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812B1 -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 Google Patents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812B1
KR102470812B1 KR1020220079415A KR20220079415A KR102470812B1 KR 102470812 B1 KR102470812 B1 KR 102470812B1 KR 1020220079415 A KR1020220079415 A KR 1020220079415A KR 20220079415 A KR20220079415 A KR 20220079415A KR 102470812 B1 KR102470812 B1 KR 10247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dd
tsync
signal
reference signal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080A (ko
Inventor
윤민선
이석진
안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ublication of KR2022009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14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79Receiver details
    • H04L7/0087Preprocessing of received signal for synchronisation, e.g. by code conversion, pulse generation or edg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헤드-엔드 유닛에서 기준신호 검출모듈, 복제모듈,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 및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을 포함하는 TDD 서브-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장치의 동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검출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이와 관련한 서비스 대응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TDD Sub-System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ing Time Division Duplexing}
본 발명은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 사업자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들이 위치하는 커버리지 영역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은 그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AS는 신호 경로의 적어도 일부 공통 주파수 또는 공통 부분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및 업링크 신호가 각각 송신 및 수신되는 시분할 이중화(Time Division Duplexing; TDD)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DD 동작을 위해 구성된 DAS는 업링크 신호 경로로부터 다운 링크 신호 경로를 격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통신 사업자가 각각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동일한 DAS를 사용할 수 있다. DAS를 구성하거나 운영하는 주체는 DAS를 사용하는 통신 사업자와 독립적일 수 있다. 통신 사업자와 독립적인 주체는 통신 사업자에 의해 사용되는 TDD 구성에 따라 DAS의 스위칭 동작이 적절히 수행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TDD 서브-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그 동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검출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와 관련한 서비스 대응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Tsync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모듈; 상기 신호와 연관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에는 상기 Tsync 기준 신호를, 상기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 저장된 Tsync 기준 신호를 TDD 스위칭 제어를 위한 TDD 동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복제모듈; 상기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지연차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토대로 상기 Tsync 기준 신호의 지연 여부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 및 상기 TDD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기지국 신호들에 대한 지연차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토대로 상기 다른 기지국 신호의 지연 여부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지원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Tsync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신호와 연관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에는 상기 Tsync 기준 신호를, 상기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 저장된 Tsync 기준 신호를 TDD 스위칭 제어를 위한 TDD 동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과정; 상기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지연차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토대로 상기 Tsync 기준 신호의 지연 여부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TDD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기지국 신호들에 대한 지연차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토대로 상기 다른 기지국 신호의 지연 여부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지원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Tsync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기준신호 검출모듈; 상기 신호와 연관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에는 상기 Tsync 기준 신호를, 상기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 저장된 Tsync 기준 신호를 TDD 스위칭 제어를 위한 TDD 동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복제모듈; 상기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지연차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토대로 상기 Tsync 기준 신호의 지연 여부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 및 상기 TDD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기지국 신호들에 대한 지연차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토대로 상기 다른 기지국 신호의 지연 여부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본 발명은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TDD 서브-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그 동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검출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이와 관련한 서비스 대응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엔드 유닛에 포함될 수 있는 TDD 서브-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제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복제모듈과 2개의 지연 검출모듈들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TDD 서브-시스템을 구현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지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DAS는 리모트 유닛(120)들 및 기지국(100)들과 통신하는 헤드-엔드 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태들에서, 상이한 기지국들은 상이한 무선통신 사업자들과 관련된 신호들을 통신할 수 있다. DAS는 기지국(100)의 무선통신 커버리지를 확장하기 위해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경기장, 사무실 빌딩 등)에 배치될 수 있다.
DAS는 다운링크 신호를 기지국(100)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리모트 유닛(120)으로 전송하기 위한 다운 링크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DAS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기지국(100)으로부터 다운 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운 링크 신호는 리모트 유닛(120)에 의해 커버리지 영역에 전파된다. 또한, DAS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유닛(120)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기지국(100) 또는 중계기로 업 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업 링크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업 링크 신호는 커버리지 영역 내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리모트 유닛(120)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신되는 업 링크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의 신호이다.
