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241B1 -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241B1
KR102475241B1 KR1020210080518A KR20210080518A KR102475241B1 KR 102475241 B1 KR102475241 B1 KR 102475241B1 KR 1020210080518 A KR1020210080518 A KR 1020210080518A KR 20210080518 A KR20210080518 A KR 20210080518A KR 102475241 B1 KR102475241 B1 KR 102475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pipe
heat source
accommodating por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원
전선욱
Original Assignee
김명원
전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원, 전선욱 filed Critical 김명원
Priority to KR102021008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5Convecting elements concealed in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8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with heat spreading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9Tube-lay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7Heat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히트파이프는 수평으로 길게 시공된 상태에서 내부 하측 공간 내의 작동유체가 외부 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어 수직 상승한 후 응축되어 수직 하강하는 이동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열원은 히트파이프의 외부 하측에 히트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되어 열을 공급한다. 히트싱크는 열원을 히트파이프의 외부 하측에 히트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시켜 지지한 상태로 히트파이프와 함께 수용하며, 히트파이프로부터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한다.

Description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Heat pipe assembly for heating}
본 발명은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돌 난방 또는 시설 난방 등에 적용될 수 있는 히트파이프 조립체에 관한 기술이다.
현재 온돌용 히트파이프 난방방식은 열원에 따라 온수식과 전기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온수식은 일측에 있는 온수관 헤드의 온수열을 열원으로 사용하고, 전기식은 전기히터의 전기저항열을 열원으로 사용한다.
히트파이프는 온수열 또는 전기저항열을 흡열부(증발부)에서 흡열하면 내부 작동유체가 기화하여 방열부로 이동해서 방열한 후, 응축된 액상상태의 작동유체가 흡열부로 귀환하여 다시 흡열하면 기화하고 증발과 응축을 반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써모사이폰 타입(Thermo-Syphon type) 히트파이프는 흡열부에서 흡열하여 기화된 작동유체가 방열부로 이동하여 방열한 후 응축되어 액상상태의 작동유체를 자체중력으로 흡열부로 귀환시키기 위해서 방열부보다 흡열부가 낮도록 기울기를 주어야 한다. 윅 타입(Wick type) 히트파이프는 히트파이프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윅(Wick)의 모세관 현상으로 방열 후 응축된 액상상태의 작동유체를 흡열부로 귀환시키기 때문에 기울기가 필요 없이 수평으로 시공하면 된다.
이와 같이, 써모사이폰 타입 히트파이프로 온돌난방시 작동유체 귀환을 위해서는 시공시 반드시 기울기가 필요하다. 이로 인해, 방바닥 표면의 온도차이와 마감 물탈량 증가가 단점이다. 또한, 작업자는 히트파이프들을 온수관 헤드들에 각각 연결시키는 배관작업을 해야 하므로, 배관된 연결 부분에서 누수 등과 같은 하자가 발생될 수 있고, 작업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전기식 히트파이프로 온돌난방시공시에도, 전기히터들을 히트파이프들에 각각 결합한 후 메인전선과 전기히터선을 연결시키는 결선작업이 필요하게 되는데, 결선된 부분을 수축 튜브 등으로 마감 처리를 하지만, 지하방 등에서는 습기에 의한 누전 등과 같은 하자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누수 또는 누전 등과 같은 하자 원인 자체를 없앨 수 있을 뿐 아니라 온수식은 온수관 헤드를 생략시키고 전기식은 전기히터를 생략시키며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는 히트파이프와, 열원, 및 히트싱크(heatsink)를 포함한다. 히트파이프는 수평으로 길게 시공된 상태에서 내부 하측 공간 내의 작동유체가 외부 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어 수직 상승한 후 응축되어 수직 하강하는 이동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열원은 히트파이프의 외부 하측에 히트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되어 열을 공급한다. 히트싱크는 열원을 히트파이프의 외부 하측에 히트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시켜 지지한 상태로 히트파이프와 함께 수용하며, 히트파이프로부터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한다.
