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797B1 -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 Google Patents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797B1
KR102472797B1 KR1020220077617A KR20220077617A KR102472797B1 KR 102472797 B1 KR102472797 B1 KR 102472797B1 KR 1020220077617 A KR1020220077617 A KR 1020220077617A KR 20220077617 A KR20220077617 A KR 20220077617A KR 102472797 B1 KR102472797 B1 KR 102472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s
unit
crushing
grinding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알렉산더명준
이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하베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하베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하베스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6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defining termination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e.g. 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2018/166Lubricating the knives of the cutting mechanisms

Abstrac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분쇄 장치는, 부산물이 투입되는 분쇄투입부, 상기 분쇄투입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투입부로부터 전달된 부산물을 분쇄시키는 분쇄부 및 분쇄된 부산물을 배출하는 분쇄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CRUSHING DEVICE THAT PERFORMS CRUSHING TREATMENT ON BY-PRODUCTS}
본 발명은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음식물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고부부가가치의 물질로 업사이클링하는 공정 과정에 활용되는 분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환경 오염과 자원 낭비를 줄이기 위한 재활용이 화두가 되면서, 업사이클링이 주목받고 있다. 업사이클링이란, 업그레이드(upgrade)와 리사이클링(recycling)의 조합을 통해 생성된 말로, 쓸모가 없어진 제품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디자인을 가미하는 등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새로운 제품으로 탄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업사이클링은 친환경 정책에 힘입어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가 되고 있다. 업사이클링의 예로써, 재활용 의류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옷이나 가방을 생산하거나, 버려진 현수막을 재활용하여 장바구니로 만들거나, 음식물쓰레기를 지렁이 먹이로 활용하여 얻은 지렁이 배설물 비료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최근 첨단기술에 업사이클링이 더해지면서 단순히 물리적으로 가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화학적 변화를 이용한 업사이클링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버려진 비닐이나 폐플라스틱 등을 활용하여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에 이용되는 등에 활용성이 높은 탄소나노튜브로 생산하는 업사이클링에 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버려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도 줄임과 동시에, 리튬 이온 배터리에 꼭 필요한 탄소나노튜브를 생산할 수 있다.
한편, 국내에서 식품을 가공하기 위해 필요악으로 발생되는 식품부산물은 연간 3천만 톤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 70%는 "쓰레기"로 분류 또는 처리되어, 기업 활동뿐 아니라 환경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폐기에 소요되는 사회적인 비용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업사이클링의 적용대상이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0005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고부부가가치의 물질로 업사이클링 하는 공정 과정에서 활용되는 분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분쇄 장치는, 부산물이 투입되는 분쇄투입부, 상기 분쇄투입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투입부로부터 전달된 부산물을 분쇄시키는 분쇄부 및 분쇄된 부산물을 배출하는 분쇄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투입부는, 일정한 투입량을 통해 부산물을 상기 분쇄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투입부는, 상기 부산물을 수용하는 부산물저장부, 상기 부산물저장부와 상기 분쇄부를 연결하는 부산물공급관, 상기 부산물공급관 내부에 구비되며 스크류 형상을 갖는 회전공급부, 상기 회전공급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분쇄구동부 및 상기 분쇄구동부를 제어하는 분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제어부는, 상기 분쇄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공급부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분쇄부로 전달되는 부산물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부는, 복수 개의 밀링커터를 통해 부산물에 대한 분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밀링커터는, 코팅액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부는, 분쇄된 부산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수용된 부산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배출부는, 무게 감지 모듈로부터 측정된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분쇄된 부산물을 적어도 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된 부산물은, 서로 상이한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경우, 서로 상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배출부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블로워, 분쇄된 부산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분쇄배출구 및 상기 복수의 분쇄배출구 사이에 구비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된 부산물 각각은 상기 복수의 분쇄 배출구 각각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블로워는, 상기 무게 감지 모듈로부터 측정된 무게에 기초하여 바람의 세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고부부가가치의 물질로 업사이클링 하는 공정 과정에서 활용되는 분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부산물 업사이클링에 대한 예시적인 공정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을 수행하는 업사이클링 공정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부산물 업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세척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세척 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탈수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건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건조 장치의 예시적인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건조레일부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세라믹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건조 장치의 내부 일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달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실제 초분광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쇄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쇄 장치의 일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쇄 장치가 부산물을 분류하여 배출하는 실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물 균 관리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물 균 관리 장치의 x-ray 영상 획득부 및 초분광 영상 획득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물 균 관리 장치의 열화상 영상 획득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부산물 업사이클링에 대한 예시적인 공정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 공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공정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단계들은 필요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가 생략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즉, 이하의 단계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 공정 방법은, 부산물을 획득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산물은, 발효과정을 통하여 음식물을 생산함에 따라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잔여 생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산물은 맥주 생성 과정 또는 식혜 생성 과정에서 발생되는 '맥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맥주와 식혜는 전처리까지는 동일한 원료와 공정으로 진행됨에 따라 부산물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공정으로 푸드 업사이클링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부산물은, 발효과정을 거쳐 생성됨에 따라, 부산물 내에 미생물(또는 균)이 잔존할 수 있다. 잔존한 미생물에 의해 부산물은 지속적으로 반응(예컨대, 부패)을 일으킬 수 있다. 