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886B1 -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886B1
KR102470886B1 KR1020220019850A KR20220019850A KR102470886B1 KR 102470886 B1 KR102470886 B1 KR 102470886B1 KR 1020220019850 A KR1020220019850 A KR 1020220019850A KR 20220019850 A KR20220019850 A KR 20220019850A KR 102470886 B1 KR102470886 B1 KR 102470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sub
shaft
plate
wedg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원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원기술
Priority to KR102022001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29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arranged underneath a stationary work-table
    • B23D45/061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arranged underneath a stationary work-table the saw blade being mount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18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 B27B5/181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the saw blade being arranged underneath a work-table
    • B27B5/184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the saw blade being arranged underneath a work-table the saw blade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on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판 등을 자동 재단하는 자동 재단기에 있어서 메인 커터와 일정한 거리를 가지면서 장착되는 서브 커터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부에 상기 서브 커터(200)가 축으로 연결되는 플레이트(202)와; 상기 플레이트(202)를 관통하여 회전 지지하며 상기 고정판(206)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샤프트(207)와; 상기 샤프트(207)의 일단부에 일체로 결합하는 내측 쐐기블록(204)과; 상기 내측 쐐기블록(204)과 쐐기면 간 면접촉하며 상기 고정판(20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측 쐐기블록(203)과; 상기 내측 쐐기블록(204)이 상기 외측 쐐기블록(203)과 면접촉을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904)과; 상기 외측 쐐기블록(203)의 승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내측 쐐기블록(204) 을 통해 상기 샤프트(207)의 축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서브 커터(200)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 조절볼트(9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재단기의 서브 커터를 메인 커터와 동일 직선상 및 동일 평면상으로 간편한 조작에 의해 위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SUB-CUTTER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UTOMATIC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합판 등을 자동 재단하는 자동 재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 커터와 일정한 거리를 가지면서 장착되는 서브 커터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브 커터를 메인 커터와 항시 동일 직선상 및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재단을 할 수있도록 된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합판 등을 재단하는 자동 재단기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 롤러를 하고 있는 무빙 테이블과, 상기 무빙 테이블에 장착되는 메인 커터 및 메인 커터와, 상기 메인 커터 및 서브 커터를 회전시키기 위해 벨트로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모터를 구성으로 포함한다.
즉,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메인 커터와 서브 커터를 회전시키고 상기 무빙 테이블을 가이드 레일 상으로 이동시켜 합판 등을 주어진 규격으로 재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재단과정에 있어서 서브 커터는 메인 커터보다 앞에 설치되어 상향 절삭을 먼저 하면서 진행하게 되고 상기 서브 커터의 뒤를 따라 메인 커터가 상향절삭을 하면서 진행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먼저 진행하는 서브 커터는 재단 시 재단물에 발생되는 버(Burr)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향절삭을 하기 때문에 얕은 깊이의 안내홈으로 가공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커터를 따라가는 메인 커터는 상기 서브 커터에 의해 파여진 홈을 따라 진행하면서 재단물을 상향절삭하게 된다.
따라서, 재단물의 절단부 측면에 스크래치 및 이중절단선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메인 커터와 서브 커터가 동일 직선상이나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커팅 부위에 치수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의 재단이 불가능하게 되어 절단 불량이 속출하게 되고 아울러 스크래치 및 이중절단선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커터와 서브 커터가 동일 직선상 및 동일 평면상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관건이다.
기존에는 상기 서브 커터와 메인 커터를 동일 직선상 및 동일 평면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모터의 위치를 힌지를 중심으로 약간씩 회전시켜서 조절하거나 무빙 테이블에 장착된 에어 실린더의 연결부 너트를 풀거나 죄는 수단에 의해 조절을 하였었다.
