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961B1 -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961B1
KR102469961B1 KR1020220026851A KR20220026851A KR102469961B1 KR 102469961 B1 KR102469961 B1 KR 102469961B1 KR 1020220026851 A KR1020220026851 A KR 1020220026851A KR 20220026851 A KR20220026851 A KR 20220026851A KR 102469961 B1 KR102469961 B1 KR 102469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transformer
distribution line
coupled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원
Priority to KR102022002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은 완철바의 상부에 카메라 모듈과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한 화재 진화 장치를 설치하고, 카메라 모듈에 의해 변압기의 주변을 촬영한 화재 영상 정보를 감지하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 불활성 가스를 변압기 쪽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변압기의 주변을 촬영한 화재 영상 정보를 감지하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 불활성 가스를 변압기 쪽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함으로써 변압기와 배전선로의 파손을 방지하여 주변 상가와 주택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System for Extinguishing Fire of Distribution Line Installed on Distribute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철바의 상부에 카메라 모듈과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한 화재 진화 장치를 설치하고, 카메라 모듈에 의해 변압기의 주변을 촬영한 화재 영상 정보를 감지하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 불활성 가스를 변압기 쪽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로부터 송전된 전기는 전주 및 완철을 매개로 설치되는 가공배전라인을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된다.
이때, 전주에는 변압기가 설치되고, 변압기에 인출된 인출배전라인을 통해 전기가 각 수용가에 배전된다.
전주에는 애자, 변압기, 완철, 각종 배전선로가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고, 각종 배전선로가 정리가 안되어 거미줄처럼 엉켜 있고, 축 늘어져 있다.
변압기에는 이상 전류, 번개 등으로 스파크가 발생하면, 변압기의 작은 불씨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변압기는 전주의 높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화재가 발생하여도 외부에서 감지하기 어려우며, 모든 장치가 전소될 때까지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변압기와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손상으로 인하여 주변 상가와 주택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40471호(등록일: 2013년 03월 06일), 발명의 명칭: "OLTC 화재 및/또는 변압기 폭발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완철바의 상부에 카메라 모듈과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한 화재 진화 장치를 설치하고, 카메라 모듈에 의해 변압기의 주변을 촬영한 화재 영상 정보를 감지하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 불활성 가스를 변압기 쪽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100)은,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101)와, 받침대(101)에 끼워져 고정되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는 전주(102)와, 전주(102)의 상단에 원형 결합밴드(미도시)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길이 방향의 완철바(104)를 포함하고,
상기 완철바(104)의 상부면에는 배전선로(10)가 변압기(20)와 접속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 또는 발생된 화재를 진화하는 화재 진화 장치(200)를 형성하고,
상기 화재 진화 장치(200)는 모터(220)에 의해 회전하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회전암(240)과, 상기 회전암(240)의 일단에 카메라 모듈(243)을 결합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243)의 양쪽에 제1 분사노즐(250) 및 제2 분사노즐(251)를 결합하고,
상기 완철바(104)의 상부면에 상기 제1 분사노즐(250)이 제1 분사 통로(201)에 결합하여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제2 분사노즐(251)이 제2 분사 통로(202)에 결합하여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제1 분사 통로(201)와 상기 제2 분사 통로(202)는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탱크(204)에 연결하고, 상기 제1 분사 통로(201)와 상기 제2 분사 통로(202)는 통로 상에 불활성 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토출량 제어밸브(203)가 설치하고,
상기 변압기(20)의 근처에 설치된 온도센서(245)와 화재 감지 센서(246)로부터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토출량 제어밸브(203)로 제어밸브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가스탱크(204)의 불활성 가스를 제1 분사노즐(250)과 제2 분사노즐(251)를 통해 상기 변압기(20) 쪽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제어부(13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변압기의 주변을 촬영한 화재 영상 정보를 감지하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 불활성 가스를 변압기 쪽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함으로써 변압기와 배전선로의 파손을 방지하여 주변 상가와 주택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신호를 감지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내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의 측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위치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장치에 의해 변압기의 상하 이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이동장치에 의해 변압기의 전후방 이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둘레 방향의 회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의 내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전주에 설치되는 변압기에는 이상 전류, 번개 등으로 스파크가 발생하면, 변압기의 작은 불씨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변압기는 전주의 높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화재가 발생하여도 외부에서 감지하기 어려우며, 모든 장치가 전소될 때까지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변압기와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손상으로 인하여 주변 상가와 주택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변압기가 설치된 전주의 배전선로 장력 조절 장치(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101)와, 받침대(101)에 끼워져 고정되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는 전주(102)와, 전주(102)의 상단에 원형 결합밴드(미도시)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길이 방향의 완철바(104)를 포함한다.
