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494B1 -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 Google Patents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494B1
KR102474494B1 KR1020220088349A KR20220088349A KR102474494B1 KR 102474494 B1 KR102474494 B1 KR 102474494B1 KR 1020220088349 A KR1020220088349 A KR 1020220088349A KR 20220088349 A KR20220088349 A KR 20220088349A KR 102474494 B1 KR102474494 B1 KR 102474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ess
switchboard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식
최창훈
이창환
Original Assignee
안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산업(주) filed Critical 안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22008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8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with aromatically bound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배전반의 외함을 코팅하여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DISTRIBUTING BOARD HAVING IMPROVED CORROSION PROTECTION}
본 발명은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외함을 코팅하여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정학적 위치에 있는 국내 상황에 의해 염해지구에 설치되는 배전반류(배전반, 수전반, 제어반, 분전반 등)가 상당수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내구성 유지 및 향상의 관점에서도 방식(防蝕)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해풍의 영향이 큰 염해 지구에 설치되는 배전반류에서는 염분이 포함된 비바람 등에 의해 외함의 표면에 녹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함체 내부에 설치된 전기기기류에도 함체의 틈새로 침입하는 염분이 함유된 외부의 공기나 수분에 의해 절연 열화가 진행되기 쉽다. 이러한 원인은 해수에서 발생한 것이며, 주요 성분으로는 염화나트륨 및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등이다.
염해지구의 배전반류의 외함 도장은 지속적인 염해로 인해 수년이 경과하면 도장 등이 열화되어 벗겨지거나 강한 비바람에 날린 이물질에 의한 스크래치 등이 생기면 녹이나 부식이 급속히 진전되어 교체 또는 보수를 해야 하는 유지관리 비용의 증가를 가져온다.
따라서 염해에 의한 배전반류의 부식 등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배전반류에 도포되는 코팅은 염분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고, 충격 등에 의한 스크래치 및 함체를 보호하며, 부식 등에 의한 배전반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난연성이 높은 다기능을 가진 도료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을 부식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는 외부에 설치하거나 실내 공간에 설치하더라도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전반에 발생하는 화재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장치를 보호하도록 내부에 공간을 수용하는 본체부(110);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일면에 구비된 도어부(13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지붕체부(150);를 포함하는 외함(10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은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로 코팅된 코팅층(C)을 포함하는 것인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을 제공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15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S)의 표면 조도는 25 ㎛ 이상 75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과 상기 코팅층(C) 사이에 프라이머층(P)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C) 상에 탑코트층(T)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전반(1000)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11)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를 포함하며, 팽창흑연, 무기입자, 에어로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는 상기 주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폴리올계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경화제는 디에틸톨루엔디아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은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입자의 함량은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겔의 함량은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함량은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부피비는 2:1 내지 1:2인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코팅층(C)에 의하여 방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외부로부터의 수분을 차단하여 방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해풍에 포함된 염분으로부터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외함을 코팅층(C)으로 보강하여 강한 비바람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물질에 의한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외함(10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코팅층(C)에 의하여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전반(1000)의 누전으로 인한 화재발생시 폴리우레아 수지로 코팅층을 형성할 경우 화기에 의해 발생하는 드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난연성을 향상시켜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원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1000) 일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1000) 타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1000) 단면의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예 1의 연소시험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예 2의 연소시험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는 "A 및 B, 또는 A 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배전반”은 배전반, 수전반, 제어반 또는 분전반을 총괄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장치를 보호하도록 내부에 공간을 수용하는 본체부(110);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일면에 구비된 도어부(13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지붕체부(150);를 포함하는 외함(10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은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로 코팅된 코팅층(C)을 포함하는 것인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코팅층(C)에 의하여 방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외부로부터의 수분을 차단하여 방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해풍에 포함된 염분으로부터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외함을 코팅층(C)으로 보강하여 강한 비바람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물질에 의한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외함(100)을 보호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코팅층(C)에 의하여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전반(1000)의 누전으로 인한 화재발생시 폴리우레아 수지만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여 발생하는 드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난연성을 향상시켜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1000) 일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1000) 타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1000) 단면의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배전반(10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장치를 보호하도록 내부에 공간을 수용하는 본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배전반(1000)은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150)가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배전반(1000)의 외면에 의하여 내부에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기기류가 구비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배전반(1000)은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장치를 보호하도록 내부에 공간을 수용하는 본체부(11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10),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050)가 접합되어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이물질, 수분 및 염분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전반(1000)은 내부에 장치인 전기기기류가 구비될 수 있다면 상기 배전반(1000)의 형상은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지만,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측면에서 정육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배전반(1000)의 형상을 정육각형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일면에 구비된 도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배전반(1000)의 본체부(110)에서 내부를 밀폐시키거나 외부를 연통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도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지붕체부(150)가 구비되는 상부 및 상기 본체부(110)가 벽면과 결합되는 타면을 제외한 상기 본체부(1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을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배전반(1000)이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일면에 구비된 도어부(13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전반(1000)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내부 공간에 접근하여 상기 전기기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면에 1 개 또는 2 개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어부(130)가 1 개로 구비된 경우 도어부(130)의 일단이 본체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130)의 타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도어부(130)가 2 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도어부(130)의 일단이 상기 본체부(110)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부(130)의 개방되는 타단이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개방되는 입구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도어부(130)가 상기 본체부(110)의 일면에 1 개 또는 2 개가 구비됨으로써, 장소에 적합하도록 도어부(130)를 설계하여 외부의 장애물에 방해없이 개방되는 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부(130)가 닫히는 경우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도어부(130) 사이가 밀폐되도록 상기 본체부(110)에 상기 도어부(13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밀폐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150) 각각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용접에 의하여 밀폐되지만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도어부(130) 사이는 상기 밀폐부(미도시)에 의하여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도어부(130)가 닫히는 경우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도어부(130) 사이가 밀폐되도록 상기 본체부(110)에 상기 도어부(13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밀폐부가 구비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및 이물질들이 내부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방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에 의한 전기기기에서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1000)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지붕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를 