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974B1 -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 Google Patents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974B1
KR102470974B1 KR1020220072644A KR20220072644A KR102470974B1 KR 102470974 B1 KR102470974 B1 KR 102470974B1 KR 1020220072644 A KR1020220072644 A KR 1020220072644A KR 20220072644 A KR20220072644 A KR 20220072644A KR 102470974 B1 KR102470974 B1 KR 102470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frame
ring
wir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헌
변명섭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2007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육면체 형상의 메인 몸체(100); 상기 메인 몸체(100)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보조 몸체(200); 상기 메인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와 하부와 개방된 그물망(300); 및 상기 그물망(300)의 하부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Omitted}
본 발명은 호수 수초 군락 내부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집한 부피를 정확하게 산정함으로써 정량적 측정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분석이 수행할 수 있는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서곤충은 생활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중에서 생활하는 곤충류를 총칭하는데, 바다에서 발견되는 몇 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천이나 호소 등 내륙의 수역에서 서식한다.
수서곤충류는 곤충강(Insecta)에 속하며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잠자리목(Odonata), 강도래목(Plecoptera), 뱀잠자리목(Megaloptera), 날도래목(Trichoptera)과 같이 그 분류군의 모든 종이 수서생활을 하는 1차 적응군과 노린재목(Hemi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파리목(Diptera), 나비목(Lepidoptera), 풀잠자리목(Neuroptera)과 같이 그 분류군의 일부 종류만이 수서생활을 하는 2차 적응군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톡토기목(Collembola), 메뚜기목(Orthroptera), 벌목(Hymenoptera) 등은 그 분류군의 극히 일부 종류만이 수서 또는 반수서 생활을 한다.
한국의 담수 무척추동물 중 절지동물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절지동물 중에서도 대부분이 수서곤충이다. 담수 무척추동물은 다양한 물리화학적 환경에서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생물학적 수질판정 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환경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서도 주요 조사분야로 활용되고 있다.
호수에서도 수서곤충은 서식하고 있는데, 호수의 바닥과 수초 군락에서 주로 발견된다. 호수의 바닥과 수중은 서식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출현하는 생물도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호수 내의 정확한 수생태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호수 바닥과 함께 수중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무척추동물을 채집하는 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등록번호 제10-2336567호) 받은 바 있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채집장치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1, 2)으로 구성된 육면체 형상이고, 육면체 형상 내부에는 그물망(3)이 구비되어 있어, 채집한 부피를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채집이 완료된 뒤 그물망의 하부 개방구를 밀폐시킬 시에는, 그물망 하단에 마련된 조임부와 조임끈(8)을 잡아당겨야 하는데, 이때 조임끈(8)이 프레임 하부의 개방구와 프레임 상부의 개방구(6)를 순차적으로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33656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58517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0425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15-007076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호수 수초 군락 내의 무척추동물을 채집할시 채집한 부피를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는 호수 수초 군락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작이 쉬우면서도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한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육면체 형상의 메인 몸체(100); 상기 메인 몸체(100)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보조 몸체(200); 상기 메인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와 하부와 개방된 그물망(300); 및 상기 그물망(300)의 하부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채집장치에서, 상기 메인 몸체(100)는,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수직하게 위치하는 4개의 제1 수직 프레임(110); 상기 제1 수직 프레임(110) 상부를 연결하는 4개의 제1 외곽 프레임(121), 상기 제1 외곽 프레임(121)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122), 및 상기 보강 프레임(122)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중앙홀(123)이 구비되는 제1 수평 프레임(120); 상기 제1 수직 프레임(110)의 하부 소정 위치를 연결하는 4개의 제2 외곽 프레임(131), 및 상기 제2 외곽 프레임(131)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개방구(132)가 구비되는 제2 수평 프레임(13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몸체(200)는, 상기 4개의 제1 수직 프레임(110) 측면에 고정되는 8개 이상의 제2 수직 프레임(210); 상기 4개의 제1 외곽 프레임(121) 저면에 고정되는 4개 이상의 제3 수평 프레임(220); 상기 4개의 제2 외곽 프레임(131) 상면에 고면에는 4개 이상의 제4 수평 프레임(230); 및 상기 4개의 제1 외곽 프레임(121)에 형성되는 모서리 내측 각각에 위치하는 가이드 링(250);을 포함하고, 상기 그물망(3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 있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모서리부,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가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10), 제3 수평 프레임(220) 및 제4 수평 프레임(230) 내측면에 고정된 메인 몸체(310); 및 상기 메인 몸체(310) 상부에서 소정 길이 연장된 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120) 아래에 위치하며 상부 끝단부에는 조임부(321)와 조임끈(322)이 구비된 상부 보조 몸체(32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400)는,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는 제2 수직 프레임(21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차단망(411′)이 구비된 제1 도어(411) 및 제2 차단망(412′)이 구비된 제2 도어(412)로 이루어진 한 쌍의 사각 