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611B1 -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611B1
KR101885611B1 KR1020170116960A KR20170116960A KR101885611B1 KR 101885611 B1 KR101885611 B1 KR 101885611B1 KR 1020170116960 A KR1020170116960 A KR 1020170116960A KR 20170116960 A KR20170116960 A KR 20170116960A KR 101885611 B1 KR101885611 B1 KR 101885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ertical
block
groove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백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백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백스틸
Priority to KR1020170116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 B23Q2717/00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in mill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동방식으로 가공물을 베드상의 바이스에 고정시켜 가공하도록 된 밀링머신에 있어, 베드 상에 가공물의 고정 높이에 대한 바닥기준자의 영점세팅과, 가공면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높이지침자, 가공물이 직각상태를 이루어 고정되었느지를 검측하고, 가공된 횡방향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직각 검측자를 갖춘 수직블럭을 전후 조정하고, 베드로브터 가이드블럭을 이송블럭과 함께 수평 조정하여 반복적으로 동일하게 가공하는 가공물의 가공수치를 별도의 공구 없이 측정하면서 가공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향상은 물론, 가공오차에 대한 제품불량가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he dimensions of workpieces for milling machine}
본 발명은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작업자에 의한 수동방식으로 피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밀링머신의 베드에 탈착 식으로 치수 측정장치를 장착하여 바이스에 고정되어 가공되는 피가공물의 가공 치수 및 가공 면을 손쉽게 별도의 측정공구 없이 검측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가공에 대한 오차를 줄여 줌으로써 특히 간단한 반복가공 제품에 대한 효율적인 제품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밀링머신(milling machine)은 밀링커터를 회전시켜 상하 ·좌우 ·전후의 선형이송운동(線形移送運動)을 준 공작물을 절삭하는 공작기계프라이스반(盤)이라고도 한다. 적당한 밀링커터를 사용함으로써 평면절삭 ·홈절삭 ·절단 등 복잡한 절삭이 가능하며, 가공 용도가 넓다.
밀링커터를 장치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주축(主軸)과 가공물을 장치하여 이송하는 테이블이 있으며, 그 구조에 따라 니형(무릎형) ·베드형으로 분류한다. 또, 주축이 수평인 것을 수평형, 세로로 된 것을 직립형 혹은 수직형으로 분류 진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니형으로, 주축은 컬럼의 상부에 수평으로 조립되고, 테이블과 새들을 얹은 니(무릎)가 상하로 활동(滑動)한다.
밀링머신에서는 밀링커터나 부속품과 부속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가공을 할 수 있다. 평면은 물론 불규칙하고 복잡한 면을 깎거나, 드릴의 홈, 기어의 치형을 깎기도 한다. 여러 가지 모양의 일감을 깎으려면 이에 해당되는 밀링커터도 일감의 모양·치수·재질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필요하다. 밀링머신은 범용성이 풍부하고 가공정밀도도 높기 때문에 선반·드릴링머신과 함께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작기계의 하나이다.
가공물의 자동 생산화됨에 따른 밀링머신의 발전은 주로 컴퓨터 수치제어장치(computer numerical control device, CNC)가 적용된 CNC밀링머신을 이용하여 해당 제품을 대량으로 가공생산하도록 하고 있다.