완철바(104)의 상부면에는 배전선로(10)가 변압기(20)와 접속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 또는 발생된 화재를 진화하는 화재 진화 장치(200)를 형성한다.
화재 진화 장치(200)는 통 형상의 실린더(210)와 모터(220), 원반형 블록(230), 회전암(240), 카메라 모듈(243), 제1 분사노즐(250) 및 제2 분사노즐(251)를 포함한다.
모터(220)는 실린더(210)의 내부에 수용되고, 모터(220)의 회전축(221)에 제1 기어(222)를 결합한다.
원반형 블록(230)은 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제2 기어(233)를 형성하고, 하부면에 일정 길이의 원형관(231)이 돌출되고, 원형관(231)의 내측면을 따라 제1 내접기어(232)를 형성한다.
모터(220)의 제1 기어(222)는 원형관(231)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제1 내접기어(232)에 끼워 맞춰져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다.
회전암(240)은 평탄한 형태이고,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일측 끝단에 원형의 홈(241)을 형성하고, 홈(241)의 내측면을 따라 제2 내접기어(242)를 형성한다.
홈(241)에는 원반형 블록(230)의 제2 기어(233)를 삽입하여 제2 기어(233)를 제2 내접기어(242)에 끼워 맞춰져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다.
회전암(240)은 홈(241)과 반대 방향의 일측 끝단에 카메라 모듈(243)을 결합하고, 카메라 모듈(243)의 양쪽에 제1 분사노즐(250) 및 제2 분사노즐(251)를 결합한다.
카메라 모듈(243)은 렌즈(미도시)를 투과하여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학적 신호를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카메라 모듈(243), 제1 분사노즐(250) 및 제2 분사노즐(251)은 변압기(20) 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완철바(104)의 상부면에는 제1 분사노즐(250)이 제1 분사 통로(201)에 결합하여 연통되어 있고, 제2 분사노즐(251)이 제2 분사 통로(202)에 결합하여 연통되어 있다.
제1 분사 통로(201)와 제2 분사 통로(202)는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탱크(204)에 연결한다. 가스탱크(204)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불활성 가스를 저장한다. 제1 분사 통로(201)와 제2 분사 통로(202)는 통로 상에 불활성 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토출량 제어밸브(203)가 설치된다.
토출량 제어밸브(203)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로 구성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에어 펌프 등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부(244)는 카메라 모듈(2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135)의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 모듈(243)을 소정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카메라 모듈(243)의 회전시 이에 상응하는 회전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의 형식으로 제어부(135)에 제공한다.
카메라 구동부(244)는 카메라 모듈(243)을 회전시키기 위해 카메라 모듈(243)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구동수단(예를 들면, 전동기)(미도시)과 카메라 모듈(243)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포토 인터럽트(photo interrupt)(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포토 인터럽트는 카메라의 회전시 이에 상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한다.
온도센서(245)는 변압기(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변압기(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고, 화재 감지 센서(246)는 변압기(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변압기(20)의 주변의 화재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외에 온도센서(245)와 화재 감지 센서(246)는 변압기(20)의 주변에 다양한 위치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제어부(135)는 카메라 모듈(243), 카메라 구동부(244), 온도센서(245), 화재 감지 센서(246), 토출량 제어밸브(203), 모터(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35)는 온도센서(245)와 화재 감지 센서(246)로부터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한다.
