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638B1 -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해당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사용한 의료용 스테이플러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해당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사용한 의료용 스테이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638B1
KR102469638B1 KR1020207016169A KR20207016169A KR102469638B1 KR 102469638 B1 KR102469638 B1 KR 102469638B1 KR 1020207016169 A KR1020207016169 A KR 1020207016169A KR 20207016169 A KR20207016169 A KR 20207016169A KR 102469638 B1 KR102469638 B1 KR 102469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artridge assembly
cartridge
rear end
trigg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565A (ko
Inventor
옌핑 예
투오 슈
Original Assignee
터치스톤 인터내셔널 메디컬 사이언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341435.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953786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746089.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85155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746900.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838053U/zh
Application filed by 터치스톤 인터내셔널 메디컬 사이언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터치스톤 인터내셔널 메디컬 사이언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93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17/07207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the staples being applied sequent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61B2017/00473Distal part, e.g. tip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57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anv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71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78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sled or its stap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85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c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14Preventing re-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해당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사용한 의료용 스테이플러를 공개하였고, 카트리지 어셈블리는, 푸시 커터 로드,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 격발 블록, 커터 및 구동기구를 포함하되, 제1 클램프의 전단부에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고, 커터에는 안전부가 설치되고, 격발 블록이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푸시 커터 로드는 커터 및 격발 블록과 함께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 이동하고, 격발 블록이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구동기구가 커터 및 제1클램프가 상대적으로 운동하게 구동하고, 위치 제한부는 안전부와 서로 받쳐줘서 커터가 계속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 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기구를 통해 커터 및 제1클램프가 상대적으로 운동하게 구동하여, 위치 제한부는 안전부와 서로 받쳐줘서 커터가 계속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 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의사가 격발이 완료된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바꾸지 않는 상황에서 장치를 닫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이로써 의료사고의 발생 또는 정상 조직에 손상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해당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사용한 의료용 스테이플러
본 발명은 출원일자: 2017년 12월14일이고, 출원번호: 201711341435.2이고, 발명 명칭: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해당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사용한 의료용 스테이플러"이고; 출원일자: 2017년 12월14일이고, 출원번호: 201721746900.6이고, 발명 명칭: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해당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사용한 의료용 스테이플러"이며; 출원일자: 2017년 12월14일이고, 출원번호: 201721746089.1이고, 발명 명칭: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해당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사용한 의료용 스테이플러"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되어 참조로 한다.
본 발명은 의료용 기계기구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해당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사용한 의료용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스테이플러는 장 등 생리 조직에 대해 외과수술을 진행할 때,흔히 사용되는 의료기기이고, 이는 의학상 사용되는 전통 수동 봉합을 대체하는 디바이스이고, 현대 기술의 발전과 제조 기술의 개진에 의해,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는 의료용 스테이플러의 질은 신뢰성이 있고, 사용상 편리하며, 긴밀하고, 밀접성이 적합하며, 나아가 그 봉합속도가 빠르고, 조작이 간단하며, 부작용과 수술 합병증이 작은 등 이점이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이전에 제거할 수 없던 종양 수술에 대해 병변을 절제할 수 있으며, 국내외 임상 외과 의사들의 환영과 추천을 받고 있으며, 해당 기기의 성능 차이는 전체 수술의 효과에 대해 아주 관건적인 작용을 한다.
기존의 기술에서, 최소침습 수술의 직선형 의료용 스테이플러에 이용되고, 장치 플랫폼 및 장치 플랫폼과 조합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장치 플랫폼은 쉘 및 피벗이 쉘에 설치된 격발 핸들을 포함하고, 해당 쉘 내에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푸시 로드가 설치되고, 푸시 로드는 쉘 전단에 위치한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밀어서 봉합과 절삭을 진행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 어셈블리는 카트리지 프레임 및 카트리지 프레임과 피벗 연결된 앤빌을 포함하고, 카트리지 프레임에는 착탈 가능하게 카트리지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는 장치 플랫폼과 카트리지 프레임, 앤빌, 카트리지와의 연결에 이용되는 카트리지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카트리지 연결구 내에는 하나의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푸시 커터 로드가 설치되고, 푸시 커터 로드와 푸시 로드는 조합 연결되고, 푸시 커터 로드의 후단부에 커터를 고정시키고, 해당 커터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카트리지와 앤빌은 닫히게 되어, 카트리지와 앤빌 사이에 위치한 조직을 절단시키고, 또한 격발 블록이 푸시 플레이트를 순서대로 카트리지 밖으로 밀어내도록 구동시켜서, 푸시 플레이트는 스테이플을 카트리지 밖으로 밀어내어, 조직에 박아둔다.
의사는 상기 봉합 절삭 동작을 진행한 후, 우선 기기를 리셋하고, 나아가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체환하여, 의료용 스테이플러가 다음번 봉합 절제 수술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일부 경솔한 의사 또는 경험이 부족한 의사 때문에, 격발된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체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번 수술을 진행하여, 절제를 진행하였지만 봉합을 하지 않은 경우의 의료 사고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해당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사용한 의료용 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발명의 하나의 목적을 실현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한 푸시 커터 로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연결구;
상기 카트리지 연결구 후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열림/닫힘이 가능한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클램프 또는 제2클램프 내에 설치된 격발 블록;
상기 푸시 커터 로드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푸시 커터 로드의 작용 하에 상기 격발 블록을 밀어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커터;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클램프의 전단부에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터에는 안전부가 설치되고,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푸시 커터 로드는 상기 커터 및 상기 격발 블록을 함께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기구가 상기 커터 및 상기 제1클램프가 상대적으로 운동하게 구동하고,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안전부와 서로 받쳐줘서 상기 커터가 계속하여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 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커터가 상기 격발 블록을 접촉하지 않은 경우,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커터 및 상기 제1클램프를 상대적으로 운동하게 구동시키고, 상기 안전부는 상기 위치 제한부에 진입된 후, 상기 푸시 커터 로드는 상기 커터를 계속하여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 이동하게 하는 경우,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커터를 받쳐주고 또한 상기 제1클램프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켜서, 상기 안전부는 상기 위치 제한부에서 이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제1클램프는 서로 연결된 카트리지 프레임 및 카트리지이고, 상기 제2클램프는 앤빌이며,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구동기이고, 상기 푸시 커터 로드가 상기 구동기에 접근하는 일측에 돌출대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대가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구동기 위치에 이동하는 경우, 상기 구동기는 상기 푸시 커터 로드를 상기 구동기에서 멀어지는 일측에서 이탈시키도록 구동하여, 상기 커터가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접근하는 일측으로 이탈시켜서 상기 안전부를 상기 위치 제한부에 진입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격발 블록의 전단부에는 제1받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터의 후단부에는 제2받침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가 서로 받쳐지는 경우,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커터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되게 하여, 상기 안전부를 상기 위치 제한부에서 이탈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안전부 및 상기 위치 제한부 중의 하나는 돌출부이고, 다른 하나는 요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안전부는 돌출부이고, 상기 돌출부의 전단부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제한부는 요홈이며, 상기 요홈의 전단부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도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돌출부의 후단부는 제1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의 후단부는 제2평면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요홈의 가장 후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평면과 