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306B1 - 헤어용 쿠션 브러시 - Google Patents

헤어용 쿠션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306B1
KR102469306B1 KR1020210047868A KR20210047868A KR102469306B1 KR 102469306 B1 KR102469306 B1 KR 102469306B1 KR 1020210047868 A KR1020210047868 A KR 1020210047868A KR 20210047868 A KR20210047868 A KR 20210047868A KR 102469306 B1 KR102469306 B1 KR 102469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rush
hair
brush body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579A (ko
Inventor
김상안
Original Assignee
(주)티나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나뷰티 filed Critical (주)티나뷰티
Priority to KR1020210047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30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06Multi-part combs the combs being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4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with handle designed to be attached to the hand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45Brushes articulated with more than one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용 쿠션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두께의 판면이 전후방으로 가운데 부위가 하향 만곡지도록 하고, 판면은 일정한 폭으로 타원을 이루면서 외측으로부터 중앙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점차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하는 복수의 링형 프레임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형 프레임들은 장축의 일단간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브러시 바디; 상기 링형 프레임들 중 가장 외측으로 구비되는 링형 프레임에서 장축의 전후방 단부에서 전방측 단부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일정 폭으로 하향 연장되도록 하면서 상기 브러시 바디의 하부에서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연결 바디; 상기 연결 바디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파지가 용이한 직경의 두께 또는 폭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헤어용 쿠션 브러시{Cushion brush for hair}
본 발명은 헤어용 쿠션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빗살이 심어지는 브러시 바디가 전체적으로 하향 만곡지도록 하면서 외측으로부터 일정 폭을 갖는 링형 프레임이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중앙으로 점차 축소되는 사이즈로 복수 개로서 구비되도록 하여 각 링형 프레임들의 독립적인 탄력과 함께 브러시 바디의 일측에서 하부로 휘어지게 하여 브러시 바디와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하면서 타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손잡에 의해 브러시 바디 전체가 다시 탄력을 받도록 하는 이중 탄성 작용에 의해 두피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면서 두피 마사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헤어용 쿠션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브러시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몸체에 빗살이 상하좌우로 규칙적으로 배열되게 설치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브러시를 잡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된다.
헤어 브러시는 통상 원통형의 브러시 몸체와 이 브러시 몸체에 일체로 성형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롤 타입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롤 타입의 브러시로서 대표적인 것이 공개특허 제10-2008-0039600호(2008.05.07.)의 헤어 브러쉬이다.
롤 타입의 헤어 브러시와 함께 그 외에 알려져 있는 헤어 브러시는 사람의 머리가 둥근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직선형태나 머리와는 반대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빗질 시 비교적 좁은 범위만을 빗질하게 되므로 여러 번을 반복해서 빗질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여러 번 중복해서 빗질이 이루어지는 부위가 발생하여 모발 손상이 발생되기도 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제안된 것이 등록특허 제1254672호(2013.04.09.)의 손가락 타입의 헤어 브러시로서, 브러시를 손가락이 있는 손모양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유사한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666983호(2016.10.11.)의 탄성을 갖는 헤어브러시 몸체에서는 브러시 몸체를 2개 이상의 다수 분리되는 분리몸체로 형성하여 부드러운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분리몸체들이 일방향으로 직렬로만 연결되어 있어 분리된 각 분리몸체들의 탄성에 의해 좀더 부드러운 빗질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분리몸체의 탄성은 손잡이로부터 가장 먼 위치로 갈수록 커지게 되므로 빗질 시 머리에 접촉되는 강도가 다 다르고 휨 변형이 커 균일한 빗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공개특허 제10-2008-0039600호(2008.05.07.) (문헌 2) 등록특허 제1254672호(2013.04.09.) (문헌 3) 등록특허 제1666983호(2016.10.1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정 폭을 갖는 링형 프레임을 타원형상으로 하여 외측으로부터 중앙으로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하면서 배열되도록 하여 각 링형 