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695B1 -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695B1
KR102471695B1 KR1020200047322A KR20200047322A KR102471695B1 KR 102471695 B1 KR102471695 B1 KR 102471695B1 KR 1020200047322 A KR1020200047322 A KR 1020200047322A KR 20200047322 A KR20200047322 A KR 20200047322A KR 102471695 B1 KR102471695 B1 KR 102471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m formwork
slider
rai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403A (ko
Inventor
문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엘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엘디
Priority to KR1020200047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69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Abstract

건물의 보를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을 지지하는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시하며, 상기 보 거푸집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더부; 상기 보 거푸집의 양측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 거푸집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보 거푸집의 양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 거푸집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부; 상기 보 거푸집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보 거푸집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거더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서포트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레일부; 및 상기 한 쌍의 서포트부 각각을 상기 한 쌍의 레일부 각각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서포트부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서포트부를 이동한 상태로 고정하는 서포트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IMPROVED SUPPORTING APPARATUS FOR GIRDER FORM}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개량형 보 거푸집용 측판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보를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는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 시공 시 적용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액체상태의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굳힘으로서 구조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조형성이 매우 뛰어난 공법이다.
이에 따라, 건축 시공 시 콘크리트 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보를 타설할 수 있는 보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한다.
여기서, 콘크리트 보는 건축물의 천장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므로 보 거푸집을 통형상으로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 거푸집은 1장의 밑판과 2장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면서 위가 열린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 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보 거푸집은 철근과 콘크리트를 포함한 자재 및 시공하중이 밑판에 작용함과 동시에 액체상태의 콘크리트의 유동화로 수평하중이 발생하여 측판을 밖으로 밀어내려고 하는 측압이 작용하므로 측판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 거푸집을 시공할 경우에는 지지장치를 설치하여 보 거푸집의 밑면 및 측면을 지지하고 있다.
통상적인 보 거푸집 지지장치는, 조절부에 의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두 개의 본체부재와, 두 개의 본체부재를 지지하는 각각 다른 서포터와, 본체부재의 위쪽에 수직으로 접합되는 지지부로 구성된 보 지지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보 지지장치는 작업자가 조절부를 회전시키면 두 개의 지지부재가 서로 모아져 측면 거푸집에 밀착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이 끝나면 작업자는 조절부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켜 두 개의 지지부재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측면 거푸집에서 분리시킴에 따라 보 지지장치의 설치 및 해체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러한 종래의 보 거푸집 지지장치는 두 개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의 폭 조절이 가능하나 지지부재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특히, 종래의 보 거푸집 지지장치는 지지부재가 일정 간격을 단위로 이동하기 때문에 일정 간격 이내의 거리에서 이동할 수가 없어서 지지부재를 보 거푸집에 밀착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372호에 제시된 콘크리트보 형성을 위한 보거푸집의 측면지지시스템을 살펴보면, 보거푸집을 하단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체 상에 설치되어 보거푸집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보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보브라켓은 하부지지체의 외곽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부재가 직립대와 함께 보거푸집 방향으로 이동하고, 베이스부재 및 하부지지체에 복수로 형성된 잠금공을 통해 고정되면서 직립대를 통해 보거푸집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선행기술은 베이스부재가 잠금공들의 간격을 단위로만 이동이 가능하므로 보거푸집에 원활하게 밀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하부지지체를 고정식으로 구성하면서 보거푸집의 위치기 변경될 경우에는 하부지지체를 분리한 후 다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보 거포집의 양측에 각각 레일부를 고정된 상태로 설치하고,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트부를 통해 보 거푸집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보 거푸집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부를 소정의 간격을 단위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서포트부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보를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을 지지하는 보 거푸집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더부; 상기 보 거푸집의 양측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 거푸집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보 거푸집의 양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 거푸집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부; 상기 보 거푸집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보 거푸집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거더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서포트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레일부; 및 상기 한 쌍의 서포트부 각각을 상기 한 쌍의 레일부 각각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서포트부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서포트부를 이동한 상태로 고정하는 서포트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이동부는, 상기 서포트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레일부에 걸리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서포트부와 함께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 및 상기 레일부에 홈이나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며, 복수를 이루면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소정의 간격을 단위로 허용하는 돌기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이동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서포트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서포트부의 연속적인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돌기홀더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의 고정 시 상기 서포트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서포트부를 