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318Y1 -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318Y1
KR200203318Y1 KR2020000012434U KR20000012434U KR200203318Y1 KR 200203318 Y1 KR200203318 Y1 KR 200203318Y1 KR 2020000012434 U KR2020000012434 U KR 2020000012434U KR 20000012434 U KR20000012434 U KR 20000012434U KR 200203318 Y1 KR200203318 Y1 KR 200203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measuring
rotating
attache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덕선
Original Assignee
권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덕선 filed Critical 권덕선
Priority to KR2020000012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3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3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workpiece characteristics, e.g. contour, dimension, hard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물을 회전시켜 가공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회전중인 공작물의 외경과 내경 및 깊이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을 회전시켜 가공하는 공작기계로는 대표적으로 선반이 있는데 이 선반은 공작물을 선반의 척(chuck)에 물려 회전시키면서 바이트(bit)로 가공을 함에 따라 회전중인 공작물의 외경이나 내경 및 깊이의 치수를 측정하기가 불가능하였다.
그리하여 숙련된 작업자가 임의로 대략의 치수로 임가공 한 후, 기계를 정지시켜 측정공구로 측정하는 방식을 몇번이나 반복한후에야 원하는 치구의 가공물을 얻게 되는데 공작물을 가공함에 있어서 그 공작물이 작업자가 원하는 치수대로 가공이 되어야 하지만, 만일 그 치수를 벗어나게 되면 그 공작물을 소용가치를 잃게 되므로 여간 조심이 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조금씩 조금씩 공작물을 가공하게 되고 그에 따라 기계를 가동-정지-측정-가동-정지-측정의 행위를 반복함에 따라 작업의 능률은 극소로 저하되며 이와 반대로 전력은 엄청나게 소모 시키게 된다. 회전중인 공작물을 계속 회전시키면서 가공할때와 정지시켰다가 회전시키고 다시 정지시켰다가 회전시키고하는 방식의 가공에 따른 전력소비는 2배 이상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비 효율적이고 소모적인 종래의 선반가공 작업에 본 발명의 장치를 부착하므로 해서 작업자가 공작물의 가공중에도 가공치수를 알수있게 하여 효율적이며 능률적으로 작업에 임하게 되어 산업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로 큰 이익 효과를 기대할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본 발명은 회전중인 공작물의 외경과 내경 및 내경의 깊이를 공작물을 가공하면서도 알수있게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을 회전시키며 가공하는 공작기계는 대표적으로 선반을 가리킬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장치도 선반에 장착함을 기본으로 하지만 사용자의 재량에 따라 산업기계의 여러곳에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선반 가공 작업을 보면 작업자가 몇 번이나 가동중인 선반을 정지시켜 통상적인 측정기구인 버어니어 캘리퍼스(일명 '노기스')로 공작물의 외경이나 내경 또는 내경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을 볼수가 있는데 이런 현상은 정밀성을 요구하는 제품일수록 더욱 심화되며 이에 따른 작업의 비효율성과 전력의 소비는 엄청날 것이다.
이의 원인은 작업자가 현재 가공하고 있는 공작물의 치수를 정확히 알지 못함이 그 원인이며 공작물을 가공함에 있어서 조금 덜 가공된 공작물은 계속 가공을 하면 되지만 아차 실수로 가공의 한계를 넘어버리면 그 공작물은 버려야 되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와 여태가공해온 노동력, 그리고 소비된 전력은 모두 헛되게 되므로 숙련된 작업자라 할지라도 여간 조심이 되는게 아니며 이로 인해 가동중인 기계를 정지하여 공작물의 치수를 측정하는 회수가 잦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노동력과 전력의 소비는 계속 증가하게 된다.
이와같은 비효율적이고 소비적인 작업방식에서 벗어나려면 무엇보다 작업자가 현재 가공중인 공작물의 치수를 정확히 알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런 장치가 이미 선출원 된 것이 있기는하다.