제어부(135)는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토출량 제어밸브(203)로 제어밸브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가스탱크(204)의 불활성 가스를 제1 분사노즐(250)과 제2 분사노즐(251)를 통해 변압기(20) 쪽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신호를 감지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내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메라 모듈(243)은 변압기(20)의 전체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135)는 모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220)로 전송하면, 회전암(24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카메라 모듈(243)을 통해 변압기(20)의 전체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카메라 구동부(244)는 좌우, 상하 회전과 줌(확대/축소)이 가능한 PTZ(Pan Tilt Zoom) 카메라를 사용하고, 동체 추적 기능을 갖고 있어,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여 이동체의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부(244)는 카메라 모듈(2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카메라 모듈(243)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제어부(135)는 객체 탐지부(182)와 연동하여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객체를 탐지한다.
객체 탐지부(182)는 객체 분류를 위해 Softmax가 아닌 다양한 독립 로지스틱을 사용하고, 컨볼루션 레이어를 이용하여 특징 학습이 수행한다.
객체 탐지부(182)는 복수의 컨볼루션 레이어와 스킵 연결로 구성되어 3개의 개별 규모에서 특징을 감지하고, 컨볼루션 레이어에 의해 특징맵을 다운 샘플링하고, 불변 크기 특징을 전송하기 위해 실행된다.
객체 탐지부(182)는 영상 정보에서 객체(화재)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으로부터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맵을 추출한다.
객체 탐지부(182)는 추출한 특징맵을 기초로 영상에서 화재 객체의 존재가 추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추출한다.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faster RCNN, SSD(Single Shot MultiBox Detector), YOLO(You Only Look Once)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YOLO 객체 인식모듈(YOLOv3)을 일례로 하고 있다.
신경망 처리부(185)는 딥러닝 학습부(186), 판별부(187) 및 학습부(188)를 포함한다.
제어부(135)는 딥러닝 학습부(186), 판별부(187) 및 학습부(18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저장부(183)는 제어부(107)로부터 객체 탐지부(182)로부터 추출된 다양한 객체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객체 영상은 화재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 처리부(185)는 입력으로 객체 영상을 입력하고, 출력으로 객체 영상에 대응하는 화재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83)는 복수의 화재 영상을 딥러닝 기법으로 학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다.
딥러닝 학습부(186)는 저장부(183)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을 통해 학습시킬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86)는 학습 데이터로부터 특징값을 검출할 수 있으며, 화재 영상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신경망에 적용되는 연결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86)는 신경망의 출력층에서 생성된 출력값과 학습 데이터에 대한 원하는 기대 값을 비교하여 오류를 계산하고, 오류를 줄이는 방향으로 신경망의 인식 모델에 적용되는 연결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86)는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에 기초하여 신경망이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크기 측정 데이터에 대한 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학습된 신경망은 다양한 객체 영상과 이에 대응하는 화재 영상 정보를 인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86)는 입력층, 히든층 및 출력층으로 구성되어 임피던스값을 입력층에 입력시키고, 입력된 객체 영상과 이에 대응하는 화재 영상 정보를 출력층으로 출력되도록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86)는 저장부(183)로부터 수신한 학습 데이터인 화재 객체 영상에서 특징값을 검출하고, 특징값을 이용하여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딥러닝 학습부(186)는 화재 객체 영상으로부터 특징 벡터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특징 벡터들을 이용하여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판별부(187)는 딥러닝 학습부(186)로부터 신경망의 인식 모델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어부(107)로부터 객체 영상을 수신하고, 신경망의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수신한 객체 영상에 대응하는 화재 영상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부(187)는 수신한 객체 영상을 양자화하여 특징값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값들을 딥러닝 학습부(186)에서 학습된 학습 데이터의 특징 벡터들과 비교하여 객체 영상에 대응하는 화재 영상 결과 여부를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학습부(188)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따라 객체 영상이 판별되지 않는 경우, 새로운 객체 영상으로 신경망의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5)는 신경망 처리부(185)로부터 화재 영상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토출량 제어밸브(203)로 밸브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가스탱크(204)의 불활성 가스가 변압기(20)의 주변으로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의 측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위치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완철바(104)는 내부 공간에 수평 위치이동부(110)를 탑재하고, 일측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드홈(103)이 파져 있다.