CNC 제어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작물의 치수와 정밀도 및 절삭공구의 치수 등을 작업자가 수치로 시스템에 입력하여 생성된 가공 데이터로 공작물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대상이 되는 가공물의 형상이 복잡하지 않거나 소규모로 생산하기 위한 용도에서는 수동식 밀링머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작업자가 가공물을 바이스에 물려 베이스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베드를 전후 혹은 좌우로 움직여 가공하는 방식으로 해당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일 예로 반복적인 가공에 있어서도 일일이 가공면의 치수, 직각도를 검사하기 위해 직각자를 비롯한 버어니어 캘리퍼스 등과 같은 치수 측정공구를 이용하여 틈틈히 가공치수를 재면서 가공을 실시하여만 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직접 작업자가 피가공물을 바이스에 고정한 후 가공 회전축 상의 앤드 밀, 커터, 드릴과 같은 공구의 회전으로 가공실시함에 있어, 매번 가공 부위의 수동 측정은 번거로움이 따르고, 작업자가 기억해야 하는 등 치수 오차 등이 발생이 되며, 항시 상기와 같은 측정공구를 주변에 비치해 두고 측정하여야 하는 불편사항으로 반복적인 제품생산성에 있어 그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작업자에 의한 수동방식으로 피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밀링머신의 베드에 탈착 식으로 치수 측정장치를 장착하여 바이스에 고정되어 가공되는 피가공물의 가공 치수 및 가공 면을 손쉽게 별도의 측정공구 없이 검측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가공에 대한 오차를 줄여 줌으로써 특히 간단한 반복가공 제품에 대한 효율적인 제품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는, 밀링머신의 구성요소인 베드의 길이 변 양측 전후 면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양측이 안착되어 수평으로 안내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부에 가이드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송블럭의 저부에 체결되는 이송스크류 및 이송스크류의 일단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를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조정핸들과; 상면에서 수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수직홈과, 상기 제1수직홈의 일면부를 따라 절개형성되는 제2수직홈과, 상기 제2수직홈이 형성된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3수직홈과, 상기 제2수직홈의 반대측의 상기 제1수직홈의 일면부를 따라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장공과, 각각 양 측단면에 관통형성되는 자조립공을 갖고, 상기 제3수직홈 및 장공의 연장선과 직각되는 후면부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져서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블럭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블럭과; 일단부가 상기 수직블럭의 제1수직홈 수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수직홈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하 이동 및 고정으로, 밀링머신의 베드 상에 장착된 바이스 측에 고정된 가공물의 하단부 기준점을 조정하기 위한 바닥기준자와; 일단부가 상기 수직블럭의 제1수직홈 수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수직홈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하 이동 및 고정으로 가공물의 설정가공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지침자와; 일면에 높이지침차의 상하 이동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눈금이 양측으로 인쇄되고, 하단부에 상기 수직블럭의 제2수직홈을 통과하는 바닥기준자의 상면에 걸쳐져 안착되는 요홈이 형성되고, 요홈의 반대측에는 제수직홈을 관통하는 높이지침차가 통과될 수 있는 장홈이 형성된 얇은 플레이트형상의 자로써, 상기 수직블럭의 제3수직홈에 상기 바닥기준자와 함께 이동되게 설치되어 바닥기준자로부터 높이지침자의 이동된 높이를 표시하는 상하가변눈금자와; 상기 수직블럭의 가이드관통부의 자조립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물의 직각도를 검사하기 위한 직각검측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블럭은, 길이방향 양 단부측에 전후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가이드부와, 길이방향 상면에 함몰 형성되어 이송블럭을 길이방향을 따라 직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과, 안내홈의 일측에 이송스크류의 일단이 안내 지지되는 지지홈 및 지지홈의 반대측에는 이송스크류를 관통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직각검측자에는 가공물의 횡방향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단위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는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는, 수동방식으로 가공물을 베드상의 바이스에 고정시켜 가공하도록 된 밀링머신에 있어, 베드 상에 가공물의 고정 높이에 대한 바닥기준자의 영점세팅과, 가공면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높이지침자, 가공물이 직각상태를 이루어 고정되었느지를 검측하고, 가공된 횡방향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직각 검측자를 갖춘 수직블럭을 전후 조정하고, 베드로브터 가이드블럭을 이송블럭과 함께 수평 조정하여 반복적으로 동일하게 가공하는 가공물의 가공수치를 별도의 공구 없이 측정하면서 가공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향상은 물론, 가공오차에 대한 제품불량가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수측정장치의 이송블럭 및 수직블럭의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수측정장치를 밀링머신의 베드 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수측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수측정장치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가변눈금자의 상하 이동 및 높이지침자의 상하 높이 조정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치수측정장치를 이용한 가공물에 대한 높이 영점조정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인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치수측정장치(100)는, 밀링머신의 구성요소인 베드(1)의 길이 변 양측 전후 면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과;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양측이 안착되어 수평으로 안내되는 가이드블럭(20)과; 상기 가이드블럭(20)의 상부에 가이드블록(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30)과; 상기 가이드블럭(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송블럭(30) 저부에 체결되는 이송스크류(40) 및 이송스크류(40)의 일단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40)를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조정핸들(42)과; 상기 이송블럭(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블럭(50)과; 상기 수직블럭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하 이동 및 고정으로 바이스(2) 측에 고정된 가공물(S)의 하단부 기준점을 조정하기 위한 바닥기준자(60)와; 상기 바닥기준자(60)가 설치된 수직블럭(50)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하 이동 및 고정으로 가공물(S)의 설정가공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지침자(70)와; 상기 수직블럭(50)에 상하 바닥기준자(60)와 함께 이동되게 설치되어 바닥기준자로부터 높이지침자의 이동된 높이를 표시하는 상하가변눈금자(80)와; 상기 수직블럭(50)의 후방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물(S)의 직각도를 검사하기 위한 직각검측자(90)로 구성된다.