회전 공작기계의 피가공물 외경측정장치(출원번호:10-1995-052935, 공개번호:10-1997-047846)라는 명칭으로 특허 출원된 이 기술 내용은 측정장치가 공작물에 직접접촉하게 되므로해서 측정장치의 설치가 번거롭고 공작물의 회전에 따라 측정장치와 공작물의 마모가 우려될뿐 아니라 실제 선반작업중에서는 가공 부산물인 얇은 금속선이 공작물과 같이 휘감겨 도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이런 경우에 측정이 불가능 할뿐아니라 측정장치와 작업자가 위험에 처할수 있게되며, 공작물의 길이와 내경 및 내경의 깊이를 측정할수 없다는 단점이 있고, 하나의 공작물에 계단식으로 외경을 달리하게 될 경우에는 일일이 측정장치를 그 부분으로 옮겨야 하므로 상당히 번거롭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런점을 감안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공작물에 전혀 지장을 주지않고 안전하며 한번의 측정만으로 외경과 내경, 그리고 내경의 깊이를 작업자가 공작물의 가공중에도 알수 있게 하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작물을 가공할수 있게하여 생산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 할수 있음에 목적을 두었으며 이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장치를 부착시킨 선반의 평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장치를 부착시킨 선반의 정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장치의 평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장치의 좌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장치의 주요부품도로써
(마)는 좌측면도 (바)는 정면도이며
제 3,4,5,6도는 본 발명장치중의 A장치에 준한것임
※ 도면중 주요 부호의 설명
1: 베드 2: 공구대 3: 부베드 4: 수직이동대 5: 수평이동대
6: 척(chuck) 7: 바이트(bit) 8: 수직이송 핸들 9: 수평이송 핸들
10: 공작물 10-a: 공작물(10)의 외경 끝부분 10-b: 공작물(10)의 단면
11: 손잡이 12: 고정부 12-1: 고정부(12)의 전면에 길게 통공되어진 홈
13: 각나사 14: 측정부 14-a: 측정부(14)의 상부빗면
14-b: 측정부(4)의 암나사 15: 이동부 16: 어미자 17: 접시머리 나사
18: 볼록렌즈(돋보기) 19: 압축스프링 20: 마개 21: 보조개
가, 나, 다, 라 : 화살표(방향지시) A, B : 본 발명의 장치들
먼저 제1도는 본발명의 장치가 부착된 선반의 평면사시도이며 제2도는 정면 사시도이다.
그러나 실제의 선반의 구조는 이보다 훨씬 복잡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많은 부품들이 다양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도 실제적으로하여 도시가 되어져야 하나, 그렇게 되면 도면이 너무나 복잡해지게 되며 본 발명의 이해에 있어서도 도움이 되지 않고 또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와는 무관하므로, 선반의 필수구성품만을 도시하고 그 외에는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서면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므로 일부의 선반의 기능은 서면상으로 기술을 하기로 한다.
선반이라하면 통상적으로 알고 있는것과 같이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을 회전시키며 가공하는 공작기계로써 그 구조는 크게 나누어 공작물을 장착(물리는)시키는 척(chuck, 6)과 베드(bed, 1), 그리고 공작물을 가공하는 바이트(bit, 7)를 장착하는 공구대(2)와 공작물의 회전중심을 잡아주기도 하며 드릴을 장착하여 공작물에 구멍을 뚫을 때 사용하는 보조대(21)로 대략구성되어지며, 다시 베드(1) 위에서 공구대(2)를 베드(1)에 대해 수직으로 이송시킬 목적으로 구성되어진 부베드(3), 그리고 부베드(3)위에 장착되며 부베드(3)와 기어장치(도시생략)로 연결되어져, 베드(1)에 대해 실제적으로 수직으로 이동되는 이동대(이하 '수직 이동대'라 칭함)와 수직이동대(4)를 이동시키는 핸들(8, 이하'수직이송핸들'이라 칭함), 그리고 수직이동대(4)에 장착되어진 것으로써 공구대(2)를 베드(1)에 대해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대(5, 이하 '수평 이동대'라 칭함)와 수평이동대(5)를 이동시키는 핸들(이하 '수평이송핸들'이라 칭함)을 필수로하여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먼저 도면 제1도와 2도를 보면 본 발명의 장치가 따로따로 하나씩 부착되어 있는데 그 중하나는 선반의 부베드(3)와 수직이동대(4)의 측면에 부착되어져 있고 이것을 가리켜 편의상 본 발명의 A장치라고 칭하기로 하고 또 하나는 수직이동대(4)와 수평이동대(5)의 측면에 부착되어져 있으며 이것은 B장치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들의 대략적인 구성은 고정부(12)와 측정부(14) 그리고 이동부(15)로써 크게 세 가지(3등분)로 나누어지며 이들중 고정부(12)와 이동부(15)는 서로 수평이 되게끔 하여 선반의 적정한 위치에 접시머리 나사(17)로 부착이 된다.