밀폐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배전반(1000)이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지붕체부(150)를 포함함으로써, 상부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및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전기기기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150)를 포함하는 외함(100)을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본체부(110),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150)를 포함하는 외함(100)을 포함함으로써, 내부에 수배전을 위한 전기기기를 구비하여 배전반(10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기기를 외부환경으로부터 차단하여 화재, 누전을 방지하고, 빛과 수분 등을 차단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150)는 서로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도어부(130)는 용접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힌지부(미도시)에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도어부(130)가 용접 연결되어 개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도어부(130)가 결합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으나, 결합부분의 내구성, 접합력 등을 고려하여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본체부(110) 및 상기 지붕체부(150)는 각각 서로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지붕체부(150)가 결합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으나, 결합부분의 내구성, 접합력 등을 고려하여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은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로 코팅된 코팅층(C)을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이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로 코팅된 코팅층(C)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배전반(1000)이 옥외 환경이나 부식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환경에 설치되는 경우 수분, 염분, 산, 염기 등의 물질과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이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방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누전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폴리우레아 수지만으로 형성된 코팅층의 드립 현상을 방지하여 화재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은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에 60 ℃ 이상 70 ℃ 이하의 온도로 분사되어 코팅층(C)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은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에 60 ℃ 이상 70 ℃ 이하, 61 ℃ 이상 69 ℃ 이하, 62 ℃ 이상 68 ℃ 이하, 63 ℃ 이상 67 ℃ 이하 또는 64 ℃ 이상 66 ℃ 이하의 온도로 분사되어 코팅층(C)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은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에 65 ℃의 온도로 분사되어 코팅층(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이 분사되는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코팅층(C)과 상기 외면(S)과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동시에 상기 코팅층(C)의 형성하기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은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에 1,500 psi 이상 2,000 psi 이하의 압력으로 분사되어 코팅층(C)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은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에 1,500 psi 이상 2,000 psi 이하, 1,600 psi 이상 1,900 psi 이하 또는 1,700 psi 이상 1,800 psi 이하의 압력으로 분사되어 코팅층(C)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은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에 1,750 psi의 압력으로 분사되어 코팅층(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이 분사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코팅층(C)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15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S)의 표면 조도는 25 ㎛ 이상 75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15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S)의 표면 조도는 30 ㎛ 이상 70 ㎛ 이하, 35 ㎛ 이상 65 ㎛ 이하, 40 ㎛ 이상 60 ㎛ 이하 또는 45 ㎛ 이상 55 ㎛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본체부(110),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15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S)의 표면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외면(S)과 상기 코팅층(C)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15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S)을 블라스팅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15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S)을 블라스팅 처리하여 상술한 표면 조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블라스팅 처리하여 상기 본체부(110), 상기 도어부(130) 및 상기 지붕체부(15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S)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과 상기 코팅층(C) 사이에 프라이머층(P)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S), 상기 도어부(130)의 외면(S) 및 상기 지붕체부(150)의 외면(S) 각각과 상기 코팅층(C) 사이에 프라이머층(P)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금속재질의 외함(100)과 상기 코팅층(C)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외함(100)과 상기 코팅층(C)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라이머층(P)은 철부용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프라이머층(P)이 