프레임들이 독립적인 탄성을 갖도록 하면서도 각 링형 프레임들간의 탄성 차이가 많지 않도록 하여 안정되고 균일한 빗질이 가능하도록 하는 헤어용 쿠션 브러시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링형 프레임들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바디를 하부에서 손잡이와 일정 탄성을 갖도록 연결되게 함으로써 이중의 탄성에 의해 두피에 가해지는 압력이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두피를 마사지하도록 하는 헤어용 쿠션 브러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 쿠션 브러시는, 일정 두께의 판면이 전후방으로 가운데 부위가 하향 만곡지도록 하고, 판면은 일정한 폭으로 타원을 이루면서 외측으로부터 중앙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점차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하는 복수의 링형 프레임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형 프레임들은 장축의 일단간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브러시 바디; 상기 링형 프레임들 중 가장 외측으로 구비되는 링형 프레임에서 장축의 전후방 단부에서 전방측 단부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일정 폭으로 하향 연장되도록 하면서 상기 브러시 바디의 하부에서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연결 바디; 상기 연결 바디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파지가 용이한 직경의 두께 또는 폭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브러시 바디의 각 링형 프레임은 장축의 일단이 외측의 링형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은 내측의 링형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 바디는 상기 브러시 바디의 전방측 단부에서 전방과 하향으로 U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 바디는 상기 브러시 바디의 후단부측으로 연장되는 단부의 폭이 보다 확장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 바디는 상기 브러시 바디의 곡면과 동일한 곡률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결 바디의 하부로 절첩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용 쿠션 브러시에 의하여 복수의 링형 프레임들이 독립적으로 탄성을 갖도록 하면서 이들 복수의 링형 프레임들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바디가 그 하부의 연결 바디와 일정 탄성을 갖도록 구비되게 함으로써 이중의 탄성에 의해 빗질에 의한 모근 손상이 방지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질 시 브러시 바디가 머리 모양과 유사한 곡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일시에 보다 많은 면적을 빗질할 수 있도록 하여 잦은 빗질에 의한 모발 손상이 방지되게 하는 동시에 두피 마사지의 효과를 갖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 쿠션 브러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 쿠션 브러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 쿠션 브러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 쿠션 브러시의 다른 손잡이를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 쿠션 브러시의 사용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 쿠션 브러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 쿠션 브러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 쿠션 브러시의 측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용 쿠션 브러시는 크게 브러시 바디(10)와 연결 바디(20) 및 손잡이(3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브러시 바디(10)는 일정 두께로 이루어지는 타원형의 판면이 전후방의 가운데 부위가 하향 만곡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브러시 바디(10)는 복수의 링형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지며, 각 링형 프레임(11)은 사이즈가 다른 타원형의 형상이고, 각 링형 프레임(11)에는 판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빗살이 고정되도록 하며, 다만 각 링형 프레임(11)들은 외측으로부터 중앙으로 일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사이즈가 점차 축소되게 하면서 복수 개로서 형성된다.
즉, 동일한 타원형상의 링형 프레임(11)을 일정한 폭으로 이격되도록 하면서 외측으로부터 중앙으로 점차 사이즈가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길이 중간 부위가 하향 만곡되도록 하는 브러시 바디(10)의 판면은 곡면이 머리를 형성하는 곡면과 유사하도록 한다.
머리가 접촉하게 되는 판면측으로 빗살이 형성되도록 하므로 빗질을 하게 되면 빗살들이 보다 폭넓게 두피에 접촉하게 된다.
다만, 각 링형 프레임(11)들은 장축의 일단간 상호 연결되도록 하되 일단은 외측의 링형 프레임(11)과 연결되고 타단은 내측의 링형 프레임(11)과 연결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링형 프레임(11)들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링형 프레임(11)의 장축의 일단부가 안쪽에 위치하는 링형 프레임(11)의 일단과 일체로 연결되고, 안쪽에 위치하는 링형 프레임(11)은 장축의 타단부가 그 안쪽에 위치하는 링형 프레임(11)의 인접하는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외측에서 안쪽으로 직렬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링형 프레임(11)들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직렬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각 링형 프레임(11) 단위로 독립적으로 탄성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브러시 바디(10)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링형 프레임(11)의 장축의 외주면 일단은 일정 폭이 U자형으로 하향 휘어지면서 브러시 바디(10)와는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브러시 바디(10)의 타단측으로 연장되게 하여 연결 바디(20)를 형성하도록 한다.
