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982B1 -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982B1
KR102474982B1 KR1020220099501A KR20220099501A KR102474982B1 KR 102474982 B1 KR102474982 B1 KR 102474982B1 KR 1020220099501 A KR1020220099501 A KR 1020220099501A KR 20220099501 A KR20220099501 A KR 20220099501A KR 102474982 B1 KR102474982 B1 KR 10247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unit
shap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락
Original Assignee
(주) 해우농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해우농수산 filed Critical (주) 해우농수산
Priority to KR102022009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로서 다량의 고추가 투입되는 고추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Chili shredder with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하던 고춧가루 제조방법은 건고추 속에 함유된 이물질 및 씨를 육안으로 선별하고 분리 수거한 후 과피는 고춧가루 분쇄작업을 별도 시행하고 입도 선별 및 포장작업을 수작업으로 하기 때문에 고춧가루 제조 작업성은 크게 저하되어 원가상승 요인이 되었고, 특히 제품 속에 포함된 각종 세균은 제거하지 못한 관계로 최종소비자에게 건강에 위험한 제품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 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79033 호
본 발명의 목적은 분쇄기에 투입되기 전에 고추를 선별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밀 입자 크기에 맞추어 고춧가루(분쇄물)를 선별할 수 있는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는, 다량의 고추가 투입되는 고추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는, 상기 고추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고추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제1 분쇄부; 사용자에 의해 입자 크기의 조절이 정밀 입력되고, 상기 제1 분쇄부를 통해 투입되는 1차 분쇄물을 정밀 입력된 입자 크기에 맞추어 2차적으로 분쇄하는 제2 분쇄부; 상기 제2 분쇄부를 통해 투입되는 2차 분쇄물 중 정밀 입력된 입자 크기보다 크게 분쇄된 분쇄물들을 선별하는 입자선별부; 상기 입자선별부를 통해 입자 크기가 선별된 선별 분쇄물에 존재하는 쇳가루를 포함한 이물질을 검출하는 이물질 검출부; 및 상기 이물질 검출부를 통해 검출이 완료된 분쇄물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무게로 계량하고, 계량된 분쇄물을 내포장지에 투입한 후 상기 내포장지의 개방부를 포장하는 내포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추투입부는, 투입되는 고추의 품질에 따라 선별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입자선별부는,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입자 선별 과정 중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바닥지지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닥지지부는, 상기 입자선별부의 각 모서리 하단에 맞닿아 상기 입자선별부를 지지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위치해 있는 상단지지대; 상기 상단지지대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지지대의 하단 중앙부와 맞닿아 있으며, 외부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상단지지대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패드; 상기 완충패드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패드의 하단에 위치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지지대;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패드 및 상기 하단지지대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단은 상기 상단지지대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고정기둥; 및 상기 하단지지대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고정기둥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지지대는, 양단 외측면 및 하단 외측면을 감싸는 '
Figure 112022083363494-pat00001
'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 외측면은 상기 고정기둥의 상단이 회전 체결하여 연결 고정되도록 내측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고정기둥이 관통 가능한 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기둥이 관통 가능한 홈을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대는, 상기 고정기둥이 관통 가능한 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기둥이 관통 가능한 홈을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대는, 중앙에 외치한 중앙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 외측면에 지지프레임이 덧대어져 있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중앙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프레임은, 상단에 위치한 상기 지지프레임과 맞닿아 있는 상단 양측에 공기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완충패드의 완충 작용에 의해 상단에 위치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반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프레임은,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고, '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단지지대를 관통한 상기 고정기둥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하고, '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고, '
Figure 112022083363494-pat00002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단지지대를 관통한 상기 고정기둥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기둥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단지지대의 상기 내측홈에 회전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하단지지대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에 위치하며, 하단은 바닥면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내측에 덧대어져 위치하는 기둥끼움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둥끼움부는, 각각 'ㄱ' 및 '
Figure 112022083363494-pat00003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상기 하단지지대의 하단에 밀착되어 있어 상기 고정기둥이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끼움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상단 및 하단에 외측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단지지대의 진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상기 고정기둥에 의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단지지대의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부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바닥면에 삽입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된 삽입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삽입돌출부는, 상기 바닥면에 삽입되되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 양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바닥면에 평행하게 위치한 덮개부가 끼움 고정되어 있어 상기 케이스부의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추분쇄장치에 사용되는 집진기는, 상단의 고추투입부를 통해 분말 형태의 고춧가루가 투입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추분쇄장치에 사용되는 집진기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고추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제1 흡입부; 상기 제1 흡입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흡입부에서 흡입한 분진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용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제1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분진보다 작은 