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201B1 -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201B1
KR102473201B1 KR1020220057337A KR20220057337A KR102473201B1 KR 102473201 B1 KR102473201 B1 KR 102473201B1 KR 1020220057337 A KR1020220057337 A KR 1020220057337A KR 20220057337 A KR20220057337 A KR 20220057337A KR 102473201 B1 KR102473201 B1 KR 102473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ie
filter cap
discharg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태문
이선홍
Original Assignee
곽태문
이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태문, 이선홍 filed Critical 곽태문
Priority to KR102022005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2Specific details about manufact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가진단키트용 필터캡과 필터를 조립하는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에 있어서, 필터캡이 다량 저장되고 필터캡을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1슈트를 구비한 필터캡공급부와, 필터가 다량 저장되고 필터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2슈트를 구비한 필터공급부와, 상기 필터캡공급부의 제1슈트에 통하는 제1유로와, 제2슈트에 통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며 필터캡이 수용되는 수용홈을 갖는 다이와, 상기 다이의 하부에 배치되며, 필터가 안착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에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력지지부와,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하강 작동되며 하단에 필터캡이 삽입되는 승강로드와, 승강로드를 승강시키는 구동원으로 구성된 가압부 및 상기 다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으로 진입하여 필터캡을 밀어 배출하는 배출핀과, 상기 배출핀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동력원으로 구성된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필터를 필터캡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정확하게 실시하여 필터를 필터캡의 적정한 위치에 균등하게 결합할 수 있어 조립성과 안전성 및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Filter combination device for infectious disease diagnosis kit}
본 발명은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이 직접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진단은 분자적 진단(Molecular Test)과 혈청학적 진단(Serology Test)으로 분류된다.
가장 흔히 사용하는 진단법은 분자적 진단법으로, 콧물(nasal swap) 검체로부터의 바이러스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primer)를 이용한 PCR이나 유전자 염기 서열 분석에 의한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혈청학적 진단법은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S 항원 또는 NC 항원에 대한 항체 진단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효소결합면역측정법), 또는 microneutralization 분석법 등이 있다.
종래 자가진단키는 검체추출액이 채워진 튜브와, 튜브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필터가 내장된 필터캡을 포함하고, 검체추출액을 점적하고 감염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기를 포함한다.
필터캡은 뾰족한 손잡이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필터가 내장되어 튜브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로 구성된다.
마개에는 필터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는 정해진 위치에 필터가 내장되어야 정확한 검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필터를 필터캡에 결합시키되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불량품이 발생되는 확률이 높았다.
즉, 필터가 삽입홈에 너무 깊이 위치되면 검체추출액이 제대로 흡수되지 못하여 검사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고, 또는 필터가 삽입홈에 너무 얕게 위치되면 이탈될 우려가 있어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1-013279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터를 필터캡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정확하게 실시하여 필터를 필터캡의 적정한 위치에 균등하게 결합할 수 있어 조립성과 안전성 및 수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가진단키트용 필터캡과 필터를 조립하는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캡이 다량 저장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진동부가 형성되며 필터캡을 배출하는 호퍼와, 호퍼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턱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와 통하면 호퍼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필터캡을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1슈트를 구비한 필터캡공급부와, 상기 필터가 다량 저장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진동부가 형성되며 필터를 연속 배출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턱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와 통하면 호퍼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필터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2슈트를 구비한 필터공급부와, 상기 필터캡공급부의 제1슈트에 통하는 제1유로와, 제2슈트에 통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며 필터캡이 수용되는 수용홈을 갖는 다이와, 상기 다이의 하부에 배치되며, 필터가 안착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에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력지지부와,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하강 작동되며 하단에 필터캡이 삽입되는 승강로드와, 승강로드를 승강시키는 구동원으로 구성된 가압부 및 상기 다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으로 진입하여 필터캡을 밀어 배출하는 배출핀과, 상기 배출핀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동력원으로 구성된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다이는 수용홈과 통하는 슬롯이 형성되어 슬롯에 배출핀이 결합되어 전후진작동되며, 상기 다이의 측면에는 수용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필터캡의 측면이 지지하여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면서 가압부의 승강로드와 접촉에 의해 수용홈의 내주면으로 인입되는 작동핀과, 상기 작동핀에 연결되어 다이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는 몸체 및 작동핀에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작동핀의 인입시 배출수단의 동력원이 온 되도록 하여 배출핀이 전진작동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판은 상기 다이의 수용홈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저면에 하향 경사면을 갖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와 