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024B1 -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 Google Patents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024B1
KR102472024B1 KR1020170117938A KR20170117938A KR102472024B1 KR 102472024 B1 KR102472024 B1 KR 102472024B1 KR 1020170117938 A KR1020170117938 A KR 1020170117938A KR 20170117938 A KR20170117938 A KR 20170117938A KR 102472024 B1 KR102472024 B1 KR 102472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resin
group
carbon atoms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888A (ko
Inventor
김연옥
허근
양종한
권진
임진규
Original Assignee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filed Critical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Priority to TW106133457A priority Critical patent/TWI773690B/zh
Priority to CN201710903508.6A priority patent/CN107918249A/zh
Priority to JP2017189242A priority patent/JP2018060191A/ja
Priority to US15/725,388 priority patent/US10942449B2/en
Publication of KR2018003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2Quinonediazi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8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or agents facilitating spreading, e.g. tensio-active ag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9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 G03F7/0392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the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present in a chemically amplified positive photoresist com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기존의 실록산 폴리머 및 퀴논디아지드 화합물 조성에 저비점 알코올 용매를 포함함으로써, 알코올과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의 디아조나프토퀴논(DNQ)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현상액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지므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후경화 후에도 높은 잔막률을 갖는 경화막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CURED FILM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우수한 감도와 잔막률을 제공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며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EL표시장치 등에 사용되는 경화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나 유기EL표시장치 등에 있어서, 박막트랜지스터(TFT) 기판의 상부에 투명 전극과 데이터 라인의 혼선을 막는 절연 용도로서 투명한 평탄화막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데이터 라인 근처에 위치한 투명한 픽셀 전극을 통하여 패널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고휘도/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투명 평탄화막에는 특정 패턴 형상을 갖도록 여러 단계의 공정이 적용되는데, 이 중 공정수가 적은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고내열성, 고투명성 및 저유전율을 동시에 갖는 재료로서, 실록산 폴리머를 이용한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지티브형 감광성 실록산 조성물을 사용한 평탄화막이나 표시소자는 네거티브형 감광성 실록산 조성물을 사용한 평탄화막, 표시소자보다 느린 감도를 가지므로 감도 향상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65984호는 실록산 화합물 및 1-t-부톡시-2-프로판올을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실록산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면서, 1-t-부톡시-2-프로판올을 사용함으로써 도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15288호는 바인더 수지, 산 발생제 및 알코올계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조성물을 개시하면서, 제1 및 제2 레지스트 조성물로서 모두 포지티브형을 사용하는 더블 패터닝 시 제1 레지스트 패턴 상에 제2 레지스트를 도포할 때 제1 레지스트 패턴이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레지스트 조성물의 용매로서 알코올계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모두 알코올계 용매의 사용을 통해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감도, 잔막률 등과 관련한 광학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659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1528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알코올계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알코올계 용매와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의 디아조나프토퀴논(Diazonaphthoquinone:DNQ)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현상액에 대한 용해도를 높여 감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후경화 후에도 우수한 잔막률을 갖는 경화막을 형성하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며 액정표시장치나 유기EL표시장치 등에 사용되는 경화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실록산 폴리머; (B) 1,2-퀴논디아지드계 화합물; 및 (C)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알코올이 대기압 하에서 80 내지 140℃의 비점(boiling point)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기존의 실록산 폴리머 및 퀴논디아지드 화합물 조성에 저비점 알코올 용매를 포함함으로써, 알코올과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의 디아조나프토퀴논(Diazonaphthoquinone:DNQ)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노광부)의 현상액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지므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후경화 후에도 높은 잔막률을 갖는 경화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실록산 폴리머, (B) 1,2-퀴논디아지드계 화합물 및 (C)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D) 에폭시 화합물, (E)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종 이상의 실란 화합물, (F) 계면활성제, 및/또는 (G) 접착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구성 성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A) 실록산 폴리머
상기 실록산 폴리머(폴리실록산)는 실란 화합물 및/또는 이의 가수분해물의 축합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란 화합물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은 1 내지 4관능성의 실란 화합물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실록산 폴리머는 아래의 Q, T, D 및 M 타입 중에서 선택되는 실록산 구성단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 Q 타입의 실록산 구성단위: 실리콘 원자 및 이에 인접하는 4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실록산 구성단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4관능성의 실란 화합물 또는 4개의 가수분해성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 T 타입의 실록산 구성단위: 실리콘 원자 및 이에 인접하는 3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실록산 구성단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3관능성의 실란 화합물 또는 3개의 가수분해성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 D 타입의 실록산 구성단위: 실리콘 원자 및 이에 인접하는 2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실록산 구성단위(즉, 직쇄상 실록산 구성단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2관능성의 실란 화합물 또는 2개의 가수분해성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 M 타입의 실록산 구성단위: 실리콘 원자 및 이에 인접하는 1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실록산 구성단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1관능성의 실란 화합물 또는 1개의 가수분해성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록산 폴리머(A)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1종 이상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실록산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 및/또는 이의 가수분해물의 축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R1)nSi(OR2)4 -n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기이고, 복수개의 R1이 동일한 분자 내에 존재할 경우 각각의 R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R1이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기인 경우 수소 원자는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R1은 헤테로 원자를 갖는 구조 단위를 함유할 수 있고;
R2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아실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기이고, 복수개의 R2가 동일한 분자 내에 존재할 경우 각각의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R2가 알킬기, 아실기 또는 아릴기일 경우 수소원자는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될 수 있고;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R1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구조 단위의 예로는 에테르, 에스테르 및 설파이드가 포함된다.
