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097B1 - 다리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다리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097B1
KR102474097B1 KR1020220011921A KR20220011921A KR102474097B1 KR 102474097 B1 KR102474097 B1 KR 102474097B1 KR 1020220011921 A KR1020220011921 A KR 1020220011921A KR 20220011921 A KR20220011921 A KR 20220011921A KR 102474097 B1 KR102474097 B1 KR 102474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rrection device
leg
base
coupl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호
Original Assignee
유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호 filed Critical 유태호
Priority to KR1020220011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다리 교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식의 다리 교정 장치는, 하부가 볼록한 표면을 가지는 단면이 원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하나 이상의 축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양 발바닥을 지지하며, 각각이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발바닥 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난이도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리 교정 장치{CORRECTING DEVICE FOR LEG}
본 발명은 다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3차원 공간에서 가변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한 베이스부 상에서, 사용자의 발바닥을 병진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다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전, 질병, 생활 습관 등으로 인해 X-다리나 O-다리와 같은 휜 다리 현상이 발생한다. 다리의 각 변형 치료(Angular deformity correction)은 휜 다리를 치료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기에 의한 치료 방식과 수술 방식이 있다. 오늘날 휜 다리를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다리 교정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교정 장치는 다리에 부착이 되는 형태 또는, 동력원을 사용하여야 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소모의 문제점과 더불어 사용자가 장소나 시간에 구애 없이 쉽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다리 교정 장치는 다리나 발바닥의 단순한 방향으로만 운동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외부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전신 운동을 하면서도 다리 교정을 할 수 있는 다리 교정 장치가 필요하다.
KR 10-1664703 B1 (2016. 10. 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차원 공간에서 가변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한 베이스부 상에서 사용자의 발바닥을 병진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다리 교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숙련도 및 근력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리 교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동, 조립 및 보관이 편리한 다리 교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식의 다리 교정 장치는, 회전방식의 다리 교정 장치는, 하부가 볼록한 표면을 가지는 단면이 원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하나 이상의 축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양 발바닥을 지지하며, 각각이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발바닥 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난이도 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이도 조절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마련되는 결합축; 및 상기 결합축에 연결되어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축에 대해 상기 조절편 각각의 외측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축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조절편에는 상기 제1 나사부와 맞물리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축으로부터의 상기 조절편의 외측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난이도 조절장치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편 각각은, 원호 형상의 원호부; 및 상기 원호부로부터 연장하는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절편은 각각의 직선부에서 상기 결합축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원형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원형 프레임 사이에 복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다양한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발바닥 지지부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반대의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발바닥 지지부를 탄성 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운동부는, 상기 발바닥 지지부의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는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는 제1 장력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고정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스프링은 권취식의 판스프링이고, 상기 제1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함으로써 상기 탄성 스프링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마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대하여 병진 운동이 가능하고, 각각의 상기 발바닥 지지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는 3차원 공간에서 가변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한 베이스부 상에서 사용자의 발바닥을 병진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어, 전신 운동과 함께 휜 다리 치료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숙련도 및 근력에 맞게 발바닥 지지부의 회전 및 병진 운동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숙련도 및 근력에 맞게 하우징의 운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리 교정 장치의 분해와 조립이 편리하여, 이동 및 보관을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리 교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리 교정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리 교정 장치의 발바닥 지지부의 회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다리 교정 장치의 베이스부에서의 회전 운동 및 병진 운동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다리 교정 장치의 베이스부에서의 회전 운동 및 병진 운동 시 복원운동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있어서, 다리 교정 장치의 베이스부의 병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다리 교정 장치의 난이도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난이도 조절 장치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의 운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리 교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리 교정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100)는, 사용자가 3차원 공간에서 가변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베이스부(140) 위에서, 사용자의 양 발바닥을 병진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사용자는 베이스부(140) 위에 올라선 상태로 양 발을 회전 및 병진운동하기 하기 위하여 다리 및 발의 근육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을 통하여 휘어진 다리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다리의 교정과 동시에 근력을 키우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다리 교정 장치(100)는, 하우징(130)이 프레임(120)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예컨대 X축, Y축, Z축의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된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100)는, 원형의 하우징(130), 지지 프레임(120), 베이스부(140), 발바닥 지지부(150), 및 회전 운동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하부가 볼록한 표면을 가지며 원형 또는 타원형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리 교정 장치(100)의 베이스부(140) 상에 사용자가 양 발을 벌린 상태로 서서 운동을 하는 것으로, 하우징(130)은 타원형일 수 있다. 하우징(130)은 강도가 높은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0)은, 하우징(130)을 하나 이상의 축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3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0)은, 복수의 원형 프레임(120)과, 베어링(12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120)은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형 프레임(120a, 120b)과, 2개의 원형 프레임(120a, 120b) 사이에 마련되어 하우징(130)의 다양한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12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어링(126)은 다양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는 볼 베어링일 수 있다.