상기 보 거푸집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암나사를 이루는 밀착너트; 및 상기 서포트부에 공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밀착너트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서포트부를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하고, 정회전이나 역회전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서포트부와 함께 전후진하는 밀착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홀더는, 상기 레일부의 상면에 구멍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면서 앵글형태의 단면을 이루면서 돌출되어 상기 돌기홀더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통해 상기 돌기홀더의 단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상기 보 거푸집쪽 일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보 거푸집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포스트; 및 상기 수직포스트의 상단부와 상기 수평바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타단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수직포스트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한 쌍의 레일부가 보 거푸집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레일부가 서포트부를 좀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서포트이동부에 의한 서포트부의 이동을 통해 보 거푸집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서포트이동부를 구성하는 걸림돌기 및 돌기홀더가 복수를 이루면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므로 서포트부가 소정의 간격을 단위로 이동하면서 보 거푸집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일부의 설치위치가 변경될 경우에도 레일부를 분리하지 않고도 서포트부를 이동시켜 보 거푸집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서포트이동부를 구성하는 밀착부재에 의해 서포트부의 연속적이 이동이 가능하므로 서포트부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보 거푸집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서포트이동부를 구성하는 걸림돌기가 앵글형태의 단면을 이루면서 슬라이더의 하부에 돌출되어 돌기홀더에 결합되므로 서포트부가 이동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건물의 콘크리트 보(1)를 시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좀 더 자세히는 콘크리트 보(1)를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2)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부(100), 서포트부(200), 레일부(300) 및 서포트이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더부(100)는 보 거푸집(2)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거더부(100)는 판재 또는 각재로 형성되거나 판재와 각재가 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보 거푸집(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보 거푸집(2)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미도시된 지면서포터에 의해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200)는 보 거푸집(2)의 양쪽 측면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서포트부(200)는 후술되는 레일부(300) 서포트이동부(400)를 매개로 하여 보 거푸집(2)의 양측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보 거푸집(2)을 향해 이동하여 보 거푸집(2)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보 거푸집(2)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부(200)는 수평바(210), 수직포스트(220) 및 보강바(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바(210)는 후술되는 서포트이동부(400)를 구성하는 슬라이더(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보 거푸집(2)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보 거푸집(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평바(210)는 슬라이더(410)과 포개질 수 있도록 'ㄷ'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더(4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포스트(2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바(210)에 고정되면서 보 거푸집(2)의 측면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직포스트(2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바(210)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보 거푸집(2)쪽 일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수평바(210)의 이동을 통해 보 거푸집(2)의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보 거푸집(2)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포스트(220)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관으로 구성되어 보 거푸집(2)의 측면에 대응하는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수직포스트(220)는 수평바(210)에 미도시된 힌지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직포스트(220)는 운반시나 보관시 수평바(210)와 포개지면서 접힐 수 있다.
상기 보강바(230)는 수직포스트(22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보강바(230)는 수직포스트(220)의 상단부와 수평바(210)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고정되어 경사상태로 수직포스트(220)를 지지함으로써 수직포스트(220)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바(230)는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미도시된 힌지축을 통해 수평바(2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힌지축을 통해 수직포스트(22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직포스트(220)와 함께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바(230)는 타단부가 수직포스트(220)에서 분리되면서 수직포스트(220)와 수평바(210)의 접힘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일단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수평바(210)에 포개지면서 접힐 수 있다.
한편, 보강바(23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턴버클 방식으로 구성되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수직포스트(220)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일부(300)는 전술한 서포트부(20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레일부(30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보 거푸집(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거더부(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보 거푸집(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한 쌍의 서포트부(200)의 이동경로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설치공(31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거더부(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면에 후술되는 서포트이동부(4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돌기홀더(430)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부(30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복수로 분할된 텔레스코픽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서포트이동부(400)는 전술한 한 쌍의 서포트부(200) 각각을 한 쌍의 레일부(300) 각각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서포트이동부(400)는 서포트부(200)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서포트부(200)를 이동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서포트부(200)를 보 거푸집(2)의 측면에 밀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서포트이동부(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410), 걸림돌기(420) 및 돌기홀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10)는 전술한 서포트부(200)를 구성하는 수평바(210)에 결합된 상태로 레일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도이다.