예컨대, 맥주 또는 식혜 생산에 활용되는 맥아는 잔여물이 지속적으로 반응할 수 있으므로, 그대로 보관하거나 가공 처리하는 경우, 부패하거나 악취가 발생하고 유해 미생물들이 번식하여 섭취에 적절하지 않은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이는, 부산물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원료를 생성하고자 하는 업사이클링 공정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맥아는 겉껍질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 부산물을 업사이클링하여 고부가가치의 원료를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 미생물의 사멸과 이물질의 제거는 필수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 공정 방법은, 이러한 부산물에서 미생물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부산물에 대한 세척, 건조, 분쇄 및 검사 등의 공정 과정을 수행하는 업사이클링 공정 시스템(1000)을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을 수행하는 업사이클링 공정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사이클링 공정 시스템(1000)은 세척 장치(100), 탈수 장치(200), 건조 장치(300), 분쇄 장치(400), 이물 균 관리 장치(500) 및 이송 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업사이클링 공정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되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사이클링 공정 시스템(1000)의 세척 장치(100)를 통해 부산물에 대한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업사이클링 공정 시스템(1000)의 탈수 장치(200) 및 건조 장치(300)를 통해 부산물에 대한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업사이클링 공정 시스템(1000)의 분쇄 장치(400)를 통해 부산물에 대한 분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업사이클링 공정 시스템(1000)의 이물 균 관리 장치(500)를 통해 부산물에 대한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산물은, 세척 장치(100), 탈수 장치(200), 건조 장치(300), 분쇄 장치(400) 및 이물 균 관리 장치(5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고부가가치를 가진 원료로 업사이클링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부산물은, 맥주 또는 식혜 생산 과정에서 획득되는 맥아일 수 있으며, 해당 부산물의 업사이클링 공정 결과 대체 밀가루가 획득될 수 있다. 획득된 대체 밀가루는, 면류, 스낵류, 그래놀라, 피자, 생지, 반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됨에 따라 높은 상업적 가치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송 장치(160)는 전술한 각 장치를 연결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장치(600)는 건조 장치(300)에서 배출되는 부산물을 분쇄 장치(400)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분쇄 장치(400)에서 분쇄 처리된 부산물을 이물 균 관리 장치(5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장치(600)를 통해 전체 공정 시스템의 자동화가 이뤄질 수 있으므로,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업사이클링 공정 시스템(1000)에 포함된 장치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 공정 방법은, 부산물에 대한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산물에 대한 세척은 세척 장치(100)를 활용한 부산물의 세척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산물에 대한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는, 세척 장치(100)를 활용하여 부산물에 대한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100)는, 회전을 통해 세척액과 부산물의 접촉을 최대화하여 부산물에 대한 세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세척 장치(100)는 세척 세척하우징(120), 분사부(110), 회전부(130) 및 배출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 장치(100)의 세척하우징(120)은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통해 구비되며 내부 수용공간(121) 상에 부산물을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부산물이 투입될 수 있으며, 해당 수용공간(121) 상에서 투입된 부산물에 대한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세척 장치(100)의 분사부(110)는 세척하우징(12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수용공간(121) 방향으로 세척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세척액은 부산물과의 접촉을 통해 해당 부산물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세척액은, 저온의 액체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세척액은 살균능력을 갖는 물질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세척액은 예컨대, 치아염소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100)는 세척액(예컨대, 치아염소산)을 지속적으로 생성하는 세척액생성모듈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세척액생성모듈은, 염분이 있는 물(예컨대,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치아염소산을 포함하는 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액은, 부산물과 접촉되는 경우, 포자 형성균, 결핵균, 바이러스, 곰팡이, 비발효성 세균, 효모, 대장균 등 다양한 세균에 대응하는 살균 작용을 야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사부(110)로부터 분사된 세척액은 수용공간 상에 위치한 부산물과 접촉 또는 혼합됨에 따라, 해당 부산물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 장치(100)는 수용공간(121) 상에 수용된 부산물과 세척액을 혼합시키기 위한 회전을 발생시키는 회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부(130)는 세척하우징(1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130)를 통한 회전을 통해 수용공간(121)에 수용된 부산물과 해당 수용공간(121)의 상측 방향에서 분사된 세척액이 혼합될 수 있으며, 세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회전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1), 회전판(132) 및 회전구동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31)은 세척하우징(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회전판(132)과 회전구동부(133)를 연결시킬 수 있다. 회전판(132)은 수용공간(121)의 너비에 대응하는 원판의 형상을 통해 구비되며, 수용공간(121) 상에서 부산물이 접촉되는 하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판(132)은 중심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깔때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돌출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132a)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며 회전판(132)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돌출부(132a)는 회전판(132)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판(132)은 이러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132a)를 기준으로 분획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돌출부(132a)가 구비될 수 있으며, 6개의 돌출부(132a)를 통해 회전판(132)이 6개의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돌출부의 구비 개수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회전축(131)은 회전구동부(133)와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구동부(133)로부터 힘을 인가받아 회전판(132)에 전달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133)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예컨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전구동부(133)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발생된 역학적 에너지를 통해 회전축(131)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1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1)을 통해 회전판(132)과 연결될 수 있으며, 발생된 역학 에너지를 통해 회전판(1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121)의 하면 즉, 부산물이 적층되는 회전판(132)이 회전되어 세척액과 부산물의 혼합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원심력을 통해 부산물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회전판(132)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단턱 형상의 복수의 돌출부(13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돌출부(132a)를 통해 수용공간의 하부면이 회전되는 경우, 돌출부와 부산물의 지속적인 접촉이 발생함에 따라 부산물로부터의 이물질 분리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세척 장치(100)의 수용공간의 하부면을 구성하는 회전판(13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액의 배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홀(14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수용공간의 상부측에 위치한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액은 수용공간 상에 투입된 부산물과 혼합됨에 따라 세척 과정이 진행되며, 부산물의 세척 후, 하부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배출홀(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장치(100)는 분사부(110)를 통해 분사된 세척액을 회수를 위한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용공간의 상부 방향에 위치한 분사부(110)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로 분사된 세척액은 부산물의 세척 이후, 회수될 수 있으며 정화 과정 이후 재사용될 수 있다. 세척 장치(10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 내에는 세척액의 회수를 위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세척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산물로부터의 이물질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산물에 세척액을 자동으로 분사하는 기계적 구성(즉, 노즐)을 포함하며, 회전구동부(133)를 통해 부산물이 투입되는 수용공간 상에 지속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기계적 구성을 포함하므로, 부산물에 대한 세척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세척 장치(100)의 전술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부산물의 세척 과정에서 인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 부산물에 대한 세척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 및 이물질 분리 효율이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 공정 방법은, 세척된 부산물에 대한 건조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건조 처리는, 회전을 통해 수분을 최소화하는 탈수 처리 및 열 또는 바람을 공급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탈수 장치(200)를 활용하여 세척된 부산물에 대한 탈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건조 장치(300)를 활용하여 탈수 처리된 부산물에 대한 건조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탈수 장치(200)는 압착 스크류 방식을 통해 세척된 부산물에 대한 탈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수 장치(200)는 부산물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부산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탈수 장치(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면을 이루는 금속 날개가 형성된 스크류 형상의 회전 스크류(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회전 스크류(230)를 통해 압착(screw) 방식으로 부산물에 대한 압착을 수행함으로써, 부산물에 대한 탈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전 스크류(230)는 탈수하우징(2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탈수하우징(220)은 지지부(26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탈수 장치(200)는 부산물로부터 추출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배수 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하우징(220)의 하면 적어도 일부에는 배수부(2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배수부(250)를 통해 부산물로부터 추출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탈수 장치(200)는 회전 스크류(230)에 힘을 인가하기 위한 탈수구동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탈수구동부(24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통해 회전 스크류(230)에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수 장치(200)의 상부 방향에 구비된 탈수투입부(210)를 통해 부산물이 투입되는 경우, 해당 투입부의 하부측에 위치한 회전 스크류(230)에 의해 부산물이 압착되어 탈수 처리되게 된다. 