여기서, 열원은,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온수관으로 이루어지거나, 전기저항으로 발열하는 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양상으로, 히트싱크는,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를 갖고 열원을 감싸는 열원 수용부와, 상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를 갖고 열원 수용부의 상측 개구 양쪽 주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히트파이프를 감싸는 히트파이프 수용부, 및 히트파이프 수용부의 상측 개구 양쪽 주변으로부터 수평으로 각각 연장된 방열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으로, 히트싱크는,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를 갖고 열원을 감싸는 열원 수용부와, 열원 수용부의 상측 개구 양쪽 주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히트파이프를 감싸는 히트파이프 수용부, 및 히트파이프 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방열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는, 온수식으로 구성될 경우 온수관 헤드가 생략되어 히트파이프와 직접적인 연결 작업이 필요 없게 되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결 부분에서 누수 등과 같은 하자 원인 자체가 없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는, 전기식으로 구성될 경우, 히트파이프와 전기히터 간에 결합 및 메인전선과 전기히터선 간에 결선 작업이 필요 없게 되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누전 등과 같은 하자 원인 자체가 없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는, 기존 히트파이프 방식과 달리 작동유체가 히트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흡열부와 방열부 간에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되고, 방열 후 액상상태인 작동유체를 귀환시킬 모세관 구조나 자체중력을 이용하기 위한 경사 시공도 필요 없게 되므로, 기존 방식에 비해 더욱 효율적으로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가 온돌 난방을 위해 시공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가 시설 난방을 위해 시공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100)는 히트파이프(110)와, 열원(120), 및 히트싱크(130)를 포함한다.
히트파이프(110)는 수평으로 길게 시공된 상태에서 내부 하측 공간 내의 작동유체(112)가 외부 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어 수직 상승한 후 응축되어 수직 하강하는 이동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히트파이프(110)는 밀폐된 관체(111) 내의 공간에 작동유체(112)를 일부만 담아 구성된다. 관체(111)는 일정 지름을 갖는 원형 관체로 이루어진다. 관체(111)는 열전도성이 높은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작동유체(112)는 공지의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히트파이프(110)는 수평으로 길게 배치되면, 작동유체(112)가 관체(111) 내의 하측 공간에 관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채워진다. 이 상태에서, 작동유체(112)는 관체(111)의 외부 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흡수함에 따라 증발되어 수직 상승한 후 관체(111)의 상측 부위로부터 열을 빼앗겨 응축된다. 이때, 관체(111)의 상측 부위가 가열될 수 있다.
이후, 응축된 작동유체(112)는 자체중력에 의해 수직 하강해서 관체(111) 내의 하측 공간으로 귀환한다. 작동유체(112)는 증발되어 수직 상승한 후 응축되어 수직 하강하는 이동을 반복하면서 관체(111)의 상측 부위를 효율적으로 가열함으로써, 히트파이프(110)가 난방에 이용될 수 있게 한다.
열원(120)은 히트파이프(110)의 외부 하측에 히트파이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되어 열을 공급한다. 즉, 열원(120)은 열전도에 의해 히트파이프(110)의 외부 하측으로 히트파이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열원(120)은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온수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수관은 온수 공급원에 의해 온수를 공급받아 온수열을 히트파이프(110)의 외부 하측으로 열전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100)는 온수식으로 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열원(120)은 전기저항으로 발열하는 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선은 전기저항체가 절연재로 피복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열선은 전기공급원으로부터 전기저항체로 전기를 공급받아 발생하는 전기저항열을 히트파이프(110)의 외부 하측으로 열전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100)는 전기식으로 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트싱크(130)는 열원(120)을 히트파이프(110)의 외부 하측에 히트파이프(1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시켜 지지한 상태로 히트파이프(110)와 함께 수용한다. 히트싱크(130)는 열원(120)을 히트파이프(110)의 외부 하측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히트싱크(130)는 열원(120)의 온수열 또는 전기저항열을 히트파이프(110)의 외부 하측에 히트파이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르게 열전도시킬 수 있다. 히트싱크(130)는 히트파이프(110)로부터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한다. 히트싱크(130)는 방열 면적을 넓혀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히트싱크(130)는 열원 수용부(131)와, 히트파이프 수용부(132), 및 방열편(13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열원 수용부(131)는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131a)를 갖고 열원(120)을 감싼다.
