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332B1 - 실내 약품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약품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332B1
KR102472332B1 KR1020200172625A KR20200172625A KR102472332B1 KR 102472332 B1 KR102472332 B1 KR 102472332B1 KR 1020200172625 A KR1020200172625 A KR 1020200172625A KR 20200172625 A KR20200172625 A KR 20200172625A KR 102472332 B1 KR102472332 B1 KR 10247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hemical
venturi tube
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586A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102020017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3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약품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내 약품 분사 장치는, 내부에 설치공간(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은 각기 다른 각도를 갖는 다수 개의 경사판(12)이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되, 케이스(10)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2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설치공간(11)에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모터(20)와; 상기 설치공간(11)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액상의 약품이 저장되어 있는 약품저장탱크(30)와; 각각의 경사판(12)에 설치되어 있되, 경사판(12)을 기준으로 설치공간(11)과 케이스(10)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통로(41)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통로(41) 중간에는 통로(41)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부압형성부(42)가 형성되어 있는 벤츄리관(40)과; 일측은 상기 약품저장탱크(3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측은 각 벤츄리관(40) 내부의 부압형성부(42)까지 연장되어, 부압형성부(42)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약품저장탱크(30) 내부의 약품을 벤츄리관(40)의 통로(41)로 공급하는 약품공급호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분무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벤츄리 유닛을 적용한 분무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안개와 같은 미세한 입자의 살포를 이루어 특정 공간을 조금의 빈틈도 없이 완벽하게 방제를 할 수 있게 되고, 내부에 공기 압축 장치와, 이를 구비하기 위한 동력원 등을 배제함으로써 부피가 가볍고, 소요 전력이 적어 다양한 장소에 운반 및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케이스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사람이 일일히 노즐을 조작하지 않고도 실내에 약품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게 되고,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진공모터와 벤츄리관을 별도로 배관 연결하지 않고, 공기가 흡입되는 구역을 배제한 케이스 내부를 밀폐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벤츄리관의 공기 유입을 위한 별도의 배관 없이, 단순히 약품공급관만 배치하면 되므로, 이중 구조의 배관을 구비할 필요 없이 원할하게 약품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실내 약품 분사 장치{spray apparatus of agent}
본 발명은 실내 약품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벤츄리관과 진공모터를 활용하여 컴프레셔와 같은 설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신속하게 실내에 약품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실내 약품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2년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 발병이 중동지역에서 발생한 이후, 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2015년 5월 20일 국내로 유입돼 약 두 달간 186명을 감염시키고 이 중 38명이 사망했으며 확진자의 접촉자로 분류된 16,693명이 격리되는 등 사회적 혼란을 유발하였다.
더불어,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는 전 세계적으로 전파되었으며, 현재에도 확산세가 진정되지 않고 전세계적으로 전파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바이러스 등을 기원으로 한 전염성이 강한 호흡기 질환의 예방은 기본적으로 접촉을 방지하는 한편, 방역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실내에 약품을 분사하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을 살펴보면, "원격제어 실내 방역 약품 분사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3332호, 특허문헌 1)에는 건축물의 실내에 노즐을 이용하여 약품을 분사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건물 천정에 설치되어 넓은 범위에 약품을 분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방식은 넓은 실내에 약품을 분사하기 위해서는 컴프레셔 등과 같은 고압의 압축공기를 만들어 압축공기가 노즐을 통과함으로써 발생되는 분무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의 천장에 노즐을 설치해야 하는 공사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컴프레셔와 같은 부피가 큰 장비를 구비해야 한다.
이는 지금처럼 급속도로 전세계적으로 전파되는 감염 질환에 대해 대처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부피가 작으면서 넓은 실내에 신속하게 약품의 분사가 가능한 휴대 가능한 약품 분사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배낭형 약품 방역기"(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2615호, 특허문헌 2)에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배낭 형태의 방역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역시 공기압축기를 구비한 것으로, 특허문헌 1과 비교하여 구성요소상의 차이점을 찾아볼 수 없다.