이 경우, 회전 스크류(230)는 회전 횟수에 대응하는 탈수 처리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탈수 장치(200)는 압착 방식을 활용한 기계식 탈수 방식이므로, 부산물이 균일한 수분 함량을 보유하도록 탈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탈수 장치(200)는 부산물에 대한 균일한 탈수력을 제공함으로써, 탈수 처리되는 부산물들 간의 균일한 수분 함량을 담보할 수 있다. 예컨대, 탈수 처리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진행되는 경우, 작업자에게 과다한 노동력을 요구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육안으로 탈수 상태를 판단하게 되므로, 부산물들 간에 균일하지 못한 함수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수 장치(200)는 전자식 탈수를 통해 대용량의 부산물을 균일한 품질로 탈수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탈수 장치(200)는 자동식 배수 설비로 인해 향상된 운영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계적 압착 방식의 탈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인적 자원의 소모를 최소화하며, 단 시간 내 대용량의 탈수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장치(300)는 열풍 및 광 공급을 통해 탈수 처리된 부산물에 대한 건조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장치(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320) 및 전달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부(32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하우징(320a), 홀의 형상을 통해 구비되며, 내부 공간으로 부산물의 투입을 허용하는 건조투입부(320b), 부산물이 배출되는 건조배출부(320c), 투입되는 부산물에 관련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326), 건조투입부(320b)로부터 건조배출부(320c)로 부산물을 이동시키는 건조레일부(321), 건조레일부(321)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건조구동부, 건조레일부 방향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323), 건조하우징 내부에 광을 공급하는 광공급부(322), 건조하우징 내부 공간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공급부(325) 및 건조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건조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장치(300)는 부산물에 대한 건조 처리 및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건조 장치(300)의 건조부(320)는 부산물에 대한 건조 처리 및 살균 처리를 위한 건조 살균 처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건조 살균 처리 공간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하우징(320a)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조 장치(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장치(300)의 건조투입부(320b)에 부산물을 균일하게 투입시키는 전달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장치(300)는 광 공급을 통해 고온 건조 및 열풍을 통한 열풍 건조를 통해 부산물에 대한 건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조 장치(300)의 건조 살균 처리 공간 내에는 광공급부(322) 및 열풍공급부(323)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장치(300)는 광공급부(322)를 통해 부산물에 대한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건조투입부(320b)로 투입된 부산물은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건조레일부(321)에 적층될 수 있다. 건조레일부(321)는 부산물(즉, 탈수 처리된 부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건조레일부(321)는 부산물을 제1위치(예컨대, 건조투입부 방향)에서 제2위치(건조배출부 방향)로 이동시킬 수 있다. 광공급부(322)는 건조레일부(321) 방향으로 광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공급부(322)는 건조 살균 처리 공간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건조레일부(321) 방향으로 광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레일부(321)를 통해 부산물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부산물에 광이 공급될 수 있으며, 공급된 광을 통해 살균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광공급부(322)는 원적외선(IR, Infrared Rays)을 공급하는 제1광공급부(322a) 및 자외선(UV, ultraviolet)을 공급하는 제2광공급부(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부산물은, 맥주 또는 식혜의 생성 과정에서 발생되는 맥아일 수 있다. 이러한 부산물은 발효과정을 거쳐 생성됨에 따라, 부산물 내에 미생물(또는 균)이 잔존할 수 있으며, 잔존한 미생물에 의해 부산물이 부패되어 섭취에 적절하지 않은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이는 부산물을 고부가가치의 원료로 생성하고자 하는 업사이클링 공정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살균이 필수적이다. 즉, 본 발명은, 건조 처리 과정에서 광공급부(322)를 활용한 살균 처리를 수행하여 부산물에 존재하는 미생물(예컨대, 대장균군)을 적발하여 살균함으로써, 추후 부산물을 통해 생성되는 원료에 대한 활용도를 확대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장치(300)는, 플라즈마 공급부(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라즈마 공급부(325)는 플라즈마로 생성된 2차 반응 물질 즉 반응성 산소종에 의해 미생물에 대한 살균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플라즈마의 활용은 단순히 살균 자외선을 물체에 표면에 조사하여 산화에틸렌(EO gas)과 같은 살균소독제와 접속시켜 미생물의 사멸을 유도하는 살균법과는 상이할 수 있다. 플라즈마로 야기된 2차 반응성 산화제는 친환경적으로 인체나 사물에 피해가 없으며 빠르게 원하는 살균작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로 야기된 2차 반응성 물질은 침투력이 좋아 틈새가 극히 비좁은 곳까지 침투하여 빠르게 살균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라즈마를 활용하는 경우, 단순히 부산물의 표면에 대한 살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부산물의 사이사이를 침투하여 살균 효율을 극대화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장치(300)는 부산물에 효소를 분사시키는 효소제공부(327)를 포함할 수 있다. 효소제공부(32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투입부(320b)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건조투입부(320b)를 통해 투입된 부산물에 효소를 분사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부산물에 분사되는 효소는, 단백질분해효소를 의미할 수 있다. 단백질분해효소는, 단백질과 펩티드의 펩티드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단백질분해효소는, 단백질을 펩티드사술 내부에서 절단하는 엔도펩티다아제(endopeptidase) 및 엑소펩티다아제(exopeptidase)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효소제공부(327)는 투입된 부산물에 효소를 분사하여 부산물의 고분자단백질을 저분자단백질로 전환시킬 수 있다. 부산물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고분자단백질을 저분자단백질로 전환시킴에 따라 탈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산물의 세포막 파괴를 통해 병원성 및/또는 전염성 균의 살균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효소제공부(327)의 구성을 통해 부산물의 건조 효율 및 살균 효율이 극대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서 따르면, 건조 장치(300)는 부산물에 관련한 미생물(예컨대, 대장균군) 검사를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326)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326)은 초분광 카메라일 수 있다. 초분광 카메라의 경우, 부산물에 미생물이 존재하는지에 관련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326)은 부산물에 부착된 미생물을 식별하기 위한 부산물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을 참조하면, 초분광 카메라를 통해 부산물을 촬영하는 경우, 미생물(또는 균)에 관련한 부분이 붉은색으로 나타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326)은, 부산물에 관련한 부산물 이미지를 획득하고, 해당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생물 검사를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건조 장치(300)는 카메라 모듈(326)을 통해 획득한 부산물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에 관련한 미생물 검사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부산물에 대한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미생물 검사 처리 정보는, 부산물에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는 정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건조제어부는 전단부에서 미생물 검사 수행 결과, 부산물에 미생물이 많이 포함되었다는 미생물 검사 처리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광공급부(322)가 공급하는 원적외선 및 자외선의 강도를 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건조제어부는 전단부에서 미생물 검사 수행 결과, 부산물에 미생물이 적게 포함되었다는 미생물 검사 처리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광공급부(322)가 공급하는 원적외선 및 자외선의 강도를 약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미생물 검사 수행 결과, 부산물에 미생물이 많이 포함되었다는 미생물 검사 처리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건조제어부는 효소제공부(327)로 하여금 부산물에 대향하여 많은 양의 효소를 분사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건조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부산물에 미생물이 포함된 정도에 따라, 효소제공부(327)를 통해 분사되는 효소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건조 장치(300)는 투입되는 부산물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수행하고, 해당 미생물 검사 결과에 대응하는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투입되는 부산물에 대응하는 피드백 제어를 통해 부산물에 대한 살균 처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장치(300)는 건조레일부(321)를 기반으로 건조 및 살균 과정에서 부산물의 이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인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레일부(321)는 2계층 구조를 통해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계층 사이에는 건조히팅부(321a)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건조레일부(321)의 제1계층 및 제2계층 사이에는 건조히팅부(321a)가 구비될 수 있다. 