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695B1 -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695B1
KR102472695B1 KR1020210121957A KR20210121957A KR102472695B1 KR 102472695 B1 KR102472695 B1 KR 102472695B1 KR 1020210121957 A KR1020210121957 A KR 1020210121957A KR 20210121957 A KR20210121957 A KR 20210121957A KR 102472695 B1 KR102472695 B1 KR 102472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all
window assembly
variable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필
Original Assignee
(유)유정큐비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유정큐비클 filed Critical (유)유정큐비클
Priority to KR1020210121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5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E06B3/507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 horizontal sliding wings having the possibility of an additional rotation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2015/58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with stationary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벽체에 설치되되, 창호의 각도와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로서, 중공홀이 마련되는 벽체; 상기 벽체의 중공홀에 설치되며, 벽체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마련되는 회전 부재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 반경에 구비되어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각도가 변형되며, 창틀을 이루는 창호 프레임 및 상기 창호 프레임에 설치되어, 창호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하거나 또는 창호 프레임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개폐되는 창문을 포함하여, 창문이 개폐되는 동작을 가이드 하는 창틀의 형태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사용이 용이하며 심미성을 가진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Adjustable Window Assembly}
본 발명은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창틀의 형상 변형이 가능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이 개폐되는 동작을 가이드 하는 창틀의 형태와 각도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사용이 용이하며 심미성을 가진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를 비롯한 오피스텔과 콘도미니엄 그리고 별장이나 사무실로 사용하기 위하여 건축물을 구입하는 수요자들은 실내 인테리어에 관하여 안목과 수준이 전문 건축업자나 전문 실내인테리어 업자들이 놀랄 정도로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다.
심지어, 어떤 수요자들의 경우는 자신의 취향이나 분위기에 맞도록 설계한 인테리어를 주문하는 시대에 와 있으므로, 건축업자를 비롯한 실내 인테리어 업자들은 위와 같이 수준 높은 수요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건축물과 실내인테리어 개발에 많은 투자와 노력을 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요자들이 건축물을 구입할 때 선택 결정 과정은 건축물의 내부 구조와 편의시설을 체크하며, 특히,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실내의 인테리어에 따라서 구입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인테리어 장식 제품들 중에는 고급아파트를 비롯한 오피스텔에 실내 인테리어 장식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조명 환경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더욱이, 채광을 이용한 인테리어 방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건축회사들은 채광을 이용한 창호를 건물의 벽체에 설치하여 분위기 있는 실내 무드를 조성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편안한 휴식 공간으로 느끼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건축물의 창문은, 단순히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되며, 획일화된 형태를 취함으로 인해 그의 형태가 단순한 문제가 있었으며, 더욱이, 벽체에 설치되는 창문의 경우, 창문이 설치되는 설치 위치에 따라 천장 또는 바닥에서 반사되어 실내를 밝히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간접 조명을 위해, 천장이나 벽에 설치되는 종래의 창문으로는 실내로의 채광 환경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창문의 형태를 달리하고자 할 경우, 창문에 구비된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 매입 설치된 창호 프레임을 강제로 분리 후 벽체의 구조를 변경한 후, 창문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건물의 벽체에 영구적인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창문이 개폐되는 동작을 가이드 하는 창틀의 형태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사용이 용이하며 심미성을 가진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벽체에 설치되되, 창호의 각도와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로서, 중공홀이 마련되는 벽체; 상기 벽체의 중공홀에 설치되며, 벽체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마련되는 회전 부재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 반경에 구비되어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각도가 변형되며, 창틀을 이루는 창호 프레임 및 상기 창호 프레임에 설치되어, 창호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하거나 또는 창호 프레임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개폐되는 창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창호 프레임의 방향으로 인장 또는 복귀되도록 마련되어, 창호 프레임의 외면을 투과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창틀을 이루는 창호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 배열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간격 사이에는, 지지대를 축으로 회동하여, 지지대의 간격 사이에서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창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상기 벽체와 회전 플레이트간의 고정력을 형성하며,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돌풍을 우회시켜 상기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고정력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력 형성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서 