 상기 제 3 회전판(763)에 제 3 높낮이조절핸들(753)이 편심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높낮이조절모듈(700)은, 상기 제 1 좌측축홀(734)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축탄성부재(77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축탄성부재(771)가 상기 제 1 좌측롤러축판(724)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제 1 좌측롤러축(134)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높낮이조절모듈(700)은, 상기 제 2 좌측축홀(735)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축탄성부재(772)와, 상기 제 3 좌측축홀(736) 내부에 배치되는 제 3 축탄성부재(77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축탄성부재(772)가 상기 제 2 좌측롤러축판(725)을 탄성지지하며, 상기 제 3 축탄성부재(773)가 상기 제 3 좌측롤러축판(726)을 탄성지지한다.
한편, 상기 제 1 좌측축홀(734)과 직교하게 연통되고,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의 단(711a)이 삽입되는 제 1 좌측수평지지홈(781)과, 상기 제 2 좌측축홀(735)과 직교하게 연통되고,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의 단이 삽입되는 제 2 좌측수평지지홈(미도시)과, 상기 제 3 좌측축홀(736)과 직교하게 연통되고,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의 단(713a)이 삽입되는 제 3 좌측수평지지홈(783)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좌측수평지지홈(781)에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의 후방측 단(711a)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홈(711)의 회전 시에도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의 후방측 단(711a)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좌측높낮이조절축(711) 및 제 1 좌측롤러축(134)이 치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좌측수평지지홈(미도시)에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의 우측측 단이 삽입되고,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홈(712)의 회전 시에도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의 우측 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좌측높낮이조절축(712) 및 제 2 좌측롤러축(135)이 치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좌측수평지지홈(783)에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의 전방측 단(713a)이 삽입되고,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홈(713)의 회전 시에도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의 전방측 단(713a)을 지지하고, 상기 제 3 좌측높낮이조절축(713) 및 제 3 좌측롤러축(136)이 치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모듈(700)은, 우측롤러축들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성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를 구분할 경우, "좌측" 대신 "우측"의 명칭을 붙여 구분하겠다.
그래서, 본 실시예는 강판의 두께 또는 피더모듈(200)에 의한 강판의 이동속도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좌측롤러들 및 우측롤러들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강판의 휨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고정가이드모듈 200 : 피더모듈
300 : 제 1 가이드모듈 400 : 펀치모듈
500 : 제 2 가이드모듈 600 : 절단모듈

Claims (5)

  1. 공급되는 강판의 위치를 조정하는 고정가이드모듈(100);
    상기 고정가이드모듈(100)을 통과한 강판을 이동시키는 피더모듈(200);
    상기 피더모듈(200)을 통과한 강판에 홀을 형성시키는 펀치모듈(400);
    상기 피더모듈(200) 및 펀치모듈(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더모듈(200)을 통과한 강판을 상기 펀치모듈(400)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모듈(300);
    상기 펀치모듈(400)을 통과한 강판을 절단하는 절단모듈(600);
    상기 펀치모듈(400) 및 절단모듈(6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펀치모듈(400)을 통과한 강판을 상기 절단모듈(600)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모듈(5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가이드모듈(100)은,
    상기 강판의 진행과 직교하는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상기 강판의 진행과 직교하는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강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강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과 치합되며, 치합된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을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바(150);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 및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과 치합되며, 치합된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을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바(16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동바(150) 및 제 2 이동바(160)를 가압하여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이동바고정어셈블리(170)를 더 포함하는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가이드프레임(110)에 상기 제 1 이동바(150)가 관통되는 제 1-1 관통홀(111)과,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1-2 관통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가이드프레임(120)에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2-1 관통홀(121)과,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2-2 관통홀(122)이 형성된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가이드블럭(130)은,
    상기 제 1 이동바(150)가 관통되는 제 1-1 블럭홀(130a)과,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1-2 블럭홀(130b)과, 상기 강판(20)의 좌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좌측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가이드블럭(140)은,
    상기 제 1 이동바(150)가 관통되는 제 2-1 블럭홀(140a)과, 상기 제 2 이동바(160)가 관통되는 제 2-2 블럭홀(140a)와, 상기 강판(20)의 우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우측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롤러는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 좌측에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 1 좌측롤러(131), 제 2 좌측롤러(132) 및 제 3 좌측롤러(133)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롤러는 상기 강판의 진행방향 좌측에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 1 우측롤러(141), 제 2 우측롤러(142) 및 제 3 우측롤러(143)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KR1020220083314A 2022-07-06 2022-07-06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KR102475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314A KR102475841B1 (ko) 2022-07-06 2022-07-06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KR1020220167872A KR102522564B1 (ko) 2022-07-06 2022-12-05 강판의 높이와 두께에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조절모듈을 구비한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314A KR102475841B1 (ko) 2022-07-06 2022-07-06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872A Division KR102522564B1 (ko) 2022-07-06 2022-12-05 강판의 높이와 두께에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조절모듈을 구비한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841B1 true KR102475841B1 (ko) 2022-12-09