분진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집진부;를 더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수용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제2 흡입부; 상기 제2 흡입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분진을 수용하는 제3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3 수용부에 수용되는 분진 중 상기 제3 수용부의 하단부에 가라앉는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수용부는,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분진의 배출 과정 중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바닥지지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닥지지부는, 상기 제3 수용부의 각 모서리 하단에 맞닿아 상기 제3 수용부를 지지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위치해 있는 상단지지대; 상기 상단지지대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지지대의 하단 중앙부와 맞닿아 있으며, 외부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상단지지대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패드; 상기 완충패드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패드의 하단에 위치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지지대;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패드 및 상기 하단지지대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단은 상기 상단지지대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고정기둥; 및 상기 하단지지대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고정기둥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지지대는, 양단 외측면 및 하단 외측면을 감싸는 '
Figure 112022083363494-pat00004
'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 외측면은 상기 고정기둥의 상단이 회전 체결하여 연결 고정되도록 내측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고정기둥이 관통 가능한 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기둥이 관통 가능한 홈을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대는, 상기 고정기둥이 관통 가능한 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기둥이 관통 가능한 홈을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대는, 중앙에 외치한 중앙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 외측면에 지지프레임이 덧대어져 있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중앙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프레임은, 상단에 위치한 상기 지지프레임과 맞닿아 있는 상단 양측에 공기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완충패드의 완충 작용에 의해 상단에 위치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반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프레임은,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고, '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단지지대를 관통한 상기 고정기둥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하고, '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고, '
Figure 112022083363494-pat00005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단지지대를 관통한 상기 고정기둥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기둥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단지지대의 상기 내측홈에 회전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하단지지대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에 위치하며, 하단은 바닥면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내측에 덧대어져 위치하는 기둥끼움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둥끼움부는, 각각 'ㄱ' 및 '
Figure 112022083363494-pat00006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상기 하단지지대의 하단에 밀착되어 있어 상기 고정기둥이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끼움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상단 및 하단에 외측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단지지대의 진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상기 고정기둥에 의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단지지대의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부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바닥면에 삽입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된 삽입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삽입돌출부는, 상기 바닥면에 삽입되되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 양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바닥면에 평행하게 위치한 덮개부가 끼움 고정되어 있어 상기 케이스부의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는 분쇄기에 투입되기 전에 고추를 선별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밀 입자 크기에 맞추어 고춧가루(분쇄물)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입자선별부의 하단에 위치한 바닥지지부에 의해 분쇄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하도록 진동 구동하는 입자선별부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바닥면에 영향을 주어 다른 장치(분쇄부, 검출부 등)의 구동에 영향을 주어 분쇄 또는 이물질의 검출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지지부의 중앙에 위치한 완충패드는 상단지지대의 하단 중앙부와 맞닿아 있어 외부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단지지대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한 삽입돌출부는 바닥면에 삽입되되 케이스부의 외측 양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한 돌출부의 사이에 바닥면에 평행하게 위치한 덮개부가 끼움 고정되어 있어 케이스부의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패드는 상단패드 및 하단패드로 형성되어 있어 집진 과정 중 발생하거나, 상단지지대 또는 하단지지대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단패드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충격흡수부에 의해 작은 크기의 진동부터 큰 크기의 충격까지 흡수하여 집진 과정 중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집진기의 부품 또는 구동에 영향이 끼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의 일부 구성인 입자선별부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100)는 다량의 고추가 투입되는 고추투입부(110), 고추투입부(110)를 통해 투입되는 고추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제1 분쇄부(130), 사용자에 의해 입자 크기의 조절이 정밀 입력되고, 제1 분쇄부(130)를 통해 투입되는 1차 분쇄물을 정밀 입력된 입자 크기에 맞추어 2차적으로 분쇄하는 제2 분쇄부(150), 제2 분쇄부(150)를 통해 투입되는 2차 분쇄물 중 정밀 입력된 입자 크기보다 크게 분쇄된 분쇄물들을 선별하는 입자선별부(170), 입자선별부(170)를 통해 입자 크기가 선별된 선별 분쇄물에 존재하는 쇳가루를 포함한 이물질을 검출하는 이물질 검출부(180) 및 이물질 검출부(180)를 통해 검출이 완료된 분쇄물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무게로 계량하고, 계량된 분쇄물을 내포장지에 투입한 후 내포장지의 개방부를 포장하는 내포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추투입부(110)는 투입되는 고추의 품질에 따라 선별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선별 작업은 고추의 무게에 따라 고추투입부에 구비되어 있는 무게감지장치를 통해 선별될 수도 있고, 작업자의 육안으로 고추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손상 정도에 따라 작업자가 선별할 수 있는 작업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선별 작업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다 나은 품질의 일품 고춧가루를 제조하기 위하여 고추를 선별하기 위한 작업이라면 더 추가되거나 변화될 수도 있다.
