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526B1 -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526B1
KR102471526B1 KR1020220039012A KR20220039012A KR102471526B1 KR 102471526 B1 KR102471526 B1 KR 102471526B1 KR 1020220039012 A KR1020220039012 A KR 1020220039012A KR 20220039012 A KR20220039012 A KR 20220039012A KR 102471526 B1 KR102471526 B1 KR 102471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fueling
aircraft
link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705A (ko
Inventor
오경석
Original Assignee
(주)유양지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양지에스이 filed Critical (주)유양지에스이
Priority to KR102022003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5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8Liquid-handl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fuelling stationary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80Energy efficient operational measures, e.g. ground operations or miss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에 항공유를 급유시 사용되는 급유관을 쳐지지 않도록 떠받들어 항공기 자체나 급유구의 연결지점에 발생되는 하중을 감소시켜 연결부위의 누유를 방지하는 동시에 급유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유시 사용하는 급유관의 자중과 급유 항공유의 중량이 항공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링크배관부, 상기 급유시 발생하는 진동이 급유관을 통해 항공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최소화하는 진동흡수부로 구성하여; 항공기의 급유를 위해 연결되는 급유관이 하부 방향으로 늘어짐을 지지하여 급유관의 자체 중량과 급유시 항공유의 중량에 의해 항공기 동체나 급유구의 연결부위에 응력이 작용하지 않아 변형이나 고장의 원인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No-load fuelling system of airplane refueling vehicle}
본 발명은 민간 항공기 급유차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에 급유시 항공기 자체나 급유구의 연결지점에 급유관의 중량의 하중을 최소화하며 급유시 진동을 감소시켜 민간항공기 관련 급유업종, 급유장치 제조업종, 항공기업종에 적용가능한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간공항에서 항공기에 항공유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급유차를 사용하게 되는데, 항공유 급유차의 특징은 항공기에 적정압력과 유량으로 항공유를 공급하는 장치이고, 민항기에 사용하는 것과 군용기에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한다.
먼저, 군용기에 사용하는 급유차는 급유장치와 항공유 저장탱크가 모두 구비된 것이며, 불특정한 환경에서 항공기에 급유를 해야하기 때문에 항공유를 직접 보관 및 운반과 급유기까지가 일체로 구성한다.
반면, 민항기에 사용하는 급유차는 대형 민간공항에서 사용하는 것이고, 민간공항에는 항공기가 대기하는 장소에서 급유하며, 항공기의 대기장소인 계류장 바닥에 항공유를 공급하는 배관과 급유 피트가 매설되어 있고, 이보다 먼 곳에 대량의 항공유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민항기에 사용하는 급유차는 별도로 항공유를 보관할 필요는 없으며, 지정된 장소에서 항공기와 인접한 급유 피트에 송유관을 연결하여 항공유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항공유에 포함된 공기, 물, 이물질 들을 필터링한 후 일정 압력과 유속으로 항공기의 날개에 항공유를 공급한다.
종래의 일반적 급유차를 이용하여 급유작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리프트를 타고 올라가 항공기 날개의 하단에 위치한 급유구에 급유관을 연결하고, 지면으로 내려와 급유 작동을 하며 급유가 완료되면 다시 작업리프트를 타고 올라가 항공기의 날개에서 급유관의 연결구를 분리하고 항공기의 급유구를 닫아주는 과정으로 완료한다.
종래의 관련 기술로는, 재급유기, 소화전 분배기, 및 기타 연료 유닛 및/또는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급유 장치는 운항 중 항공기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항공기 내로 연료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급유 장치는 연료를 함유하는 저장 용기(예를 들어, 저장 탱크)를 포함하거나 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용기는 항공기의 급유에 필요할 때까지 연료를 수용하기 위해 지면 위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저장 용기는 고정된 저장 탱크일 수도 있거나, 또는 지상에 있는 동안 운송 회사에 의해 항공기로 운반되는 이동식 용기일 수 있다. 일부 저장 용기는 운항 중 다른 항공기에 급유하기 위해 공수 연료 항공기에 의해 운송될 수 있다. 급유 장치의 예는 미국 특허/출원 US8720499호, US5660798호, US3648720호, US2009/0315729호, US2012/0043425호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급유 동안 연료는 호스 및 다른 도관을 사용하여 저장 탱크에서 항공기로 전달된다. 호스는 일단이 저장 탱크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항공기에 부착될 수 있다.