프레임(410); 일측은 상기 제1 도어(411)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외곽 프레임(131)과 연결된 제1 탄성체(421), 및 일측은 상기 제2 도어(412)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외곽 프레임(131)과 연결된 제2 탄성체(42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체(421)와 제2 탄성체(422)의 타측은 서로 마주보면서 위치하는 제2 외곽 프레임(131)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탄성체(420); 일측은 상기 제1 도어(411)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링(250)을 관통한 후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1 와이어(431), 및 일측은 상기 제2 도어(412)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링(250)을 관통한 후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2 와이어(4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와이어(431)와 제2 와이어(432)의 타측은 서로 마주보면서 위치하는 가이드 링(25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와이어(430); 바 형상의 제1 지지축(451(a)), 상기 제1 지지축(451(a))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절곡부(451(b))와 제2 절곡부(451(c))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절곡부(451(b))에는 상기 제1 와이어(431)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1 걸이구(451), 및 바 형상의 제2 지지축(452(a)), 상기 제2 지지축(452(a))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3 절곡부(452(b))와 제4 절곡부(452(c))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절곡부(452(b))에는 상기 제2 와이어(432)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걸이구(452)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절곡부(451(c))와 제4 절곡부(452(c))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걸이부재(450); 상기 제1 외곽 프레임(121)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지지축(451(a))과 힌지방지으로 결합되는 제1 지지부(461), 및 상기 제2 지지축(452(a))과 힌지방지으로 결합되는 제2 지지부(462)를 포함하는 지지부(460); 및 상기 제2 절곡부(451(c))와 제4 절곡부(452(c))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 체결구(4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채집장치에서, 상기 제1 와이어(431) 타단에는 원형의 제1 링(441)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432) 타단에는 원형의 제2 링(432)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링(441)은 제1 절곡부(451(b))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링(432)은 제3 절곡부(452(b))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채집장치에서, 상기 제1 링(441)과 제2 링(442)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 링(250)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채집장치에서, 보조 몸체(200)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10) 내측 상부 인근에 위치하며 상부로 갈수록 제2 수직 프레임(210)과 멀어지도록 경사진 상태로 고정된 4개의 걸고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채집장치에서, 상기 메인 몸체(1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몸체(200)은 목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채집장치에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100) 단부에는 인양고리(140)가 구비되고, 상기 인양고리(140)에는 인양로프(50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채집장치를 사용하여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 방법으로서, 무척추동물의 채집이 요구되는 호수 수초에 채집장치를 위치시키는 제1 단계; 소정 시간 경과 후, 개폐부재(400)로 그물망(300)의 메인 몸체(320) 하부 출입구를 밀폐시키는 제2 단계; 조임끈(322)을 당겨 상부 보조 몸체(320)의 출입구를 밀폐시키는 제3 단계; 및 인양로프(500)를 당겨 수면 위로 인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집방법에 의하면,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도어, 탄성체, 와이어 및 걸이부재 등으로 구성된 개폐부재를 통해 그물망의 하부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어, 조작이 한층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집방법에 의하면, 금속재질과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육면체 프레임 내부에 그물망이 마련되어 있어, 채집한 부피를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의 상부 보조 몸체 개방구를 밀폐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을 고정하기 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메인 몸체의 하측이 개방된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을 고정하기 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메인 몸체의 하측이 개방된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을 고정하기 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메인 몸체의 하측이 닫힌 상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을 고정하기 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메인 몸체의 하측이 닫힌 상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개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개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확대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의 상부 보조 몸체 출입구와 하부 몸체 출입구가 밀폐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집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는 정확한 부피 산정이 용이하도록 외형은 대략 육면체 형상이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 몸체(100)와 보조 몸체(200), 무척추 동물을 가두기 위한 그물망(300), 그물망(300)의 하부 출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개폐부재(400), 및 인양로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을 고정하기 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메인 몸체의 하측이 개방된 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을 고정하기 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메인 몸체의 하측이 개방된 상태이다. 또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을 고정하기 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메인 몸체의 하측이 닫힌 상태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을 고정하기 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메인 몸체의 하측이 닫힌 상태이다.