벽체의 방향으로 점차 넓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단면의 형상이 상협하광의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는, 벽체에 매립됨으로써 벽체와 고정부재간의 고정력을 형성하는 고정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테두리에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외부의 방향으로 전개됨으로써, 우천 또는 강설시 창문에 빗물 또는 눈이 적층되어 발생되는 피해를 방지하는 악천후 피해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악천후 피해 방지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외부의 방향으로 전개되는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 상기 악천후 피해 방재부재의 종단에 구비되는 무게추 및 상기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 또는 무게추와 연계되어,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의 전개와 복귀를 제어하는 피해방지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상기 벽체에 설치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를 벽체에서 축 회전시킴으로써 개폐시키는 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벽체의 중공홀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개방부재 및 상기 개방부재의 상단과 하단, 또는, 우측과 좌측에서 형성되어, 벽체에 고정되는 개방핀을 포함하여, 상기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가 개방핀을 기준으로 축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창문이 개폐되는 동작을 가이드 하는 창틀의 형태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사용이 용이하며 심미성을 가진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회전 플레이트에는, 지지대와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창문이 더 마련됨으로써, 보다 수월한 환기와 가변적인 운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돌풍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운용시 수명이 연장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우천 또는 강설 상황에서, 창문에 쌓이는 눈과 빗물을 차단하는 악천후 피해 방지부를 이용해, 창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자체를 벽체에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2 는 회전플레이트가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분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이 구비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와 보조 창문이 구비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7 은 보조 창문이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력 형성부가 마련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측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천후 피해 방지부가 더 구비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11 은 악천후 피해 방지부가 전개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12 의 (a) 및 (b) 는 악천후 피해 방지부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방부가 구비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14 는 개방부에 의해 회전하는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15 는 도 13 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15 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예시도이고, 도 2 는 회전플레이트가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분해도이고, 도 4 는 도 1 의 측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이 구비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는, 창호가 설치될 수 있는 벽체(10)에 설치되되, 창호의 각도와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로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 플레이트(100), 창호 프레임(200) 및 창문(3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수직의 상태로 세워지는 벽체(10)에 구비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수평의 상태로 형성되는 천장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의 심미성(審美性)을 높이기 위한 일형태일 뿐, 창호 어셈블리의 각도와 형태를 변형시키고자 하는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체적인 형상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다각형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방사 형태인 별모양과 같이,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의 설명을 이어나가도록 한다.
먼저, 상기 벽체(10)에는,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가 설치되기 위한 중공홀(1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는, 벽체(10)에 마련되는 중공홀(11)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와 중공홀(11)간의 사이에는, 회전부재(1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플레이트(100)는, 벽체(10)의 중공홀(11)에 마련되는 회전 부재(11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부재(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Bearing)과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이용한 회전 부재(110)일 수 있으나,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원격 회전 플레이트(1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전동 회전 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는, 빛이 투과되는 유리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반투명한 합성 플라스틱 또는 나무 및 스틸과 같은 비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가 유리로 형성될 경우, 이후 서술될 창호 프레임(200)과 창문(300)의 하중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한 강도에도 크랙(Crack)이 발생되지 않는 강화 유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가 유리와 같이 투과성을 가지는 소재로 마련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 또는 벽체 마련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이후 서술될 창호 프레임(200)의 방향으로 인장 또는 복귀되도록 마련되어, 회전 플레이트(100)의 외면을 