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942B1 -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 Google Patents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942B1
KR102471942B1 KR1020200090767A KR20200090767A KR102471942B1 KR 102471942 B1 KR102471942 B1 KR 102471942B1 KR 1020200090767 A KR1020200090767 A KR 1020200090767A KR 20200090767 A KR20200090767 A KR 20200090767A KR 102471942 B1 KR102471942 B1 KR 102471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orage container
self
transfer unit
protrud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923A (ko
Inventor
김선주
윤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상테크
Priority to KR102020009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9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끝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중공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어 살균 용액을 저장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 용기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 용액의 충진을 위해 개방된 후 상기 저장 용기를 폐쇄시키는 충진캡; 상기 개구부로 돌출되어 터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돌출 헤드가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 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돌출 헤드로 전달하는 토출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기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는 이송부; 및 일측이 상기 이송부의 일측면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Portable stick with self-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을 대신하여 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전염성이 높은 중동 호흡기증후군(MERS), 사스,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발생하면서, 사람들이 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해 호흡기나 눈, 코, 입의 점막으로 감염자의 비말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전기 마스크(KF94), 덴탈 마스크 등의 마스크를 착용하고, 소독제를 이용하여 수시로 손이나 소지품을 소독하고 있다.
이러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무심코 만지는 출입문 손잡이, 공중전화 등에도 바이러스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외출 중에도 손을 자주 씻고 눈, 코, 입 등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여러 사람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생활 공간에서 버튼식 도어락, 엘리베이터 버튼, 인터폰 버튼 등과 같이 손가락으로 눌러야만 하는 경우가 빈번이 발생하게 되는데, 소정의 버튼에 박테리아나 바이러스가 있는 경우에 해당 버튼을 눌렀던 손을 통해 감염될 수 있고, 이를 매개로 직접적 접촉 또는 호흡기 전파로 사람간 감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 연구 등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종이보드에서 24시간, 플라스틱과 스트레인레스 스틸에서 2~3일, 구리표면에서 4시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아파트, 주상복합빌딩, 상가, 호텔, 빌딩 사무실 등의 공동 생활 공간에서 사용자 손이나 손가락 등의 접촉으로 인해 동작되는 장치 또는 기구들에 대한 오염을 차단하는 여러가지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내 버튼 접촉으로 인한 감염 방지 방식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내에 엘리베이터 버튼을 손가락을 터치(a)하기 전에 손소독제, 일회용 화장지, 일회용 막대 등을 배치해두고,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른 후에 손소독제로 손을 소독(b)하거나, 일회용 막대(d)나 일회용 화장지(c)를 이용해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게 하고 있다.
손소독제, 일회용 막대, 일회용 화장지 등의 감염 예방 물품들은 용량이나 개수가 한정되어 있는 소모품이므로, 관리자가 매번 엘리베이터 내 감염 예방 물품의 잔량을 체크해야 하고, 수시로 해당 물품을 채워넣어야 할 뿐만 아니라, 간혹 손소독제가 분실되거나 일회용 막대나 화장지 등이 불필요하게 사용되어 감염 예방 물품의 관리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내에 감염 예방 물품을 배치하는 방식 외에도 버튼을 광감지식, RFP 감지식, 초음파 감지식으로 교체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버튼 교체로 인한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제품을 단시간에 모두 교체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이러스 제거 효과를 가지는 구리 필름, 금속 나노 코팅 부재를 엘리베이터 버튼의 상면에 부착하는 방식도 있지만, 구리 필름이나 금속 나노 코팅 부재는 미생물 제거 또는 억제 효과가 있지만, 단시간에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고, 미처 살균되지 않은 미생물이 남아 있는 경우에 여전히 손으로 감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7-0096404 A KR 10-2138163 B1 KR 10-2136482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락이나 인터폰 등의 다수의 사용자들이 접촉하는 키패드나 버튼을 터치할 경우에 사용자의 손을 대신하여 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터치 이후에 자체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스틱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은, 일측 끝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중공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어 살균 용액을 저장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 용기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 용액의 충진을 위해 개방된 후 상기 저장 용기를 폐쇄시키는 충진캡; 상기 개구부로 돌출되어 터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돌출 헤드가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 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돌출 헤드로 전달하는 토출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기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는 이송부; 및 일측이 상기 이송부의 일측면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 