KR 10-2173332 (2020.10.28) KR 10-2020-0012615 (2020.02.0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분무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벤츄리 유닛을 적용한 분무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안개와 같은 미세한 입자의 살포를 이루어 특정 공간을 조금의 빈틈도 없이 완벽하게 방제를 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내부에 공기 압축 장치와, 이를 구비하기 위한 동력원 등을 배제함으로써 부피가 가볍고, 소요 전력이 적어 다양한 장소에 운반 및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케이스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사람이 일일히 노즐을 조작하지 않고도 실내에 약품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진공모터와 벤츄리관을 별도로 배관 연결하지 않고, 공기가 흡입되는 구역을 배제한 케이스 내부를 밀폐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벤츄리관의 공기 유입을 위한 별도의 배관 없이, 단순히 약품공급관만 배치하면 되므로, 이중 구조의 배관을 구비할 필요 없이 원할하게 약품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내 약품 분사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설치공간(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은 각기 다른 각도를 갖는 다수 개의 경사판(12)이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되, 케이스(10)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2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설치공간(11)에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모터(20)와; 상기 설치공간(11)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액상의 약품이 저장되어 있는 약품저장탱크(30)와; 각각의 경사판(12)에 설치되어 있되, 경사판(12)을 기준으로 설치공간(11)과 케이스(10)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통로(41)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통로(41) 중간에는 통로(41)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부압형성부(42)가 형성되어 있는 벤츄리관(40)과; 일측은 상기 약품저장탱크(3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측은 각 벤츄리관(40) 내부의 부압형성부(42)까지 연장되어, 부압형성부(42)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약품저장탱크(30) 내부의 약품을 벤츄리관(40)의 통로(41)로 공급하는 약품공급호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경사판(12)에는 상기 벤츄리관(40)이 끼워지는 설치홀(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츄리관(40)은, 상기 설치홀(12a)에 중간 부분이 끼워지고, 일측은 상기 설치홀(12a)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11)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 내경이 일측 단부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는 관상의 내측유닛(44)과; 일측이 상기 내측유닛(44)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의 내경이 일측 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는 외측유닛(4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내측유닛(44)의 중간 외주면에는 상기 설치홀(12a) 둘레의 경사판(12) 외측 표면에 맞닿아 체결되는 플랜지부(4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홀(12a) 둘레의 경사판(12) 외측 표면과 상기 플랜지부(44a)의 사이에 패킹부재(45)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약품공급호스(50)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61)와, 상기 결합부(61)에 체결되어 있으며 경질의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벤츄리관(40) 내부의 부압형성부(42)까지 일직선상으로 연장된 직선관체(62)로 구성된 호스연결부재(60)가 약품공급호스(50)와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내측유닛(44)의 내측 단부에는 다수 개의 안착턱(4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상기 직선관체(62)가 끼워지는 일측관통공(46b)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관체(46a)와; 상기 일측관체(46a)와 연결된 채 일측관통공(46b)을 중심으로 경사판(12)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에는 상기 안착턱(44b)에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부(46f)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경사연장부(46c)와; 상기 경사연장부(46c)들을 연결하며, 중앙에는 상기 일측관통공(46b)과 일직선을 이루는 타측관통공(46e)이 형성되어 있는 브릿지(46d);로 구성되어 호스연결부재(60)의 직선관체(62)를 내측유닛(44) 내부 중앙에 위치시키는 가이드부재(46)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유닛(43)을 차단시켜 베츄리관(40) 내에서 공기가 직선관체(62)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직선관체(62)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7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약품저장탱크(30) 상부로부터 케이스(10) 일측을 관통하는 압력배출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배출공(31)에는 수분 이동을 차단하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압력배출마개(8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분무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벤츄리 유닛을 적용한 분무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안개와 같은 미세한 입자의 살포를 이루어 특정 공간을 조금의 빈틈도 없이 완벽하게 방제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내부에 공기 압축 장치와, 이를 구비하기 위한 동력원 등을 배제함으로써 부피가 가볍고, 소요 전력이 적어 다양한 장소에 운반 및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케이스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사람이 일일히 노즐을 조작하지 않고도 실내에 약품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진공모터와 벤츄리관을 별도로 배관 연결하지 않고, 공기가 흡입되는 구역을 배제한 케이스 내부를 밀폐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벤츄리관의 공기 유입을 위한 별도의 배관 없이, 단순히 약품공급관만 배치하면 되므로, 이중 구조의 배관을 구비할 필요 없이 원할하게 약품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내 약품 분사 장치의 일측과 타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내 약품 분사 장치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벤츄리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개폐부재가 구비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6은 개폐부재 구비에 따른 압력배출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내 약푼 분사 장치의 크기 및 실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내 약품 분사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내 약품 분사 장치는 크게 케이스(10), 진공모터(20), 약품저장탱크(30), 벤츄리관(40) 및 약품공급호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케이스(1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진공모터(20) 및 약품저장탱크(30)가 수용되는 설치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진공모터(20)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해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진공모터의 공기흡입구(21)가 배치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케이스(10)의 일측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각도를 갖는 다수 개의 경사판(12)이 설치되어 있다.