n=0인 경우에는 4관능성 실란 화합물, n=1인 경우에는 3관능성 실란 화합물, n=2인 경우에는 2관능성 실란 화합물, n=3인 경우에는 1관능성 실란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실란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4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테트라아세톡시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부톡시실란, 테트라페녹시실란, 테트라벤질옥시실란 및 테트라프로폭시실란; 3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메틸트리클로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부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에틸트리부톡시실란, 부틸트리메톡시실란, 펜타플루오로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d 3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노나플루오로부틸에틸트리메톡시실란, 트리플루오로메틸트리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부틸트리에톡시실란, n-헥실트리메톡시실란, n-헥실트리에톡시실란, 데실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히드록시페닐트리메톡시실란, 1-(p-히드록시페닐)에틸트리메톡시실란, 2-(p-히드록시페닐)에틸트리메톡시실란, 4-히드록시-5-(p-히드록시페닐카르보닐옥시)펜틸트리메톡시실란, 트리플루오로메틸트리에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3-에틸-3-옥세타닐)메톡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에틸-3-옥세타닐)메톡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숙신산; 2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디메틸디아세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디페닐디에톡시실란, 디페닐디페녹시실란, 디부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3-아미노프로필디에톡시메틸실란, 3-클로로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시클로헥실디메톡시메틸실란, 디에톡시메틸비닐실란, 디메톡시메틸비닐실란 및 디메톡시디-p-톨릴실란; 1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트리메틸실란, 트리부틸실란, 트리메틸메톡시실란, 트리부틸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메틸메톡시실란 및 (3-글리시독시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4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및 테트라부톡시실란이 바람직하고; 3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부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에틸트리부톡시실란 및 부틸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고; 2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디페닐디에톡시실란, 디페닐디페녹시실란, 디부틸디메톡시실란 및 디메틸디에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란 화합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축합물을 얻는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을 필요에 따라서 에탄올, 2-프로판올, 아세톤, 초산부틸 등의 용매에 희석하고, 반응에 필요한 물과 촉매로서의 산(염산, 초산, 질산 등) 또는 염기(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시클로헥실아민,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등)를 가한 후 교반하여 가수분해 중합반응을 완결함으로써 목적하는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축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축합물(실록산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 내지 5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 내일 때 막 형성 특성, 용해성 및 현상액에 대한 용해 속도 등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매, 산 또는 염기 촉매의 종류나 양은 제한 없이 임의로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가수분해 중합반응은 20℃ 이하의 저온에서도 진행하지만, 가열이나 환류 조작에 의해서 반응을 촉진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반응 시간은 실란 단량체의 종류나 농도, 반응 온도 등에 따라서 다양하나, 얻어지는 축합물의 분자량이 대략 500 내지 50,000가 될 때까지 반응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통상 15분 내지 30일의 시간을 요한다. 그러나, 반응시간이 이러한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록산 폴리머(A)는 직쇄상 실록산 구성단위(즉 D 타입의 실록산 구성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쇄상 실록산 구성단위는 2관능성의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에서 n=2인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 폴리머(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n=2인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를, Si 원자 몰수 기준으로, 0.5 내지 50 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몰%로 포함한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일 때, 경화막이 일정한 경도를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특성을 발휘하여 외부 자극(stress)에 대한 내크랙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록산 폴리머(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n=1인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즉 T 타입의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록산 폴리머(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n=1인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를, Si 원자 몰수 기준으로, 40 내지 85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몰%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일 때, 정확한 패턴 형성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록산 폴리머(A)는 아릴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경화막의 경도, 감도 및 잔막률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록산 폴리머(A)는 아릴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Si 원자 몰수 기준으로, 30 내지 70 몰%,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 몰%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일 때, 실록산 폴리머와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 화합물과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경화막의 투명성 면에서 보다 유리하면서 감도가 너무 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아릴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는,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이 아릴기인 실란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n=1이고 R1이 아릴기인 실란 화합물, 특히 상기 화학식 1에서 n=1이고 R1이 페닐기인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즉 T-페닐 타입의 단위)일 수 있다.