헤드-엔드 유닛(110)은 기지국(100)과 리모트 유닛(120) 사이에서 신호를 통신할 수 있다. 헤드-엔드 유닛(110) 및 리모트 유닛(120)은 임의의 적합한 통신 링크(예컨대, 광섬유, 동축 케이블 등)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헤드-엔드 유닛(110) 및 리모트 유닛(120)은 통신 링크를 통한 디지털 통신을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도 1은 3개의 기지국(100) 및 2개의 리모트 유닛(120)과 통신하는 단일 헤드-엔드 유닛(110)을 나타낸다. 그러나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임의의 수의 헤드-엔드 유닛 및 임의의 수의 기지국(또는 다른 신호 소스)과 임의의 수의 리모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AS는 DAS를 통해 신호를 통신하는 다수의 통신 사업자에 대해, TDD(Time Division Duplexing)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AS는 TDD 신호를 업 링크 방향으로 통신하기 위한 업링크 모드와 TDD 신호를 다운 링크 방향으로 통신하기 위한 다운링크 모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즉, TDD 동작을 위해 구성된 DAS는 업링크 신호 경로로부터 다운 링크 신호 경로를 분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TDD 지원하는 DAS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신호에 대한 스위칭 제어가 필요하다. 기지국(100)으로부터 TDD 스위칭 신호를 제공받지 않는 DAS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신호에 대한 스위칭 제어를 위해,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TDD 동기 신호(이하 'TDD sync signal')를 생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헤드-엔드 유닛(110)은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TDD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TDD 서브-시스템(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생성된 TDD 동기 신호를, 통신 링크를 통해, 리모트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엔드 유닛(110)은, 지원되는 복수의 기지국(100)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TDD 스위칭 제어를 위한 TDD 동기 신호를 검출(추정)하고, 검출된 TDD 동기 신호의 복제본(Replica)을 저장해 둔다.
이후, 헤드-엔드 유닛(110)은 현재 사용중인 TDD 동기 신호가 끊기거나 문제 발생 시에 타 기지국 신호로 절체하도록 동작하며, 절체되어 정상적인 TDD 동기 신호가 추출될 때까지 시스템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 TDD 동기 신호의 복제본을 사용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엔드 유닛(110)은, 현재 TDD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의 실시간 Delay 편차와 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들 간의 실시간 Delay 편차를 산출하여, 허용되는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외부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etwork maintenance system; NMS)에 알람을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엔드 유닛에 포함될 수 있는 TDD 서브-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D 서브-시스템(112)은 기준신호 검출모듈(TDD Sync detect Module, 200), 복제모듈(TDD Sync Replica Module, 210),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TDD Sync Self Delay Detection Module, 220) 및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TDD Sync Operator Delay Detection Module, 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TDD 서브-시스템(112)의 각 구성요소는 각각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TDD 서브-시스템(112)의 각 구성요소는 FPGA로 구성될 수 있다.
기준신호 검출모듈(200)은 복수의 기지국 중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RF 혹은 IF 대역의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추정된 TDD 동기 신호(TDD sync signal)를 생성한다. 예컨대, 기준신호 검출모듈(200)은 다운링크 신호의 단기(Short term) 평균 전력을 계산하고, 계산된 단기 평균 전력을 TDD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TDD 동기 신호를 추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준신호 검출모듈(200)이 추정한 TDD 동기 신호를 "Tsync 기준 신호(Tsync Ref Signal)"로 지칭한다.
복제모듈(210)은 기준신호 검출모듈(200)이 생성한 Tsync 기준 신호의 DL-UL configuration 유효성을 검사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Tsync 기준 신호를 TDD 동기 신호로서 출력하고, Tsync 기준 신호의 복제본을 저장한다. Tsync 기준 신호의 복제본(Replica)은 현재 사용 중인 TDD 동기 신호가 끊기거나 문제 발생시에 타 통신 사업자로 절체해서 정상적인 TDD 동기 신호가 추출될 때까지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효성 검사 기준이되는 DL-UL configuration은 기준신호 검출모듈(200)을 통해 검출되어 복제모듈(210) 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관리자에 의해 직접 복제모듈(210) 상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기준신호 검출모듈(200)은 DL-UL configuration을 검출하는 과정에서 종래의 DL-UL configuration 검출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 TDD 서브-시스템(112)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 예컨대, FPGA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신호 검출모듈(200)은 해당 FPGA를 생성하는 회사(ex:INNOS)에서 지원하는 DL-UL configuration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의 DL-UL configuration을 검출할 수 있다.