통하며 상기 제2슈트에 통하도록 형성되어 필터가 요홈부로 진입되도록 형성되는 필터진입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의 전면에 장착되어 수용홈과 받침판의 요홈부의 개구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조립된 필터캡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에 개폐되게 형성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닫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도어는 본체의 상판 일측에 형성되는 슬릿홈에 삽입되고, 상기 도어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릿홈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키도록 슬릿홈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구동부와, 상기 슬릿홈의 타측에 구비되어 도어의 인출 후 록킹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상판의 슬릿홈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며 도어의 측단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슬릿홈의 타측 요홈에 삽입된 스프링과, 스프링에 지지되는 볼과, 상기 볼을 구속하면서 요홈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볼의 일부분이 캡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토퍼와, 상기 도어의 측면에 형성되어 볼이 삽입되는 볼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를 필터캡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정확하게 실시하여 필터를 필터캡의 적정한 위치에 균등하게 결합할 수 있어 조립성과 안전성 및 수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의 '필터캡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의 '필터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의 '다이'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다이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4의 다이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의 '수거부'의 도어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7의 '수거부'의 도어의 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의 '필터캡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의 '필터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의 '다이'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다이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4의 다이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의 '수거부'의 도어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7의 '수거부'의 도어의 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는, 자가진단키트용 필터캡(2)과 필터(22)를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캡공급부(100), 필터공급부(200), 다이(500), 받침판(600), 탄력지지부(700), 가압부(800), 배출수단(900)을 포함한다.
필터캡공급부(100)는 필터캡(2)이 다량 저장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진동부가 형성되며 필터캡(2)을 배출하는 호퍼(102)와, 호퍼(102)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턱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로(104)와, 상기 배출로(104)와 통하면 호퍼(102)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필터캡(2)을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1슈트(1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슈트(110)는 필터캡(2)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상부가 절개되어 단면이 대략 '┴'형상인 이송홈(112)이 형성된다.
필터캡(2)은 뾰족한 손잡이(21)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필터(22)가 내장되는 마개(23)로 구성된다.
필터공급부(200)는 필터(22)가 다량 저장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진동부가 형성되며 필터를 연속 배출하는 호퍼(202)와, 상기 호퍼(202)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턱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로(204)와, 상기 배출로(204)와 통하면 호퍼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필터(22)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2슈트(2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2슈트(220)는 급격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중력에 이해 필터(22)가 하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필터(22)는 다수의 공극을 갖는 합성수지 직물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형의 펠릿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다이(5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필터캡공급부(100)의 제1슈트(110)에 통하는 제1유로(510)가 일측에 형성되고, 제2슈트(220)에 통하는 제2유로(520)가 타측에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필터캡(2)이 수용되는 수용홈(540)이 형성된다.
받침판(600)은 다이(50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필터(22)가 안착되도록 요홈부(620)가 형성되고, 요홈부(620)에 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조립된 필터캡(2)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탄력지지부(700)는 상기 받침판(600)의 하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승강봉(7200)과, 상기 승강봉(640)에 결합되는 스프링(7400)으로 구성된다.
가압부(800)는 받침판(6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하강 작동되며 하단에 필터캡(2)이 삽입되는 승강로드(820)와, 승강로드(820)를 승강시키는 구동원(840)으로 구성된다.
배출수단(900)은 상기 다이(5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540)으로 진입하여 필터캡(2)을 밀어 배출하는 배출핀(910)과, 상기 배출핀(910)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동력원(93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다이(500)는 수용홈(540)과 통하는 슬롯(560)이 형성되어 슬롯(560)에 배출핀(910)이 결합되어 전후진작동되도록 하여 배출핀(910)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필터캡(2)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이(500)의 측면에는 수용홈(54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필터캡(2)의 측면이 지지하여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면서 가압부(800)의 승강로드(820)와 접촉에 의해 수용홈(540)의 내주면으로 인입되는 작동핀(58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핀(580)에 연결되어 다이(500)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는 몸체(582) 및 작동핀(580)에 결합되는 스프링(584)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582)에는 작동핀(580)의 인입시 배출수단(900)의 동력원이 온 되도록 하여 배출핀(910)이 전진작동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586)가 포함된다.