그러나, 이 모든 작업은 숙련된 작업자라 해도 여러 번의 시행착오 및 테스트 과정에서 많은 합판의 손실이 발생한다. 즉, 서브 커터와 메인 커터와의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나아가, 상기 방법은 서브 커터를 상하좌우 위치를 툴(Tool) 교체 시 위치를 원위치 즉 기계출고 초기 위치로 돌려야 되는 어려움이 있다.
상하좌우 변경 후에는 앞선 작업위치를 알 수가 없어서 차기 작업 시 매우 까다로워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앞선 작업위치를 찾기 위한 많은 노력과 시간 및 여러 번의 테스트를 할 수밖에 없었으며 정밀하게 조절을 할 수도 없었기 때문에 오차 한계범위를 맞추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단기의 메인 커터와 서브 커터와 동일 직선상 및 동일 평면상으로 간편한 조작에 의해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절 시의 편리 및 반복성, 정확성을 얻을 수 있고 신속한 조절에 의해 조절 시의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보다 정밀한 재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절볼트의 피치에 의해 힌지 샤프트를 기점으로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을 이용한 상하로 승강시키는 효과를 줌으로써 사익 플레이트와 연결된 서브 커터의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서브 커터의 샤프트에 스케일 바(Scale bar)를 달아 회전운동에 따른 위치 변동값을 읽을 수 있도록 한다.
상하조절 볼트의 피치에 의해 발생한 상하운동을 서브 커터 샤프트와 동축의 쐐기면에 슬라이딩 운동으로 변환시켜 서브 커터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때 힌지 샤프트에 스케일 바를 달아 좌우운동에 따른 위치 변동값을 읽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 재단기의 고정판(206)에 상대적으로 축이 고정된 메인 커터(3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커터(300)와의 정렬을 위하여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서브 커터(200)의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일단부에 상기 서브 커터(200)가 축으로 연결되는 플레이트(202)와; 상기 플레이트(202)를 관통하여 회전 지지하며 상기 고정판(206)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샤프트(207)와; 상기 샤프트(207)의 일단부에 일체로 결합하는 내측 쐐기블록(204)과; 상기 내측 쐐기블록(204)과 쐐기면 간 면접촉하며 상기 고정판(20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측 쐐기블록(203)과; 상기 내측 쐐기블록(204)이 상기 외측 쐐기블록(203)과 면접촉을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904)과; 상기 외측 쐐기블록(203)의 승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내측 쐐기블록(204) 을 통해 상기 샤프트(207)의 축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서브 커터(200)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 조절볼트(9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는 상기 플레이트(202)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로터리 샤프트(211)와; 상기 고정판(206)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210)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211)에 관통하여 결합함과 동시에 말단부가 상기 힌지 샤프트(210)에 관통하여 볼트결합함으로써 상기 힌지 샤프트(210)에 대한 상기 로터리 샤프트(211)의 간격을 조절함을 통해 상기 샤프트(207)를 중심으로 한 상기 플레이트(202)의 회전조절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202) 일단부에 연결된 상기 서브 커터(2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볼트(90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는 상기 샤프트(207)의 일단부에 결합하고 원둘레 홈이 가공된 게이지 블록(208)과; 내측에 상기 게이지 블록(208)이 설치되고 이의 이동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눈금거리가 표시된 게이지(20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은 상하조절 볼트의 회전에 의해 쐐기블록을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쐐기블록과 연결된 지지축의 회전체와 서브 커터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고, 조절볼트의 회전에 의해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하 승강을 유발시킴으로써 이와 연결된 서브 커터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단기의 서브 커터를 메인 커터와 동일 직선상 및 동일 평면상으로 간편한 조작에 의해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절 시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고 신속한 조절에 의해 조절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보다 정밀한 재단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샤프트의 축에 게이지 블록과 게이지를 설치함으로써, 값비싼 전기적 센서나 비싼 기타 측정장비를 구비하지 않고 회전운동과 직진운동을 이용하여 이에 발생하는 기구물의 변동값을 눈금상에 구현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재단기에 장착된 커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커터와 서브 커터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서 서브 커터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하조절 볼트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레이트의 승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브 커터의 구조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6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판을 자동으로 재단하는 자동재단기(100)의 서브 커터(200)를 가로(좌우)방향으로 조절하여 메인 커터(30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키기 위해 먼저, 서브 커터를 좌우로 이송시켜 간격을 조절할 경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합판을 자동으로 재단하는 자동재단기(100)의 서브 커터(200)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하여 메인 커터(300)와 동일 직선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커터(200)와 회전체(201)를 결합하고 있는 플레이트(202, 도 4 참조)의 중심부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한 쌍의 쐐기블록(203,204; 도 6 참조)과, 내측 쐐기블록(204)이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토록 하기 위해 외측 쐐기블록(203)의 쐐기면(203a)에 내측 쐐기블록(204)의 쐐기면(204a)을 면접촉시킨다.