철부용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함(100)의 구성을 금속재질로 사용하더라도 상기 코팅층(C)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C) 상에 탑코트층(T)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탑코트층(T)은 상기 외함(100)의 외면(S)에 코팅된 코팅층(C) 위에 코팅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코팅층(C) 상에 탑코트층(T)을 더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상기 코팅층(C)을 보호할 수 있으며, 빛에 의한 상기 코팅층(C)의 변성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탑코트층(T)은 자외선 차단용 도료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코트층(T)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된 도료를 포함하여 자외선이 상기 코팅층(C)에 조사되어 광변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탑코트층(T)이 자외선 차단용 도료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코팅층(C)에 도달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상기 코팅층(C)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탑코트층(T)은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코트층(T)의 표면에서 상기 이산화티타늄 입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코트층(T)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포함되고, 상기 조성물을 상기 코팅층(C) 상에 코팅하여 건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산화티타늄 입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경화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탑코트층(T)은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탑코트층(T)에 흡착된 유기물 등을 광반응을 통하여 분해시켜 외부 표면의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전반(1000)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11)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111)는 상기 본체부(110)의 타면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111)가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배전반(1000)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11)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배전반(1000)을 용이하게 벽면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의 타면에 수분을 빠르게 건조시켜 부식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부(110)의 타면이 벽면부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 결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돌출부(111)가 벽면과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타면이 벽면부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결로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11)는 1개 이상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111)는 2개 또는 4개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1)가 2개인 경우 상기 본체부(110)의 타면 최상단부에서 이격되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111)가 4개인 경우 상기 본체부(110)의 타면 최상단부 및 최하단부에서 이격되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타면이 사각형인 경우 각각의 꼭지점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돌출부(111)가 1개 이상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벽면을 결합하여 상기 배전반(1000)을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본체부(110)의 타면과 상기 돌출부(111)의 높이 차이로 형성된 공간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배면에 수분이 들어가더라도 상기 형성된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어 용이하게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은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이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함으써, 필요에 따라 경화시점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은 팽창흑연, 무기입자, 에어로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은 팽창흑연, 무기입자, 에어로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층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폴리우레아 수지만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드립 현상을 방지하여 배전반의 화재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폴리올계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주제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폴리올계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의 기본적인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틸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경화반응을 매개하는 동시에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황변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계 화합물은 폴리에테르 폴리올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계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폴리올,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폴리부틸렌 폴리올, 폴리펜틸렌 폴리올,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폴리올계 화합물은 폴리에테르 폴리올인 것으로 사용함으로써, 신율을 부여하고 가교도를 높여 도막의 인장강도와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제는 2차 아민계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제는 디에틸톨루엔디아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경화제가 디에틸톨루엔디아민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코팅층의 물리적 특성인 신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제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촉매, 흡습제, 