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984B1 -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984B1
KR102474984B1 KR1020150164894A KR20150164894A KR102474984B1 KR 102474984 B1 KR102474984 B1 KR 102474984B1 KR 1020150164894 A KR1020150164894 A KR 1020150164894A KR 20150164894 A KR20150164894 A KR 20150164894A KR 102474984 B1 KR102474984 B1 KR 102474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mpound
antibacterial
metal component
polyhydric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897A (ko
Inventor
김태환
김종일
이정현
정원욱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60061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성분과 다가 알코올 또는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며, 피부 상재균에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체취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Description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effect}
본 발명은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성분과 다가 알코올 또는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여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시너지적으로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체취의 발생 및 악화는 미생물, 특히 세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먼저 체취는 인체에서 분비된 에크린땀(Eccrine sweat), 아포크린땀(Apocrine sweat), 피지, 또는 오염물을 미생물 등이 분해시킴으로써 발생하게 된다. 처음 분비된 에크린땀이나 아포크린땀은 무취이지만, 피부 표피, 털, 또는 땀구멍 등에 상재하는 여러 미생물, 특히 체취와 관련된 미생물들의 작용으로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액취, 족취, 또는 두취 등의 체취를 유발하게 된다. 피부에는 수많은 상재균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구균인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피이티로스포룸(Pityrosporum), 또는 대장균(E. coli) 등이 있으며 특히, 코리네박테리움이 코를 자극하는 불쾌취로 강한 냄새를 내는 사람에게서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체취 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항균물질은 다수 알려져 있는데, 트리클로산, 트리클로카반(triclocarban),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염화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 염산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hydrochloride),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gluconate), 또는 파네졸(fanesol)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균물질들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과량 도포 시 피부발적 또는 피부건조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트리클로산 또는 트리클로카반 등은 장기간 사용할 경우 피부내 병원균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고, 내분비계 호르몬 교란 및 발암성에 대한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피부에 안전하면서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 상재균에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소취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에 안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 성분; 및 다가 알코올,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금속 성분과 다가 알코올 또는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께 함유하는 조성물은 상기 성분을 각각 함유하는 조성물에 비해 항균 및 소취 효과가 현저하게 높은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는 놀라운 발견을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성분은 항균 기능을 갖는 금속 성분으로 아연, 은, 금, 구리, 백금, 셀레늄, 및 게르마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금속 성분으로 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항균력, 경제성, 및 제형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연은 아연, 아연염, 아연 화합물, 또는 아연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테아린산 아연(Zinc stearate), 아세트산 아연(Zinc acetate), 염화 아연(Zinc chloride), 요오드화 아연(Zinc iodide), 황산 아연(Zinc sulfate), 및 황화 아연(Zinc sulfi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은은 은, 은염, 은 화합물, 또는 은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질산 은(Silver nitrate), 염화 은(Silver chloride), 염소산 은(Silver chlorate), 황산 은(Silver sulfate), 황화 은(Silver sulfide), 및 아세트산 은(Silver acetat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은 금, 금염, 금 화합물, 또는 금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황화 금(Gold sulfide), 수산화 금(Gold hydroxide), 산화 금(Gold oxide), 및 염화 금(Gold chlori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리는 구리, 구리염, 구리 화합물, 또는 구리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아세트산 구리(Copper acetate), 염화 구리(Copper chloride), 황산 구리(Copper sulfate), 및 황화 구리(Copper sulfi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금은 백금, 백금염, 백금 화합물, 또는 백금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염화 백금(Platinium chloride), 요오드화 백금(Platinium iodide), 산화 백금(Platinium oxide), 및 황화 백금(Platinium sulfi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셀레늄은 셀레늄, 셀레늄염, 셀레늄 화합물, 또는 셀레늄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황화 셀레늄(Selenium sulfide), 사염화 셀레늄(Selenium Tetrachloride), 및 셀레노스산(Selenous acid)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게르마늄은 게르마늄, 게르마늄염, 게르마늄 화합물, 또는 게르마늄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염화 게르마늄(Germanium chloride), 플루오르화 게르마늄(Gemanium fluoride), 질산 게르마늄(Germanium nitride), 및 산화 게르마늄(Germanium oxi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성분이 0.0001 중량% 미만이면 항균력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20 