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924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924A
KR20190076924A KR1020187036334A KR20187036334A KR20190076924A KR 20190076924 A KR20190076924 A KR 20190076924A KR 1020187036334 A KR1020187036334 A KR 1020187036334A KR 20187036334 A KR20187036334 A KR 20187036334A KR 20190076924 A KR20190076924 A KR 20190076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sets
toothbrush
head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 유엔 투
Original Assignee
월드 와이드 데일리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드 와이드 데일리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월드 와이드 데일리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76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46B9/10Adjust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칫솔은 손잡이 및 손잡이의 단부에 연결된 헤드를 포함한다. 헤드는 표면을 갖는다. 강모가 헤드의 일 측면 상에서만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복수의 강모가 헤드 상에 장착된다. 복수의 강모는 제1, 제2, 및 제3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세트로 배열된다. 제1, 제2, 및 제3 세트 각각의 강모는 동일한 각각의 세트 내의 다른 강모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제2 세트 내의 강모로부터 외측으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향된다.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칫솔에 관한 것이고, 보다 특히 칫솔 헤드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그 치아를 세정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칫솔을 이용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칫솔은 일 단부가 헤드에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칫솔의 헤드는, 치아의 표면과 접촉되고 플라크 및 다른 물질을 치아로부터 닦아 내도록 설계된 복수의 강모 또는 다른 세정 구조물을 갖는다. 통상적인 칫솔이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치아를 세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자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개선된 칫솔을 개발하였다.
일 양태에서, 칫솔은 일반적으로 손잡이 및 손잡이의 단부에 연결된 헤드를 포함한다. 헤드는 볼록한 표면을 갖는다. 강모가 헤드의 일 측면 상에서만 볼록한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복수의 강모가 헤드 상에 장착된다. 복수의 강모는 제1, 제2, 및 제3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세트로 배열된다. 제1, 제2, 및 제3 세트 각각의 강모는 동일한 각각의 세트 내의 다른 강모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볼록한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제2 세트 내의 강모로부터 외측으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향된다.
다른 목적 및 특징은 부분적으로 명확하고 부분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칫솔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칫솔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2의 칫솔의 확대 부분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칫솔의 저면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선 5--5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취한 도 1 내지 도 4의 칫솔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칫솔의 헤드를 보여주는 도 1 내지 도 5의 칫솔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강모를 위한 칫솔 헤드 내의 개구부의 배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해서 강모가 제거된 것을 제외하고 도 6과 유사한, 도 1 내지 도 6의 칫솔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칫솔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칫솔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8 내지 도 10의 칫솔의 저면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선 12--1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취한 도 8 내지 도 11의 칫솔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칫솔의 헤드를 보여주는 도 8 내지 도 12의 칫솔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칫솔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칫솔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의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4 내지 도 16의 칫솔의 저면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선 18--18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취한 도 14 내지 도 17의 칫솔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칫솔의 헤드를 보여주는 도 14 내지 도 18의 칫솔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칫솔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칫솔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21a는 도 21의 칫솔의 확대 부분도이다.
도 22는 도 20 및 도 21의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0 내지 도 22의 칫솔의 저면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선 24--24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취한 도 20 내지 도 23의 칫솔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25는 칫솔의 헤드를 보여주는 도 20 내지 도 24의 칫솔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26은, 강모를 위한 칫솔 헤드 내의 개구부의 배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해서 강모가 제거된 것을 제외하고 도 25과 유사한, 도 20 내지 도 25의 칫솔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27은 개구부를 보여주기 위해서 강모가 제거된 도 24의 횡단면도이다.
도 28은 개구부를 보여주기 위해서 강모가 제거된 칫솔 헤드의 길이방향 단면이다.
도 29는 개구부를 보여주기 위해서 강모가 제거된 다른 실시예의 칫솔 헤드의 확대 부분 상면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칫솔 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칫솔 헤드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2는 개구부를 보여주기 위해서 강모가 제거된 다른 실시예의 칫솔 헤드의 확대 부분 상면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칫솔 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칫솔 헤드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5는 개구부를 보여주기 위해서 강모가 제거된 다른 실시예의 칫솔 헤드의 확대 부분 상면 평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칫솔 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칫솔 헤드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8은 개구부를 보여주기 위해서 강모가 제거된 다른 실시예의 칫솔 헤드의 확대 부분 상면 평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칫솔 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칫솔 헤드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41은 개구부를 보여주기 위해서 강모가 제거된 다른 실시예의 칫솔 헤드의 확대 부분 상면 평면도이다.