그리고 이들의 구성은 본 발명장치의 평면사시도인 제3도와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인 제4도, 그리고 좌측면도인 제5도와 주요 부품도인 제6도에 잘 나타나 있으므로 이들 도면에 의거하여 구성을 상술한다.
먼저 제3도를 보면 일정하게 눈금이 새겨진 어미 자(尺, 16: 버어니어 캘리퍼스 또는 일명의 '노기스'로 불리는 측정기구의 어미자 같은 역할을 함)가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 에 새겨진 0∼10의 측정눈금(버어니어 캘리퍼스 또는 노기스의 아들자 역할을 함으로 이하 '아들자'라 칭함)과 함께 상부에 탄설된 볼록렌즈(18: 일명 돋보기)에 의해 확대되어 보이는 것을 알수 있으며 측정부(14)를 이동시키는 손잡이(11)를 볼수가 있다.
그리고 도면 제4도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에서는 선반의 적정위치에 부착되는 고정부(12), 그리고 고정부(12)와 수평으로 부착되는 이동부(15)와 일부분이 고정부(12)에 내설되어져 이동부(15)와 연결된 측정부(14)로써 3등분으로 크게 나누어지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가 잘 나타나 있으며, 다시 아래쪽의 외형이 긴 사각형이며 내부가 둥글게 천공된 고정부(12)의 속에는 긴 각 나사(13)가 내설되어져 있으며, 이 각나사(13)는 손잡이(11)와 나사로 결합되어져 손잡이(11)를 돌리면 각나사(13)가 같이 돌게 되어져 있다. 또한 이 고정부(12)의 속에는 측정부(14)와 일체로 된 암나사(14-b)가, 각나사(13)와 결합되어진 상태로 내설되어져, 결과적으로 손잡이(11)를 돌리면 각나사(13)가 돌게되고 이로 인해 각나사(13)와 암나사(14-b)로 결합된 측정부(14)는 고정부(12)의 전면에 길게 통공된 홈(12-a)을 따라 좌, 우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12)속에는 압축스프링(19)이 내설되어 있는데, 이 스프링(19)의 한쪽끝은 고정부(12)와 나사로 체결된 마개(20)에 밀착되고, 다른 끝은 측정부(14)의 암나사(14-b)에 밀착되어져, 암나사(14-b)와 각나사(13)사이의 유격을 없애주며 손잡이(11)를 돌릴시의 적당한 조절감을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고정부(12)측면의 손잡이(11)를 돌리면 측정부(14)가 고정부(12)에서 좌, 우로 움직이게 되며 이는 곧 도면제3도에 도시된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에 0~10까지 새겨진 아들자가 이동부(15)속에 내설된 어미자(16)의 눈금에서 치수 이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여기서 주의할점이 하나 있는데 어미자(16)의 눈금과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에 새겨진 아들자가, 선반에 부착되는 B장치에서는 표준적인 mm간격으로 새겨져야 하고, A장치에서는 실제적으로는 0.5mm간격에 1mm로 눈금을 새겨 간격표시가 정확하게 1/2로 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고안의 작용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 제5도는 본 장치의 좌측면도로써 구성부품의 형상을 알수가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눈금이 새겨진 어미자(16)의 형상이 대략의 장구, 또는 모래시계 형상으로써 이동부(15)속에 내설되어져 있으며 다시 이 이동부(15)를 측정부(14)가 앞뒤로 감싸안은듯하여 설치되어져 있다.
