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058B1 -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 Google Patents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058B1
KR102474058B1 KR1020180108809A KR20180108809A KR102474058B1 KR 102474058 B1 KR102474058 B1 KR 102474058B1 KR 1020180108809 A KR1020180108809 A KR 1020180108809A KR 20180108809 A KR20180108809 A KR 20180108809A KR 102474058 B1 KR102474058 B1 KR 102474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fting
hull
eleva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0232A (en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058B1/en
Publication of KR20200030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2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0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선체; 선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그; 레그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부; 승강부와 연결되고, 상단부에 메인 크레인이 설치되는 몸체부; 및 승강부에 연결되고, 몸체부를 지지하며, 승강부에 대한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A wind generator installation vessel is disclosed.
A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ll; Legs installed on the hull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Elevating unit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egs;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lifting portion and having a main crane installed at the top portion; and a guide portion connected to the elevation unit,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nd guiding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elevation portion.

Description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turbine installed vessel.

친환경 에너지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풍력 발전기를 활용한 발전이 전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까다로운 환경적인 조건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는 장소는 블레이드의 유의미한 회전을 얻기 위한 일정 수준 이상의 풍속이 보장될 수 있는 곳이어야 하고, 풍력 발전기의 구동 시 발생되는 소음에 따른 공해가 이슈가 되지 않아야 하는 곳이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환경적인 조건을 만족한다고 하더라도,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매우 넓은 면적의 공간이 필요하다. As the demand for eco-friendly energy development increases, power generation using wind power generators is in the limelight worldwide. However, dema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required to install a wind power generator. For example, the place where the wind turbine is installed must be a place where wind speed above a certain level can be guaranteed to obtain meaningful rotation of the blades, and pollution caused by noise generated when the wind turbine is driven must not be an issue. do. In addition, even if these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satisfied, a very large area of space is required to install the wind power generator.

최근에는 위와 같은 제약 조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해상 풍력 발전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해상 풍력 발전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부품을 몇 개의 유닛으로 나누어 육상에서 제작한 후, 제작된 유닛을 해상으로 옮겨 조립하는 방법으로 설치되고 있다. 육상에서 제작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유닛을 해상으로 옮기고, 해상에서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선박을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이라고 한다. Recently, interest in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s that are relatively free from the above constraints has increased.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s can be installed in various ways, but are generally installed by dividing parts into several units, manufacturing them on land, and then transferring and assembling the manufactured units to the sea. A ship that moves the offshore wind turbine unit manufactured on land to the sea and installs the offshore wind generator on the sea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WTIV).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작업 특성상, 항해 모드(Transit Mode)와 잭업 모드(Jackup Mode)로 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항해 모드로 이동한다. 항해 모드에서 레그는 해수에 의한 저항을 줄이고자 선체의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잭업 모드로 전환하여 레그를 내려 해저에 박은 후, 선체가 해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선체를 레그를 따라 들어올린다. 선체가 일정 위치에 다다르게 되면,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선체의 이동을 중지하고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설치가 완료되면 위의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다음 설치 위치까지 이동한다.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the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can be operated in a transit mode and a jackup mode. Specifically, the wind turbine installation ship moves to a location where the offshore wind generator is to be installed in a sailing mode. In sailing mode, the leg may remain moved upward of the hull to reduce resistance caused by seawater. Thereafter, the wind turbine-installed vessel switches to a jack-up mode, lowers the legs, and drives the hull to the sea floor, and then lifts the hull along the legs so that the hull can be separated from the sea lev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hull reaches a certain position, the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stops moving the hull and performs an operation to install the offshore wind generator, and when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it proceed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order and moves to the next installation location.

이때,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이 필수적으로 이용된다. 메인 크레인의 작업 범위를 극대화하기 위해, 메인 크레인은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의 주 갑판(main deck)에 설치된다. At this time, a crane is essentially used to install the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In order to maximize the working range of the main crane, the main crane is installed on the main deck of the wind turbine installation ship.

그러나, 이 경우, 주 갑판에 설치된 메인 크레인으로 인해 해상 풍력 발전기의 유닛이 적재될 수 있는 주 갑판의 적재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is case, due to the main crane installed on the main de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ading space of the main deck in which units of the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can be loaded is reduced.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063767호(2013.04.11.)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3-063767 (2013.04.1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해상 풍력 발전기의 유닛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posed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wind power generator installation vessel capable of securing a wide loading space for loading units of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상기 선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그; 상기 레그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고, 상단부에 메인 크레인이 설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부에 대한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hull; Legs installed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on the hull; a lifting unit provided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eg;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lifting portion and having a main crane installed thereon; and a guide portion connected to the elevation portion,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nd guiding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elevation portion.

