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302B1 - 뜸장치 - Google Patents

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302B1
KR102474302B1 KR1020200172647A KR20200172647A KR102474302B1 KR 102474302 B1 KR102474302 B1 KR 102474302B1 KR 1020200172647 A KR1020200172647 A KR 1020200172647A KR 20200172647 A KR20200172647 A KR 20200172647A KR 102474302 B1 KR102474302 B1 KR 102474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osed
tower
moxibus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601A (ko
Inventor
윤종섭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지백 스마트 에스씨아이-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지백 스마트 에스씨아이-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지백 스마트 에스씨아이-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0017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3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타워를 포함하는 크래들; 및 상기 타워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제 1 유닛 및 제 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닛이 상기 타워의 좌측면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유닛이 상기 타워의 우측면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발명은 뜸패드가 상기 유닛에 부착될 경우, 뜸재료가 상기 뜸공간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유닛의 바닥을 평평하게 형성시킬 수 있고, 사용자 피부와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뜸장치{Moxibusti apparatus}
본 발명은 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의학의 침구치료에서는 경혈을 자극하기 위한 수단으로 침이나 뜸을 이용하고 있다. 뜸은 침에 비하여 일반인들에 의한 시술이 비교적 간편하고 부작용이 없어 널리 시술되고 있으며, 가정에서도 건강관리를 위해 뜸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한방에서 뜸이라 함은 인체의 경혈, 경락, 통증부위에 열을 가해 자극함으로써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할 있도록 한 것으로,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약쑥을 이용하는 쑥뜸 시술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약쑥을 이용한 쑥뜸 시술방법은 열전달 방식에 따라 간접구 방식과 직접구 방식으로 구분되고, 종래의 전통적인 쑥뜸 시술시 불을 붙이기 위한 약쑥뭉치의 크기는 쌀알 절반 크기에서 쌀알 1개 크기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쑥뜸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면서 쑥뜸에 의한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열량을 발생시키면서 타는 시간을 조절하여 적절한 시간동안 열 자극을 가하는 것이다.
종래의 쑥뜸 시술방법에서는 약쑥뭉치의 크기를 적게 하는 경우 그 취급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열량이너무 적어 충분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약쑥뭉치의 크기를 너무 크게 하는 경우 발열량이 과도하여 화상을 입게 되어 시술 자리에 반점 등과 같은 흉터가 생기고, 특히 약쑥이 타고 남은 재가 날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08911호
본 발명은 뜸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타워를 포함하는 크래들; 및 상기 타워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제 1 유닛 및 제 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닛이 상기 타워의 좌측면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유닛이 상기 타워의 우측면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타워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유닛 및 제 2 유닛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타워의 좌측면에 배치되고, 우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결합홈; 상기 타워의 우측면에 배치되고, 좌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결합홈; 상기 제 1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결합홈 또는 제 2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부; 상기 제 2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결합홈 또는 제 2 결합홈 중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는 제 2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은, 상기 타워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유닛케이스; 및 상기 유닛케이스에 배치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케이스는, 상기 타워에 밀착되는 바텀월; 상기 바텀월과 연결된 사이들월; 상기 사이들월에 연결된 탑월; 및 상기 바텀월에서 상기 탑월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뜸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닛 또는 제 2 유닛의 바텀월에 부착되는 뜸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뜸패드는, 망사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뜸재료가 배치되는 망사체; 상기 망사체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패드; 상기 패드 및 망사체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제 1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망사체 및 패드에 고정되는 제 1 이형지; 상기 망사체의 타측이 관통되고, 제 2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패드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제 2 이형지;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크래들에 뜸을 제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유닛을 거치할 수 있고, 거치과정에서 상기 복수개의 유닛을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유닛의 저면에 오목한 뜸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뜸공간에 뜸재료가 삽입되기 때문에, 유닛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뜸재료에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뜸패드가 상기 유닛에 부착될 경우, 뜸재료가 상기 뜸공간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유닛의 바닥을 평평하게 형성시킬 수 있고, 사용자 피부와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크래들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유닛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반대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뜸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크래들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유닛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반대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뜸장치는 크래들(10)과, 상기 크래들(10)에서 분리가능한 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크래들(10)은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20)와, 상기 크래들베이스(20)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타워(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100)은 2개가 배치되고, 상기 타워(3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닛들은 동일한 형상 및 구조이고,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유닛(101) 및 제 2 유닛(102)으로 정의한다.