지지벽(206)에 고정된 안내판(205)과, 상기 외측 쐐기블록(203) 상측부와 안내판(205)에 상측부로 끼워져 볼트(903)의 체결력에 의해 외측 쐐기블록(203)을 상승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904)을 설치하여 플레이트(202)의 전후 운동 시 흔들림이 없도록 하였다.
플레이트(202)와 샤프트(207)는 키(key)로 연결되어 있으며 흔들림을 잡도록 하였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블록(203,204)의 상하운동 시 원활한 작동을 취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901)을 설치하여 축방향 하중을 균등 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쐐기블록(203,204)의 상하운동에 의해 샤프트(207)가 전후운동이 일어나면서 플레이트(202) 또한 이동하게 되며 플레이트(202) 측에 고정된 서브 커터(200) 또한 전후 이동한다.
상기 샤프트(207)의 한쪽에 몸통 중간에 원둘레 홈이 가공된 게이지블록(208)을 설치하고, 눈금거리 표시가 된 게이지(209)의 안쪽에 게이지블록(208)이 설치되어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201)는 파워록(902)을 이용하여 샤프트(207)와 연결 고정되어 벨트(도 2의 907)를 통해 서브 커터(200)에 모터(906)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력은 소형 커터(209)를 이용하여 재단물을 상향절삭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서브 커터(200)를 상하로 이송시켜 간격을 조절할 경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합판을 자동으로 재단하는 자동재단기(100)의 서브 커터(200)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여 메인 커터(300)와 일정 높이차로 위치시키기 플레이트(202)에 회전 고정된 로터리 샤프트(211)와 힌지 샤프트(210)를 조절하는 볼트(905)가 있다. 로터리 샤프트(211)는 플레이트(202)에 고정되어 플레이트(202)를 상하 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회전조절 시 힌지 샤프트(210) 기준으로 플레이트(202)에 회전운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플레이트(202)는 샤프트(207)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또한 플레이트(202)의 상하 운동이 발생하게 되며 플레이트(202)에 고정된 서브 커터(200) 또한 상하 이동한다. 상기 샤프트(207)의 한쪽 몸통 중간에 원둘레 홈이 가공된 게이지 블록(208)에, 눈금거리 표시가 된 게이지(209)의 안쪽에 상기 게이지 블록(208)이 설치되어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 커터(300)는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기준점이 된다.
즉, 한 위치로 고정되어 있는 메인 커터(300)에 서브 커터(20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하여 줌으로써 서브 커터(200)를 메인 커터(300)에 동일 직선상 및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서브 커터(200)를 메인 커터(300)와 동일직선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서브 커터(200)의 상하좌우 조절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벽(206)에 결합되어 있고 두부를 노출시키고 있는 상하조절 볼트(903)에 렌치를 삽입하여 회전을 시키면 상하조절 볼트(903)에 의해 외측 쐐기블록(203)에 결합하고 있는 서브 커터(200)가 좌우(도 6에서는 좌측으로) 운동을 하게 된다.