상기 실록산 폴리머(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n=0인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즉 Q 타입의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록산 폴리머(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n=0인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를, Si 원자 몰수 기준으로, 10 내지 40 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몰%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일 때,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패턴 형성 시 알칼리 수용액에 대한 용해성이 적정 수준을 유지하여 용해성 저하로 인한 불량 발생 또는 용해성의 지나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Si 원자 몰수 기준의 몰%"라 함은, 실록산 폴리머를 이루는 전체 구성단위에 포함된 Si 원자의 총 몰수에 대한, 특정 구성단위에 포함된 Si 원자의 몰수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상기 실록산 폴리머(A) 내의 실록산 단위의 몰 함량은, Si-NMR, 1H-NMR, 13C-NMR, IR, TOF-MS, 원소분석법, 회분 측정 등을 조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닐기를 갖는 실록산 단위의 몰 함량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전체 실록산 폴리머에 대해 Si-NMR 분석을 실시한 뒤, 페닐기가 결합한 Si의 피크 면적과 페닐기가 결합하지 않은 Si의 피크 면적을 분석한 뒤 이들간의 비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이의 용매를 제외한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실록산 폴리머(A)를 5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현상성이 적절히 조절되어 잔막 형성과 패턴의 해상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B) 1,2- 퀴논디아지드계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1,2-퀴논디아지드계 화합물(B)을 포함한다.
상기 1,2-퀴논디아지드계 화합물로는 포토레지스트 분야에서 감광제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1,2-퀴논디아지드계 화합물의 예로는 페놀 화합물과 1,2-벤조퀴논디아지드-4-설폰산 또는 1,2-벤조퀴논디아지드-5-설폰산의 에스테르, 페놀 화합물과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4-설폰산 또는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5-설폰산의 에스테르, 페놀 화합물의 수산기를 아미노기로 치환한 화합물과 1,2-벤조퀴논디아지드-4-설폰산 또는 1,2-벤조퀴논디아지드-5-설폰산과의 설폰아미드, 페놀 화합물의 수산기를 아미노기로 치환한 화합물과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4-설폰산 또는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5-설폰산의 설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물질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페놀 화합물의 예로는 2,3,4-트리히드록시벤조페논, 2,4,6-트리히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3,3',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3,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비스(2,4-디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p-히드록시페닐)메탄, 트리(p-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p-히드록시페닐)에탄, 비스(2,3,4-트리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2,3,4-트리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3-트리스(2,5-디메틸-4-히드록시페닐)-3-페닐프로판, 4,4'-[1-[4-[1-[4-히드록시페닐]-1-메틸에틸]페닐]에틸리덴]비스페놀, 비스(2,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히드록시페닐메탄, 3,3,3',3'-테트라메틸-1,1'-스피로비인덴-5,6,7,5',6',7'-헥사놀, 2,2,4-트리메틸-7,2',4'-트리히드록시플라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2-퀴논디아지드계 화합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2,3,4-트리히드록시벤조페논과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4-설폰산의 에스테르, 2,3,4-트리히드록시벤조페논과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5-설폰산의 에스테르, 4,4'-[1-[4-[1-[4-히드록시페닐]-1-메틸에틸]페닐]에틸리덴]비스페놀과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4-설폰산의 에스테르, 4,4'-[1-[4-[1-[4-히드록시페닐]-1-메틸에틸]페닐]에틸리덴]비스페놀과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5-설폰산과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바람직한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1,2-퀴논디아지드계 화합물(B)은 용매를 제외한 고형분 기준으로 상기 실록산 폴리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0 중량부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패턴 형성이 보다 용이할 수 있고, 도막 형성 후 도막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현상시 하단부에 스컴(scum) 등의 패턴 형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C)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C)를 포함한다. 상기 알코올은 대기압 하에서 80 내지 140℃의 비점(boiling point),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의 비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매(C)는 상기 범위의 비점을 갖는 알코올을 포함함으로써 알코올과 퀴논디아지드계 화합물의 디아조나프토퀴논(Diazonaphthoquinone:DNQ)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현상액에 대한 용해도를 높여주어 감도를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높은 잔막율을 갖는 경화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광 단계에서 디아조나프토퀴논기는 UV광에 의해 디아조케톤(Diazo Ketone)기로 바뀌고 이 디아조케톤은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소량의 수분(H2O)과 반응하여 알칼리 현상액에 용해되기 쉬운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구조로 바뀐다. 당업계에서는 이를 더욱 촉진하기 위하여 조성물에 물(H2O)을 추가하는 경우가 있으나, 조성물에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는 경우 경시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물 대신 알코올을 사용하여 현상액에 대한 디아조나프토퀴논의 용해도를 높여서 감도를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반응 메커니즘을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17089527957-pat00001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 내의 용매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고형분 함량이 1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 중량%가 되도록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서 용매를 제외한 조성 성분을 의미한다. 