그리고 자(16)가 내설되게금 장구형으로 홈이 파여진 이동부(15)의 양끝이 개방이 되어 인력으로써 어미자(16)에 적당한 힘을 가하면 어미자(16)가 이동부(15)에서 좌, 우로 원하는 만큼 이탈이 되게 되어있다.
도면 제6도는 주요부품인 측정부(14)를 도시한 것으로써 도면중의(마)는 좌측면도이며 (바)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에 새겨진 아들자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버어니어캘리퍼스(노기스)와 같이 어미자의 19눈금을 20등분 한것으로써 측정 정도는 1/20mm, 즉 0.5mm이며 눈금을 읽는 방법도 같이한다.
[발명의 작용]
먼저 작업자가 선반의 척(6)에 공작물(10)을 물리고 바이트(7)를 공구대(2)에 장착한후 선반을 가동시키고 수평이동대(5)가 도면 제1도의 (다)방향으로 이동하게끔 수평이송핸들(9)을 돌려서 바이트(7)를 공작물(10)의 외경 끝부분(10-a)에 갖다댄다. 그후 수직이송핸들(8)을 회전시켜서(돌려서) 수직 이동대(4)를 도면 제1도의 (가) 방향으로 전지시켜 공작물의 끝부분, 즉 안면(1-0b)을 깨끗이 다듬는다. 그후 수직이송대(4)가 (나) 방향으로 이동하게끔 수직 이송 핸들(8)을 회전시켜 바이트(7)를 공작물의 외경 끝부분(10-a)에 갖다대고 선반에 부착된 본 발명장치중에 B장치의 손잡이(11)를 돌려 측정부(14)를 이동시켜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의 아들자의 제로(0)눈금과 이동부(15)속에 내설된 어미자(16)의 제로(0)눈금을 정확하게 맞춘다.
그후, 베드(1)에 대해 공구대(2)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핸들(9)을 회전시켜 도면의 (다)방향으로 수평이동대(5)를 이동시킨다.
이 동작으로 수평이동대(5)위에 있는 공구대(2)에 장착된 바이트(7)에 의해 공작물(10)의 피복이 벗겨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수직이동대(4)에 고정되어 있는 B장치의 고정부(12)와 고정부(12)속의 각나사(13)와 결합되어진 측정부(14)는 수직이동대(4)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지만 이동부(15)와 그속에 내설된 어미자(16)는 수평이동대(5)와 함께(다)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움직임으로 인해 미리 맞추어 놓은 B장치의 어미 자(16)의 제로(0)눈금과 측정부 상부빗면(14-a)의 아들자의 제로(0)눈금은 서로 간격이 벌어지게 되며 이 간격은 바이트(7)가 공작물(10)의 피복을 벗긴 길이, 즉 공작물을 가공할 길이가 된다. 이와같이 작업자는 선반에 부착된 B장치로써 이동부(15)속의 어미자(16)의 눈금과,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의 0∼10까지 새겨진 아들자의 눈금을 직접 눈으로 보면서 작업을 할수 있으므로 공작물을 가공한 길이를 작업중에도 정확히 알수가 있으며, 공작물의 내경을 가공할 경우에는 같은 방법으로 내경의 깊이를 측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공작물의 외경을 측정하는 방법은 먼저 위와 같은 방법으로 가공할 길이만큼 공작물의 피복을 벗긴후 일단 한번 선반을 정지시킨다.
그리고는 버어니어 캘리퍼스(일반적으로 가장많이 사용하는 공구)로 피복이 벗겨진 공작물의 외경을 정확히 측정을 한후 선반에 부착된 A장치의 손잡이(11)를 돌려서 측정부(14)를 움직여 이동부(15)속의 어미자(16)의 눈금에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에 새겨진 아들자를 대입하여 그 외경치수를 맞춘다.