열원 수용부(131)의 상측 개구(131a)는 열원(120)의 상측 부위를 노출시켜 히트파이프(110)의 외부 하측과 접촉시킬 수 있게 한다. 열원(120)의 바깥쪽 둘레가 원형인 경우, 열원 수용부(131)는 내면이 원형 곡면으로 이루어져 열원(120)의 바깥쪽 둘레를 최대한 면접촉시켜 지지할 수 있다. 열원 수용부(131)는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트파이프 수용부(132)는 상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132a)를 갖고 열원 수용부(131)의 상측 개구(131a) 양쪽 주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히트파이프(110)를 감싼다. 히트파이프 수용부(132)의 상측 개구(132a)는 히트파이프(110)의 상측 부위를 노출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100)가 온돌 난방에 시공될 경우, 히트파이프(110)의 노출된 상측 부위는 그 상부에 덮이는 몰탈층에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히트파이프(110)의 바깥쪽 둘레가 원형인 경우, 히트파이프 수용부(132)는 내면이 원형 곡면으로 이루어져 히트파이프(110)의 바깥쪽 둘레를 최대한 면접촉시켜 지지할 수 있다. 히트파이프 수용부(132)는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열편(133)들은 히트파이프 수용부(132)의 상측 개구(132a) 양쪽 주변으로부터 수평으로 각각 연장된다.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100)가 온돌 난방에 시공될 경우, 방열편(133)들은 그 상부에 덮이는 몰탈층에 더 넓은 면적으로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방열편(133)들은 각각 플레이트 형태로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원 수용부(131)와 히트파이프 수용부(132) 및 방열편(133)들은 모두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트싱크(130)는 열원 수용부(131)와 히트파이프 수용부(132) 및 방열편(133)들이 일체화된 형태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공지의 전도성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히트싱크(130)는 일정 두께의 판재로 굽힘 가공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히트싱크(130)는 시공 편의를 위해 히트파이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분할된 형태로 히트파이프(110)와 열원(120)을 수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돌 바닥(10)에 다수 수평 배열된 형태로 시공되어 온돌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100)에 따르면, 온수식으로 구성될 경우 온수관 헤드가 생략되어 히트파이프와 직접적인 연결 작업이 필요 없게 되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결 부분에서 누수 등과 같은 하자 원인 자체가 없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100)에 따르면, 전기식으로 구성될 경우, 히트파이프와 전기히터 간에 결선 작업이 필요 없게 되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누전 등과 같은 하자 원인 자체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100)에 따르면, 열원(120)이 히트파이프(110)의 외측 하부면 전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동유체(112)가 흡열도 빠르게 할 뿐 아니라 증발과 응축에 따른 수직 이동을 하기 때문에, 기존 히트파이프 방식과 달리 작동유체가 히트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흡열부와 방열부 간에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되고, 방열 후 액상상태인 작동유체를 귀환시킬 모세관 구조나 자체중력을 이용하기 위한 경사 시공도 필요 없게 된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100)는 기존 방식에 비해 더욱 효율적으로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200)는 히트파이프(210)와, 열원(220), 및 히트싱크(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히트파이프(210)와 열원(220)은 전술한 실시예의 히트파이프(110)와 열원(12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히트싱크(230)는 열원 수용부(231)와, 히트파이프 수용부(232), 및 방열편(233)들을 포함한다.
열원 수용부(231)는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231a)를 갖고 열원(220)을 감싼다. 열원 수용부(231)의 상측 개구(231a)는 열원(220)의 상측 부위를 노출시켜 히트파이프(210)의 외부 하측과 접촉시킬 수 있게 한다. 열원(220)의 바깥쪽 둘레가 원형인 경우, 열원 수용부(231)는 내면이 원형 곡면으로 이루어져 열원(220)의 바깥쪽 둘레를 최대한 면접촉시켜 지지할 수 있다. 열원 수용부(231)는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트파이프 수용부(232)는 열원 수용부(231)의 상측 개구(231a) 양쪽 주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히트파이프(210)를 감싼다. 히트파이프 수용부(232)는 열원 수용부(231)와 통하는 개구(231a)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막힌 형태로 히트파이프(210)를 감싼다.
