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649B1 -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 Google Patents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649B1
KR102158649B1 KR1020200029408A KR20200029408A KR102158649B1 KR 102158649 B1 KR102158649 B1 KR 102158649B1 KR 1020200029408 A KR1020200029408 A KR 1020200029408A KR 20200029408 A KR20200029408 A KR 20200029408A KR 102158649 B1 KR102158649 B1 KR 102158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door
rear moving
fixing par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05D3/14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with at least one of the hinge part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6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hinge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50/00Machines or articles related to building
    • F16C2350/54Hinges, e.g. sliding bearings f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벽체에 장착되어 가구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고정부(10)에 힌지판(32)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벽체고정부(20)의 가이드축(22-2)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전후이동부(30)와, 상기 도어고정부(10)와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사이에 결합되면서 상기 도어고정부(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거리를 가변하는 거리조절부(40), 및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리테이너부(5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가구힌지의 작동방향에 상기 리테이너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구힌지의 점프거리를 증대함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의 이동과정에서 오작동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구힌지의 수명이 연장된다.

Description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Furniture hinge for enlarging the jumping length of furniture door}
본 발명은 가구벽체에 장착되어 가구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가구힌지의 점프거리를 증대함에 있어서 오작동을 방지하여 상기 가구힌지의 수명연장은 물론 물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힌지는 가구벽체와 가구도어에 장착되어 가구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철구조물로서, 이러한 가구힌지는 가구도어의 개폐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유동을 최소화함은 물론 가구도어의 설치과정 및 세팅과정에서 요구되는 작동성을 향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가구힌지(100)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힌지부(140)를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가구도어(D)에 볼트체결되는 도어고정부(12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구벽체(B)에 볼트체결되는 벽체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힌지부(140)는,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도어고정부(120)에 힌지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부회동판(142) 및;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도어고정부(12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부회동판(142)의 작동을 안내하는 하부회동판(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롱이나 싱크대와 같은 가구에 상기 가구힌지(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구도어(D)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면,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힌지부(140)를 각각 연결하는 힌지축(125)을 따라 상기 가구도어(D)가 회동하면서 개방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가구힌지(100)는 단지 상기 힌지부(140)의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량이 결정되는 구조로서, 상기 가구도어(D)가 완전히 개방되는 경우, 도 1의 "A" 부분과 같이 상기 가구도어(D)와 상기 가구벽체(B)가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즉, 상기 가구힌지(100)는 상기 상/하부회동판(142,144)이 상기 힌지축(125)을 따라 회동하는 구조로서, 상기 가구도어(D)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개방되는 경우, 상기 가구벽체(B)의 외벽에 상기 가구도어(D)의 모서리부분이 부딪혀 손상되므로 상기 가구의 수명이 저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구도어(D)의 개방과정에서 상기 가구벽체(B)의 외벽에 상기 가구도어(D)의 모서리부분이 접촉하는 것을 원천봉쇄하여, 상기 가구도어(D)나 상기 가구벽체(B)의 손상은 물론이거니와 접촉소음 및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0001) 등록특허공보 제10-1714356호(등록일 : 2017.03.03.자 등록) (0002) 등록특허공보 제10-0770372호(등록일 : 2007.10.19.자 등록) (0003)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8883호(공개일 : 2013.10.07.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가구힌지의 점프거리를 증대함에 있어서 오작동을 방지하여 상기 가구힌지의 수명연장은 물론 물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구도어와 가구벽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도어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부와, 상기 가구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하중을 흡수하는 완충댐퍼를 내장한 벽체고정부, 상기 도어고정부에 힌지판을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벽체고정부의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이동부 및, 상기 도어고정부와 상기 전후이동부의 사이에 결합되면서 상기 도어고정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후이동부의 이동거리를 가변하는 거리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이동부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리테이너부를 더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가구힌지의 작동방향에 상기 리테이너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구힌지의 점프거리를 증대함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의 이동과정에서 오작동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구힌지의 수명이 연장된다.