도 42는 도 41의 칫솔 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1의 칫솔 헤드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면 전반에 걸쳐서, 상응하는 참조 문자는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칫솔의 일 실시예가 전체적으로 101로 표시되어 있다. 칫솔(101)은 사람들이 그들의 치아를 칫솔질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이용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칫솔(101)은 손잡이(103) 및 손잡이의 단부에 연결된 헤드(105)를 포함한다. 손잡이(103)는 적절하게 통상적인 손잡이이다. 손잡이(103)는, 헤드(105)가 사람의 구강 내에 있도록 칫솔(101)을 잡는 동안 사람의 손(미도시) 내에서 편안하게 피팅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세장형 부재이다. 손잡이의 크기 및 형상은, 희망하는 경우에,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칫솔(101)의 헤드(105)는 복수의 강모(107)를 수반하는 볼록한 표면(111)(도 5 내지 도 7 참조)을 포함한다. 볼록한 표면(111)은 편의상 본원에서 "상부" 표면으로 지칭될 수 있으나, 칫솔(101)의 배향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칫솔을 잡는 방법에 따라 볼록한 표면이 칫솔의 측면 또는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헤드(105)는 손잡이(103)와 일체로 적절히 형성된다. 예를 들어, 헤드(105) 및 손잡이(103)가 중합체 물질로 하나의-단편으로 함께 적절히 몰딩된다. 손잡이(103)에 대향되는 헤드(105)의 단부(109)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히 둥글게 처리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헤드(105)는 비교적 좁고 둥근 측면(141)을 적절히 갖는다. 측면(141)은 적절히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손잡이(103)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헤드(105)는 또한, 볼록한 "상부" 표면(111)에 대향되는 칫솔 헤드의 "하단부"(도 4 및 도 5 참조)로서 본원에서 지칭될 수 있는 표면(143)을 갖는다. 하단부 표면(143)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단부 표면(143)은 볼록하다. 예를 들어, 하단부 표면(143)은 볼록한 상부 표면(111)과 적절히 실질적으로 부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칫솔(101)의 헤드(105)는, 실질적으로 난형 또는 타원형인 횡단면 형상을 적절히 갖는다. 예를 들어, 도 5의 볼록한 상부 표면 상의 지점이 모두 동일한 원호(A1) 위에 놓인다는 사실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볼록한 상부 표면(111)은 적절히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하단부 표면(143)은 또한 적절히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측면(141)은 상부 표면(111)과 하부 표면(143) 사이에서 매끄럽게 전이되도록 적절히 구성되며, 이는 난형 횡단면 형상을 초래한다. 그러나, 횡단면 형상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고, 비제한적으로 타원형 형상 및 다른 난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강모(107)는, 그러한 강모가 볼록한 표면(111)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헤드(105) 상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강모(107)는, 헤드(105)의 일 측면으로부터만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적절히, 헤드(105)의 하단부 표면(143)으로부터 연장되는 강모는 존재하지 않는다. 각각의 강모(107)는, 볼록한 표면(111) 내의 개구부(115)를 통해서 연장되는 기부(113) 및 볼록한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원위 단부(117)를 갖는다. 강모(107)는 다발(119)로 적절히 배열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다발(119)은, 그룹 내의 다수의 강모 모두가 볼록한 표면(111) 내의 개구부(115) 중 하나를 통해서 연장되도록 배열된 강모(107)의 그룹에 의해서 적절히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강모(107)는 다수의 상이한 세트들로 배열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모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세트(121, 123, 125, 127)로 배열된다. 제1, 제2, 및 제3 세트(121, 123, 125)는 도 5에서 확인될 수 있다. 제4 세트(127)는 손잡이(103)에 대향되는 칫솔 헤드(105)의 단부에 위치되고, 도 6에서 확인될 수 있으나, 도 5에서는 볼 수 없다. 세트의 수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희망하는 경우에, 세트 중 하나 이상이 하위세트로 세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세트(121), 제2 세트(123), 및 제3 세트(125) 각각의 강모(107)는 동일한 각각의 세트 내의 다른 강모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1 세트(121), 제2 세트(123), 및 제3 세트(125) 내의 강모(107)는 또한, 각각의 세트 내의 강모가 손잡이(103)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태가 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세트(121), 제2 세트(123), 및 제3 세트(125) 내의 강모(107)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손잡이(103)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길이방향 행(row)으로 적절히 배열된다.
