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762B1 -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762B1
KR102470762B1 KR1020200148216A KR20200148216A KR102470762B1 KR 102470762 B1 KR102470762 B1 KR 102470762B1 KR 1020200148216 A KR1020200148216 A KR 1020200148216A KR 20200148216 A KR20200148216 A KR 20200148216A KR 102470762 B1 KR102470762 B1 KR 10247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arking brake
motor
housing
screw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706A (ko
Inventor
송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20014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7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액추에이터의 내부에 주차브레이크 완전 해제 시점에 압축되기 시작하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이 압축될 때 모터의 공급 전류값은 갑자기 증가된다.
전자제어유니트는 그러한 모터의 공급 전류값 변화에 의해 상기 스프링 압축 시점을 인지하고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주차브레이크 해제시 항상 정확한 시점에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Electronic parking brake actuator and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를 이용하여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EPB: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은 운전자의 주차브레이크스위치 조작을 인지한 전자제어유니트가 모터를 작동시켜 주차케이블을 당겨줌으로써 주차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된 장치이다.
또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정지여부, 파킹레버위치, 엔진작동여부 등의 조건에 따라, 운전자의 주차브레이크스위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도, 전자제어유니트가 스스로 모터를 작동시켜 주차브레이크가 작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주차케이블(3)을 당겨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어 양측 주차케이블(3)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너트스크류조립체(2)와, 상기 너트스크류조립체(2)를 작동시키는 모터(4)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4)의 회전력은 기어박스(5)의 감속기어열을 통해 감속되어 너트스크류조립체(2)에 전달되고, 너트스크류조립체(2)는 중간의 너트스크류가 회전되면 그 양단에 서로 반대의 나선 방향으로 결합된 볼트스크류들이 동시에 너트스크류의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동시에 너트스크류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진다.
따라서 모터(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양측 주차케이블(3)이 당겨지거나 이완됨으로써 주차브레이크가 작동 및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주차브레이크 해제시 모터(4)의 작동을 정확한 시점에 정지시키기 위해서 주차케이블(3)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하고, 장력이 일정값 이하로 작아지면 모터(4)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있다.
이를 위해 주차케이블(3)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6)와, 장력센서(6)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정지 조건을 만족할 경우 모터(4)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모터(4) 작동을 정지시키는 전자회로기판(7)이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액추에이터의 하우징(1) 내부에 장력센서(6)와 전자회로기판(7)이 설치되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고, 하우징(1)의 크기가 증가되어 액추에이터의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장력센서(6)에서 측정되는 주차케이블(3)의 장력값은 샤시모듈에 설치된 주차케이블(3)의 레이아웃과 설치 상태 등의 외적 요건에 따라 변화되기 쉽기 때문에 차량 및 차종 별로 주차브레이크 해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력의 기준값을 달리 설정해야만 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터의 작동 정지가 부적절한 시점(너무 늦거나 또는 빠르게)에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9904호(2015.06.12.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액추에이터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크기가 감소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케이블의 레이아웃 및 설치 상태 등의 외적 요인에 상관없이 항상 정확한 시점에 모터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된 상기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너트스크류조립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너트스크류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너트스크류조립체의 볼트스크류와 주차케이블의 이너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주차케이블의 케이블엔드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주차브레이크 해제 작동시 주차브레이크가 완전히 해제되는 시점에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기어박스의 일측에 너트스크류조립체의 일측 부분을 수용하는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와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가 형성된 메인하우징과, 기어박스의 일측에 너트스크류조립체의 타측 부분을 수용하는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된 서브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하우징과 서브하우징의 각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의 단부에 엔드캡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엔드캡의 내부에 상기 주차케이블의 케이블엔드가 수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에 볼트연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케이블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연결부에 볼트엔드수용홀이 형성되어 볼트스크류의 단부에 형성된 원판형의 볼트엔드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주차케이블의 이너케이블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이너케이블의 외주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의 케이블연결부에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블엔드에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은, 너트스크류조립체의 볼트스크류와 주차케이블의 이너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주차케이블의 케이블엔드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주차브레이크 해제 작동시 주차브레이크가 완전히 해제되는 시점에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을 구비한 액추에이터와; 상기 너트스크류조립체를 구동하기 위해 액추에이터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와 차량의 배터리를 연결하는 전원공급라인에 설치된 전자제어스위치와; 상기 전자제어스위치를 on/off하는 전자제어유니트; 및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하는 전류측정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는 시점에 상기 전류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의해 주차브레이크가 완전 해제된 것을 인지하고, 주차브레이크가 완전 해제된 것을 인지한 시점에 상기 전자제어스위치를 off하여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액추에이터의 하우징 내부에 장력센서와 전자회로기판이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액추에이터의 크기가 감소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해제시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모터의 전류값이 특정값으로 변화되고, 이를 인지한 전자제어유니트가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므로 항상 정확한 시점에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하우징 및 엔드캡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4의 A부 즉, 스프링 설치부의 확대도.