끝단에 개폐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 헤드를 포함한 케이스의 내부 공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보호용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 헤드는 상기 이송부의 끝단에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시 펌핑 작용을 하여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토출로를 통하여 토출시키는 펌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 이송부는 내부에 상기 저장 용기에 저장된 살균 용액을 상기 돌출 헤드로 전달하는 순환형 토출로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시 펌핑 작용 통하여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순환형 토출로 내에 공급되도록 상기 순환형 토출로의 양쪽 끝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순환형 토출로에서 상기 살균 용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상기 조작 레버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락이나 인터폰 등의 다수의 사용자가 접촉하는 키패드나 버튼을 사용자의 손을 대신하여 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터치 이후에 자체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내 버튼 접촉으로 인한 감염 방지 방식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스의 일측 끝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펌핑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틱의 살균 용액의 흐름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레버에 의한 돌출 헤드의 외부 돌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케이스의 일측 끝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펌핑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틱의 살균 용액의 흐름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100)은 케이스(110), 이송부(140), 조작레버(152), 펌핑부(20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케이스(110)는 소정 길이를 갖으며, 길이 방향으로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10)는 사용자의 손 안에 들어올 수 있는 정도의 길이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110)는 사용자가 저장 용기(130) 내 살균 용액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 영역이 투명창(도시되지 않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일측 끝단에는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개구부(111)를 통해 돌출 헤드(151)가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신하여 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케이스(110)의 일측 끝단의 양측에 굴곡부(112)가 형성되고, 굴곡부(112)는 돌출 헤드(151)의 이동에 방해하지 않으면서 케이스(110)로 오염 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돌출 헤드(151)를 포함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111)를 폐쇄하는 보호용 캡(115)이 개폐식으로 설치된다. 보호용 캡(115)은 케이스(110)의 일측 끝단에 한쪽이 힌지(116)로 고정되어 돌출 헤드(151)가 외부로 돌출될 때, 돌출 헤드(151)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개방되고, 돌출 헤드(151)가 내부로 삽입될 때 폐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보호용 캡(115)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가압에 의해 개구부(11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가압에 의해 개구부(111)를 폐쇄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저장 용기(130)는 케이스(110)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어 살균 용액을 저장한다. 저장 용기(130)의 일측 끝단에는 살균 용액의 충진을 위해 개방된 후 저장 용기(130)를 폐쇄시키는 충진캡(131)이 형성된다. 살균 용액은 살균 기능을 가진 액체로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차아염소산수, 차아염소산나트륨액, 과산화수소수, 과산화모노황산칼륨, 벤잘코늄염화물, 클로록실레놀, 클로르헥시딘 글루코 네이트 및 이들이 일정량 이상 함유된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송부(140)는 돌출 헤드(151)가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조작레버(152)에 의해 돌출헤드(151)를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부(140)는 저장 용기(130)와 연결되어 살균 용액을 돌출 헤드(151)로 전달하는 토출로(145)가 내부에 형성되며,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기설정된 거리를 조작 레버(152)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돌출 헤드(151)는 이송부(140)의 끝단에 착탈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교체 가능하고, 살균 용액의 침투가 용이하여 살균 작용을 한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건조될 수 있는 다공성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 용액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공성 구조는 모세관 효과(capillary effect)를 유도하기 하여 미세관구조, 미세홀구조, 망목구조 및 이들이 결합된 다공성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구조를 가진 돌출 헤드(151)는 다공질 실리콘, 우렌탄 폼, 다공성 고무, 스펀지, 부직포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헤드(151)는 끝단에 이송부(140)의 끝단이 끼워지는 삽입홈(151a)이 형성되고, 삽입홈(151a)은 이송부(140)의 외주연과 거의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조작 레버(152)는 이송부(140)의 일측면에 연결되면서 케이스(110)의 외부로 소정 길이가 돌출되어 이송부(140)의 이동을 지시한다.
터치 기능을 수행하고 복귀될 때마다 돌출 헤드(151)가 살균 용액으로 소독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저장용기(130) 내의 살균 용액이 이송되어 돌출 헤드(151)와 실패율이 없이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만일, 살균 용액이 체온 등 열기에 의하여 일부 기화되어 토출로(145) 및 저장용기(130) 내에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기포들이 살균 용액이 돌출 헤드(151)에 충분히 이송되도록 하거나 돌출 헤드(151)와 접촉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펌핑 기능을 가진 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살균 용액 이송 및 토출 기능을 갖도록 한다.