경사판(12)들은 서로 인접한 경사판(12)들 끼리 서로 일정한 사이각을 가져 각 경사판(12)에 설치되는 벤츄리관(40)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액이 방사상으로 분사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경사판(12)에는 벤츄리관(40) 설치를 위해 벤츄리관(40)이 끼워지는 설치홀(12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케이스(10)은 설치홀(12a)과 공기흡입구(21)가 형성되는 지점 외의 부분들은 완전히 밀폐된 구조를 취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후 오로지 설치홀(12a)에 설치된 벤츄리관(40)을 통해서만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0)는 설치공간 내부의 구성요소의 설치, 교체, 수리 등을 위해 일측에는 개폐 도어가 구비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진공모터(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되, 케이스(10)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2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흡입된 공기를 설치공간(11)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약품저장탱크(30)는 상기 설치공간(11)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액상의 약품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약품은 살균, 소독, 방역 등의 용도에 따라 각기 다양한 방제 약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벤츄리관(40)은 케이스(10)와 함께 본 발명에서 중요한 구성요소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각각의 경사판(12)마다 설치되어 있다.
벤츄리관(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12)을 기준으로 설치공간(11)과 케이스(10)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통로(41)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통로(41) 중간에는 통로(41)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부압형성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벤츄리관(40)의 일측은 설치홀(12)을 통해 케이스(10) 내부의 설치공간(11)에 위치하는 바, 진공모터(20)의 작동에 의해 케이스(10) 외부에서 설치공간(11)으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때, 벤츄리관(40)은 전체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과 같이 내측유닛(44)과 외측유닛(43)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측유닛(44)은 상기 설치홀(12a)에 중간 부분이 끼워지고, 일측은 상기 설치홀(12a)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11)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 내경이 일측 단부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는 관상의 형태를 취한다.
또한 외측유닛(43)은 일측이 상기 내측유닛(44)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의 내경이 일측 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내측유닛(44)과 외측유닛(43)은 서로 결합되는 부분이 각각 단턱지게 형성되어 결합된 내주면이 매끄러운 연결면을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외측유닛(43)을 내측유닛(44)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도 3, 4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는 단턱진 부분은 각각 나사산(43a, 44c)이 형성되어 외측유닛(43)과 내측유닛(44)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착탈식 구성은 약품공급호스(50)의 내부, 또는 후술하는 호스연결부재(60) 내부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 외측유닛(43)을 분리하여 손쉽게 청소할 수 있게 해준다.
또, 벤츄리관(40)의 노출된 부분은 약품과 혼합되어 분사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내주면에 약품이 고착되어 오염되기 쉬운데, 내측유닛(44)과 외측유닛(43)이 상호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외측유닛(43)을 분리하여 손쉽게 청소가 가능해지게 된다.