도 6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100)는, 하우징(110)과, 너트스크류조립체(120), 모터(130), 감속기어열(140), 연결부재(150) 및 스프링(160)을 포함한다. 주차케이블(170)은 하우징(110)의 양단에 연결된다.
하우징(110)은 메인하우징(111)과 서브하우징(112)을 포함한다.
메인하우징(111)은 기어박스(111a)의 일측면에 원형 파이프 형상의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111b)와, 그보다 지름이 크고 길이는 짧은 원통 형상의 모터 수용부(111c)가 돌출 형성된다. 이들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111b)와 모터 수용부(111c)의 외주 표면은 하우징(110)의 강성 확보를 위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111b)의 단부에는 수나사부(111ba)가 형성되어 엔드캡(113)이 나사 결합된다.
서브하우징(112)은 기어박스(112a)의 일측면에 원형 파이프 형상의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112b)가 돌출 형성되고,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112b)의 단부에 수나사부(112ba)가 형성되어 엔드캡(113)이 나사 결합된다. 또한 기어박스(112a)의 타측면에는 메인하우징(111)의 기어박스(111a)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112c)가 형성된다.
메인하우징(111)의 기어박스(111a)와 서브하우징(112)의 커버플레이트(112c)는 다수의 스크류를 매개로 서로 결합된다. 상기 기어박스(111a)와 커버플레이트(112c)의 사이에는 가스켓(114)이 설치되어 기어박스(111a,112a) 내부로의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차단한다.
또한 메인하우징(111)의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111b)와 모터 수용부(111c) 및 서브하우징(112)의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112b)에는 스크류홀이 형성된 고정편(111d,112d)들이 형성되어 스크류로 하우징(110)을 차량 샤시모듈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너트스크류조립체(120)는 너트스크류(121)와, 너트스크류(121)의 양단에 각각 나사 결합된 볼트스크류(122)를 포함한다.
너트스크류(121) 양단 나사 결합부의 나선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왼쪽 나사 결합부가 왼나사 구조이면 오른쪽 나사 결합부는 오른나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너트스크류(1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양측 볼트스크류(122)들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너트스크류(121)의 양단에 형성된 암나사홀의 내부로 들어감)하거나,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상기 암나사홀로부터 돌출됨)하게 된다.
양측 볼트스크류(122)의 단부에는 연결부재(150)를 매개로 주차케이블(170)이 연결된다.
주차케이블(170)은 내측의 이너케이블(171)과, 이너케이블(171)을 감싸는 케이블커버(172) 및 케이블커버(172)의 단부에 장착된 케이블엔드(173)를 포함한다. 케이블엔드(173)의 단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이너케이블(171)이 케이블엔드(17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너케이블(171)은 케이블커버(172)에 대해 전후 이동 가능하다. 이 이너케이블(171)이 연결부재(150)를 매개로 볼트스크류(122)에 연결되는 것이다.