투과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막(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양막(11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100)에 마련되는 차양막 고정부(115a)에 의해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100)의 소정 위치에서 전개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양막(115)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확장 또는 축소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차양막(115)은, 회전 플레이트(100)에서 전개 또는 축소가 가능한 플랙시블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이후 서술될 창호 프레임(200)의 테두리에는, 차양막(115)이 전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양막 고정홀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200)은, 이후 서술될 창문(300)이 마련된 창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200)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의 중심 반경에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 플레이트(100)의 회전에 의해 각도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200)에는, 이후 서술될 창문(300)이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출입하는 벌레를 차단하기 위한 방충망(防蟲網)이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방충망은, 이후 서술될 창문(300)과 마찬가지로, 창호 프레임(200)에서 슬라이딩하거나 회동하는 방식으로 전개 또는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문(300)은, 상기 창호 프레임(2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사각창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창문(300)의 형상은,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형상일 뿐,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타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창문(300)은, 창호 프레임(200)을 따라 슬라이딩 하거나 또는 창호 프레임(20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개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창문(300)이 창호 프레임(200)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될 경우, 상기 창호 프레임(200)에는, 중공형의 바 형상으로 일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창문(300)이 맞물려 슬라이딩 할 수 있는 슬라이딩 홈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창문(300)이 창호 프레임(30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창호 프레임(200)과 창문(300)의 모서리에는, 힌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문(300)에는, 창호 프레임(200) 또는 맞닿아 있는 창문(300)에 결속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건장치(施鍵裝置)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는, 창문(300)이 개폐되는 동작을 가이드 하는 창틀인 창호 프레임(200)의 형태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사용이 용이하며 심미성을 가진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와 보조 창문이 구비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며, 도 7 은 보조 창문이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판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는, 상기 창틀을 이루는 창호 프레임(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플레이트(100)의 원주(圓周)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 배열되는 지지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120)는, 보강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강한 강성과 강도를 가지는 스틸(Steel)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회전 플레이트(100)의 무게가 지나치게 상승함으로 인해, 회전 플레이트(100)가 유리의 소재로 형성될 경우 무게를 버티지 못하고 하중에 의해 깨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강도와 무게를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20)가 배열되는 회전 플레이트(100)의 간격 사이에는, 보조 창문(1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창문(130)은, 투명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며, 지지대(120)를 기준으로 회동 또는 지지대(120)에서 탈부착되도록 마련되어, 지지대(120)의 간격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창문(130)은, 부채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의 회전 플레이트(100)에는, 지지대(120)와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창문(130)이 더 마련됨으로써, 보다 수월한 환기와 가변적인 운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력 형성부가 마련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도 8 의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플레이트(100)가 설치되는 벽체(10)와 회전 플레이트(100)의 결합부, 즉, 중공홀(11)에는, 상기 벽체(10)와 회전 플레이트(100)간의 고정력을 형성하며,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돌풍에 의해 결합부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고정력 형성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력 형성부(400)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에서 벽체(10)의 방향으로 점차 넓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단면의 형상이 상협하광(上陜下廣)의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경사를 가진 고정부재(410)로 인하여, 상기 창문(300)의 표면은 벽체(10)의 외측 표면보다 소정 깊이 함몰된 형태를 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벽체(1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돌풍 또는 빗물에 의해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10)의 상방에는, 회전 부재(11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411)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10)의 하방에는, 벽체(10)에 매립됨으로써 벽체(10)와 고정부재(410)간의 고정력을 형성하는 고정돌기(412)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돌기(412)는, 건축물의 벽면을 세우기 위해 사용되는 시멘트에 매립되어 