용매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 내일 때 코팅이 용이하면서도 적정 수준의 흐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알코올은 용매(C)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78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적은 양의 노광 에너지로도 패턴 형성이 용이하며 후경화 후 현상 시 잔막률이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이소프로필알콜, n-프로필알콜, 이소부틸알콜, n-부틸알콜, sec-부틸알콜, t-부틸알콜, 2-메틸-1-부탄올, 2-메틸-2-부탄올, 1-메톡시-2-부탄올, 1-펜탄올, 4-메틸-2-펜탄올, 알릴알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N,N-디메틸에탄올아민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비점 80 내지 120℃인 이소프로필알콜, n-프로필알콜, 이소부틸알콜, n-부틸알콜, sec-부틸알콜, t-부틸알콜, 2-메틸-2-부탄올, 알릴알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용매(C)는 알코올과 함께 다른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류, 방향족탄화수소류, 케톤류,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 등의 디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류;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2-헵탄온, 4-히드록시-4-메틸-2-펜탄온 등의 케톤류; 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프로필, 초산 i-프로필, 초산부틸, 2-히드록시프로피온산에틸, 2-히드록시-2-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2-히드록시-2-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히드록시초산메틸, 히드록시초산에틸, 히드록시초산부틸, 유산메틸, 유산에틸, 유산프로필, 유산부틸, 3-히드록시 프로피온산메틸, 3-히드록시프로피온산에틸, 3-히드록시프로피온산프로필, 3-히드록시프로피온산부틸, 2-히드록시-3-메틸부탄산메틸, 메톡시초산메틸, 메톡시초산에틸, 메톡시초산프로필, 메톡시초산부틸, 에톡시초산메틸, 에톡시초산에틸, 에톡시초산프로필, 에톡시초산부틸, 프로폭시초산메틸, 프로폭시초산에틸, 프로폭시초산프로필, 프로폭시초산부틸, 부톡시초산메틸, 부톡시초산에틸, 부톡시초산프로필, 부톡시초산부틸, 2-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메톡시프로피온산부틸, 2-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등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D) 에폭시 화합물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실록산 폴리머와 함께 에폭시 화합물을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실록산 바인더의 내부 밀도를 증대시켜 이로부터 형성된 경화막의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에폭시기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의 호모 올리고머 또는 헤테로 올리고머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의 예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3,4-에폭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5-에폭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5,6-에폭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6,7-에폭시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2,3-에폭시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α-에틸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α-n-프로필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α-n-부틸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N-(4-(2,3-에폭시프로폭시)-3,5-디메틸벤질)아크릴아미드, N-(4-2,3-에폭시프로폭시)-3,5-디메틸페닐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메틸알릴글리시딜에테르, o-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m-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p-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또는 그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이미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시판품으로서는 GHP03(glycidyl methacrylate homopolymer, 미원상사)를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D)은 하기 구성단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스티렌;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트리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디에틸스티렌, 트리에틸스티렌, 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헥실스티렌, 헵틸스티렌, 옥틸스티렌 등의 알킬 치환기를 갖는 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요오도스티렌 등의 할로겐을 갖는 스티렌; 메톡시스티렌, 에톡시스티렌, 프로폭시스티렌 등의 알콕시 치환기를 갖는 스티렌; p-히드록시-α-메틸스티렌, 아세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비닐페놀, o-비닐벤질메틸에테르, m-비닐벤질메틸에테르, p-비닐벤질메틸에테르 등의 방향족환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프릴(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브로모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테르류;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바졸, N-비닐모폴린 등의 N-비닐을 갖는 삼차아민류;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등의 불포화 에테르류; N-페닐말레이미드, N-(4-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4-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불포화 이미드류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에폭시 화합물(D)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중 스티렌계 화합물인 것이 중합성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특히, 이들 중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에폭시 화합물(D)이 카르복실기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내화학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단위는, 상기 에폭시 화합물(D)을 구성하는 전체 구성단위에 대해서 0 내지 70 몰%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일 때 막강도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D)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 내지 3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15,000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 이상일 때 박막의 경도가 보다 우수해질 수 있으며, 30,000 이하일 때 박막의 두께가 균일해져서 단차의 평탄화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테트라히드로퓨란을 용출용매로 함)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을 말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D)은 용매를 제외한 고형분 기준으로 상기 실록산 폴리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40 중량부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및 감도가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E) 실란 화합물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실란 화합물, 특히 T타입 및/또는 Q타입의 실란 단량체를 포함함으로써, 에폭시 화합물, 예컨대 에폭시 올리고머와 함께 실록산 폴리머 중의 반응성 높은 실라놀기(Si-OH)를 감소시켜, 후공정 처리시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학식 2]