베이스부(140)는 하우징(130)의 상면을 마감하도록 하우징(13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40)는 판형상으로 타원형의 하우징(130)에 대응하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부(140)는 사용자가 다양한 발바닥 및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다.
발바닥 지지부(15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베이스부(140)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양 발바닥 각각을 지지하면서 베이스부(140)에 대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각각의 발바닥 지지부(150)는 사용자의 양 발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베이스부(140) 위에 설치된 각각의 발바닥 지지부(150) 위에 자신의 발을 하나씩 올려 둔 상태로, 다리와 발의 근육을 이용하여 발바닥 지지부(150)의 가운데 부분을 축으로 하여, 발바닥 지지부(15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한 쌍의 발바닥 지지부(15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다리 교정 장치의 발바닥 지지부의 회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다리 교정 장치의 베이스부에서의 회전 운동 및 병진 운동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다리 교정 장치의 베이스부에서의 회전 운동 및 병진 운동 시 복원운동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운동부(160)는, 사용자가 발바닥 지지부(150)를 회전시킬 때 반대의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회전 운동부(160)는, 발바닥 지지부(150)의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는 고정축(162), 고정축(162)에 연결되는 제1 장력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력조절장치는, 탄성 스프링(164), 및 고정축(162)에 연결되어 탄성 스프링(164)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회전캡(16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탄성 스프링(164)은 권취식의 태엽 또는 판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제1 장력조절장치는 회전캡(166)을 고정축(162)을 중심으로 회전을 함으로써 탄성 스프링(164) 또는 태엽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캡(166)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판스프링(164)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판스프링(164)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판스프링(164)의 탄성력이 큰 경우에는 사용자가 근육의 힘을 보다 많이 써야만 발바닥 지지부(1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나이와 신체 상태에 따라 자신에게 적합하도록 발바닥 지지부(15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100)는, 핸들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80)는 사용자가 운동 시, 사용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핸들부(180)는 핸들(188)과 핸들 프레임(182)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82)은 지지 프레임(120)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핸들(188) 역시 핸들 프레임(182)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핸들(188)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핸들 프레임(182)에는 다양한 높이조절용 체결구(184)가 마련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키에 맞도록 높이조절용 체결구(184)에 고정구(185)를 결합함으로써, 핸들(188)을 핸들 프레임(18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리 교정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 중에는 핸들(188)과 핸들 프레임(182)을 지지 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공간을 덜 차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100)는, 지지 프레임(120)에 복수의 바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바퀴는, 다리 교정 장치(10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사용 중에는 상기 바퀴가 굴러가지 않도록 굴림 방지 기능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100)는 커버부(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02)는 베이스부(140) 상부에 설치되어 베이스부(140)의 상면을 마감할 수 있다. 커버부(102)는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복수의 리브(104)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리 교정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베이스부(140)의 상부를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이 베이스부(140)의 다양한 틈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있어서, 다리 교정 장치의 베이스부의 병진 운동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40)는, 제1 베이스부(141)와, 한 쌍의 제2 베이스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41)는 하우징(130)의 상면을 마감하도록 하우징(130)에 설치되고 한 쌍의 제2 베이스부(144)가 설치되도록 좌우에 각각의 설치 공간(142)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44) 각각은 제1 베이스부(141)에 대하여 왕복으로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각각 발바닥 지지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베이스부(141)에는 각각의 발바닥 지지부(1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발바닥 지지부(150)의 회전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원호형상의 안내홈(145)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제1 베이스부(141)에는, 발바닥을 기준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하나씩 안내홈(145)이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바닥 지지부(150) 아래에는 안내홈(145)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앞뒤로 하나씩 마련되어 발바닥 지지부(150)는 원호형상의 안내홈(145)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41)는 제2 베이스부(144)의 병진 운동을 안내하도록 각각의 설치 공간(142)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146)과, 제2 베이스부(144)의 병진 운동 시, 