토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경화제가 폴리에테르 폴리올, 촉매, 흡습제, 토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에 추가적인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은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은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이상 59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상 58 중량부 이하, 4 중량부 이상 57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상 56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상 55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상 54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상 53 중량부 이하, 9 중량부 이상 52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상 51 중량부 이하, 11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 12 중량부 이상 49 중량부 이하, 13 중량부 이상 48 중량부 이하, 14 중량부 이상 47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상 46 중량부 이하, 16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하, 17 중량부 이상 44 중량부 이하, 18 중량부 이상 43 중량부 이하, 19 중량부 이상 42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상 41 중량부 이하, 21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22 중량부 이상 39 중량부 이하, 23 중량부 이상 38 중량부 이하, 24 중량부 이상 37 중량부 이하, 25 중량부 이상 36 중량부 이하, 26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 27 중량부 이상 34 중량부 이하, 28 중량부 이상 33 중량부 이하, 29 중량부 이상 32 중량부 이하 또는 30 중량부 이상 31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팽창흑연에서 탄소의 중량은 90 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팽창흑연에서 탄소의 중량은 90 중량% 이상 100 중량% 이하, 91 중량% 이상 99 중량% 이하, 92 중량% 이상 98 중량% 이하, 93 중량% 이상 97 중량% 이하 또는 94 중량% 이상 96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팽창흑연에 포함된 탄소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팽창흑연의 크기는 200 mesh를 통과한 중량이 80 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의 크기는 입자의 내부를 통과하는 직선이 상기 입자의 외표면과 만나는 양 지점의 거리 중 가장 긴 거리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팽창흑연의 크기는 200 mesh를 통과한 중량이 80 중량% 이상 100 중량% 이하, 81 중량% 이상 99 중량% 이하, 82 중량% 이상 98 중량% 이하, 83 중량% 이상 97 중량% 이하, 84 중량% 이상 96 중량% 이하, 85 중량% 이상 95 중량% 이하, 86 중량% 이상 94 중량% 이하, 87 중량% 이상 93 중량% 이하, 88 중량% 이상 92 중량% 이하 또는 89 중량% 이상 91 중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팽창흑연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에서의 상기 팽창흑연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상기 코팅층에서 상기 팽창흑연이 특정 위치에 뭉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코팅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균일한 물성을 구현하는 동시에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입자의 함량은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의 함량은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6 중량부 이상 9.9 중량부 이하, 0.7 중량부 이상 9.8 중량부 이하, 0.8 중량부 이상 9.7 중량부 이하, 0.9 중량부 이상 9.6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상 9.5 중량부 이하, 1.1 중량부 이상 9.4 중량부 이하, 1.2 중량부 이상 9.3 중량부 이하, 1.3 중량부 이상 9.2 중량부 이하, 1.4 중량부 이상 9.1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 1.6 중량부 이상 8.9 중량부 이하, 1.7 중량부 이상 8.8 중량부 이하, 1.6 중량부 이상 8.7 중량부 이하, 1.7 중량부 이상 8.6 중량부 이하, 1.8 중량부 이상 8.5 중량부 이하, 1.9 중량부 이상 8.4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상 8.3 중량부 이하, 2.1 중량부 이상 8.2 중량부 이하, 2.2 중량부 이상 8.1 중량부 이하, 2.3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2.4 중량부 이상 8.9 중량부 이하, 2.5 중량부 이상 8.8 중량부 이하 또는 2.6 중량부 이상 8.7 중량부 이하, 2.7 중량부 이상 8.6 중량부 이하, 2.8 중량부 이상 8.5 중량부 이하, 2.9 중량부 이상 8.4 중량부 이하, 3.0 중량부 이상 8.3 중량부 이하, 3.1 중량부 이상 8.2 중량부 이하, 3.2 중량부 이상 8.1 중량부 이하, 3.3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3.4 중량부 이상 7.9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상 7.8 중량부 이하, 3.6 중량부 이상 7.7 중량부 이하, 3.7 중량부 이상 7.6 중량부 이하, 3.8 중량부 이상 7.5 중량부 이하, 3.9 중량부 이상 7.4 중량부 이하, 4.0 중량부 이상 7.3 중량부 이하, 4.1 중량부 이상 7.2 중량부 이하, 4.2 중량부 이상 7.1 중량부 이하, 4.3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 4.4 중량부 이상 6.9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이상 6.8 중량부 이하, 4.6 중량부 이상 6.7 중량부 이하, 4.7 중량부 이상 6.6 중량부 이하, 4.8 중량부 이상 6.5 중량부 이하, 4.9 중량부 이상 6.4 중량부 이하, 5.0 중량부 이상 6.3 중량부 이하, 5.1 중량부 이상 6.2 중량부 이하, 5.2 중량부 이상 6.1 중량부 이하, 5.3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 5.4 중량부 이상 5.9 중량부 이하, 5.5 중량부 이상 5.8 중량부 이하 또는 5.6 중량부 이상 5.7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무기입자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입자는 탄화규소(SiC),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수산화마그네슘(Mg(OH)2), 수산화알루미늄(Al(OH)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상기 무기입자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탄화규소의 함량은 0.5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화규소의 함량은 1.0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 또는 2.