히트파이프(210)의 바깥쪽 둘레가 원형인 경우, 히트파이프 수용부(232)는 내면이 원형 곡면으로 이루어져 히트파이프(210)의 바깥쪽 둘레를 면접촉시켜 지지할 수 있다. 히트파이프 수용부(232)는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트파이프 수용부(232)와 열원 수용부(231)는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열편(233)들은 히트파이프 수용부(23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방열편(233)들은 히트파이프 수용부(232)로부터 방사상으로 양쪽에 2개씩 대칭되게 돌출된 4개의 제1 방열편(233a)들과, 히트파이프 수용부(232)의 양쪽에 수직으로 세워져 제1 방열편(233a)들을 2개씩 끝 부위끼리 연결하는 2개의 제2 방열편(233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방열편(233)들은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트싱크(230)는 열원 수용부(231)와 히트파이프 수용부(232) 및 방열편(233)들이 일체화된 형태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공지의 전도성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히트싱크(230)는 압출 가공 등에 의해 프로파일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히트싱크(230)는 시공 편의를 위해 히트파이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분할된 형태로 히트파이프(210)와 열원(220)을 수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200)도 전술한 실시예의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100)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20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 난방을 위해 다양하게 시공될 수 있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200)는 비닐하우스(20) 내의 상측에 다수 수평 배열된 형태로 시공되어 비닐하우스(20) 내부 전체에 대한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200)는 비닐하우스 내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베드 관(30)들에 각각 인접하여 수평 배열된 형태로 시공되어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200)는 비닐하우스 내의 지상에 다수 수평 배열된 형태로 시공되어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200)는 비닐하우스 내의 지중에 다수 수평 배열된 형태로 시공되어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210..히트파이프
111..관체
112..작동유체
120, 220..열원
130, 230..히트싱크
131, 231..열원 수용부
132, 232..히트파이프 수용부
133, 233..방열편

Claims (4)

  1. 밀폐된 원형 관체 내의 공간에 작동 유체를 일부만 담아 구성되고, 수평으로 길게 시공된 상태에서 내부 하측 공간 내의 작동유체가 외부 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어 수직 상승한 후 응축되어 수직 하강하는 이동을 반복하도록 구성된 히트파이프;
    바깥쪽 둘레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트파이프의 외부 하측에 상기 히트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되어 열을 공급하는 열원; 및
    상기 열원을 상기 히트파이프의 외부 하측에 상기 히트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시켜 지지한 상태로 상기 히트파이프와 함께 수용하며, 상기 히트파이프로부터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며,
    상기 히트싱크는,
    상측에 개구를 갖고 내면이 곡면진 형태로 상기 열원을 감싸며 상측 개구를 통해 상기 열원의 상측 부위를 노출시켜 상기 히트파이프의 외부 하측과 접촉시키는 열원 수용부와,
    상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히트파이프의 외경보다 작은 폭의 개구를 갖고 상기 열원 수용부의 상측 개구 양쪽 주변으로부터 내면이 곡면진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히트파이프를 감싸는 히트파이프 수용부, 및
    상기 히트파이프 수용부의 상측 개구 양쪽 주변으로부터 수평으로 각각 연장된 방열편들을 포함하며,
    상기 열원 수용부와 히트파이프 수용부 및 방열편들이 일체화된 형태로 전도성 금속 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
  2. 밀폐된 원형 관체 내의 공간에 작동 유체를 일부만 담아 구성되고, 수평으로 길게 시공된 상태에서 내부 하측 공간 내의 작동유체가 외부 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어 수직 상승한 후 응축되어 수직 하강하는 이동을 반복하도록 구성된 히트파이프;
    바깥쪽 둘레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트파이프의 외부 하측에 상기 히트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되어 열을 공급하는 열원; 및
    상기 열원을 상기 히트파이프의 외부 하측에 상기 히트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시켜 지지한 상태로 상기 히트파이프와 함께 수용하며, 상기 히트파이프로부터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며,
    상기 히트싱크는,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를 갖고 내면이 곡면진 형태로 상기 열원을 감싸며 상측 개구를 통해 상기 열원의 상측 부위를 노출시켜 상기 히트파이프의 외부 하측과 접촉시키는 열원 수용부와,
