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017B1 -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017B1
KR102473017B1 KR1020180088009A KR20180088009A KR102473017B1 KR 102473017 B1 KR102473017 B1 KR 102473017B1 KR 1020180088009 A KR1020180088009 A KR 1020180088009A KR 20180088009 A KR20180088009 A KR 20180088009A KR 102473017 B1 KR102473017 B1 KR 102473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arbon nanotubes
producing
vacuum drying
carbon nano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563A (ko
Inventor
강경연
강현준
이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8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0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C01B32/162Preparation characterised by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5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56Platinum group metals
    • B01J23/64Platinum group metals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648Vanadium, niobium or tantalum or polonium
    • B01J23/6482Vana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01Impregnation
    • B01J37/0207Pretreatment of th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36Drying, e.g. preparing a suspension, adding a soluble salt and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32Specific 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36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촉매 전구체 및 조촉매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지지체에 담지하여 활성 담지체를 제조하는 단계; 다단 건조를 통해서, 상기 활성 담지체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활성 담지체를 열처리하여 담지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담지 촉매 존재 하에,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 건조는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지 촉매의 고화 현상이 방지되는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CARBONNANOTUBE}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지 촉매 제조 시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를 수행하는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나노튜브란 수 나노미터 내지 수십 나노미터의 직경을 갖고, 길이가 직경의 수배 내지 수십 배인 원통형 탄소 튜브를 지칭한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는 정렬된 탄소 원자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탄소나노튜브는 일반적으로 아크 방전법, 레이저 증발법, 화학 기상 합성법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중, 화학 기상 합성법은 담지 촉매를 사용하는데, 담지 촉매는 제조 시 지지체에 주촉매 전구체 및 조촉매 전구체를 균일하게 담지시키기 위하여 용매를 이용하는 데, 담지 후에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 공정이 필요하다.
건조 공정으로는 트레이 건조 또는 회전 건조가 수행될 수 있는데, 트레인 건조의 경우, 고화 현상이 발생하므로, 별도의 분쇄 공정이 필요하였다. 또한, 고화 현상이 발생한 담지 촉매의 경우 분쇄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균일하면서 작은 크기를 갖는 주촉매를 포함하는 담지 촉매를 제조하는 것이 어려웠고, 결과적으로 평균직경이 크고 비표면적이 작은 탄소나노튜브가 제조되었다.
또한, 회전 건조의 경우, 회전체 외벽에 지지체가 코팅되어, 절연체 역할을 하므로 열 전달이 어려워 충분한 건조가 어려웠다.
KR10-1548410B
본 발명의 목적은 담지 촉매의 고화(caking) 현상을 방지하는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촉매 전구체 및 조촉매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지지체에 담지하여 활성 담지체를 제조하는 단계; 다단 건조를 통해서, 상기 활성 담지체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활성 담지체를 열처리하여 담지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담지 촉매 존재 하에,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 건조는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평균직경이 5 내지 20 nm 인 탄소나노튜브 단위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담지 촉매의 제조 시 고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균일하면서도 작은 평균입경을 갖는 주촉매를 포함하는 담지 촉매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촉매 제조 시 분쇄, 분급 공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담지 촉매로부터 성장한 탄소나노튜브는 평균직경이 작고 비표면적이 크므로, 이를 포함하는 도전재 분산액은 도전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튜브’는 탄소나노튜브의 단위체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집합되어 형성된 2차 구조물 형상으로서, 탄소나노튜브의 단위체는 흑연면(graphite sheet)이 나노 크기 직경의 실린더 형태를 가지며, sp2 결합 구조를 갖는다. 이때 흑연면이 말리는 각도 및 구조에 따라서 도체 또는 반도체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단위체는 벽을 이루고 있는 결합수에 따라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CNT, double-walled carbon nanotube)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로 분류될 수 있으며, 벽 두께가 얇을수록 저항이 낮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이중벽 및 다중벽의 탄소나노튜브 단위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번들 형태(bundle type)’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의 단위체가 단위체 길이 방향의 축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거나, 배열된 후 꼬여있거나 또는 뒤엉켜있는, 다발(bundle) 혹은 로프(rope) 형태의 2차 구조물 형상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인탱글 형태(entangled type)’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탄소나노튜브의 단위체가 다발 또는 로프 형태와 같이 일정한 형상이 없이 뒤엉켜 있는 형태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튜브 단위체의 평균입경은 SEM 및 BET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튜브의 비표면적은 BET 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BELSORP-mini Ⅱ(상품명, 제조사: BEL Japan사)를 이용하여 액체 질소 온도 하(77K)에서의 질소가스 흡착량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1.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은 1) 주촉매 전구체 및 조촉매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지지체에 담지하여 활성 담지체를 제조하는 단계; 2) 다단 건조를 통해서, 상기 활성 담지체를 건조하는 단계; 3) 상기 건조된 활성 담지체를 열처리하여 담지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담지 촉매 존재 하에,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 건조는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단계
우선, 주촉매 전구체 및 조촉매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지지체에 담지하여 활성 담지체를 제조한다.