즉, 상기 가구도어에 과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리테이너부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의 전진 및 후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상기 완충댐퍼의 손상 및 변형이 최소화되어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다.
둘째,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량에 맞추어 상기 가구힌지의 전체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상기 가구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더라도 상기 가구도어의 모서리부분과 상기 가구벽체의 벽면이 접촉하는 현상이 없어진다.
즉, 상기 가구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더라도, 상기 가구벽체와 상기 가구도어가 상호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가구벽체의 외장이 벗어지는 등의 손상이 방지됨은 물론 접촉소음이 없어져 만족도가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힌지의 완전개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힌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의 닫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의 중간 개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가구도어(D)와 가구벽체(B)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부(10)와,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어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하중을 흡수하는 완충댐퍼(26)를 내장한 벽체고정부(20), 상기 도어고정부(10)에 힌지판(32)을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벽체고정부(20)의 가이드축(22-2)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이동부(30) 및, 상기 도어고정부(10)와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사이에 결합되면서 상기 도어고정부(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거리를 가변하는 거리조절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리테이너부(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구힌지(1)는 도어고정부(10)와 벽체고정부(20)와 전후이동부(30)와 거리조절부(40)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특히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리테이너부(50)를 더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음을 첨언한다.
이때, 상기 도어고정부(10)는 상기 가구도어(D)의 내벽면에 형성된 오목홈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컵형상의 철구조물이고, 상기 벽체고정부(20)는 상기 가구벽체(B)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철구조물이다.
또한, 상기 전후이동부(30)는 상기 벽체고정부(20)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된 철구조물이고, 상기 거리조절부(40)는 상기 도어고정부(10)와 상기 전후이동부(30)를 연결하는 철구조물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벽체고정부(20)는 상기 가구벽체(B)의 내벽면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벽체고정부(20)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덮개기능을 수행하는 외피부재(22)와, 상기 외피부재(22)내에 수용되어 상기 외피부재(22)와 결합되는 내피부재(24), 상기 내피부재(24)내에 수용되어 상기 가구도어(D)의 닫힘하중을 흡수하는 완충댐퍼(26) 및, 상기 내피부재(24)에 후크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구벽체(B)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마운팅부재(28)를 포함한다.
상기 외피부재(22)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제1볼트(22-4) 및 제2볼트(22-6)가 각각 체결되고, 상기 외피부재(22)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가이드축(22-2)이 체결된다.
상기 내피부재(24)는 상기 제1볼트(22-4) 및 상기 제2볼트(22-6)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볼트공(24-2) 및 절결공(24-4)이 형성되고, 특히 상기 내피부재(24)의 하면에 걸림후크(24-6)가 형성된다.
상기 제1볼트(22-4)는 상기 외피부재(22)와 상기 내피부재(24)의 위치를 세팅함은 물론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외피부재(22)의 볼트공을 경유한 상태에서 상기 내피부재(24)의 볼트공(24-2)에 체결된다.
상기 제2볼트(22-6)는 상기 외피부재(22)와 상기 내피부재(24)의 위치를 세팅함은 물론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외피부재(22)의 볼트공을 경유한 상태에서 상기 내피부재(24)의 절결공(24-4)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외피부재의 제1볼트(22-4)를 상기 내피부재의 볼트공(24-2)에 체결함은 물론 상기 외피부재의 제2볼트(22-6)를 상기 내피부재(24)의 절결공(24-4)에 체결한 후, 상기 제1볼트(22-4) 및 상기 제2볼트(22-6)를 어느 정도 풀어서 상기 외피부재(24)의 위치를 세팅할 수 있다.