이러한 슬라이더(410)는 대략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밀착부재(440)를 매개로 하여 수평바(2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레일부(300)에 포개진 형태로 결합되어 레일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420)는 슬라이더(410)를 서포트부(200)와 함께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걸림돌기(420)는 슬라이더(41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가 돌기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부(300)에 형성되는 후술되는 돌기홀더(430)에 걸림으로써 슬라이더(410)를 서로트부(200)와 함께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돌기홀더(430)는 걸림돌기(420)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돌기홀더(4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300)의 상면에 구멍형태로 형성되거나 홈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돌기(420)의 끼움부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를 이루면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더(410)의 이동을 소정의 간격을 단위로 허용할 수 있다.
즉, 슬라이더(410)는 복수를 이루는 돌기홀더(430)의 간격만큼 이동하면서 보 거푸집(2)의 측면에 밀착되거나 보 거푸집(2)에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홀더(430)는 5cm의 간격을 이루면서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더(410)를 5cm의 간격을 단위로 이동시키면서 걸림돌기(420)의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포트부(200)는 거더부(100)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레일부(300)를 거더부(100)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걸림돌기(420) 및 돌기홀더(420)를 통한 슬라이더(410)의 이동을 통해 보 거푸집(2)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걸림돌기(4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형태의 단면을 이루면서 슬라이더(410)의 저면에 복수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410)의 이동을 통해 돌기홀더(430)의 단부에 걸리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이동부(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4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440)는 전술한 돌기홀더(430)를 통해 소정의 간격을 단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410)의 연속적인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서포트부(200) 위치를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밀착부재(440)는 걸림돌기(420) 및 돌기홀더(430)에 의한 슬라이더(410)의 고정 시 서포트부(200)를 구성하는 수평바(210)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서포트부(200)의 수직포스트(220)를 보 거푸집(2)의 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밀착부재(440)는 밀착너트(441) 및 밀착볼트(4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너트(441)는 수평바(210)를 슬라이더(41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슬라이더(410)에 고정된 상태로 암나사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즉, 밀착너트(441)는 슬라이더(41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면서 후술되는 밀착볼트(420)를 매개로 한 수평바(210)의 결합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밀착너트(441)는 단수를 이루면서 슬라이더(4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복수를 이루면서 슬라이더(4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밀착볼트(420)는 수평바(210)를 밀착너트(441)에 연결하는 동시에, 밀착너트(441)를 통해 전후진하면서 수평바(210)를 슬라이더(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밀착볼트(442)는 서포트부(200)를 구성하는 수직포스트(220)에 에 선단부가 베어링(442a) 등을 통해 공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밀착너트(441)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수평바(210)를 슬라이더(41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밀착볼트(442)는 후단부에 마련된 노브(442b)를 통해 정회전이나 역회전하면서 밀착너트(441)를 중심으로 전후진함으로써 수평바(210)를 슬라이더(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시킬 수 있다.
즉, 서포트부(200)는 밀착볼트(442)의 회전을 통해 밀착볼트(442)와 함께 슬라이더(411)의 길이방향을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보 거푸집(2)의 측면에 밀착되거나 보 거푸집(2)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10)의 설치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보 거푸집(2)을 설치할 경우, 거더부(100)는 보 거푸집(2)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미도시된 지면서포트를 통해 설치되어 보 거푸집(2)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300)는 보 거푸집(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거더부(100)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부(200)는 걸림돌기(420) 및 돌기홀더(430)의 결합을 통해 레일부(300)에 결합되면서 보 거푸집(2)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서포트부(200)는 돌기홀더(430)의 간격을 단위로 이동하면서 레일부(3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420)가 돌기홀더(430)에 고정됨으로써 레일부(300)에 이동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부(200)는 레일부(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밀착볼트(442)의 회전을 통해 슬라이더(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보 거푸집(2)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보 거푸집(2)을 해체할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을 역순으로 수행함으로써 서포트부(200)를 보 거푸집(2)에서 분리한 후 서포트부(200)를 레일부(300)에서 분리하고, 레일부(300)를 거더부(100)에서 분리한 후 거더부(100)를 보 거푸집(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10)에 의하면, 서포트이동부(400)를 구성하는 걸림돌기(420) 및 돌기홀더(430)가 복수를 이루면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므로 서포트부(200)가 소정의 간격을 단위로 이동하면서 보 거푸집(2)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일부(300)의 설치위치가 변경될 경우에도 레일부(300)를 분리하지 않고도 서포트부(200)의 간격단위 이동 및 연속이동을 통해 보 거푸집(2)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100 : 거더부
200 : 서포트부
210 : 수평바
220 : 수직포스트
230 : 보강바
300 : 레일부
400 : 서포트이동부
410 : 슬라이더
420 : 걸림돌기
430 : 돌기홀더
440 : 밀착부재
441 : 밀착너트
442 : 밀착볼트
442a : 베어링
442b : 노브

Claims (6)