밀링머신의 구성요소 중 베드(BED)(1)는 밀링머신의 주축대, 심압대, 왕복대를 장착한 상자형 주철제 기대(基臺)이며, 바이스(VISE)(2)는 고정턱과, 고정턱과 수평으로 대향되게 전후작동하며 가동물을 파지는 이동턱과, 상기 고정턱 및 이동턱을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조립되는 조절나사와, 상기 조절나사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조절나사를 정역회전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고정턱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베드(1) 상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고정대로 구성되는 통상의 것으로서, 가공물(S)을 상기 고정턱과 이동턱 사에에 물려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가이드레일(10)은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고정공이 구비되며, 외측에서 베드에 마련된 체결공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블럭(20)은, 길이방향 양측에 전후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0)에 안내되는 가이드부(22)와, 길이방향 상면에 함몰 형성되어 이송블럭(30)을 가이드블록(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4)과, 안내홈(24)의 일측에 이송스크류(40)의 일단이 안내 지지되는 지지홈(26) 및 지지홈(26)의 반대측에는 이송스크류(40)를 관통 체결되는 체결공(28)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가이드레일(10)로부터 이송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블럭(20)의 가이드부(22)는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안내하는 레일홈(21)이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가이드레일로부터 가이드부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체결방식의 고정부재(23)가 구비된다.
즉, 상기와 같은 형태는 가이드블럭(20)의 양측이 가이드레일(10)로부터 양측 저부가 안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는 구조이며, 상기 가이드블럭(20)의 안내홈(24)에는 이송블럭(30)의 하부측에 마련되는 스크류체결턱(31)이 안내되되, 이 스크류체결턱(31)에는 상기 이송스크류(40)가 나사체결되는 방식으로써 상기 이송블럭(30)과 조합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직블럭(50)은,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기준자(60), 높이지침자(70)를 안내하는 제1수직홈(51) 및 바닥기준자, 높이지침자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제2수직홈(5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홈(52)이 형성된 측면에는 상하가변눈금자(80)를 상하 안내하기 위한 제3수직홈(53)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홈(52)의 반대측에는 바닥기준자, 높이지침자의 가변되는 높이에 따라 바닥기준자, 높이지침자 측과 연결되어 바닥기준자, 높이지침자를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60A,70A)를 높낮이 안내하는 장공(54)이 형성되고, 후면 일측에는 직각검측자(90)를 관통 지지하는 가이드관통부(5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관통부(55)는 하나 이상 다수개 형성되어 직각검측자(90)를 선택에 따라 상기 가이드관통부에 맞추어 관통하여 현재 대상이 되는 가공물의 직각도를 용이한 높이에서 검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수직블럭(50)에 안내되어 상하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상하가변눈금자(80)는 얇은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일면에는 높이지침차(70)의 상하 이동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눈금(81)이 양측으로 인쇄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수직블럭(50)의 제2수직홈(52)을 통과하는 바닥기준자(60)의 