상기 유닛(100)은 상기 타워(1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유닛(101)은 타워(100)의 좌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유닛(102)은 타워(100)의 우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타워(30)는 상기 베이스(20)의 좌우 중앙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타워(30)는 상기 베이스(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0)은 정면에서 볼 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0)의 배면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충전포트(15)가 배치된다.
상기 타워(30)의 좌측면(31) 및 우측면(32)은 좌측면 측으로 오목한 결합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유닛(102)이 상기 결합홈(3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타워(30)를 기준으로 제 1 유닛(101) 및 제 2 유닛(102)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좌측면에 배치된 결합홈을 제 1 결합홈이라 하고, 우측면에 배치된 것을 제 2 결합홈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2 유닛(102)의 저면이 상기 결합홈(3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워(30)와의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홈(34)은 상기 제 2 유닛(102)의 하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제 1 유닛(101) 위치되는 제 1 베이스부(21)와, 제 2 유닛(102)이 위치되는 제 2 베이스(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이스(21)는 상기 타워(3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배치되고, 제 2 베이스(22)는 타워(30)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20)의 상면(20a)에는 상기 유닛(101)(102)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홈(23)이 형성된다. 상기 회피홈(23)은 상기 타워(30)의 측면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피홈(23)은 상기 결합홈(34)과 연결된다.
제 1 유닛(101) 또는 제 2 유닛(102)을 크래들(10)에 장착할 때, 사용자의 손 또는 유닛의 측면이 베이스(20)의 상면(21)과 접촉되면, 유닛을 놓칠 수 있고, 유닛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회피홈(23)은 상기 제 2 유닛(102)이 상기 타워(30)에 결합될 때, 측면 또는 사용자의 손이 상기 베이스(2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피홈(23)은 하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회피홈(23)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피홈(23)은 제 1 베이스부(21) 및 제 2 베이스부(22)의 상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피홈(23) 및 삽입홈(34)은 교차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34)의 하부와 회피홈(23)의 측부가 연결된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삽입홈(34) 및 회피홈(23)의 연결부분에 유닛을 위한 충전전극(41)(42)이 배치된다.
상기 충전전극(41)(42)은 타워(30) 또는 베이스(20) 중 어느 부분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전극(41)(42)은 상기 베이스(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전극(41)(42)은 상기 회피홈(23) 내에 배치된다.
상기 충전전극(41)(42)은 전후 방향으로 2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2개 중 1개가 + 전극이고, 나머지 1개가 - 전극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접지를 위해 3개의 전극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충전전극(41)(42)은 제 1 유닛(101)을 위한 것과, 제 2 유닛(102)을 위한 것이 각각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충전전극(41)(42)은 제 1 베이스부(21) 및 제 2 베이스부(22)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유닛(101)(102)들이 상기 충전전극(41)(42)에 결합될 때, 상기 유닛(101)(102)들의 위치정렬을 위한 결합돌기(43)(44)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3)(44)는 베이스(20) 또는 타워(3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43)(44)는 베이스(20)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돌기(43)(44)는 삽입홈(34) 또는 회피홈(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돌기(43)(44)는 회피홈(23) 내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돌기(43)(44)는 전후 방향으로 2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전방에 배치된 것을 제 1 결합돌기(43)라 하고, 후방에 배치된 것을 제 2 결합돌기(44)라 한다.
상기 제 1 결합돌기(43) 및 제 2 결합돌기(44) 사이에 상기 충전전극(41)(42)들이 배치된다.
상기 결합돌기(43)(44)들 및 충전전극(41)(42)들은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충전전극(41)(42)들은 상기 결합돌기(43)(44)들의 폭 내에 배치된다. 상기 충전전극(41)(42)들은 상기 결합돌기(43)(44)들의 폭 내에 배치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충전전극(41)(42)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닛(101) 및 제 2 유닛(102)을 동일한 구조 및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 1 유닛(101) 및 제 2 유닛(102) 중 어느 것이 타워의 좌측면(31) 및 우측면(32)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유닛(100)은 상기 충전전극(41)(42)을 통해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유닛(100)은 유닛케이스(110)와, 상기 유닛케이스(110)에 배치된 버튼(120)을 포함한다.