상기 제2평면은 서로 간섭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요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구동기는 판스프링이고, 상기 돌출대가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에서 상기 판스프링 위치로 이동한 경우,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푸시 커터 로드를 상기 판스프링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키고, 상기 격발 블록이 상기 커터를 받쳐주는 경우,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커터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키켜서 상기 푸시 커터 로드를 리셋시키고, 상기 돌출대는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돌출대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변형시키도록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푸시 커터 로드는 상기 돌출대의 양측에 오목구를 설치하고,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돌출대를 이탈할 때,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오목구에 진입되고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판스프링은 U형 판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및 상기 앤빌을 연결하는 압축스프링이고, 상기 푸시 커터 로드는 상기 커터를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에서 상기 위치 제한부 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압축스프링은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을 상기 안전부에 접근하는 일측으로 이탈시켜서 상기 안전부를 상기 위치 제한부로 진입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격발 블록의 전단부에는 제1접촉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터의 후단부에는 제2접촉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가 서로 받쳐주는 경우,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커터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켜서, 상기 안전부를 상기 위치 제한부에서 이탈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의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외표면에 위치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부는 상기 커터의 제1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는 카트리지 프레임 외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커터는 상기 수용홈으로 이동할 때, 상기 압축스프링은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작용하여 상기 제1단부를 상기 수용홈에 진입시키고, 상기 격발 블록이 상기 커터를 받쳐주는 경우,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제1단부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켜서 상기 제1단부를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수용홈의 후단부에 위치한 요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부는 상기 제1단부의 후단부에 위치한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가 상기 수용홈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커터는 계속하여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 운동할 때, 상기 돌출부와 상기 요홈부는 서로 맞춤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수용홈의 후단부에 대칭되게 분포된 2개 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부는 상기 제1단부의 후단부에 대칭되게 분포된 2개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진일보 개진으로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커터의 양측에 대칭되게 분포된 2개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발명의 하나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은 의료용 스테이플러를 제공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따른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종래기술과 대비하면,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방식은 적어도 2차의 격발 과정에서, 구동기구를 통해 커터 및 제1클램프의 상대적 운동을 구동하여 위치 제한부와 안전부가 서로 받쳐지게 하여, 상기 커터가 계속하여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 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의사가 격발된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체환하지 않는 상황에서 기기를 닫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의료사고의 발생 또는 정상 조직에 대한 손상을 피면할 수 있고, 그 구조는 간단하고 효과적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의료용 스테이플러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부분 해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카트리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의 카트리지 프레임, 카트리지 및 앤빌의 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5는 도4의 K-K 단면도;
도6은 도5의 L-L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해체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방식의 푸시 커터 로드, 커터 및 격발 블록의 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9는 본 발명의 제1실시방식의 카트리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초기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11은 도10의 A1-A1 단면도;
도12는 도11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13은 도10의 A2-A2 단면도;
도14는 도13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닫힘 과정에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16은 도15의 B1-B1 단면도;
도17은 도16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18은 도15의 B2-B2 단면도;
도19은 도18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계속된 닫힘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21은 도20의 C1-C1 단면도;
도22은 도21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23은 도20의 C2-C2 단면도;
도24는 도23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완전 닫힘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26은 도25의 D1-D1 단면도;
도27은 도26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28은 도25의 D2-D2 단면도;
도29는 도28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2차로 닫힘 과정에 진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31은 도30의 E1-E1 단면도;
도32는 도31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33은 도30의 E2-E2 단면도;
도34는 도33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35는 본 발명의 제2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해체 개략도;
도36은 본 발명의 제2실시방식의 푸시 커터 로드, 커터 및 격발 블록 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37은 본 발명의 제2실시방식의 카트리지 프레임을 나타낸 개략도;
도38은 본 발명의 제2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초기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39는 도38의 F1-F1 단면도;
도40은 도39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41은 도38의 F2-F2 단면도;
도42는 도41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43은 본 발명의 제2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초기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 저면도;
도44는 도43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45는 본 발명의 제2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닫힘 과정에 진입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46은 도45의 G1-G1 단면도;
도47는 도46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48은 도45의 G2-G2 단면도;
도49는 도48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50은 본 발명의 제2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닫힘 과정에 진입한 것을 나타낸 저면도;
도51은 도50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52는 본 발명의 제2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완전 닫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53은 도52의 H1-H1 단면도;
도54는 도53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55은 도52의 H2-H2 단면도;
도56는 도55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57은 본 발명의 제2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완전 닫힘 과정을 나타낸 저면도;
도58은 도57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59는 본 발명의 제2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2차로 닫힘 과정에 진입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60은 도59의 J1-J1 단면도;
도61은 도60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62는 도59의 J2-J2 단면도;
도63는 도62의 부분 구역 확대도;
도64는 본 발명의 제2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2차로 닫힘 과정에 진입하는 것을 나타낸 저면도;
도65는 도64의 부분 구역 확대도이다.
아래에 도면에서 도시한 구체적 실시방식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한 서술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방식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해당 분야 당업자라면 이러한 실시방식에 의해 진행한 구조, 방법, 또는 기능 상의 변환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한 위치와 방향을 표달한 단어는 모두 기기 조작원을 참조로하고, 조작원을 가까이하는 일단은 전단부로 하고, 조작원을 멀리하는 일단을 후단부로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서, 도면 제시의 편리를 위해, 구조 또는 부분의 어떤 사이즈는 기타 구조 또는 부분을 상대로 과장되었으므로, 본 발명 주제의 기본 구조를 도면 제시하는데만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예를 들면 "상", "상방", "하", "하방" 등 공간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용어는 설명의 편리를 위한 목적으로, 예를 들면 도면 중에서 표시된 하나의 유닛 또는 특징과 다른 하나의 유닛 또는 특징에 상대하는 관계를 서술한다. 공간에 상대하는 위치의 용어는 디바이스가 사용과정 또는 작업과정에서 도면 제시 방향 이외의 부동한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도면 중의 디바이스를 돌리면, 기타 유닛 또는 특징의 "하방" 또는 "그 아래"의 유닛은 기타 유닛 또는 특징의 "상방"에 있다고 서술될 것이다. 그러므로, 예시적 용어 "하방"은 상방과 하방 이 두가지 방위를 다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기타 방식으로 지향될 수 있고(90도 또는 기타 방향으로 회전), 또한 상응하게 본문에서 사용한 공간과 관련되는 설명어를 해석한다.
본 발명의 실시방식에서, 내시경 외과 절제 스테이플러를 예로 본 발명의 의료용 스테이플러에 대해 구체적으로 해석하고, 여기서 설명이 필요한 것은 하기 실시방식에서 관련한 기술사상은 체환 가능하게 기타 형식의 스테이플러에 이용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의료용 스테이플러는 다수개 봉합 스테이플을 인체의 생리 조직에 인가하는데 이용되고, 동시에 상응하게 생리 조직에 대해 절제를 실시한다. 의료용 스테이플러는 장치 플랫폼(10), 장치 플랫폼(10)과 조합 연결된 회전링부(20) 및 장치 플랫폼(10)을 피벗 연결된 격발 핸들(30)을 포함한다.