(R3)nSi(OR4)4 -n
상기 화학식 2에서,
R3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기이고, 복수개의 R3가 동일한 분자 내에 존재할 경우 각각의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R3가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기인 경우 수소 원자는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될 수 있으며, R3은 헤테로 원자를 갖는 구조 단위를 포함할 수 있고;
R4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아실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기이고, 복수개의 R4가 동일한 분자 내에 존재할 경우 각각의 R4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R4가 알킬기, 아실기 또는 아릴기인 경우 수소 원자는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될 수 있고;
n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R3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구조 단위의 예로는 에테르, 에스테르 및 설파이드가 포함된다.
n=0인 경우에는 4관능성 실란 화합물, n=1인 경우에는 3관능성 실란 화합물, n=2인 경우에는 2관능성 실란 화합물, n=3인 경우에는 1관능성 실란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실란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4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테트라아세톡시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부톡시실란, 테트라페녹시실란, 테트라벤질옥시실란 및 테트라프로폭시실란; 3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부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에틸트리부톡시실란, 부틸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d 3 -메틸트리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부틸트리에톡시실란, n-헥실트리메톡시실란, n-헥실트리에톡시실란, 데실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히드록시페닐트리메톡시실란, 1-(p-히드록시페닐)에틸트리메톡시실란, 2-(p-히드록시페닐)에틸트리메톡시실란, 4-히드록시-5-(p-히드록시페닐카르보닐옥시)펜틸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3-에틸-3-옥세타닐)메톡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에틸-3-옥세타닐)메톡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숙신산; 2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디메틸디아세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디페닐디에톡시실란, 디페닐디페녹시실란, 디부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3-아미노프로필디에톡시메틸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시클로헥실디메톡시메틸실란, 디에톡시메틸비닐실란, 디메톡시메틸비닐실란 및 디메톡시디-p-톨릴실란; 1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트리메틸실란, 트리부틸실란, 트리메틸메톡시실란, 트리부틸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메틸메톡시실란 및 (3-글리시독시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4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및 테트라부톡시실란이 바람직하고; 3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부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에틸트리부톡시실란, 부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및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이 바람직하고; 2관능성 실란 화합물로서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디페닐디에톡시실란, 디페닐디페녹시실란, 디부틸디메톡시실란 및 디메틸디에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란 화합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E)은 용매를 제외한 고형분 기준으로 상기 실록산 폴리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20 중량부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경화막의 내화학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F)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조성물의 도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불소계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다우 코닝 도레이사의 FZ-2122, BM CHEMIE사의 BM-1000 및 BM-1100, 다이닛뽄잉크 가가꾸고교 가부시키가이샤의 메가팩 F-142 D, F-172, F-173 및 F-183, 스미또모 쓰리엠 리미티드의 플로라드 FC-135, FC-170 C, FC-430 및 FC-431,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의 서프론 S-112, S-113, S-131, S-141, S-145, S-382, SC-101, SC-102, SC-103, SC-104, SC-105 및 SC-106, 신아끼따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의 에프톱 EF301, EF303 및 EF352, 도레이 실리콘 가부시키가이샤의 SH-28 PA, SH-190, SH-193, SZ-6032, SF-8428, DC-57 및 DC-190 등의 불소계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아릴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디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디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디알킬에스테르류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유기실록산 폴리머 KP341(신에쓰 가가꾸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메트)아크릴산계 공중합체 폴리플로우 No. 57 및 95(교에이샤 유지 가가꾸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F)는 용매를 제외한 고형분 기준으로 상기 실록산 폴리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코팅이 원활해진다.