또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개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개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확대사시도이다.
도 5 내지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메인 몸체(100)는 사각 기둥 형상의 제1 수직 프레임(110), 사각 기둥 형상의 제1 수평 프레임(120), 사각 기둥 형상의 제2 수평 프레임(130) 그리고 인양 고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직 프레임(110)은 전체적인 외형을 유지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된 채 4개가 수직하도록 위치한다. 물론 8개 이어도 무방하다.
제1 수평 프레임(120)은 제1 외곽 프레임(121), 보강 프레임(122) 및 상부 중앙홀(123)로 구성되며, 상세하게 제1 외곽 프레임(121)은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고 있는 제1 수직 프레임(110)들의 상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4개로 구성되고, 보강 프레임(122)은 측면방향 충격으로부터 제1 외곽 프레임(121)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제1 외곽 프레임(121) 내측면에 4개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중앙홀(123)은 보강 프레임(122)에 의해 형성되는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며, 이러한 상부 중앙홀(123)은 그물망(300)의 상부 개방구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수평 프레임(130)은 사각 기둥 형상의 제2 외곽 프레임(131)과 하부 개방구(132)로 구성되며, 상세하게 제2 외곽 프레임(131)은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고 있는 제1 수직 프레임(110)들의 하부 소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제1 수직 프레임(110)의 하측 끝단부에서 위로 20~30cm 정도 이격된 부분에 위치하여 제1 수직 프레임(110)을 서로 연결하는 4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 개방구(132)는 제2 외곽 프레임(131)에 의해 형성되며, 이러한 하부 개방구(132)는 그물망(300)의 하부 출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인양 고리(140)는 본 발명에 따른 채집장치를 호수 안으로 넣거나 밖으로 들어 올리기 위한 것으로, 제1 수직 프레임(100) 단부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들 인양 고리(140)에는 소정 길이의 인양로프(500)가 연결된다.
다음은 보조 몸체(2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 몸체(100)에 밀착한 상태로 구비되는 보조 몸체(200)는 사각 기둥 형상의 제2 수직 프레임(210), 사각 기둥 형상의 제3 수평 프레임(220), 사각 기둥 형상의 제4 수평 프레임(230), 걸고리(240), 및 가이드 링(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수직 프레임(210)은 제1 수직 프레임(110) 측면에 고정된다. 일예로서, 하나의 제1 수직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수평 프레임(120)과 제2 수평 프레임(130) 사이에 2개의 제2 수직 프레임(210)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제1 수직 프레임(110)의 2개 측면에 위치하고, 또 제2 수평 프레임(130) 아래에도 2개씩의 제2 수직 프레임(210)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1 수직 프레임(110)이 4개일 시에는 제2 수직 프레임(210)의 총 개수는 16개이다.
제3 수평 프레임(220)은 제1 외곽 프레임(121) 저면에 위치하며 총 4개로 이루어져 있고, 제4 수평 프레임(230)은 제2 외곽 프레임(131) 상면에 고정되며 역시 4개로 구성된다.
