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554B1 - 문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문 개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554B1
KR102473554B1 KR1020200141974A KR20200141974A KR102473554B1 KR 102473554 B1 KR102473554 B1 KR 102473554B1 KR 1020200141974 A KR1020200141974 A KR 1020200141974A KR 20200141974 A KR20200141974 A KR 20200141974A KR 102473554 B1 KR102473554 B1 KR 102473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oor
base plate
opened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096A (ko
Inventor
임대용
Original Assignee
임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용 filed Critical 임대용
Priority to KR102020014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55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45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2011/1092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the angle between the hinge parts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지지를 받는 4절 링크를 이용해서 문이 쉽게 개폐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자 간단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의 중량이 많이 나가더라도 4절 링크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 스프링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고, 댐퍼를 통해 급격하게 닫히지 않게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특히, 복원 스프링의 한쪽 끝에 조절 나사를 연결해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 조절 나사를 통해 쉽게 복원 스프링의 복원력을 조절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4절 링크가 평행 4절 링크를 이용함으로써, 문이 직각 상태로 개폐될 수 있게 구성하여 문을 아래로 젖혀서 열 때 문의 중량을 이용하여 더욱더 쉽게 개폐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문 개폐 구조{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본 발명은 문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절 링크를 이용해서 문을 쉽게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하고, 특히 4절 링크가 복원 스프링과 문의 중량을 이용해서 적은 힘으로도 쉽게 여닫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4절 링크는 댐퍼를 통해 급격하게 문이 닫히지 않게 하여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원 스프링의 탄성 계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문의 중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나 책상과 같이 공간을 활용할 때는 개방된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문(Door)을 장착한다. 이때, 문은 서랍 형태로 공간을 제작하여 문이 없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대개 문을 장착해서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에, 이러한 문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문을 개폐할 때 회전 지지하고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게 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98096호
자동 도어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개도에 따라서 닫히는 속도를 부분적으로 빠르고 느리게 여러 단계로 제어해줌으로써 화재시 급격한 닫힘으로 인한 출입자의 상해를 최대한 억제하면서도 전체적으로는 신속하게 닫아주어 화재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는 속도조절부; 및 속도조절부의 하단에 조립되며, 도어가 180도에서 6kg의 이하에서 힘을 유지함과 아울러 속도조절도 안전하고 더하여 도어가 5도에서 동일 속도 유지 및 60뉴톤(Newton)을 유지하면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속도조절보조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성은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고, 열린 문을 속도의 조정을 하면서 자동으로 닫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자동 도어 힌지 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2158649호
가구벽체에 장착되어 가구 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 고정부에 힌지판을 통해 결합 되어 상기 벽체 고정부의 가이드 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전후 이동부와, 상기 도어 고정부와 상기 전후 이동부의 사이에 결합 되면서 상기 도어 고정부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후 이동부의 이동거리를 가변하는 거리 조절부, 및 상기 전후 이동부의 양측면에 결합 되어 상기 전후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리테이너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가구 힌지의 작동방향에 상기 리테이너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구 힌지의 점프거리를 증대함에 있어 상기 전후 이동부의 이동과정에서 오작동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구 힌지의 수명이 연장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993874호
가구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가구의 몸체에 고정되는 몸체 마운팅 플레이스, 도어에 고정되고 홀 컵이 형성되는 도어 마운팅 플레이스, 상기 몸체 마운팅 플레이스와 도어 마운팅 플레이스에 양측이 각각 결합 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어 마운팅 플레이스를 회전작동시키는 작동링크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구가 결합되는 가구의 몸체와 도어에는 체결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장착홈에는 상기 몸체 마운팅 플레이스와 도어 마운팅 플레이스를 고정하는 체결구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가구용 경첩은 체결구가 결합되는 가구의 몸체와 도어에 체결수단을 장착하여, 몸체 마운팅 플레이스와 도어 마운팅 플레이스를 고정하는 체결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구와 체결수단의 결합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힌지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문의 중량이 많이 나갈 때는 사용하기가 어렵다.
(2)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많이 든다.