장치 플랫폼(10) 내에는 푸시 로드(미도시)가 설치되고, 푸시 로드는 격발 핸들(30)의 작용 하에 장치 플랫폼(10)의 쉘을 상대로 이동할 수 있다.
장치 플랫폼(10)의 후단부에는 카트리지 어셈블리(40)가 더 설치되고, 카트리지 어셈블리(40)와 장치 플랫폼(10)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카트리지 어셈블리(40)는 카트리지(41), 앤빌(42), 카트리지 프레임(43), 카트리지 연결구(44), 커터(45) 및 카트리지 연결구(44)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부(46)를 포함하고, 결합부(46)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제어하여, 카트리지(41) 및 앤빌(42)이 한정한 구역이 카트리지 연결구(44)를 상대로 회전함으로써, 여러가지 각도의 절제 문합 수술에 적응할 수 있다.
당연히 카트리지 어셈블리(40)가 움직이지 못하는 장치 중에는 결합부(46)가 없을 수도 있다.
카트리지 프레임(43)은 지지통로를 한정하여, 카트리지(41)가 장착 가능하게 그 중에 수용되게 하고, 카트리지 프레임(43)은 카트리지(41)를 카트리지 연결구(44)에 연결시킨다.
본 실시방식에서, 카트리지(41)와 앤빌(42)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자가 회전하여 열림 상태인 경우, 처리될 대상 생리 조직을 양자 사이에 놓이게 하고, 따라서 양자를 닫힘 상태로 회전시켜서, 양자 사이에 위치한 대상 생리 조직이 꽉 잡혀져서, 후속 절제 및 봉합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의료용 스테이플러/카트리지 어셈블리(40)는 초기상태에 처할 때, 앤빌(42)의 전단부의 엔빌끝은 외력 작용을 받아서, 앤빌(42)과 카트리지(41)는 열림 상태를 유지하고, 커터(45)는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의료용 스테이플러/카트리지 어셈블리(40)가 닫힘 상태인 경우, 커터(45) 의 구동을 받아서, 앤빌(42)과 카트리지(41)는 닫히고, 그 사이에 대상 생리 조직을 꽉 잡을 수 있고, 커터(45)는 초기상태를 상대로, 의료용 스테이플러/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였지만, 총적으로 여전히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의료용 스테이플러/카트리지 어셈블리(40)가 격발 상태인 경우, 앤빌(42)과 카트리지(41)는 여전히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커터(45)가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이동하여, 꽉 잡힌 생리 조직을 절제하고, 또한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에서 위치 제한을 받고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프레임(43)은 앤빌(42)에서 멀어지고 또한 커터(45)의 제1단부(451)과 조합되는 제1저촉면(432)을 포함하고; 앤빌(42)은 앤빌 표면과 맞대고 또한 커터(45)의 제2단부(452)와 조합하는 제2저촉면을 포함한다.
카트리지(41), 앤빌(42), 카트리지 프레임(43)에는 커터(45)와 조합하는 커터홈(411, 421, 431)이 형성된다. 커터홈(411, 421, 431)은 각각 카트리지(41), 앤빌(42), 카트리지 프레임(43)의 전단부로부터 그 후단부로 연장된다. 카트리지(41)와 앤빌(42)이 닫힌 뒤, 커터홈(411, 421, 431)은 조합하여 커터(45)가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향하거나 또는 후단부로부터 전단부 방향으로 향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40)는 커터의 전단부에 연결된 푸시 커터 로드(47)를 더 포함하고, 푸시 커터 로드(47)는 커터(45)를 커터홈(411, 421, 431)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또는 후단부로부터 전단부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구동한다. 커터홈(411, 421, 431)은 이 과정에서 커터(45) 및 푸시 커터 로드(47)에 대해 운동경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이에 대해 가이드할 수 있고, 앤빌(42) 및 카트리지(41)가 제한하는 구역이 카트리지 연결구(44)를 대상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했을 때, 푸시 커터 로드(47)도 따라서 일정한 각도로 만곡되어, 커터(45)를 순조롭게 의료용 스테이플러의 후단부로 이동하게 한다.
실시방식에서,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프레임(43)의 전단부에는 위치 정지부(434)가 설치되고, 카트리지 프레임(43)과 카트리지(41)가 서로 조합될 때, 위치 정지부(434)는 카트리지(41)가 카트리지(41) 및 카트리지 프레임(43)의 중첩 방향을 따라 카트리지 프레임(43)에서 이탈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41)의 전단부는 위치 정지부(434)에 의해 압제되고, 의료용 스테이플러는 격발 과정에서, 카트리지(41)의 전단부는 병형되어 들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체 격발 운행 과정이 더 순조롭게될 수 있다.
카트리지 프레임(43)은 보텀부(4301) 및 보텀부(4301)를 연결하는 2개 측벽(4302, 4303)으로 둘러싸서 형성되고, 위치 정지부(434)는 측벽(4302, 4303)의 보텀부(4301)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한다.
카트리지 어셈블리(40)는 2개 측벽(4302, 4303)에 위치한 2개 위치 정지부(434)를 포함하고, 2개 위치 정지부(434)는 대칭되게 설치되며, 카트리지(41)의 전단부의 안정된 위치 제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방식에서, 위치 정지부(434)는 돌기(434)이고, 돌기(434)의 일단은 하나의 측벽(4302)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다른 하나의 측벽(4303)을 향해 연장된다.
돌기(434)의 후단부에는 사각면(4341)이 설치된다.
여기서, 사각면(4341)은 카트리지 프레임(43) 보텀부(4301)의 전단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4341)이다.
카트리지(41)가 카트리지 프레임(43)에 장착될 때, 우선 카트리지(41)의 전단부를 카트리지 프레임(43)에 삽입시키고, 이때 카트리지(41)의 전단부는 경사면(4341)을 통해 카트리지 프레임(43)에 장착시킨다.
돌기(434)가 보텀부(4301)에 접근하는 제1표면(4343)은 평면이고, 제1표면(4343)은 보텀부(4301)에 평행되고, 이로써, 카트리지(41)가 카트리지 프레임(43)에 장착시킨 후, 돌기(434)는 카트리지 표면에 안정적으로 조합된다.
돌기(434)가 보텀부(4301)로부터 멀어지는 제2표면(4342)은 평면이고, 제2표면(4342)은 측벽(4302, 4303)의 보텀부(4301)로부터 멀어지는 측가장자리와 수평이 되고, 이로써, 돌기(434)가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닫힘 과정에서 앤빌(42)의 장애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에서, 카트리지 어셈블리(40)는 카트리지 연결구(44)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열림/닫힘이 가능한 제1클램프(미도시), 제2클램프(미도시), 격발 블록(49) 및 구동기구(50)를 더 포함한다.