제1 세트(121) 및 제3 세트(125) 내의 강모(107)는, 볼록한 표면(111)으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제2 세트(123) 내의 강모로부터 외측으로 각도를 형성하도록 적절히 배향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세트(121) 내의 강모(107)의 기부(113)와 제2 세트(123) 내의 강모의 인접 기부 사이의 거리(D1)는, 제1 세트 내의 강모의 원위 단부(117)와 제2 세트 내의 강모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D2)보다 짧다. 따라서, 제1 세트(121) 내의 강모(107)의 원위 단부(117)와 제2 세트(123) 내의 강모의 원위 단부 사이에 상당한 간극(131)이 있다. 또한, 제3 세트(125) 내의 강모(107)의 기부(113)와 제2 세트(123) 내의 강모의 인접 기부 사이의 거리(D1)는, 제3 세트 내의 강모의 원위 단부(117)와 제2 세트 내의 강모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D2)보다 짧다. 따라서, 제2 세트(123) 내의 강모(107)의 원위 단부(117)와 제3 세트(125) 내의 강모의 원위 단부 사이에 다른 간극(131)이 있다. 제2 세트(123)와 제1 및 제3 세트(125) 내의 강모(107)의 단부들(117) 사이의 간극(131)은, 손잡이(103)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적절히 배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간극들(131)의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간극(131)은 또한 간극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적절하게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이다.
여전히 도 5를 참조하면, 제1 세트(121) 및 제3 세트(125) 내의 강모(107)는,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α1)로 칫솔 헤드(105)의 볼록한 표면(111)과 교차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칫솔 헤드(105)의 측면들(141)을 따라 연장되는 최외측 강모들(107) 사이의 각도(α1)는 적절하게 적어도 약 110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세트(121), 제2 세트(123), 및 제3 세트(125) 내의 강모(107)를 위한 볼록한 표면(111) 내의 개구부(115)가 어레이로 배열된다. 그러한 어레이는, 개구부(115)가 손잡이(103)에 대체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행으로 그리고 손잡이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열(column)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행 내의 개구부(115)는 행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강모의 제1 세트(121), 제2 세트(123), 및 제3 세트(125) 내의 강모의 다발(119)을 포함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어레이의 각각의 열 내의 개구부(115)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그러나, 어레이 내의 각각의 열 내의 개구부(115) 사이의 간격은 각각의 행 내의 개구부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 행 내의 개구부(115)와 대조적으로, 각각의 열 내의 개구부는 제1 세트(121), 제2 세트(123), 및 제3 세트(125) 중 단지 하나로부터의 강모의 다발(119)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세트(121), 제2 세트(123), 및 제3 세트(125) 내의 강모가 제4 세트와 손잡이(103)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4 세트(127) 내의 강모(107)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4 세트 내의 강모(107)는 칫솔 헤드(105)의 둥근 단부(109) 상에 적절히 배치된다. 제4 세트(127) 내의 강모(107)는 궁형 구성으로 적절히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4 세트(127) 내의 강모(107)는 제1 세트(121)의 단부로부터 제3 세트(125)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궁형 구성으로 연장되는 강모의 밴드(161)를 적절히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161)는 강모(107)의 적어도 3개의 다발(119)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161)는 강모(107)의 적어도 4개의 다발(119)에 의해서 형성된다. 제4 세트(127) 내의 강모(107)의 다른 그룹(163)은 이러한 밴드(161)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고 강모의 제2 세트(123)의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세트(127) 내의 강모의 이러한 그룹(163) 내의 강모가 또한 밴드 내에 배열되고, 그에 의해서 강모(107)의 제4 세트(127)의 내부 밴드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밴드(161) 및 내부 밴드(163) 내의 강모들(107)은 서로 동심적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강모(107)의 제4 세트(127)의 외부 밴드(161)와 내부 밴드(163) 사이에 궁형 간극(135)이 존재한다.