(3) 특히, 기존의 힌지는 크기가 작아 제조나 조립 그리고 유지보수에도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98096호 (공개일: 2020.08.20) 한국등록특허 제10-2158649호 (등록일: 2020.09.16) 한국등록특허 제10-1993874호 (등록일: 2019.06.2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탄성 지지를 받는 4절 링크를 이용해서 문이 쉽게 개폐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자 간단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의 중량이 많이 나가더라도 4절 링크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 스프링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고, 댐퍼를 통해 급격하게 닫히지 않게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한 문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복원 스프링의 한쪽 끝에 조절 나사를 연결해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 조절 나사를 통해 쉽게 복원 스프링의 복원력을 조절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문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4절 링크가 평행 4절 링크를 이용함으로써, 문이 직각 상태로 개폐될 수 있게 구성하여 문을 아래로 젖혀서 열 때 문의 중량을 이용하여 더욱더 쉽게 개폐할 수 있게 한 문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구조는, 중간 부분에 절개 부분(110)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 중 어느 한 곳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쪽이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되어 나란하게 움직이는 제1 및 제2 링크(210, 220), 상기 제1 및 제2링크(210, 220)의 끝 부분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바깥쪽으로 돌출된 한쪽이 상기 제1링크(210)가 회전하게 설치된 쪽으로 예각만큼 꺾인 형태로 이루어진 제3링크(230) 및, 상기 제1 및 제2 링크(210, 220)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3링크(230)와 나란하게 움직이도록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바깥쪽으로 돌출된 한쪽이 상기 제1링크(210)가 회전하게 설치된 쪽으로 예각만큼 꺾이고 다른 한쪽이 반대 방향으로 예각만큼 꺾이게 형성된 제4링크(240)로 이루어진 4절 링크(200); 상기 제3링크(230)와 제4링크(230)에서 서로 마주하게 꺾인 한쪽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되, 문(D)에 고정되어 개폐되게 하는 장착 브래킷(300); 한쪽이 상기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4링크(240)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및 제2링크(210, 220)가 설치되지 않은 쪽에 고정된 제1복원 스프링(400a), 및 한쪽이 상기 제4링크(240)의 다른 한쪽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크(210, 220)가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100) 부분과 예각을 이루는 제2복원 스프링(400b)으로 이루어진 복원 스프링(40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장착되어 상기 4절 링크(200)가 원래 위치로 복원할 때 상기 제3링크(230)에서 꺾이지 않은 다른 한쪽과 맞닿으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댐퍼(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복원 스프링(400)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고정된 조절 나사(410)에 연결되어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특히, 4절 링크를 이용해서 문에 고정되는 장착 브래킷이 개폐되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 범위와 작동 방향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3) 이때, 4절 링크는 복원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작동하게 구성함으로써, 문의 중량에 의해 쉽게 개폐되게 하여 한층 더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또한, 상기 4절 링크는 문이 닫힐 때 댐퍼를 가압하게 해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문이 급격하게 닫히지 않게 하여 문이 닫힐 때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면서도 손이 문에 끼는 사고를 미리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한편, 복원 스프링에는 조절 나사를 장착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문의 중량에 따라 달라지는 복원력을 조절 나사를 통해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문 개폐 구조로 문을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문 개폐 구조로 문을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문 개폐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문 개폐 구조를 장착한 문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문 개폐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문 개폐 구조로 복원력을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로, (a)는 조절 전 상태를, (b)는 조절 후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문 개폐 구조에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 4절 링크(200), 장착 브래킷(300), 적어도 하나의 복원 스프링(400), 그리고 댐퍼(500)가 포함된다.
특히, 문(D)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300)이 복원 스프링(400)의 탄성 지지를 받는 4절 링크(200)에 의해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4절 링크(200)는 문(D)이 닫힐 때 상기 댐퍼(500)를 가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문(D)이 급격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문(D)이 파손되거나 손 끼임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4절 링크(200)는 평행 4절 링크를 이용함으로써, 문(D)이 열리는 각도에 따라 4절 링크(200)가 수평으로 움직이면서 댐퍼(500)의 댐핑 작용을 통해 안전하면서도 쉽게 개폐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S"는 가구와 같이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D"는 이러한 수납공간을 마감하는 문을 각각 나타낸다.
가.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문(D)이 장착되는 수납공간(S)의 측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후술할 다른 구성을 장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가장자리 부분이 꺾이게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할 다른 구성을 장착할 때 장착 부분으로 이용할 수 있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중간 부분을 절개하여 절개 부분(110)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 부분(11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다른 구성을 장착했을 때 이들 구성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걸려 간섭이 생기지 않게 하면서도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구조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4절 링크(200), 복원 스프링(400), 그리고 댐퍼(500) 등이 장착된다.