호스는 항공기의 연료 탱크 내로 연료를 전달하기 위해 항공기 상의 연료 리셉터클에 삽입 가능한 노즐을 가질 수 있다. 호스는 연료 장치에 의해 저장 탱크에 연결될 수있다. 이러한 연료 장치의 예는 미국 특허/출원 US2011/0232801호, US8720499호, US8511351호, US6360730호,US3591050호, 및 US4452207호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항공기 회사에서 급유관을 급유구에 연결하는 급유 방식에 대하여 항공기 날개에 급유관을 연결함으로써 급유시 하중과 급유관의 중량에 의해 항공기 날개나 연결되는 급유구에 하중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급유관을 항공기의 급유구와 연결한 상태에서 급유를 할 경우 고압으로 이송되는 항공유에 의한 진동에 의해 연결부의 마모나 누유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써, 많은 항공기 관련 회사측에서 급유회사에 급유시 항공기 날개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거나 경감되도록 별도의 급유관 지지수단을 보완 요청이 기술적을 제안되고 있어 민간 항공기의 급유차에서 길이가 길고 급유시 고하중이 되는 급유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급유관 자체의 변형을 방지와 항공기에 하중부담 경감과 급유구의 변형을 개선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1235932 (항공기 급유용 지중 하이드란트 급유 지원 피트) 등록특허 10-2079025 (항공기 급유 피트의 이중도어구조체) 등록특허 10-2149140 (항공기 급유 피트의 이중박스구조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항공기의 급유를 위해 연결되는 급유관이 하부 방향으로 늘어짐을 지지하여 급유관의 자체 중량과 급유시 항공유의 중량에 의해 항공기 동체나 급유구의 연결부위에 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2센서의 감지신호 발생시 링크배관을 지지하는 유압력이 제공되어 링크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리프트의 작동시 간섭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제1,2센서와 급유차량의 브레이크시스템이 연동되어 급유시에는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차량의 이동이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진동흡수부를 이용하여 급유시 발생하는 진동이 급유관을 통해 급유구나 항공기 동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급유관을 지지함으로써 급유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링크배관을 지지하는 작동기에 보조작동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유압력 지지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는 공항 계류장의 급유피트에 연결되는 항공유가 유동하는 송유관을 승하강 하는 작업대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급유구와 급유관을 연결하도록 송유관내의 항공유가 유동하며 작업대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높낮이를 링크선회 방식으로 조정되며 급유구에 연결하는 급유관을 떠받들어 항공기에 급유관의 하중 전달을 최소화하도록 송유관을 유동한 항공유의 필터링을 위한 필터탱크의 연결관과 제1스위블로 연결하는 제1링크배관, 상기 제1링크배관의 하부와 브라켓구조에 연결하여 유압력으로 지지하는 작동기, 상기 제1링크배관과 제2스위블로 연결하며 급유관이 연결되는 제2링크배관, 상기 브라켓구조물과 제2스위블의 연결부분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대로 이루어지는 링크배관부로 형성된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에는 제1링크배관을 지지하는 유압력의 소실 방지를 위하여 보조적으로 유압력을 공급하는 보조작동기를 브라켓구조물에 설치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링크배관부는 제1링크배관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승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제1센서와 연동되도록 작업대에서 탈거하도록 설치하는 급유관의 덮개의 개방하여 급유구에 체결함을 감지하는 제2센서, 상기 제1센서에서는 제1링크배관의 상승을 감지하고 제2센서에서는 급유구의 체결 감지하면 작동기에 유압력을 설정된 값으로 공급하여 제1링크배관을 상승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급유차량의 브레이크시스템과 연동되어 브레이크의 잠김과 해제를 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링크배관은 제1링크배관과 제2스위블로 연결되는 싱글배관의 끝단이 1/2로 나눠지는 한 쌍의 분할배관, 상기 분할배관에 연결하는 한 쌍의 급유관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2링크배관의 분할배관 하부면 끝단 지점에 설치하며 급유관의 곡률에 맞게 하부 방향으로 휘어진 진동지지판으로 진동흡수부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진동흡수부는 진동지지판의 상부면에 다수개로 설치하는 탄성부재, 상기 진동지지판의 상부로 탄성부재의 상부로 올려지며 급유관을 지지하는 진동흡수판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항공기의 급유를 위해 연결되는 급유관이 하부 방향으로 늘어짐을 지지하여 급유관의 자체 중량과 급유시 항공유의 중량에 의해 항공기 동체나 급유구의 연결부위에 응력이 작용하지 않아 변형이나 고장의 원인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2센서의 