연결 바디(20)는 브러시 바디(10)의 길이와 근사한 길이로 형성되도록 하며, 다만 브러시 바디(10)의 폭보다는 좁은 폭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연결 바디(20)는 브러시 바디(10)의 장축의 전후방 단부에서 전방측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도록 하여 전방과 하향으로 U자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하고, 곡면의 단부는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되 직선의 형상으로 연장되게 할 수도 있으나, 브러시 바디(10)의 곡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 바디(20)는 브러시 바디(10)의 후단부측으로 연장되는 단부의 폭이 보다 확장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브러시 바디(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결 바디(2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는 일정 길이로서 손잡이(30)가 형성되도록 한다.
손잡이(30)는 연결 바디(20)의 보다 큰 폭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도록 한 단부와 마찬가지로 그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파지가 용이한 직경이나 폭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손잡이(30)는 파지력 향상을 위하여 파지 부위의 직경을 보다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외주면에는 고무와 같은 밀착력이 좋은 재질로서 커버되도록 한다.
특히, 손잡이(30)는 도 4에서와 같이 연결 바디(20)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되 연결 바디(20)의 하부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 쿠션 브러시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용 쿠션 브러시는 브러시 바디(10)의 각 링형 프레임(1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빗살이 부착되도록 한다.
브러시 바디(10)의 바닥면은 전체적으로 장축의 길이 중간 부위가 하향 만곡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빗살(40)이 고정되는 면이 머리형상에 대응되게 요입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두피(50)에 좀더 넓은 범위로 접촉되도록 한다.
따라서, 브러시 바디(10)에 고정되는 빗살(40) 또한 판면을 따라 브러시 바디(10)의 형상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므로 두피(50)에 접촉하는 빗살(40)의 접촉 면적이 보다 넓고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한편, 브러시 바디(10)는 복수의 링형 프레임(11)들의 연결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고, 각 링형 프레임(11)들은 서로 다른 반경에 위치하는 내측과 외측으로 구비되는 링형 프레임(11)들과 장축의 단부간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각 링형 프레임(11)들은 각각 독립적인 탄성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러시 바디(10)에서 각 링형 프레임(11)들은 중심 부위에서 외측으로 또는 외측에서 중심 부위로 탄성이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하므로 링형 프레임(11)들의 탄성 변형폭이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하여 빗질(40)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빗살(40)들이 두피(50)에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각 링형 프레임(11)들에 고정된 빗살(40)들이 두피(50)에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한 상태로 빗질(40)을 하게 되면 머리와 유사한 곡면을 이루는 브러시 바디(10)에 의해 일시에 많은 빗살(40)들이 보다 많은 모발(51)을 빗질할 수가 있게 되므로 빗질 휫수를 대폭적으로 줄이면서 지나치게 잦은 빗질에 의한 모발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두피(50)에 빗살(40)이 접촉되도록 하면 두피(50)에 가해지는 압력이 보다 넓게 분산되면서 두피(50)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브러시 바디(10)를 이루는 복수의 링형 프레임(11)들의 독립적인 탄성과 연결 바디(20)에 대한 브러시 바디(10)의 탄성에 따른 이중 탄성에 의해서 두피(5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브러시 바디(10)의 곡면과 빗살(40)이 접촉되는 머리의 형상에 차이가 있더라도 각 링형 프레임(11)들이 독립적으로 탄성을 갖게 되므로 빗살(40)들이 보다 폭넓게 두피(50)에 접촉되면서 폭넓은 두피 마사지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손잡이(30)는 연결 바디(20)와의 연결 부위에서 회전 및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게 함으로써 비사용 시에는 손잡이(30)가 연결 바디(20)의 하부로 밀착되게 절첩되도록 하여 좀더 간단하게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브러시 바디
11 : 링형 프레임
20 : 연결 바디
30 : 손잡이
40 : 빗살
50 : 두피
51 : 모발

Claims (6)

  1. 일정 두께의 판면이 전후방의 가운데 부위가 하향 만곡지도록 하고, 판면은 일정한 폭으로 타원을 이루면서 외측으로부터 중앙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점차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하는 복수의 링형 프레임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형 프레임들은 장축의 일단간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브러시 바디;
    상기 링형 프레임들 중 가장 외측으로 구비되는 링형 프레임에서 장축의 전후방 단부에서 전방측 단부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일정 폭으로 하향 연장되도록 하면서 상기 브러시 바디의 하부에서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연결 바디;
    상기 연결 바디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파지가 용이한 직경의 두께 또는 폭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바디의 각 링형 프레임은 장축의 일단이 외측의 링형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은 내측의 링형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 바디는 상기 브러시 바디의 전방측 단부에서 전방과 하향으로 U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바디는 상기 브러시 바디의 후단부측으로 연장되는 단부의 폭이 보다 확장되게 형성되는 헤어용 쿠션 브러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디는 상기 브러시 바디의 곡면과 동일한 곡률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헤어용 쿠션 브러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결 바디의 하부로 절첩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헤어용 쿠션 브러시.