간극(135)은 강모(107)의 제2 세트(123)와 강모의 제1 및 제3 세트(121, 125) 사이의 간극들(131)의 단부들 사이에서 적절히 연장된다. 집합적으로, 간극(131, 135)은 강모(107) 내에서 편자 형상의 간극을 형성하고, 편자의 개방 단부는 손잡이(103)에 대면된다. 간극(135)의 폭은 그 길이를 따라 적절하게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외부 밴드(161)와 내부 밴드(163) 사이의 간극(135)의 폭은 또한 강모(107)의 제2 세트(123)와 제1 및 제3 세트(121, 125) 사이의 간극(131)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간극(131, 135)에 의해서 집합적으로 형성되는 편자 형상의 간극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을 적절히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된 강모(107)의 배열은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강모(107)는, 원위 단부들(117)이 서로 비교적 근접 위치된, 강모의 세트(121, 123, 125)가 존재하도록, 배열된다. 동시에, 일부 강모들 사이에 상당한 간극(131, 135)이 존재한다. 서로 비교적 근접 이격된 강모들(107)의 단부들(117)은 함께 사람의 치아에 솔질 작용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강모 중 하나의 또는 몇몇이 치아, 잇몸 또는 파편의 조각과 접촉되는 경우에, 강모가 굴곡되고 항복(yield)될 수 있으나, 동일한 세트 내의 굴곡된 강모에 인접한 강모가 또한 동시에 또는 짧은 시간 후에 동일한 대상과 만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강모의 단부(117)에 위치되는, 강모(107)의 여러 세트들 사이의 간극(131, 135)은 다수의 강모가 없는 공간을 제공하고, 강모(107)의 단부(117)에 의해서 파편이 제거된 후에 파편은 그러한 공간 내로 낙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파편이 치아로부터 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비록 상이한 세트들(121, 123, 125, 127) 내의 강모의 단부들(117) 사이의 상당한 간극(131, 135)이 있지만, 강모의 기부(113)는 비교적 조밀한 패턴으로 배열된다. 이는, 헤드(105)에서 이용되는 물질의 양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는 다시 칫솔(101)의 중량 및 비용을 최소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는 또한, 칫솔 헤드가 구강 내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칫솔 헤드(105)를 보다 양호하게 조작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강모(107)의 원위 단부(117)가 오목한 솔질 표면을 집합적으로 형성하도록, 제1 내지 제4 세트(121, 123, 125, 127) 내의 강모(107)의 길이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모의 원위 단부(117) 모두가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과 같은) 궁형 표면(A2) 상에 놓인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세트(121) 및 제3 세트(125) 내의 강모(107)는 제2 세트(123) 내의 강모보다 길다. 한편, 칫솔(101)의 중앙 축 상에 놓이는 제4 세트(127) 내의 강모는 칫솔 헤드(105)의 측면(141)에 인접한 강모보다 짧다. 오목한 솔질 표면(A2)이 몇 가지에 의해서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유형의 솔질 표면이 사람의 치아의 모서리 주위를 잘 감쌀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주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칫솔(1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체적으로 201로 표시된,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칫솔(201)의 강모(207)는, 전술한 세트(121, 123, 125, 127)와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되고 배열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세트(221, 223, 225, 227)로 배열된다. 그러나, 강모(207)의 길이는 강모(107)의 길이와 상이하다. 특히, 도 12를 참조하면, 강모의 원위 단부(217) 모두가 평면형 솔질 표면(P1) 상에 놓이도록, 강모(207)의 길이가 변경된다. 평면형 솔질 표면(P1)이 몇 가지에 의해서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유형의 솔질 표면이 후방 어금니의 대향 표면들로부터 물질을 양호하게 제거하기 때문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주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칫솔(1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체적으로 301로 표시된,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칫솔(301)의 강모(307)는, 전술한 세트(121, 123, 125, 127)와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되고 배열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세트(321, 323, 325, 327)로 배열된다. 그러나, 강모(307)의 길이는 강모(107)의 길이와 상이하다. 특히, 도 18을 참조하면, 강모의 원위 단부(317) 모두가 볼록한 솔질 표면(A3) 상에 놓이도록, 강모(307)의 길이가 변경된다. 볼록한 솔질 표면(A3)이 몇 가지에 의해서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유형의 솔질 표면이 전방 치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물질을 양호하게 제거하기 때문이다.