제1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부(200)는 저장 용기(1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조작 레버(152)의 이동시 펌핑 작용을 통하여 압력을 발생시켜 살균 용액을 토출로(145)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펌핑부(200)는 살균 용액이 일시 저장되는 제1 실린더(210),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어 살균 용액 공급을 위한 제1 압축 스프링(220), 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제2 압축 스프링(230), 제2 압축 스프링(230)의 케이싱을 위한 제2 실린더(240), 제2 실린더(240) 하부에 위치하여 탄발 지지하는 지지부재(250), 및 제1 실린더(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압축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체크밸브(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스틱(100)은 순환형 토출로(345), 한 쌍의 펌프(350, 360), 한 쌍의 밸브(370, 380)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살균 용액의 이송 및 접촉을 하는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송부(140) 내부에는 돌출 헤드(151)와 접촉하는 U자형 구조를 가진 순환형 토출로(345)가 구비된다. 토출로(345)의 일측 끝단에는 제1 펌프(350) 및 제1 밸브(370)로 구성된 제1 펌프(301)가 구비되며, 타측 끝단에는 제1 펌프(360) 및 제1 밸브(380)로 구성된 제2 펌프(302)가 구비된다. 이때, 제1 및 제2 펌프(301, 302)는 벨로즈형 펌프 구조를 적용할 수가 있다.
제 1펌프(301)에는 저장용기(130)에서 돌출 헤드(151) 방향으로만 일방향 용액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밸브(370)가 구비되는 반면에, 제2 펌프(302)에는 돌출 헤드(151)에서 저장용기(130) 방향으로만 용액이 이동하도록 하는 제2 밸브(380)가 구비된다. 터치 기능을 위하여 조작 레버(152)를 사용하여 돌출 헤드(151)를 휴대용 스틱 외부로 이송할 때에는 제1 펌프(301) 및 제2 펌프(302)가 팽창하며 동시에 제1 펌프(301) 측에 부착된 제1 밸브(370)는 개방되고, 제2 펌프(302) 측에 부착된 제2 밸브(380) 차단되어 저장용기(130) 내에 있는 살균 용액이 토출로(345)를 통하여 돌출 헤드(151) 쪽으로 이송된다.
반면에, 터치 기능을 수행한 후 조작 레버(152)를 통하여 돌출 헤드(151)의 복귀 시 펌프가 압축되므로 제1 밸브(370)는 차단되고 제2 밸브(380)는 개방되어 토출로(345) 내에 있는 살균용액이 저장용기(130)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130)나 토출로(345) 내에 일부 기포가 있더라도, 순환형 토출로(345)를 통하여 살균용액이 순환되고 이를 통하여 살균용액이 다공질의 돌출 헤드(151)와 접촉하도록 하므로써 살균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스틱(10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390)을 이송부(140) 주변에 배치하여 터치기능 수행후 돌출헤드(151)를 조작레버(152)의 사용없이 자동으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연한 구조를 가진 저장용기(130)의 일부(400)가 볼록 나오도록 블록부(400)를 형성하고, 볼록부(400)와 접촉되도록 케이스(110)에 푸쉬버튼(410)을 설치하여, 푸쉬버튼(410)을 눌러 조작레버(152)에 의한 이송 없이 살균용액 만을 강제적으로 순환형 토출로(345)를 통하여 순환시켜,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살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볼록부(400) 및 푸쉬버튼(410)은 사용자에 눌려진 이후에 누른 압력이 사라지면 다시 제자리로 복원되는 복원력 특성을 가져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볼록부(400)를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하여 유연한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조작레버(152)의 이동에 따라 펌프(301, 302)에서 발생하는 용액의 압력을 완충하여 살균용액의 순환을 돕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스틱은 터치 기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오염원에 접촉된 터치 영역, 즉 돌출 헤드를 휴대용 스틱 내에 미리 구비된 살균 용액을 사용하여 소독할 수 있어, 최소 수시간 이상의 장시간이 소요되는 기존의 다른 살균방식에 비하여 살균 용액을 이용하여 수십초 내지 수분 이내에 살균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레버에 의한 돌출 헤드의 외부 돌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한면,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100)은 사용자가 잡기 쉬운 형태의 케이스(110)로 형성되고, 돌출 헤드(151)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편에 스트랩(170)이 설치될 수 있다. 스트랩(170)은 사용자의 손목에 거는 형태로서 휴대용 스틱(100)의 분실이나 낙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드 홈(113)이 형성되고, 조작 레버(152)는 슬라이드 홈(113)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송부(140)를 케이스(110)의 외부 또는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휴대용 스틱(100)을 손으로 감싸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조작 레버(152)를 'A'방향으로 밀면 돌출 헤드(151)가 외부로 돌출된다.