상기 주촉매 전구체 및 조촉매 전구체를 지지체에 균일하게 담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주촉매 전구체 및 조촉매 전구체는 용매에 용해된 용액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메탄올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는 탄소나노튜브의 형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서, α-Al2O3, γ-Al2O3 및 AlO(O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가 AlO(OH)를 포함하는 경우, Al(OH)3를 열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열처리는 100 내지 500 ℃에서 수행될 수 있고, 200 내지 450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지지체가 총 중량에 대하여, Al(OH)3에서 전환된 AlO(OH)를 30 중량% 이상 포함하면서, Al(OH)3가 Al2O3로 전환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의 기공이 적절하게 조절되므로 유동층 반응기에서 운전하기 적합한 수준의 벌크밀도를 갖는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주촉매는 코발트, 철, 니켈, 망간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 중 코발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주촉매 전구체는 상기 주촉매의 질산염, 황산염, 탄산염 및 초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 중 주촉매의 질산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촉매 전구체는 Co(NO3)2, Co(NO3)2·6H2O, Co2(CO)8, Co2(CO)6[HC=C(C(CH3)3)], Co(CH3CO2)2, Fe(NO3)3, Fe(NO3)2·nH2O, Fe(CH3CO2)2, Ni(NO3)2, Ni(NO3)2·6H2O, Mn(NO3)2, Mn(NO3)2·6H2O, Mn(CH3CO2)2·n(H2O) 및 Mn(CO)5B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 중 Co(NO3)2·6H2O, Fe(NO3)2·nH2O 및 Ni(NO3)2·6H2O가 바람직하다.
상기 조촉매는 주촉매의 분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서, 바나듐일 수 있으며, 바나듐 및 몰리브덴일 수도 있다.
상기 조촉매 전구체는 NH4VO3, NaVO3, V2O5, V(C5H7O2)3, (NH4)6Mo7O24, 및 (NH4)6Mo7O24·4H2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NH4VO3 및 (NH4)6Mo7O2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은 상기 주촉매 전구체와 조촉매 전구체를 주촉매와 조촉매의 몰비가 40:1 내지 3:1이 되도록 포함할 수 있고, 15:1 내지 5:1이 되도록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몰비를 만족하면, 주촉매의 분산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어 주촉매로부터 제조되는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수율이 현저히 개선되며, 탄소나노튜브의 직경이 균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주촉매의 전구체와 조촉매의 전구체의 침전을 억제하고, 용액의 pH 조절을 통해 지지체의 표면 전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유기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퓨마르산, 말산(malic acid), 아세트산, 뷰티르산, 팔미트산 및 옥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시트르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은 상기 유기산과 조촉매 전구체를 1:0.2 내지 1: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1:0.5 내지 1:1.5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담지 후, 주촉매와 조촉매의 침전으로 인한 미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주촉매와 조촉매를 포함한 용액 상태의 혼합물이 투명하게 제조되는 이점이 있다. 만약 용액 상태의 혼합물에 침전이 발생한다면, 상기 주촉매와 조촉매가 지지체에 균일하게 코팅이 되지 못하여 불균일한 담지 촉매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불균일한 담지 촉매는 탄소나노튜브의 성장 시 많은 미분을 발생시켜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공정 시 트러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은 상기 1) 단계 이후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성은 1 내지 60 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10 내지 5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지지체에 주촉매 전구체와 조촉매 전구체가 충분히 담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 내에 존재하던 기포가 최대한 제거되어, 상기 지지체 내부의 미세 기공까지 주촉매 전구체와 조촉매 전구체가 충분히 담지될 수 있다.