건조히팅부(321a)는 열을 공급하여 부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열풍 및 광이 부산물의 표면에만 공급됨에 따라 최하층(즉, 건조레일부와 접촉하는 면)에 존재하는 부산물의 경우, 건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산물의 표면 뿐만 아니라 하측 부분에도 적절한 건조가 수행될 수 있도록 건조레일부(321)의 각 계층 사이에 건조히팅부(321a)를 구비할 수 있다. 건조히팅부(321a)를 통해 하부 방향에서 열을 추가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부산물의 양면 각각에 대응하여 골고루 열이 가해질 수 있어, 부산물에 대한 건조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조부(320)는 건조레일부(32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래퍼(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산물이 당을 포함하는 경우, 당화가 진행될 수 있다. 당화가 진행되는 경우, 당분이 건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녹아 건조레일부(321) 상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조레일부(321)에 지속적으로 이물질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부착된 이물질로 인해, 고부가가치로 재탄생하는 대체 가공품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며, 건조레일부 자체의 고장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특히, 건조레일부(321)의 하부면에 건조히팅부(321a)가 구성됨에 따라 부산물의 당화에 관련한 이슈가 더욱 부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320)의 내부 스크래퍼(321b)를 구비되어, 당화를 통해 건조레일부(32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스크래퍼(321b)는 건조레일부(321)의 상부면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크래퍼(321b)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즉, 건조레일부에 부착되어있던 이물질)은, 필터부(329)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장치(300)는 건조레일부(321) 방향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32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레일부(321)의 상부 방향에 구비될 수 있으며, 건조레일부(321)를 통해 이동되는 부산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부산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장치(300)는 열풍공급부(323)로부터 미리 정해진 이격 거리를 갖도록 구비되는 세라믹판(323a)을 포함할 수 있다. 세라믹판(323a)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323)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미세홀(323a-1)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미세홀(323a-1)은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홀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라믹판(323a)은 건조하우징(320a)의 내측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라믹판(323a)은 가열이 빠르고 온도 전달력이 좋은 소재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열풍공급부(323)로부터 열풍이 공급되는 경우, 세라믹판(323a)은 가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적외선을 방사함과 동시에 히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세라믹판(323a)의 미세홀(323a-1)을 통과한 열풍은 부산물 전체에 부산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세라믹판(323a)을 통해 원적외선과 열풍을 동시에 제공하고, 세라믹 히터의 단열재 효과로 인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산물의 함수율과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장치(300)는 기체순환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순환부(324)는 건조하우징(320a) 내부 공간에 기체를 외부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서, 기체순환부(324)는 건조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해당 기체순환부(324)가 개방되는 경우, 내부 기체가 외부로 방출되거나, 또는 외부의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즉, 기체순환부(324)를 통해 건조하우징(320a) 내부의 기체의 흐름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부(320)는 부산물에 스팀(steam)을 공급하는 스팀부(328)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부(328)는 도 8 및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배출부(320c)에 관련한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건조배출부(320c)를 통해 배출되는 부산물(즉, 건조가 완료된 부산물)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스팀은, 고온, 고압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스팀부(328)는 건조레일부(321)의 후단부 즉, 건조배출부(320c) 부근에 구비되어, 부산물이 건조배출부(320c)로 직전 부산물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부산물은, 발효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맥아임에 따라, 부산물 내에 미생물(또는 균)이 잔존할 수 있으며, 잔존한 미생물에 의해 부산물이 부패될 수 있다. 따라서, 균의 완벽한 사멸은 업사이클링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건조가 최종적으로 완료되어 배출되는 상황에 라인 끝에서(즉, 건조레일부) 스팀을 공급하여 고온을 열을 통해 대장균군을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건조부(320)는 살균 및 건조된 부산물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부(329)를 포함할 수 있다. 부산물은 특성상 겉껍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건조부(320)는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레일부(321)의 일단에 필터부(329)를 구비하여 건조가 완료된 부산물로부터 겉껍질을 분리해낼 수 있다. 예컨대, 필터부(329)는 채반 기능을 갖도록 미세한 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329)는 비교적 크기가 간 겉껍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부산물에 이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필터부(329)는 스크래퍼(321b)를 통해 건조레일부(321)에서 제거된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스크래퍼(321b)는 온도에 따라 건조레일부(321)의 상면에 당화되어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된 이물질은 후단부(즉, 건조배출부 인접 영역)에 위치한 필터부(329)를 통해 필터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제거된 이물질을 건조된 부산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추가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부(310)는 건조부(320)로 부산물을 전달하되 균일하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달부(310)는 부산물을 건조부(320)로 전달하는 전달레일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레일부(31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투입부(320b)의 높이에 대응하여 지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달레일부(311)는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건조부(3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달레일부(311)는 서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형성하며,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31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311a)를 통해 부산물이 지지되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각 가이드부(311a)를 통해 일정량의 부산물이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건조투입부(320b)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전달레일부(311)에 단턱 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311a)를 통해 부산물을 균일하게 건조투입부(320b)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가이드부(311a) 각각에는 측정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모듈은, 각 가이드부가 전달하는 부산물의 함수율(즉,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각 가이드부(311a)의 양단에는 전극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311a)의 단턱 형상으로 인해 각 가이드부(311a)에는 부산물이 적층될 수 있다. 즉, 양 전극 사이에 부산물이 적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층된 부산물의 함수율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부산물의 경우, 전기저항이 증가할수록 수분의 함량이 적을 수 있다. 즉, 측정 모듈은 전기저항법을 활용하여 각 가이드부(311a)를 통해 전달되는 부산물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부(320)는 측정 모듈을 통해 측정된 부산물에 대한 함수율에 기초하여 건조 및 살균 처리 환경을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건조제어부는 전달부(310)에서 측정된 부산물의 함수율에 기초하여 열풍공급부(323), 광공급부(322) 및 플라즈마 공급부(325)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달되는 부산물의 함수율이 높은 경우, 보다 고온의 열풍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달되는 부산물의 함수율이 비교적 낮은 경우, 건조제어부는 건조 및 살균 처리 시간을 적게 산출할 수 있다.
