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743B1 -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743B1
KR102124743B1 KR1020200048719A KR20200048719A KR102124743B1 KR 102124743 B1 KR102124743 B1 KR 102124743B1 KR 1020200048719 A KR1020200048719 A KR 1020200048719A KR 20200048719 A KR20200048719 A KR 20200048719A KR 102124743 B1 KR102124743 B1 KR 10212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infectant
rod
portable object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20200048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743B1/ko
Priority to PCT/KR2021/004905 priority patent/WO20212157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터치부에 덮개부를 결합이나 배출 시 터치부의 표면과 터치봉 집 내부에 소독액이 도포되어 터치부 전체 및 터치봉 집 내부 전체를 소독함으로써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OUCH TYPE PORTABLE OBJECT TOUCHING DEVICE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 INFECTION INCLUDING VIRUS}
본 발명은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터치부에 덮개부를 결합이나 배출 시 터치부의 표면과 터치봉 집 내부에 소독액이 도포되어 터치부 전체 및 터치봉 집 내부 전체를 소독함으로써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스, 메르스를 거쳐 최근에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각종 질병 전염 문제가 인류의 삶과 정치경제를 위협하는 화두로 떠올랐다.
손 씻기, 마스크 쓰기 등 전염병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은 자신의 생명을 지키고 질병 전염을 예방하여 타인의 생명 또한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수칙 중 하나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플라스틱 표면이나 스테인레스 등 금속표면에 최대 3일간 죽지 않고 묻어 있을 수 있고, 공기 중에 비말 형태로 떠 있는 경우 30분 체류가 가능하며 감염자로부터 최대 4m 가까이 이상 떨어져 있어야 안전하다는 보도도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버튼, 터치식 자동문 레버, ATM 버튼, 스마트 폰 등을 포함한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등을 손으로 직접 터치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이제 전염병 예방 및 퇴치에 있어 필수적인 공지의 사실이 되었다.
단지 코로나 바이러스 문제뿐만 아니라, 수구족병, 감기, 피부병을 포함하는 각종 질병 예방에 있어서도 버튼이나 스위치 등의 터치는 극히 주의해야 할 사안이다.
손을 통한 버튼이나 스위치 등의 직접적인 터치를 회피하여 바이러스 예방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버튼 등의 터치를 위해서는 특정한 터치 기구가 필요하다.
최근에 나무젓가락을 분질러 엘리베이터에 앞에 비치한 사업장도 나왔다.
물론, 플라스틱 봉이나 열쇠 등으로도 터치할 수 있으나, 한번 터치한 터치기구를 주머니에 넣을 수는 없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터치 후 터치기구를 즉시 버리기 어렵다.
하루에도 엘리베이터 버튼, ATM기 터치화면, 전철 매표자판기 버튼, 음료 자판기 버튼, 식당 자판기 버튼, 벽면 전원 스위치 등 각종 전원 스위치, 공용 PC 키보드, 아파트 현관 출입 버튼, 터치식 자동 출입문 레버, 디지털 도어락 버튼 등 많은 버튼 등을 반복적으로 우리는 터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각해보면 우리가 사는 세상은 버튼, 스위치 등으로 가득 차 있어 우리의 손은 항상 그것들을 터치하고 있다, 그것이 우리의 삶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73324호인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이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100)은 제 1뚜껑(110), 닙 바 홀더(120), 닙바(130), 몸체(140), 카트리지(150) 및 제2뚜껑(160)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몸체(140)와 카트리지(150)는 도체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100)을 맨손으로 잡았을 때, 사용자 몸의 정전기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100)을 통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제 1뚜껑(110)은 몸체(140)의 일단 즉 닙 바 홀더(120) 및 닙 바(130)를 덮어, 카트리지(150)로부터 닙 바(130)에 전달되는 다기능 액체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기능 액체로는 물, 세정제 및 소독제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합한 것이다.
닙 바 홀더(120)는 일단의 외면에 형성된 제 1나사산(122)을 이용하여 몸체(140)의 일 단에 결합하며, 반대 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테이퍼드(tapered) 형태의 몸체(121)를 가진다.