감지신호 발생시 링크배관을 지지하는 유압력이 제공되어 링크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리프트의 작동시 간섭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작동의 안정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제1,2센서와 급유차량의 브레이크시스템이 연동되어 급유시에는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차량의 이동이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하여 관리자의 실수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진동흡수부를 이용하여 급유시 발생하는 진동이 급유관을 통해 급유구나 항공기 동체로 전달되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급유관을 지지함으로써 급유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링크배관을 지지하는 작동기에 보조작동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유압력 지지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의 작업대 및 링크배관부가 상승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의 링크배관부 상승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기에 보조작동기가 설치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센서부의 감지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흡수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8에서 도면 a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가 적용된 진동흡수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면 b는 판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가 적용된 진동흡수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급유구와 연결하는 급유 실시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의 항공유를 급유하는 급유 순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민간 공항 계류장의 급유피트에 연결되는 항공유가 유동하는 송유관(1)을 승하강 하는 작업대(2)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급유구(3)와 급유관(4)을 연결하여 급유하는 급유차량의 급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급유시 사용하는 급유관(4)의 자중과 급유 항공유의 중량이 항공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링크배관부(10), 상기 급유시 발생하는 진동이 급유관(4)을 통해 항공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최소화하는 진동흡수부(20)로 급유장치(100)을 구성한다.
상기 급유장치(100)에 사용하는 급유차량(8)은 급유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본 발명에서는 군용기보다는 민간항공기에 항공유를 급유하기 위한 차량에 최적화된 트럭 형태의 차량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급유장치(100)의 급유차량(8)은 운전석의 후방으로 여러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대(2)가 형성되며, 작업대(2)의 둘레에는 급유피트에 연결되는 송유관(1)을 설치한다.
상기 작업대(2)는 급유관(4)을 항공기의 급유구에 연결하기 위하여 탑승하여 링크배관부(10)를 급유하기 적정한 높이로 상승시키기는 장치이다.
상기 급유장치(100)는 상기 송유관(1)내의 항공유가 유동하며 작업대(2)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높낮이를 링크선회 방식으로 조정되며 급유구(3)에 연결하는 급유관(4)을 떠받들어 항공기에 급유관(4)의 하중 전달을 최소화하는 링크배관부(10)를 형성한다.
상기 링크배관부(10)는 송유관(1)을 유동한 항공유의 필터링을 위한 필터탱크(5)의 연결관(6)과 제1스위블(11)로 연결하는 제1링크배관(12)을 형성하다.
상기 제1링크배관(12)의 하부와 브라켓구조물(7)에 연결하여 유압력으로 지지하는 작동기(13)를 형성한다.
상기 작동기(13)는 유압실린더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실린더(13a)는 브라켓구조물(7)에 회전되게 설치하고, 로드(13b)는 제1링크배관(12)의 하부면에 회전되도록 설치한하며, 급유차량(8)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유압탱크(13c)와 연결된 유압펌프(13d)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도록하며, 유압제어는 메인컨트롤러(9)에서 제어한다.
상기 작동기(13)에는 제1링크배관(12)을 지지하는 유압력의 소실 방지를 위하여 보조적으로 유압력을 공급하는 보조작동기(30)를 브라켓구조물(7)에 설치한다.
상기 보조작동기(30)는 보조로드(31)와 보조실린더(32)는 브라켓구조물(7)의 상부에고정되게 설치하고, 보조실린더(32)와 작동기(13)의 실린더(13a)를 유압관(33)으로 연결하여 작동기(13)의 유압공급 작동이 완료되면 보조실린더(32)로 공급되는 유압을 실린더(13a)의 내부로 유압유가 감소될 경우 보조적으로 재 주입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구조물(7)은 작업대(2)와 필터탱크(5)가 설치된 사이에 급유차량(8)에 작업대(2)의 상부에 형성한다.
상기 제1링크배관(12)과 제2스위블(14)로 연결하며 급유관(4)이 연결되는 제2링크배관(15)을 형성한다.