특히, 내측 쐐기블록(204) 측부에는 스프링(904)이 끼워져 외측 쐐기블록(203)에 내측 쐐기블록(204)을 긴밀하게 밀고 있기 때문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외측 쐐기블록(203)이 상하 작동함으로써 내측 쐐기블록(204)과 일체로 형성된 플레이트(202)도 좌우방향으로 전,후진을 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플레이트(202)에 결합되어 있는 서브 커터(200)도 전후진을 하기 때문에 메인 커터(300)와 동일 직선상으로 서브 커터(200)를 위치시켜 놓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하조절 볼트(903)를 렌치에 의해 회전시키면 어느 정도 회전이 되었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인식하기 어려워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 거리를 작업자의 경험으로 알거나, 그마저도 신입 작업자는 알 수 없었으나 상하좌우를 육안 확인할 수 있는 Scale(눈금)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은 이를 해소하여 정밀한 재단을 할 수 있는 자동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간격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207)의 한쪽 몸통 중간에 원둘레 홈이 가공된 게이지 블록(208)을 설치하고 눈금거리 표시가 된 게이지(209) 안쪽에 상기 게이지 블록(208)을 설치하여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서브 커터(200)를 메인 커터(300)와 일정 높이차로 위치시키기 위한 서브 커터(200)의 상하조절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판을 자동으로 재단하는 자동재단기(100)의 서브 커터(200)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여 메인 커터(300)와 일정 높이차를 위치시키기 위해 샤프트(207)의 중심축선은 지지벽(206)에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조절볼트(905)의 회전조절에 의해 지지벽(206)에 고정된 힌지 샤프트(210) 기준으로 플레이트(202)는 샤프트(207)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플레이트(202) 또한 상하운동이 발생하여 플레이트(202)에 고정된 서브 커터(200) 또한 상하 이동한다.
상기 샤프트(207)의 한쪽 몸통 중간에 원둘레 홈이 가공된 게이지 블록(208)을 설치하고 눈금거리 표시가 된 게이지(209) 안쪽에 상기 게이지 블록(208)이 설치되어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작업자는 게이지(209)와 게이지 블록(208)을 보면서 좌우 이동거리 및 상승 높이를 알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정밀하게 이동거리 및 상승방향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서브 커터(200)의 상하좌우 조절이 완료되면 재단기(100)를 가동시켜 합판과 같은 재단물을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재단기(100)의 구동에 의해 메인 커터(300)와 서브 커터(200)를 회전시키고 무빙 테이블(301)을 안내 레일(302)과 가이드 롤러(303) 상에서 이동시켜 합판 등을 정해진 규격으로 재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재단과정에 있어서 서브 커터(200)는 메인 커터(300)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상향 절삭을 먼저 진행하게 되고 상기 서브 커터(200)의 뒤를 따라 메인 커터(300)가 하향절삭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메인 커터와 서브 커터가 동일 직선상이나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있지 않을 경우에는 커팅 부위에 치수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의 재단이 불가능하게 되어 절단 불량이 속출하게 되고 아울러 스크래치 및 이중절단선이 발생하게 된다.
먼저 진행하는 서브 커터(200)는 재단 시 재단물에 발생되는 버(Burr)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향절삭을 하기 때문에 얕은 깊이(홈)로 재단을 하게 된다.