KR1020210047868A 2021-04-13 2021-04-13 헤어용 쿠션 브러시 KR102469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868A KR102469306B1 (ko) 2021-04-13 2021-04-13 헤어용 쿠션 브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868A KR102469306B1 (ko) 2021-04-13 2021-04-13 헤어용 쿠션 브러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579A KR20220141579A (ko) 2022-10-20
KR102469306B1 true KR102469306B1 (ko) 2022-11-22

Family

ID=8380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868A KR102469306B1 (ko) 2021-04-13 2021-04-13 헤어용 쿠션 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3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23Y1 (ko) * 2016-08-17 2017-12-08 윤민태 탄성을 갖는 절첩식 헤어브러시
KR102213301B1 (ko) * 2019-12-13 2021-02-08 서선민 다기능 헤어브러시
KR102236899B1 (ko) * 2020-09-29 2021-04-06 주식회사 상신 플렉서블 헤어 브러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9600A (ko) 2006-11-01 2008-05-07 주식회사 상신 헤어 브러쉬
KR101254672B1 (ko) 2011-12-27 2013-04-15 송명원 손가락 타입 헤어 브러시
KR200483213Y1 (ko) * 2015-07-03 2017-04-14 윤민태 탄력적인 구조를 갖는 헤어 브러시
KR101666983B1 (ko) 2016-06-13 2016-10-17 윤민태 탄성을 갖는 헤어브러시 몸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23Y1 (ko) * 2016-08-17 2017-12-08 윤민태 탄성을 갖는 절첩식 헤어브러시
KR102213301B1 (ko) * 2019-12-13 2021-02-08 서선민 다기능 헤어브러시
KR102236899B1 (ko) * 2020-09-29 2021-04-06 주식회사 상신 플렉서블 헤어 브러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579A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9101B2 (en) Hair care device
EP3160298B1 (en) Hair brush
KR101217422B1 (ko) 칫솔
US4249521A (en) Implement for massaging the cutaneous covering
KR101096290B1 (ko) 칫솔
US5419001A (en) Toothbrush
US5315731A (en) Individual tooth toothbrush
IE911421A1 (en) Adjustable curvature toothbrush
CA2502083A1 (en) Scalp massaging and hair detangling hair brush
KR20190076924A (ko) 칫솔
US20200297094A1 (en) Rubber assembly, com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b
TWI661768B (zh) 動物梳理刷以及梳理動物的方法
US5657775A (en) Structure of hairbrush
US6735808B2 (en) Bath brush
JP5717027B2 (ja) マッサージ具
US2889567A (en) One-piece moulded plastic brush
JP6712120B2 (ja) 歯ブラシ
KR102469306B1 (ko) 헤어용 쿠션 브러시
EP3666116B1 (en) Bristle carrier of hairbrush
JP2002515789A (ja) 歯ブラシ
KR102236899B1 (ko) 플렉서블 헤어 브러쉬
KR101734001B1 (ko) 빗살 일체형 헤어브러시
US20040088811A1 (en) Hair brush
WO2024070512A1 (ja) ブラシ
CA2327062C (en) Hair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