즉, 상기 외피부재(22)에 제1볼트(22-4)의 유격공간을 형성함은 물론 상기 내피부재(24)에 절결공(24-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볼트(22-4) 및 상기 제2볼트(22-6)를 이용하여 상기 외피부재(22)의 위치를 세팅한 후 상기 제1,2볼트(22-4, 22-6)를 다시 체결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완충댐퍼(26)는 상기 내피부재(24)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고정부(10)의 개폐량에 맞추어 로드부(26-2)가 작동하며, 특히 상기 로드부(26-2)가 상기 제2힌지축(36)에 힌지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마운팅부재(28)는 상기 내피부재(24)의 걸림후크(24-6)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구벽체(B)의 내벽면에 상기 벽체고정부(20)를 결합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이용된다.
한편, 상기 전후이동부(30)는 상기 외피부재(22)와 상기 내피부재(24)의 사이공간에 슬라이딩식으로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고정부(10)의 개폐량에 맞추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고정부(10)에 힌지판(32)을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고정부(1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힌지판(32)은 상기 도어고정부(10)와 상기 전후이동부(3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고정부(10)의 회전점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고정판(10)의 내주면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상기 전후이동부(30)에 비스듬한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된다.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상부면에 상기 제1볼트(22-4) 및 상기 제2볼트(22-6)가 경유하는 소정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볼트(22-4) 및 상기 제2볼트(22-6)의 유격공간을 제공하는 장요공 형상이다.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측면부에 상기 벽체고정부(20)의 가이드축(22-2)이 끼워지는 제1장요공(34) 및, 상기 리테이너부(50)의 볼베어링(54)의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제2장요공(38)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후이동부(30)는 상기 외피부재(22)와 상기 내피부재(24)의 사이공간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고정부(10)의 개폐량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벽체고정부(20)의 가이드축(22-2)을 따라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장요공(34)이 상기 가이드축(22-2)을 중심으로 왕복이동한다.
한편, 상기 거리조절부(40)는 상기 도어고정부(10)와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고정부(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 또는 직선운동을 회전으로 변환하는 동력전달 매체로서, 상기 도어고정부(10)와 상기 전후이동부(30)를 연결하는 제1링크(42), 및 상기 제1링크(42)와 상기 가이드축(22-2)을 연결하는 제2링크(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42)는 상기 도어고정부(10) 및 상기 전후이동부(30)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제1힌지축(P)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즉, 상기 제1링크(42)는 상기 힌지판(32)의 하부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제1힌지축(P)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일단부가 상기 도어고정부(10)에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제2링크(44)에 힌지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링크(44)는 상기 제1링크(42) 및 상기 가이드축(22-2)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42)의 회동량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완충댐퍼(26)의 로드부(26-2)가 전진 또는 리턴량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2링크(44)는 상기 전후이동부(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42) 및 상기 가이드축(22-2)을 따라 회동한다.
한편, 상기 리테이너부(50)는 상기 벽체고정부(20)에 수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판형상의 고정판(52), 및 상기 고정판(52)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복수개의 볼베어링(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베어링(54)은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제2장요공(38)에 삽입되어 왕복이동하면서 외부하중을 흡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가구도어(D)의 닫힌 상태를 "정위치"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함을 첨언한다.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가구벽체(B)에 상기 가구도어(D)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제1링크(42)가 정위치에 세팅되며, 상기 제1링크(42)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던 제2링크(44)가 수평방향으로 위치한다.
즉, 상기 가구도어(D)가 완전히 닫혀 있는 경우, 상기 제1링크(42) 및 상기 제2링크(44)가 정위치에 세팅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축(22-2)이 상기 제1장요공(34)의 도면상 왼쪽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만일,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가구도어(D)를 약간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1링크(42)가 상기 제1힌지축(P)을 따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고, 상기 제1힌지축(P)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상기 제2링크(44)가 상기 가구도어(D)의 개방량에 해당하는 만큼 도면상 약간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2링크(44)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만큼, 상기 전후이동부의 제2힌지축(36)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완충댐퍼(26)의 로드부(26-2)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즉, 상기 가구도어(D)의 개방량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완충댐퍼(26)의 로드부(26-2)가 당겨지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전후이동부(30)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가구도어의 점프거리가 증대된다.