한편, 입자선별부(170)는 하단에 위치한 바닥지지부에 의해 분쇄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하도록 진동 구동하는 입자선별부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바닥면에 영향을 주어 다른 장치(분쇄부, 검출부 등)의 구동에 영향을 주어 분쇄 또는 이물질의 검출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바닥지지부에 대한 구성은 후술하는 도 8 내지 도 11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의 일부 구성인 입자선별부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의 일부 구성인 입자선별부는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601)과 일정한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바닥지지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바닥지지부(600)는 상단지지대(610), 완충패드(630), 하단지지대(650), 고정기둥(670) 및 케이스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지지대(610)는 입자선별부의 각 모서리 하단에 맞닿아 입자선별부를 지지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상단지지대(610)는 양단 외측면 및 하단 외측면을 감싸는 '
Figure 112022083363494-pat00007
'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 외측면은 후술하는 고정기둥(670)의 상단이 회전 체결하여 연결 고정되도록 내측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단지지대(610)의 상단은 입자선별부(170)와 맞닿아 고정되도록 부착 소재(61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완충패드(630)는 상단지지대(610)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고, 상단지지대(610)의 하단 중앙부와 맞닿아 있으며, 외부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단지지대(610)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패드(630)는 고정기둥(670)이 관통 가능한 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고정기둥(670)이 관통 가능한 홈을 관통할 수 있다.
하단지지대(650)는 완충패드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고, 완충패드(630)의 하단에 위치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하단지지대(650)는 고정기둥(670)이 관통 가능한 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고정기둥(670)이 관통 가능한 홈을 관통할 수 있다.
하단지지대(650)는 중앙에 외치한 중앙프레임(652)의 상단 및 하단 외측면에 지지프레임(651, 655)이 덧대어져 있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중앙프레임(65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프레임(652)은 상단에 위치한 지지프레임(651, 655)과 맞닿아 있는 상단 양측에 공기홈(653)이 형성되어 있어 완충패드(630)의 완충 작용에 의해 상단에 위치한 지지프레임(651, 655)의 반동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651, 655)은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프레임(652)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고, '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프레임(652)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하단지지대(650)를 관통한 고정기둥(67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고,
'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프레임(652)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고, '
Figure 112022083363494-pat00008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프레임(652)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지지대(650)를 관통한 고정기둥(67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651, 655)은 하단지지대(650)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되 하단지지대(650)의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기둥(67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기둥(670)은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완충패드(630) 및 하단지지대(650)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단은 상단지지대(610)의 하단에 연결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기둥(670)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단지지대(610)의 하단에 형성된 내측홈에 회전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기둥(67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단지지대(610)의 내측홈에 고정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이나 방법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기둥(670)의 상단에 본드 등의 부착 부재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고정기둥(670)의 직경이 상단지지대(610)의 내측홈에 억지 끼움 고정 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부(690)는 하단지지대(650)의 하단에 위치한 고정기둥(67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690)는 하단지지대(650)의 하단에 위치한 지지프레임(651, 655)의 하단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에 위치하며, 하단은 바닥면(601)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는 내측에 덧대어져 위치하는 기둥끼움부(692)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기둥끼움부(692)는 각각 'ㄱ' 및 '
Figure 112022083363494-pat00009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하단지지대(650)의 하단에 밀착되어 있어 고정기둥(670)이 케이스부(690)의 내측에 끼움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케이스부(690)의 상단 내측은 고정기둥(670)의 중앙부가 케이스부(690)에 끼움 고정되도록 기둥끼움부(692)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둥끼움부(692)의 상단은 하단지지대(650)에 밀착되어 있어 케이스부(690)가 하단지지대(650)의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스부(690)는 상단 및 하단에 외측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691, 69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691, 693)는 상단지지대(610)의 진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고정기둥(670)에 의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지지프레임(651, 655)은 하단지지대(650)의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케이스부(690)의 상단에 위치한 돌출부(691, 693)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데 외측으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하단지지대(650) 및 지지프레임(651, 655)이 진동하더라도 둥글게 형성된 돌출부(691, 693)에 의해 제자리로 부드럽게 돌아올 수 있어 