닙 바(130)는 닙 바 홀더(120)의 비어 있는 내부에 장착되며, 일 단은 닙 바 홀더의 반대 단으로 돌출되며, 반대 단은 카트리지(150)에 삽입되고, 양쪽 끝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고, 상술한 다기능 액체의 일정량을 접촉 면으로 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몸체(140)는 내부가 비어 있어 후술하는 카트리지(150)가 장착되며, 일 단의 내면에 형성된 제 2나사산(142)이 닙 바 홀더(120)를 구성하는 제 1나사산(122)과 체결되며, 반대 단의 내면에 형성된 제3 나사산(143)으로 후술하는 제 2뚜껑(160)이 체결되도록 한다. 몸체(140)의 외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충전량 확인용 윈도우(144)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150)는 상술한 다기능 액체를 담고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 단에 닙 바 삽입 홀(152)이 형성된 카트리지 바디(151), 카트리지 바디(151)의 내부에는 충전 표시패널(153), 밸브 유닛(154) 및 공기유출 제어유닛(155)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 2뚜껑(160)은 일단의 외부에 형성된 제 4나사산(161)을 이용하여 몸체(140)의 제 3나사산(143)과 체결되어, 몸체(140)의 내부에 장착된 카트리지(150)가 몸체(14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은 닙 바를 통해 액체를 조금씩 배출하여 정전방식의 터치펜의 고유 기능 이외에 터치펜의 사용 시 터치스크린의 이물질이나 대장균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물, 세정제 또는 소독제를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방출하도록 하는 데, 터치펜 자체를 소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와 같은 버튼부에 구리 재질의 항균 필름이 전면에 부착되는 데, 코로파 바이러스의 경우 항균 필름에서도 4시간 이상 생존할 수 있어 항균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733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부에 덮개부를 결합이나 배출 시 터치부의 표면과 터치봉 집 내부에 소독액이 도포되어 터치부 전체 및 터치봉 집 내부 전체를 소독함으로써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부와 터치부에 선택적으로 소독액을 저장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고, 덮개부에 터치부를 결합 시 나사 방식이나 압입 방식에 의해 내부를 밀폐시켜 터치부의 소독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소독액이 증발되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소독액을 충전하거나 카트리지 형태로 교체할 수 있어 손쉽게 소독액을 보충할 수 있고, 터치부나 덮개부에 소독액 분사부를 형성하여 내부의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시켜 터치부 및 덮개부의 표면이나 손, 소독하고자 하는 물체를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덮개부가 결합된 터치부가 수납부에서 누름 스위치 조작에 따라 탄성 힌지가 동작되어 터치부를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덮개부와 터치부에 각각 터치봉과 터치봉 집을 밀폐 결합부에 별도로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용기로 덮개부와 터치부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 경제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덮개부나 터치부에 각각 별도의 뚜껑을 결합할 수 있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으며, 덮개부와 터치부에 각각 소독액을 용이하게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손잡이 몸체에 터치봉이 형성되는 터치부와;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상기 터치부의 터치봉이 삽입되는 터치봉 집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봉 집에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치부의 터치봉이 상기 터치봉 집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상기 소독액 배출공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상기 터치봉의 표면에 도포시켜 상기 터치봉의 표면 및 터치봉 집을 소독하는 덮개부; 및 여기에서, 상기 터치부와 덮개부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시키는 밀폐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별도로 결합 시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봉은 이중 밀폐 결합부에 의해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중 밀폐 결합부의 일측면 또는 양면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소독액 배출공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소독액 배출공은 복수개가 형성 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소독액 배출공에는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 또는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는 상기 터치부가 힌지 결합되어 수납되고 회전되어 돌출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이 함유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는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는 상기 소독액 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독액 카트리지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손잡이 몸체에 터치봉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봉의 외측에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는 터치부와; 상기 터치부의 터치봉이 삽입되는 터치봉 집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부의 터치봉이 상기 터치봉 집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상기 소독액 배출공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상기 터치봉의 표면에 도포시켜 상기 터치봉의 표면 및 터치봉 집 내부를 소독하는 덮개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덮개부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시키는 밀폐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별도로 결합 시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봉은 이중 밀폐 결합부에 의해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중 밀폐 결합부의 일측면 또는 양면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소독액 배출공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소독액 배출공은 복수개가 형성 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소독액 배출공에는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 또는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는 상기 터치부가 힌지 결합되어 수납되고 회전되어 돌출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이 함유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상기 소독액 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독액 카트리지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손잡이 몸체에 터치봉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봉의 외측에 1개 이상의 제 1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는 터치부와;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상기 터치부의 터치봉이 삽입되는 터치봉 집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봉 집에 1개 이상의 제 2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치부의 터치봉이 상기 터치봉 집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2소독액 배출공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상기 터치봉의 표면에 도포시켜 상기 터치봉의 표면 및 터치봉 집 내부를 소독하는 덮개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덮개부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되는 밀폐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별도로 결합 시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봉은 이중 밀폐 결합부에 의해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중 밀폐 결합부의 일측면 또는 양면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1, 2소독액 배출공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1, 2소독액 배출공은 복수개가 형성 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1, 2소독액 배출공에는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 또는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는 상기 터치부가 힌지 결합되어 수납되고 회전되어 돌출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이 함유되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상기 소독액 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가 내부에 각각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독액 카트리지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동종의 소독액을 저장하거나 또는 이종의 소독액을 각각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에 따르면, 터치부에 덮개부를 결합이나 배출 시 터치부의 표면과 터치봉 집 내부에 소독액이 도포되어 터치부 전체 및 터치봉 집 내부 전체를 소독함으로써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와 터치부에 선택적으로 소독액을 저장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고, 덮개부에 터치부를 결합 시 나사 방식이나 압입 방식에 의해 내부를 밀폐시켜 터치부의 소독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소독액이 증발되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소독액을 충전하거나 카트리지 형태로 교체할 수 있어 손쉽게 소독액을 보충할 수 있고, 터치부나 덮개부에 소독액 분사부를 형성하여 내부의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시켜 터치부 및 덮개부의 표면이나 손, 소독하고자 하는 물체를 소독하여 교차 감염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가 결합된 터치부가 수납부에서 누름 스위치 조작에 따라 탄성 힌지가 동작되어 터치부를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덮개부와 터치부에 각각 터치봉과 터치봉 집을 밀폐 결합부에 별도로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용기로 덮개부와 터치부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 경제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덮개부나 터치부에 각각 별도의 뚜껑을 결합할 수 있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으며, 덮개부와 터치부에 각각 소독액을 용이하게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터치부가 수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소독액 분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함침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밸브형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에 소독액 카트리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 1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터치부가 수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소독액 분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함침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밸브형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에 소독액 카트리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터치부(10)와, 덮개부(20) 및 밀폐 결합부(30)로 구성된다.