(G) 접착보조제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기판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보조제는 카르복실기, (메트)아크릴로일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 메르캅토기, 비닐기 및 에폭시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반응성 그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보조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트리메톡시실릴벤조산,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γ-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잔막률을 향상시키면서 기판과의 접착성이 좋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보조제(G)의 조성물 내 양은, 용매를 제외한 고형분 기준으로 상기 실록산 폴리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기판과의 접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타 첨가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기존의 실록산 폴리머 및 퀴논디아지드 화합물 조성에 저비점 알코올 용매를 포함함으로써, 노광 공정 시 상기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의 디아조나프토퀴논(Diazonaphthoquinone:DNQ)기가 노출될 때, 노출되는 부분(노광부)의 현상액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지므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후경화 후에도 높은 잔막률을 갖는 경화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경화막을 제공한다.
상기 경화막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 예컨대 기재 위에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화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포는 스핀 코팅법, 슬릿 코팅법, 롤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어플리케이터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두께, 예를 들어 2 내지 25㎛의 두께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화는, 구체적으로, 기재 위에 도포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예컨대 60 내지 130℃에서 예비경화(pre-bake)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원하는 패턴이 형성된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하고 현상액(예: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 용액)으로 현상함으로써 코팅층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광은 200 내지 500㎚의 파장대에서 365㎚ 기준으로 10 내지 200mJ/㎠의 노광량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노광(조사)에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저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 아르곤 가스 레이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X선, 전자선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패턴화된 코팅층을 필요에 따라 예컨대 10분 내지 5시간 동안 150 내지 300℃에서 후 경화(post-bake)하여 목적하는 경화막을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경화막은 내열성, 투명성, 유전율, 내용매성,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 측면에서 우수한 물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경화막은 용매, 산, 알칼리 용액 등을 이용한 침지, 접촉 또는 열처리 등에 의해서도 표면이 거칠어지지 않고 광 투과율이 높아 액정표시장치나 유기EL표시장치 등의 박막 트랜지스터(TFT) 기판용 평탄화막, 유기EL표시장치의 격벽,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및 광도파로의 코어나 클래딩 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규소-함유 경화막 및 상기 경화막을 보호막으로서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합성예에 기재된 중량평균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합성예 1: 실록산 폴리머(A-1)의 합성
환류 냉각장치가 갖추어진 반응기에, 페닐트리메톡시실란 40 중량%, 메틸트리메톡시실란 15 중량%, 테트라에톡시실란 20 중량%, 순수 20 중량%를 넣은 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5 중량%를 첨가하고, 0.1 중량%의 옥살산 촉매 하에서 7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뒤 냉각하였다. 그 다음 고형분 함량이 40 중량%가 되도록 PGMEA로 희석하였다. 그 결과 중량평균분자량 약 5,000 내지 8,000 Da의 실록산 폴리머를 합성하였다.
합성예 2: 실록산 폴리머(A-2)의 합성
환류 냉각장치가 갖추어진 반응기에, 페닐트리메톡시실란 20 중량%, 메틸트리메톡시실란 30 중량%, 테트라에톡시실란 20 중량%, 순수 15 중량%를 넣은 후, PGMEA 15 중량%를 첨가하고, 0.1 중량%의 옥살산 촉매 하에서 6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뒤 냉각하였다. 그 다음 고형분 함량이 30 중량%가 되도록 PGMEA로 희석하였다. 그 결과 중량평균분자량 약 8,000 내지 13,000 Da의 실록산 폴리머를 합성하였다.
합성예 3: 실록산 폴리머(A-3)의 합성
환류 냉각장치가 갖추어진 반응기에, 페닐트리메톡시실란 20 중량%, 메틸트리메톡시실란 30 중량%, 테트라에톡시실란 20 중량%, 순수 15 중량%를 넣은 후, PGMEA 15 중량%를 첨가하고, 0.1 중량%의 옥살산 촉매 하에서 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뒤 냉각하였다. 그 다음 고형분 함량이 30 중량%가 되도록 PGMEA로 희석하였다. 그 결과 중량평균분자량 약 9,000 내지 15,000 Da의 실록산 폴리머를 합성하였다.