이때, 상기 제1,2링크(42,44)의 작동과정에서 상기 전후이동부(30)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므로, 상기 가이드축(22-2)이 상기 제1장요공(34)의 도면상 대략 중간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가구도어(D)가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제1링크(42)가 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동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2링크(44)가 도면상 완전히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링크(44)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만큼, 상기 전후이동부의 제2힌지축(36)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하고, 상기 완충댐퍼(26)의 로드부(26-2)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완전히 당겨진다.
즉, 상기 가구도어(D)의 개방량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완충댐퍼(26)의 로드부(26-2)가 당겨지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전후이동부(30)가 도면상 완전히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가구도어의 점프거리가 증대된다.
이때, 상기 가구도어(D)의 개방량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전후이동부(30)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축(22-2)이 상기 제1장요공(34)의 도면상 우측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량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가구도어(D)의 점프거리가 증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후이동부(30)가 도면상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50)의 볼베어링(54)에 접촉하고, 상기 전후이동부(30)가 자연스럽게 이동하므로 접촉저항이 최소화된다.
특히, 상기 가구도어(D)의 닫힘과정에서, 상기 완충댐퍼(26)의 로드부(26-2)에 의해 상기 가구도어(D)의 닫힘하중이 흡수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구도어(D)와 상기 가구벽체(B)의 접촉하중이 없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 : 가구도어 B : 가구벽체
1 : 가구힌지 10 : 도어고정부
20 : 벽체고정부 22 : 외피부재
24 : 내피부재 26 : 완충댐퍼
28 : 마운팅부재 30 : 전후이동부
32 : 힌지판 34 : 제1장요공
P : 제1힌지축 36 : 제2힌지축
38 : 제2장요공 40 : 거리조절부
42,44 : 제1,2링크 50 : 리테이너부
52 : 고정판 54 : 볼베어링

Claims (8)

  1. 가구도어(D)와 가구벽체(B)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부(10)와,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어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하중을 흡수하는 완충댐퍼(26)를 내장한 벽체고정부(20),
    상기 도어고정부(10)에 힌지판(32)을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벽체고정부(20)의 가이드축(22-2)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전후이동부(30) 및,
    상기 도어고정부(10)와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사이에 결합되면서 상기 도어고정부(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거리를 가변하는 거리조절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리테이너부(50),
    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벽체고정부(20)는,
    외피부재(22)와,
    상기 외피부재(22)에 수용되면서 상기 외피부재(22)와의 사이에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내피부재(24),
    상기 내피부재(24)에 수용되어 상기 도어고정부(10)와 연동하여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하중을 흡수하는 완충댐퍼(26) 및,
    상기 내피부재(24)에 후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는 마운팅부재(28)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댐퍼(26)는,
    상기 내피부재(24)의 내부공간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에 구성된 로드부(26-2)가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제2힌지축(36)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재(22)는,
    상기 내피부재(24)의 볼트공(24-2)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피부재(22)와 상기 내피부재(24)를 결합하는 제1볼트(22-4), 및
    상기 내피부재(24)의 절결공(24-4)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피부재(22)의 위치를 세팅하는 제2볼트(22-6)를 더 포함하는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30)는,
    상기 벽체고정부(20)의 가이드축(22-2)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제1장요공(34)이 형성된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6. 가구도어(D)와 가구벽체(B)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부(10)와,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어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하중을 흡수하는 완충댐퍼(26)를 내장한 벽체고정부(20),
    상기 도어고정부(10)에 힌지판(32)을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벽체고정부(20)의 가이드축(22-2)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전후이동부(30) 및,
    상기 도어고정부(10)와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사이에 결합되면서 상기 도어고정부(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거리를 가변하는 거리조절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리테이너부(50),
    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거리조절부(40)는,
    상기 도어고정부(10)와 상기 전후이동부(30)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제1힌지축(P)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42), 및