2) 단계
이어서, 다단 건조를 통해서, 상기 활성 담지체를 건조한다. 상기 다단 건조는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다단 건조는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 공정이 2회 이상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단 건조는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과 무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를 수행하면, 상기 활성 담지체 내부와 외부의 고른 건조를 통해, 상기 활성 담지체 외부에 존재하는 잉여 주촉매 전구체 및 조촉매 전구체들 사이의 반응을 통한 고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별도의 분쇄 및 분급 공정이 필요치 않다. 또한, 상기 주촉매 전구체는 매우 작고 균일한 평균입경을 갖는 주촉매 산화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촉매 산화물로부터 유래된 주촉매는 담지 촉매 내에서 매우 작고 균일한 평균입경으로 존재하므로, 이러한 주촉매로부터 성장한 탄소나노튜브 단위체는 매우 작은 평균직경을 가지게 되므로, 단위 면적당 존재하는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를 도전재 분산액에 적용한다면, 도전재 분산액의 도전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 건조로 인해 주촉매 전구체가 용이하게 분해되므로 담지 촉매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진동은 수직 진동 또는 수평 진동이거나, 수직 진동과 수평 진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일 수 있고, 수직 진동과 수평 진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진동은 1 내지 8 ㎜의 진폭으로 수행할 수 있고, 2 내지 5 ㎜의 진폭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활성 담지체의 균일한 혼합 및 진동 건조 중에 활성 담지체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수평 진동은 1 내지 8 ㎜의 진폭으로 수행할 수 있고, 2 내지 5 ㎜의 진폭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활성 담지체의 균일한 혼합 및 진동 건조 중에 활성 담지체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진동은 수직 진동과 수평 진동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때 진폭은 5 내지 85 °의 방향으로 1 내지 8 ㎜의 진폭으로 수직 진동과 수평 진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30 내지 60°의 방향으로 2 내지 5 ㎜의 진폭으로 수직 진동과 수평 진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진동과 수평 진동이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활성 담지체를 진공 용기에 투입한 후 밀폐시키고, 5 내지 85 °의 방향으로 진공 용기를 기울인 후, 상술한 진폭으로 진동을 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활성 담지체의 균일한 혼합 및 진동 건조 중에 활성 담지체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진동은 상기 활성 담지체를 수용하는 진공 용기에 용수철을 설치한 후, 외력이 가해진 용수철에서 발생되는 주기적인 왕복 운동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는 70 내지 170 ℃에서 수행될 수 있고, 100 내지 150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용매가 완전히 건조되면서, 지지체에 주촉매 전구체와 조촉매 전구체가 잘 코팅된 상태의 건조된 활성 담지체가 제조된다.
상기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는 1 내지 200 mbar에서 수행될 수 있고, 1 내지 150 mbar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00 mbar에서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활성 담지체의 건조 시간을 줄이고, 에너지 소비는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는 0.5 내지 5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1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활성 담지체의 건조 시간을 줄이고, 에너지 소비는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다단 건조는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과 무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다단 건조는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한 후, 무진동 하에서 즉, 진동이 없는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는 175 내지 300 ℃에서 수행될 수 있고, 180 내지 280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주촉매 전구체, 즉 주촉매의 배위결합물이 용이하게 분해되어 주촉매 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무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는 1 내지 200 mbar에서 수행될 수 있고, 1 내지 100 mbar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주촉매 전구체가 주촉매의 배위결합물이 갑작스레 분해 배출되므로 진공 조건에서 더욱 용이하게 주촉매 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비는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무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는 10 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1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주촉매 전구체를 주촉매 산화물로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으면서, 에너지 소비는 최소화할 수 있다.