    상기 열원 수용부의 상측 개구 양쪽 주변으로부터 내면이 곡면진 형태로 연장되되 상기 열원 수용부와 통하는 개구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막힌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히트파이프를 감싸는 히트파이프 수용부, 및
    상기 히트파이프 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된 방열편들을 포함하며,
    상기 열원 수용부와 히트파이프 수용부 및 방열편들이 일체화된 형태로 전도성 금속 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온수관으로 이루어지거나, 전기저항으로 발열하는 열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
  4. 삭제
KR1020210080518A 2021-06-22 2021-06-22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 KR102475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518A KR102475241B1 (ko) 2021-06-22 2021-06-22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518A KR102475241B1 (ko) 2021-06-22 2021-06-22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241B1 true KR102475241B1 (ko) 2022-12-07

Family

ID=8444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518A KR102475241B1 (ko) 2021-06-22 2021-06-22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24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5473A (ja) * 1994-11-18 1996-06-07 Kozo Abe 暖房器具
JPH10288482A (ja) * 1997-02-07 1998-10-27 Tomoko Harashima ヒートパイプ、及び同ヒートパイプの製造方法、並びに同ヒートパイプの利用方法
JP2003021348A (ja) * 2001-07-03 2003-01-24 Sasso Kogyo Kk 熱交換パイプ及び暖房装置
JP2004092944A (ja) * 2002-08-29 2004-03-25 Sanwa Koki Kk ヒートパイプとそれを使用した放熱装置
JP3720149B2 (ja) * 1996-10-30 2005-11-24 株式会社ガスター 温度調節装置及び温度調節装置の製造方法
KR20060039061A (ko) * 2004-11-02 2006-05-08 대창기업 주식회사 온수온돌용 전열판
JP2007063877A (ja) * 2005-08-31 2007-03-15 Daiken Trade & Ind Co Ltd 冷暖房床
KR100855753B1 (ko) * 2007-06-19 2008-09-03 김천환 일체형 열전도파이프
JP2010203672A (ja) * 2009-03-03 2010-09-16 Yamari Sangyo Kk パイプヒータ装置及び該パイプヒータ装置の設置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5473A (ja) * 1994-11-18 1996-06-07 Kozo Abe 暖房器具
JP3720149B2 (ja) * 1996-10-30 2005-11-24 株式会社ガスター 温度調節装置及び温度調節装置の製造方法
JPH10288482A (ja) * 1997-02-07 1998-10-27 Tomoko Harashima ヒートパイプ、及び同ヒートパイプの製造方法、並びに同ヒートパイプの利用方法
JP2003021348A (ja) * 2001-07-03 2003-01-24 Sasso Kogyo Kk 熱交換パイプ及び暖房装置
JP2004092944A (ja) * 2002-08-29 2004-03-25 Sanwa Koki Kk ヒートパイプとそれを使用した放熱装置
KR20060039061A (ko) * 2004-11-02 2006-05-08 대창기업 주식회사 온수온돌용 전열판
JP2007063877A (ja) * 2005-08-31 2007-03-15 Daiken Trade & Ind Co Ltd 冷暖房床
KR100855753B1 (ko) * 2007-06-19 2008-09-03 김천환 일체형 열전도파이프
JP2010203672A (ja) * 2009-03-03 2010-09-16 Yamari Sangyo Kk パイプヒータ装置及び該パイプヒータ装置の設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7377Y1 (ko) 히트파이프 열교환기의 전열관 구조
JP4426684B2 (ja) ヒートシンク
CN107293633B (zh) 一种用于大功率led的高热流密度冷却装置
CN106558563B (zh) 功率模块和具有其的车辆
KR20190068485A (ko) 전장소자의 방열 장치
KR102475241B1 (ko)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
JP2006196786A (ja) ヒートパイプ付ヒートシンク
JP2005340392A (ja) 光照射装置
WO2024117309A1 (ko) 난방용 히트파이프 조립체
KR100720926B1 (ko) 태양광 발전용 집광장치
TWI686130B (zh) 散熱模組
CN101146428B (zh) 散热模组
CN100456458C (zh) 散热装置
KR20050121128A (ko) 히트파이프
JP2008108781A (ja) 冷却システム
KR200248813Y1 (ko) 방열기를 내장한 냉난방 판넬
KR200177834Y1 (ko) 할로겐 히터 조립구조
KR100817266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난방장치
CN219876709U (zh) 一种散热组件及电梯控制柜
JP5625835B2 (ja) ヒートパイプ
CN213840857U (zh) 液冷灯具
CN213782009U (zh) 一种热管直触式二次成型控制接触面积的吸热端结构
KR101214204B1 (ko) 열효율이 향상된 전열 보일러
JPH11166742A (ja) ヒートパイプ式床暖房パネル
KR200375356Y1 (ko) 히트 파이프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8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418

Effective date: 20221024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