상기 유닛케이스(110)는 탑월(111), 사이드월(112) 및 바텀월(113)을 포함한다.
상기 유닛(100)이 상기 타워(30)에 결합될 때, 상기 바텀월(113)이 상기 타워의 좌측면(31) 또는 우측면(32)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탑월(111)에 상기 버튼(120)이 배치되고, 상기 버튼(120)의 조작을 통해 내부에 배치된 발열체(미도시)가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발열체 및 배터리의 배치 및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발열체는 상기 바텀월(113)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유닛케이스(110)는 상기 삽입홈(32)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15)는 상기 바텀월(113) 측으로 돌출된 구조이다.
상기 제 1 유닛에 배치된 삽입부(115)를 제 1 삽입부라 정의하고, 제 2 유닛에 배치된 삽입부(115)를 제 2 삽입부라 정의한다.
상기 삽입부(115)는 상기 사이드월(112)에서 바텀월(113) 측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삽입홈(3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텀월(113)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3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텀월(113)의 평면적이 상기 사이드월(112)의 평면적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유닛(100) 및 타워(30)의 결합을 위해 자석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닛(100) 및 타워(30) 중 어느 하나에 자석이 배치되고, 반대편에 상기 자석과 반응하는 강자성체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워(30)에 자석을 배치하고, 상기 유닛(100)에 배치된 강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닛(100)에 배치된 강자성체는 배터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워(30)의 좌측면(31) 및 우측면(32)에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바텀월(113)에 별도의 강자성체 또는 자석을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유닛케이스(110)의 측부에 상기 제 1 결합돌기(43) 및 제 2 결합돌기(44)가 삽입되는 제 1 결합홈(143) 및 제 2 결합홈(1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홈(143) 및 제 2 결합홈(144)은 상기 사이드월(112)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결합홈(143) 및 제 2 결합홈(144)은 상기 삽입부(115) 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바텀월(113)에 뜸이 삽입되는 뜸공간(15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뜸공간(150)은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뜸공간(150)은 상기 삽입부(115) 보다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바텀월(113)의 면에서 상기 탑월(111) 측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시켜 상기 뜸공간(150)을 제작한다.
상기 뜸공간(150)은 일측이 개구되고, 개구된 방향으로 뜸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뜸공간(150)은 개구된 방향을 제외한 면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뜸공간(150)에 제공된 열을 통해 상기 뜸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뜸공간(150)은 원형의 디스크 또는 원기둥형태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뜸패드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뜸패드(200)는 쑥등과 같은 뜸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쑥은 엉시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써 어린 잎을 식용으로, 잎, 줄기는 약용으로 쓰이며, 성숙된 쑥으로 만든 대황색의 솜같이 된 것은 뜸쑥을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쑥에는 씨네올이 함유되어 있어 혈전을 예방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인진 쑥은 위장과 손과 발을 따뜻하게 하고 간 기능 개선과 비타민 A1(체질개선, 노화억제), B1, B2 및 C, 칼슘,철분 등을 함우하여 해독작용과 항균작용이 우수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 쑥은 지혈, 정혈, 창상 회복, 풍한, 항균, 소염, 진통 및 탈취 작용을 가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쑥의 한약 이름은 "애엽"으로 약 30여 종류가 있으며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예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는데, 흔히 먹는 부드럽고 어린 쑥은 '애쑥' 또는 '참쑥'이라 하며 말려서 약으로 쓰거나 쑥뜸에 쓰는 것은 보통 '약쑥'이라 한다.