격발 블록(49)은 이동 가능하게 제1클램프 또는 제2클램프 내에 설치되고, 커터(45)는 푸시 커터 로드(47)의 작용 하에 격발 블록(49)을 밀어서 이동시켜 푸시 플레이트(미도시)를 순서대로 카트리지(41) 밖으로 밀어내고, 따라서 푸시 플레이트는 스테이플을 카트리지(41) 밖으로 밀어내서 조직에 박아둔다.
여기서, 제1클램프는 서로 연결된 카트리지 프레임(43) 및 카트리지(41)이고, 예를 들어 제2클램프를 앤빌(42)로 하면, 격발 블록(49)은 카트리지(42)의 내부에 위치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8 내지 도9를 참조하면, 제1 클램프의 전단부에는 위치 제한부(432)가 설치되고, 커터(45)에는 안전부(453)가 설치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카트리지 프레임(43)의 전단부에 위치 제한부(432)가 설치되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격발 블록(49)이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푸시 커터 로드(47)는 커터(45) 및 격발 블록(49)과 함께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이동하고, 격발 블록(49)이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기구(50)는 커터(45) 및 제1클램프를 상대적으로 운동하게 구동하고, 위치 제한부(432)는 안전부(453)와 서로 받쳐줘서 커터(45)가 계속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여기서, 커터(45)가 최초로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운동(즉, 격발 블록(49)이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푸시 커터 로드(47)는 커터(45) 및 격발 블록(49)을 함께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이동하게 하고, 커터(45)가 2차로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운동(즉, 새로운 카트리지 어셈블리(40)를 체환하지 않고, 격발 블록(49)이 격발 완료되지 않고 또한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경우,구동기구(50)는 안전부(453)와 위치 제한부(432)와 서로 받쳐주도록 구동하여 커터(45)가 계속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40)가 후단부로 운동하는 것을 제하여, 의사가 격발이 완료된 상황에서 다시 격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의료사고의 발생 또는 정상 조직에 손상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효과적이다.
아래에, 커터(45)가 최초로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운동하는 경우, 커터(45)와 격발 블록(49)의 조합 상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초기상태 하에 격발 블록(49)과 커터(45) 사이의 간격은 비교적 크고, 격발 블록(49)이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커터(45)가 격발 블록(49)을 접촉하지 않은 경우, 구동기구(50)는 커터(45) 및 제1클램프를 상대적으로 운동하게 구동하고, 안전부(453)가 위치 제한부(432)에 진입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40)를 안정 상태로 진입하게 하여, 이후에 푸시 커터 로드(47)는 커터(45)를 카트리지 어셈블리(40) 의 후단부로 계속하여 이동하는 경우, 격발 블록(49)은 받쳐주고 또한 커터(45)를 제1크램프와 멀리하는 일측에서 이탈시키며, 안전부(453)는 위치 제한부(432)에서 이탈되고,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안전은 해제된다.
다시 말하면, 모든 커터(45)가 최초로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 운동하는 과정에서, 격발 블록(49)을 통해 커터(45)에 작용하여 안전부와 함께 위치 제한부(432)를 이탈하여 계속되는 정상적인 절제 봉합 조작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초기상태 하에 격발 블록(49) 커터(45)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작고, 커터(45)가 최초로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운동하는 경우, 안전부(453)은 위치 제한부(432)에 진입하여 안전 상태로 진입하기 전에, 격발 블록(49)은 이미 커터(45)를 접촉하고 또한 커터(45)와 함께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운동하며, 즉 커터(45)가 최초로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운동하는 과정에서, 위치 제한부(432)은 안전부(453)을 제한하지 못하여, 이때 장치는 격발 가능하고; 다음으로 격발 완료되며, 격발 블록(49)는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에 유지하고, 이때 커터가 다시 한번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운동하는 경우, 이때 격발 블록(49)이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커터(45)에 작용할 수 없으므로, 구동기구(50)는 위치 제한부(432)과 안전부(453)이 서로 받쳐지게 구동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40)를 안전 상태로 진입시킨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 어셈블리(40)는 여러가지 실시방식을 가지고, 아래에 본 발명의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두가지 실시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2개 실시예는 모두 "격발 블록(49)과 커터(45) 사이의 간격이 엄청 큰"것으로 예를 들고, 즉 격발 블록(49)과커터(45)는 서로 작용하기 전에, 안전부(453)는 위치 제한부(432)로 진입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40)를 안전 상태로 진입시킨다.
도10 내지 도34를 결합하면, 본 발명 제1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4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방식에서, 도10 내지 도19를 결합하면, 구동기구(50)는 하우징(48)을 연결하는 구동기(50)이고, 푸시 커터 로드(47)는 구동기(50)를 접근하는 일측에 돌출대(471)를 설치하고, 돌출대(471)가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부터 구동기(50) 위치에 이동하는 경우, 구동기(50)는 푸시 커터 로드(47)를 구동기(50) 에서 멀어지는 일측에서 이탈시켜서, 커터(45)가 카트리지 프레임(43)에 접근하는 일측으로 이탈되어, 안전부(453)를 위치 제한부(432)에 진입시킨다.
도12를 참조하면, 격발 블록(49)의 전단부에는 제1받침부(491)가 설치되고, 커터(45)의 후단부에는 제2받침부(454)가 설치되며, 제1받침부(491)와 제2받침부(454)가 서로 받쳐지는 경우, 상기 격발 블록(49)은 커터(45)를 카트리지 프레임(43)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되게 하여, 안전부(453)를 제한부(432)에서 이탈시킨다.
여기서, 제2받침부(454)는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연장된 돌출 칼럼이다.
제1받침부(491)와 제2받침부(454)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부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받침부(491)의 전단부는 호형면(4911)을 가이드부(4911)로 하고, 커터(45)가 격발 블록(49)를 상대로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운동하는 경우, 격발 블록(49)은 가이드부(4911)를 통해 커터(45)를 순조롭게 들어올려서, 안전부(453)를 상부로 이동시켜서 위치 제한부(432)에서 이탈시킨다.
안전부(453) 및 위치 제한부(432) 중의 하나는 돌출부이고, 다른 하나는 요홈이다.
본 실시방식에서, 도14(도8 및 도9를 결합)를 참조하면, 안전부(453)는 돌출부(453)이고, 바람직하게는, 커터(45)의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두개 돌출부(453)가 설치되고, 돌출부(453)의 전단부는 제1경사면(4531)을 포함한다.
위치 제한부(432)는 요홈(432)이며,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프레임(43)의 커터 홈(431)의 양측에는 대칭되게 두개의 요홈(432)이 설치되고, 요홈의 전단부는 제2경사면(4321)을 포함하며, 제1경사면(4531)과 제2경사면(4321)의 경사도는 동일하다.