Family

ID=844405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314A KR102475841B1 (ko) 2022-07-06 2022-07-06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KR1020220167872A KR102522564B1 (ko) 2022-07-06 2022-12-05 강판의 높이와 두께에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조절모듈을 구비한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872A KR102522564B1 (ko) 2022-07-06 2022-12-05 강판의 높이와 두께에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조절모듈을 구비한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58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412U (ja) * 1983-07-06 1985-02-0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金属帯のサイドガイド装置
JPH1198774A (ja) * 1997-09-19 1999-04-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テータの製造方法
KR100902628B1 (ko) 2009-02-16 2009-06-15 (주)태화기업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와인딩 장치
KR100911880B1 (ko) 2009-02-16 2009-08-11 (주)태화기업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KR20180033549A (ko) * 2015-09-04 2018-04-0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철심 제조 장치 및 적층 철심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412U (ja) * 1983-07-06 1985-02-0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金属帯のサイドガイド装置
JPH1198774A (ja) * 1997-09-19 1999-04-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テータの製造方法
KR100902628B1 (ko) 2009-02-16 2009-06-15 (주)태화기업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와인딩 장치
KR100911880B1 (ko) 2009-02-16 2009-08-11 (주)태화기업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KR20180033549A (ko) * 2015-09-04 2018-04-0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철심 제조 장치 및 적층 철심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564B1 (ko)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6170B2 (ja) レーザーブランキング装置
KR101161316B1 (ko) 사각단면을 가진 와이어의 성형장치
JP2011036916A (ja) 連続して四角形の管を成形するための線形物形状可変装置
KR20090122671A (ko) 철판 절단기용 폭 가변 안내장치
US20090083965A1 (en) Stator core for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75841B1 (ko) 전기강판 코어 제조장치
JP2006342482A (ja) 紡績機のための二つのドラフト装置を含むツインユニット
WO2017154860A1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9047689A (ja) 順送プレス装置
CN1297358C (zh) 宽幅卷料纵向和横向进给自动送料方法和装置
JP6059448B2 (ja) タイミングベルト式冷間ロール成形機及び冷間ロール造管機
KR101045077B1 (ko) 시트 재료 공급 장치
JPH106279A (ja) カッター機構
KR101928341B1 (ko) 사이드 스크랩 인출 가이드 장치
KR101818551B1 (ko) 인라인 포밍장치 및 인라인 롤 포밍장치용 스택커
JP2001187654A (ja) 押圧力を調整可能なローラ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シート材の搬送機構
JP4881036B2 (ja) 抜き加工装置
JP4059737B2 (ja) ロール曲げ成形方法及びロール曲げ成形装置
CN220538231U (zh) 一种用于枕头生产的面料切割装置
US1163748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otor in which magnet is inserted into magnet hole of rotor core
CN211248084U (zh) 一种新型五轴弯线机
CN109365591B (zh) 一种钢带的上料定位装置
JP2003025011A (ja) 湿式伸線機
JP6008497B2 (ja) ロボット
JP2023133770A (ja) シート製造方法及びシート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