먼저, 터치부(10)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손잡이 몸체(11)에 터치봉(13)이 형성된다. 이때, 터치봉(13)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금속 분말)이 함유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카본 재질로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대상 물체나 자체 표면 보호를 위해 표면에 실리콘과 같은 충격 방지 재질의 커버(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또, 손잡이 몸체(11)는 펜 형상, 열쇠 손잡이 형상, 립스틱 형상, 캐릭터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20)는 터치부(10)와 동일 크기로 내부에 과산화수소, 알코올, 물, 소금물, 비누액 등과 같은 소독액이 저장되고, 일측면에 터치부(10)의 터치봉(13)이 삽입되도록 별도의 격벽으로 구획된 터치봉 집(21)이 형성되며, 터치봉 집(21)에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A)이 형성되어 터치부(10)의 터치봉(13)이 터치봉 집(21)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소독액 배출공(A)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터치봉(13)의 표면과 터치봉 집(21) 내부를 도포시켜 터치봉(13)의 표면 및 터치봉 집(21) 내부를 동시에 소독한다. 이때, 터치봉 집(21)은 터치부(10)의 터치봉(13)이 삽입 및 배출시 마찰되는 직경을 가지거나 터치봉(13)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는 데, 마찰되는 경우 소독액 배출공(A)에서 배출된 소독액이 마찰력에 의해 터치봉(13)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지고, 터치봉(13)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경우 외력(삽입/배출 압력, 보행 충격)에 의해 터치봉 집(21)에 소독액이 낙하되거나 물방울 형태의 소독액과 접촉되면서 터치봉(13)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지게 된다.
또한, 덮개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B)가 더 구비되는 데, 소독액 분사부(B)는 뚜껑이 구비된 배출구, 디스펜서나 분사 노즐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덮개부(20)를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면 소독액 배출공(A)을 통해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을 통해 낙하되어 사용자 신체, 물체의 표면 등 원하는 부분의 소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덮개부(20)는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W)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I)가 구비된다. 이때, 투명창(W)은 전체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거나 일부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덮개부(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액 배출공(A)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C)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소독액 카트리지(C)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W)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소독액 카트리지(C)의 투명창(W)과 대응되는 위치에 덮개부(20) 역시 투명창(W)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가 형성 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 증발이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1~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터치봉 집(21)과 터치봉(13)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4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소독액 배출공(A)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는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D)가 구비되어 마찰, 압력,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을 함침시켜 터치봉(13)과 접촉되면 소독시킬 수 있다. 이때, 함침 부재(D)는 소독액 배출공(A)의 배출 측에 거즈나 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소독액을 소량 머금어 배출하지 않은 채 터치봉(13)이 터치봉 집(21) 내부로 삽입될 시 발생되는 압력이나 마찰 또는 사용자의 외력 등이 있을 때만 소독액 배출공(A)에서 소독액을 배출하여 함침 부재(D)에 소독액이 함침되어 터치봉(13)에 묻게끔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이 평상시 유출되지 않는 직경을 가지고, 외력이 발생 시에만 함침 부재(D)로 소독액이 배출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 예로 소독액 배출공(A)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E)가 더 구비될 수 있는 데, 밸브형 조절 장치(E)는 소독액 배출공(A)에 나사 결합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좌우로 회전시키면 배출 유로(E1)의 크기가 조절되면서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봉 집(21) 내부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소독액을 배출하여 터치봉(13)을 소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밀폐 결합부(30)는 터치부(10)와 덮개부(20)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시키는 데, 도면에서는 돌기(31)와 홈(33)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압입 방식을 도시하였고, 실링을 위해 오링(3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밀폐 결합부(30)에 의해 소독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주머니, 가방 등에 넣거나 빼는 동작이나 걷거나 움직이는 동작 등에 의해 외력이 발생하면 소독액이 소독액 배출공(A)에서 낙하되어 터치봉(13) 표면에 얇은 막 형태로 흘러 도포되거나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으로 소량 낙하되어 고이게 되고, 터치봉 집(21)에 고인 소독액이 다시 터치봉 집(21) 내부와 터치봉(13) 표면을 고루 적시는 순환 소독과정이 반복되게 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덮개부(20)에 터치봉(13)이 결합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소독액의 외부 유출이나 증발로 인한 소모가 방지되고, 덮개부(20)를 분리 후 즉시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 덮개부(20)를 재결합하는 동작만으로 자동 소독, 완전 소독(멸균), 지속적인 소독이 가능하며 소독액 낭비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을 위해 덮개부(20)에서 터치봉(13)을 빼내면 소독액 배출공(A)에는 미세한 이슬방울 형태로 소독액이 다시 맺히고 흔들지 않는 한 흘러내리지 않아 소독액 소모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소독액이 저장되는 덮개부(20)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소형으로도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덮개부(20)의 부피가 작아지므로 전체 부피를 줄여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더욱이 수납부(40) 내로 터치부(10)와 덮개부(20)가 결합된 상태로 한꺼번에 접어 넣어 수납할 수 있는 접이식 구조도 소형으로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부(10)가 힌지 결합되어 수납되고 180°회전되어 돌출되는 수납부(40)가 구비된다. 이때, 힌지 결합 구조는 자동차 스마트 키의 키 수납 구조와 같은 통상의 구조로 탄성 힌지(41)와 버튼(43)을 구비한다. 이때, 수납부(40)가 터치부(10)를 90°만 회전시켜 문고리나 수도꼭지 레버 등을 당기거나 밀 수 있는 기억자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필요에 따라 내장 배터리를 구비하여 LED로 빛을 발생하거나, USB가 내장될 수도 있고, 자외선 LED가 구비되어 자외선으로 소독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LCD 및 각종 제어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고, 손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의 비치없이도 자체 전원으로 스크린 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제 2실시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터치부(10)와, 덮개부(20)로 구성된다.