양생되어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벽체(1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412)의 단부는, 벽체(10)와 보다 강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벽체(10)와 맞닿는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특정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는,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10)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돌풍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운용시 수명이 연장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천후 피해 방지부가 더 구비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예시도이고, 도 11 은 악천후 피해 방지부가 전개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며, 도 12 의 (a) 및 (b) 는 악천후 피해 방지부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는, 상기 창호 프레임(200)의 테두리에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 외부의 방향으로 확장됨으로써, 우천(雨天) 또는 강설(降雪)시 창문에 발생되는 피해를 방지하는 악천후(惡天候) 피해 방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악천후 피해 방지부(500)는, 당업자의 이해를 위해 창호 프레임(200)의 상단과 하단에서만 전개되는 형태를 표현하였으나, 상기 악천후 피해 방지부(500)는, 창호 프레임(200)이 수직한 상태로 변형될 경우에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창호 프레임(200)의 양 측방에 마련되어 전개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악천후 피해 방지부(500)는,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510), 무게추(520) 및 피해방지 조절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510)는, 상기 창호 프레임(200)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외부의 방향으로 전개되는 면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520)는, 상기 악천후 피해 방재부재(510)의 종단에서,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해방지 조절부(530)는, 상기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510) 또는 무게추(520)와 연계되어,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510)의 전개와 복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다른 형태로써, 상기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510)는, 상기 창호 프레임(200)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플랙시블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510)가 플랙시블한 소재로 형성될 경우, 상기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510)는, 확장시 창문(300)의 방향으로 가장 긴 밑변을 가지는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520)는, 상기 악천후 피해 방재부재(5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520)는,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510)의 확장 시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510)가 직각삼각형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게추(520)는,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마련되는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510)의 가장 긴 밑변 위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되는 프레임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510)의 형상은, 창호 프레임(200)의 상단에서 처마의 형태를 이루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형상일 뿐,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빗물과 눈을 차단할 수 있는 형상과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는, 우천 또는 강설 상황에서, 창문(300)에 쌓이는 눈과 빗물을 차단하는 악천후 피해 방지부(500)를 이용해, 창문(3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방부가 구비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며, 도 14 는 개방부에 의해 회전하는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작동예시도이고, 도 15 는 도 13 의 측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가 설치되는 벽체(10)와 회전 플레이트(100)의 결합부, 즉, 중공홀(11)에 마련되어, 상기 벽체(10)에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100)를 벽체(10)에서 축 회전시킴으로써 개폐시키는 개방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600)는, 회전 플레이트(100)에 마련되는 개방부재(610) 및 개방핀(6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방부재(610)는, 상기 벽체(10)의 중공홀(11)에 설치되는 회전부재(110)의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핀(620)은, 상기 개방부재(610)의 상단과 하단, 또는, 우측과 좌측에서 형성되어, 벽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는, 개방부재(610)에 마련되는 개방핀(620)을 기준으로 축 회전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방부(600)의 또다른 구성으로는, 벽체(10)에 마련되는 제 1 개방부재, 벽체(10)와 회전 플레이트(100)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개방부재 및 체결부재의 구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개방부재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가 설치되는 벽체(10)의 테두리의 사방(四方)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개방부재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100)의 테두리 사방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개방부재와 제 2 개방부재의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는,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 자체를 벽체(10)에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1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10 : 벽체 11 : 중공홀
100 : 회전 플레이트 110 : 회전 부재
115 : 차양막 120 : 지지대
130 : 보조 창문 200 : 창호 프레임
300 : 창문 400 : 고정력 형성부
410 : 고정부재 411 : 안착홈
412 : 고정돌기 500 : 악천후 피해 방지부
510 :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 520 : 무게추
530 : 피해방지 조절부 600 : 개방부
610 : 개방부재 620 : 개방핀

Claims (5)