상면에 걸쳐져 안착되는 요홈(82)이 형성되고, 요홈(82)의 반대측에는 제수직홈을 관통하는 높이지침차가 통과될 수 있는 장홈(83)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기준자(60)와 접하는 요홈(82)의 끝단에서부터 표시눈금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기준자(60)의 위치에 따라 높이지침자(70)의 상향 이동거리에 대한 높이, 즉 가공물(S)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직각검측자(90)에는 가공물(S)의 횡방향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단위 눈금이 표시되어 상기 수직블럭(50)의 측면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이동된 길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가공물의 상면으로부터 가공된 깊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를 통한 가공물의 측정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밀링머신의 베드(1) 상에 가공물(S)을 안착시켜 가공하기 위해서는 베드(1)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바이스(2)에 가공물을 물려 고정한 상태에서 밀링머신의 가공주축에 설치한 커터, 혹은 앤드 밀 등의 절삭공구를 회전시켜 요구하는 수치만큼 절삭가공한다. 전반적인 베드의 상승, 좌우 이송은 밀링머신에 구비된 각 조정핸들을 통해 절삭가공하거나 밀링머신의 컬럼측 가공 주축의 하강 동작구현과 함께 가공물을 절삭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수측정장치(100)는 베드(1)의 전, 후면에 설치한 가이드레일(10)로부터 가이드블럭(20)을 수평방향(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거나, 상기 가이드블럭(20)으로부터는 조정핸들(42)의 회전에 의해 이송스크류(40)를 통해 이송블럭(30)을 포함한 수직블럭(50)을 전후 이송함으로써, 상기 바이스(2)에 고정된 가공물(S)의 절삭 가공에 따른 높이를 측정하거나 직각도 등을 검측하면서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수직블럭(50)의 제1수직홈(51)에 안내되어 설치된 바닥기준자(60)는 첨부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스(2)에 고정된 가공물(S)의 하단부와 수평이 되게 일치시켜 영점조정을 한다.
이는 바닥기준자(60)의 상면이 가공물(S)의 하단과 일치시키거나, 혹은 가공물이 고정된 바이스(2)의 받침면을 기준하여 그 높이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직블럭(50)의 장공(54)의 외측에서 고정부재(60A)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기준자(60)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바닥기준자(60)의 위치 세팅시 수직블럭(50)의 제3수직홈(53)에 안내된 상하가변눈금자(80)는 제2수직홈(52)을 관통하는 바닥기준자(60)의 상면에 요홈(82)이 안착된 상태에서 동시에 높이가 조정된다. 이때 높이지침자(70)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가변눈금자(80)의 장홈(82)에 관통되어 상하가변눈금자(80)의 표시눈금(81)에 대한 높이지침자(70)의 하단면이 가리키는 눈금을 상기 가공물(S)의 가공높이에 맞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하가변눈금자(80)의 세팅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2수직홈(52)을 관통하는 높이지침자(70)의 하단면은 가공물(S)의 가공높이 오차 허용범위 내에 위치될 수 있게 그 높이를 상기 수직블럭(50)의 장공(54)의 외측에서 고정부재(70A)를 이용하여 높이지침자(70)의 가공허용 오차범위 내에 있도록 고정한다.
한편, 수직블럭(50)의 가이드관통부(55)에 설치된 직각검측자(90)를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이동시킨 다음, 조정핸들(42)로서 이송블럭(30)을 포함한 수직블럭(50)을 전후 조정하면서 바이스(2)에 고정된 가공물(S)의 직각을 검측한다. 가공물의 직각이 맞지 않는 상태에서는 바이스(2)를 별도로 조정하여 가공물이 직각상태가 오도록 세팅한다.
상기와 같은 세팅작업은 가이드레일(10)상으로부터 가이드블럭(20)의 좌우이동, 가이드블럭(20)에 대한 조정핸들(42)로써 이송스크류(40)에 체결된 이송블럭(30) 및 이송블럭(30)의 상부측에 고정된 수직블럭(50)의 전후이동을 수행하면서 세팅한다.