3) 단계
이어서, 상기 건조된 활성 담지체를 열처리하여 담지 촉매를 제조한다.
상기 열처리를 수행하면, 상기 주촉매 및 조촉매가 상기 지지체의 표면 및 세공에 코팅된 상태로 존재하는 담지 촉매가 제조된다.
상기 열처리는 600 내지 800 ℃에서 수행될 수 있고, 650 내지 750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주촉매 및 조촉매가 상기 지지체의 표면 및 세공에 균일하게 코팅된 상태로 담지 촉매를 제조할 수 있으면서 상기 에너지 소비는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1 내지 12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2 내지 8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촉매 전구체가 상기 지지체의 표면 및 세공에 균일하게 코팅된 상태로 존재하는 담지 촉매가 제조될 수 있다.
4) 단계
이어서, 상기 담지 촉매 존재 하에,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담지 촉매와 탄소계 화합물을 접촉시키면서 탄소나노튜브가 제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화학 기상 합성법을 수행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담지 촉매를 수평 고정층 반응기 또는 유동층 반응기 내에 투입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기체 상태인 탄소계 화합물의 열분해 온도 이상 또는 상기 담지 촉매에 담지된 촉매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기체 상태인 탄소계 화합물, 또는 상기 기체 상태인 탄소계 화합물과 환원가스(예를 들면 수소 등) 및 운반가스(예를 들면 질소 등)의 혼합가스를 주입하여 기체 상태인 탄소계 화합물의 분해를 통해 화학적 기상 합성법으로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학 기상 합성법에 의해 제조되는 탄소나노튜브는 결정의 성장방향이 튜브축과 거의 평행하고, 튜브 길이 방향으로 흑연 구조의 결정성이 높을 수 있다. 그 결과, 단위체의 직경이 작고, 도전성 및 강도가 높은 탄소나노튜브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학 기상 합성법은 600 내지 80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650 내지 750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온도를 만족하면, 비결정성 탄소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을 위한 열원으로서는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복사열, 레이저, IR,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표면 플라즈몬 가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 상기 탄소계 화합물은 탄소를 공급할 수 있으며, 300 ℃ 이상의 온도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탄소계 화합물은 탄소수 6 이하의 탄소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일산화탄소, 메탄, 에탄, 에틸렌, 에탄올, 아세틸렌, 프로판, 프로필렌, 부탄, 부타디엔, 펜탄, 펜텐, 사이클로펜타디엔, 헥산, 사이클로헥산, 벤젠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반응에 의해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킨 후, 탄소나노튜브의 배열을 보다 규칙적으로 정렬하기 위한 냉각공정이 선택적으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공정은 구체적으로 열원의 제거에 따른 자연냉각 또는 냉각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평균직경이 5 내지 20 ㎚인 탄소나노튜브 단위체를 포함할 수 있고, 평균직경이 8 내지 15 ㎚인 탄소나노튜브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단위 면적 당 존재하는 탄소나노튜브 단위체의 수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도전재 분산액에 적용 시 도전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비표면적이 200 내지 300 ㎡/g일 수 있고, 240 내지 28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나노튜브의 비표면적은 평균직경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로, 탄소나노튜브의 평균직경이 작을 수록 비표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탄소나노튜브의 비표면적이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단위 면적 당 존재하는 탄소나노튜브 단위체의 수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도전재 분산액에 적용 시 도전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담지 촉매의 제조>
Al(OH)3 (상품명: BH39-622, 제조사: 일본 경금속) 30 g을 400 ℃에서 4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주촉매 전구체로 Co(NO3)2·6H2O 15.7 g, 조촉매 전구체로 NH4VO3 0.63 g, 시트르산 0.45 g 및 증류수 20 ㎖를 투입하여 촉매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촉매 전구체 용액 전량을 상기 지지체 20 g 에 담지하여 활성 담지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활성 담지체를 80 ℃ 항온조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면서 숙성시켰다.