실록산
폴리머(A)
페닐트리
메톡시실란
메틸트리
메톡시실란
테트라
에톡시실란
순수 PGMEA 고형분함량
(중량%)
중량평균
분자량(Da)
합성예1
(A-1)
40 15 20 20 5 40 5,000~8,000
합성예2
(A-2)
20 30 20 15 15 30 8,000~13,000
합성예3
(A-3)
20 30 20 15 15 30 9,000~15,000
합성예 4: 에폭시 화합물의 합성
삼구 플라스크에 냉각관을 설치하고, 온도 자동조절기가 달린 교반기 상에 배치한 뒤, 여기에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00몰%로 이루어진 단량체 100 중량부,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나이트릴) 10 중량부, 및 PGMEA 100 중량부를 넣고, 질소를 투입하였다. 이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용액의 온도를 80℃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를 5시간 유지하여, 중량평균분자량 약 6,000 내지 10,000 Da의 에폭시 화합물을 합성한 뒤, 고형분 농도가 20 중량%가 되도록 PGMEA를 가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합성예에서 제조된 화합물들을 이용하여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그 외 성분으로는 하기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7089527957-pat00002
실시예 1: 합성예 1의 실록산 폴리머(A-1) 용액 32.85 중량부, 합성예 2의 실록산 폴리머(A-2) 용액 32.85 중량부 및 합성예 3의 실록산 폴리머(A-3) 용액 34.3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실록산 폴리머의 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2-퀴논디아지드계 화합물로서 TPA-517(B-1) 16.7 중량부, BIOC 25(B-2) 0.7 중량부, 합성예 4의 에폭시 화합물(D) 14.3 중량부, 실란 단량체(E) 6.9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0.3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고형분 함량이 22 중량%가 되도록 용매로서 알코올 및 PGMEA의 혼합물(이소프로필알코올(C-1):PGMEA(C-7)=15:85 중량비)을 사용하여 용해시켰다. 이를 5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공경 0.2㎛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고형분 함량 22 중량%인 조성물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 : 각각의 구성성분의 종류 및/또는 함량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 용액을 얻었다.
Figure 112017089527957-pat00003
시험예 1: 감도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각각의 조성물을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팅한 후에 110℃로 유지되는 고온 플레이트 위에서 90초간 예비경화하여 두께 3㎛의 건조막을 형성하였다. 이 건조막에 1㎛에서 30㎛까지의 사각형 홀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적용한 후, 200㎚에서 450㎚의 파장을 내는 어라이너(aligner, 모델명 MA6)를 이용하여, 365㎚ 기준으로 0 내지 200mJ/㎠이 되도록 일정시간 노광하고, 2.38중량%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수용성 현상액으로 23℃에서 퍼들 노즐을 통해 현상하였다. 얻은 노광막을 컨벡션 오븐에서 23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경화막을 얻었다.
상기 과정에 의해 마스크 크기 10㎛에 대해서 패터닝된 홀 패턴(hole pattern)의 CD(critical dimension, 선폭, ㎛)가 10㎛를 구현하는 노광 에너지를 구하였다. 상기 노광 에너지의 수치가 작을수록 감도(mJ/㎠)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감도를 동일 조성에 대해서 %환산으로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이때, 비교예 1 및 2를 reference로 사용하였다. 감도의 %환산 수치가 작을수록 감도(mJ/㎠)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Figure 112017089527957-pat00004
시험예 2: 잔막률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각각의 조성물을 실리콘 질화물 기판 상에 스핀 코팅한 후에 110℃로 유지되는 고온 플레이트 위에서 90초간 예비경화하여 두께 3㎛의 건조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건조막을 2.38중량%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수용성 현상액으로 23℃에서 퍼들 노즐을 통해 현상하였다. 얻은 노광막을 컨벡션 오븐에서 23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경화막을 얻었다. 이때 비접촉식 막두께 평가 장비(SNU Precision)를 사용하여, 예비경화 직후의 막 두께에 대한 최종 경화막의 두께의 백분율을 계산하여 잔막률(%)을 산출하였다. 잔막율은 수치가 클수록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잔막률(%) = (후경화 후 막두께 / 예비경화 후 막두께) X 100
이상의 시험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7089527957-pat00005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의 조성물들은 감도 및 잔막률 면에서 골고루 우수하게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비교예의 조성물들은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가 저조하였다.