완철바(104)는 슬라이드홈(103)을 통해 평판 형태의 연결부재(117)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부재(117)는 가공배전선로(10)를 절연 상태로 지지하는 완철(40)을 전면에 결합하고, 완철(40)은 현수 애자(20)와 가공배전선로(10)에 연결되어 있다.
수평 위치이동부(110)는 완철(40), 현수 애자(20)와 가공배전선로(10)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위치이동부(110)는 완철바(104)의 내부 공간부에 형성되어 제1 스크류(111)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스크류(111)의 일단에 제1 베벨기어(113)를 결합하고, 제1 베벨기어(113)에 수직 방향으로 제2 베벨기어(114)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고, 제2 베벨기어(114)를 제1 구동모터(116)의 제1 회전축(115)에 결합한다.
제1 스크류(111)는 직선 형상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고, 제1 이동블록부(112)를 관통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 스크류(111)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일정 형상의 제1 이동블록부(112)를 관통하여 결합한다.
제1 스크류(111)는 둘레 방향을 따라 나사홈이 전조 또는 연삭 방식으로 가공된다.
제1 이동블록부(112)는 내부에 너트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제1 스크류(111)가 너트부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제1 이동블록부(112)의 너트부는 중심 부분을 제1 스크류(111)가 결합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의 내주면에 제1 스크류(1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 스크류(111)는 제1 이동블록부(112)의 너트부의 관통공에 끼워져서 나사홈과 나사산이 나사 결합을 한다.
제1 이동블록부(112)의 일면에는 평판 형태의 연결부재(117)를 연결하여 완철바(104)의 슬라이드홈(10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제1 이동블록부(112)는 제1 구동모터(116)의 구동에 따라 제1 스크류(111)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장치에 의해 변압기의 상하 이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이동장치에 의해 변압기의 전후방 이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주(102)는 중간 지점에 전주(102)의 둘레에 결합된 고정판(105)과 고정판(105)에 결합되어 고정판(105)으로부터 길이가 신장되거나 단축되는 슬라이드판(106)을 포함한다.
고정판(105)은 전주(102)의 둘레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일측이 타측보다 비대칭으로 길게 형성된다.
고정판(105)은 상부에 원통 형상의 원통 결합부재(107)를 결합하고, 하부에 상하이동장치(130)를 결합한다.
원통 결합부재(107)는 일정 높이로 전주(102)의 둘레에 결합되고, 상부에 가이드부재(108)를 결합한다.
가이드부재(108)는 전주(102)의 둘레에 끼워져 결합되어 원통 형태의 가이드본체(108a)와, 가이드본체(108a)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바(108b)를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형성된다.
가이드부재(108)의 가이드바(108b)는 대응되도록 고정판(105)에 가이드홈(105a)을 형성하고, 고정판(105)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슬라이드판(106)은 상부면에 변압기(20)를 거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패널로 연결부재(109)에 의해 고정판(105)의 내부에 결합되어 연결부재(109)가 고정판(105)의 내부로 슬라이드되거나 분리되어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동시에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상하이동장치(130)는 고정판(105)의 하부에 고리형 부착기구(40)에 의해 제1 유압실린더(130)를 전주(102)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 결합한다.
제1 유압실린더(130)는 내부 공간부를 형성한 제1 실린더 튜브(131)와, 제1 실린더 튜브(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유체(예를 들어, 압축오일 등)에 의해 이동되는 제1 피스톤(133)과, 제1 피스톤(133)에 결합되어 제1 피스톤(133)을 구동하는 축 역할을 수행하는 제1 피스톤 로드(132)를 포함한다.
제1 피스톤 로드(132)는 상부 끝단이 고정판(105)의 하부면이 접촉되어 있다. 제1 유압펌프(134)는 제1 피스톤(133)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유체를 유입 배출되도록 한다.
제1 유압펌프(134)에서 토출된 작동유체는 유입관(미도시)을 거쳐 제1 실린더 튜브(131)의 흡입공에 유입되면, 제1 유압펌프(134)에서 계속적으로 고압의 작동유체를 토출시키고, 그 압력으로 제1 실린터 튜브(131)의 내부에 작동유체가 가득찬다.