만약 피복을 벗긴 공작물의 외경이 130mm이고 작업자가 원하는 외경치수가 120mm일 경우 10mm만 더 가공을 하면 되므로 작업자는 남은 10mm를 더 가공하기 위해 선반을 가동시킨후 공구대(2)가 도면의(가)방향으로 전진하게끔 수직이송핸들(8)을 천천히 회전시킨다. 다시 말하면 작업자가 공작물의 외경을 바이트(7)로 깎아 들어간다는 뜻이되며, 이 전진으로 인해 부 베드(3)에 부착되어진 A장치의 고정부(12)와 측정부(14)는 움직이지 않지만, 수직 이동대(4)에 부착되어진, A장치의 어미자(16)를 내설한 이동부(15)는, 공구대(2)와 함께 베드(1)에 대해 수직으로 이송이 되며, 이로 인해 어미자(16)자 측정부(14)의 상부빗면(4-a)의 아들자로써 피복을 벗긴 공작물(10)의 외경치수를 설정해 놓은 값도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변화되어 현재에 나타난 값이 바로 현재의 공작물의 외경값, 즉 현재의 외경이 되므로, 작업자는 A장치의 어미자(16)와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에 새겨진 아들자를 보면서 원하는 치수만큼 수직이송핸들(8)을 회전시켜, 원하는 값의 외경을 가진 공작물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원하는 외경으로 공작물이 가공되면 공구대(2)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대(5)의 수평이송핸들(9)을 회전시켜 B장치로써 이미 정해놓은 공작물의 길이만큼 외경을 가공할수 있다.
그리고 가공할 외경이 한번에 가공하기가 힘들면 선반을 정지하지 않은채 A장치의 어미자(16)와 아들자, 그리고 B장치의 어미자(16)와 아들자를 보면서 여러번에 나누어 가공하면 된다. 그리고 어미자(16)가 내설된 이동부(15)의 양끝이 막히지 않고 통공된 이유는 공작물의 크기에 따라 측정하고자 하는 어미자(16)의 눈금이 도면 제1도와 같이 공구대(2)를 수평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대(5)밑에 위치할 때 인력으로써 어미자(16)의 위치를 이동시켜 적정한 위치에서 치수측정을 하기 위함이다. 공작물의 내경을 가공할때도 역시 외경을 가공하는 방법과 같이 내경작업용 바이트로 공작물 내경의 피복을 벗긴후(내부에 구멍이 없는 공작물은 드릴로써 구멍을 가공한후) 일시적으로 선반 가동을 중지하여 공작물의 내경을 측정한 후 본 장치중의 A장치의 손잡이(11)를 조절하여 어미자(16)와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에 새겨진 아들자의 눈금을 대입하여, 피복을 벗긴 현재의 내경값을 설정한후, 선반을 가동하여 베드(1)에 대해 공구대(2)를 (나)방향으로 수직이송시키는 수직이송핸들(8)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그 설정값이 변하는 것을 눈으로보며 원하는 내경값으로 내경가공을 할수 있다.
그리고 내경의 깊이는 앞에서 이미 전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B장치로써 외경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깊이의 내경을 얻을수 있다.
이와같이 본 장치중의 A장치로는 공작물의 외경과 내경을, B장치로는 가공하고자 하는 외경의 길이 및 내경의 깊이를, 공작물을 가공하면서도 알수가 있어 작업자는 손쉽고 정확하게 공작물 가공에 임할수 있다.
그리고 고안에 구성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A장치와 B장치의, 어미자(16)와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에 새겨진 아들자의 눈금 차이는, B장치에서는 위의 눈금이 공작물의 외경의 길이나 내경의 깊이를 측정함으로, 다시 말하면 회전중인 공작물에 대해 공구대(2)가 수평으로 이동한 거리를 나타냄으로써 눈금들이 표준적인 mm간격에 대해 새겨져야 하지만, A장치에서는 위의 눈금이 공구대(2)가 회전중인 공작물에 대해 수직으로 움직이므로 실제적으로는 공구대(2)가 수직으로 0.5mm를 움직이면 가공되는 공작물의 내경과 외경 1mm가 된다.