상기 브라켓구조물(7)과 제2스위블(14)의 연결부분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대(16)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지지대(16)는 제1링크배관(12)과 제2링크배관(15)의 중량을 지지하는 동시에 제1링크배관(12)과 제2링크배관(15)의 상승이나 하강시 특히 제1링크배관(12)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제1스위블(11)과 제2스위블(14)은 스위블 조인트로써 수중, 환경 보호 측면을 고려하면서 저압 또는 고압, 매우 낮거나 높은 온도에서도 모든 화학, 가스 또는 석유관련 유체 이송 요구 사항을 충족 할 수 있는 것으로, 동적 유밀성을 보장하며 공압 또는 유압 모바일 링크, 회전 요소가있는 공압 또는 유압 기계 등과 같은 많은 산업 응용 분야에 사용하는 것을 적용하여, 제1링크배관(12)과 제2링크배관(15)의 상승시 완만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내부에 복렬 볼(ball)을 사용한 360℃ 자유 자재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링크배관(15)은 제1링크배관(12)과 제2스위블(14)로 연결되는 싱글배관(15a)의 끝단이 1/2로 나눠지는 한 쌍의 분할배관(15b)으로 형성한다.
상기 분할배관(15b)에 연결하는 한 쌍의 급유관(4)으로 형성하는데, 상기 분할배관(15b)은 급유 여건에 따라 개수를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링크배관부(10)는 제1링크배관(12)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승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센서(17)를 형성하는데, 상기 제1센서(17)는 제1스위블(11)이 형성된 제1링크배관(12)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제1링크배관(12)의 상승시 작동 감지신호를 급유차량(8)에 설치된 메인컨트롤러(9)로 전송한다.
상기 제1센서(17)와 연동되도록 작업대(2)에서 탈거하도록 설치하는 급유관(4)의 덮개(2a)의 개방하면 감지작동하는 제2센서(18)를 형성하는데, 상기 급유관(4)이 보관되는 작업대(2)의 일측에 설치된 덮개(2a)를 개방할 경우 감지 작동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1센서(17)에서는 제1링크배관(12)의 제1스위블(11)에 접촉하여 상승시 회전을 감지하고, 제2센서(18)에서는 닫혀진 덮개(2a)에 접촉한 상태에서 덮개(2a)가 개방될 경우 감지가 해제됨을 감지하면 작동기(13)에 유압력을 설정된 값으로 공급하여 제1링크배관(12)을 상승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센서(17)와 제2센서(18)의 감지신호에 의해 급유차량(8)의 브레이크시스템과 연동되어 브레이크의 잠김과 해제를 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급유차량(8)의 브레이크는 잠김과 해제를 위한 별도의 조작 없이 제1센서(17)와 제2센서(18)의 감지신호에 잠김과 해제되어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진동흡수부(20)는 제2링크배관(15)의 분할배관(15b) 하부면 끝단 지점에 설치하며 급유관(4)의 곡률에 맞게 하부 방향으로 휘어진 진동지지판(21)을 형성한다.
상기 진동지지판(21)은 급유관(4)의 길이에 따라 급유구(3)에 연결하였을 때 급유관(4)이 올려지도록 전방 끝단은 한 쌍의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 끝단은 분할배관(15b)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측면에서 투영시 전방 끝단이 하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으로 급유관(4)의 곡률에 따라 휨 굴곡률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며, 부식이나 항공유에 의해 물성이 변질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진동흡수부(20)는 진동지지판(21)의 상부면에 다수개로 설치하는 탄성부재(22)를 형성하는데, 상기 탄성부재(22)는 판스프링 형태이거나 코일스프링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진동지지판(21)의 상부로 탄성부재(22)의 상부로 올려지며 급유관(4)을 지지하는 진동흡수판(23)을 형성하는데, 진동흡수판(23)은 진동지지판(21)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며 진동지지판(21)과 이격되어 탄성부재(22)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설치하며, 급유관(4)은 진동흡수판(23)의 상부에 올려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급유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유장치(100)를 이용하여 항공기에 항공유를 급유하기 위해서는 급유차량(8)을 급유가 필요한 항공기가 계류중인 공항 계류장에서 가장 인접한 급유피트로 이동한다.
이후, 상기 급유차량(8)은 항공기의 급유구(3)와 연결할 급유관(4)의 작동 위치를 확인하여 지정 정차하고, 송유관(1)을 분리하여 급유피트와 연결한다.