중량% 초과이면 경제성 및 제형 안정성이 좋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항균 효과가 있는 화합물로써,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 피이지-1 라우릴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판테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은 항균 효과가 있는 화합물로써 AHA(Alpha hydroxy acid) 또는 BHA(Beta hydroxy acid) 형태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AHA 또는 BHA는 AHA 유도체 또는 BHA 유도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AHA 형태의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은 C12-13 알킬 락테이트(Lactate), 글리콜레이트(Glycolate), 시트레이트(Citrate) 및 만델레이트(Mandelat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화합물은 항균 효과가 우수한 C12-13 알킬 락테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HA 형태의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은 살리실레이트(Salicylat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리데실 살리실레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항균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력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2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경제성 및 제형 안정성이 좋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성분; 및 다가 알코올,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20 : 1 내지 1 : 20, 바람직하게는 5 : 1 내지 1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 내지 1 : 2,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1의 중량비(금속 성분 : 다가 알코올,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성분; 및 다가 알코올,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상기 중량비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항균 및 소취 효과의 시너지적 증진이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아연 스테아레이트 0.0001 내지 20 중량%; 및 C12-13 알킬 락테이트, 트리데실 살리실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0.000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는 항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와 같은 조성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파우더를 함유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액상, 고체상, 또는 페이스트상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의 체취가 발생하는 부위에 피부 상재균을 억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항균 효과가 우수하게 발휘되도록 분체를 포함하는 파우더, 팩트, 또는 데오도란트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으로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효과(증식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며, 상기 피부 상재균은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Corynebacterium xerosis), 코리네박테리움 보비스(Corynebacterium bovis),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 코리네박테리움 미누티지뭄(Corynebacterium minutissimum),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Stenotrophomonas maltophilia)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액취를 유발하는 피부 상재균인 코리네박테리움 속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부에 도포시 소취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상재균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체취를 억제하는 화장학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피부에 자극없이 간편한 방법으로 피부 상재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체취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s1) 분체 및 금속 성분을 교반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의 생성물에 다가 알코올,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화장료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도포는 분무를 통해 (s1) 단계의 생성물을 코팅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체는 파우더 제형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으로 탈크, 실리카, 마이카, 이산화티탄, 또는 세리사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항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며, 피부 상재균에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체취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탈크, 실리카, 아연 스테아레이트, 및 염화벤잘코늄을 임펠러가 장착된 700L 헨셀믹서에 넣고 3-5분간 660rpm으로 교반하면서 디메치콘오일, 1,2-데칸디올, C12-13 알킬 락테이트를 스프레이하였다.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고속으로, 즉 660 rpm으로 다시 혼합한 후에 입자간의 뭉침 현상을 막기 위해서 분쇄공정을 수행하고, 30-50 메시의 망에 체과하였다. 이어 30-40kg/cm2 의 압력으로 타정을 수행하여 파우더형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탈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리카 10 10 10 10 10 10 10
아연 스테아레이트 1 1 1 - - - -
염화벤잘코늄 - - - - - 1 -
디메치콘오일 5 5 5 5 5 5 5
1,2-데칸디올 1 - - 1 - - -
C12-13 알킬 락테이트 - 1 - - 1 - -
실험예 1: 항균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5에 대하여 2배 희석법(two fold dilution method)을 이용하여 피부 상재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를 측정하여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시험균주로는 피부 상재균인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액취 원인균인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Corynebacterium xerosis)를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상기 MIC 측정방법에서는 항균시료를 액상배지에 일정농도 간격으로 희석하거나 멸균된 고체 배지 내에 일정농도 간격으로 첨가하여 고형화시킨 다음, 전배양된 시험균액을 액체배지에 접종시키거나 한 백금이씩 취하여 고체배지 위에 도말한 뒤,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시료 균체의 성장 정도를 관찰하였다. 항균력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단위는 ppm이다.