이어서, 진공 용기인 원통에 상기 숙성된 활성 담지체를 투입한 후, 원통을 밀폐시켰다. 그리고 상기 원통을 45 °의 방향으로 기울인 후 3.5 ㎜의 진폭으로 수직 진동 및 수평 진동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상기 원통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130 ℃, 50 mbar로 설정한 후 1 시간 동안 1차 진공 건조하였다. 상온으로 식힌 다음, 1차 진공 건조한 혼합물을 200 ℃, 10 mbar에서 1 시간 동안 2차 진공 건조하였다, 이어서 670 ℃에서 2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담지 촉매를 제조하였다.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수득된 담지 촉매 1 g을 유동층 반응장치 내에 위치하는 내경이 55㎜인 석영관의 하부에 장착하였다. 유동층 반응장치의 내부를 질소 분위기에서 670 ℃로 일정한 속도로 승온시킨 후, 유지하고, 질소 가스와 에틸렌 가스를 1:1 의 부피비로 1,800 ㎖/분으로 흘리면서 2 시간 동안 합성하여 탄소나노튜브 15 g 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지지체로 γ-Al2O3(상품명: TH80/180, 제조사: Sasol) 30 g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담지 촉매 및 탄소난조튜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차 진공 건조 시 4 mm의 진폭으로 수직 진동시키면서, 상기 원통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130 ℃, 50 mbar로 설정한 후 2 시간 동안 진공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담지 촉매 및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1차 진공 건조 시 4 mm로 수평 진동시키면서, 상기 원통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130 ℃, 50 mbar로 설정한 후 2 시간 동안 진공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담지 촉매 및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차 진공 건조 대신에 130 ℃의 오븐에서 4 시간 동안 상압 건조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담지 촉매 및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1차 진공 건조 대신에 60rpm의 Rotary evaporator(상품명: Hei-VAP precision, 제조사: Heidolph)를 이용하여 1 시간 동안 진공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담지 촉매 및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담지 촉매 및 탄소나노튜브의 물성을 하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① 담지 촉매 입도(중량%): 실시예 및 비교예의 담지 촉매를 130 ℃에서 건조한 후, 250 ㎛의 그물망 크기를 가진 메시를 이용하여 체질을 했을 때,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② 비표면적(㎡/g): BELSORP-mini Ⅱ(상품명, 제조사: BEL Japan사)을 이용하여 BET 법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담지 촉매 입도≤ 250 ㎛ 비표면적
실시예 1 99.5 256
실시예 2 100 243
실시예 3 99.0 250
실시예 4 98.0 252
비교예 1 30 185
비교예 2 70 23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담지 촉매의 경우, 담지 촉매의 총 중량에 대하여 98 중량% 이상이 입도가 250 ㎛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로부터 별도의 분쇄 공정이 필요하지 않는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하지만 비교예 1 및 2의 담지 촉매의 경우, 담지 촉매의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70 중량%만이 입도가 250 ㎛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담지 촉매 입도가 250 ㎛ 초과이면, 고화가 발생한 것이며, 이로 인해 담지 촉매가 딱딱해지고 뭉쳐서 체질이 되지 않은 것이므로, 별도의 분쇄 공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탄소나노튜브는 비교예 1 및 2 대비 비표면적이 크므로, 탄소나노튜브 단위체의 평균직경이 작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주촉매 전구체 및 조촉매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지지체에 담지하여 활성 담지체를 제조하는 단계;
    다단 건조를 통해서, 상기 활성 담지체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활성 담지체를 열처리하여 담지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담지 촉매 존재 하에,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 건조는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단 건조는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과 무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은 1 내지 8 ㎜의 진폭으로 수직 진동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은 1 내지 8 ㎜의 진폭으로 수평 진동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은 5 내지 85 °의 방향으로 1 내지 8mm의 진폭으로 수평 진동과 수직 진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는 70 내지 170 ℃에서 수행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는 1 내지 200 mbar에서 수행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는 0.5 내지 5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는 175 내지 300 ℃에서 수행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진동 하에서 