즉, 건조제어부는 전달부(310)에서 측정된 부산물의 함수율에 따라, 부산물을 건조시킬 최적의 건조 및 살균 처리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산물의 수분 함량에 따라 건조 및 살균 처리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 공정 방법은, 건조 처리된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는 분쇄 장치(4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분쇄 장치(400)를 활용하여 탈수 처리된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분쇄 장치(400)는 밀링 커터를 통해 탈수 처리된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며 팬 블로잉을 통해 분쇄된 부산물을 적어도 둘 이상의 카테고리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분쇄 장치(40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산물이 투입되는 분쇄투입부(410), 투입된 부산물에 대한 분쇄를 수행하는 분쇄부(420) 및 분쇄된 부산물을 배출하는 분쇄배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투입부(410)는 일정한 투입량을 통해 부산물을 분쇄부(42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분쇄부(420)를 통해 부산물을 분쇄시키는 과정에서 부산물의 투입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분쇄가 고르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분쇄부(420)로 부산물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부산물이 일정한 투입량을 갖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분쇄투입부(410)에 구비하여, 부산물의 분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쇄투입부(4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산물을 수용하는 부산물저장부(411), 분쇄부(420)와 연결되는 부산물공급관(412), 부산물공급관(412) 내부에 구비되며 스크류 형상을 갖는 회전공급부(413), 회전공급부(413)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분쇄구동부 및 분쇄구동부를 제어하는 분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공급부(413)는 부산물공급관(412) 내부에 구비되며 스크류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공급부(413)는 나사선으로 감겨진 형상을 통해 구비되며, 부산물공급관(412) 내부 직경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공급부(413)와 부산물공급관(412) 사이에 일 공간(예컨대, 부산물 전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산물 전달 공간은 회전공급부(4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부 방향으로 오목한 영역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공급부(413)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회전공급부(413)는 분쇄구동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회전공급부(413)가 회전되는 경우, 상부 방향에 위치한 부산물저장부(411)에 저장된 부산물이 회전공급부(413)와 부산물공급관(412) 사이 일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지속적인 회전공급부(413)의 회전 시, 일 공간에 위치한 부산물이 하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의해 회전공급부(413)의 회전 수에 기초하여 분쇄부(420)로 전달되는 부산물의 양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쇄제어부는 분쇄구동부를 통해 회전공급부(413)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분쇄부(420)로 전달되는 부산물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분쇄제어부는 회전공급부(413)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분쇄부(420)로 전달되는 부산물의 양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쇄부(420)로 투입되는 부산물의 투입량이 일정해질 수 있다. 부산물의 투입량이 일정하게 제어되는 경우, 분쇄가 고르게 수행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쇄 장치(400)는 분리된 부산물과 이물질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 장치(400)는 분쇄부(420)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밀링커터를 통해 부산물에 대한 분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밀링커터(421)는 코팅액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부산물의 경우, 겉껍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분쇄 과정에서 쉽게 마모됨에 따라 칼날의 소모가 빠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밀링커터(421)는 코팅액을 활용한 코팅이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밀링커터(421)의 표면에는 철 코팅액을 활용한 코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을 통해 분쇄 과정에서 밀링커터(421)의 마모가 줄어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부(420)는 분쇄된 부산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은 밀링커터(421)의 하부 방향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밀링커터(421)를 통해 분쇄된 부산물을 일시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분쇄부는 지지판에 수용된 부산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무게 감지 모듈은 지지판에 구비되어 지지판이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부산물(즉, 분쇄된 부산물)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무게 감지 모듈을 통해 지지판에 수용된 부산물에 대한 무게가 감지된 이후, 지지판에 수용된 부산물은 하부 방향(즉, 분쇄배출부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배출부(430)는 무게 감지 모듈로부터 측정된 무게에 기초하여 분쇄된 부산물을 적어도 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분쇄된 부산물이 서로 상이한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경우, 서로 상이하게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테고리로 분류된 부산물은 베이킹용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제1카테고리로 분류된 부산물은 튀김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하는 활용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된 부산물 각각은 복수의 분쇄 배출부 각각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쇄배출부는, 제1카테고리에 관련한 부산물을 배출하는 제1분쇄배출구(432) 및 제2카테고리에 관련한 부산물을 배출하는 제2분쇄배출구(43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 장치(400)는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팬 블로잉(fan blowing)을 통해 분쇄된 부산물을 적어도 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쇄 장치(400)의 밀링커터(421)에 의해 분쇄된 부산물은, 밀링커터(421)와 분쇄배출부(430) 사이에 구비된 지지판에 일시적으로 지지되어, 무게 감지 모듈에 의해 무게가 감지될 수 있으며, 무게가 감지된 부산물은 분쇄배출부(43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쇄배출부(43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431)를 통해 일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바람을 통해 분쇄된 부산물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실시예에서, 블로워는 무게 감지 모듈로부터 측정된 부산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바람의 세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쇄 장치(400)는 분쇄된 부산물의 전체 중량을 파악하고, 바람의 세기를 조정하여 바람을 통해 날라가는 거리에 따라 부산물을 적어도 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일 곱게 갈린 부산물은 블로워(431)가 발생시킨 바람에 의해 가장 멀리 이동되어 제2분쇄배출구(433)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비교적 굵게 분쇄된 부산물은 바람에 의한 이동거리가 비교적 적어 제1분쇄배출구(43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배출구(432)와 제2분쇄배출구(433) 사이에는 굴곡부(434)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굴곡부(434)는 중심부의 높이가 가장 높을 수 있으며, 양 배출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굴곡부(434)는 양 배출부에 근접할수록 내리막에 관련한 기울기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양 배출부 사이에 존재하는 굴곡부(434)의 경사를 통해 분쇄된 부산물이 제1분쇄배출구(432) 및 제2분쇄배출구(433)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굴곡부(434)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양 배출부 사이에 분쇄된 부산물이 적층되게 되며, 적층된 부산물에 의해, 제2분쇄배출구(433)를 통한 부산물의 배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 즉, 굴곡부(434)는 양 배출부 사이에 잔여하게 되는 부산물(즉, 분쇄된 부산물)이 최소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2분쇄배출구(433)를 통해 배출된 부산물은, 입자가 잘게 분쇄된 것이므로, 베이킹용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제1분쇄배출구(432)를 통해 배출된 부산물은 비교적 입자가 굵게 분쇄된 것이므로, 튀김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분쇄 장치(4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된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분쇄배출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구분 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 장치(400)는 제1분쇄배출구(432) 및 제2분쇄배출구(433) 각각을 통해 배출되는 부산물의 양을 감지하고, 이에 기반하여 블로워(4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분쇄배출구(432) 및 제2분쇄배출구(433) 각각에 대응하여 배출량 감지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량 감지 모듈은, 분쇄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부산물의 양을 