더하여, 설치홀(12a)에 벤츄리관(40)이 단순 끼움 결합되는 경우 연결 부위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여 공기 흐름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유닛(44)의 중간 외주면에는 상기 설치홀(12a) 둘레의 경사판(12) 외측 표면에 맞닿아 체결되는 플랜지부(44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설치홀(12a) 둘레의 경사판(12) 외측 표면과 상기 플랜지부(44a)의 사이에 패킹부재(45)가 설치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패킹부재(45)의 중앙에는 벤츄리관(40)이 관통 가능한 관통공(45a)이 구비되며, 둘레에는 제1볼트체결홀(45b)이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플랜지부(44a)에도 상기 제1볼트체결홀(45b)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2볼트체결홀(44d)이 형성되어 미도시된 볼트를 통해 내측유닛(44)과 패킹부재(45)를 케이스(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당연히 케이스(10)에도 미도시된 볼트체결홀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패킹부재(45) 및 플랜지부(44a)를 통해 벤츄리관(40)과 케이스(10)가 연결되는 부분의 틈새를 방지하여 분무가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약품공급호스(5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약품저장탱크(3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측은 각 벤츄리관(40) 내부의 부압형성부(42)까지 연장되어, 부압형성부(42)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약품저장탱크(30) 내부의 약품을 벤츄리관(40)의 통로(41)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공모터(20)의 작동에 의해 벤츄리관(4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벤츄리관(40) 내부의 좁은 통로인 부압형성부(42)를 통과할 때, 약품공급호스(50)의 단부측 공간에는 흡입 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를 통해 약품저장탱크(30) 내부에 저장된 약품이 흡입되어 부압형성부(42)에서 배출되게 된다.
즉, 벤츄리관(40)의 단부에는 약품저장탱크(30) 내부의 약품과, 진공모터(2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혼합되면서 에어로졸과 같은 형태의 초미립자 산무를 만들어 실내 공간을 순식간에 분무로 가득 채워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약품공급호스(50)는 약품저장탱크(30)로부터 각기 다른 위치의 벤츄리관(40)에 도달하기 위해 각각 플렉시블한 연질 호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러한 약품공급호스(50)가 벤츄리관(40)의 부압형성부(42)에 위치하는 경우 호스 자체가 연질인 이유 등으로 인해 부압형성부(42)의 정중앙에 약품공급호스(50)가 위치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약품과 공기가 고르게 혼합되어 분무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질이며, 일직선을 이루는 호스연결부재(60)가 약품공급호스(50)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호스연결부재(6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약품공급호스(50)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61)와, 상기 결합부(61)에 체결되어 있으며 경질의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벤츄리관(40) 내부의 부압형성부(42)까지 일직선상으로 연장된 직선관체(6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호스연결부재(60)가 비록 경질로 구성된다 하더라도 단부의 위치가 부압형성부(42) 정 중앙에 위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방향이 벤츄리관(40)과 일직선을 이루어쟈 한다.
따라서, 호스연결부재(60)의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구성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유닛(44)의 내측 단부에는 다수 개의 안착턱(44b)이 형성되어 있으며, 벤츄리관(40)과 호스연결부재(60)를 연결하는 가이드부재(4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가이드부재(46)는 중앙에 상기 직선관체(62)가 끼워지는 일측관통공(46b)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관체(46a)와, 상기 일측관체(46a)와 연결된 채 일측관통공(46b)을 중심으로 경사판(12)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에는 상기 안착턱(44b)에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부(46f)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경사연장부(46c)를 포함하다.
더불어, 상기 경사연장부(46c)들을 연결하며, 중앙에는 상기 일측관통공(46b)과 일직선을 이루는 타측관통공(46e)이 형성되어 있는 브릿지(46d)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46)는 호스연결부재(60)의 직선관체(62)를 내측유닛(44) 내부 중앙에 위치시키게 된다.
한편, 약품공급호스(50)로부터 약품을 원할하게 흡입하기 위해서는 약품공급호스(50)의 관경이 작으면 작을수록 용이하다.