돌출부(453)의 후단부는 제1평면(4532)을 포함하고, 요홈(432)의 후단부는 제2평면(432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평면(4532)과 돌출부(453)의 보텀면(미도시) 사이의 개구는 전단부 방향으로의 협각은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고, 동일하게, 제2평면(4322)과 요홈(432)의 보텀면(미도시) 사이의 협각은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며, 이로써 위치 제한부(432)와 안전부(453) 사이의 신뢰성있는 제한 작용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커터(45)가 최초로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운동하는 경우, 돌출부(453)는 요홈(432) 내에 진입되고, 커터(45)를 따라 계속하여 후단부로 이동하며, 따라서 격발 블록(49)은 커터(45)와 함께 상부로 이동하며, 돌출부(453)와 요홈(432)은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닫힘 방향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으므로 돌출부(453)를 쉽게 요홈(432)에서 이탈시키며; 커터(45)가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전단부로 후퇴하여 돌출부(453)가 다시 한번 요홈(432)에 진입하는 경우, 돌출부(453)는 제1경사면(4531)과 제2경사면(4321)의 상호작용 하에서 요홈(432)에서 이탈되고; 커터(45)가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다시 한번 운동하는 경우, 돌출부(453)은 요홈(432) 내에 진입하고, 이때 격발 블록(49)은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커터(45)는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요홈(453)은 점차적으로 요홈(432)의 가장 후단부로 운동하여, 제1평면(4532)과 제2평면(4322)은 서로 간섭하여, 돌출부(453)는 요홈(432)에서 이탈될 수 없다.
본 실시방식에서, 구동기(50)는 판스프링(50)이고, 도15 내지 도19를 결합하면, 돌출대(471)가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에서 판스프링(50) 위치로 이동한 경우, 판스프링(50)은 푸시 커터 로드(47)를 판스프링(50)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키고 또한 판스프링(50)이 초기상태를 유지하고, 안전부(453)는 위치 제한부(432)에 진입하며; 도20 내지 도24를 참조하면, 격발 블록(49)이 커터(45)를 받쳐주면, 격발 블록(49)은 커터(45)를 카트리지 프레임(43)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키켜서 푸시 커터 로드(47)를 리셋시키고, 돌출대(471)는 판스프링(50)을 돌출대(471)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변형시키도록 구동하고, 안전부(453)를 위치 제한부(432)에서 이탈시킨다.
푸시 커터 로드(47)는 돌출대(471)의 양측에 오목구(제1오목구(472) 및 제2오목구(473), 도12를 결합)를 설치하고, 판스프링(50)이 돌출대(471)를 이탈할 때, 판스프링(50)은 오목구에 진입되고 또한 판스프링(50)은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오목구는 각각 돌출대(41)로부터 푸시 커터 로드(47)의 양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부터 전단부의 방향에서, 푸시 커터 로드(47)의 측부는 순서대로 평활부(474), 제1오목구(472), 돌출부(471) 및 제2오목구(473)를 포함하고, 제1오목구(472)와 제2오목구(473)는 수평이 되고, 평활부(474)는 제1오목구(472)보다 높고, 판스프링(50)의 경로는 제1오목구(472), 돌출부(471) 및 제2오목구(473)을 포함한다.
이러한 설계의 유리한 점은, 1)판스프링(50)이 제1오목구(472)와 제2오목구(473)의 위치에서 푸시 커터 로드(47)에 대해 힘을 가하지 않으므로, 해당 구역 위치에서 푸시 커터 로드(47)의 움직임 경로에 영향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2) 판스프링(50)은 일정한 변형범위를 구비하여, 하우징(48) 내의 협소한 공간에 적응하게 하고, 3) 평활부(474)는 비교적 높은 높이를 유지하여, 푸시 커터 로드(47)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50)은 U형 판스프링이고, 판스프링(50)의 두개 활동단(502)(도12를 결합)은 각각 하우징(48)에 맞춤 연결되고, 판스프링(50)의 받침단(501)은 푸시 커터 로드(47)에 접근하여 설치되고 또한 돌출대(471)와 상호작용을 한다.
이해 가능한 것은, 기타 실시방식에서, 구동기(50)는 강성부재이고, 여기서, 돌출대(471)가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부터 강성부재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강성부재는 푸시 커터 로드(47)를 강성부재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키게 구동하고, 안전부(453)는 위치 제한부(432)에 진입하고, 격발 블록(49)이 커터(45)를 바쳐주는 경우, 격발 블록(49)은 커터(45)를 카트리지 프레임(43)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켜서 푸시 커터 로드(47)가 리셋되게 하고, 동시에, 강성부재는 돌출대(471)를 이탈하고, 안전부(453)는 위치 제한부(432)를 이탈한다.
아래에 상세하게 본 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작업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0 내지 도1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어셈블리(40)가 최초 격발의 초기상태에 있는 경우, 격발 블록(49) 및 커터(45)는 모두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격발 블록(49)과 커터(45)는 접촉하지 않고, 판스프링(50)은 제1오목구(472) 내에 위치하고, 또한 판스프링(50)은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도15 내지 도19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어셈블리(40)가 닫힘 과정에 진입하는 경우, 푸시 커터 로드(47)는 커터(45)를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이동시키게 하고, 판스프링(50)의 받침단(501)은 푸시 커터 로드(47)의 돌출대(471)를 받쳐주고, 판스프링(50)은 푸시 커터 로드(47)의 후단부를 작용하여 카트리지 프레임(43)의 일측으로 이탈시키고, 이로써 커터(45)의 돌출부(453)는 오목홈(432)에 진입하고, 카트리지 어셈블리(40)는 안전 상태에 진입하고, 이때 커터(45)의 제2받침부(454)의 후단부는 격발 블록(49)의 제1받침부(491)의 가이드부(4911)를 접촉하기 시작하고, 판스프링(50)은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도20 내지 도2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어셈블리(40)는 계속하여 닫힌 경우, 푸시 커터 로드(47)는 계속하여 커터(45)를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운동하게 하고, 격발 블록(49)은 계속 움직이지 않고, 제2받침부(454)는 가이드부(4911)를 통해 제1받침부(491) 상방으로 올라가고, 이때 커터(45)는 상부로 이동하여 돌출부(453)를 요홈(432)에서 이탈되게 하며, 카트리지 어셈블리(40)는 안전을 해제하며, 동시에, 돌출대(471)는 판스프링(50)을 넘어서, 커터(45)를 연결한 푸시 커터 로드(47)는 리셋되며, 푸시 커터 로드(47)의 돌출대(471)는 판스프링(50)을 압축하여 판스프링(50)이 돌출대(471)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변형되게 한다.
도25 내지 도29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어셈블리(40)가 완전 닫힘 과정에 진입하는 경우, 푸시 커터 로드(47)는 커터(45)와 격발 블록(49)을 함께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부터 카트리지 어셈블리(40)까지 운동하게 하여 완전 닫힘을 이루고, 판스프링(50)은 돌출대(471)에서 이탈하여, 제2오목구(473)에 진입하고, 판스프링(50)은 초기상태로 회복하여, 푸시 커터 로드(47)는 커터(45) 및 격발 블록(49)을 절제 봉합 조작을 진행하게 한다.