나. 4절 링크
4절 링크(2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4개의 제1 내지 제4링크(210~240)가 서로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된 것으로 특히, 후술할 복원 스프링(400)의 탄성 지지를 받아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 후술할 장착 브래킷(300)이 회전하게 해서 문(D)을 여닫을 수 있게 장착된다.
이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는 서로 나란하게 움직이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장착되는데,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100)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의 한쪽이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제3링크(230)는 상기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의 끝 부분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밖으로 돌출하는 한쪽이 상기 제1링크(2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쪽으로 예각만큼 꺾인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링크(240)는 상기 제3링크(230)와 나란하게 움직이도록 상기 제1 및 제2링크(210, 220)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밖으로 돌출한 한쪽은 상기 제3링크(230)의 꺾인 한쪽과 같은 방향으로 예각만큼 꺾이고, 다른 한쪽은 이와 반대 방향으로 꺾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 장착 브래킷
장착 브래킷(3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제3링크(230)와 제4링크(240)에서 꺾인 부분에 각각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장착 브래킷(300)은, [도 2]와 같이 문(D)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3링크(230)와 제4링크(240)가 가장 높은 높이에 있을 때는 문(D)이 닫힌 상태가 되고, [도 4]와 같이 반대로 제3링크(230)와 제4링크(240)가 가장 낮은 높이에 있을 때는 문(D)이 90도 각도로 열린 상태가 되는 위치에 오도록 상기 제3링크(230) 및 제4링크(23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장착 브래킷(300)은, [도 1]·[도 2] 및 [도 4]와 같이, 문(D)에 장착되어 문(D)이 개폐를 회전 지지하게 된다.
라. 복원 스프링
복원 스프링(4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양단을 상술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4절 링크(200)에 장착하여 이 4절 링크(200)가 장착 브래킷(300)을 회전시켜서 문(D)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 스프링(400)은 4절 링크(200), 장착 브래킷(300), 그리고 문(D)의 중량 전체를 고려해서 문(D)을 개방했을 때는 그 중량에 의해 문(D)이 닫히지 않게 하고, 문(D)을 일정 각도, 예를 들어서 문(D)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대략 20~40° 정도 닫았을 때 복원 스프링(400)의 복원력으로 문(D)이 회전하게 해서 닫힐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문(D)을 열 때도 60~80° 정도 개방하면 자연스럽게 완전히 열리면서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 스프링(4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제1복원 스프링(400a)과 제2복원 스프링(400b)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복원 스프링(400a)은 한쪽이 상기 제4링크(240)에 고정하되 상기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 사이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ㄷ"자 형상에서 서로 마주하는 부분 중 상기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가 장착되지 않은 부분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복원 스프링(400a)은, 한쪽을 상술한 제4링크(240)의 다른 한쪽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안쪽에 위치하는 쪽에 장착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제1 및 제2링크(210, 220)가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부분에 이 베이스 플레이트(100) 부분과 예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장착된 제1 및 제2복원 스프링(400a, 400b)은 문(D)을 개폐함에 따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축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문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해 준다.
마. 댐퍼
댐퍼(5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장착되어 문(D)이 닫힐 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안쪽에서 동작하는 상술한 제3링크(230)의 끝이 밀착하게 해서 서서히 닫힐 수 있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500)는 가구나 사무가구와 같은 수납공간을 문(D)으로 마감할 때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며, 특히 상기 장착 브래킷(300)에 장착된 문(D)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3링크(230)가 댐퍼(500)를 가압하게 하고, 문(D)이 열림에 따라 상기 제3링크(230)가 댐퍼(500)에서 이탈하면서 이 댐퍼(500) 길이가 늘어나면서 다시 문(D)이 닫힐 때 댐핑 작용을 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4절 링크를 이용해서 문을 쉽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댐퍼를 통해 문이 급격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문 개폐 구조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복원 스프링(400)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게 조절 나사(410)를 추가하여 구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복원 스프링(400)에 조절 나사(410)를 장착해서 복원 스프링(400)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문(D)의 중량 등에 따라 복원력이 달라질 때 이에 맞춰서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조절 나사(410)는 한쪽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장착되고 다른 한쪽 끝이 복원 스프링(400)에 연결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장착되는 나사 부분에는 너트를 갖춤으로써, 이 너트를 조이거나 풀게 되면 조절 나사(410)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면서 복원 스프링(400)의 복원력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100: 베이스 플레이트