먼저, 제 2실시 예는 제 1실시 예와 반대로 터치부(10)에 소독액이 저장되는 방식이고, 덮개부(20)는 터치봉(13)을 감쌀 수 있는 부피로 형성되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터치부(10)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손잡이 몸체(11)에 터치봉(13)이 형성된다. 이때, 터치봉(13)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금속 분말)이 함유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카본 재질로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대상 물체나 자체 표면 보호를 위해 표면에 실리콘과 같은 충격 방지 재질의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될 수도 있다. 또, 손잡이 몸체(11)는 펜 형상, 열쇠 손잡이 형상, 립스틱 형상, 캐릭터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부(10)는 내부에 과산화수소, 알코올, 물, 소금물, 비누액 등과 같은 소독액이 저장되고, 터치봉(13)에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A)이 형성되어 터치부(10)의 터치봉(13)이 덮개부(20)의 터치봉 집(21)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소독액 배출공(A)에서 배출된 소독액이 터치봉(13)의 표면과 터치봉 집(21) 내부를 도포시켜 터치봉(13)의 표면 및 터치봉 집(21)을 동시에 소독한다.
또한, 터치부(10)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B)가 더 구비되는 데, 소독액 분사부(B)는 뚜껑이 구비된 배출구, 디스펜서나 분사 노즐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덮개부(20)를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면 소독액 배출공(A)을 통해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을 통해 낙하되어 사용자 신체, 물체의 표면 등 원하는 부분의 소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터치부(10)는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W)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I)가 구비된다. 이때, 투명창(W)은 전체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거나 일부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터치부(10)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게 소독액 배출공(A)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C)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소독액 카트리지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W)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소독액 카트리지(C)의 투명창(W)과 대응되는 위치에 터치부(10) 역시 투명창(W)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가 형성 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 증발이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1~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터치봉(13)과 덮개부(20)의 터치봉 집(21)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4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소독액 배출공(A)에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게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D)가 구비되어 마찰, 압력,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을 함침시켜 터치봉(13)과 접촉되면 소독시킬 수 있다. 이때, 함침 부재(D)는 소독액 배출공(A)의 배출 측에 거즈나 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소독액을 소량 머금어 배출하지 않은 채 터치봉(13)이 터치봉 집(21) 내부로 삽입될 시 발생되는 압력이나 마찰 또는 사용자의 외력 등이 있을 때만 소독액 배출공(A)에서 소독액을 배출하여 함침 부재(D)에 소독액이 함침되어 터치봉(13)에 묻게끔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이 평상시 유출되지 않는 직경을 가지고, 외력이 발생 시에만 함침 부재(D)로 소독액이 배출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 예로 소독액 배출공(A)에는 제 1실시 예와 같이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E)가 더 구비될 수 있는 데, 밸브형 조절 장치(E)는 소독액 배출공(A)에 나사 결합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좌우로 회전시키면 배출 유로(E1)의 크기가 조절되면서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봉 집(21) 내부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소독액을 배출하여 터치봉(13)을 소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덮개부(20)는 터치부(10)와 일측면에 터치부(10)의 터치봉(13)이 삽입되는 터치봉 집(21)이 형성되어 터치부(10)의 터치봉(13)이 터치봉 집(21)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터치봉(13)의 소독액 배출공(A)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터치봉(13)의 표면과 터치봉 집(21) 내부에 도포시켜 터치봉(13)의 표면 및 터치봉 집(21)을 동시에 소독한다. 이때, 터치봉 집(21)은 터치부(10)의 터치봉(13)이 삽입 및 배출시 마찰되는 직경을 가지거나 터치봉(13)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는 데, 마찰되는 경우 소독액 배출공(A)에서 배출된 소독액이 마찰력에 의해 터치봉(13)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지고, 터치봉(13)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경우 외력(삽입/배출 압력, 보행 충격)에 의해 터치봉 집(21)에 소독액이 낙하되거나 물방울 형태의 소독액과 접촉되면서 터치봉(13)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지게 된다.