  1. 벽체에 설치되되, 창호의 각도와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로서,
    중공홀이 마련되는 벽체;
    상기 벽체의 중공홀에 설치되며, 벽체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마련되는 회전 부재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 반경에 구비되어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각도가 변형되며, 창틀을 이루는 창호 프레임 및
    상기 창호 프레임에 설치되어, 창호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하거나 또는 창호 프레임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개폐되는 창문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상기 벽체와 회전 플레이트간의 고정력을 형성하며,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돌풍을 우회시켜 상기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고정력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력 형성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서 벽체의 방향으로 점차 넓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단면의 형상이 상협하광의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창틀을 이루는 창호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 배열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간격 사이에는,
    지지대를 축으로 회동하여, 지지대의 간격 사이에서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창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테두리에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외부의 방향으로 전개됨으로써, 우천 또는 강설시 창문에 빗물 또는 눈이 적층되어 발생되는 피해를 방지하는 악천후 피해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악천후 피해 방지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외부의 방향으로 전개되는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
    상기 악천후 피해 방재부재의 종단에 구비되는 무게추 및
    상기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 또는 무게추와 연계되어, 악천후 피해 방지부재의 전개와 복귀를 제어하는 피해방지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는,
    상기 벽체에 설치된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를 벽체에서 축 회전시킴으로써 개폐시키는 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벽체의 중공홀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개방부재 및
    상기 개방부재의 상단과 하단, 또는, 우측과 좌측에서 형성되어, 벽체에 고정되는 개방핀을 포함하여,
    상기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가 개방핀을 기준으로 축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KR1020210121957A 2021-09-13 2021-09-13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KR102472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957A KR102472695B1 (ko) 2021-09-13 2021-09-13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957A KR102472695B1 (ko) 2021-09-13 2021-09-13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695B1 true KR102472695B1 (ko) 2022-11-30

Family

ID=8423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957A KR102472695B1 (ko) 2021-09-13 2021-09-13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6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238B1 (ko) * 1999-01-29 2001-05-15 김종안 2방향개폐가 가능한 회전창문
JP2007063975A (ja) * 2005-08-27 2007-03-15 Tetsuo Kosugi 円形サツシ窓
KR101152697B1 (ko) * 2012-04-05 2012-06-07 (주) 건축사사무소아라그룹 건축물의 자동 환기용 창문
KR20130115824A (ko) * 2012-04-13 2013-10-2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창틀에 설치되는 비가리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238B1 (ko) * 1999-01-29 2001-05-15 김종안 2방향개폐가 가능한 회전창문
JP2007063975A (ja) * 2005-08-27 2007-03-15 Tetsuo Kosugi 円形サツシ窓
KR101152697B1 (ko) * 2012-04-05 2012-06-07 (주) 건축사사무소아라그룹 건축물의 자동 환기용 창문
KR20130115824A (ko) * 2012-04-13 2013-10-2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창틀에 설치되는 비가리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4113B2 (en) Windows accessing more sky
US20100139872A1 (en) Patio cover and storm protection device
KR102184338B1 (ko) 건물 벽체 마감 아트월 조립체
KR102472695B1 (ko) 가변식 창호 어셈블리
KR20170049947A (ko) 창문과 출입문을 갖는 돔하우스
US4180142A (en) Emergency escape openable skylight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Krippner et al. Basics Facade Apertures
KR101097923B1 (ko) 에너지 절감형 기능성 창호
JP2000096877A (ja) オーニング装置
US8683752B1 (en) Modular shelter assembly
KR100622022B1 (ko) 루프형 방음벽 구조
KR100648098B1 (ko) 건축구조물 창문틀 구조
KR20050024504A (ko)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KR102421809B1 (ko) 수평 차양 커튼 시스템
KR102677436B1 (ko) 기밀 및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문
KR200307832Y1 (ko) 안전발코니 겸용 창호시스템
KR102655816B1 (ko)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KR20130081810A (ko) 우드셔터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Hochberg et al. Open I close: windows, doors, gates, loggias, filters
EP3789557B1 (en) Kit for providing a roof light system comprising a roof module, a ceiling module and a shaft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roof light system in a roof
KR20130082259A (ko) 접이식 난간을 이용하는 안전 창호
US20230392381A1 (en) Slat roof for a canopy, kit of parts for assembling the slat roof, canopy comprising the slat roof
KR20180042109A (ko) 암대 기능을 가지는 수직형 접이식 외여닫이 창호
EP3682079B1 (en) Pivoting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