복제모듈(210)은 Tsync 기준 신호의 펄스 폭이 DL-UL configuration의 유효 범위를 벗어나면, TDD Sync Configuration Alarm을 발생하고, 저장된 Tsync 기준 신호의 복제본을 TDD 동기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때 저장된 Tsync 기준 신호의 복제본은 복제모듈(210)에 수신된 이전 Tsync 기준 신호 중 유효성이 검증된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복제본일 수 있다. 복제모듈(2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220)은 기준신호 검출모듈(200)로부터 수신되는 Tsync 기준 신호의 Delay 차이를 검출하고, 검출된 Delay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Alarm을 발생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220)은 Tsync 기준 신호에서 상승 에지(Rising edge; 즉, UL→DL로 천이(transition)하는 지점)들 사이의 간격을, 예컨대, 100ns 해상도로, 카운팅한다.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220)은 검출된 카운트 값을 TDD 프레임의 주기(DL-UL configuration에 따라 5ms 또는 10ms 일 수 있음)와 비교하여, Delay 차이(도 3에서 "Self Delay"로 표시)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범위(예컨대, -3㎲ ~ +3㎲)를 벗어나는 경우에, 외부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etwork Maintenance System; NMS)에 알람을 전송한다.
이를 위해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220)은 카운터(300) 및 딜레이 검출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220)은, 예컨대, 2sec 동안의 Self Delay의 변동치의 최대값을 헤드-엔드 유닛(1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230)은 Tsync 기준 신호 대비 타 통신 사업자 신호의 Delay 차이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Alarm을 발생한다.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23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DD 서브-시스템(112)의 프로세서는 복제모듈(210)로부터 제공되는 TDD 동기 신호의 Delay를 IQ 데이터와 동일하게 한 후, (리모트 유닛에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다운링크 신호를 프레이밍 하는) Framer(미도시)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TDD 서브-시스템(112)은 딜레이 모듈(24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제모듈(2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제모듈(210)은 캡쳐 메모리(Capture Memory, 400), 복제 메모리(Replica Memory, 410), 카운터(Tsync Counter, 420), 알람 검출부(Alarm Detection, 430) 및 프로세서(4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40)는 (5ms or 10ms의) Tsync 기준 신호를 100ns 해상도로 캡쳐하여 캡쳐 메모리(400)에 저장한다. 프로세서(440)는 캡쳐된 신호가 정상이면, 캡쳐 메모리(400)로부터 Data를 복사하여 복사본(TDD Sync Replica Signal)을 복제 메모리(410)에 저장한다.
카운터(420)는 Tsync 기준 신호의 High 상태, Low 상태를 100㎱ 해상도로 로 카운트한다.
알람 검출부(430)는 카운터(420)에서 카운트한 High 상태/Low 상태 카운트값으로부터 상승 에지들 사이의 간격을 체크하고, 체크된 간격이 UL-DL Configuration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프로세서(440)는, Tsync 기준 신호가 정상 범위이면(≤±3㎲), 캡쳐 메모리(400)로부터 TDD Sync Original Signal을 출력한다. 반면, Tsync 기준 신호가 비정상이면, 프로세서(440)는 복제 메모리(410)로부터 TDD Sync Replica Signal을 출력하고, TDD Sync Configuration 알람을 발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2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230)은 검출범위 선정기(Capture Enable Generator, 500), 전력 검출부(Power Detector, 510), 비교기(TDD Sync Generator, 520) 및 캡쳐 메모리(Capture Memory, 530)를 포함한다.
검출범위 선정기(500)는 TDD 동기 신호의 UL→DL Transition 지점(즉, 상승 에지)으로부터 ±4㎲ 동안(=검출 범위) Capture Enable 신호를 생성한다.
전력 검출부(510)는 Capture Enable 구간 동안, 캡쳐되는 각 통신 사업자(ex: 타 기지국)의 IQ Data로부터 전력(power)을 검출한다.
비교기(520)는 Capture Enable 구간 동안 검출된 전력으로부터 통신 사업자별 TDD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TDD 동기 신호를 캡쳐 메모리(530)에 저장한다. 예컨대, 비교기(520)는 일정 크기 이상의 전력 범위를 1의 값으로 지정하고, 일정 크기 이하의 전력 범위를 0의 값으로 지정함으로써 상기의 TDD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캡쳐 메모리(530)로부터 통신 사업자별 TDD 동기 신호를 읽어서 Delay 편차(= 대상 통신 사업자 Delay - 레퍼런스 통신 사업자 Delay)를 계산한다. 프로세서는 Delay 편차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예컨대, -3㎲ ~ +3㎲)를 벗어나면 Alarm을 발생한다.