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탄화규소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탄산수소나트륨의 함량은 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산수소나트륨의 함량은 1.5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또는 2.5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수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은 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은 1.5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또는 2.5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은 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은 1.5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또는 2.5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규소(SiC)의 크기는 0.7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크기”는 입자의 내부를 통과하는 직선이 상기 입자의 외표면과 만나는 양 지점의 거리 중 가장 긴 거리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화규소(SiC)의 크기는 0 ㎛ 초과 0.7 ㎛ 이하, 0.1 ㎛ 이상 0.6 ㎛ 이하, 0.2 ㎛ 이상 0.5 ㎛ 이하 또는 0.3 ㎛ 이상 0.4 ㎛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탄화규소(SiC)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에서의 상기 탄화규소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상기 코팅층에서 상기 탄화규소이 특정 위치에 뭉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코팅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균일한 물성을 구현하는 동시에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의 크기는 25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의 크기는 0 ㎛ 초과 25 ㎛ 이하, 1 ㎛ 이상 24 ㎛ 이하, 2 ㎛ 이상 23 ㎛ 이하, 3 ㎛ 이상 22 ㎛ 이하, 4 ㎛ 이상 21 ㎛ 이하, 5 ㎛ 이상 20 ㎛ 이하, 6 ㎛ 이상 19 ㎛ 이하, 7 ㎛ 이상 18 ㎛ 이하, 8 ㎛ 이상 17 ㎛ 이하, 9 ㎛ 이상 16 ㎛ 이하, 10 ㎛ 이상 15 ㎛ 이하, 11 ㎛ 이상 14 ㎛ 이하 또는 12 ㎛ 이상 13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에서의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상기 코팅층에서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이 특정 위치에 뭉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코팅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균일한 물성을 구현하는 동시에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산화마그네슘(Mg(OH)2)의 크기는 325 mesh를 통과한 중량이 90 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산화마그네슘(Mg(OH)2)의 크기는 325 mesh를 통과한 중량이 90 중량% 이상 100 중량% 이하, 91 중량% 이상 99 중량% 이하, 92 중량% 이상 98 중량% 이하, 93 중량% 이상 97 중량% 이하 또는 94 중량% 이상 96 중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수산화마그네슘(Mg(OH)2)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에서의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상기 코팅층에서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이 특정 위치에 뭉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코팅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균일한 물성을 구현하는 동시에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산화알루미늄(Al(OH)3)의 크기는 25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산화알루미늄(Al(OH)3)의 크기는 0 ㎛ 초과 24 ㎛ 이하, 1 ㎛ 이상 23 ㎛ 이하, 2 ㎛ 이상 22 ㎛ 이하, 3 ㎛ 이상 21 ㎛ 이하, 4 ㎛ 이상 20 ㎛ 이하, 5 ㎛ 이상 19 ㎛ 이하, 6 ㎛ 이상 18 ㎛ 이하, 7 ㎛ 이상 17 ㎛ 이하, 8 ㎛ 이상 16 ㎛ 이하, 9 ㎛ 이상 15 ㎛ 이하, 10 ㎛ 이상 14 ㎛ 이하 또는 11 ㎛ 이상 13 ㎛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수산화알루미늄(Al(OH)3)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에서의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상기 코팅층에서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이 특정 위치에 뭉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코팅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균일한 물성을 구현하는 동시에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겔(aerogel)의 함량은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이상 19.9 중량부 이하, 0.3 중량부 이상 19.8 중량부 이하, 0.4 중량부 이상 19.7 중량부 이하, 0.5 중량부 이상 19.6 중량부 이하, 0.6 중량부 이상 19.5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상 19.0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상 18.5 중량부 이하, 2.5 중량부 이상 18.0 중량부 이하, 3.0 중량부 이상 17.5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상 17.0 중량부 이하, 4.0 중량부 이상 16.5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이상 16.0 중량부 이하 또는 5.0 중량부 이상 15.5 중량부 이하, 5.5 중량부 이상 15.0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상 14.5 중량부 이하, 6.5 중량부 이상 14.0 중량부 이하, 7.0 중량부 이상 13.5 중량부 이하, 7.5 중량부 이상 13.0 중량부 이하, 8.0 중량부 이상 12.5 중량부 이하, 8.5 중량부 이상 12.0 중량부 이하, 9.0 중량부 이상 11.5 중량부 이하 또는 9.5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에어로겔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겔의 크기는 50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로겔의 크기는 0 ㎛ 초과 50 ㎛ 이하, 1 ㎛ 이상 49 ㎛ 이하, 2 ㎛ 이상 48 ㎛ 이하, 3 ㎛ 이상 47 ㎛ 이하, 4 ㎛ 이상 46 ㎛ 이하, 5 ㎛ 이상 45 ㎛ 이하, 6 ㎛ 이상 44 ㎛ 이하, 7 ㎛ 이상 43 ㎛ 이하, 8 ㎛ 이상 42 ㎛ 이하, 9 ㎛ 이상 41 ㎛ 이하, 10 ㎛ 이상 40 ㎛ 이하, 11 ㎛ 이상 39 ㎛ 이하, 12 ㎛ 이상 38 ㎛ 이하, 13 ㎛ 이상 37 ㎛ 이하, 14 ㎛ 이상 36 ㎛ 이하, 15 ㎛ 이상 35 ㎛ 이하, 16 ㎛ 이상 34 ㎛ 이하, 17 ㎛ 이상 33 ㎛ 이하, 18 ㎛ 이상 32 ㎛ 이하, 19 ㎛ 이상 31 ㎛ 이하, 20 ㎛ 이상 30 ㎛ 이하, 21 ㎛ 이상 29 ㎛ 이하, 22 ㎛ 이상 28 ㎛ 이하, 23 ㎛ 이상 27 ㎛ 이하 또는 