다음으로, 급유 담당자는 작업대(2)에 탑승하여 급유관(4)을 항공기의 급유구(3)와 연결한 적절한 높이로 상승시키면, 링크배관부(10)의 제2링크배관(15)의 진동흡수부(20)의 진동지지판(21)이 작업대(2)의 일측 난간에 올려진 상태로 상승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작업대(2)를 따라 상승하는 제2링크배관(15)의 상승으로 제1링크배관(12)도 함께 당겨지며 상승하는 동시에 제1센서(17)가 상승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메인컨트롤러(9)로 전달되는데, 이때 작동기(13)에는 유압력이 작용하지 않아 작동기(13)의 유압작동과 작업대(2)의 상승으로 인한 링크배관부(10)의 상승 작동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급유 담당자는 작업대(2)를 급유가 원활한 위치로 상승을 완료하면 작업대(2)의 일측에 거치된 급유관(4)을 덮고 있는 덮개(2a)를 개방하면 제2센서(18)가 개방 신호를 메인컨트롤러(9)로 전달되며, 급유 담당자는 급유관(4)을 항공기의 급유구(3)에 연결한 후 작업대(2)를 하향시켜 내려와 메인컨트롤러(9)를 조작한다.
동시에, 상기 제1센서(17)와 제2센서(18)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메인컨트롤러(9)에서는 자동적으로 급유차량(8)의 브레이크시스템을 잠금시켜 급유차량(8)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급유작업을 시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메인컨트롤러(9)에는 제1센서(17)와 제2센서(18)의 감지 신호가 감지된 상태이며 급유관(4)은 급유구(3)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급유 담당자의 메인컨트롤러(9) 조작으로 유압탱크(13c)의 유압펌프(13d)를 작동시켜 작동기(13)의 실린더(13a)에 유압을 공급하여 로드(13b)가 제1링크배관(12)을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어 급유관(4)의 자체 중량이 항공기의 급유구(3)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작동기(13)에 보조작동기(30)를 연결한 경우 급유가 진행되는 동안 작동기(13)의 실린더(13a)로 공급된 유압유는 잠금상태로 유지되어 링크배관부(10)가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급유 진동으로 인하여 유압력이 저하되거나 유압유가 기밀이 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보조작동기(30)의 보조실린더(32)에 공급되는 유압유가 실린더(13a)로 공급되어 보충하는 기능으로 작동기(13)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기(13)의 작동으로 제1링크배관(12)은 상부로 선회하면서 회전지지대(16)가 함께 선회하며 지지하며, 급유관(4)은 진동흡수부(20)의 진동지지판(21)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급유 담당자는 급유를 위한 각종 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메인컨트롤러(9)의 조작으로 급유를 위해 조작을 하면 항공유는 공항 계류장의 급유 피트 -> 송유관(1) -> 필터탱크(5) -> 필터탱크(5)의 연결관(6) -> 제1스위블(11) -> 링크배관부(10)의 제1링크배관(12) -> 제2스위블(14) -> 제2링크배관(15)의 싱글배관(15a) -> 분할배관(15b) -> 급유관(4) -> 급유구(3)를 통해 항공기의 저장탱크로 급유되는 것이다.
아울러, 급유시 빠른 급유를 위해 고압으로 항공유를 공급할 때 항공유의 고속 유동에 의해 심한 진동이 발생되는데 특히 플렉시블한 급유관(4)에서 많은 진동이 발생하게 되지만 급유관(4)이 진동흡수부(20)의 진동지지판(21)에 올려진 상태로 지지하게 되어 진동지지판(21)이 진동을 흡수하여 급유관(4)을 따라 진동이 항공기의 급유구(3)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급유관(4)과 급유구(3)의 연결부위에 마모 및 마찰을 최소화하며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진동지지판(21)의 상부로 탄성부재(22)가 설치되고 급유관(4)이 진동흡수판(23)에 올려진 경우에는 급유관(4)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진동흡수판(23)에 전달되어 탄성부재(22)에 의해 흡수 소멸됨으로써 보다 급유관(4)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급유 담당자는 항공기 급유가 완료됨을 메인컨트롤러(9)를 통해 확인하면 급유 피트의 밸브 및 작동을 정지시키고, 송유관(1)의 연결을 해체한 후 작업대(2)에 탑승하여 상승시켜 일측 난간의 상부로 진동흡수부(20)가 올려진 상태에서 급유관(4)을 급유구(3)에서 해체한 후 작업대(2)의 거치대에 급유관(4)을 거치시킨 다음 덮개(2a)를 닫으면 제2센서(18)에서 폐쇄 신호를 메인컨트롤러(9)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2센서(18)의 폐쇄 신호를 전달 받은 메인컨트롤러(9)에서는 작동기(13)로 유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13d)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유압탱크(13c)로 실린더(13a)내의 유압유가 리턴되도록 개방시킨다.