쑥의 엽록소는 암을 예방하고 피를 맑게 해주며 조혈, 살균, 미세혈관의 확장작용, 신진대사촉진, 항알레르기 작용을 한다. 인체 내의 다량의 불포화 지방산이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의 영향을 받아 혈액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을 만드는 과정에서 노화가 진행되는데 쑥의 탄닌 성분이 과산화 지질의 생성을 강력하게 억제하여 세포의 노화를 방지한다. 쑥은 특유의 은은한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냉기를 없애고 해충을 물리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쑥은 간 기능을 활성화 시켜주는 풍부한 영양성분 그리고 비타민, 미네랄 등이 풍부하여, 간의 해독기능과 지방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피로회복 및 체력개선 기능을 한다. 쑥의 혈액순환 기능은 위 점막의 혈행이 개선되도록 하며, 쑥의 양질의 섬유질은 장의 연동운동과 점액분비를 원활하게 하여 쾌변을 도와준다. 또한 쑥은 여성의 만성적인 허리, 어깨 통증 및 냉기와 습기를 해소하여 각종 여성병에 특별한 효능이 있으며, 피를 맑게 하고,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줄여 혈압조절 및 지방대사를 도와 비만에 효과가 있다. 또한 쑥은 항암작용을 하는 풍부한 엽록소와 식물성 섬유, 미네랄, 비타민이 풍부하여 각종 약품, 비료, 농약 등의 독소를 분해해서 체외로 내보내는 강력한 해독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요 생리활성 물질의 주성분으로 다른 생리활성물질과 결합하여 혈행 기여 및 해독 작용과 인체면역 기능의 강화, 각종 유익한 생리 활성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뜸에는 다양한 약재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과는, 여주 (Balsam Pear)라고 하는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아시아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꽃은 황색이고, 줄기는 덩굴손으로 다른 물건을 감아서 올라간다. 어린 열매와 종피는 식용으로, 종자는 약용으로 쓴다. 포도당 연소를 돕고 포도당이 체내에서 재합성되지 않게 하여 혈당을 낮춰주는 식물성 인슐린성분(Polypeptide P)과,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지용성 성분인 카란틴(Charantin)과, HIV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단백질성분(MAP30; Momordica Anti-HIV Protein으로 명명)과, 100g 중 120mg이 들어 있는 비타민 C과, 비타민 A로 전환되는 베타 카로틴 및 철, 칼륨 등의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으며, 항염, 항독, 해독, 살균 및 정혈과 같은 약리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고과는 열에 파괴되지 않는 비타민 C를 비롯한 폴리펩타이드 성분과 단백질 등과, 항염, 항독, 해독 및 살균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민들레(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산 초본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뿌리, 잎, 꽃 등 식물체 모두를 식용할 수 있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민들레의 잎이 해열 및 항염효과를 나타낸다고 하여, 열과 염증이 수반되는 방광염, 질염,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십이지장염, 관절염 등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로서 민들레의 잎을 사용하여 왔다.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의 식물체를 포공영(蒲公英)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이러한 포공영은 열로 인한 종창, 유방염, 인후염, 맹장염, 복막염, 급성간염, 황달에 효과가 있으며, 열로 인해 소변을 못 보는 증세에도 사용된다. 특히 민들레의 리놀산과 콜린 성분은 고혈압, 심장병, 간질환 등 성인병에 효과가 있으며, 담즙분비 촉진, 항류마티스 등에 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대장의 유익한 장내 미생물 개선, 혈당 및 혈중지질함량 개선, 항암효과, 위장관의 변질과 비정형 세포증식의 치료효과, 항바이러스 작용 등에 민들레 추출물과 민들레로부터 분리된 성분을 이용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강황( Curcuma longa L)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한해살이 풀로 열대 아시아가 원산이며, 중국 남부 등지와 국내 북부의 산악지대를 제외한 각지에서 재배하고 근경(根莖)이 한약재로 쓰이며, 알려진 성분으로는 터메론(turmerone), 징거린(zingerene), 펠란드린(phellandrene), 1,8-시네올 (cineole), 보르네올(borneol), 디하이드로터메론(dehydroturmerone) 등이 있으며, 아라비노즈, 과당, 글루코스, 녹말,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고, 뿌리는 황색의 결정성분인 디케톤 화합물 쿠르쿠민(curcumin)과 그 유도체인p-하이드록시신나모일페루로일메탄(p-hydroxycinnamoylferuloylmethane) 및 p,p'-디하이드록시디신나모일메탄(p,p'-dihydroxydicinnamoylmethane)으로 된 황색 색소를 03% 정도 함유하며 그밖에 정유 1~5%, 불휘발성유 약24%, 전분 50%, 조섬유 5%, 회분4%, 수분 16% 정도를 함유하고 있다. 강황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여 어깨 관절통을 비롯하여 타박상이나 어혈치료제로도 사용이 되고,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작용(降下) 및 간(肝)내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강황은 항산화, 항암, 항돌연변이, 항염, 치매 예방, 간기능 보호 및 장애억제, 콜레스테롤 감소 등 각종 생리 효능을 나타내며, 특히 항암효과가 우수하여, 각종 암을 예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솔잎은 소나무의 잎이다. 소나무(Pinus densiflora Seibold et Zuccarini)는 우리나라 전국의 산에 야생하고 있는 상록침엽교목으로, 주로 내륙지방에 많이 자라는 적송(육송)이 주를 이루며,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곰솔(해송), 백송 등이 있다. 