도 6은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230)이 DCM sync signal를 기준으로, DCM signal과 KDDI signal과 SBM signal에 대해 각각, 검출범위(±ΔT) 내에서 xx.xx ns 구간별 전력 검출을 통해, 각 신호의 상승 에지를 검출하는 예시를 보인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준 대상이 되는 기지국 신호의 라이징 포인트를 기준으로 타 기지국 신호의 라이징 포인트를 비교함으로써 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들 간의 실시간 Delay 편차를 산출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복제모듈(210)과 2개의 신호지연 검출모듈(220, 230)들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제모듈(210)은 Tsync 기준 신호의 1-Frame을 검사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 Tsync 기준 신호의 1-Frame을 출력하므로, TDD 동기 신호(Original)는 Tsync 기준 신호보다 1-Frame만큼 Delay되어 출력된다.
복제모듈(210)은 TDD 동기 신호(Original)가 확정된 후 TDD 동기 신호(Replica)로서 저장하고 그 후 저장된 TDD 동기 신호(Replica)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TDD 동기 신호(Replica)는 Tsync 기준 신호보다 적어도 2-Frame만큼 Delay되어 출력된다.
이로 인해,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220)은 Tsync 기준 신호의 각 프레임마다 동작하고,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230)은 TDD 동기 신호에 의해 Capture Enable이 동작하므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표 1은 TDD 서브-시스템의 예시적인 각 모듈별 동작 성능 또는 규격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표 1에는 복제모듈(210)(표 1에서 "Replica"로 표기됨),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220)(표 1에서 "Self"로 표기됨), 및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230)(표 1에서 "Operator"로 표기됨)의 캡쳐 해상도(Capture Resolution), 캡쳐 범위(Capture Range), 정확도(Accuracy), 생성하는 알람 종류(Alarm), 및 Delay에 대한 알람 발생 조건(Alarm Range)가 표시되어 있다.
Figure 112022067786316-pat00001
도 8은 TDD 서브-시스템을 구현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지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TDD 서브-시스템(112)은 복수의 기지국 중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RF 혹은 IF 대역의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Tsync 기준 신호를 검출한다(S802).
TDD 서브-시스템(112)은 단계 S802에서 검출한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한다(S804). 단계 S804에서 TDD 서브-시스템(112)은 Tsync 기준 신호의 로우 상태 및 하이 상태를 기 설정된 해상도 단위로 카운트 하고, 카운트 결과가 DL-UL configuration에 부합되는지 여부에 따라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TDD 서브-시스템(112)은 단계 S804의 검증 결과에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S806), TDD Sync Configuration Alarm을 발생하고, 기 저장된 Tsync 기준 신호의 복제본을 TDD 동기 신호로서 출력한다(S808). 단계 S808에서 기 저장된 Tsync 기준 신호의 복제본은 이전 Tsync 기준 신호 중 유효성이 검증된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복제본일 수 있다.
TDD 서브-시스템(112)은 단계 S804의 검증 결과에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S806), Tsync 기준 신호를 TDD 동기 신호로서 출력하고, Tsync 기준 신호의 복제본을 저장한다(S810).
TDD 서브-시스템(112)은 단계 S802에서 검출되는 Tsync 기준 신호의 Delay 차이를 검출하고, 검출된 Delay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Alarm을 발생한다(S812).
TDD 서브-시스템(112)은 단계 S808 또는 단계 S810에서 출력되는 TDD 동기 신호 대비 타 통신 사업자 신호의 Delay 차이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Alarm을 발생한다(S814).