산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배출된 부산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1분쇄배출구(432)의 하부 영역에는 제1배출량 감지 모듈이 구비되며, 제2분쇄배출구(433)의 하부 영역에는 제2배출량 감지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분쇄 장치(400)는 제1배출량 감지 모듈 및 제2배출량 감지 모듈을 통해 각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부산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분쇄 장치(400)는 각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부산물의 양 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블로워(431)를 제어하여 양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부산물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배출량 감지 모듈을 통해 각 분쇄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부산물의 비율이 1:9임을 감지한 경우(즉, 제1배출구를 통해 10%의 부산물이 배출되며, 제2분쇄배출구를 통해 90%의 부산물이 배출되는 경우), 분쇄 장치(400)는 제1분쇄배출구(432)를 통해 배출되는 부산물의 양이 제2분쇄배출구(433)를 통해 배출되는 부산물의 양 보다 현저히 많은 것을 식별하여, 바람의 세기가 강해지도록 블로워(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이 세기가 강해짐에 따라, 제2분쇄배출구(433)를 통해 배출되는 부산물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즉, 분쇄 장치(400)는 복수의 분쇄배출구 각각으로 배출되는 부산물의 양을 식별하여 블로워를 제어함으로써, 양 배출구 즉, 상이한 카테고리로의 부산물의 배출이 균등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 공정 방법은, 부산물에 대한 검사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사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이물 균 관리 장치(500)를 활용하여 분쇄 처리된 부산물에 대한 이물질 및 균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물 균 관리 장치(500)를 활용하여 부산물에 대한 검사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레일부(520)를 통해 부산물(예컨대, 분쇄된 부산물)을 일 방향(예컨대, 분쇄 장치 방향)에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해당 부산물의 이동과 관련하여 부산물이 업사이클링의 원료로써 적합한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적정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분쇄 이후, 부산물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부산물에 관련한 부산물 이미지를 획득하고, 해당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검사 처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검사 처리 정보는, 부산물이 업사이클링 원료로써 적정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로, 예를 들어, 부산물에 대한 미생물 또는 이물질의 포함 정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영상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부산물 영상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분쇄 처리된 부산물에 대한 검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부산물에 대한 영상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부산물에 대한 검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부산물에 관련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통해 부산물(예컨대, 분쇄된 부산물)에 이물질 또는 균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 장치(4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영상 획득부를 통해 부산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에 기초하여 부산물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부(510) 및 검사부(510)로 부산물을 이동시키는 검사레일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검사부(510)는 하나 이상의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11)는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11)에 표시된 영상을 통해 검사레일부(520)를 통해 이동되는 부산물에 이물 및 균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511)는 시각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51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이물 균 관리 장치(5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물 균 관리 장치(5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영상 획득부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x-ray 이미지를 획득하는 x-ray 영상 획득부(512-1) 및 초분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초분광 영상 획득부(512-2)를 포함할 수 있다. x-ray 영상의 경우, 부산물의 내부 구조를 투과하여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초분광 영상의 경우, 미생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x-ray 영상 획득부(512-1) 및 초분광 영상 획득부(512-2)를 활용하여 입체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부산물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 이물 및/또는 균(또는 미생물)에 대한 검사 또는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부산물에 대한 이물 균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레일부(520)는 부산물에 자외선(UV)을 공급하는 자외선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레일부(520)는 상부면에 위치한 부산물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획득부는 부산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영상 획득부는 자외선 광이 조사된 부산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검사부(510)는 획득된 부산물 영상에서 부산물에 포함된 복수의 곡물 이미지 각각의 크기 및 형상에 기초하여 부산물에 대한 이물질 및 균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부산물에는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예를 들어, 겉껍질, 유리, 먼지, 금속성 이물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이물질은 부산물에 포함된 곡물 이미지와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검사부(510)는 획득된 부산물 영상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곡물 이미지와 상이한 크기 및 상이한 형상을 갖는 이물질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검사부(510)는 UV 조사를 통한 분광법을 이용하여 단위 면적당 존재하는 미생물의 수를 확인하여 균 발생 여부에 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검사부(510)는 검사레일부(520)를 통해 부산물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균 또는 이물질이 식별되는 경우, 이물질 또는 균이 식별된 영역에 기초하여 제외 영역을 결정하고, 이를 흡입부로 전송하여 해당 제외 영역에 대응하는 부산물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검사부(510)는 영상 획득부를 통해 자외선이 조사된 부산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물질 및 균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레일부(520)는 부산불에 근적외선을 공급하는 근적외선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근적외선 공급부는, NIR LED(near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특수 조명 또는 할로겐 램프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근적외선 공급부는 검사부(510)로 하여금 부산물에서 이물질을 식별하는데 있어, 검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레일부(520)는 상부면에 위치한 부산물에 근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획득부는 근적외선이 조사된 부산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검사부(510)는 획득된 부산물 영상에서 부산물의 색상 및 명암에 기초하여 부산물에 대한 이물질 및 균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시광 조명에서는 부산물과 이물질의 색상 또는 명암이 같아 비슷하지만, 근적외선 조명에서는 수분 흡수율에 의해 색상 또는 명암이 상이해질 수 있다. 즉,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근적외선 광을 조사함으로써, 색상 및 명암을 통해 부산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검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부산물에 대한 함수율에 기반하여 이물질 및 균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레일부(520)는 부산물에 대한 함수율을 측정하는 수분 측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분 측정 모듈은 영상 획득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부산물에 근적외선을 조사한 상태에서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부산물 영상을 분석하여 수분이 함량된 정도를 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수분 측정 모듈은, 수분 함량에 따라 달라지는 곡물의 색상에 기초하여 함수율을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함수율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이물질 및 균에 관련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부산물(예컨대, 분쇄된 부산물)에 열을 인가하는 히팅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분쇄된 부산물에 대한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열화상 영상 획득부(5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팅부(521)는 검사레일부(520)의 일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히팅부(521)가 구비되는 일 위치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화상 영상 획득부(513-3)의 하부 방향일 수 있다.