계속해서, 밀폐 결합부(30)는 터치부(10)와 덮개부(20)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시키는 데, 도면에서는 돌기(31)와 홈(33)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압입 방식을 도시하였고, 실링을 위해 오링(3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밀폐 결합부(30)에 의해 소독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주머니, 가방 등에 넣거나 빼는 동작이나 걷거나 움직이는 동작 등에 의해 외력이 발생하면 소독액이 소독액 배출공(A)에서 낙하되어 터치봉(13) 표면에 얇은 막 형태로 흘러 도포되거나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으로 소량 낙하되어 고이게 되고, 터치봉 집(21)에 고인 소독액이 다시 터치봉 집(21) 내부와 터치봉(13) 표면을 고루 적시는 순환 소독과정이 반복되게 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덮개부(20)에 터치봉(13)이 결합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소독액의 외부 유출이나 증발로 인한 소모가 방지되고, 덮개부(20)를 분리 후 즉시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 덮개부(20)를 재결합하는 동작만으로 자동 소독, 완전 소독(멸균), 지속적인 소독이 가능하며 소독액 낭비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을 위해 덮개부(20)에서 터치봉(13)을 빼내면 소독액 배출공(A)에는 미세한 이슬방울 형태로 소독액이 다시 맺히고 흔들지 않는 한 흘러내리지 않아 소독액 소모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소독액이 저장되는 덮개부(20)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소형으로도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덮개부(20)의 부피가 작아지므로 전체 부피를 줄여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더욱이 수납부(40) 내로 터치부(10)와 덮개부(20)가 결합된 상태로 한꺼번에 접어 넣어 수납할 수 있는 접이식 구조도 소형으로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제 1실시 예와 같이 터치부(10)가 힌지 결합되어 수납되고 180° 회전되어 돌출되는 수납부(40)가 구비된다. 이때, 힌지 결합 구조는 자동차 스마트 키의 키 수납 구조와 같은 통상의 구조로 탄성 힌지(41)와 버튼(43)을 구비한다. 이때, 수납부(40)가 터치부(10)를 90°만 회전시켜 문고리나 수도꼭지 레버 등을 당기거나 밀 수 있는 기억자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제 1실시 예와 같이 필요에 따라 내장 배터리를 구비하여 LED로 빛을 발생하거나, USB가 내장될 수도 있으며, 자외선 LED가 구비되어 자외선으로 소독을 수행할 수 있고, LCD 및 각종 제어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LCD 및 각종 제어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고, 손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의 비치없이도 자체 전원으로 스크린 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제 3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터치부(10)와, 덮개부(20)로 구성된다.
먼저, 제 3실시 예는 제 1실시 예의 덮개부(20)와, 제 2실시 예의 터치부(10)가 조합되어 각각 소독액이 저장되는 방식이다.
터치부(10)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손잡이 몸체(11)에 터치봉(13)이 형성된다. 이때, 터치봉(13)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금속 분말)이 함유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카본 재질로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대상 물체나 자체 표면 보호를 위해 표면에 실리콘과 같은 충격 방지 재질의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될 수도 있다. 또, 손잡이 몸체(11)는 펜 형상, 열쇠 손잡이 형상, 립스틱 형상, 캐릭터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부(10)는 내부에 과산화수소, 알코올, 물, 소금물, 비누액 등과 같은 소독액이 저장된다.
또한, 덮개부(20)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로 터치부(10)와 동일 크기로 내부에 과산화수소, 알코올, 물, 소금물, 비누액 등과 같은 소독액이 저장되고, 일측면에 터치부(10)의 터치봉(13)이 삽입되도록 별도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터치봉 집(21)이 형성된다. 이때, 터치봉 집(21)은 터치부(10)의 터치봉(13)이 삽입 및 배출시 마찰되는 직경을 가지거나 터치봉(13)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는 데, 마찰되는 경우 소독액이 마찰력에 의해 터치봉(13)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지고, 터치봉(13)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경우 외력(삽입/배출 압력, 보행 충격)에 의해 터치봉 집(21)에 소독액이 낙하되거나 물방울 형태의 소독액과 접촉되면서 터치봉(13)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지게 된다.
또, 터치부(10)의 터치봉(13)에는 1개 이상의 제 1소독액 배출공(A)이, 덮개부(20)의 터치봉 집(21)에는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A)이 각각 형성되어 터치부(10)의 터치봉(13)이 터치봉 집(21)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제 1, 2소독액 배출공(A)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터치봉(13)의 표면에 도포시켜 터치봉(13)의 표면 및 터치봉 집(21) 내부를 동시에 소독한다.