이후, 급유 담당자는 작업대를 하강시켜 제2링크배관(15)은 작업대(2)의 난간에 올려진 상태로 유지하며 제1링크배관(12)은 자중에 의해 실린더(13a)내의 유압유가 유압탱크(13c)로 리턴되면서 제1스위블(11)과 제2스위블(14)의 회전으로 원위치하게 된 후 메인컨트롤러(9)를 조작하여 급유 작업을 종료한다.
그리고, 제1센서(17)와 제2센서(18)의 감지신호가 종료됨으로써 급유차량(8)의 브레이크시스템의 잠김이 해제되어 운행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어 다음 급유 장소로 안전하게 이동가능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급유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송유관 2 : 작업대
2a : 덮개 3 : 급유구
4 : 급유관 5 : 필터탱크
6 : 연결관 7 : 브라켓구조물
8 : 급유차량 9 : 메인컨트롤러
10 : 링크배관부 11 : 제1스위블
12 : 제1링크배관 13 : 작동기
13a : 실린더 13b : 로드
13c : 유압탱크 13d : 유압펌프
14 : 제2스위블 15 : 제2링크배관
15a : 싱글배관 15b : 분할배관
16 : 회전지지대 17 : 제1센서
18 : 제2센서
20 : 진동흡수부 21 : 진동지지판
22 : 탄성부재 23 : 진동흡수판
30 : 보조작동기 31 : 보조로드
32 : 보조실린더 33 : 유압관
100 : 급유장치

Claims (6)

  1. 공항 계류장의 급유피트에 연결되는 항공유가 유동하는 송유관(1)을 승하강 하는 작업대(2)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급유구(3)와 급유관(4)을 연결하도록 송유관(1)내의 항공유가 유동하며 작업대(2)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높낮이를 링크선회 방식으로 조정되며 급유구(3)에 연결하는 급유관(4)을 떠받들어 항공기에 급유관(4)의 하중 전달을 최소화하도록 송유관(1)을 유동한 항공유의 필터링을 위한 필터탱크(5)의 연결관(6)과 제1스위블(11)로 연결하는 제1링크배관(12), 상기 제1링크배관(12)의 하부와 브라켓구조물(7)에 연결하여 유압력으로 지지하는 작동기(13), 상기 제1링크배관(12)과 제2스위블(14)로 연결하며 급유관(4)이 연결되는 제2링크배관(15), 상기 브라켓구조물(7)과 제2스위블(14)의 연결부분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대(16)로 이루어지는 링크배관부(10)로 형성된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13)에는 제1링크배관(12)을 지지하는 유압력의 소실 방지를 위하여 보조적으로 유압력을 공급하는 보조작동기(30)를 브라켓구조물(7)에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배관부(10)는 제1링크배관(12)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승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센서(17),
    상기 제1센서(17)와 연동되도록 작업대(2)에서 탈거하도록 설치하는 급유관(4)의 덮개(2a)의 개방하면 감지작동하는 제2센서(18),
    상기 제1센서(17)에서는 제1링크배관(12)의 상승을 감지하고 제2센서(18)에서는 덮개(2a)의 개방을 감지하면 작동기(13)에 유압력을 설정된 값으로 공급하여 제1링크배관(12)을 상승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17)와 제2센서(18)의 감지신호에 의해 급유차량의 브레이크시스템과 연동되어 브레이크의 잠김과 해제를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배관(15)은 제1링크배관(12)과 제2스위블(14)로 연결되는 싱글배관(15a)의 끝단이 1/2로 나눠지는 한 쌍의 분할배관(15b),
    상기 분할배관(15b)에 연결하는 한 쌍의 급유관(4)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배관(15)의 분할배관(15b) 하부면 끝단 지점에 설치하며 급유관(4)의 곡률에 맞게 하부 방향으로 휘어진 진동지지판(21)으로 진동흡수부(2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20)는 진동지지판(21)의 상부면에 다수개로 설치하는 탄성부재(22),
    상기 진동지지판(21)의 상부로 탄성부재(22)의 상부로 올려지며 급유관(4)을 지지하는 진동흡수판(23)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KR1020220039012A 2020-11-26 2022-03-29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KR102471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012A KR102471526B1 (ko) 2020-11-26 2022-03-29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598A KR102517670B1 (ko) 2020-11-26 2020-11-26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KR1020220039012A KR102471526B1 (ko) 2020-11-26 2022-03-29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598A Division KR102517670B1 (ko) 2020-11-26 2020-11-26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705A KR20220073705A (ko) 2022-06-03
KR102471526B1 true KR102471526B1 (ko) 2022-11-28

Family