Claims (6)

  1. (A) 실록산 폴리머;
    (B) 1,2-퀴논디아지드계 화합물; 및
    (C) 대기압 하에서 80 내지 120℃의 비점(boiling point)을 갖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알코올이 이소프로필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sec-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또는 알릴알코올이고,
    상기 알코올이 상기 용매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실록산 폴리머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1종 이상의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R1)nSi(OR2)4 -n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기이고, 복수개의 R1이 동일한 분자 내에 존재할 경우 각각의 R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R1이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기인 경우 수소 원자는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R1은 헤테로 원자를 갖는 구조 단위를 함유할 수 있고;
    R2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아실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기이고, 복수개의 R2가 동일한 분자 내에 존재할 경우 각각의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R2가 알킬기, 아실기 또는 아릴기일 경우 수소원자는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될 수 있고;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실록산 폴리머가 상기 화학식 1에서 n=0인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에폭시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종 이상의 실란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R3)nSi(OR4)4 -n
    상기 화학식 2에서,
    R3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기이고, 복수개의 R3가 동일한 분자 내에 존재할 경우 각각의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R3가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기인 경우 수소 원자는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될 수 있으며, R3은 헤테로 원자를 갖는 구조 단위를 포함할 수 있고;
    R4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아실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기이고, 복수개의 R4가 동일한 분자 내에 존재할 경우 각각의 R4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R4가 알킬기, 아실기 또는 아릴기인 경우 수소 원자는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될 수 있고;
    n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KR1020170117938A 2016-10-05 2017-09-14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KR102472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133457A TWI773690B (zh) 2016-10-05 2017-09-28 感光性樹脂組合物及由其製備之固化膜
CN201710903508.6A CN107918249A (zh) 2016-10-05 2017-09-28 感光性树脂组合物和由其制备的固化膜
JP2017189242A JP2018060191A (ja) 2016-10-05 2017-09-29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調製される硬化膜
US15/725,388 US10942449B2 (en) 2016-10-05 2017-10-05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cured film prepar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8259 2016-10-05
KR1020160128259 2016-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88A KR20180037888A (ko) 2018-04-13
KR102472024B1 true KR102472024B1 (ko) 2022-11-30

Family

ID=6197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938A KR102472024B1 (ko) 2016-10-05 2017-09-14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2024B1 (ko)
TW (1) TWI7736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489A (ko) * 2018-11-29 2020-06-08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KR102331157B1 (ko) * 2019-10-23 2021-11-26 (주)휴넷플러스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5926A (ja) 2008-10-20 2012-03-08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スルホニウム誘導体および潜在酸としてのその使用
JP2014178672A (ja) * 2013-02-14 2014-09-25 Toray Ind Inc 感光性シロキサン組成物、硬化膜及び素子
JP2015030742A (ja) 2013-07-31 2015-02-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組成物、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固体撮像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128901A (ja) 2014-11-21 2016-07-14 ローム・アンド・ハース・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コリア・リミテッド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調製される硬化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42150B1 (en) 2005-10-28 2018-08-22 Toray Industries, Inc. Siloxan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08015969A1 (fr) * 2006-08-04 2008-02-07 Jsr Corporation procédé de formation de motif, composition permettant de former un film de couche supérieure, et composition permettant de former un film de couche inférieure
JP5449909B2 (ja) 2008-08-04 2014-03-19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組成物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JP5338532B2 (ja) * 2009-07-13 2013-11-13 Jnc株式会社 ポジ型感光性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5926A (ja) 2008-10-20 2012-03-08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スルホニウム誘導体および潜在酸としてのその使用
JP2014178672A (ja) * 2013-02-14 2014-09-25 Toray Ind Inc 感光性シロキサン組成物、硬化膜及び素子
JP2015030742A (ja) 2013-07-31 2015-02-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組成物、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固体撮像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128901A (ja) 2014-11-21 2016-07-14 ローム・アンド・ハース・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コリア・リミテッド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調製される硬化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29553A (zh) 2018-08-16
TWI773690B (zh) 2022-08-11
KR20180037888A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586B1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JP7058214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調製される硬化膜
KR102369410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TW201937294A (zh) 正型感光性樹脂組合物及由其製備之固化膜
KR102472024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KR102472280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US10942449B2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cured film prepared therefrom
US20230109843A1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cured film prepared therefrom
KR20190136248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막
JP7416608B2 (ja)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調製される硬化膜
US10890846B2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cured film prepared therefrom
KR102493962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KR20200083196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막
KR20230102745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KR20230102760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