또한, 상기 몸체부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기 레그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fixing portion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and selectively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leg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회동 수단; 일 단부가 상기 제 1 회동 수단과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동되어 타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회동 바; 상기 회동 바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제 2 회동 수단; 및 상기 제 2 회동 수단과 결합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unit, the first rotation means installed inside the body portion; a pivoting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pivoting means and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body so that the other end is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 second pivoting mean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ivoting bar; And it may include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means.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동 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레그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movably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bar; a hooking part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selectively caught on the leg; and a movement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moving unit.

또한, 상기 레그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승강부는, 복수의 상기 레그 중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선체의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레그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본체; 및 상기 승강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본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gs are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n elevating main body coupled to elevate and descend with two adjacent leg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or a width direction of the hull among a plurality of the legs; and a lifting driver installed on the lifting body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lifting body.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승강 본체 및 상기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 상기 승강 본체 및 상기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와 정합되는 제 2 가이드; 및 상기 제 1 가이드 및 상기 제 2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 및 상기 제 2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이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first guide installed on any one of the elevating body and the body; a second guide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elevating body and the body and matched with the first guide; And it may include a guide driver installed on any one of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any one of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또한, 상기 승강 본체는, 상기 레그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본체 가이드부; 및 상기 승강 본체 가이드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선체의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레그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ing main body may include an elevating main body guide part coupled to the leg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evating main body guide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two adjacent le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또한, 상기 승강 본체 가이드부는, 상기 레그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 상기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에 대하여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 및 상기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 및 상기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가 상기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에 대하여 인출입되도록 상기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출입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 및 상기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또는 상기 제 2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ing main body guide unit includes a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coupled to the leg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 second lifting body guide provided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first lifting body guide; and a draw-in/out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first lifting body guide and the second lifting body guide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second lifting body guide so that the second lifting body guide is drawn in and out of the first lifting body guide. Including, the first lifting body guide and the second lifting body guide may be formed with the first guide or the second guide.

또한,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support unit installed on the hull and selectively supporting the elevation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해상 풍력 발전기의 유닛이 적재될 수 있는 적재 공간이 넓게 확보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wind power generator installation vess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wide loading space in which units of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s can be loaded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의 승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levation part of the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of FIG. 1 .
3 is a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a fixing part of the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of FIG. 1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Hereinafter,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may be claimed,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form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includ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측 등의 방향 표현은 도면의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directions such as up, down, and side ar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and it is made clear in advance that they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when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a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1)은 선체(10), 레그(20), 승강부(30), 몸체부(40), 가이드부(50),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60),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부(7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a wind power generator installation vesse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ll 10, a leg 20, an elevation part 30, a body part 40, a guide part ( 50), at least one fixing part 60, at least one support part 70, and a controller (not shown).

선체(10)는 해상 풍력 발전기의 유닛, 예컨대, 파운데이션, 나셀, 블레이드 등을 적재할 수 있는 주 갑판을 구비하고,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이하, '설치 위치'라고 함.)까지 이동하기 위한 항해 모드 및 설치 위치에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한 잭업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The hull 10 has a main deck capable of loading units of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s, such as foundations, nacelles, blades, and the like, to a location where the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is to be install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stallation location'). It can be switched to a sailing mode for moving and a jack-up mode for installing an offshore wind turbine at an installation location.

레그(20)는 항해 모드시 해수에 의한 저항을 줄이기 위해 선체(10)의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잭업 모드시 해수면 아래로 하강하여 해저에 침투됨으로써, 선체(10)를 해수면으로부터 상승시킬 수 있다. The leg 20 maintains a state of being moved upward of the hull 10 in order to reduce resistance by seawater in the sailing mode, and in the jack-up mode, it descends below the sea level and penetrates the sea floor, thereby raising the hull 10 from the sea level. can make it

레그(20)는 선체(10)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그(20)는 선체(10)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해저면에 고정될 수 있고, 대략 삼각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20)는 다수의 브레이스(23)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3개의 코드(chord)(21)와, 코드(21)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랙(22)을 포함할 수 있다. Leg 20 is installed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hull (10). The leg 20 may move downward of the hull 10 and be fixed to the sea floor, and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For example, the leg 20 may include three chords 21 interconnected by a plurality of braces 23 and a rack 22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chords 21. have.