걸고리(240)는 수평 단면이 사각형인 채집장치의 모서리 내측, 즉 제2 수직 프레임(210) 내측 상부 인근에 각각 위치하며 총 4개이다. 여기서, 걸고리(240)는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로 갈수록 제2 수직 프레임(210)과 멀어지도록 경사진 상태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할 그물망(300)의 상부 보조 몸체(320)를 주름진 형태로 수용 및 지지하는 한편, 그물망(300)의 상부 출입구를 밀폐시킬 시에는 상부 보조 몸체(320)가 걸고리(240)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제1 수직 프레임(110), 제1 수평 프레임(120) 및 제2 수평 프레임(130)으로 구성되는 메인 몸체(10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제2 수직 프레임(210), 제3 수평 프레임(220) 및 제4 수평 프레임(230)으로 구성된 보조 몸체(200)는 목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체적인 외형을 유지함과 함께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메인 몸체(100)는 금속 재질, 그리고 메인 몸체(100) 내측 공간에 그물망(300)을 고정하거나 탈착이 쉽도록 보조 몸체(200)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가이드 링(250)은 관통홀이 뚫려 있는 도우넛 모양으로, 전술한 제1 외곽 프레임(121), 보다 상세하게는 및 4개의 제1 외곽 프레임(121)이 서로 만나는 4개의 모서리 내측에 위치하는데, 후술할 와이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한 기능은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물망(300)의 하부 출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개폐부재(400)는 한 쌍의 도어(410), 탄성체(420), 와이어(430), 걸이부재(450), 지지부(460) 및 체결구(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한 쌍의 도어(410)는 전체적인 외형은 사각형이며 내측에는 제1 차단망(411′)이 구비된 제1 도어(411) 그리고 제2 차단망(412′)이 구비된 제2 도어(412)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도어(411)는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는 2개의 제2 수직 프레임(210)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제2 도어(412)는 서로 마주 보면서 위치하는 나머지 2개의 제2 수직 프레임(210)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즉, 도 5 및 6에서와 같이 제1 도어(411)와 제2 도어(412)가 세워진 상태로 제2 수직 프레임(210)에 밀착하고 있다가, 도 7 및 8에서와 같이 제2 외곽 프레임(131)에 눕혀진 상태로 서로 밀착하게 된다.
탄성체(420)는 제1 탄성체(421)와 제2 탄성체(4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탄성체(420)는 한 쌍의 도어(410)가 제2 외곽 프레임(131)에 눕혀진 상태가 되어 서로 밀착되도록 당기기 위한 것으로, 제1 탄성체(421)의 일측은 제1 도어(411)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 도어(412)가 접하고 있는 제2 외곽 프레임(131)과 연결된다. 또 제2 탄성체(422)의 일측은 제2 도어(412)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1 도어(411)가 접하고 있는 제2 외곽 프레임(131)과 연결된다.
비록 도 5 및 6 등에서는 제1 탄성체(421)와 제2 탄성체(422)가 각각 2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 변경이 가능하다.
이어서, 와이어(430)는 제1 와이어(431)와 제2 와이어(432)로 구성된다. 이러한 와이어(430)는 전술한 탄성체(420)가 당기는 반대 방향으로 사각 프레임(410)을 당기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와이어(431)의 일측은 제1 도어(411)와 연결되고 타측은 전술한 가이드 링(250)을 관통한 후, 제1 걸이구(451) 까지 연장된다. 또 제2 와이어(432)의 일측은 제2 도어(412)와 연결되며 타측은 가이드 링(250)을 관통한 후 제2 걸이구(452) 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원형의 제1 링(441)과 원형의 제2 링(442)으로 이루어진 링부(440)가 더 구비되는게 좋다. 즉 제1 와이어(431) 타측에는 제1 링(441) 그리고 제2 와이어(432) 타측에는 제2 링(442)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1 링(441)과 제2 링(442)이 구비됨으로써 제1 지지축(451(a)) 및 제2 지지축(452(a))과의 탈부착이 용이해 진다.