또한, 터치부(10)와 덮개부(20)는 각각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B)가 더 구비되는 데, 소독액 분사부(B)는 뚜껑이 구비된 배출구, 디스펜서나 분사 노즐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터치부(10)의 터치부 몸체(11)와 덮개부(20)를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면 제 1, 2소독액 배출공(A)을 통해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을 통해 낙하되어 사용자 신체, 물체의 표면 등 원하는 부분의 소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터치부(10)와 덮개부(20)는 각각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W)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I)가 구비된다. 이때, 투명창(W)은 전체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거나 일부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터치부(10)와 덮개부(20)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게 각각 소독액 배출공(A)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C)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소독액 카트리지(C)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W)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소독액 카트리지(C)의 투명창(W)과 대응되는 위치에 터치부(10) 역시 투명창(W)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2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가 형성 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제 1, 2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 증발이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1~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터치부(10)의 터치봉(13)과 덮개부(20)의 터치봉 집(21)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4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제 2소독액 배출공(A)에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게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D)가 구비되어 마찰, 압력,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을 함침시켜 터치봉(13)과 접촉되면 소독시킬 수 있다. 이때, 함침 부재(D)는 제 2소독액 배출공(A)의 배출 측에 거즈나 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소독액을 소량 머금어 배출하지 않은 채 터치봉(13)이 터치봉 집(21) 내부로 삽입될 시 발생되는 압력이나 마찰 또는 사용자의 외력 등이 있을 때만 제 1, 2소독액 배출공(A)에서 소독액을 배출하여 함침 부재(D)에 소독액이 함침되어 터치봉(13)에 묻게끔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 1, 2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이 평상시 유출되지 않는 직경을 가지고, 외력이 발생 시에만 함침 부재(D)로 소독액이 배출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 예로 소독액 배출공(A)에는 제 1실시 예와 같이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E)가 더 구비될 수 있는 데, 밸브형 조절 장치(E)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A)에 나사 결합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좌우로 회전시키면 배출 유로(E1)의 크기가 조절되면서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봉 집(21) 내부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소독액을 배출하여 터치봉(13)을 소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밀폐 결합부(30)는 터치부(10)와 덮개부(20)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시키는 데, 도면에서는 돌기(31)와 홈(33)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압입 방식을 도시하였고, 실링을 위해 오링(3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밀폐 결합부(30)에 의해 소독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주머니, 가방 등에 넣거나 빼는 동작이나 걷거나 움직이는 동작 등에 의해 외력이 발생하면 소독액이 소독액 배출공(A)에서 낙하되어 터치봉(13) 표면에 얇은 막 형태로 흘러 도포되거나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으로 소량 낙하되어 고이게 되고, 터치봉 집(21)에 고인 소독액이 다시 터치봉 집(21) 내부와 터치봉(13) 표면을 고루 적시는 순환 소독과정이 반복되게 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덮개부(20)에 터치봉(13)이 결합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소독액의 외부 유출이나 증발로 인한 소모가 방지되고, 덮개부(20)를 분리 후 즉시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 덮개부(20)를 재결합하는 동작만으로 자동 소독, 완전 소독(멸균), 지속적인 소독이 가능하며 소독액 낭비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을 위해 덮개부(20)에서 터치봉(13)을 빼내면 소독액 배출공(A)에는 미세한 이슬방울 형태로 소독액이 다시 맺히고 흔들지 않는 한 흘러내리지 않아 소독액 소모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소독액이 저장되는 덮개부(20)의 공간을 부피를 최소화하여 소형으로도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덮개부(20)의 부피가 작아지므로 전체 부피를 줄여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더욱이 수납부(40) 내로 터치부(10)와 덮개부(20)가 결합된 상태로 한꺼번에 접어 넣어 수납할 수 있는 접이식 구조도 소형으로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제 1실시 예와 같이 터치부(10)가 힌지 결합되어 수납되고 180°회전되어 돌출되는 수납부(40)가 구비된다. 이때, 힌지 결합 구조는 자동차 스마트 키의 키 수납 구조와 같은 통상의 구조로 탄성 힌지(41)와 버튼(43)을 구비한다. 이때, 수납부(40)가 터치부(10)를 90°만 회전시켜 문고리나 수도꼭지 레버 등을 당기거나 밀 수 있는 기억자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제 1실시 예와 같이 필요에 따라 내장 배터리를 구비하여 LED로 빛을 발생하거나, USB가 내장될 수도 있으며, 자외선 LED가 구비되어 자외선으로 소독을 수행할 수 있고, LCD 및 각종 제어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LCD 및 각종 제어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고, 손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의 비치없이도 자체 전원으로 스크린 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제 4실시 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는 소독액 배출공(A)이 구비된 터치봉 집(21)이 별도로 결합되고, 소독액이 내부에 저장되는 2개의 덮개부(20)와 1개의 터치부(10)로 이루어지고, 덮개부(20)와 터치부(10)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밀폐 결합부(3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각각의 덮개부(20)의 입구에는 터치봉 집(21)이 안착되는 밀폐 결합부(30)의 볼트가 형성되고, 터치부(10)의 양단에는 밀폐 결합부(30)의 너트가 구비되어 덮개부(20)의 나사와 터치부(10)의 너트에 상호 결합되어서 상부의 덮개부(20)가 제 1실시 예의 덮개부, 하부의 덮개부(20)가 제 2실시 예의 터치부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터치봉(13)의 너트가 이중 밀폐 결합부의 