승강부(30)는 레그(20)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제공되어 메인 크레인(2)을 레그(20)에 대하여 승하강시킬 수 있다. The elevation part 30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eg 20 so that the main crane 2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eg 20 .

이때, 승강부(30)는 복수의 레그(20) 중 선체(10)의 길이방향 또는 선체(10)의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레그(2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본체(31) 및 승강 본체(31)에 설치되어 승강 본체(3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구동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vating unit 30 is an elevating body 31 that is coupled to two legs 2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o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10 among the plurality of legs 20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 and a lifting driver 32 installed on the lifting body 31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lifting body 31 .

승강 본체(31)는 레그(2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본체 가이드부(31a) 및 승강 본체 가이드부(31a)의 일측에 연결되어 선체(10)의 길이방향 또는 선체(10)의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레그(2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vating main body 3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evating main body guide part 31a and the elevating main body guide part 31a coupled to the leg 20 so as to be able to elevate,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or the hull 10 It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31b) disposed between the two adjacent legs 20 in the width direction.

이때, 승강 본체 가이드부(31a)는 레그(2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에 대하여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 및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 및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에 설치되고,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가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에 대하여 인출입되도록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출입 구동부(313a)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ifting body guide part 31a includes a first lifting body guide 311a coupled to the leg 20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second lifting body provided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first lifting body guide 311a. The second lifting main body guide 312a is installed on the guide 312a, the first lifting main body guide 311a and the second lifting main body guide 312a so that the second lifting main body guide 312a is drawn in and out of the first lifting main body guide 311a. It may include a pull-out driver 313a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elevating main body guide 312a.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는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가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1a may have an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312a can be selectively accommodated.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몸체부(4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의 상면에는 몸체부(40)의 하면에 구비된 제 2 가이드(52)가 정합될 수 있는 제 1 가이드(5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elevating body guide 311a may protrude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body 40 . Specifically, a first guide 51a to which the second guide 52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0 can be matched may be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1a.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에 정합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의 상면에는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에 구비된 제 1 가이드(51a)에 정합될 수 있는 제 1 가이드(51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lifting body guide 312a may protrude to match the first lifting body guide 311a. Specifically, a first guide 51b that can be matched with the first guide 51a provided in the first elevation body guide 311a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vation body guide 312a.

한편,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는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에 인입되거나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본체(31)가 2개의 승강 본체 가이드들(31a, 31b)로 구성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 본체(31)를 구성하는 승강 본체 가이드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312a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1a or drawn out from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1a. In this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elevating main body 31 is composed of two elevating main body guides 31a and 31b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elevating main body guides constituting the elevating main body 31 can be variously changed as needed.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에 대한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은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 및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의 측면에 설치된 인출입 구동부(313a)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he retracting or pulling operation of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312a relative to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1a is performed by the pull-in and out driving units 313a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1a and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312a. ) can be performed by

인출입 구동부(313a)의 일 단부는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에 결합되고 인출입 구동부(313a)의 타 단부는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에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pull-out driving unit 313a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ifting body guide 311a and the other end of the pulling-out driving unit 313a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lifting body guide 312a.

인출입 구동부(313a)는 일 예로 유압 방식 또는 공압 방식으로 작동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가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에 인입되거나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로부터 인출되도록 인출입 구동부(313a)를 구동시켜서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에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승강 본체(31)의 길이가 연장되거나 줄어들 수 있다. The pull-out driver 313a may include, for example, a hydraulic cylinder operated in a hydraulic or pneumatic manner, and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ull-in/out drive unit 313a so that the second lifting main body guide 312a is drawn into the first lifting main body guide 311a or drawn out from the first lifting main body guide 311a, so that the second lifting main body guide 312a By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elevating body 31 can be extended or reduced in length.