시험물질 S. epidermidis C. xerosis
실시예 1 5 3
실시예 2 10 5
비교예 1 1500 1625
비교예 2 1700 1800
비교예 3 1000 1900
비교예 4 1800 1800
비교예 5 효과 없음 효과 없음
상기 표 2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실시예 1, 2와 같이 금속 성분 및 다가 알코올 또는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한 파우더 제형이 가장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상기 성분들을 각각 단독으로 함유한 비교예 1~3 또는 항균 성분으로 염화벤잘코늄을 함유한 비교예 4의 경우 항균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기 성분들을 모두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5의 경우 항균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미생물 억제 임상 실험
상기의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파우더 화장료를 직접 겨드랑이에 도포한 후, 미생물 억제에 대한 임상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임상 실험은 이지 스탬프(Easy stamp)를 이용하여 겨드랑이로부터 채취한 미생물의 균수를 측정하여 실험하였다.
<피평가자 선정 및 시험프로토콜>
평소에 땀이 많거나 겨드랑이 냄새가 자각적 또는 타각적으로 심하다고 느끼는 20세 이상의 성인남자 20명으로 하였으며, 시험시작 전 일정기간과 시험기간 중 제공된 비누로 겨드랑이를 세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통상의 제한 소취제, 화장품, 또는 향수류 등 시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품을 평가부위에 사용하지 않는 것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정하였다. 평가시작 전 겨드랑이의 균수 및 냄새를 측정하여 제품 사용후의 베이스라인(baseline)으로 사용하였다. 평가기간은 2주간으로 하였으며 좌우측을 대칭으로 한쪽엔 실시예 1, 2를, 다른 한쪽에는 비교예 1, 2를 각각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각각 10명씩 랜덤하게 제품 좌우 위치를 바꿔서 실시하였다. 사용은 시험기간 동안 매일 한번씩 방문하여 동일시간에 샤워를 실시토록 하였으며, 1주일에 한번씩 마지막 사용 후, 4시간이 경과하여 겨드랑이에 미생물 균수를 측정하였다.
미생물 균수의 측정은 이지 스탬프 TPC(Easy stamp TPC)(Komed, Korea)를 이용, 겨드랑이에서 직접 채취하여 미생물 균수를 측정하였다. 사용방법은, 1) 뚜껑이 벗겨지지 않도록 한 개씩 상하로 꺾은 후, 2) 피시험자 명, 날짜 등을 기록하고, 3) 이지 스탬프의 뚜껑을 열고 겨드랑이의 오목한 부분을 가볍게 눌러 찍고, 4) 뚜껑이 잘 닫혀있는지를 확인한 후 37℃ 배양기에 넣어 24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은 방법에 따라 형성된 집락수를 스코어링 스케일(scoring scale)에 따라 0-5점으로 판정하여, 시험 전 측정된 집락수와 비교하여 평균값을 구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0
1
2
3
4
5
less than 30 colonies (30마리 미만)
30-300 colonies (30-300 콜로니)
> 300 colonies. Colonies distinct (300마리 이상, 단 콜로니간 구분명확)
Some but all colonies fused (콜로니간 일부분만 구분 안됨)
Growth not completely confluent (콜로니간 일부분만 구분됨)
Confluent growth (콜로니간 구분 안됨)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사용전
(Baseline)
3.90 3.80 3.89 3.87
사용 후
(감소율)
1.50
(61.5%)
1.43
(62.4%)
3.15
(19.0%)
3.22
(16.8%)
상기 표 4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실시예 1, 2는 비교예 1, 2에 비해 미생물 집락수가 현저하게 감소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냄새 강도 측정
상기 실험예 2의 피평가자 선정 및 시험프로토콜에 따라 냄새 강도를 측정하였다. 냄새 강도의 측정은 잘 훈련된 관능평가 전문요원 5명이 겨드랑이의 냄새 강도를 직접 맡는 스니프 테스트(sniff test)를 수행하였다. 평가는 환기가 되는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하였으며, 겨드랑이로부터 10cm 이내의 거리에서 직접 코로 냄새를 맡았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난 스코어링 스케일에 따라 0-5점으로 평가하였으며, 시험 전 측정 정도와 비교하여 평균값을 구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기준
0
1
2
3
4
5
냄새가 전혀 나지 않음
냄새가 매우 약함
냄새가 약함
냄새가 보통
냄새가 강함
냄새가 매우 강함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사용전
(Baseline)
3.85 3.80 3.89 3.78
사용 후
(감소율)
1.48
(61.6%)
1.56
(58.9%)
3.41
(12.3%)
3.56
(5.8%)
상기의 표 6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2는 비교예 1, 2에 비해 현저한 체취 감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금속 성분 및 다가 알코올 또는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상기 성분들을 단독으로 각각 포함하는 경우 보다 미생물의 번식 억제 및 체취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여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2)

  1. 금속 성분; 및 다가 알코올,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성분은 아연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며,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물을 포함하지 않는,
    파우더 제형의 항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성분은 아연, 은, 금, 구리, 백금, 셀레늄, 및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 피이지-1 라우릴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판테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은 AHA(Alpha hydroxy acid) 또는 BHA(Beta hydroxy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성분 및 다가 알코올,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20 : 1 내지 1 : 20의 중량비(금속 성분 : 다가 알코올,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Corynebacterium xerosis), 코리네박테리움 보비스(Corynebacterium bovis),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 코리네박테리움 미누티지뭄(Corynebacterium minutissimum),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Stenotrophomonas maltophil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상재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아연 스테아레이트 0.0001 내지 20 중량%; 및 C12-13 알킬 락테이트, 트리데실 살리실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0.000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며,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물을 포함하지 않는,
    파우더 제형의 항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의 항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상재균의 번식을 억제함으로써 체취를 억제하는 화장학적 방법.