연결부재(150)는 도 5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볼트연결부(151) 일측면에 육각돌기 형상의 케이블연결부(15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볼트연결부(151)에는 볼트엔드수용홀(151a)이 형성되고, 그 볼트엔드수용홀(151a)에 볼트스크류(122)의 단부에 형성된 원판형의 볼트엔드(122a)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 수용된다. 따라서 연결부재(150)와 볼트스크류(122) 사이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 여부와 상관없이 볼트스크류(122)의 단부에 연결부재(150)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케이블연결부(152)에는 단부에 원형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그 삽입홀로 상기 이너케이블(171) 단부가 삽입 결합된다. 완전한 고정을 위해 케이블연결부(152)가 압착되거나 용접이 실시될 수 있다.
케이블엔드(173)는 상기 엔드캡(113)의 내부에 수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도 4, 도 5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50)와 케이블엔드(173) 사이에는 스프링(160)이 설치된다. 스프링(160)은 코일스프링으로서 이너케이블(171)의 외주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고, 일측 단부는 연결부재(150)의 케이블연결부(152)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케이블엔드(173)에 지지된다.
스프링(160)은 볼트스크류(122)의 직선 이동에 따라 압축 또는 복원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160)이 주차브레이크가 완전히 해제되는 시점부터 연결부재(150)의 케이블연결부(152)에 의해 압축되기 시작하도록 설계된다.
케이블엔드(173)의 단부면에는 상기 이너케이블(171)이 관통하는 홀 주변으로 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안착홈에 스프링(16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스프링(160)의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모터(130)는 도 6과 같이, 메인하우징(111)의 모터수용부(111c)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감속기어열(140)은 도 4, 도 6과 같이, 모터(130)의 출력축 단부에 설치된 구동기어(141)와 복수의 중간기어(142) 및 상기 너트스크류(121)의 외주에 장착된 최종기어(143)를 포함한다. 이 기어들(141,142,143)은 서로 치합되어 있다.
감속기어열(140)은 메인하우징(111)의 기어박스(111a)와 서브하우징(112)의 기어박스(112a)가 결합되어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액추에이터(100)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한 구성의 액추에이터(100)와, 액추에이터(100)의 모터(130)와 차량의 배터리(200)를 연결하는 전원공급라인에 설치된 전자제어스위치(300)와, 운전자의 주차브레이크스위치(400)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스위치(300)를 on/off하는 전자제어유니트(ECU)(500) 및 상기 모터(130)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6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제어스위치(300)는 on/off 상태가 전환되는 스위치로서 on일 때 배터리(200)의 전류가 액추에이터(100)의 모터(130)로 공급되고, off일 때 전류 공급이 차단되며, on/off 작동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50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전자제어유니트(500)는 기본적으로 주차브레이크스위치(400)가 on되면 상기 전자제어스위치(300)를 on시키고, 주차브레이크스위치(400)가 off되면 전자제어스위치(300)를 off시킨다.
또한 전자제어유니트(500)는 입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차량정지여부, 파킹레버위치, 엔진작동여부 등의 조건을 파악하고, 작동 조건이 만족되면 운전자의 주차브레이크스위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스스로 전자제어스위치(300)를 on시켜서 액추에이터(100)의 모터(130)를 작동시킴으로써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고, 반대로 전자제어스위치(300)를 off시켜서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전류측정센서(600)는 모터(130)로 공급되는 전류값(전류의 세기(A))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측정된 전류값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500)로 입력된다.
따라서 전자제어유니트(500)는 모터(130)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제어유니트(500)는 주차브레이크 해제 작동 중 상기 연결부재(150)가 스프링(160)을 압축하기 시작할 때 측정되는 전류값(또는 전류값 변화 패턴)이 감지되면, 전자제어스위치(300)를 off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160)은 주차브레이크가 완전히 해제되는 시점에 압축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스프링(160)의 압축이 인지되면 전자제어유니트(500)는 주차브레이크가 완전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고, 전자제어스위치(300)을 off시켜 모터(130)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류측정센서(600)는 액추에이터(100)의 외부에 별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전자제어유니트(500)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 액추에이터(100)는 모터(130)로 전류가 공급되면 작동된다. 모터(130) 회전 방향에 따라 볼트스크류(122)가 너트스크류(121)의 내부로 이동하면 이너케이블(171)이 당겨짐으로써 주차브레이크가 작동(휠 잠금 상태)되고, 반대로 볼트스크류(122)가 너트스크류(121)의 외부로 이동하면 당겨졌던 이너케이블(171)이 원상태로 복귀됨으로써 주차브레이크가 해제(휠 잠금 상태 풀림)된다.