받침판(600)은 다이(500)의 수용홈(540)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저면에 하향 경사면을 갖는 요홈부(620)가 형성되고, 요홈부(620)와 통하며 상기 제2슈트(220)에 통하도록 형성되어 필터(22)가 요홈부(620)로 진입되도록 형성되는 필터진입로(6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슈트(220)에서 이송된 필터(22)가 필터진입로(630)를 통해 유입되어 요홈부(620)까지 이송될 수 있다.
가압부(800)는 승강로드(820)를 승하강 작동시키도록 구동원이 작동되며, 하강시 하단에 삽입공으로 필터캡(2)의 뾰족한 손잡이(22)가 삽입되어 승강로드(820)의 하가에 동반하여 필터캡(2)이 하강되며, 요홈부(620)에 안착된 필터(22)를 가압하면서 마개(24)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아울러 받침판(600)을 가압하여 하강되도록 한다.
승강로드(820)가 상승하면 받침판(600)은 스프링(66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승하여 원래 상태가 되고, 받침판(600)의 요홈부(620)에 안착된 조립된 필터캡(2)을 배출핀(910)이 밀어서 외부로 방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다이(500)의 전면에 장착되어 수용홈(540)과 받침판(600)의 요홈부(620)의 개구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수거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부(5)는 조립된 필터캡(2)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52)와, 상기 본체(52)의 외면에 개폐되게 형성되는 도어(54)와, 상기 도어(54)를 닫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6)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고정수단(56)은 도어(54)와 본체(52)에 각기 구비되는 +,-극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어(54)에 형성된 끼움돌기와 본체(52)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거부(5)는 본체(52)와, 본체(52)의 출구(52a)를 개폐하는 도어(54')를 포함하고, 도어(54')는 본체(52)의 하부에 형성되는 슬릿홈(53)에 삽입되고,
상기 도어(54')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릿홈(53)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키도록 슬릿홈(53)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구동부(300)와,
슬릿홈(53)의 타측에 구비되어 도어(54')의 개폐작동 후 록킹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록킹부재(400)를 포함한다.
도어(54')는 경량이면서 일정한 강도를 갖는 아크릴 소재가 적당하다.
도어(54')의 외측에는 손잡이(210)가 구비되고, 손잡이(210)를 잡고 상방으로 당기거나 하방으로 밀어 도어(54')의 인출, 인입작동시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록킹부재(400)는 슬릿홈(140)의 타측 요홈에 삽입된 스프링(422)과, 스프링(422)에 지지되는 볼(424)과, 상기 볼(424)을 구속하면서 요홈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캡(426)을 포함하고, 상기 볼(424)의 일부분이 캡(426)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토퍼(420)와, 도어(54')의 측면에 형성되어 볼(424)이 삽입되는 볼삽입홈(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54')를 개방 또는 폐쇄한 후 록킹부재(400)가 작동됨으로써 개폐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 : 필터캡 5 : 수거부
22 : 필터 52 : 본체
54 : 도어 56 : 고정수단
100 : 필터캡공급부 110 : 제1슈트
200 : 필터공급부 220 : 제2슈트
500 : 다이 510 : 제1유로
520 : 제2유로 540 : 수용홈
600 : 받침판 620 : 요홈부
640 : 승강봉 660 : 스프링
700 : 탄력지지부 800 : 가압부
820 : 승강로드 900 : 배출수단
910 : 배출핀

Claims (3)

  1. 자가진단키트용 필터캡과 필터를 조립하는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캡이 다량 저장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진동부가 형성되며 필터캡을 배출하는 호퍼와, 호퍼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턱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와 통하면 호퍼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필터캡을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1슈트를 구비한 필터캡공급부와,
    상기 필터가 다량 저장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진동부가 형성되며 필터를 연속 배출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턱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와 통하면 호퍼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필터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2슈트를 구비한 필터공급부와,
    상기 필터캡공급부의 제1슈트에 통하는 제1유로와, 제2슈트에 통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며 필터캡이 수용되는 수용홈을 갖는 다이와,
    상기 다이의 하부에 배치되며, 필터가 안착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에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력지지부와,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하강 작동되며 하단에 필터캡이 삽입되는 승강로드와, 승강로드를 승강시키는 구동원으로 구성된 가압부 및,
    상기 다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으로 진입하여 필터캡을 밀어 배출하는 배출핀과, 상기 배출핀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동력원으로 구성된 배출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는 수용홈과 통하는 슬롯이 형성되어 슬롯에 배출핀이 결합되어 전후진작동되며,