여기서, 단계 S802 내지 S814는 앞서 설명된 TDD 서브-시스템(112)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8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8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기재된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지원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기지국 110: 헤드-엔드 유닛
112: TDD 서브-시스템 120: 리모트 유닛
200: 기준신호 검출모듈 210: 복제모듈
220: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 230: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

Claims (13)

  1. 복수의 기지국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TDD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Tsync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기준신호 검출모듈, 상기 Tsync 기준 신호는 다운링크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HIGH 상태를 가지며, 업링크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LOW 상태를 가짐;
    상기 TDD 다운링크 신호와 연관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에는 상기 Tsync 기준 신호를, 상기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 저장된 Tsync 기준 신호를 TDD 스위칭 제어를 위한 TDD 동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복제모듈; 및
    상기 Tsync 기준 신호가 상기 LOW 상태에서 상기 HIGH 상태로 천이하는 상승 에지들 사이의 간격의 변동치인 자기지연을 검출하고, 검출된 자기지연이 기설정된 제1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알람을 제공하는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모듈은,
    상기 Tsync 기준 신호의 로우 상태 및 하이 상태를 기 설정된 해상도 단위로 카운트하여 상기 상승에지들 사이의 간격을 검출하고, 검출된 간격이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정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모듈은,
    상기 유효성 검증결과를 토대로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정보와의 부합 여부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모듈은,
    상기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 상기 Tsync 기준 신호의 복제본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Tsync 기준 신호는,
    상기 복제모듈에 수신된 이전 Tsync 기준 신호 중 유효성이 검증된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복제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은,
    상기 Tsync 기준 신호의 상승 에지들 사이의 간격을 기 설정된 해상도 단위로 결정하고, 결정된 상승 에지들 사이의 간격을 TDD 프레임의 주기와 비교한 비교결과를 토대로 검출되는 지연차가 상기 제1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DD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와 다른 기지국의 TDD 다운링크 신호들의 상승 에지 간의 차이인 지연편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지연편차가 기설정된 제2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알람을 제공하는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은,
    상기 TDD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지점을 기준으로 소정 구간을 검출 범위로서 선정하고, 상기 검출 범위동안 캡쳐되는 상기 다른 기지국 신호의 IQ 데이터로부터 검출되는 전력을 토대로 상기 다른 기지국 신호에 상응하는 TDD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TDD 동기 신호 및 상기 다른 기지국의 TDD 동기 신호 간의 딜레이 편차가 상기 제2의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9.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지원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기지국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TDD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Tsync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Tsync 기준 신호는 다운링크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HIGH 상태를 가지며, 업링크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LOW 상태를 가짐;
    상기 TDD 다운링크 신호와 연관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에는 상기 Tsync 기준 신호를, 상기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 저장된 Tsync 기준 신호를 TDD 스위칭 제어를 위한 TDD 동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Tsync 기준 신호가 상기 LOW 상태에서 상기 HIGH 상태로 천이하는 상승 에지들 사이의 간격의 변동치인 자기지연을 검출하고, 검출된 자기진연이 기설정된 제1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알람을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지원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검증결과를 토대로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정보와의 부합 여부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지원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TDD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와 다른 기지국의 TDD 다운링크 신호들의 상승 에지 간의 차이인 지연편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지연편차가 기설정된 제2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알람을 제공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지원 방법.
  12. 복수의 기지국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TDD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Tsync 기준 신호를 검출하는 기준신호 검출모듈, 상기 Tsync 기준 신호는 다운링크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HIGH 상태를 가지며, 업링크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LOW 상태를 가짐;
    상기 TDD 다운링크 신호와 연관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Tsync 기준 신호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에는 상기 Tsync 기준 신호를, 상기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 저장된 Tsync 기준 신호를 TDD 스위칭 제어를 위한 TDD 동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복제모듈; 및
    상기 Tsync 기준 신호가 상기 LOW 상태에서 상기 HIGH 상태로 천이하는 상승 에지들 사이의 간격의 변동치인 상기 Tsync 기준 신호의 자기지연을 검출하고, 검출된 자기지연이 기설정된 제1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알람을 제공하는 신호지연 자가 검출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TDD 동기 신호 의 상승 에지와 다른 기지국의 TDD 다운링크 신호들의 상승 에지 간의 차이인 지연편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지연편차가 기설정된 제2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알람을 제공하는 기지국 신호지연 검출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20220079415A 2017-09-29 2022-06-29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KR102470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27964 2017-09-29
KR1020170127964 2017-09-29
KR1020180040264A KR102416552B1 (ko) 2017-09-29 2018-04-06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264A Division KR102416552B1 (ko) 2017-09-29 2018-04-06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080A KR20220093080A (ko) 2022-07-05
KR102470812B1 true KR102470812B1 (ko) 2022-11-28

Family