액추에이터(100) 작동 중 너트스크류(121)와의 마찰에 의해 볼트스크류(122)가 회전될 수 있으나, 볼트스크류(122)의 볼트엔드(122a)가 연결부재(150)의 볼트연결부(151) 내부에서 헛돎으로써 이너케이블(171)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이너케이블(171)의 꼬임이 방지된다.
한편, 주차브레이크 작동(휠 잠금)을 위해 너트스크류(121)의 내부로 이동했던 볼트스크류(122)는 주차브레이크 해제시 다시 너트스크류(121)의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모터(130)의 작동이 정확한 시점에 정지되어야 주차브레이크가 완전히 해제됨은 물론 모터(130)의 불필요한 작동이 방지되어 모터(130)를 포함한 액추에이터(100)의 고장이 방지되고 전력소비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00)가 주차브레이크 해제를 위해 작동될 때, 주차브레이크가 완전히 해제되는 시점부터 연결부재(150)의 케이블연결부(152)가 스프링(160)을 압축하기 시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60)의 타단(연결부재(150)에 의해 가압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은 엔드캡(113)에 수용되어 위치가 고정된 케이블엔드(173)에 지지되므로 연결부재(150)에 의해 스프링(160)이 압축되면 스프링(160)에 탄성 반력이 발생된다. 이때에도 전자제어스위치(300)의 on상태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160) 반력에 저항하여 모터(130)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130)로 공급되는 전류값이 순간적으로 증가된다.
상기 전류측정센서(600)는 항상 모터(130)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전자제어유니트(500)에 전달하므로 전자제어유니트(500)는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150)에 의해 스프링(160)이 압축되기 시작하는 시점의 전류값 변화를 스프링(160) 압축과 동시에 인지할 수 있으며, 스프링(160) 압축 개시 시점은 주차브레이크가 완전히 해제된 때이며(미세한 시간 간극은 존재할 수 있음),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제어유니트(500)가 그 시점에 전자제어스위치(300)를 off시켜 모터(130)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모터(130)가 매우 적절하고 정확한 시점에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브레이크 해제시 모터(130)의 작동 정지 지연에 따른 모터(130)의 과작동이 방지됨으로써 모터(130) 뿐만 아니라 다른 액추에이터(100)의 내부 구성품들에도 불필요한 작동력이 가해지지 않아 고장이 방지되고 내구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130)의 작동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되지 않음으로써 전력소모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160) 압축에 의한 모터(130)의 전류값 변화는 볼트스크류(122)의 돌출 방향 이동량에만 종속되는 인자로서 그 외 주차케이블(170)의 레이아웃 및 설치 상태 등의 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상 정확한 시점에 모터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100)는, 종래와 같이 주차케이블의 장력을 측정하여 모터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10)의 내부에 장력센서와, 장력센서 측정값을 전달받아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전자회로기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액추에이터(100)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하우징(10)에 장력센서와 전자회로기판을 설치할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고(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우징(110) 내부에는 주차케이블(170) 조작을 위한 필수 구성인 모터(130), 감속기어열(140), 너트스크류조립체(120), 연결부재(150)만이 빈 공간 없이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스프링(160)은 별도의 설치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10)의 크기가 대폭 감소된다. 즉, 액추에이터(100)의 크기가 크게 감소되어 취급이 용이하고, 샤시모듈에서 설치 위치를 정하기가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액추에이터 110 : 하우징
111 : 메인하우징 112 : 서브하우징
111a, 112a : 기어박스 111b, 112b :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
111ba, 112ba : 수나사부 111c : 모터 수용부
112c : 커버플레이트 111d, 112d : 고정편
113 : 엔드캡 114 : 가스켓
120 : 너트스크류조립체 121 : 너트스크류
122 : 볼트스크류 122a : 볼트엔드
130 : 모터 140 : 감속기어열
141 : 구동기어 142 : 중간기어
143 : 최종기어 150 : 연결부재
151 : 볼트연결부 152 : 케이블연결부
160 : 스프링 170 : 주차케이블
171 : 이너케이블 172 : 케이블커버
173 : 케이블엔드 200 : 배터리
300 : 전자제어스위치 400 : 주차브레이크스위치
500 : 전자제어유니트 600 : 전류측정센서