여기서, 제1 링(441)과 제2 링(442)의 외경은 전술한 가이드 링(250)의 내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링(441)과 제2 링(442)이 제1 지지축(451(a)) 과 제2 지지축(452(a)) 각각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가이드 링(250)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걸이부재(45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걸이부재(450)는 제1 와이어(431)와 제2 와이어(432)를 당긴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부재로서, 제1 도어(411)와 제2 도어(412)의 슬라이딩 운동을 선택하고 궁극적으로는 그물망(300)의 하부 출입구 개폐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걸이부재(450)는 제1 걸이구(451)와 제2 걸이구(452)로 이루어지며, 제1 걸이구(451)는 바 형상의 제1 지지축(451(a)), 제1 지지축(451(a)) 양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상부를 향하고 있는 제1 절곡부(451(b))와 제2 절곡부(451(c))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절곡부(451(b))에는 전술한 제1 와이어(431)의 타단, 즉 제1 링(441)이 연결된다.
또 제2 걸이구(452)는 바 형상의 제2 지지축(452(a)), 제2 지지축(452(a)) 양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상부를 향하고 있는 제3 절곡부(452(b))와 제4 절곡부(452(c))로 구성되며, 제3 절곡부(452(b))에는 제2 와이어(432)의 타단인 제2 링(442)이 체결된다. 여기서, 제2 절곡부(451(c))와 제4 절곡부(452(c))는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면서 외측면은 다소 굴곡져 있는데, 이는 지지부(460)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시소 운동할 시 서로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지지부(460)는 제1 외곽 프레임(121) 상부에 위치하며, 제1 지지부(461) 및 제1 지지부(461)와 소정 간격 이격된 곳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462)로 구성된다. 제1 지지부(461)에는 제1 지지축(451(a)), 그리고 제2 지지부(462)에는 제2 지지축(452(a))이 힌지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제1 지지축(451(a))과 제2 지지축(452(a))은 제1 외곽 프레임(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체결구(470)는 제1 걸이구(451)와 제2 걸이구(452)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며 하면에는 소정 크기의 홈부(471)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홈부(471)에는 제2 절곡부(451(c))와 제4 절곡부(452(c))가 동시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걸이부재(450), 지지부(460) 및 체결구(470)는 서로 마주 보는 제1 외곽 프레임(121)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개폐부재(400)의 작동 관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제2 절곡부(451(c))와 제4 절곡부(452(c))가 체결구(470)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제1 와이어(431)와 제2 와이어(432)가 팽팽하게 당겨지기 때문에, 제1 도어(411)와 제2 도어(412)는 보조 몸체(200)인 제2 수직 프레임(210)에 밀착하고 있다.
반면 제2 절곡부(451(c))와 제4 절곡부(452(c))를 고정하고 있던 체결구(470)를 해제하면, 제1 탄성체(421)와 제2 탄성체(422)의 탄성에 의해 제1 도어(411)와 제2 도어(412)는 제2 외곽 프레임(131)에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가 되면서 서로 밀착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서 그물망(3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물망(3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 있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메인 몸체(310)와 상부 보조 몸체(320)로 구성된다.
먼저 메인 몸체(310)는 모서리부,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가 전술한 목재로 이루어진 제2 수직 프레임(210), 제3 수평 프레임(220) 및 제4 수평 프레임(230) 내측면에 고정된다.
고정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스테이플러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보조 몸체(320)는 메인 몸체(310) 상부에서 소정 길이 연장된 채, 제1 수평 프레임(120) 아래에 위치하며 상부 끝단부에는 조임부(321)와 조임끈(322)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보조 몸체(320)는 조임부(321)와 조임끈(322)을 당겨 그물망(300)의 상부 출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메인 몸체(310)와는 달리 고정되지 않으며 무척추동물 채집 시에는 전술한 걸고리(240)에 접혀진 상태로 걸려 있다.