그러므로 B장치의 눈금은 표준 눈금이 되어야 하고, A장치의 눈금은 표준 눈금의 1/2 즉 0.5mm간격마다 1mm가 새겨져야 한다.
그런 이유로 도면 제2도와 같이 B장치의 측정부(14-a)는 작업자가 직접 눈금을 읽게 되어 있지만 A장치에서는 복잡한 눈금을 쉽게 읽게 하기 위해 측정부(14)의 상부에 볼록 렌즈(18)가 탄설되어져 있으며 그로 인해 장치의 크기도 B장치보다 A장치가 조금 크게 되어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전자산업이 발달하여 버어니어 캘리퍼스도 그 측정치수를 아들자의 눈금을 통하여 측정하기 보다는 아들자 대신 액정표시판을 부착하여서 작업자가 직접 숫자를 읽어서 그 측정치수를 알수 있는데 그 가격이 일반적인 눈금식의 것보다 비싼 것이 흠이기는 하나 측정치수의 확인이 쉬우므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본 장치에도 아들자 대신 액정표시판을 부착하면 볼록렌즈를 통하거나 직접 눈금을 읽어 치수 확인을 하기보다는 훨씬 작업이 편할것이며 나아가서 본 발명의 A장치와 B장치의 고정부(12)와 아동부(15)의 부착지점에 적외선이나 레이저 등의 송신부와 수신부를 부착하여 작업시의 서로 거리가 멀어지고 가까워짐을 전자적으로 감지, 계산하여 그 이동거리를 숫자로 표기함으로해서 더욱 간편하고 소형화된 내경과 외경 및 길이를 측정하는 장치를 얻을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장치를 기존의 선반에 2개 부착함으로해서, 가공중인 공작물의 치수를 알지못해 몇번씩이나 가동중인 선반을 정지시켜 치수측정을 하던 종래의 작업 방식에서 벗어나, 한번의 정지 및 치수 측정으로 공작물 가공을 끝낼수 있음으로, 선반의 수명연장 뿐 아니라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 할수 있으며, 가동중인 선반을 정지함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오염 물질로부터 위협받던 작업자의 건강도 상당히 보호할수 있을뿐 아니라, 환경보호에도 한몫 할수 있으며, 선반의 재가동에 따라 순간적으로 소모되는 많은 전력 낭비를 막을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로 장점이 많은 매우 우수한 발명이라고 할수 있다.

Claims (2)

  1. 선반에 부착되어서 회전중인 공작물의 치수측정을 위한 장치로써 외형이 직사각형이며 내부가 둥글게 천공되어진 고정부(12)속에는, 외부의 손잡이(11)와 나사로써 연결되어진 긴 각나사(13)가 측정부(14)의 암나사(14-b)와 결합되어져 내설되어 있으며, 손잡이(11)의 회전조작에 따른 각나사(13)의 회전으로, 각나사(13)와 결합되어진 측정부(14)가 외부로 길게 통공 되어진 고정부(12)의 홈(12-a)을 따라 좌, 우로 이동되며, 이로 인해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에 새겨진 버어니어 캘리퍼스식의 아들자가, 고정부(12)와 수평으로 부착된 이동부(15)속에 내설된 어미자(16)에 대해 치수가 변화되며, 또한 이동부(15)의 이동에 따라 치수가 변하는 장치로써, 그중 하나(A장치)의 고정부(12)는 선반의 부베드(3)에 부착되고, 이동부(15)는 수직이동대(4)에 부착되어, 피복을 벗긴 공작물의 내경 및 외경값을 손잡이(11)의 회전으로 측정부(14)를 이동시켜 상부 빗면(14-a)에 새겨진 아들자의 눈금을 이동부(15)속에 내설된 어미자(15)에 대입하여 그 값을 설정한후, 수직 이송핸들(8)의 회전에 의해 수직이동대(4)와 이동부(15)가 이동함에 따른 설정값의 변화로 내경 및 외경을 측정하고, 자(16)의 눈금과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의 아들자의 눈금이 표준적인 mm의 간격에 대해 1/2간격에 새겨지며 볼록렌즈(18)를 통해 치수확인을 하게 되고, 다른 하나(B장치)의 고정부(12)는 수직이동대(4)에 부착되고 이동부(15)는 수평이동대(5)에 부착되어, 단면이 정리된 공작물(10)의 내경 및 외경의 단면부(10-b)에 바이트(7)를 위치시키고 어미자(16)의 제로(0)눈금과 측정부(14)의 상부 빗면(14-a)의 아들자의 제로(0)눈금을 손잡이(11)를 회전시켜 맞춘 뒤 수평이송핸들(9)을 회전함에 따라 어미자(16)와 측정부(14)의 아들자의 눈금 변화로써 가공하는 공작물의 길이 및 내경의 깊이를 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A장치에서는 측정부(14)의 상부에 탄설된 볼록렌즈(18)와 상부빗면(14-a)에 새겨진 아들자를 대신하고,