검사부(510)는 열화상 영상에서 히팅부(521)를 통해 부산물에 가해진 열이 빠져나가는 속도를 관측하고, 관측한 열이 빠져나가는 속도에 기반하여 부산물에 대한 이물질 및 균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산물은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 및 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물질, 정상적인 곡식 및 균이 발생한 곡식 각각은, 히팅부(521)를 통해 순간적으로 고온의 열이 가해지는 경우, 상이한 열 특성을 보일 수 있다. 곡식 마다 머금고 있는 습기에 따라 상이한 열 특성을 보일 수 있다. 즉, 부산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들의 종류 및 상태 별로 열을 머금는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재료 별로 상이한 열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활용하여 이물질 및 균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정상적인 부산물의 경우, 순간적으로 열이 가해진 후, 가해진 열이 빠져나가는 시간까지 1초가 걸릴 수 있다. 반면, 이물질(예를 들어, 겉껍질)의 경우, 순간적으로 열이 가해진 후, 가해진 열이 빠져나가는 시간까지 5초가 걸릴 수 있다. 열이 빠져나가는 속도는, 열화상 영상에서의 색을 통해 식별될 수 있다. 예컨대, 열이 가해지는 경우, 열화상 영상 상에 붉게 표시되며, 열이 빠져나감에 따라 붉은 부분은 파랗게 변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검사부(510)는 열화상 영상을 통해 부산물에 가해진 열이, 빠져나가는 속도를 관측하고, 열이 빠져나가는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이를 이물질 또는 균에 관련한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영역에 관련한 부산물에 열이 빠져나가는 속도가 현저히 느린 경우, 검사부(510)는 해당 영역이 이물질 및 또는 균이 포함된 영역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부산물에 순간적인 열을 공급하는 히팅부(521)와 열이 공급되는 시점에 관련한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열화상 영상 획득부(513-3)를 활용하여 부산물로부터 이물질 및 균을 식별할 수 있다. 이는 머신비전 또는 x-ray를 활용하여 이물 균 검사를 수행하는 것보다 빠른 처리 시간을 가지며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검사부(510)를 통과한 부산물 중 부적합 것으로 판별된 제외 영역에 위치한 부산물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는 검사부(510)가 판별한 제외 영역에 관련한 부산물을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검사부(510)가 검사레일부(520)를 통해 부산물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물 및 균 검사를 통해 이물질 및 균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제외 영역을 선별할 수 있으며, 흡입부를 활용하여 검사레일부(520) 상에 선별된 제외 영역에 위치한 부산물을 흡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부는 제외 영역의 크기에 따라 부산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흡입부는, 제외 영역의 크기에 따라 흡입력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검사부를 통해 선별된 제외 영역의 크기가 클수록 흡입부는 흡입력을 크게 결정할 수 있으며, 제외 영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흡입부는 흡입력을 작게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레일부(520)의 이동 과정에서 검사부(510)를 통해 확인된 부산물에 포함된 이물질 및 균이 모두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 공정 방법은 부산물을 미생물이 증식하지 못하는 환경으로 만들고, 이물질을 식별 및 제거하며,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어 오랜시간 보존이 가능하고, 수분제거에 의한 중량이 감소하여 이송에 원활한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공정 과정을 통해 음식물을 생산함에 따라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잔여 생성물인 맥아 고부가가치의 원료로 업사이클링할 수 있다. 예컨대, 부산물의 업사이클링 공정 결과 대체 밀가루가 획득될 수 있다. 획득된 대체 밀가루는, 면류, 스낵류, 그래놀라, 피자, 생지, 반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됨에 따라 높은 상업적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 공정 방법은, 각 처리 과정에서 획득된 부산물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처리 과정의 동작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부산물 상태 정보는, 부산물의 처리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예를 들어, 부산물의 함수율에 관한 정보, 부산물의 양에 관한 정보, 부산물에 이물질 또는 균 포함 정도에 관한 정보, 부산물의 무게에 관한 정보, 부산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 또는 부산물에 포함된 곡식(또는 공식 알갱이)의 크기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 분쇄 및 검사 각각에서 획득되는 부산물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피드백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피드백 정보는, 이전 처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피드백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건조 처리 과정에서 부산물의 함수율이 측정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탈수 처리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건조 장치(300)의 전달부(310)에 구비된 측정 모듈을 통해 부산물(즉, 탈수 처리된 부산물)의 함수율이 측정될 수 있으며, 측정된 함수율에 기초하여 피드백 정보(예컨대, 탈수 피드백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장치(300)에서 측정된 함수율이 기 설정된 1차 임계 함수율을 초과하는 경우, 건조 장치(300)는 탈수 장치(200)의 탈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탈수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 장치(300)가 생성하는 피드백 정보는, 예컨대, 탈수 장치(200)로 하여금 탈수 시간을 길게 가져가거나 또는 탈수를 위한 회전 스크류(230)의 회전 수 또는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는 등에 관련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 처리 과정에서 부산물의 함수율이 측정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건조 처리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쇄 장치(400)의 부산물저장부(411)에는 함수율 측정을 위한 함수율 측정 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함수율 측정 모듈을 통해 건조 장치(300)로부터 전달받은 부산물의 함수율이 측정될 수 있다. 분쇄 장치(400)는 함수율 측정 모듈로부터 측정된 함수율에 기초하여 피드백 정보(예컨대, 건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 장치(400)에서 측정된 함수율이 기 설정된 2차 임계 함수율을 초과하는 경우, 분쇄 장치(400)는 건조 장치(300)의 건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건조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2차 임계 함수율은, 기 설정된 1차 임계 함수율 보다 작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분쇄 장치(400)가 생성하는 피드백 정보는, 예컨대, 건조 장치(300)로 하여금 건조 시간을 길게 가져가거나 또는 열풍의 세기를 향상시키는 등에 관련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물 균 관리를 위한 검사 처리 과정에서 부산물에 대한 영상 획득부를 통해 부산물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으며, 부산물 이미지를 통해 부산물에 포함된 복수의 곡물 각각의 크기가 식별될 수 있다.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식별된 곡물의 크기에 기초하여 분쇄 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예컨대, 분쇄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곡물의 크기가 기 설정된 임계 크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분쇄 장치(400)의 분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분쇄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곡물의 크기가 기 설정된 임계 크기 범위의 최소값 보다 작은 경우, 부산물의 분쇄력을 작게 설정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곡물의 크기가 기 설정된 임계 크기 범위의 최대값 보다 큰 경우, 부산물의 분쇄력을 크게 설정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쇄력은 밀링커터(421)의 회전 속도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즉, 이물 균 관리 장치(500)를 통해 생성되는 피드백 정보는 밀링커터(421)의 회전 속도를 상이하게 결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물 균 관리 장치(500)는 획득된 부산물 이미지를 통해 부산물에 포함된 곡식들의 크기를 식별하고, 곡식의 크기에 따라 분쇄 장치(400)의 분쇄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 공정 방법은, 각 처리 과정(예컨대, 세척 처리, 탈수 처리, 건조 처리, 분쇄 처리, 검사 처리)에서 획득된 부산물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처리 과정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처리 과정에서의 피드백 정보를 통해 업사이클링 공정이 최적화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나아가, 부산물이 업사이클링됨에 따라 생성되는 원료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업사이클링 공정 시스템 100: 세척장치