진공 건조는 1 내지 200 mbar에서 수행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600 내지 800 ℃에서 수행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촉매 전구체는 Co(NO3)2, Co(NO3)2·6H2O, Co2(CO)8, Co2(CO)6[HC=C(C(CH3)3)], Co(CH3CO2)2, Fe(NO3)3, Fe(NO3)2·nH2O, Fe(CH3CO2)2, Ni(NO3)2, Ni(NO3)2·6H2O, Mn(NO3)2, Mn(NO3)2·6H2O, Mn(CH3CO2)2·n(H2O) 및 Mn(CO)5B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촉매 전구체는 NH4VO3, NaVO3, V2O5, V(C5H7O2)3, (NH4)6Mo7O24 및 (NH4)6Mo7O24·4H2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평균직경이 5 내지 20 nm인 탄소나노튜브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비표면적이 200 내지 300 ㎡/g인 것인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KR1020180088009A 2018-07-27 2018-07-27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KR10247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009A KR102473017B1 (ko) 2018-07-27 2018-07-27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009A KR102473017B1 (ko) 2018-07-27 2018-07-27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563A KR20200012563A (ko) 2020-02-05
KR102473017B1 true KR102473017B1 (ko) 2022-12-02

Family

ID=6951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009A KR102473017B1 (ko) 2018-07-27 2018-07-27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284A1 (ko) *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170B1 (ko) 2016-09-29 2018-03-1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고순도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 집합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259B1 (ko) * 2002-12-31 2005-06-02 에쓰대시오일 주식회사 마이크로파 건조법을 이용한 수첨 탈황 촉매 제조방법
KR20100045148A (ko) * 2008-10-23 2010-05-03 오덱(주) 촉매용 백금 분말의 제조방법
KR101548410B1 (ko) 2012-01-02 2015-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카본나노튜브용 균질 담지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제조장치
KR101620194B1 (ko) * 2013-09-30 201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나노튜브 집합체의 벌크 밀도 조절 방법
RU2675603C1 (ru) * 2015-03-26 2018-12-20 Асахи Касеи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атализатор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енасыщенного нитрил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170B1 (ko) 2016-09-29 2018-03-1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고순도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 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563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387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undle-type carbon nanotubes having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EP305388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bulk density of carbon nanotube agglomerate
JP5250535B2 (ja) 薄型多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製造用触媒組成物
US1075889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 nanotube agglomerate having controlled bulk density
KR102388564B1 (ko) 유동층 반응기에서 카본 나노튜브 제조 방법
KR20170028023A (ko) 카본나노튜브의 정제방법
TWI815931B (zh) 製備碳奈米管之方法
KR20170011779A (ko) 열안정성이 개선된 카본나노튜브
KR102473017B1 (ko)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KR20170032566A (ko) 결정성이 개선된 카본나노튜브
WO2022047600A1 (zh) 一种制备多壁碳纳米管的方法
KR20230017835A (ko) Mwcnt 제조를 위한 개선된 촉매
Zhang et al. Few walled carbon nanotube production in large-scale by nano-agglomerate fluidized-bed process
JP2004277925A (ja) コイン積層型ナノグラファイ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用触媒
CN110785378B (zh) 碳纳米管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669941B1 (ko) 섬유상 탄소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20230061633A (ko)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
CN116997413A (zh) 碳纳米管制造用催化剂的制备方法
KR20180116270A (ko) 섬유상 탄소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