즉, 상기와 같은 세팅은 다수개의 동일 제품을 동일한 순서로 가공 절삭하고자 하는 경우로, 한번 맞추어진 가공물(S)의 가공 치수에 대한 작업자가 가공물의 가공을 수행하면서 높이지침자(70)의 세팅된 가공 허용범위까지 가공하였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각검측자(90)는 가공물(S)의 상면에 대한 횡방향 절삭가공 깊이에 대한 눈금 측정 대용으로도 그 가공부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수측정장치는 밀링머신을 이용한 수동식 가공에 있어, 반복적인 가공제품 생산에 대한 가공오차를 벗어나지 않게 하여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취급할 수 있어 제품가공불량을 줄임은 물론, 가공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베드 2: 바이스
10: 가이드레일 20: 가이드블럭
30: 이송블럭 40: 이송스크류
42: 조정핸들 50: 수직블럭
60: 바닥기준자 70: 높이지침자
80: 상하가변눈금자 90: 직각검측자
100: 치수측정장치 S: 가공물

Claims (4)

  1. 밀링머신의 구성요소인 베드(1)의 길이 변 양측 전후 면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과;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양측이 안착되어 수평으로 안내되는 가이드블럭(20)과;
    상기 가이드블럭(20)의 상부에 가이드블럭(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30)과;
    상기 가이드블럭(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송블럭(30)의 저부에 체결되는 이송스크류(40) 및 이송스크류(40)의 일단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40)를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조정핸들(42)과;
    상면에서 수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수직홈(51)과, 상기 제1수직홈(51)의 일면부를 따라 절개형성되는 제2수직홈(52)과, 상기 제2수직홈(52)이 형성된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3수직홈(53)과, 상기 제2수직홈(52)의 반대측의 상기 제1수직홈(51)의 일면부를 따라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장공(54)과, 각각 양 측단면에 관통형성되는 자 조립공을 갖고, 상기 제3수직홈(53) 및 장공(54)의 연장선과 직각되는 후면부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져서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관통부(55)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블럭(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블럭(50)과;
    일단부가 상기 수직블럭(50)의 제1수직홈(51) 수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수직홈(5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하 이동 및 고정으로, 밀링머신의 베드(1) 상에 장착된 바이스(2) 측에 고정된 가공물(S)의 하단부 기준점을 조정하기 위한 바닥기준자(60)와;
    일단부가 상기 수직블럭(50)의 제1수직홈(51) 수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수직홈(5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하 이동 및 고정으로 가공물(S)의 설정가공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지침자(70)와;
    일면에 높이지침차(70)의 상하 이동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눈금(81)이 양측으로 인쇄되고, 하단부에 상기 수직블럭(50)의 제2수직홈(52)을 통과하는 바닥기준자(60)의 상면에 걸쳐져 안착되는 요홈(82)이 형성되고, 요홈(82)의 반대측에는 제수직홈을 관통하는 높이지침차가 통과될 수 있는 장홈(83)이 형성된 얇은 플레이트형상의 자로써, 상기 수직블럭(50)의 제3수직홈(53)에 상기 바닥기준자(60)와 함께 이동되게 설치되어 바닥기준자(60)로부터 높이지침자(70)의 이동된 높이를 표시하는 상하가변눈금자(80)와;
    상기 수직블럭(50)의 가이드관통부(55)의 자 조립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물의 직각도를 검사하기 위한 직각검측자(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20)은,
    길이방향 양 단부측에 전후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0)에 안내되는 가이드부(22)와, 길이방향 상면에 함몰 형성되어 이송블럭(30)을 길이방향을 따라 직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4)과, 안내홈(24)의 일측에 이송스크류(40)의 일단이 안내 지지되는 지지홈(26) 및 지지홈(26)의 반대측에는 이송스크류(40)를 관통 체결되는 체결공(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검측자(90)에는 가공물의 횡방향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단위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KR1020170116960A 2017-09-13 2017-09-13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KR101885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960A KR101885611B1 (ko) 2017-09-13 2017-09-13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960A KR101885611B1 (ko) 2017-09-13 2017-09-13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611B1 true KR101885611B1 (ko) 2018-09-10

Family

ID=6359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960A KR101885611B1 (ko) 2017-09-13 2017-09-13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61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1633A (zh) * 2018-10-11 2018-12-11 武汉联航机电有限公司 一种发动机缸体的检测装置
CN110307773A (zh) * 2019-08-21 2019-10-08 中车株洲电机有限公司 一种带套组定子铁芯三相引出线测量定位装置及方法
KR102069126B1 (ko) * 2019-09-04 2020-01-2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CN114348659A (zh) * 2021-12-15 2022-04-15 安徽精菱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件输送用导向组件及大型件中转装置