110: 분사부 120: 세척하우징
120a: 수용공간 130: 회전부
131: 회전축 132: 회전판
132a: 돌출부 133: 회전구동부
140: 배출홀 200: 탈수장치
210: 탈수투입부 220: 탈수하우징
230: 회전 스크류 240: 탈수구동부
250: 배수부 260: 지지부
300: 건조장치 310: 전달부
311: 전달레일부 311a: 가이드부
320: 건조부 320a: 건조하우징
320b: 건조투입부 320c: 건조배출부
321: 건조레일부 321a: 건조히팅부
321b: 스크래퍼 322: 광공급부
322a: 제1광공급부 323b: 제2광공급부
323: 열풍공급부 323a: 세라믹판
323a-1: 복수의 미세홀 324: 기체순환부
325: 플라즈마 공급부 326: 카메라 모듈
327: 효소제공부 328: 스팀부
329: 필터부 400: 분쇄 장치
410: 분쇄투입구 411: 부산물저장부
412: 부산물공급관 413: 회전공급부
420: 분쇄부 421: 밀링커터
430: 분쇄배출부 431: 블로워
432: 제1분쇄배출구 433: 제2분쇄배출구
434: 굴곡부 500: 이물 균 관리 장치
510: 검사부 511: 디스플레이
512-1: x-ray 영상 획득부 512-2: 초분광 영상 획득부
512-3: 열화상 영상 획득부 520: 검사레일부
521: 히팅부 600: 이송장치

Claims (10)

  1. 부산물이 투입되는 분쇄투입부;
    상기 분쇄투입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투입부로부터 전달된 부산물을 분쇄시키는 분쇄부; 및
    분쇄된 부산물을 배출하는 분쇄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는,
    분쇄된 부산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수용된 부산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분쇄배출부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블로워;
    분쇄된 부산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분쇄배출구; 및
    상기 복수의 분쇄배출구 사이에 구비되는 경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 감지 모듈로부터 측정된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분쇄된 부산물을 적어도 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된 부산물 각각은, 상기 복수의 분쇄배출구 각각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투입부는,
    일정한 투입량을 통해 부산물을 상기 분쇄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투입부는,
    상기 부산물을 수용하는 부산물저장부;
    상기 부산물저장부와 상기 분쇄부를 연결하는 부산물공급관;
    상기 부산물공급관 내부에 구비되며 스크류 형상을 갖는 회전공급부;
    상기 회전공급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분쇄구동부; 및
    상기 분쇄구동부를 제어하는 분쇄제어부;
    를 포함하는,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제어부는,
    상기 분쇄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공급부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분쇄부로 전달되는 부산물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복수 개의 밀링커터를 통해 부산물에 대한 분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밀링커터는,
    코팅액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부산물은, 서로 상이한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경우, 서로 상이하게 활용되는,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는,
    상기 무게 감지 모듈로부터 측정된 무게에 기초하여 바람의 세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KR1020220077617A 2021-06-25 2022-06-24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KR102472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935 2021-06-25
KR20210082935 2021-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797B1 true KR102472797B1 (ko) 2022-12-02

Family

ID=844132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617A KR102472797B1 (ko) 2021-06-25 2022-06-24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KR1020220077623A KR20230001537A (ko) 2021-06-25 2022-06-24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623A KR20230001537A (ko) 2021-06-25 2022-06-24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27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612A (ja) * 1998-06-23 2000-01-11 Nec Corp 基板表面に実装された部品の分離装置および分離方法
JP2004238544A (ja) * 2003-02-07 2004-08-26 Toshiba Corp 廃プラスチック処理装置
KR100826139B1 (ko) * 2007-01-26 2008-05-06 이석현 나물 부산물 처리 장치
KR20090130862A (ko) * 2007-03-21 2009-12-24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원통형 커터
KR20190000051A (ko)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이앤알 콜라겐 장섬유를 이용한 업사이클링 가죽시트의 제조방법
KR102109517B1 (ko) * 2020-02-24 2020-05-13 준토탈서비스(주) 페트병 분쇄장치 및 페트병 분쇄장치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612A (ja) * 1998-06-23 2000-01-11 Nec Corp 基板表面に実装された部品の分離装置および分離方法
JP2004238544A (ja) * 2003-02-07 2004-08-26 Toshiba Corp 廃プラスチック処理装置
KR100826139B1 (ko) * 2007-01-26 2008-05-06 이석현 나물 부산물 처리 장치
KR20090130862A (ko) * 2007-03-21 2009-12-24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원통형 커터
KR20190000051A (ko)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이앤알 콜라겐 장섬유를 이용한 업사이클링 가죽시트의 제조방법
KR102109517B1 (ko) * 2020-02-24 2020-05-13 준토탈서비스(주) 페트병 분쇄장치 및 페트병 분쇄장치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537A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8615B2 (en) Domestic appliance having a surface which comprises a photocatalyst
CN106179586B (zh) 一种医用耗材的粉碎装置
CN107201309B (zh) 一种新型等离子体诱变育种装置
CN101732739B (zh) 一种蒸汽灭菌装置
KR20100071381A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472797B1 (ko) 부산물에 대한 분쇄 처리를 수행하는 분쇄 장치
KR102472796B1 (ko) 부산물에 대한 업사이클링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KR102472798B1 (ko) 부산물에 대한 검사 처리를 수행하는 이물 균 관리 장치
KR102487593B1 (ko) 부산물에 대한 건조 처리를 수행하는 건조 장치
KR101322303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종량제 수거 및 자원화 장치
CN106431535A (zh) 工厂化病死畜禽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768887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 시스템
KR101298665B1 (ko) 종량 기능이 내장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 처리 장치
KR20100107886A (ko) 삼차원 복합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KR100964081B1 (ko) 양어 사료용 발효장치
CN101732738B (zh) 一种藏药原生药蒸汽灭菌装置
KR102331037B1 (ko) 퇴비제조장치 및 방법
CN104307009A (zh) 一种中药粉的动态臭氧灭菌机
CN205695449U (zh) 一种微波杀菌机
AU2017408990B2 (en) Apparatus for treating mixed waste and method thereof
CN109010861B (zh) 一种粉状物料蒸汽灭菌系统
KR101880698B1 (ko) 음식물류 폐기물의 종량제 수거 및 자원화 장치
CN110270575A (zh) 一种禽畜无害化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102623935B1 (ko) 비접촉 고온 고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기 장치
KR102277104B1 (ko) 패각 분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