도30 및 도34를 참조하면, 카트로지 어셈블리(40)가 2차로 닫힘 과정에 진입하는 경우, 카트로지 어셈블리(47)는 커터(45)를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로 운동하게 하고, 판스프링(50)의 받침단(501)은 푸시 커터 로드(47)의 돌출대(471)를 받쳐주고, 판스프링(50)은 푸시 커터 로드(47)의 후단부를 작용하여 카트리지 프레임(43)의 일측으로 이탈시켜서, 커터(45) 상의 돌출부(453)를 요홈(432)에 진입하게 하고, 이때 격발 블록(49)은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커터(45)는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며, 돌출부(453)가 요홈(432)에서 이탈되지 못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40)는 안전 상태를 유지하여, 2차 격발을 방지할 수 있다.
도35 내지 도6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제2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40a)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제2실시방식과 제1실시방식에서 유사한 부품은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따라서 부동한 부호로 그 차이를 제시한다.
본 실시방식에서, 도35 내지 도37을 참조하면, 구동기구(50)는 카트리지 어셈블리(40a)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카트리지 프레임(43a) 및 앤빌(42a)을 연결하는 압축스프링(50a)이고, 압축스프링(50a)은 카트리지(41)와 앤빌(42)의 전단부에 작용하여, 제1클램프구와 제2클램프구가 초기상태에서 벌러지게 한다. 푸시 커터 로드(47a)는 커터(45a)를 카트리지 어셈블리(40a)의 후단부로부터 위치 제한부(카트리지 프레임(43a) 외표면의 수용홈(432a) 및 수용홈(432a)의 후단부의 오목부(433a)를 포함하고,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로 이동하게 하는 경우, 압축스프링(50a)은 카트리지 프레임(43a)을 안전부(커터(45a)의 제1단부(451a) 및 제1단부(451a)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돌출부(453a)를 포함하고,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에 접근하는 일측으로 이탈시키고, 이로써 안전부를 위치 제한부로 진입하게 한다.
격발 블록(49a)의 전단부에는 제1접촉부(491a)가 설치되고, 커터(45a)의 후단부에는 제2접촉부(454a)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접촉부(491a)와 제2접촉부(454a)가 서로 받쳐주는 경우, 격발 블록(49a)은 커터(45a)를 카트리지 프레임(43a)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키고 또한 안전부(453a)를 위치 제한부(432a)에서 이탈시킨다.
제1접촉부(491a) 및 제2접촉부(454a)의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여기서, 제1접촉부(491a)의 전단부의 호형면(4911a)을 가이드부(4911a)로하고, 커터(45a)가 격발 블록(49a)을 상대로 카트리지 어셈블리(40a) 후단부로 운동시키는 경우, 격발 블록(49a)은 가이드부(4911a)를 통해 순조롭게 커터(45a)를 아래로 가압하여, 안전부를 하방으로 이동하게 하여 위치 제한부에서 이탈하게 한다.
본 실시방식에서, 위치 제한부는 카트리지 프레임(43a) 외표면에 위치하는 수용홈(432a)을 포함하고, 안전부는 커터(45a)의 제1단부(451a)를 포함하며, 제1단부(451a)는 카트리지 프레임(43a) 외표면에 위치하고, 커터(45a)는 수용홈(432a)으로 이동할 때, 압축스프링(50a)은 카트리지 프레임(43a)에 작용하여 제1단부(451a)를 수용홈(432a)에 진입시키고, 격발 블록(49a)이 커터(45a)를 받쳐주는 경우, 격발 블록(49a)은 제1단부(451a)를 카트리지 프레임(43a)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켜서 제1단부(451a)를 수용홈(432a)에서 이탈시킨다.
위치 제한부는 수용홈(432a)의 후단부에 위치한 요홈부(433a)를 더 포함하고, 안전부는 제1단부(451a)의 후단부에 위치한 돌출부(453a)를 더 포함하며, 제1단부(451a)가 수용홈(432a) 내에 위치하고 또한 커터(45a)는 계속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40a)의 후단부로 운동하는 경우, 돌출부(453a)와 요홈부(433a)는 서로 맞춤 연결되어 안전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제한부는 수용홈(432a)의 후단부에 대칭되게 분포된 2개 요홈부(433a)를 포함하고, 안전부는 제1단부(451a)의 후단부에 대칭되게 분포된 2개 돌출부(453a)를 포함한다.
본 실시방식에서, 구동기구(50)는 커터(45a)의 일측에 위치한 압축스프링(50a)을 포함하고, 카트리지 프레임(43a)에는 압축스프링(50a)을 수용하는 수용 캐비티(60a)가 설치되고, 당연하게는, 구동기구(50)는 커터(45a) 양측에 대칭되게 분포된 2개 압축스프링(50a)을 포함한다.
아래에, 상세하게 본 실시방식의 카트리지 어셈블리(40a)의 작업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38 내지 도4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어셈블리(40a)는 최초 격발의 초기상태에 있는 경우, 격발 블록(49a) 및 커터(45a)는 모두 카트리지 어셈블리(40a)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격발 블록(49a)과 커터(45a)가 접촉하지 않은 경우, 커터(45a)의 제1단부(451a)는 카트리지 프레임(43a)의 외표면에 위치하고, 또한 수용홈(432a)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도45 내지 도51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어셈블리(40a)가 닫힘 과정에 진입하는 경우, 푸시 커터 로드(47a)는 커터(45a)를 카트리지 어셈블리(40a)의 후단부로 운동하게 하고, 커터(45a)의 제1단부(451a)가 수용홈(432a) 위치까지 운동하는 경우, 압축스프링(50a)이 항상 카트리지 어셈블리(40a)의 후단부의 각도를 가장 크게 벌리게 하여, 이때 압축스프링(50a)은 카트리지 프레임(43a)을 앤빌(42a)에서 멀어지게 운동하도록 구동하고, 제1단부(451a)는 마침 수용홈(432a)에 놓이게 되고, 카트리지 어셈블리(40a)는 안전 상태에 진입하고, 커터(45a)의 제2접촉부(454a)의 후단부는 격발 블록(49a)의 제1접촉부(491a)의 가이드부(4911a)에 접촉하기 시작하며, 커터(45a)가 계속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40a)의 후단부까지 운동하는 경우, 격발 블록(49a)은 움직이지 않고, 격발 블록(49a)은 제1접촉부(491a) 및 제2접촉부(454a)의 상호작용으로 커터(45a)를 압축하여 제1단부(451a)를 하부로 이동하게 하여, 제1단부(451a)를 수용홈(432a)에서 이탈하게 하고, 카트리지 어셈블리(40a)는 안전을 해제한다.
도52 내지 도58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어셈블리(40a)가 완전 닫힘 과정에 진입하는 경우, 푸시 커터 로드(47a)는 커터(45a) 및 격발 블록(49a)를 함께 카트리지 어셈블리(40a)의 후단부로부터 카트리지 어셈블리(40a)까지 운동하게 하여 완전 닫힘되고, 따라서 푸시 커터 로드(47a)는 커터(45a) 및 격발 블록(49a)을 절제 봉합 조작을 진행하게 한다.