한편, 그물망(300)의 메쉬 크기는 채집하고자 하는 무척추동물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동물 채집장치에서 그물망의 상부 보조 몸체 개방구와 하부 몸체 개방구가 밀폐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서,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을 채집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집방법은, 무척추동물의 채집이 요구되는 호수 수초에 채집장치를 위치시키는 제1 단계, 소정 시간 경과 후, 개폐부재(400)로 하부 보조 몸체(330)의 개방구를 밀폐시키는 제2 단계, 조임끈(322)을 당겨 상부 보조 몸체(320)의 개방구를 밀폐시키는 제3 단계, 및 인양로프(500)를 당겨 수면 위로 인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단계에서는 그물망(300)의 상부 보조 몸체(320)는 걸고리(240)에 주름진 형태로 수용된 상태이고, 제1 도어(411)와 제2 도어(412)는 세워진 상태로 제2 수직 프레임(210)에 밀착하고 있다.
또 제2 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절곡부(451(c))와 제4 절곡부(452(c))를 고정하고 있던 체결구(470)를 해제하면, 제1 탄성체(421)와 제2 탄성체(422)의 탄성에 의해 제1 도어(411)와 제2 도어(412)가 제2 외곽 프레임(131)에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가 되면서 서로 밀착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메인 몸체(310)의 하부 출입구가 밀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 단계에서는 조임끈(322)을 당겨 상부 보조 몸체(320)의 출입구를 밀폐 시키며, 조임끈(322)은 상부 중앙홀(123)을 관통한 후 외부로 연장된 상태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메인 몸체
110 : 제1 수직 프레임
120 : 제1 수평 프레임
121 : 제1 외곽 프레임 122 : 보강 프레임
123 : 상부 중앙홀
130 : 제2 수평 프레임
131 : 제2 외곽 프레임 132 : 제2 중앙홀
140 : 인양 고리
200 : 보조 몸체
210 : 제2 수직 프레임
220 : 제3 수평 프레임
230 : 제4 수평 프레임
240 : 걸고리
250 : 가이드 링
300 : 그물망
310 : 메인 몸체
320 : 상부 보조 몸체
321 : 조임부 322 : 조임끈
400 : 개폐부재
410 : 도어
411 : 제1 도어 411′: 제1 차단망
412 : 제2 도어 412′: 제2 차단망
420 : 탄성체
421 : 제1 탄성체 422 : 제2 탄성체
430 : 와이어
431 : 제1 와이어 432 : 제2 와이어
440 : 링부
441 : 제1 링 442 : 제2 링
450 : 걸이부재
451 : 제1 걸이구
451(a) : 제1 지지축 451(b) : 제1 절곡부
451(c) : 제2 절곡부
452 : 제2 걸이구
452(a) : 제2 지지축 452(b) : 제3 절곡부
452(c) : 제4 절곡부
460 : 지지부
461 : 제1 지지부 462 : 제2 지지부
470 : 체결구 471 : 홈부
500 : 인양로프

Claims (8)

  1.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육면체 형상의 메인 몸체(100);
    상기 메인 몸체(100)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보조 몸체(200);
    상기 메인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와 하부와 개방된 그물망(300); 및
    상기 그물망(300)의 하부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400);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몸체(100)는,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수직하게 위치하는 4개의 제1 수직 프레임(110); 상기 제1 수직 프레임(110) 상부를 연결하는 4개의 제1 외곽 프레임(121), 상기 제1 외곽 프레임(121)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122), 및 상기 보강 프레임(122)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중앙홀(123)이 구비되는 제1 수평 프레임(120); 상기 제1 수직 프레임(110)의 하부 소정 위치를 연결하는 4개의 제2 외곽 프레임(131), 및 상기 제2 외곽 프레임(131)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개방구(132)가 구비되는 제2 수평 프레임(13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몸체(200)는,
    상기 4개의 제1 수직 프레임(110) 측면에 고정되는 8개 이상의 제2 수직 프레임(210); 상기 4개의 제1 외곽 프레임(121) 저면에 고정되는 4개 이상의 제3 수평 프레임(220); 상기 4개의 제2 외곽 프레임(131) 상면에 고면에는 4개 이상의 제4 수평 프레임(230); 및 상기 4개의 제1 외곽 프레임(121)에 형성되는 모서리 내측 각각에 위치하는 가이드 링(250);을 포함하고,