구조로 양단이 각 덮개부(20)의 밀폐 결합부(30)에 나사 타입으로 결합되고, 너트 결합부의 상면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로 소독액이 유통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되면, 여분의 덮개부(20)를 구비하고 있다가 소독액이 모두 사용되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덮개부(20)에 동종 또는 이종의 소독액(과산화수소, 알코올, 물, 소금물, 비누액 등)을 각각 저장할 수도 있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소독액을 사용할 수 있고, 덮개부(20)에서 터치봉 집(21)을 제거한 후 내부에 소독액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의 밀폐 결합부(30)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터치부(10)를 원하는 덮개부(2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덮개부(20)를 가압하면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의 소독액 배출공(A)을 통해 배출되므로 별도의 소독액 분사부(B)와 밸브형 조절 장치(E)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를 간략화시켜 제품의 생산성, 경제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실시 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는 소독액 배출공(A)이 구비된 터치봉 집(21)이 별도로 결합되고, 소독액이 내부에 저장되는 2개의 덮개부(20)와 2개의 터치부(10)로 이루어지고, 덮개부(20)와 터치부(10)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밀폐 결합부(3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각각의 덮개부(20)의 입구에는 터치봉 집(21)이 안착되는 밀폐 결합부(30)의 볼트가 형성되고, 터치부(10)의 양단에는 밀폐 결합부(30)의 너트가 구비되어 덮개부(20)의 나사와 터치부(10)의 너트에 상호 결합되어서 상부의 덮개부(20)가 제 1실시 예의 덮개부, 하부의 덮개부(20)가 제 2실시 예의 터치부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터치봉(13)의 너트가 이중 밀폐 결합부의 구조로 양단이 각 덮개부(20)의 밀폐 결합부(30)에 나사 타입으로 결합되고, 너트 결합부의 상면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로 소독액이 유통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데, 어느 하나의 터치봉(13)은 다중이 이용하는 공용 버튼(엘리베이터, 화장실 레버 등)에 사용하기 위함이고, 다른 하나의 터치봉(13)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 액정 터치에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되면, 여분의 덮개부(20)를 구비하고 있다가 소독액이 모두 사용되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덮개부(20)에 동종 또는 이종의 소독액(과산화수소, 알코올, 물, 소금물, 비누액 등)을 각각 저장할 수도 있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소독액을 사용할 수 있고, 덮개부(20)에서 터치봉 집(21)을 제거한 후 내부에 소독액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의 밀폐 결합부(30)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터치부(10)를 원하는 덮개부(2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덮개부(20)를 가압하면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의 소독액 배출공(A)을 통해 배출되므로 별도의 소독액 분사부(B)와 밸브형 조절 장치(E)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를 간략화시켜 제품의 생산성, 경제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6실시 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는 소독액 배출공(A)이 구비된 터치봉 집(21)이 별도로 결합되고, 소독액이 내부에 저장되는 덮개부(20)와 터치부(10)로 이루어지고, 덮개부(20)와 터치부(10)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밀폐 결합부(3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덮개부(20)에는 밀폐 결합부(30)의 볼트가 돌출 형성되고, 터치부(10)에는 밀폐 결합부(30)의 너트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고, 터치봉 집(21)은 덮개부(20)의 밀폐 결합부(30)에 안착되며, 터치봉(13)은 터치부(10)의 밀폐 결합부(3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되면, 여분의 덮개부(20)를 구비하고 있다가 소독액이 모두 사용되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덮개부(20)와 터치부(10)에 동종 또는 이종의 소독액(과산화수소, 알코올, 물, 소금물, 비누액 등)을 각각 저장할 수도 있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소독액을 사용할 수 있고, 덮개부(20)에서 터치봉 집(21)을 제거한 후 내부에 소독액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를 가압하면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의 소독액 배출공(A)을 통해 배출되므로 별도의 소독액 분사부(B)와 밸브형 조절 장치(E)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를 간략화시켜 제품의 생산성, 경제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터치부(10)에 소독액 카트리지을 보관하게 되면, 손과, 소독하고자 하는 물체를 소독할 수 있어 교차 감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터치부 11 : 손잡이 몸체
13 : 터치봉 20 : 덮개부
21 : 터치봉 집 30 : 밀폐 결합부
40 : 수납부 A : 소독액 배출공
B : 소독액 분사부 C : 소독액 카트리지

Claims (14)

  1. 손잡이 몸체에 터치봉이 형성되는 터치부와;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내부에 상기 터치부의 터치봉이 삽입되는 터치봉 집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봉 집에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치부의 터치봉이 상기 터치봉 집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상기 소독액 배출공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상기 터치봉의 표면에 도포시켜 상기 터치봉의 표면 및 터치봉 집 내부를 소독하는 덮개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덮개부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되는 밀폐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2.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손잡이 몸체에 터치봉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봉의 외측에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는 터치부와;
    상기 터치부의 터치봉이 삽입되는 터치봉 집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부의 터치봉이 상기 터치봉 집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상기 소독액 배출공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상기 터치봉의 표면에 도포시켜 상기 터치봉의 표면 및 터치봉 집 내부를 소독하는 덮개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덮개부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되는 밀폐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3.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손잡이 몸체에 터치봉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봉의 외측에 1개 이상의 제 1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는 터치부와;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상기 터치부의 터치봉이 삽입되는 터치봉 집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봉 집에 1개 이상의 제 2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치부의 터치봉이 상기 터치봉 집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2소독액 배출공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상기 터치봉의 표면에 도포시켜 상기 터치봉의 표면 및 터치봉 집 내부를 소독하는 덮개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덮개부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되는 밀폐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별도로 결합 시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은,