그런데, 약품공급호스(50)의 관경이 작을 경우 호스 내부에 약품이 달라붙어 경화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호스가 폐색되거나 너무 좁아져 약품 공급량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약품공급호스(50)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간편하게 달성할 수 있는 방안으로 도 5와 같이 개폐부재(7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부재(70)는 상기 외측유닛(43)을 차단시켜 베츄리관(40) 내에서 공기가 직선관체(62)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직선관체(62) 및 이와 연장된 약품공급호스(50) 내부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개폐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벤츄리관(40)의 외측유닛(43) 측 통로(41) 입구를 막는 개폐부(71)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폐부(71) 둘레에는 나사산(71a)이 형성되고, 외측유닛(43)의 내주면에도 이에 치합되는 나사산(43b)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약품 분사 장치를 미사용시에는 개폐부재(70)가 벤츄리관(40)을 차단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케이스(10) 내부 공간의 오염을 방지해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러한 개폐부재(70)는 외측유닛(43)에 회전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0) 상부에 개폐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13)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직선관체(62) 내부 청소시 약품저장탱크(30)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게 되는데, 이때 압력이 원할히 해소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 약품저장탱크(30) 내부에서 약품이 흡입되는 경우에도 압력이 해소되어야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약품저장탱크(30) 상부로부터 케이스(10) 일측을 관통하는 압력배출공(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 경우 상기 압력배출공(31)에는 수분 이동을 차단하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압력배출부재(80)가 설치되어 약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공기만 통과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내 약품 분사 장치는 부피가 작은 진공모터(20)와 약품저장탱크(30)만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표면에는 다수 개의 벤츄리관(40)만이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종래의 약품 분사 장치에 비해 매우 작은 크기를 가져 마치 가습기와 같이 휴대가 용이하다.
따라서, 긴급히 방역이 필요한 실내에 배치가 가능하며, 신속하게 다량의 약품 분무가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과 같은 급성 전염병이 유행하는 경우에 매우 요긴하게 사용이 가능해지게 된다.
10 : 케이스 11 : 설치공간
12 : 경사판 12a : 설치홀
13 : 안착부 20 : 진공모터
21 : 공기흡입구 30 : 약품저장탱크
31 : 압력배출공 40 : 벤츄리관
41 : 통로 42 : 부압형성부
43 : 외측유닛 43a : 나사산
43b : 나사산 44 : 내측유닛
44a : 플랜지부 44b : 안착턱
44c : 나사산 44d : 제2볼트체결홀
45 : 패킹부재 45a : 관통공
45b : 제2볼트체결홀 46 : 가이드부재
46a : 일측관체 46b : 일측관통공
46c : 경사연장부 46d : 브릿지
46e : 타측관통공 46f : 안착부
50 : 약품공급호스 60 : 호스연결부재
61 : 결합부 62 : 직선관체
70 : 개폐부재 71 : 개폐부
71a : 나사산 80 : 압력배출부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실내 약품 분사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설치공간(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은 각기 다른 각도를 갖는 다수 개의 경사판(12)이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되, 케이스(10)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2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설치공간(11)에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모터(20)와;
    상기 설치공간(11)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액상의 약품이 저장되어 있는 약품저장탱크(30)와;
    각각의 경사판(12)에 설치되어 있되, 경사판(12)을 기준으로 설치공간(11)과 케이스(10)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통로(41)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통로(41) 중간에는 통로(41)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부압형성부(42)가 형성되어 있는 벤츄리관(40)과;
    일측은 상기 약품저장탱크(3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측은 각 벤츄리관(40) 내부의 부압형성부(42)까지 연장되어, 부압형성부(42)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약품저장탱크(30) 내부의 약품을 벤츄리관(40)의 통로(41)로 공급하는 약품공급호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케이스(10)의 경사판(12)에는 상기 벤츄리관(40)이 끼워지는 설치홀(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츄리관(40)은,
    상기 설치홀(12a)에 중간 부분이 끼워지고, 일측은 상기 설치홀(12a)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11)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 내경이 일측 단부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는 관상의 내측유닛(44)과;
    일측이 상기 내측유닛(44)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의 내경이 일측 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는 외측유닛(4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내측유닛(44)의 중간 외주면에는 상기 설치홀(12a) 둘레의 경사판(12) 외측 표면에 맞닿아 체결되는 플랜지부(4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홀(12a) 둘레의 경사판(12) 외측 표면과 상기 플랜지부(44a)의 사이에 패킹부재(45)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약품공급호스(50)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61)와, 상기 결합부(61)에 체결되어 있으며 경질의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벤츄리관(40) 내부의 부압형성부(42)까지 일직선상으로 연장된 직선관체(62)로 구성된 호스연결부재(60)가 약품공급호스(50)와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약품 분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유닛(44)의 내측 단부에는 다수 개의 안착턱(4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상기 직선관체(62)가 끼워지는 일측관통공(46b)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관체(46a)와;
    상기 일측관체(46a)와 연결된 채 일측관통공(46b)을 중심으로 경사판(12)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단부에는 상기 안착턱(44b)에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부(46f)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경사연장부(46c)와;
    상기 경사연장부(46c)들을 연결하며, 중앙에는 상기 일측관통공(46b)과 일직선을 이루는 타측관통공(46e)이 형성되어 있는 브릿지(46d);로 구성되어 호스연결부재(60)의 직선관체(62)를 내측유닛(44) 내부 중앙에 위치시키는 가이드부재(46)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약품 분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유닛(43)을 차단시켜 베츄리관(40) 내에서 공기가 직선관체(62)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직선관체(62)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7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약품저장탱크(30) 상부로부터 케이스(10) 일측을 관통하는 압력배출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배출공(31)에는 수분 이동을 차단하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압력배출부재(8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약품 분사 장치.