소나무의 잎인 솔잎은 예로부터 한방 또는 민간 요법의 약용이나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솔잎은 위장병, 중풍, 고혈압, 신경통, 천식 등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솔잎의 이러한 약리작용은 솔잎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 성분,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K, 비타민 P(루틴), 인, 철분, 효소, 탄닌, 엽록소, 고미성 물질, 플라보노이드 등의 기능성 물질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비타민 P(루틴)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고혈압과 노화를 방지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솔잎의 휘발성 정유는 산림욕시 피로를 해소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엉겅퀴(Cirsium japonicum)는 국화과(Asteraceae)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산과들에서 자생하며, 약재로서는 대계라고 불리며 양혈지혈(凉血止血), 활혈해독(活血解毒) 및 소염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특히 엉겅퀴는 지혈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혈작용을 나타내는 주성분은 펙토리나린(pectolinarin)이라는 성분인데, 실험용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출혈시간의 단축이 관찰된다는 내용이 보고되었다.
또한, 엉겅퀴는 림프구의 증식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NK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종양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어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도 감기, 백일해, 장염, 신장염, 토혈, 혈뇨,혈변 또는 산후에 출혈이 멎지 않을 때나 대하증 및 종기와 같은 증상의 치료에도 사용된다고 알려진 바 있다.
예를 들어, 질경이(plantago asiatica)는 질경이과 (Plantago inaceae)에 속하는 질경이속(Plantago [0062] species) 식물로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의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등지에 자생하는 약초로 노방초라고 할 만큼 생명력이 강하고 번식력이 우수하다. 꽃이 필 때의 전초를 말린 것을 차전초(車前草), 씨를 차전자(車前子) 라고 하며, 한방에서는 강력한 이뇨제로 신장염, 방광염, 요도염 등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질경이에는 무기질과 단백질, 비타민류 및 다당류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들은 항염증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차전자는 사포닌(saponin)이 함유되지 않은 진해제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만성 기관지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차전자는 유럽, 미국 등에서는 mucillaging agent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항지간작용(抗脂肝作用)이 인정되어 만성간염, 동맥경화증과 같은 성인병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다. 질경이의 주요 생리 활성 성분으로 잎에서 발견되는 iridoid, glycoside, 인, aucubin과, plantaglucoside, 각종 sterol류 등이 있으며, 씨에는 mucilage와 adenine, chdline 및 각종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한편, 질경이의 주요 생리 활성성분으로 씨와 잎의 H2O 분획으로부터 분리되는 aucubin은 동물 암세포의 리보핵산 생합성을 억제함을 연구 보고된 바 있고, 또 다른 중요한 작용으로 항균작용, 담즙 분비작용, 완하작용, 간독성 방어 작용, 그리고 혈압 강하작용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질경이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생약제를 이용한 항암 효과와 간장내 활성산소 생성과 항산화 효소계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의 결과로, 질경이가 발암물질인 B(A)P나 2-AE, TRP-P-1의 활성을 80% 이상 억제하는 발암 물질 억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상기 뜸패드(200)는, 망사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뜸재료(1)가 배치되는 망사체(4)와, 상기 망사체(4)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패드(2)와, 상기 패드(2) 및 망사체(4)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제 1 접착부재(5)를 통해 상기 망사체(4) 및 패드(2)에 고정되는 제 1 이형지(7)와, 상기 망사체(4)의 타측이 관통되고, 제 2 접착부재(6)를 통해 상기 패드(2)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제 2 이형지(9)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2)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패드(2)는 상기 제 2 접착부재(6)를 통해 상기 바텀월(113)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2)는 상기 망사체(4)의 일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 1 이형지(7)는 상기 제 1 접착부재(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형지(7)가 분리될 경우, 상기 제 1 접착부재(5)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망사체(4)는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망사체(4)의 내부에 상기 뜸재료(1)가 배치된다. 상기 뜸재료(1) 전체는 상기 망사체(4)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망사체(4)는 메쉬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통기성이 우수하고, 뜸재료(1)에서 생성된 약성분의 배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망사체(4)는 높이를 갖는 형상이다.