하단지지대(6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케이스부(690)는 바닥면(601)에 삽입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된 삽입돌출부(6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출부(695)는 바닥면(601)에 삽입되되 케이스부(690)의 외측 양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부(690)의 하단에 위치한 돌출부(691, 693)의 사이에 바닥면에 평행하게 위치한 덮개부(697)가 끼움 고정되어 있어 케이스부(690)의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패드는 상단패드(631) 및 하단패드(6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패드(631)는 내부에 다수 개의 충격흡수부(635)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하단패드(633)는 상단패드(631)의 하단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충격흡수부(635)는 제1 지지판(6351),제1 코일스프링(6352), 제2 코일스프링(6353), 제2 지지판(6356) 및 중앙지지기둥(63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판(635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충격흡수부(635)의 최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지지판(6351)은 후술하는 제2 지지판(6356)과 동일한 두께 및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일스프링(6352)은 제1 지지판(6351)의 하단에 위치하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일스프링(6352)은 제2 코일스프링(635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2 코일스프링(6353)의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2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제2 코일스프링(6353)은 제1 지지판(6351)의 하단에 위치하며 제1 코일스프링(635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제1 코일스프링(635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스프링(6353)은 제1 코일스프링(635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1 코일스프링(6352)의 외부에 위치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1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제2 지지판(6356)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판(6356)은 제1 코일스프링(6352)의 하단과 맞닿아 제1 코일스프링(6352)이 고정되도록 제1 코일스프링(6352)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원형 띠 형상의 제1 고정부(6354) 및 제2 코일스프링(6353)의 하단과 맞닿아 제2 코일스프링(6353)이 고정되도록 제2 코일스프링(6353)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원형 띠 형상의 제2 고정부(63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6354)는 제2 지지판(6356)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2 지지판(6356)의 상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고정부(6355)는 제2 지지판(6356)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2 지지판(6356)의 상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부(6354) 및 제2 고정부(6355)는 각각 제1 코일스프링(6352) 및 제2 코일스프링(6353)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부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지지기둥(6357)은 제2 지지판(6356)의 중앙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 및 직경을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제1 지지판(6351)의 하단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지지기둥(6357)은 제1 코일스프링(635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1 코일스프링(635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지지기둥(6357)은 상단이 제1 지지판(6351)에 밀착된 채 고정되도록 부착소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상단패드(631)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충격흡수부(635)에 의해 작은 크기의 진동부터 큰 크기의 충격까지 흡수하여 집진 과정 중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집진기의 부품 또는 구동에 영향이 끼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

Claims (3)

  1. 다량의 고추가 투입되는 고추투입부;를 포함하는,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추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고추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제1 분쇄부;
    사용자에 의해 입자 크기가 입력되고, 상기 제1 분쇄부를 통해 투입되는 1차 분쇄물을 입력된 입자 크기에 맞추어 2차적으로 분쇄하는 제2 분쇄부;
    진동 구동하여 상기 제2 분쇄부를 통해 투입되는 2차 분쇄물 중 입력된 입자 크기보다 크게 분쇄된 분쇄물들을 선별하는 입자선별부;
    상기 입자선별부를 통해 입자 크기가 선별된 선별 분쇄물에 존재하는 쇳가루를 포함한 이물질을 검출하는 이물질 검출부; 및
    상기 이물질 검출부를 통해 검출이 완료된 분쇄물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무게로 계량하고, 계량된 분쇄물을 내포장지에 투입한 후 상기 내포장지의 개방부를 포장하는 내포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자선별부는,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입자 선별 과정 중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바닥지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바닥지지부는,
    상기 입자선별부의 각 모서리 하단에 맞닿아 상기 입자선별부를 지지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위치해 있는 상단지지대;
    상기 상단지지대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지지대의 하단 중앙부와 맞닿아 있으며, 외부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상단지지대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패드;
    상기 완충패드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패드의 하단에 위치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지지대;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패드 및 상기 하단지지대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단은 상기 상단지지대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고정기둥; 및
    상기 하단지지대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고정기둥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지지대는,
    양단 외측면 및 하단 외측면을 감싸는 '
    Figure 112022502517783-pat00010
    '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 외측면은 상기 고정기둥의 상단이 회전 체결하여 연결 고정되도록 내측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고정기둥이 관통 가능한 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기둥이 관통 가능한 홈을 관통하고,