24 ㎛ 이상 26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에어로겔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에서의 상기 에어로겔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상기 코팅층에서 상기 에어로겔이 특정 위치에 뭉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코팅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균일한 물성을 구현하는 동시에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의 함량은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함량은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이상 0.9 중량부 이하, 0.3 중량부 이상 0.8 중량부 이하, 0.4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 또는 0.5 중량부 이상 0.6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크기는 50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크기는 0 ㎛ 초과 50 ㎛ 이하, 1 ㎛ 이상 49 ㎛ 이하, 2 ㎛ 이상 48 ㎛ 이하, 3 ㎛ 이상 47 ㎛ 이하, 4 ㎛ 이상 46 ㎛ 이하, 5 ㎛ 이상 45 ㎛ 이하, 6 ㎛ 이상 44 ㎛ 이하, 7 ㎛ 이상 43 ㎛ 이하, 8 ㎛ 이상 42 ㎛ 이하, 9 ㎛ 이상 41 ㎛ 이하, 10 ㎛ 이상 40 ㎛ 이하, 11 ㎛ 이상 39 ㎛ 이하, 12 ㎛ 이상 38 ㎛ 이하, 13 ㎛ 이상 37 ㎛ 이하, 14 ㎛ 이상 36 ㎛ 이하, 15 ㎛ 이상 35 ㎛ 이하, 16 ㎛ 이상 34 ㎛ 이하, 17 ㎛ 이상 33 ㎛ 이하, 18 ㎛ 이상 32 ㎛ 이하, 19 ㎛ 이상 31 ㎛ 이하, 20 ㎛ 이상 30 ㎛ 이하, 21 ㎛ 이상 29 ㎛ 이하, 22 ㎛ 이상 28 ㎛ 이하, 23 ㎛ 이상 27 ㎛ 이하 또는 24 ㎛ 이상 26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에서의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상기 코팅층에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특정 위치에 뭉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코팅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균일한 물성을 구현하는 동시에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부피비는 2:1 내지 1:2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부피비는 1.9:1 내지 1:1.9, 1.8:1 내지 1:1.8, 1.7:1 내지 1:1.7, 1.6:1 내지 1:1.6, 1.5:1 내지 1:1.5, 1.4:1 내지 1:1.4, 1.3:1 내지 1:1.3, 1.2:1 내지 1:1.2 또는 1.1:1 내지 1:1.1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부피비는 1:1 내지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부피비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경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코팅층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50 중량% 및 폴리에틸렌 폴리올 30 중량%가 되도록 계량한 후 반응기에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을 투입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40 ℃까지 승온한 다음 폴리에틸렌 폴리올을 소량씩 반응기에 넣고, 반응기의 온도를 80℃까지 승온한 후, 반응기의 온도 80℃ 에서 2 시간 반응시킨 다음 천천히 냉각시켜 상온에 도달한 반응물을 포함하는 주제를 준비하였다.
이후 디에틸톨루엔디아민을 포함하는 90중량%로 포함하는 경화제를 준비하였다.
상기 경화제에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팽창흑연 40 중량부, 탄화규소(SiC) 0.5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NaHCO3) 1 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Mg(OH)2) 1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Al(OH)3) 1 중량부, 에어로겔 0.1 중량부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0.1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하였다. 이후 상기 경화제 100 부피부에 대하여 상기 주제 100 부피부를 더 첨가하여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의 온도를 60 ℃ 내지 70 ℃로 예열한 후, 1,500 psi 내지 2,000 psi로 전용 스프레이건에서 충돌 분사시켜 수배전반의 외함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샘플에 코팅처리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팽창흑연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에 코팅처리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로 코팅처리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연소시험)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준비한 샘플에 가스토치를 이용해 화염을 가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예 1의 연소시험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예 2의 연소시험을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실시예 1의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로 코팅층이 형성된 샘플은 가스토치에 의하여 화염이 가해지더라도 용이하게 화염이 발생하지 않고 드립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하여 실시예 2의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로 코팅층이 형성된 샘플은 가스토치에 의하여 화염이 가해지는 경우 화염이 크게 발생하고 코팅층이 녹아 바닥으로 떨어지는 드립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샘플인 비교예 1은 분체 도장을 하는 바, 연소시험에서 코팅층의 존재로 인한 드립 현상은 발생하지 않지만, 부식 환경이나 해풍이 불어오는 조건에서 용이하게 부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런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예 1 및 2는 부식이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은 저렴한 비용으로 배전반의 외함을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로 코팅하여 방식성을 향상시키며 코팅층에 용이하게 화염이 발생하지 않고 드립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0: 배전반
100: 외함
110: 본체부
111: 돌출부
130: 도어부
150: 지붕체부
S: 표면
P: 프라이머층
C: 코팅층
T: 탑코트층

Claims (12)