상기 뜸재료(1)가 수납된 망사체(4)는 원형의 디스크형상일 수 있다.
상기 망사체(4)의 일측면에 상기 제 1 이형지(7) 및 제 1 접착부재(5)가 배치된다.
상기 망사체(4)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이형지(7) 및 제 1 접착부재(5)을 관통하지 않는다. 상기 망사체(4)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이형지(7) 및 제 1 접착부재(5)에 지지된다.
반면에 상기 망사체(4)의 타측면은 상기 패드(2)를 관통하고, 상기 패드(2)의 타측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망사체(4)는 상기 패드(2)의 홀에 삽입된 형태이다.
상기 패드(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접착부재(5)에 접착된다.
상기 망사체(4)의 타측면은 패드(2)의 타측면 보다 높게 배치된다.
상기 망사체(4)의 타측은 상기 뜸공간(150)으로 삽입된다. 상기 망사체(4)의 타측이 상기 뜸공간(150)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뜸공간(150)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패드(20)의 타측면은 상기 바텀월(113)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망사체(4)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제 2 이형지(9)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형지(9)는 상기 제 2 접착부재(6)에 의해 상기 패드(2)의 타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 2 이형지(9)는 패드(2)의 넓이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이형지(9)는 상기 망사체(4)의 타측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이형지(9)를 분리할 경우, 상기 제 2 접착부재(6)가 노출되고, 상기 제 2 접착부재(6)가 상기 바텀월(113)에 접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착부재(6)가 상기 바텀월(113)에 접착될 경우, 상기 망사체(4)의 타측이 상기 뜸공간(15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2)의 일측면을 평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이형지(7) 및 제 1 접착부재(5) 사이에 제 3 이형지(8)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이형지(8)는 제 1 접착부재(5)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3 이형지(8)는 상기 제 1 이형지(7)에 의해 은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형지(7)가 분리된 후 상기 제 3 이형지(8)가 노출된다.