KR1020200172625A 2020-12-10 2020-12-10 실내 약품 분사 장치 KR102472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25A KR102472332B1 (ko) 2020-12-10 2020-12-10 실내 약품 분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25A KR102472332B1 (ko) 2020-12-10 2020-12-10 실내 약품 분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586A KR20220082586A (ko) 2022-06-17
KR102472332B1 true KR102472332B1 (ko) 2022-11-30

Family

ID=8226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625A KR102472332B1 (ko) 2020-12-10 2020-12-10 실내 약품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3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894B1 (ko) * 2016-05-27 2016-10-28 이한효 액제 타격분무 방식의 소독장치
KR102072611B1 (ko) * 2017-11-27 2020-02-04 유한회사 이젠365 실내 소독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627A (ko) * 2015-09-04 2017-03-14 이근호 자동 연무 방역기
KR20200012615A (ko) 2018-07-27 2020-02-05 나창윤 배낭형 약품 방역기
KR102192179B1 (ko) * 2018-12-11 2020-12-16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분사구가 형성되는 출입자용 소독장치
KR102173332B1 (ko) 2020-06-04 2020-11-05 송은택 원격제어 실내 방역 약품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894B1 (ko) * 2016-05-27 2016-10-28 이한효 액제 타격분무 방식의 소독장치
KR102072611B1 (ko) * 2017-11-27 2020-02-04 유한회사 이젠365 실내 소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586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5858B2 (en) Valved aerosol tee adapter assembly
US3572660A (en) Device for dispensing inhalable fluids
US7550022B2 (en) Portable system for capturing air pollution
US11896986B2 (en) Nozzle device applied to high-pressure cleaning machine and handheld high-pressure cleaning machine
KR20130142260A (ko) 비산먼지 제거용 분무스프레이장치
KR102472332B1 (ko) 실내 약품 분사 장치
CN101610851A (zh) 喷枪
USRE48554E1 (en) Air gun system and method
KR101489277B1 (ko) 소방차용 제독 장치
US20190314584A1 (en) Internal Nebulizer Seal and Method of Use
KR100881173B1 (ko) 회전분사기능이 구비된 에어샤워장치
BR112015012896B1 (pt) sistema para manipular o deslocamento de produtos líquidos
KR20200097866A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AR046515A1 (es) Dispositivo granulador para el tratamiento de productos pulverulentos
KR20180116513A (ko) 콧물 제거 및 비강 세척기
US9693844B1 (en) Dental tool cleaning device
KR101882139B1 (ko) 덕트청소용 에어 및 액체공급분사제어기
CN209864165U (zh) 犬猪类头鼻式吸入染毒装置
JP6979884B2 (ja) 医療処置ユニット、歯科医療処置ユニットに供給するための、プロセス水供給ユニット、及び操作方法
KR200469289Y1 (ko) 이동형 약제 연무장치
KR200417919Y1 (ko) 초미립자로 분사되게 한 방역용 소독기
JP2022014983A (ja) 除染装置
JP2006266177A (ja) 薬液希釈混合装置
KR102380146B1 (ko) 소독 약제용 스프레이장치
TWM582871U (zh) 濕式處理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