동일하게, "격발 블록(49)과 커터(45)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작은" 경우, 즉 최초로 닫힘되는 경우, 격발 블록(49)은 커터(45)에 작용하여, 안전부(453)가 위치 제한부(432)로 진입되지 못하게 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40)는 안전 상태에 진입하고, 스테이플러는 격발되며; 격발 완료되면, 격발 블록(49)은 카트리지(41)의 후단부에 유지되는 경우, 격발 블록(49)이 커터(45)에 대해 받침력이 없기 때문에, 안전부(453)는 위치 제한부(432)에서 이탈되지 못하여 안전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도58 내지 도65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어셈블리(40a)가 2차로 닫힘 과정에 진입하는 경우, 푸시 커터 로드(47a)는 커터(45a)를 카트리지 어셈블리(40a)의 후단부로 운동하게 하고, 커터(45a)의 제1단부(451a)가 수용홈(432a) 위치까지 운동하는 경우, 압축스프링(50a)은 항상 카트리지 어셈블리(40a)의 후단부의 각도를 가장 크게 벌리게 하여, 이때 압축스프링(50a)은 카트리지 프레임(43a)을 앤빌(42a)에서 멀어지게 운동하게 하고, 제1단부(451a)는 마침 수용홈(432a)에 놓이게 되고, 이때 격발 블록(49a)은 카트리지 어셈블리(40a)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커터(45a)는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여, 제1단부(451a)는 수용홈(432a)에서 이탈되지 못하고, 카트리지 어셈블리(40)는 안전 상태를 유지하여, 2차 격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기서, 커터(45a)가 계속하여 카트리지 어셈블리(40a) 후단부로 운동하는 경우, 돌출부(453a)와 요홈부(433a)는 서로 마춤 연결되어, 커터(45a)와 카트리지 프레임(43a)의 조합을 더 견고하게 하여, 안전성은 더 신뢰성있게 된다. 여기서 설명이 필요한 것은, 상기 2개 실시방식은 단지 본 발명 카트리지 어셈블리(40)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고, 2개 실시방식은 조합, 체환 등 작업을 하여 새로운 실시방식을 형성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1실시방식 중에는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카트리지 어셈블리(40)의 후단부의 벌림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해 가능한 것은, 본 명세서는 실시방식에 따라 서술하였지만, 매개 실시방식은 하나의 독립된 기술방안만을 포함한 것은 아니고, 명세서의 이러한 서술방식은 단지 명확성을 목적으로 하고, 해당 분야 당업자라면 명세서를 하나의 일체로 간주하여, 각 실시방식 중의 기술방안도 적절한 조합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해당 분야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기타 실시방식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열거한 일련의 상세한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현 가능한 실시방식의 구체적 설명일 뿐, 이들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동등한 실시방식 또는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20)

  1.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한 푸시 커터 로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연결구;
    상기 카트리지 연결구 후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열림/닫힘이 가능한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클램프 또는 제2클램프 내에 설치된 격발 블록;
    상기 푸시 커터 로드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푸시 커터 로드의 작용 하에 상기 격발 블록을 밀어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커터;
    구동기구;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클램프의 전단부에는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터에는 안전부가 설치되고, 상기 격발 블록이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푸시 커터 로드는 상기 커터 및 상기 격발 블록을 함께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격발 블록이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커터 및 상기 제1 클램프가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구동하고,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안전부와 서로 받쳐줘서 상기 커터가 계속하여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격발 블록이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커터가 상기 격발 블록을 접촉하지 않은 경우,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커터 및 상기 제1클램프를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구동시키고, 상기 안전부는 상기 커터와 상기 격발 블록 사이의 어떠한 접촉 이전에 상기 위치 제한부에 진입된 후, 상기 푸시 커터 로드가 상기 커터를 계속하여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 이동하게 하는 경우,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커터를 받쳐주고 또한 상기 제1클램프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안전부는 상기 위치 제한부로부터 이탈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는 서로 연결된 카트리지 프레임 및 카트리지이고, 상기 제2클램프는 앤빌이며,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구동기이고, 상기 푸시 커터 로드는 상기 구동기에 접근하는 일측에 돌출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대가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구동기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구동기는 상기 푸시 커터 로드를 상기 구동기에서 멀어지는 일측에서 이탈시키도록 구동하여, 상기 커터가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접근하는 일측으로 이탈시켜서 상기 안전부를 상기 위치 제한부에 진입시키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 블록의 전단부에는 제1받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터의 후단부에는 제2받침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가 서로 받쳐지는 경우,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커터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되게 하여, 상기 안전부를 상기 위치 제한부에서 이탈시키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 및 상기 위치 제한부 중의 하나는 돌출부이고, 다른 하나는 요홈인, 카트리지 어셈블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는 돌출부이고, 상기 돌출부의 전단부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제한부는 요홈이며, 상기 요홈의 전단부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도는 동일한, 카트리지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후단부는 제1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의 후단부는 제2평면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요홈의 가장 후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평면과 상기 제2평면은 서로 간섭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요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판스프링이고, 상기 돌출대가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에서 상기 판스프링 위치로 이동한 경우,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푸시 커터 로드를 상기 판스프링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키고, 상기 격발 블록이 상기 커터를 받쳐주는 경우,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커터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키켜서 상기 푸시 커터 로드를 리셋시키고, 상기 돌출대는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변형시키도록 구동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커터 로드는 상기 돌출대의 양측에 오목구를 설치하고,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돌출대를 이탈할 때,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오목구에 진입되고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초기상태를 유지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U형 판스프링인, 카트리지 어셈블리.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및 상기 앤빌을 연결하는 압축스프링이고, 상기 푸시 커터 로드는 상기 커터를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에서 상기 위치 제한부 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압축스프링은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을 상기 안전부에 접근하는 일측으로 이탈시켜서 상기 안전부를 상기 위치 제한부로 진입하게 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 블록의 전단부에는 제1접촉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터의 후단부에는 제2접촉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가 서로 받쳐주는 경우,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커터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켜서, 상기 안전부를 상기 위치 제한부에서 이탈시키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의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외표면에 위치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부는 상기 커터의 제1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는 카트리지 프레임 외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커터는 상기 수용홈으로 이동할 때, 상기 압축스프링은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작용하여 상기 제1단부를 상기 수용홈에 진입시키고, 상기 격발 블록이 상기 커터를 받쳐주는 경우, 상기 격발 블록은 상기 제1단부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일측으로 이탈시켜서 상기 제1단부를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시키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수용홈의 후단부에 위치한 요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부는 상기 제1단부의 후단부에 위치한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가 상기 수용홈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커터는 계속하여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후단부로 이동할 때, 상기 돌출부와 상기 요홈부는 서로 맞춤 연결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수용홈의 후단부에 대칭되게 분포된 2개 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부는 상기 제1단부의 후단부에 대칭되게 분포된 2개 돌출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커터의 양측에 대칭되게 분포된 2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20.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료용 스테이플러.