    B장치에서는, 측정부(14)의 상부빗면(14-a)에 새겨진 아들자를 대신하여 액정표시판을 부착함으로써 측정치수를 숫자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KR2020000012434U 2000-04-27 2000-04-27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KR200203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434U KR200203318Y1 (ko) 2000-04-27 2000-04-27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434U KR200203318Y1 (ko) 2000-04-27 2000-04-27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927A Division KR20000030748A (ko) 2000-03-11 2000-03-11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318Y1 true KR200203318Y1 (ko) 2000-11-15

Family

ID=1965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434U KR200203318Y1 (ko) 2000-04-27 2000-04-27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3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987B1 (ko) * 2002-04-23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롤 가공용 선반기를 이용한 롤 외경 측정장치
KR101885611B1 (ko) * 2017-09-13 2018-09-10 주식회사 삼백스틸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987B1 (ko) * 2002-04-23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롤 가공용 선반기를 이용한 롤 외경 측정장치
KR101885611B1 (ko) * 2017-09-13 2018-09-10 주식회사 삼백스틸 밀링머신용 가공물의 치수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8733A4 (en) EYE GLASS LENS MACHINING METHOD AND DEVICE AND EYE GLASS LENS MEASURING PROCEDURE
KR950012617A (ko) 반도체 웨이퍼연삭용 회전식 연삭기계의 가공편홀더 및 그 가공편홀더를 위치시키는 방법
EP0838304A3 (de) Mobiles Präzisions-Bohrgerät
US5095635A (en) Block for fixing the coordinate axes of material to be processed by an nc wire electro-spark processing machine
KR200203318Y1 (ko)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US4433488A (en) Device for setting the cutting edge of a tool fitted in a tool-holder externally of a machine tool, or for measuring the setting of said edge
KR20000030748A (ko) 회전 공작물의 치수 측정장치
JP2004098213A (ja) 工具位置測定方法及びnc加工方法並びにnc工作機械
ATE195089T1 (de) Vorrichtung zur überprüfung der genauigkeit einer kreisbahn einer arbeitsspindel
JPH10249676A (ja) 数値制御工作機械によるワークの加工方法
CN111542408A (zh) 工具保持装置及机床
JP2018043328A (ja) 切削工具、及び加工方法
US2727313A (en) Collocating means for measuring radii
KR100497821B1 (ko) 엔드밀 세팅장치
CN216385413U (zh) 一种倒锥圆柱对比检测量具
KR102000419B1 (ko) 대상물 가공 장치
JPS63229211A (ja) ドリル、エンドミル等の回転工具
US2646624A (en) Universal gauging and scribing means
SU917964A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установки шпиндел с инструментом относительно заготовки
KR200303274Y1 (ko) 엔드밀 세팅장치
JPH0416882Y2 (ko)
SU582917A1 (ru) Цанговый патрон
US314544A (en) Gage for lathes
JPH08110201A (ja) スクリュ径測定用治具及びスクリュ径測定装置
TWI405637B (zh) 尋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