작동유체는 제1 피스톤(133)을 상부로 밀어 올리고, 제1 피스톤(133)에 연결된 제1 피스톤 로드(132)를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제1 피스톤 로드(132)는 제1 실린더 튜브(131)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외부로 이동하여 신장된다.
제1 유압펌프(134)에서 작동유체를 흡입하면, 유입관(미도시)을 거쳐 제1 실린더 튜브(131)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고, 제1 유압펌프(134)에서 계속적으로 고압의 작동유체를 흡입시키고, 그 압력으로 제1 실린터 튜브(131)의 내부에 작동유체가 빠져 나간다.
작동유체는 제1 피스톤(133)을 하부로 하강하고, 제1 피스톤(133)에 연결된 제1 피스톤 로드(132)를 내려온다. 이에 따라 제1 피스톤 로드(132)는 제1 실린더 튜브(131)의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 이동하여 단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압실린더(130)는 제1 피스톤 로드(132)가 제1 실린더 튜브(131)로 하강하고, 제1 피스톤 로드(132)가 제1 실린더 튜브(131)에서 상승하여 고정판(105)을 상승과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변압기(20)가 상승과 하강된다.
원통 결합부재(107)는 측면 일측에 제1 전후방 이동장치(140)와 제2 전후방 이동장치(150)를 결합한다.
제1 전후방 이동장치(140)와 제2 전후방 이동장치(150)는 원통 결합부재(107)의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에 각각 결합한다.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한 제1 전후방 이동장치(140)와 제2 전후방 이동장치(150)는 일정한 길이의 제1 연결봉(107a)과 제2 연결봉(107b)에 의해 결합되어 내구성과 체결력을 향상시킨다.
제1 전후방 이동장치(140)와 제2 전후방 이동장치(150)는 제2 유압실린더(140)와 제3 유압실린더(150)이고, 원통 결합부재(107)와 변압기(20)를 연결하여 변압기(20)를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유압실린더(140)는 내부 공간부를 형성한 제2 실린더 튜브(141)와, 제2 실린더 튜브(14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유체(예를 들어, 압축오일 등)에 의해 이동되는 제2 피스톤(143)과, 제2 피스톤(143)에 결합되어 제2 피스톤(143)을 구동하는 축 역할을 수행하는 제2 피스톤 로드(142)를 포함한다.
제2 실린더 튜브(141)의 일단은 원통 결합부재(107)의 측면 상부에 결합하며, 제2 피스톤 로드(142)의 일측 끝단은 변압기(20)의 둘레에 삽입된 링 형태의 제1 링결합구(106a)에 결합된다.
제3 유압실린더(150)는 내부 공간부를 형성한 제3 실린더 튜브(151)와, 제3 실린더 튜브(1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유체(예를 들어, 압축오일 등)에 의해 이동되는 제3 피스톤(153)과, 제3 피스톤(153)에 결합되어 제3 피스톤(153)을 구동하는 축 역할을 수행하는 제3 피스톤 로드(152)를 포함한다.
제3 실린더 튜브(151)의 일단은 원통 결합부재(107)의 측면 하부에 결합하며, 제3 피스톤 로드(152)의 일측 끝단은 변압기(20)의 둘레에 삽입된 링 형태의 제2 링결합구(106b)에 결합된다.
제2, 3 유압펌프(144, 154)는 제2, 3 피스톤(143, 153)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유체를 유입 배출되도록 한다.
제2, 3 유압펌프(144, 154)에서 토출된 작동유체는 유입관(미도시)을 거쳐 제2, 3 실린더 튜브(141, 151)의 흡입공에 유입되면, 제2, 3 유압펌프(144, 154)에서 계속적으로 고압의 작동유체를 토출시키고, 그 압력으로 제2, 3 실린더 튜브(141, 151)의 내부에 작동유체가 가득찬다.
작동유체는 제2, 3 피스톤(143, 153)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제2, 3 피스톤(143, 153)에 연결된 제2, 3 피스톤 로드(142, 15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2, 3 피스톤 로드(142, 152)는 제2, 3 실린더 튜브(141, 151)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외부로 이동하여 신장된다.