ID=661643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264A KR102416552B1 (ko) 2017-09-29 2018-04-06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KR1020220079415A KR102470812B1 (ko) 2017-09-29 2022-06-29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264A KR102416552B1 (ko) 2017-09-29 2018-04-06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46347B2 (ko)
JP (1) JP7069299B2 (ko)
KR (2) KR102416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6185B2 (en) 2020-04-15 2024-04-09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Time-division duplexing (TDD) detection in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s systems (DCS) to synchronize TDD downlink and uplink communications, and related methods
US11457422B2 (en) 2020-09-01 2022-09-27 Kumu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eater TDD synchronization
EP4002716A1 (en) * 2020-11-13 2022-05-25 SOLiD Inc.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nd signal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CN113341811A (zh) * 2021-06-11 2021-09-03 罗森伯格技术有限公司 兼容两种tdd开关信号传输的方法、远端设备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1252A (ja) 2004-09-30 2006-04-13 Iwatsu Electric Co Ltd 移動通信基地局間の無線同期方法とシステム。
KR101508978B1 (ko) 2009-04-20 2015-04-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Tdd용 기지국 안테나의 송수신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기지국 안테나
KR101566295B1 (ko) 2015-01-09 2015-11-06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이동통신 중계기의 tdd 타임스위칭 장치
KR101745669B1 (ko) 2016-01-15 2017-06-09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Das의 tdd 스위칭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7796B2 (ja) * 1987-11-10 1997-08-06 日本電気株式会社 回線切替方式
KR101048960B1 (ko) 2004-11-01 2011-07-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Ofdm-tdd방식의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기지국과중계기 간의 신호전달 지연시간 보상을 위한 광 중계기 및광 중계기의 신호전달 지연시간 보상 스위칭 타이밍 신호생성 방법
EP2127190B1 (en) * 2007-02-08 2017-08-23 Nokia Technologies Oy Robust synchronization for time division duplex signal
JP5106970B2 (ja) * 2007-10-01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ベリフィケーション方法
US8165100B2 (en) 2007-12-21 2012-04-24 Powerwave Technologies, Inc. Time division duplexed digital distributed antenna system
EP2353240A1 (en) * 2008-11-06 2011-08-10 Nokia Siemens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decentralized synchronization
KR101588747B1 (ko) 2010-01-20 2016-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장치
KR101498079B1 (ko) 2010-03-04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장치
US9692584B2 (en) * 2013-01-17 2017-06-27 Telefona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of radio communications using different subframe configurations and related radio and/or network nodes
US9560613B1 (en) * 2013-04-25 2017-01-31 Google Inc. Validating synchronization compliance using network measurements
US9572171B2 (en) * 2013-10-31 2017-02-14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device-to-device channel contention
EP2889957A1 (en) * 2013-12-30 2015-07-01 Clemens Rheinfelder Active antenna system with distributed transceiver system
BR112017021144A2 (pt) * 2015-04-03 2018-07-03 Dali Systems Co Ltd ?métodos para gerar e detectar um impulso de comutação de sincronização em um sistema de duplexagem por divisão no tempo, e, sistema para gerar sinais sincronizado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1252A (ja) 2004-09-30 2006-04-13 Iwatsu Electric Co Ltd 移動通信基地局間の無線同期方法とシステム。
KR101508978B1 (ko) 2009-04-20 2015-04-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Tdd용 기지국 안테나의 송수신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기지국 안테나
KR101566295B1 (ko) 2015-01-09 2015-11-06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이동통신 중계기의 tdd 타임스위칭 장치
KR101745669B1 (ko) 2016-01-15 2017-06-09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Das의 tdd 스위칭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9299B2 (ja) 2022-05-17
KR20190038255A (ko) 2019-04-08
JP2020533912A (ja) 2020-11-19
US11146347B2 (en) 2021-10-12
KR20220093080A (ko) 2022-07-05
KR102416552B1 (ko) 2022-07-04
US20200228217A1 (en)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812B1 (ko)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US11362749B2 (en) Switching sub-system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ing time division duplexing
US104043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opagation delay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1807745B1 (ko) 통신 네트워크 내 노드들 사이의 경로 지연 비대칭의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타이밍 레퍼런스들의 감지를 위한 방법
US11540149B2 (en) Synchronization and fault management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EP3122003B1 (en) Link confirm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optical packet switching system
WO2019066276A1 (ko)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tdd 서브-시스템
KR102102966B1 (ko) 사업자 공용 중계기용 5g tdd 동기 신호 검출 방법
US202103676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forwarding a digital signal
US908894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3992248B2 (ja) スイッチング素子確認システムおよび信号分析システム
CN107547232B (zh) 网元设备及其传输模式配置装置和方法
KR20160082095A (ko) 이동통신신호 및 서비스 주파수 대역 검출 장치
CN106788949B (zh) 一种同步规划方法及装置
KR102636504B1 (ko)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K2887547T3 (en) Offsetting power from power semiconductors
US903105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90134540A (ko) 중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8055100A (zh) 信号同步系统以及同步信号的延迟校准方法和装置
US200902380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links
CN108632842A (zh) 失步确定方法及装置
WO2017071759A1 (en)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method and controller
JPS58209249A (ja) デイジタル中継伝送路の監視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