상기 제 3 이형지(8)는 상기 패드(2)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제 1 이형지(7)를 분리한 후, 사용자가 상기 제 3 이형지(8)를 잡아도 손에 제 1 접착부재(5)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뜸패드(200)가 상기 유닛(100)에 부착될 경우, 상기 망사체(4)의 타측이 상기 뜸공간(150)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유닛(100)의 바닥을 평평하게 형성시킬 수 있고, 사용자 피부와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크래들 20 : 베이스
30 : 타워 31 : 좌측면
32 : 우측면 100 : 유닛
101 : 제 1 유닛 102 : 제 2 유닛
110 : 유닛케이스 120 : 버튼
150 : 뜸공간 200 : 뜸패드

Claims (5)

  1.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타워를 포함하는 크래들; 및 상기 타워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제 1 유닛 및 제 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닛이 상기 타워의 좌측면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유닛이 상기 타워의 우측면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유닛 및 제 2 유닛은, 상기 타워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유닛케이스; 및 상기 유닛케이스에 배치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케이스는, 상기 타워에 밀착되는 바텀월; 상기 바텀월과 연결된 사이들월; 상기 사이들월에 연결된 탑월; 및 상기 바텀월에서 상기 탑월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뜸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닛 또는 제 2 유닛의 바텀월에 부착되는 뜸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뜸패드는, 망사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뜸재료가 배치되는 망사체; 상기 망사체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패드; 상기 패드 및 망사체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제 1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망사체 및 패드에 고정되는 제 1 이형지; 상기 망사체의 타측이 관통되고, 제 2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패드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제 2 이형지;를 포함하는 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워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유닛 및 제 2 유닛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워의 좌측면에 배치되고, 우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결합홈;
    상기 타워의 우측면에 배치되고, 좌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결합홈;
    상기 제 1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결합홈 또는 제 2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부;
    상기 제 2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결합홈 또는 제 2 결합홈 중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는 제 2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뜸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00172647A 2020-12-10 2020-12-10 뜸장치 KR102474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47A KR102474302B1 (ko) 2020-12-10 2020-12-10 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47A KR102474302B1 (ko) 2020-12-10 2020-12-10 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601A KR20220082601A (ko) 2022-06-17
KR102474302B1 true KR102474302B1 (ko) 2022-12-06

Family

ID=8226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647A KR102474302B1 (ko) 2020-12-10 2020-12-10 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3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911B1 (ko) 2013-01-24 2014-07-04 소셜테크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뜸 치료기
KR102100188B1 (ko) 2019-11-18 2020-04-14 (주)코리아씨티씨 휴대용 쑥뜸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569B1 (ko) * 2015-02-06 2016-12-08 주식회사 테크노싸이언스 세라믹을 이용한 전자식 뜸 장치
KR102138569B1 (ko) * 2018-12-28 2020-07-28 동제메디칼 스마트 전자식 뜸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911B1 (ko) 2013-01-24 2014-07-04 소셜테크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뜸 치료기
KR102100188B1 (ko) 2019-11-18 2020-04-14 (주)코리아씨티씨 휴대용 쑥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601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potential traditional Indian herbs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Guarino et al. Ethnobotanical study of the Sannio area, Campania, southern Italy
US10531980B2 (en) Portable electronic moxibustion therapy device
Marwat et al. Medicinal folk recipes used as traditional phytotherapies in district Dera Ismail Khan, KPK, Pakistan
KR101408911B1 (ko) 휴대용 전자 뜸 치료기
Panda Handbook on medicinal herbs with uses: medicinal plant farming, most profitable medicinal plants in India, medicinal plants farming in India, plants used in herbalism, medicinal herbs you can grow, medicinal herbs and their uses, medicinal herbs, herbal & medicinal plants, growing medicinal herb, most profitable medicinal herbs growing with small investment, herbal medicine herbs
KR100976816B1 (ko) 숙취해소 및 간장과 신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CN104855738A (zh) 一种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315109A (zh) 一种辣木茶天然植物饮料
Hutchens A Handbook of Native American Herbs: The Pocket Guide to 125 Medicinal Plants and Their Uses
Kumar et al. Green blood therapy of wheat grass-Nature’s finest medicine’-A literature review
CN102940153A (zh) 一种改善肉质、蛋质的家禽饲料
CN105920469A (zh) 一种治疗猪体表寄生虫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731160B1 (ko)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생약재 조성물
CN102886014B (zh) 一种清血消炎的抗肿瘤药物
CN103933509A (zh) 用于治疗淡水鱼水霉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027195A (zh) 一种抗球虫的中药饲料添加剂
CN103908592A (zh) 一种解毒的中药及其制备方法
KR102474302B1 (ko) 뜸장치
KR20140137155A (ko) 원적외선수가 포함되는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KR20160147424A (ko) 와송 추출물이 포함된 효소조성물
Chillemi The complete guide to natural healing: a natural approach to healing the body and maintaining optimal health using herbal supplements, vitamins, minerals, fruits, vegetables and alternative medicine
Foster et al. Herbal emissaries: bringing Chinese herbs to the West: a guide to gardening, herbal wisdom, and well-being
Joshi et al. Garlic in Traditional Indian Medicine (Ayurveda) for Health and Healing
Winston Nvwoti, Cherokee medicine and ethnobota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