제2, 3 유압펌프(144, 154)에서 작동유체를 흡입하면, 유입관(미도시)을 거쳐 제2, 3 실린더 튜브(141, 151)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고, 제2, 3 유압펌프(144, 154)에서 계속적으로 고압의 작동유체를 흡입시키고, 그 압력으로 제2, 3 실린더 튜브(141, 151)의 내부에 작동유체가 빠져 나간다.
작동유체는 제2, 3 피스톤(143, 153)을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제2, 3 피스톤(143, 153)에 연결된 제2, 3 피스톤 로드(142, 15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2, 3 피스톤 로드(142, 152)는 제2, 3 실린더 튜브(141, 151)의 내부로 수평 방향으로 삽입, 이동하여 단축된다.
제2, 3 유압실린더(140, 150)는 제2, 3 피스톤 로드(142, 152)가 제2, 3 실린더 튜브(141, 151)의 내부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 3 피스톤 로드(142, 152)가 제2, 3 실린더 튜브(141, 151)의 내부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변압기(20)을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20)를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 시, 슬라이드판(106)은 연결부재(109)를 고정판(105)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외부로 돌출시켜 변압기(20)의 이동을 도와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둘레 방향의 회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주(102)는 내부 상단에 제1 베어링부재(102a)를 설치하고, 내부 하단에 제2 베어링부재(102b)를 설치한다. 제2 베어링부재(102b)는 전주(102)의 외주면과 받침대(101)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베어링부재(102a)와 제2 베어링부재(102b)는 끼움막대부재(30)에 의한 회전력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주(102)의 회전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는 수직으로 세워진 스크류(102c)가 전주(102)에 결합되고, 스크류(102c)의 하단에 제1 베벨기어(미도시)를 결합하고, 제1 베벨기어에 수직 방향으로 제2 베벨기어(미도시)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고, 제2 베벨기어를 구동모터(102d)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주(102)의 회전은 구동모터(102d)의 회전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의 내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5)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1 구동모터(116)로 전송하고, 제1 이동블록부(112)가 제1 스크류(111)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수평 위치이동부(110)는 완철(40), 현수 애자(20)와 가공배전선로(10)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제어부(135)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유압펌프(134)로 송신하고, 제1 유압펌프(134)를 구동시키면, 상하이동장치(130)에 의해 고정판(105)을 승강시켜 변압기(20)의 위치를 승하강시킨다.
제어부(135)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유압펌프(144), 제3 유압펌프(154)로 송신하고, 제2 유압펌프(144), 제3 유압펌프(154)를 구동시켜 변압기(2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변압기(20)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슬라이드판(106)이 연결부재(109)에 의해 슬라이딩된다.
제어부(135)는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모터(102d)로 송신하고, 구동모터(102d)를 구동시켜 제1, 2 베벨기어를 회전시켜 스크류(102c)를 회전하면, 전주(102)를 일정 각도로 제자리 회전하여 변압기(2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주(102)의 회전, 상하이동장치(130), 제2, 3 유압실린더(140, 150)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변압기(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
110: 수평 위치이동부 130: 상하이동장치
140: 제1 전후방 이동장치 150: 제2 전후방 이동장치
200: 화재 진화 장치

Claims (1)

  1.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101)와, 받침대(101)에 끼워져 고정되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는 전주(102)와, 전주(102)의 상단에 원형 결합밴드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길이 방향의 완철바(104)를 포함하고,
    상기 완철바(104)의 상부면에는 배전선로(10)가 변압기(20)와 접속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 또는 발생된 화재를 진화하는 화재 진화 장치(200)를 형성하고,
    상기 화재 진화 장치(200)는 모터(220)에 의해 회전하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회전암(240)과, 상기 회전암(240)의 일단에 카메라 모듈(243)을 결합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243)의 양쪽에 제1 분사노즐(250) 및 제2 분사노즐(251)를 결합하고,