인출입 구동부(313a)에 의해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가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로부터 인출되면,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는 선체(10)의 길이방향 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에 형성된 가이드부(50)를 따라 몸체부(40)가 이동되어 선체(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선체(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노출된 위치에서도 메인 크레인(2)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312a is withdrawn from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1a by the pull-in/out drive unit 313a,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312a is located outside the hull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The body portion 40 may be moved along the guide portion 50 formed on the second elevating body guide 312a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Thus, the main crane 2 can perform work even at a position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한편, 연결부(31b)가 승강 본체 가이드부(31a)의 일측에 연결되어 승강 본체 가이드부(31a)가 신장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연결부(31b)는 선체(10)의 길이방향 또는 선체(10)의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레그(20)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선체(10)의 길이방향 또는 선체(10)의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레그(20)는 예컨대 해상 풍력 발전기의 유닛의 수송시 레그(20)의 과다 변형이 발생하는 부분에 해당하므로, 승강 본체(31)는 레그(20)의 구조 강도 부재로 기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connecting portion 31b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evating main body guide portion 31a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vating main body guide portion 31a extends, the connecting portion 31b is of the hull 10. It may be disposed on two adjacent legs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10. Here, the two legs 20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10 correspond to a portion where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leg 20 occurs during transportation of a unit of an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for example. , The elevating body 31 may function as a structural strength member of the leg 20 .

승강 구동부(32)는 메인 크레인(2)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승강 본체(31)가 하강되도록 승강 본체(31)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승강 본체(31)가 잭케이스(11)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메인 크레인(2)의 사용이 요구되는 경우, 승강 구동부(32)는 승강 본체(31)가 상승되도록 승강 본체(31)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lifting driver 32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lifting body 31 so that the lifting body 31 is lowered in a situation where the use of the main crane 2 is not necessary, so that the lifting body 31 is supported by the jack case 11 make it possible Unlike this, when the use of the main crane 2 is required, the lifting driver 32 may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lifting body 31 so that the lifting body 31 is lifted.

승강 구동부(32)는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2a)와 연장부(32a)에 설치되어 레그(20)의 랙(22)에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부재(32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fting driving unit 32 includes an extension part 32a extending from the first lifting body guide 311a and at least one drive installed on the extension part 32a and engaged with the rack 22 of the leg 20. A member 32b may be included.

이때, 연장부(32a)는 승강 본체(31)가 신장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레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32a)의 형상에 의해 승강 구동부(32)와 레그(20)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승강부(30)가 레그(20)에 대하여 용이하게 승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xtension portion 32a may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vating body 31 extends, and then extend to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20 .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ifting driver 32 and the leg 20 is widened by the shape of the extension part 32a, the lifting part 30 can be easily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eg 20.

적어도 하나의 구동 부재(32b)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승강 본체(31)를 레그(20)에 대하여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At least one driving member 32b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raise or lower the elevating body 31 relative to the leg 20 .

몸체부(40)는 메인 크레인(2)을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40)의 일 단부에는 메인 크레인(2)이 회동 수단(4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몸체부(40)의 타 단부는 승강부(30)에 대하여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40 may move the main crane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To this end, the main crane 2 can be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portion 40 via the pivoting means 41,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40 relative to the lifting portion 30. It may be movably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가이드부(50)는 몸체부(40)가 승강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50)는 승강 본체(31) 및 몸체부(4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51), 승강 본체(31) 및 몸체부(4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제 1 가이드(51)와 정합되는 제 2 가이드(52), 및 제 1 가이드(51) 및 제 2 가이드(5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제 1 가이드(51) 및 제 2 가이드(52)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이드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part 50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4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on part 30 . At this time, the guide unit 50 is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first guide 51 installed on any one of the elevating body 31 and the body portion 40, the elevating body 31 and the body portion 40, A second guide 52 matched with the first guide 51, and installed on any one of the first guide 51 and the second guide 52, among the first guide 51 and the second guide 52 It may include a guide driver (not shown)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either one.

제 1 가이드(51a, 51b)는 몸체부(4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 및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에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의 길이방향 및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s 51a and 51b may serve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body 40 . To this end, at least one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1a and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312a,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1a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312a. It may be formed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제 1 가이드(51a)가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의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두 개의 제 1 가이드(51b)가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의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아울러,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에 구비된 제 1 가이드(51a)를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측 제 1 가이드(51a)로 명칭하고,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에 구비된 제 1 가이드(51b)를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측 제 1 가이드(51b)로 명칭하겠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wo first guides 51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1a, and the two first guides 51b are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 312a)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being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guide 51a provided on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1a is called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side first guide 51a, and the first guide provided on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312a 51b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side first guide 51b.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측 제 1 가이드(51a) 및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측 제 1 가이드(51b)는 각각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의 일면 및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정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guide 51a on the side of the first lifting main body guide and the first guide 51b on the side of the second lifting main body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lifting main body guide 311a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lifting main body guide 312a, respectively. It can be formed and can have a shape that can be mutually matched.