ID=8198305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598A KR102517670B1 (ko) 2020-11-26 2020-11-26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KR1020220039012A KR102471526B1 (ko) 2020-11-26 2022-03-29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KR1020220038998A KR102407769B1 (ko) 2020-11-26 2022-03-29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598A KR102517670B1 (ko) 2020-11-26 2020-11-26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998A KR102407769B1 (ko) 2020-11-26 2022-03-29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176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711A (ja) 1998-06-18 2000-01-11 Showa Aircraft Ind Co Ltd 燃料給油車の給油ノズル保持装置
WO2007036254A1 (de) 2005-09-27 2007-04-05 Wolfgang Von Meyerinck Selbstfahrendes tankfahrzeug zur betankung von flugzeug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898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차량용 연료공급 장치
KR101235932B1 (ko) 2012-09-18 2013-02-21 주식회사 정아마린 항공기 급유용 지중 하이드란트 급유 지원 피트
KR102079025B1 (ko) 2019-05-17 2020-02-19 주식회사 아이비 플러스 항공기 급유 피트의 이중도어구조체
KR102149140B1 (ko) 2019-05-17 2020-08-28 주식회사 아이비 플러스 항공기 급유 피트의 이중박스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711A (ja) 1998-06-18 2000-01-11 Showa Aircraft Ind Co Ltd 燃料給油車の給油ノズル保持装置
WO2007036254A1 (de) 2005-09-27 2007-04-05 Wolfgang Von Meyerinck Selbstfahrendes tankfahrzeug zur betankung von flugzeu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705A (ko) 2022-06-03
KR20220072980A (ko) 2022-06-03
KR20220073704A (ko) 2022-06-03
KR102517670B1 (ko) 2023-04-04
KR102407769B1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8417B1 (en) Offshore systems and methods for liquefied gas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o reduce and prevent damage
US4844133A (en) Refueling system, in particular for the refueling of aircraft having high-positioned wings
KR101778311B1 (ko) 유체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0041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loading a hydrocarbon fluid
US2803269A (en) Liquid dispensing and vapor recovery system
KR20150128693A (ko) 비상 해제 장치
EP17318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loads from fluid conduits, including aircraft fuel conduits
US6932325B1 (en) Active-over-passive coordinated motion winch
CN105270569A (zh) 一种cng安全高效运输船气货系统
CN100369787C (zh) 全液压驱动登船梯
CN102900017A (zh) 安全可靠的全回转伸缩式过桥
KR102471526B1 (ko) 항공기 급유차량의 무하중 급유장치
US20150217987A1 (en) Foot valve for submergible pumps
US8523114B2 (en) Aircraft fuel tank system
US10625991B2 (en) Deck hoist tractor, rescue chute and tote tank
WO1987002723A1 (en) Articulated ramp
FI111001B (fi) Kiinteä laitteisto lentokoneiden polttoainetäydennystä varten
US7185685B2 (en) Head piece for refueling systems
CN114275181B (zh) 管线加油车
CN112390219B (zh) 加油站机械升降式密闭人工量油口装置
JP6855510B2 (ja) 格納可能な船首荷積システム及び方法
CN113428828B (zh) 一种防止卸错油的管理装置和方法
CN113978742B (zh) 一种加油系统、水上加油飞机及加油方法
EP2986499B1 (en) Fluid transport system with an automatically releasable coupling and use thereof
WO2022138723A1 (ja) 液体水素用の可搬型荷役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