Claims (7)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너트스크류조립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너트스크류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너트스크류조립체의 볼트스크류와 주차케이블의 이너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주차케이블의 케이블엔드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주차브레이크 해제 작동시 주차브레이크가 완전히 해제되는 시점에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에 볼트연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케이블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연결부에 볼트엔드수용홀이 형성되어 볼트스크류의 단부에 형성된 원판형의 볼트엔드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주차케이블의 이너케이블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이너케이블의 외주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의 케이블연결부에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블엔드에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기어박스의 일측에 너트스크류조립체의 일측 부분을 수용하는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와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가 형성된 메인하우징과, 기어박스의 일측에 너트스크류조립체의 타측 부분을 수용하는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된 서브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과 서브하우징의 각 너트스크류조립체 수용부의 단부에 엔드캡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엔드캡의 내부에 상기 주차케이블의 케이블엔드가 수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48216A 2020-11-09 2020-11-09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KR102470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216A KR102470762B1 (ko) 2020-11-09 2020-11-09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216A KR102470762B1 (ko) 2020-11-09 2020-11-09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706A KR20220062706A (ko) 2022-05-17
KR102470762B1 true KR102470762B1 (ko) 2022-11-28

Family

ID=8179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216A KR102470762B1 (ko) 2020-11-09 2020-11-09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7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29B1 (ko) * 2012-11-07 2013-03-11 주식회사 인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1655205B1 (ko) * 2015-06-30 2016-09-07 주식회사 인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130B1 (ko) * 2014-04-10 2015-11-1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
KR101529904B1 (ko) 2014-09-25 2015-06-19 주식회사 인팩 양방향 분할형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160037537A (ko) * 2014-09-29 2016-04-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29B1 (ko) * 2012-11-07 2013-03-11 주식회사 인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1655205B1 (ko) * 2015-06-30 2016-09-07 주식회사 인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706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7946B2 (en) Vehicle transmission
CN108253136B (zh) 车辆用变速器控制装置
KR101227307B1 (ko) 쉬프트 바이 와이어 자동 변속장치 시스템용 액추에이터
JP2011511218A (ja) パークロックのための緊急ロック解除装置
US20110278114A1 (en) Electric parking brake
CN108468800B (zh) 具有释放和返回机构的致动器
US10920879B2 (en) Vehicular transmission
CN107687515B (zh) 对控制构件的角位置进行控制的致动单元和车辆传动装置
EP2457772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KR102470762B1 (ko)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US20010037919A1 (en) Brake device actuator and brake device having the same
US20160076614A1 (en) Module
US6848535B2 (en) Transmission ratio variable mechanism
EP2235403B1 (en) Vehicle range change apparatus
JP2010203543A (ja)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WO2024029589A1 (ja) 電動制動装置
JP2005201381A (ja) 減速機付モータ
KR20160044771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KR20190030288A (ko) 차량용 기어 시프트 장치
CN220956533U (en) Electromechanical brake
US20230323702A1 (en) Arrangement for lock device, and lock device comprising arrangement
JP2010500512A (ja) 自動車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を解除する方法
IT201800020113A1 (it) Sistema di blocco di parcheggio migliorato
KR20220166530A (ko) 자동차용 시프트 바이 와이어 파킹 액츄에이터
JP6019495B2 (ja) 車両用ドアの開閉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