100: 자동 재단기 200: 서브 커터
201: 풀리 202: 플레이트
203: 외측 쐐기블록 204: 내측 쐐기블록
207: 샤프트 208: 게이지 블록
209: 게이지 210: 힌지 샤프트
211: 로터리 샤프트 300: 메인 커터
301: 무빙 테이블 302: 가이드 레일
902: 파워록 903: 상하조절 볼트
904: 스프링 905: 조절볼트
906: 모터

Claims (3)

  1. 삭제
  2. 자동 재단기의 고정판(206)에 상대적으로 축이 고정된 메인 커터(3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커터(300)와의 정렬을 위하여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서브 커터(200)의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일단부에 상기 서브 커터(200)가 축으로 연결되는 플레이트(202)와;
    상기 플레이트(202)를 관통하여 회전 지지하며 상기 고정판(206)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샤프트(207)와;
    상기 샤프트(207)의 일단부에 일체로 결합하는 내측 쐐기블록(204)과;
    상기 내측 쐐기블록(204)과 쐐기면 간 면접촉하며 상기 고정판(20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측 쐐기블록(203)과;
    상기 내측 쐐기블록(204)이 상기 외측 쐐기블록(203)과 면접촉을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904)과;
    상기 외측 쐐기블록(203)의 승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내측 쐐기블록(204) 을 통해 상기 샤프트(207)의 축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서브 커터(200)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 조절볼트(903)와;
    상기 플레이트(202)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로터리 샤프트(211)와;
    상기 고정판(206)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210);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211)에 관통하여 결합함과 동시에 말단부가 상기 힌지 샤프트(210)에 관통하여 볼트결합함으로써 상기 힌지 샤프트(210)에 대한 상기 로터리 샤프트(211)의 간격을 조절함을 통해 상기 샤프트(207)를 중심으로 한 상기 플레이트(202)의 회전조절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202) 일단부에 연결된 상기 서브 커터(2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볼트(9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7)의 일단부에 결합하고 원둘레 홈이 가공된 게이지 블록(208)과;
    내측에 상기 게이지 블록(208)이 설치되고 이의 이동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눈금거리가 표시된 게이지(20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
KR1020220019850A 2022-02-16 2022-02-16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 KR102470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850A KR102470886B1 (ko) 2022-02-16 2022-02-16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850A KR102470886B1 (ko) 2022-02-16 2022-02-16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886B1 true KR102470886B1 (ko) 2022-11-25

Family

ID=8423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850A KR102470886B1 (ko) 2022-02-16 2022-02-16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8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311Y1 (ko) * 1999-07-12 2000-02-15 최재윤 자동재단기용보조커터의간격조절장치
KR20040032482A (ko) * 2002-10-10 2004-04-1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라우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311Y1 (ko) * 1999-07-12 2000-02-15 최재윤 자동재단기용보조커터의간격조절장치
KR20040032482A (ko) * 2002-10-10 2004-04-1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라우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90720B (zh) 精密推台锯设备
KR101885611B1 (ko)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EP0238137B1 (en) Independent measuring apparatus for grinder machines for cylinders and the like having members for structural and superficial control
US4132494A (en) Align boring machine
KR102470886B1 (ko) 자동 재단기용 서브 커터의 위치 조절장치
CN108526510B (zh) 基于钻管打孔车床的自动化定位检测系统
KR20230055670A (ko) 디버링 장치
US2847881A (en) Drilling machines
KR100825562B1 (ko) 시편 가공 장치
US7351019B2 (en) Clamping mechanism for an elongated workpiece
US4050838A (en) Arrangement for drilling holes to apply builders' hardware on windows
CN215545226U (zh) 一种金属件精细斜孔槽切削铣床加工装置
US4777707A (en) Milling machine for press brake
CN109386287B (zh) 用于确定岩石可钻性的装置
CN203092667U (zh) 精密推台锯设备
US54385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compensating the length of a punch tool
US5388934A (en) Machine tools
KR200161716Y1 (ko) 창성형 래크기어 가공장치
CN211626770U (zh) 用于步进电动机转矩测试的测试台架
US2350919A (en) Work holder for boring and drilling machines
CN217453069U (zh) 一种超长孔径比深孔加工专用夹具
CN220093138U (zh) 一种自动数控卧式镗床
CN220240903U (zh) 一种用于立铣刀校刀的装置
CN218255630U (zh) 能调整带锯锯切角度的带锯机
US3785245A (en) Multi-curve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