    상기 제1링크(42)와 상기 가이드축(22-2)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완충댐퍼(26)의 완충력을 상기 제1링크(42)를 통해 상기 도어고정부(10)에 전달하는 제2링크(44)로 이루어진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7. 가구도어(D)와 가구벽체(B)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로서,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부(10)와,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어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하중을 흡수하는 완충댐퍼(26)를 내장한 벽체고정부(20),
    상기 도어고정부(10)에 힌지판(32)을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벽체고정부(20)의 가이드축(22-2)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전후이동부(30) 및,
    상기 도어고정부(10)와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사이에 결합되면서 상기 도어고정부(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거리를 가변하는 거리조절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리테이너부(50),
    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부(50)는,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고정판(52); 및
    상기 고정판(52)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복수개의 볼베어링(54)으로 이루어진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54)은,
    상기 전후이동부(30)의 측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장요공(38)에 삽입되는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KR1020200029408A 2020-03-10 2020-03-10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KR102158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08A KR102158649B1 (ko) 2020-03-10 2020-03-10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08A KR102158649B1 (ko) 2020-03-10 2020-03-10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649B1 true KR102158649B1 (ko) 2020-09-22

Family

ID=7270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408A KR102158649B1 (ko) 2020-03-10 2020-03-10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6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392B1 (ko) * 2021-12-16 2022-04-08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고압용 도어경첩
KR20220057096A (ko) 2020-10-29 2022-05-09 임대용 문 개폐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372B1 (ko) 2007-05-09 2007-10-26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체결력 증대 장치
KR101164533B1 (ko) * 2011-07-06 2012-07-10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압력조절기능을 갖는 가구힌지용 내장댐퍼
KR20130108883A (ko) 2012-03-26 2013-10-07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고정장치
KR101714354B1 (ko) * 2016-07-18 2017-03-09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KR101714356B1 (ko) 2016-07-18 2017-03-09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372B1 (ko) 2007-05-09 2007-10-26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체결력 증대 장치
KR101164533B1 (ko) * 2011-07-06 2012-07-10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압력조절기능을 갖는 가구힌지용 내장댐퍼
KR20130108883A (ko) 2012-03-26 2013-10-07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고정장치
KR101714354B1 (ko) * 2016-07-18 2017-03-09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KR101714356B1 (ko) 2016-07-18 2017-03-09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096A (ko) 2020-10-29 2022-05-09 임대용 문 개폐 구조
KR102382392B1 (ko) * 2021-12-16 2022-04-08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고압용 도어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649B1 (ko)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US8225459B2 (en) Multi-link hinge
US20100109497A1 (en) Refrigerator and/or Freezer
EP1555372B1 (en) Hinge device
US7516515B2 (en) Refrigerator with dual swing door
KR101714354B1 (ko)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CA2778726C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double linkage
US20210372179A1 (en) Anti-deformation hinge with preload adjustment function
US8636330B2 (en) Refrigerator door having a pair of sliding and forcing units
US10253541B2 (en) Hinge assembly
GB2278882A (en) Concealed door closer
JP6932308B2 (ja) ダンパ装置
KR101266871B1 (ko) 냉장고
KR100937011B1 (ko) 축없는 자동차용 힌지 조립체
JP4538384B2 (ja) 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7056515A (ja) 二軸ヒンジ装置
KR101714356B1 (ko)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CN115943241A (zh) 用于家具的隐形铰接件
JP4264838B2 (ja) 冷蔵庫
KR102473554B1 (ko) 문 개폐 구조
KR20040021442A (ko) 냉장고 도어의 개폐장치
KR200282082Y1 (ko) 철도차량용 도어 개폐장치
CN211776692U (zh) 一种应用于家具的缓冲铰链
KR200244482Y1 (ko) 김치저장고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힌지핀 보강구조
CN210530576U (zh) 一种缓冲铰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