    상기 다이의 측면에는 수용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필터캡의 측면이 지지하여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면서 가압부의 승강로드와 접촉에 의해 수용홈의 내주면으로 인입되는 작동핀와,
    상기 작동핀에 연결되어 다이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는 몸체 및 작동핀에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작동핀의 인입시 배출수단의 동력원이 온 되도록 하여 배출핀이 전진작동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다이의 수용홈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저면에 하향 경사면을 갖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와 통하며 상기 제2슈트에 통하도록 형성되어 필터가 요홈부로 진입되도록 형성되는 필터진입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의 전면에 장착되어 수용홈과 받침판의 요홈부의 개구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조립된 필터캡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에 개폐되게 형성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닫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
KR1020220057337A 2022-05-10 2022-05-10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 KR102473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37A KR102473201B1 (ko) 2022-05-10 2022-05-10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37A KR102473201B1 (ko) 2022-05-10 2022-05-10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201B1 true KR102473201B1 (ko) 2022-12-01

Family

ID=8444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337A KR102473201B1 (ko) 2022-05-10 2022-05-10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2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8649A1 (en) * 2003-10-21 2007-06-28 Fuji Photo Film Co., Ltd. Cartridge for nucleic acid separation and purific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70046166A (ko) * 2014-08-28 2017-04-28 알프레사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검체 시험 용기용 노즐 캡, 및 그것을 사용한 검체 시험 용기 및 검체 시험 키트
KR101874377B1 (ko) * 2017-04-04 2018-08-02 주식회사 허스케어 보호캡 분리장치를 이용한 주사기용 필터니들 제조방법
KR101998842B1 (ko) * 2018-08-17 2019-07-11 웰스바이오 주식회사 진단 스트립 점적 및 유전자 단편 추출용 튜브 조립체
KR20210132792A (ko) 2020-04-27 2021-11-05 주식회사 메덱스 개인용 코로나 항체 진단 키트 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8649A1 (en) * 2003-10-21 2007-06-28 Fuji Photo Film Co., Ltd. Cartridge for nucleic acid separation and purific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70046166A (ko) * 2014-08-28 2017-04-28 알프레사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검체 시험 용기용 노즐 캡, 및 그것을 사용한 검체 시험 용기 및 검체 시험 키트
KR101874377B1 (ko) * 2017-04-04 2018-08-02 주식회사 허스케어 보호캡 분리장치를 이용한 주사기용 필터니들 제조방법
KR101998842B1 (ko) * 2018-08-17 2019-07-11 웰스바이오 주식회사 진단 스트립 점적 및 유전자 단편 추출용 튜브 조립체
KR20210132792A (ko) 2020-04-27 2021-11-05 주식회사 메덱스 개인용 코로나 항체 진단 키트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2938B1 (en) Pipette tip rack loader
US20120251411A1 (en) Centrifuge tube
JP7163400B2 (ja) 自動分析装置用反応容器
JP2009531676A5 (ko)
KR102413506B1 (ko) 자가검사가 가능한 검체수송용기
KR102473201B1 (ko) 감염병 진단 키트의 필터결합장치
CN110325280B (zh) 用于诊断目的的自动化样品处理的设备和方法
SE530710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bringa en pulver- och en vätskekomponent, företrädesvis polymer och monomer, i kontakt med varandra för att blanda dessa, företrädesvis till bencement
CN109475865B (zh) 用于提供具有经干燥的液体量、尤其血液的有吸附能力的样品载体的装置
EP2963411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object to be medically examined by blowing
JP2022525133A (ja) 診療地点濃度分析器
KR20070052275A (ko) 흡입 장치
CN110596408B (zh) 一种全自动干式免疫分析设备
KR101749455B1 (ko)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KR102396874B1 (ko) 복수 개의 독립된 챔버가 구비되는 멀티 파이펫
WO2022085353A1 (ja) 自動分析装置
KR102497523B1 (ko) 진단키트내장형 검체용기
CN103823048B (zh) 卡上废物存储机构
KR101092128B1 (ko) 샘플러
WO2020019195A1 (en) Microbead-based separating gel
TWI778343B (zh) 免疫分析裝置以及免疫分析方法
JP2021529314A (ja) 自動分析器
KR102005359B1 (ko) 진단용 검사 장치
JP5219221B2 (ja) 試薬チップ押圧機構を備えた体液分析装置
KR102572911B1 (ko)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