    상기 그물망(3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 있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모서리부,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가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10), 제3 수평 프레임(220) 및 제4 수평 프레임(230) 내측면에 고정된 메인 몸체(310); 및 상기 메인 몸체(310) 상부에서 소정 길이 연장된 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120) 아래에 위치하며 상부 끝단부에는 조임부(321)와 조임끈(322)이 구비된 상부 보조 몸체(32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400)는,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는 제2 수직 프레임(21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차단망(411′)이 구비된 제1 도어(411) 및 제2 차단망(412′)이 구비된 제2 도어(412)로 이루어진 한 쌍의 사각 프레임(410); 일측은 상기 제1 도어(411)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외곽 프레임(131)과 연결된 제1 탄성체(421), 및 일측은 상기 제2 도어(412)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외곽 프레임(131)과 연결된 제2 탄성체(42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체(421)와 제2 탄성체(422)의 타측은 서로 마주보면서 위치하는 제2 외곽 프레임(131)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탄성체(420); 일측은 상기 제1 도어(411)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링(250)을 관통한 후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1 와이어(431), 및 일측은 상기 제2 도어(412)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링(250)을 관통한 후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2 와이어(4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와이어(431)와 제2 와이어(432)의 타측은 서로 마주보면서 위치하는 가이드 링(25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와이어(430); 바 형상의 제1 지지축(451(a)), 상기 제1 지지축(451(a))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절곡부(451(b))와 제2 절곡부(451(c))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절곡부(451(b))에는 상기 제1 와이어(431)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1 걸이구(451), 및 바 형상의 제2 지지축(452(a)), 상기 제2 지지축(452(a))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3 절곡부(452(b))와 제4 절곡부(452(c))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절곡부(452(b))에는 상기 제2 와이어(432)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걸이구(452)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절곡부(451(c))와 제4 절곡부(452(c))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걸이부재(450); 상기 제1 외곽 프레임(121)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지지축(451(a))과 힌지방지으로 결합되는 제1 지지부(461), 및 상기 제2 지지축(452(a))과 힌지방지으로 결합되는 제2 지지부(462)를 포함하는 지지부(460); 및 상기 제2 절곡부(451(c))와 제4 절곡부(452(c))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 체결구(4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431) 타단에는 원형의 제1 링(441)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432) 타단에는 원형의 제2 링(432)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링(441)은 제1 절곡부(451(b))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링(432)은 제3 절곡부(452(b))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441)과 제2 링(442)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 링(250)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몸체(200)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210) 내측 상부 인근에 위치하며 상부로 갈수록 제2 수직 프레임(210)과 멀어지도록 경사진 상태로 고정된 4개의 걸고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1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몸체(200)는 목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100) 단부에는 인양고리(140)가 구비되고, 상기 인양고리(140)에는 인양로프(50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채집장치를 사용하여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 방법으로서,
    무척추동물의 채집이 요구되는 호수 수초에 채집장치를 위치시키는 제1 단계;
    소정 시간 경과 후, 개폐부재(400)로 그물망(300)의 메인 몸체(320) 하부 출입구를 밀폐시키는 제2 단계;
    조임끈(322)을 당겨 상부 보조 몸체(320)의 출입구를 밀폐시키는 제3 단계; 및
    인양로프(500)를 당겨 수면 위로 인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 방법.