110: 절개 부분
200: 4절 링크
300: 장착 브래킷
400: 복원 스프링
410: 조절 나사
500: 댐퍼
D: 문

Claims (3)

  1. 중간 부분에 절개 부분(110)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 중 어느 한 곳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쪽이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되어 나란하게 움직이는 제1 및 제2 링크(210, 220), 상기 제1 및 제2링크(210, 220)의 끝 부분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바깥쪽으로 돌출된 한쪽이 상기 제1링크(210)가 회전하게 설치된 쪽으로 예각만큼 꺾인 형태로 이루어진 제3링크(230) 및, 상기 제1 및 제2 링크(210, 220)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3링크(230)와 나란하게 움직이도록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바깥쪽으로 돌출된 한쪽이 상기 제1링크(210)가 회전하게 설치된 쪽으로 예각만큼 꺾이고 다른 한쪽이 반대 방향으로 예각만큼 꺾이게 형성된 제4링크(240)로 이루어진 4절 링크(200);
    상기 제3링크(230)와 제4링크(230)에서 서로 마주하게 꺾인 한쪽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되, 문(D)에 고정되어 개폐되게 하는 장착 브래킷(300);
    한쪽이 상기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4링크(240)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및 제2링크(210, 220)가 설치되지 않은 쪽에 고정된 제1복원 스프링(400a), 및 한쪽이 상기 제4링크(240)의 다른 한쪽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크(210, 220)가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100) 부분과 예각을 이루는 제2복원 스프링(400b)으로 이루어진 복원 스프링(40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장착되어 상기 4절 링크(200)가 원래 위치로 복원할 때 상기 제3링크(230)에서 꺾이지 않은 다른 한쪽과 맞닿으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댐퍼(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폐 구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복원 스프링(400)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고정된 조절 나사(410)에 연결되어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폐 구조.
KR1020200141974A 2020-10-29 2020-10-29 문 개폐 구조 KR102473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974A KR102473554B1 (ko) 2020-10-29 2020-10-29 문 개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974A KR102473554B1 (ko) 2020-10-29 2020-10-29 문 개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096A KR20220057096A (ko) 2022-05-09
KR102473554B1 true KR102473554B1 (ko) 2022-12-02

Family

ID=8158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974A KR102473554B1 (ko) 2020-10-29 2020-10-29 문 개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5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5344A (ja) * 2015-11-30 2018-11-29 ヘティッヒ−オーエヌイ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カーゲー 家具の一部分であるドアを移動させる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9416A1 (de) * 2016-08-02 2018-02-07 USM Holding AG Dämpfereinrichtung
KR101993874B1 (ko) 2018-12-07 2019-06-27 신안케이에프 주식회사 가구용 경첩
KR102276472B1 (ko) 2019-02-11 2021-07-13 신재민 자동 도어 힌지 장치
KR102158649B1 (ko) 2020-03-10 2020-09-22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5344A (ja) * 2015-11-30 2018-11-29 ヘティッヒ−オーエヌイ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カーゲー 家具の一部分であるドアを移動させる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096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7996C2 (ru) Мебельная петля
US7886408B2 (en) Furniture hinge with a damping device
US20160032636A1 (en) American damper concealed hinge
KR20100099301A (ko) 유니버셜 댐핑 기구
US11105137B2 (en) Hinge for furniture with device for regulating the closing force
TWI677617B (zh) 用於折疊門的配件
JP6952946B2 (ja) ヒンジ装置
KR102473554B1 (ko) 문 개폐 구조
KR102000902B1 (ko) 경첩 장치
US20220018174A1 (en) Furniture hinge for upward-opening cabinet doors
CN111042684A (zh) 一种任意角度悬停的上翻门铰链
KR20080101050A (ko) 가구용 댐핑 힌지
KR102158649B1 (ko)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KR20130042482A (ko) 감속 장치를 갖는 가구 힌지
KR102542345B1 (ko) 가구 힌지, 가구 패널 및 가구 본체
EP2202372B1 (en) Hinge
RU2443839C2 (ru) Поворотная опора для прижи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закры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2382392B1 (ko) 고압용 도어경첩
KR102613455B1 (ko) 멀티링크 힌지
JP2005240465A (ja) 扉体開閉装置
KR200361241Y1 (ko) 도어 완충기
JP2021119276A (ja) 隠し丁番
JP4895382B2 (ja) 緩衝装置
JP5336719B2 (ja) 緩衝装置
JP6453280B2 (ja) 扉体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