  1. 건물의 보를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을 지지하는 보 거푸집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더부;
    상기 보 거푸집의 양측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 거푸집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보 거푸집의 양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 거푸집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부;
    상기 보 거푸집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보 거푸집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거더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서포트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레일부; 및
    상기 한 쌍의 서포트부 각각을 상기 한 쌍의 레일부 각각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서포트부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서포트부를 이동한 상태로 고정하는 서포트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이동부는,
    상기 서포트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레일부에 걸리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서포트부와 함께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
    상기 레일부에 홈이나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며, 복수를 이루면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소정의 간격을 단위로 허용하는 돌기홀더;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서포트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서포트부의 연속적인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돌기홀더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의 고정 시 상기 서포트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서포트부를 상기 보 거푸집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암나사를 이루는 밀착너트; 및
    상기 서포트부에 공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밀착너트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서포트부를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하고, 정회전이나 역회전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서포트부와 함께 전후진하는 밀착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홀더는,
    상기 레일부의 상면에 구멍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면서 앵글형태의 단면을 이루면서 돌출되어 상기 돌기홀더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통해 상기 돌기홀더의 단부에 걸리는,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상기 보 거푸집쪽 일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보 거푸집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포스트; 및
    상기 수직포스트의 상단부와 상기 수평바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타단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수직포스트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바를 포함하는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20200047322A 2020-04-20 2020-04-20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2471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322A KR102471695B1 (ko) 2020-04-20 2020-04-20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322A KR102471695B1 (ko) 2020-04-20 2020-04-20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403A KR20210129403A (ko) 2021-10-28
KR102471695B1 true KR102471695B1 (ko) 2022-11-28

Family

ID=7823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322A KR102471695B1 (ko) 2020-04-20 2020-04-20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6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004A (zh) * 2022-05-30 2022-07-22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框架结构外锁式卡具及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244Y1 (ko) * 2003-04-14 2003-07-16 최천순 조립식 선반틀
KR200482972Y1 (ko) * 2015-10-01 2017-03-23 주식회사 동신텍 빔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844B1 (ko) * 2011-11-03 2013-09-25 (주)에이원알폼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244Y1 (ko) * 2003-04-14 2003-07-16 최천순 조립식 선반틀
KR200482972Y1 (ko) * 2015-10-01 2017-03-23 주식회사 동신텍 빔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403A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6247B2 (en) Modular shoring assembly with length adjustable support
US3847341A (en) Collapsible interior form for a monolithic structure
KR102161808B1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1587400B1 (ko)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KR102128100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JP2000265417A (ja) 橋梁床版張出部用移動支保工工法
US6530552B2 (en) Curved formwork system with varying curvature
KR102471695B1 (ko)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US3645490A (en) Adjustable form for casting concrete beams
CN110409795A (zh) 一种铝模板结构
US2564935A (en) Bracket for supporting roadway overhang forms
KR101898166B1 (ko) 레고형 대차 동바리
US4439064A (en) Tunnel framings
KR101732681B1 (ko) 교량 캔틸레버부의 슬래브타설용 거푸집
US7070158B1 (en) Support system for concrete column formwork and related bracket
US1120569A (en) Mold for making concrete structures.
JP201852903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システム
KR101798538B1 (ko)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102128101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서포트
KR102128099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시스템
KR200366076Y1 (ko) 크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량 거푸집 장치
KR200378317Y1 (ko) 슬라브테이블거푸집
US4569500A (en) Concrete ramp form
KR100227165B1 (ko) 교량공사용 이동식비계의 가로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