즉, 조작 레버(152)가 제1 방향('A' 방향)으로 움직이면, 조작 레버(152)에 연결된 이송부(140)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출 헤드(151)가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반대로 조작 레버(152)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움직이면 이송부(140)도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출 헤드(151)가 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조작 레버(152)는 상기에서 설명한 슬라이드 방식 뿐만 아니라 스프링 부재,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 헤드(151)가 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저장 용기(130)로부터 살균 용액이 이송부(140) 내부의 토출로(145)를 통해 돌출 헤드(151)로 토출되고, 돌출 헤드(151)는 살균 용액에 의해 살균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자연스럽게 건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 헤드(151)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돌출 헤드(151) 자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100)은 정전식 버튼이나 터치 패널의 경우에도 정전 터치가 이루어지도록 돌출 헤드(151), 이송부(140), 케이스(110)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패널이나 키패드의 경우에도,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이용할 필요없이 휴대용 스틱(100)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을 터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휴대용 스틱
110 : 케이스
120 : 광원부
130 : 저장 용기
140 : 이송부
151 : 돌출헤드
152 : 조작레버

Claims (6)

  1. 일측 끝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중공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어 살균 용액을 저장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 용기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 용액의 충진을 위해 개방된 후 상기 저장 용기를 폐쇄시키는 충진캡;
    상기 개구부로 돌출되어 터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돌출 헤드가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 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돌출 헤드로 전달하는 토출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기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는 이송부; 및
    일측이 상기 이송부의 일측면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 끝단에 개폐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 헤드를 포함한 케이스의 내부 공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보호용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헤드는 상기 이송부의 끝단에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시 펌핑 작용을 하여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토출로를 통하여 토출시키는 펌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내부에 상기 저장 용기에 저장된 살균 용액을 상기 돌출 헤드로 전달하는 순환형 토출로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시 펌핑 작용 통하여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순환형 토출로 내에 공급되도록 상기 순환형 토출로의 양쪽 끝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순환형 토출로에서 상기 살균 용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상기 조작 레버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KR1020200090767A 2020-07-22 2020-07-22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KR10247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67A KR102471942B1 (ko) 2020-07-22 2020-07-22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67A KR102471942B1 (ko) 2020-07-22 2020-07-22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23A KR20220011923A (ko) 2022-02-03
KR102471942B1 true KR102471942B1 (ko) 2022-11-29

Family

ID=8026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767A KR102471942B1 (ko) 2020-07-22 2020-07-22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322B1 (ko) * 2020-12-01 2022-11-30 (주)엠케이산업 휴대용 살균스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1790A (ja) 2009-03-27 2012-09-20 ファーバー‐カステル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ペン形塗布具
KR102071449B1 (ko) 2018-10-11 2020-01-30 이종훈 살균기능을 갖는 다용도 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887A (ko) * 2004-04-20 2005-10-25 게리 자우어 조작도구를 갖는 액체 용기
KR20070096404A (ko) 2006-03-24 2007-10-02 임장순 분무실과 안개 분무 노즐을 이용한 쇼핑센터의 쇼핑수레순간 살균 소독 시스템
KR102138163B1 (ko) 2012-03-21 2020-07-2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led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200471952Y1 (ko) * 2012-04-27 2014-03-25 문종운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KR102136482B1 (ko) 2019-01-16 2020-07-21 정용교 자외선 살균 콤팩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1790A (ja) 2009-03-27 2012-09-20 ファーバー‐カステル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ペン形塗布具
KR102071449B1 (ko) 2018-10-11 2020-01-30 이종훈 살균기능을 갖는 다용도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23A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743B1 (ko)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KR102471942B1 (ko)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KR200484235Y1 (ko) 도어 핸들 장착용 손 소독기
US11759535B2 (en) Wearable decontamination system
JP5458351B2 (ja) 簡易液体噴霧装置
KR200465806Y1 (ko) 휴대용 휴대폰 소독기
JP2021175481A (ja) 携帯用手指消毒器
CA2296152A1 (en) The hygiene controller
JP2008073348A (ja) 廊下灯
KR102449348B1 (ko) 광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틱
KR20220106420A (ko) 휴대용 약액 도포구
KR20230038435A (ko) 손소독 손잡이
KR101368976B1 (ko) 콧물 흡인기
TWI752534B (zh) 按鍵之防疫壓按裝置
WO2021191482A1 (es) Dispositivo para manipular objetos potencialmente contaminados
KR102185207B1 (ko) 버튼 터치용 소독펜
CN111663845A (zh) 自消毒把手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代把手
KR101055217B1 (ko) 휴대폰용 소독장치
AU2021107005A4 (en) Devices incorporating decontamination means therein
CN116113469A (zh) 消毒装置和具有消毒装置的保护壳
CN214409758U (zh) 一种便携式消毒按键装置
CN211747227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乳胶手套
US20220080073A1 (en) Bag Disinfection
WO2022146157A1 (en) The smart finger aid for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KR102494724B1 (ko) 손잡이 움직임에 의해 자동으로 소독되는 손잡이용 소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