제 2 가이드(52)는 몸체부(40)의 저면에 결합되어 몸체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측 제 1 가이드(51a) 및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측 제 1 가이드(51b)와 정합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52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0 and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40. It can be matched with the guide-side first guide 51b.

가이드 구동부는 제 2 가이드(52)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몸체부(40)가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 및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 구동부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guide driver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second guide 52 so that the body 40 can be moved along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1a and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312a. The guide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60)는 레그(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몸체부(40)를 레그(20)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크레인(2)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승강 본체(31)의 처짐 현상이 고정부(6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At least one fixing part 6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leg 20 to fix the body part 40 to the leg 20 . Accordingly, sagging of the elevating main body 31 that may occur during use of the main crane 2 can be prevented by the fixing part 60 .

이때, 고정부(60)는 몸체부(40)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회동 수단(61), 일 단부가 제 1 회동 수단(61)과 결합되고, 몸체부(40)에 대하여 회동되어 타 단부가 몸체부(4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회동 바(62), 회동 바(62)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제 2 회동 수단(63) 및 제 2 회동 수단(63)과 결합되는 고정 부재(64)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part 60 is a first rotation means 61 installed inside the body portion 40,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means 61, and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40 to the other end A pivoting bar 62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40, a second pivoting means 63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ivoting bar 62,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pivoting means 63 (64) may be included.

이때, 고정 부재(64)는 적어도 일부가 회동 바(6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64a), 이동부(64a)에 연결되고, 레그(20)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64b) 및 이동부(64a)에 설치되어 이동부(64a)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 구동부(64c)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member 64 is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64a, which is movably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voting bar 62, and the moving part 64a, and is selectively caught on the leg 20. (64b) and a moving driving unit 64c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64a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moving unit 64a.

걸림부(64b)와 레그(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이동부(64a)가 회동 바(6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정도가 제어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동 구동부(64c)를 구동시켜서 이동부(64a)에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이동부(64a)가 회동 바(6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코드(21) 또는 랙(22)과 브레이스(23) 사이에 걸림부(64b)가 걸림으로써 몸체부(40)가 레그(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ing part 64b and the leg 20, the degree to which the moving part 64a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vot bar 62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drives the moving driving unit 64c. The driving force is provided to the moving part 64a so that the moving part 64a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vot bar 62. The cord 21 or the rack 22 and the brace 23 by the hooking portion (64b) is caught between the body portion 40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to the leg (20).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부(70)는 선체(10)에 설치되어 승강부(30)를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t least one support unit 70 may be installed on the hull 10 to selectively support the elevation unit 30 .

서포트부(70)는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311a)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의 저면과 접촉되어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312a)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서포트부(70)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결합된 복수의 서포트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The support unit 70 may support the second lifting body guide 312a by being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lifting body guide 312a drawn forward from the first lifting body guide 311a. In this case, the support unit 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not shown) coupled in a telescopic structure,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as need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1)은 메인 크레인(2)이 종래와 같이 선체(10)의 주 갑판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선체(10)에 관통 설치되는 레그(20)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해상 풍력 발전기의 유닛이 적재될 수 있는 적재 공간이 넓게 확보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the wind power generator installation ship 1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main crane 2 is not installed on the main deck of the hull 10 as in the prior art, but on the leg 20 installed through the hull 10. As it is installed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there is an effect that a loading space in which the units of the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can be loaded can be secured wide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소재,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으로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he material, size, etc.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field, or combine or substitute the embodiments to practice in a form not clearly disclo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al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utside the scope 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2: 메인 크레인
10: 선체 11: 잭케이스
20: 레그 21: 코드
22: 랙 23: 브레이스
30: 승강부 31: 승강 본체
31a: 승강 본체 가이드부 31b: 연결부
311a: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 312a: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
313a: 인출입 구동부 32: 승강 구동부
32a: 연장부 32b: 구동 부재
40: 몸체부 41: 회동 수단
50: 가이드부
51a: 제 1 승강 본체 가이드측 제 1 가이드
51b: 제 2 승강 본체 가이드측 제 1 가이드
52: 제 2 가이드
60: 고정부 61: 제 1 회동 수단
62: 회동 바 63: 제 2 회동 수단
64: 고정 부재 64a: 이동부
64b: 걸림부 64c: 이동 구동부
70: 서포트부
1: wind generator installation vessel 2: main crane
10: hull 11: jack case
20: leg 21: code
22: rack 23: brace
30: lifting part 31: lifting body
31a: elevating main body guide part 31b: connection part
311a: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312a: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313a: pull-out drive unit 32: lift drive unit
32a: extension part 32b: driving member
40: body part 41: rotation means
50: guide unit
51a: first guide on the side of the first elevating main body guide
51b: first guide on the side of the second elevating main body guide
52: second guide
60: fixing part 61: first rotation means
62: rotation bar 63: second rotation means
64: fixed member 64a: moving part
64b: hanging part 64c: moving driving part
70: support part