CN114353628A (zh) * 2021-12-16 2022-04-15 山东工业陶瓷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深度测量装置以及方法
CN114838639A (zh) * 2022-04-20 2022-08-02 湖北三江航天万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非连续空间组合检测平台及其平面度检测方法
CN108981633B (zh) * 2018-10-11 2024-06-07 武汉联航机电有限公司 一种发动机缸体的检测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653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밀링용 수직 측정기구
KR20000014530U (ko) * 1998-12-30 2000-07-25 정몽규 3차원 측정을 위한 높이 게이지 지그
KR200203318Y1 (ko) * 2000-04-27 2000-11-15 권덕선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US6314657B2 (en) * 1997-12-04 2001-11-13 Intercomp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gauging the ride height of a vehicle
KR20070081225A (ko) * 2006-02-10 2007-08-16 엠엔티(주) 공작기계용 공구의 측정장치
US8520066B2 (en) * 2011-03-21 2013-08-27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utomated optical inspection system for the runout tolerance of circular saw blades
KR20150064615A (ko) * 2013-12-03 2015-06-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밀링머신 공구 길이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653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밀링용 수직 측정기구
US6314657B2 (en) * 1997-12-04 2001-11-13 Intercomp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gauging the ride height of a vehicle
KR20000014530U (ko) * 1998-12-30 2000-07-25 정몽규 3차원 측정을 위한 높이 게이지 지그
KR200203318Y1 (ko) * 2000-04-27 2000-11-15 권덕선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KR20070081225A (ko) * 2006-02-10 2007-08-16 엠엔티(주) 공작기계용 공구의 측정장치
KR100817320B1 (ko) * 2006-02-10 2008-03-27 엠엔티(주) 공작기계용 공구의 측정장치
US8520066B2 (en) * 2011-03-21 2013-08-27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utomated optical inspection system for the runout tolerance of circular saw blades
KR20150064615A (ko) * 2013-12-03 2015-06-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밀링머신 공구 길이 측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1633A (zh) * 2018-10-11 2018-12-11 武汉联航机电有限公司 一种发动机缸体的检测装置
CN108981633B (zh) * 2018-10-11 2024-06-07 武汉联航机电有限公司 一种发动机缸体的检测装置
CN110307773A (zh) * 2019-08-21 2019-10-08 中车株洲电机有限公司 一种带套组定子铁芯三相引出线测量定位装置及方法
KR102069126B1 (ko) * 2019-09-04 2020-01-2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CN114348659A (zh) * 2021-12-15 2022-04-15 安徽精菱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件输送用导向组件及大型件中转装置
CN114348659B (zh) * 2021-12-15 2024-06-11 安徽精菱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件输送用导向组件及大型件中转装置
CN114353628A (zh) * 2021-12-16 2022-04-15 山东工业陶瓷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深度测量装置以及方法
CN114838639A (zh) * 2022-04-20 2022-08-02 湖北三江航天万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非连续空间组合检测平台及其平面度检测方法
CN114838639B (zh) * 2022-04-20 2023-12-15 湖北三江航天万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非连续空间组合检测平台及其平面度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611B1 (ko)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US3981605A (en) X-Y table for machining
CN111716147B (zh) 回转壳体零件壁厚误差精确控制加工装置及方法
KR100906726B1 (ko) 공작기계의 가공물 위치세팅용 지그장치
US7997312B2 (en) System and device for positioning a workpiece relative to a router and use thereof
KR101527311B1 (ko) 공작 기계
CN103551627A (zh) 龙门五面体数控机床的深孔加工方法
CN210387968U (zh) 激光切割设备
CN105773087B (zh) 普通数控镗床加工高精度六方轴的方法
CN107718177A (zh) 七轴五联动木榫数控加工中心及其方法
US3212194A (en) Automated work layout means
US3775857A (en) Set-up tool
CN104646734A (zh) 铝圆管相贯曲面的机加工设备
CN105149664A (zh) 特种键槽专用铣床及其加工工艺
KR101181739B1 (ko) 스크라이브 기구
CN204975468U (zh) 特种键槽专用铣床
CN106735553A (zh) 具有切割功能的机械零件夹持设备
CN215545226U (zh) 一种金属件精细斜孔槽切削铣床加工装置
GB2526361A (en) Support & guidance device for overhead router operation
JP2012106330A (ja) 測定装置
US37895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cutting tools in machine tools
CN107457608A (zh) 一种铣床铣刀精准对刀装置及操作方法
CN111283430A (zh) 一种轴类零件切断钻孔一体机及使用方法
US5236292A (en) Y-axis fixture for a machine tool worktable
JPH10244410A (ja) 電気ドリルを用いた横型卓上ボール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