운동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제2 베이스부(144)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원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원장치(170)는, 가이드 레일(146)과 제1 베이스부(141)에 양단이 연결되는 복원 스프링(171, 17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2 베이스부(144)에는, 발바닥을 기준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하나씩 복원장치(170)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복원장치(170)는, 가이드 레일(146) 양측으로 하나씩 복원 스프링(171, 172)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리와 발의 근육을 이용하여 발바닥 지지부(150)를 어느 한 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시킬 때, 복원 스프링(171, 172)은 반대의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원장치(170)는 복원 스프링(171, 17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장력조절장치(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력조절장치(173)는, 제1 베이스부(141)에 대한 제2 베이스부(144)의 병진 운동시, 복원 스프링(171, 172)의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운동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장력조절장치(173)는, 장력조절캡(174), 피니언 기어(175), 랙 기어(176)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조절캡(174)의 축은 피니언 기어(175)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장력조절캡(174)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피니언 기어(175)의 랙 기어(176)에 대한 상대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베이스부(144)에 양측에 각각 연결된 복원 스프링(171, 172)의 길이가 변화하면서 스프링의 인장 정도가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 측의 복원 스프링(171, 172)의 인장력이 동일하게 되도록, 제2 베이스부(!44)는 제1 베이스부(141)에 대하여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장력조절캡(174)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 베이스부(144)의 초기 위치를 도 7(a)에서 도 7(b)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7(b) 상태에서 다리 교정 장치(100)의 발바닥 지지부(150)에 올라선 후, 한 쌍의 제2 베이스부(144)를 서로 가까운 위치로 병진이동 시키기 위해서, 도 7(a)에 비하여 더 많은 힘이 들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 및 발의 근육에 대한 운동량은 커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다리 교정 장치의 난이도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난이도 조절 장치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의 운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이도 조절 장치(190)는 지지 프레임(120)에 대한 하우징(130)의 회전 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난이도 조절장치(190)는, 하우징(130)의 중심에 마련되는 결합축(192)과 복수의 조절편(194a, 194b, 194c)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조절편(194a, 194b, 194c) 각각은, 결합축(19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결합축(192)에 대하여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축(192)은 기준위치에서, 난이도 조절장치(19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조절편(194a, 194b, 194c)은 결합축(192)에 대하여 외측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조절편(194)은 원호부(194-1)와 직선부(194-2)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직선부(194-2)는 결합축(19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편(194a, 194b, 194c)이 3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원호부(194-1)가 120도씩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조절편(194a, 194b, 194c)은 결합축(192)에 연결이 된 상태에서, 결합축(192)에 대한 조절편(194a, 194b, 194c)의 최외측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결합축(192)에 대한 조절편(194a, 194b, 194c)의 최외측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지 프레임(120)에 대한 조절편(194a, 194b, 194c)의 거리는 가까워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30)의 회전 운동 범위는 줄어들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다리 및 발바닥의 근육을 이용하여 발바닥 지지부(150)에 힘을 가함에 따라 하우징(130)은 지지 프레임(120)에 대해 미끄럼 방식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회전 운동이 커짐에 따라 조절편(194a, 194b, 194c)은 지지 프레임(120)에 부딪히게 되고 그 이상으로는 하우징(130)의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난이도 조절장치(190)를 조절하여, 운동의 범위를 여러 단계로 제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난이도 조절장치의 결합축(192)에는 제1 나사부(193)가 형성되고, 각각의 조절편(194a, 194b, 194c)에는 제1 나사부(193)와 맞물리는 제2 나사부(195a, 195b, 195c)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나사부(193)는 피니언 기어이고, 제2 나사부(195a, 195b, 195c)는 랙 기어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사용자가 결합축(19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결합축(192)에 대한 조절편(194a, 194b, 194c)의 외측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난이도 조절장치(190)의 전체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는 3차원 공간에서 가변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한 베이스부 상에서 사용자의 발바닥을 병진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어, 전신 운동과 함께 휜 다리 치료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숙련도 및 근력에 맞게 발바닥 지지부의 회전 및 병진 운동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숙련도 및 근력에 맞게 하우징의 운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리 교정 장치의 분해와 조립이 편리하여, 이동 및 보관을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다리 교정 장치