    상기 완철바(104)의 상부면에 상기 제1 분사노즐(250)이 제1 분사 통로(201)에 결합하여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제2 분사노즐(251)이 제2 분사 통로(202)에 결합하여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제1 분사 통로(201)와 상기 제2 분사 통로(202)는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탱크(204)에 연결하고, 상기 제1 분사 통로(201)와 상기 제2 분사 통로(202)는 통로 상에 불활성 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토출량 제어밸브(203)가 설치하고,
    상기 변압기(20)의 근처에 설치된 온도센서(245)와 화재 감지 센서(246)로부터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토출량 제어밸브(203)로 제어밸브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가스탱크(204)의 불활성 가스를 제1 분사노즐(250)과 제2 분사노즐(251)를 통해 상기 변압기(20) 쪽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제어부(135)를 포함하는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
KR1020220026851A 2022-03-02 2022-03-02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 KR102469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851A KR102469961B1 (ko) 2022-03-02 2022-03-02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851A KR102469961B1 (ko) 2022-03-02 2022-03-02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961B1 true KR102469961B1 (ko) 2022-11-25

Family

ID=8423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851A KR102469961B1 (ko) 2022-03-02 2022-03-02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024B1 (ko) 2023-03-17 2023-10-06 주식회사 중앙씨아이씨 인공지능 기반 변압기와 전신주 케이블 연결감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471B1 (ko) 2008-01-01 2013-03-06 시티알 매뉴팩쳐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Oltc 화재 및/또는 변압기 폭발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80296B1 (ko) * 2017-12-20 2018-07-23 두양전기건설(주) 345kV 지중송전선로의 연결 차단 장치
KR102346617B1 (ko) * 2021-06-22 2022-01-03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가공 배전 선로의 화재 진압 설비
KR102356092B1 (ko) * 2021-08-23 2022-02-08 안정예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471B1 (ko) 2008-01-01 2013-03-06 시티알 매뉴팩쳐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Oltc 화재 및/또는 변압기 폭발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80296B1 (ko) * 2017-12-20 2018-07-23 두양전기건설(주) 345kV 지중송전선로의 연결 차단 장치
KR102346617B1 (ko) * 2021-06-22 2022-01-03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가공 배전 선로의 화재 진압 설비
KR102356092B1 (ko) * 2021-08-23 2022-02-08 안정예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시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024B1 (ko) 2023-03-17 2023-10-06 주식회사 중앙씨아이씨 인공지능 기반 변압기와 전신주 케이블 연결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9961B1 (ko) 변압기에 접속되는 배전선로의 화재 발생시 진화 시스템
CN110917529B (zh) 一种变电站消防机器人及其作业方法
KR101791968B1 (ko) 전력구 내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656714B1 (ko) 화재 감지 및 방재 시스템
CN107623280A (zh) 一种用于电缆巡检的管内机器人
CN113954089B (zh) 一种用于无损检测机器人的智能检测装置及方法
CN110454642B (zh) 一种管道检测机器人的控制方法
CN110989599B (zh) 一种变电站消防机器人自主作业控制方法及系统
CN105031868B (zh) 基于火焰规模的自适应灭火方法
CN112329531B (zh) 用于管廊表观病害检测的线阵双目成像系统与工作方法
KR102393157B1 (ko)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6299B1 (ko)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이상 유무 감시 시스템
CN106791310A (zh) 一种变电运维视频辅助装置
KR102553692B1 (ko) 전력구 내 재난위험을 탐지하는 딥러닝 시스템
KR102505515B1 (ko) 배전용 전신주 작업자 보호 시스템
US9372158B2 (en) Projection laser profiler
KR20200135746A (ko) 케이블 점검 장치
KR102033995B1 (ko) 수중펌프의 수평유지 시스템
KR102458596B1 (ko) 변압기에 연결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낙뢰 방지 겸용 고정 시스템
CN109030514B (zh) 水电站调压井缺陷检测装置
CN208841396U (zh) 一种室内用巡检机器人及室内巡检系统
KR102532518B1 (ko) 변전소에 연결되는 지중 케이블의 고정 안정장치
CN205527603U (zh) 三维空间平面追踪控制系统及高空作业设备
KR102514918B1 (ko) 변압기가 설치된 전주의 배전선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애자 고정장치
KR20200075974A (ko) 케이블 점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