Claims (9)

선체;
상기 선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그;
상기 레그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고, 상단부에 메인 크레인이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부에 대한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기 레그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회동 수단;
일 단부가 상기 제 1 회동 수단과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동되어 타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회동 바;
상기 회동 바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회동 수단; 및
상기 제 2 회동 수단과 결합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hull;
Legs installed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on the hull;
a lifting unit provided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eg;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lifting portion and having a main crane installed thereon;
a guide part connected to the elevation part, supporting the body part, and guiding movement of the body part with respect to the elevation part; and
At least one fixing part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body part and selectively fixing the body part to the leg;
The fixing part,
a first rotation means installed inside the body;
a pivoting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pivoting means and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body so that the other end is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 second rotation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bar; and
Including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means,
Wind generator installation vess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승강부는,
복수의 상기 레그 중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선체의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레그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본체; 및
상기 승강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본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According to claim 1,
The legs are provided in plurality,
The lift part,
An elevating body coupled to two leg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o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among the plurality of the legs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Including a lifting driver installed on the lifting body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lifting body,
Wind generator installation vesse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승강 본체 및 상기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
상기 승강 본체 및 상기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와 정합되는 제 2 가이드; 및
상기 제 1 가이드 및 상기 제 2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 및 상기 제 2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According to claim 5,
The guide part,
a first guide installed on one of the elevating body and the body;
a second guide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elevating body and the body and matched with the first guide; and
Including a guide driver installed on any one of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any one of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Wind generator installation vess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부를 더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on the hull and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upport part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elevation part.
Wind generator installation vessel.
KR1020180108809A 2018-09-12 2018-09-12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KR1024740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809A KR102474058B1 (en) 2018-09-12 2018-09-12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809A KR102474058B1 (en) 2018-09-12 2018-09-12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232A KR20200030232A (en) 2020-03-20
KR102474058B1 true KR102474058B1 (en) 2022-12-06

Family

ID=6995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809A KR102474058B1 (en) 2018-09-12 2018-09-12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05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6168A1 (en) * 2009-09-10 2011-03-10 National Oilwell Varco, L.P. Windmill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13063767A (en) * 2011-09-01 2013-04-11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Installation special vessel of windmill equipment of sea wind power generation, installation jig and install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908A (en) * 2013-08-02 2015-0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arrier for moving block
KR101750889B1 (en) * 2015-08-27 2017-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fixation of leg in float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6168A1 (en) * 2009-09-10 2011-03-10 National Oilwell Varco, L.P. Windmill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13063767A (en) * 2011-09-01 2013-04-11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Installation special vessel of windmill equipment of sea wind power generation, installation jig and install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232A (en)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1400B1 (en) A cantilever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584560B1 (en) Floating structure for constructing wind power plant
KR101763691B1 (en) Offshore structure installation vessel
KR102474058B1 (en)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KR101247753B1 (en) Elevating system for leg and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with the same
KR20200128723A (en) Aspect work equip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00057537A (en) Floating vessel for wind turbine installation, wind turbine installation system including same and wind turbine installation method
KR101750889B1 (en) Apparatus for fixation of leg in floating structure
KR20130143363A (en) Floating structure
KR102438693B1 (en)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KR102438695B1 (en) Floating structure having apparatus for supporting leg
KR102106606B1 (en) Barge
KR101947670B1 (en) Floating structure
KR102474063B1 (en)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CN220365677U (en) Vertical axis fan and floating body
KR102474069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position of leg and floating structure having the same
KR101271195B1 (en) Ship for offshore installation
KR101973083B1 (en) Offshore structure
KR20190072163A (en) Ship for installing lower structure of offshore wind power and method using the same
CN220363437U (en) Passenger ship hydrophilic platform structure and ship
KR20230120813A (en) Floating structure
KR101359651B1 (en) Supporting leg apparatus of floating structure
CN110939117B (en) Ship landing positioning device
KR20210039238A (en) Vessel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arine platform
KR101762743B1 (en) Leg management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