120: 프레임 130: 하우징
140: 베이스부 150: 발바닥 지지부
160: 회전 운동부 170: 복원장치
180: 핸들부 190: 난이도 조절장치

Claims (9)

  1. 회전방식의 다리 교정 장치로서,
    하부가 볼록한 표면을 가지는 단면이 원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하나 이상의 축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양 발바닥을 지지하며, 각각이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발바닥 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난이도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난이도 조절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마련되는 결합축; 및
    상기 결합축에 연결되어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축에 대해 상기 조절편 각각의 외측 거리는 조절되는 것인 다리 교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조절편에는 상기 제1 나사부와 맞물리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축으로부터의 상기 조절편의 외측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난이도 조절장치의 크기가 변화되는 것인 다리 교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편 각각은,
    원호 형상의 원호부; 및
    상기 원호부로부터 연장하는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절편은 각각의 직선부에서 상기 결합축과 결합되는 것인 다리 교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원형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원형 프레임 사이에 복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다양한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인 다리 교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발바닥 지지부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반대의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발바닥 지지부를 탄성 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다리 교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운동부는,
    상기 발바닥 지지부의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는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는 제1 장력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고정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인 다리 교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은 권취식의 판스프링이고,
    상기 제1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함으로써 상기 탄성 스프링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인 다리 교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마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대하여 병진 운동이 가능하고, 각각의 상기 발바닥 지지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인 다리 교정 장치.

KR1020220011921A 2022-01-27 2022-01-27 다리 교정 장치 KR10247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921A KR102474097B1 (ko) 2022-01-27 2022-01-27 다리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921A KR102474097B1 (ko) 2022-01-27 2022-01-27 다리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097B1 true KR102474097B1 (ko) 2022-12-02

Family

ID=8441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921A KR102474097B1 (ko) 2022-01-27 2022-01-27 다리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0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694Y1 (ko) * 2001-08-24 2002-01-23 공상식 발바닥 지압 겸용 트위스트 원반장치
JP2002200194A (ja) * 2000-12-28 2002-07-16 Akira Tsuji 運動具
KR101664703B1 (ko) 2015-06-16 2016-10-10 고민수 휜 다리 교정장치
KR20180106563A (ko) * 2017-03-21 2018-10-01 최동환 다리 회전 구조의 허리 근력 강화용 운동 장치
KR20200007507A (ko) * 2018-07-13 2020-01-22 김선호 사용성과 보관성이 향상된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0194A (ja) * 2000-12-28 2002-07-16 Akira Tsuji 運動具
KR200261694Y1 (ko) * 2001-08-24 2002-01-23 공상식 발바닥 지압 겸용 트위스트 원반장치
KR101664703B1 (ko) 2015-06-16 2016-10-10 고민수 휜 다리 교정장치
KR20180106563A (ko) * 2017-03-21 2018-10-01 최동환 다리 회전 구조의 허리 근력 강화용 운동 장치
KR20200007507A (ko) * 2018-07-13 2020-01-22 김선호 사용성과 보관성이 향상된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1161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лечебной физкультуры
KR101486187B1 (ko) 마사지 의자
KR102468089B1 (ko) 슬관절 자극 장치
EP1175330B1 (en) Pedal device
KR20150000808U (ko) 마사지 의자
KR101115545B1 (ko)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
KR102474097B1 (ko) 다리 교정 장치
KR101477957B1 (ko) 체간 운동장치
KR102530248B1 (ko) 다리 교정 장치
US8696532B1 (en) Exercise ball stabilizer
JP2019000648A (ja) ストレッチ効果を有する歩行運動機器の改良構造
KR101711208B1 (ko) 허리트위스트가 가능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KR20150046707A (ko) 회전식 허리 운동 기구
KR102264153B1 (ko)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KR200487923Y1 (ko) 복합 헬스기구
JP4817327B2 (ja) 他動運動装置
KR102352384B1 (ko) 하프폼 롤러
KR101688578B1 (ko)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1632273B1 (ko) 하체 운동기구
KR20130122590A (ko) 운동기구
US20040147379A1 (en) Exercise device
KR101553051B1 (ko) 피봇 기구 및 그것이 적용된 재활 치료 장치
KR101349325B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JP3728726B2 (ja) 体全体のバランスを整える運動具
KR200396994Y1 (ko) 허리근력강화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