  1.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장치를 보호하도록 내부에 공간을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구비된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지붕체부;를 포함하는 외함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외면, 상기 도어부의 외면 및 상기 지붕체부의 외면 각각은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로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은 주제, 경화제, 팽창흑연, 무기입자, 에어로겔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계 조성물에서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의 부피비는 2:1 내지 1:2이며,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은 상기 경화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무기입자의 함량은 0.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에어로겔의 함량은 0.1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이며,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함량은 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크기는 5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기 도어부 및 상기 지붕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의 표면 조도는 25 ㎛ 이상 7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면, 상기 도어부의 외면 및 상기 지붕체부의 외면 각각과 상기 코팅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 상에 탑코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폴리올계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경화제는 디에틸톨루엔디아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20088349A 2022-07-18 2022-07-18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KR102474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349A KR102474494B1 (ko) 2022-07-18 2022-07-18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349A KR102474494B1 (ko) 2022-07-18 2022-07-18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494B1 true KR102474494B1 (ko) 2022-12-07

Family

ID=8444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349A KR102474494B1 (ko) 2022-07-18 2022-07-18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4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781B1 (ko) 2023-04-21 2023-08-07 홍정애 흑연 조성물이 코팅된 통전부재
KR102564777B1 (ko) 2023-04-21 2023-08-09 홍정애 흑연 조성물이 코팅된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접속반 및 부스덕트용 외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847A (ko) * 1988-09-29 1990-04-14 시끼 모리야 전기기기의 레일부착장치
KR200302982Y1 (ko) * 2002-11-05 2003-02-05 안석곤 방수 제어반
KR20110009251A (ko) * 2008-05-19 2011-01-27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폴리우레아 및 인-함유 폴리올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KR102202292B1 (ko) * 2020-06-05 2021-01-13 내외코리아 주식회사 배전반 내부의 습기를 자동조절하는 판넬을 구비한 배전반
KR20220013505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일렉콤 화재확산 방지용 무기질 불연성 도료가 도포된 내열 성능이 강화된 배전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함의 함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847A (ko) * 1988-09-29 1990-04-14 시끼 모리야 전기기기의 레일부착장치
KR200302982Y1 (ko) * 2002-11-05 2003-02-05 안석곤 방수 제어반
KR20110009251A (ko) * 2008-05-19 2011-01-27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폴리우레아 및 인-함유 폴리올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KR102202292B1 (ko) * 2020-06-05 2021-01-13 내외코리아 주식회사 배전반 내부의 습기를 자동조절하는 판넬을 구비한 배전반
KR20220013505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일렉콤 화재확산 방지용 무기질 불연성 도료가 도포된 내열 성능이 강화된 배전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함의 함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781B1 (ko) 2023-04-21 2023-08-07 홍정애 흑연 조성물이 코팅된 통전부재
KR102564777B1 (ko) 2023-04-21 2023-08-09 홍정애 흑연 조성물이 코팅된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접속반 및 부스덕트용 외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494B1 (ko) 방식성이 향상된 배전반
KR20020055360A (ko) 해상용 코팅
CN111171681B (zh) 一种石墨烯氟改性环氧自分层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
US7183346B2 (en) Cathodic corrosion protection powder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EP2344598B1 (en) Powder coating composition
CN114302926A (zh) 利用胶囊型灭火药剂的双液型初期火灾灭火用环氧树脂类涂料组合物以及气溶胶型环氧树脂类涂料组合物
KR101969646B1 (ko) 중방식 도장용 도료 키트
KR20220043962A (ko) 내후성 및 열방사 특성이 우수한 복합수지 조성물, 복합수지 코팅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096392A1 (ja) 被膜形成方法及び被膜形成体
KR20200049013A (ko) 방청 피막
CN114574081A (zh) 一种金属表面重防腐防护涂料制备方法
US6872767B1 (en) Method of protecting surfaces with aluminum flaked composition
US7332069B2 (en) Cathodic corrosion protection powder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KR101935776B1 (ko) 강재 구조물 도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CN105713492A (zh) 一种防雾防冻防腐蚀纳米改性油漆
KR20240000873A (ko) 전기자동차 리튬이온 배터리 및 내연기관 자동차 엔진룸의 방열 및 초기화재 소화용 도료 조성물
WO2016175367A1 (ko) 판상 아연분말이 혼합된 수성 컬러도료 조성물
CN216268057U (zh) 一种水性环氧底漆涂层结构
JPS59191748A (ja) 防食部材
CN212128045U (zh) 电控一体化小屋外防腐涂层结构
JP6913211B1 (ja) 構造物表面の保護工法
KR970009357B1 (ko) 고내후성 아연계 방청 도료
EP4324888A1 (en) Dielectric coatings
CN114292592B (zh) 涂料组合物、涂料及其应用于电力设备的涂覆工艺
CN108178983A (zh) 一种阻燃弹性防护涂层组合物及阻燃弹性防护涂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