    이중 밀폐 결합부에 의해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중 밀폐 결합부의 일측면 또는 양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지고, 복수개가 형성 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에는,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 또는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는,
    상기 터치부가 힌지 결합되어 수납되고 회전되어 돌출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이 함유되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또는 상기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독액 카트리지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동종의 소독액을 저장하거나 또는 이종의 소독액을 각각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KR1020200048719A 2020-04-22 2020-04-22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KR10212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719A KR102124743B1 (ko) 2020-04-22 2020-04-22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PCT/KR2021/004905 WO2021215773A1 (ko) 2020-04-22 2021-04-19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719A KR102124743B1 (ko) 2020-04-22 2020-04-22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743B1 true KR102124743B1 (ko) 2020-06-18

Family

ID=7114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719A KR102124743B1 (ko) 2020-04-22 2020-04-22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4743B1 (ko)
WO (1) WO202121577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1568A (zh) * 2021-05-24 2021-10-19 张美洁 一种防止病毒交叉感染的医疗疾控装置
WO2021215773A1 (ko) * 2020-04-22 2021-10-28 Lee Jeongsoo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KR20220040006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제이앤비 알칼리수를 이용한 소독 시스템
KR20220043941A (ko) * 2020-09-28 2022-04-06 주식회사스페이스온 간접 터치 또는 가압용 자외선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7973B (zh) * 2021-12-31 2022-12-27 金华新远方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可规避交叉感染的触摸传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11B1 (ko) * 2012-11-22 2013-04-15 김성철 디스플레이 클리너
KR20190052246A (ko) * 2017-11-08 2019-05-16 오정근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02Y1 (ko) * 2009-07-20 2010-02-12 주식회사 보노텍 회전형 터치펜이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변환젠더
KR200465806Y1 (ko) * 2010-11-12 2013-03-11 장중호 휴대용 휴대폰 소독기
KR20150001571U (ko) * 2013-10-16 2015-04-24 황인철 다기능으로 사용되는 호신용 스프레이
KR102124743B1 (ko) * 2020-04-22 2020-06-18 이정수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11B1 (ko) * 2012-11-22 2013-04-15 김성철 디스플레이 클리너
KR20190052246A (ko) * 2017-11-08 2019-05-16 오정근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
KR102073324B1 (ko) 2017-11-08 2020-02-03 오정근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773A1 (ko) * 2020-04-22 2021-10-28 Lee Jeongsoo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KR20220040006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제이앤비 알칼리수를 이용한 소독 시스템
KR20220043941A (ko) * 2020-09-28 2022-04-06 주식회사스페이스온 간접 터치 또는 가압용 자외선살균장치
KR102539029B1 (ko) * 2020-09-28 2023-06-01 주식회사스페이스온 터치 또는 가압용 누름장치
CN113511568A (zh) * 2021-05-24 2021-10-19 张美洁 一种防止病毒交叉感染的医疗疾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773A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743B1 (ko)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JP5800891B2 (ja) ドアハンドル
KR1008358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벽면 부착용 손 소독기
US2527955A (en) Self-disinfecting arrangement
KR20130004183U (ko) 자외선 살균기능이 있는 마우스 키보드 수납구
KR20170046265A (ko) 자외선 살균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JP5458351B2 (ja) 簡易液体噴霧装置
KR100970888B1 (ko) 손 소독기
US8240930B2 (en) Personal hygiene apparatus
KR102202673B1 (ko)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
KR200465806Y1 (ko) 휴대용 휴대폰 소독기
US6726055B1 (en) Hand shield dispenser and disposal system
KR102471942B1 (ko)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ES1212963U (es) Carcasa con cavidades huecas rellenables, con depósito desinfectante para móviles y otros dispositivos electrónicos análogos
WO2021224533A1 (es) Puerta descontaminante de acceso
US201802641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nitizing Stethoscope Heads
CN212631263U (zh) 一种便捷式消毒抗菌器
KR102478862B1 (ko) 수납부가 포함된 팔찌
TWI758040B (zh) 消毒液塗佈器
KR102260643B1 (ko) 펜 타입 휴대용 약통
KR20190110373A (ko) 대용량 액체 저장용기용 정량 배출펌프
KR200173386Y1 (ko) 손 세척용 살균용액 저장용기
KR20110059330A (ko) 향수캡슐이 함유된 손 세정제
KR200399643Y1 (ko) 소독기능이 구비된 액세서리형 교통카드
ES1250016U (es) Dispositivo de munequera/pulsera dispensador de fluidos con dosificador incorpor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