    상기 하단지지대는,
    상기 고정기둥이 관통 가능한 홈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기둥이 관통 가능한 홈을 관통하고,
    상기 하단지지대는,
    중앙에 외치한 중앙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 외측면에 지지프레임이 덧대어져 있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중앙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중앙프레임은,
    상단에 위치한 상기 지지프레임과 맞닿아 있는 상단 양측에 공기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완충패드의 완충 작용에 의해 상단에 위치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반동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고, '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단지지대를 관통한 상기 고정기둥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하고,
    '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고, '
    Figure 112022502517783-pat00011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단지지대를 관통한 상기 고정기둥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하고,
    상기 고정기둥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단지지대의 상기 내측홈에 회전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하단지지대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에 위치하며, 하단은 바닥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부는,
    내측에 덧대어져 위치하는 기둥끼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기둥끼움부는,
    각각 'ㄱ' 및 '
    Figure 112022502517783-pat00012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상기 하단지지대의 하단에 밀착되어 있어 상기 고정기둥이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끼움 고정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단 및 하단에 외측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단지지대의 진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상기 고정기둥에 의해 수축 구동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단지지대의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부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부는,
    바닥면에 삽입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된 삽입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돌출부는,
    상기 바닥면에 삽입되되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 양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케이스부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바닥면에 평행하게 위치한 덮개부가 끼움 고정되어 있어 상기 케이스부의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099501A 2022-08-09 2022-08-09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 KR102474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501A KR102474982B1 (ko) 2022-08-09 2022-08-09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501A KR102474982B1 (ko) 2022-08-09 2022-08-09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982B1 true KR102474982B1 (ko) 2022-12-06

Family

ID=8440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501A KR102474982B1 (ko) 2022-08-09 2022-08-09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98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555A (ko) * 2008-05-07 2009-11-11 몽 필 김 고추가루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60010187A (ko) * 2014-07-18 2016-01-27 김동현 팥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102016888B1 (ko) * 2019-07-30 2019-10-23 이광희 소스 제조 장치
KR102209818B1 (ko) * 2020-07-22 2021-01-29 (주)에스제이푸드시스템 냉면 양념장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264973B1 (ko) * 2020-03-11 2021-06-15 주식회사 푸드코리아 과립형 조미료의 제조시스템
KR102279033B1 (ko) 2019-05-09 2021-07-16 박순옥 위생 고춧가루 제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555A (ko) * 2008-05-07 2009-11-11 몽 필 김 고추가루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60010187A (ko) * 2014-07-18 2016-01-27 김동현 팥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102279033B1 (ko) 2019-05-09 2021-07-16 박순옥 위생 고춧가루 제조 시스템
KR102016888B1 (ko) * 2019-07-30 2019-10-23 이광희 소스 제조 장치
KR102264973B1 (ko) * 2020-03-11 2021-06-15 주식회사 푸드코리아 과립형 조미료의 제조시스템
KR102209818B1 (ko) * 2020-07-22 2021-01-29 (주)에스제이푸드시스템 냉면 양념장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38133B (zh) 核桃分选方法
EA008229B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измельченной и порошковой резин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474982B1 (ko)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고추 분쇄장치
KR102517120B1 (ko) 고추분쇄장치에 사용되는 집진기
JP7157379B2 (ja) 振動篩機
CN206276610U (zh) 一种玉米加工分选装置
CN204866492U (zh) 一种自动筛选装置
KR101786946B1 (ko)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KR101151180B1 (ko) 다중 진동분급장치
CN111479633B (zh) 带有固定框架的研磨机
KR101372912B1 (ko) 알루미늄 그래뉼 입도 및 정전선별장치
KR20110139806A (ko) 고추분쇄기의 고춧가루 선별장치
US3666096A (en) Portable vibrating screener
KR101368686B1 (ko) 포대 내의 분체 편중 방지를 위한 포대 이송장치
CN206701677U (zh) 一种奥美拉唑肠溶胶囊的原料颗粒过筛装置
KR102512029B1 (ko) 압축기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처리 시스템
KR200344818Y1 (ko) 쇄석 선별장치
CN210701090U (zh) 一种振动过滤器
CN108940500B (zh) 一种可筛选用岩石破碎机械
CN207056738U (zh) 饲料粉碎筛选设备
CN217491667U (zh) 一种茶叶筛分机的减振结构
CN204685497U (zh) 一种震动筛选系统
CN215964064U (zh) 一种具有仓底振动卸料装置的磨粉机
US6497406B1 (en) Quiet jogging
KR102428406B1 (ko) 고효율 집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