KR1020207016169A 2017-12-14 2018-11-16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해당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사용한 의료용 스테이플러 KR102469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1746900.6 2017-12-14
CN201711341435.2 2017-12-14
CN201711341435.2A CN109953786B (zh) 2017-12-14 2017-12-14 钉仓组件及使用该钉仓组件的医用吻合器
CN201721746089.1 2017-12-14
CN201721746089.1U CN208851552U (zh) 2017-12-14 2017-12-14 钉仓组件及使用该钉仓组件的医用吻合器
CN201721746900.6U CN208838053U (zh) 2017-12-14 2017-12-14 钉仓组件及使用该钉仓组件的医用吻合器
PCT/CN2018/115821 WO2019114495A1 (zh) 2017-12-14 2018-11-16 钉仓组件及使用该钉仓组件的医用吻合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565A KR20200093565A (ko) 2020-08-05
KR102469638B1 true KR102469638B1 (ko) 2022-11-21

Family

ID=6681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169A KR102469638B1 (ko) 2017-12-14 2018-11-16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해당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사용한 의료용 스테이플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37695B2 (ko)
EP (1) EP3725235A4 (ko)
JP (1) JP7049003B2 (ko)
KR (1) KR102469638B1 (ko)
AU (1) AU2018382026B2 (ko)
BR (1) BR112020011917B1 (ko)
CA (1) CA3084199C (ko)
RU (1) RU2736182C1 (ko)
WO (1) WO2019114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8655A1 (en) * 2021-07-01 2023-01-05 Tyber Medical, LLC Compression staple insertion kit
CN113440195A (zh) * 2021-08-04 2021-09-28 苏州法兰克曼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具有稳定结构的吻合器防二次击发机构及吻合器
CN114145796B (zh) * 2021-09-27 2023-03-24 元创医学技术(江苏)有限公司 一种防二次击发的腔镜直线切割闭合器
CN114533166B (zh) * 2022-03-30 2023-09-22 四川大学华西第二医院 一种设置有新型闭合导轨的闭合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7526A (ja) 2005-07-26 2009-02-26 エシコン エンド−サージェリー,インク. 外科用ステープリング及び切断デバイスおよびこのデバイスの使用方法
US20160183948A1 (en) * 2004-07-28 2016-06-30 Ethicon Endo-Surgery, Llc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5034A (en) 1991-11-07 1995-03-07 American Cyanamid Co. Linear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US7140528B2 (en) * 2003-05-20 2006-11-28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having an electroactive polymer actuated single lockout mechanism for prevention of firing
US8579176B2 (en) * 2005-07-26 2013-11-12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tapling and cutt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device
US7328828B2 (en) 2005-11-04 2008-02-12 Ethicon Endo-Surgery, Inc, Lockout mechanisms and surgical instruments including same
JP5554722B2 (ja) 2008-12-25 2014-07-23 泉工医科工業株式会社 クランプ部材、クランプ及び吻合器
US8701960B1 (en) * 2009-06-22 2014-04-22 Cardica, Inc. Surgical stapler with reduced clamp gap for insertion
CN101797174B (zh) 2010-03-02 2011-09-07 瑞奇外科器械(北京)有限公司 外科用直线切割吻合器的保险装置
CN201668441U (zh) * 2010-04-01 2010-12-15 江苏瑞安贝医疗器械有限公司 直线切割吻合器保险机构
CN102743201B (zh) 2011-04-20 2014-03-12 苏州天臣国际医疗科技有限公司 直线型切割缝合器
BR112013027853B1 (pt) * 2011-04-29 2021-07-06 Ethicon Endo-Surgery, Inc. cartucho de grampo para uso com um grampeador cirúrgico
CN202409017U (zh) 2011-12-07 2012-09-05 苏州天臣国际医疗科技有限公司 适用于直线型缝切器的保险机构
CN103860220B (zh) * 2012-12-18 2016-02-10 苏州天臣国际医疗科技有限公司 腔镜外科手术用直线缝切装置
CN103860222B (zh) * 2012-12-18 2016-05-04 苏州天臣国际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直线缝合切割装置
CN203220400U (zh) * 2013-04-23 2013-10-02 北京中法派尔特医疗设备有限公司 腔镜下切割缝合器及其保险装置
US9642620B2 (en) * 2013-12-23 2017-05-09 Ethicon Endo-Surgery, Llc Surgical cutting and stapling instruments with articulatable end effectors
US10175127B2 (en) * 2014-05-05 2019-01-08 Covidien Lp End-effector force measurement drive circuit
CN204207795U (zh) * 2014-09-30 2015-03-18 山东威瑞外科医用制品有限公司 带有空钉仓保护的腔内切割吻合器
CN204364049U (zh) 2014-12-30 2015-06-03 苏州天臣国际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钉头组件以及腔镜外科手术缝切装置
CN107334504B (zh) 2016-12-29 2019-01-25 江苏风和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用于外科器械的杆身组件及外科器械
CN208851552U (zh) 2017-12-14 2019-05-14 苏州天臣国际医疗科技有限公司 钉仓组件及使用该钉仓组件的医用吻合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83948A1 (en) * 2004-07-28 2016-06-30 Ethicon Endo-Surgery, Llc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JP2009507526A (ja) 2005-07-26 2009-02-26 エシコン エンド−サージェリー,インク. 外科用ステープリング及び切断デバイスおよびこのデバイス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82026B2 (en) 2020-12-24
RU2736182C1 (ru) 2020-11-12
EP3725235A4 (en) 2021-01-13
KR20200093565A (ko) 2020-08-05
EP3725235A1 (en) 2020-10-21
CA3084199A1 (en) 2019-06-20
BR112020011917A2 (pt) 2020-11-24
US11337695B2 (en) 2022-05-24
CA3084199C (en) 2022-09-20
AU2018382026A1 (en) 2020-06-25
JP7049003B2 (ja) 2022-04-06
WO2019114495A1 (zh) 2019-06-20
BR112020011917B1 (pt) 2023-10-10
JP2021506417A (ja) 2021-02-22
US20210161527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9638B1 (ko)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해당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사용한 의료용 스테이플러
US11890012B2 (en) Staple cartridge comprising cartridge body and attached support
US11684365B2 (en) Replaceable staple cartridges for surgical instruments
JP6950050B2 (ja)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EP3241502B1 (en) Stapling head assembly and suturing and cutting apparatus for endoscopic surgery
JP6862438B2 (ja) 徐々に駆動される非対称交互式ステープルドライバを伴う外科用ステープラ
CA2513479C (en) Articulating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incorporating a two-piece e-beam firing mechanism
CN208851552U (zh) 钉仓组件及使用该钉仓组件的医用吻合器
JP6957457B2 (ja) 湾曲部に沿って変動するステープル頭頂幅を伴う外科用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CN208838053U (zh) 钉仓组件及使用该钉仓组件的医用吻合器
CN209347125U (zh) 医用吻合器
KR20200096599A (ko)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문합기
CN109953786B (zh) 钉仓组件及使用该钉仓组件的医用吻合器
CN213489060U (zh) 钉仓组件及具有该钉仓组件的医用吻合器
US11998198B2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incorporating a two-piece E-beam firing mechanism
CN111374731A (zh) 医用吻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