  12. 삭제
KR1020150164894A 2014-11-24 2015-11-24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474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674 2014-11-24
KR20140164674 2014-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897A KR20160061897A (ko) 2016-06-01
KR102474984B1 true KR102474984B1 (ko) 2022-12-06

Family

ID=5613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894A KR102474984B1 (ko) 2014-11-24 2015-11-24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9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6879A1 (en) * 1998-11-23 2002-11-28 Dodd Michael Thomas Skin deodorizing compositions
US20110028546A1 (en) * 2006-08-06 2011-02-03 Belle Kumar Novel antimicrobial formulations incorporating alkyl esters of fatty acids and nanoemulsion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3461B2 (en) * 2002-02-07 2009-07-21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Zinc salt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of dermal and mucosal irrit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6879A1 (en) * 1998-11-23 2002-11-28 Dodd Michael Thomas Skin deodorizing compositions
US20110028546A1 (en) * 2006-08-06 2011-02-03 Belle Kumar Novel antimicrobial formulations incorporating alkyl esters of fatty acids and nanoemulsion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897A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1119033A1 (de) Verwendung von Isosorbidcaprylaten/capraten in Deodorantien und Antiperspirantien
JP2008110999A (ja) 抗菌性組成物及びデオドラント剤
DE102012206999A1 (de) Formulierung enthaltend Caprylsäureethanolamid und/oder Caprinsäureethanolamid in Kombination mit einem Aluminiumsalz und ihre Verwendung
JP2011513267A (ja) 活性成分の組み合わせおよびその使用
KR102005266B1 (ko) 라우릴피리디늄클로라이드 및 유기산, 다가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고 있는 물티슈
KR102143556B1 (ko) 개선된 항균 조성물
JP2011126862A (ja) 化粧料
EP3094302A1 (en) Methods of reducing malodor and bacteria
JP2004203839A (ja) 鉄錆臭抑制香料組成物
JP3886890B2 (ja) 腋臭防止用化粧料
JP2007145750A (ja) 腋臭菌用抗菌剤、並びに該抗菌剤を含有する腋臭防止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474984B1 (ko)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4743704B2 (ja) 腋臭菌用抗菌剤、並びに該抗菌剤を含有する腋臭防止剤及び皮膚外用剤
KR101552646B1 (ko) 유디알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081801A (ja) 防臭化粧料
KR101914500B1 (ko)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JP2011153128A (ja) デオドラント組成物
JP5393962B2 (ja) 腋臭原因菌用抗菌剤、並びに該抗菌剤を含有する腋臭防止剤
JP5025535B2 (ja) 抗菌剤組成物及び防臭剤用組成物
JP6322355B2 (ja) 殺菌用洗浄組成物
CN107308064A (zh) 一种复合天然防腐剂
JP2006096719A (ja) 防臭組成物及びデオドラント剤
JP2001278764A (ja) 透明固形腋臭防止剤および製造方法
CN114096229B (zh) 双脱水己糖醇用于消除痤疮、头皮屑和异味对仪容仪表的影响的用途
JP2011236174A (ja) ベチバーの粉末を含む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