KR1020220072644A 2022-06-15 2022-06-15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KR102470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644A KR102470974B1 (ko) 2022-06-15 2022-06-15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644A KR102470974B1 (ko) 2022-06-15 2022-06-15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974B1 true KR102470974B1 (ko) 2022-11-29

Family

ID=8423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644A KR102470974B1 (ko) 2022-06-15 2022-06-15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97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404A (ja) * 2000-02-22 2001-08-28 Tokyo Jimu Service Kk 藻場生息生物採集装置
KR20020023990A (ko) * 2002-01-03 2002-03-29 정정호 활어 포획용 어구
KR100458517B1 (ko) 2002-03-29 2004-12-03 문석주 담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육상곤충 및 거미류의 채집장치
KR20110001609U (ko) * 2009-08-10 2011-02-17 황정용 낙지 포획용 통발
KR20120007750A (ko) * 2010-07-15 2012-01-2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해양생물 포집용 장치
KR20150070760A (ko) 2013-12-17 2015-06-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토양배회성 무척추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4257A (ko) 2014-03-04 2015-09-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방법
KR101994253B1 (ko) * 2018-04-20 2019-06-28 주식회사해림 문어서식 및 산란용 인공어초
KR102029761B1 (ko) * 2018-04-12 2019-10-08 차창수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
KR102336567B1 (ko) 2021-06-21 2021-12-07 대한민국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집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404A (ja) * 2000-02-22 2001-08-28 Tokyo Jimu Service Kk 藻場生息生物採集装置
KR20020023990A (ko) * 2002-01-03 2002-03-29 정정호 활어 포획용 어구
KR100458517B1 (ko) 2002-03-29 2004-12-03 문석주 담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육상곤충 및 거미류의 채집장치
KR20110001609U (ko) * 2009-08-10 2011-02-17 황정용 낙지 포획용 통발
KR20120007750A (ko) * 2010-07-15 2012-01-2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해양생물 포집용 장치
KR20150070760A (ko) 2013-12-17 2015-06-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토양배회성 무척추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4257A (ko) 2014-03-04 2015-09-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방법
KR102029761B1 (ko) * 2018-04-12 2019-10-08 차창수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
KR101994253B1 (ko) * 2018-04-20 2019-06-28 주식회사해림 문어서식 및 산란용 인공어초
KR102336567B1 (ko) 2021-06-21 2021-12-07 대한민국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집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 "통발 설치 1주일! 독침 퉁가리, 대왕 줄새우가 들어왔다! (2019.06.08. 공개)" (Url : www.youtube.com/watch?v=UHsiBTqY5i0)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00854B2 (en) Foldable fish-trap
Tidemann et al. A collapsible bat-trap and a comparison of results obtained with the trap and with mist-nets
OMORI A 160-cm opening-closing plankton net I. Description of the gear
US7882850B2 (en) Door for fabric enclosure
KR100878839B1 (ko) 새우조망용 혼획저감장치
KR102470974B1 (ko)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US4134226A (en) Fishing crab trap
CN113615621B (zh) 一种养殖鱼类分级起捕方法
KR102336567B1 (ko)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집방법
KR100925880B1 (ko)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KR200436112Y1 (ko)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어망
CN212391271U (zh) 一种便于水资源采样的环保检测装置
Blomqvist Sampling performance of Ekman grabs—in situ observations and design improvements
JPS5819534A (ja) 所求深さの層の水中生物その他の採集装置
CN114194340A (zh) 一种鱼类样品采集装置
JP2017063673A (ja) 害獣類の捕獲兼用処理檻
CN104969977A (zh) 养蟹塘诱捕蟹装置
Bé et al. A quantitative multiple opening-and-closing plankton sampler for vertical towing
RU26533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мысла креветки и трубача
US3380187A (en) Trap for catching crabs
KR100636898B1 (ko) 수중구조물 안전진단용 잠수작업대
AU2021106815A4 (en) Variable Weighting System for Aquatic Traps
Grigull Fish-ecological monitoring at the hydrodynamic screw “HYDROCONNECT” with “Albrecht fishLift inside” at the Jeßnitz River in Lower Austria
JP2005341852A (ja) 小動物捕獲器
CN108507777A (zh) 一种集装箱封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