도 20 내지 도 28은 전체적으로 401로 표시된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칫솔(101)은 손잡이(403) 및 손잡이의 단부에 연결된 헤드(405)를 포함한다. 손잡이(403)는 적절하게 통상적인 손잡이이다. 손잡이(403)는, 헤드(405)가 사람의 구강 내에 있도록 칫솔(401)을 잡는 동안 사람의 손(미도시) 내에서 편안하게 피팅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세장형 부재이다. 손잡이의 크기 및 형상은, 희망하는 경우에,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칫솔(401)의 헤드(405)는 복수의 강모(407)를 수반하는 편평한 표면(411)(도 21a, 도 25, 및 도 26 참조)을 포함한다. 편평한 표면(411)은 편의상 본원에서 "상부" 표면으로 지칭될 수 있으나, 칫솔(401)의 배향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칫솔을 잡는 방법에 따라 편평한 표면이 칫솔의 측면 또는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헤드(405)는 손잡이(403)와 일체로 적절히 형성된다. 예를 들어, 헤드(405) 및 손잡이(403)가 중합체 물질로 하나의-단편으로 함께 적절히 몰딩된다. 손잡이(403)에 대향되는 헤드(405)의 단부(409)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히 둥글게 처리된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헤드(405)는 편평한 측면(441)을 적절히 갖는다. 측면(441)은 적절히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손잡이(403)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헤드(405)는 또한, 편평한 "상부" 표면(411)에 대향되는 칫솔 헤드의 "하단부"(도 22 내지 도 24 참조)로서 본원에서 지칭될 수 있는 표면(443)을 갖는다. 하단부 표면(443)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단부 표면(443)은 편평하다. 도 24를 참조하면, 칫솔(101)의 헤드(405)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횡단면 형상을 적절히 갖는다. 예를 들어, 도 24의 편평한 상부 표면 상의 지점이 모두 동일한 평면(P1) 위에 놓인다는 사실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편평한 상부 표면(411)은 적절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하단부 표면(443)은 또한 적절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측면(441)은 적절히 직사각형이고 상부 표면(411)과 하부 표면(443) 사이의 전이부를 제공하고, 이는, 둥근 하단부 모서리를 포함하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횡단면 형상을 초래한다. 그러나, 횡단면 형상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고, 비제한적으로 난형 형상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하형태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강모(407)는, 그러한 강모가 편평한 표면(411)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헤드(405) 상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강모(407)는, 헤드(405)의 일 측면으로부터만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적절히, 헤드(405)의 하단부 표면(443)으로부터 연장되는 강모는 존재하지 않는다. 각각의 강모(407)는, 편평한 표면(411) 내의 개구부(415)를 통해서 연장되는 기부(413) 및 편평한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원위 단부(417)를 갖는다. 강모(407)는 다발(419)로 적절히 배열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다발(419)은, 그룹 내의 다수의 강모 모두가 편평한 표면(411) 내의 개구부(415) 중 하나를 통해서 연장되도록 배열된 강모(407)의 그룹에 의해서 적절히 형성된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강모(407)는 다수의 상이한 세트들로 배열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모는 제1, 제2, 제3, 및 제4 세트(421, 423, 425, 427)로 배열된다. 제1, 제2, 및 제3 세트(421, 423, 425)는 도 24에서 확인될 수 있다. 제4 세트(427)는 손잡이(403)에 대향되는 칫솔 헤드(405)의 단부에 위치되고, 도 25에서 확인될 수 있으나, 도 24에서는 볼 수 없다. 세트의 수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희망하는 경우에, 세트 중 하나 이상이 하위세트로 세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강모의 하나의 세트는 각각의 세트 내의 모든 도시된 강모(407)보다 적게 포함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제1 세트(421), 제2 세트(423), 및 제3 세트(425) 각각의 강모(407)는 헤드(405)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강모의 다발(419)의 길이방향 행으로 배열된다. 제1 세트(421), 제2 세트(423), 및 제3 세트(425)의 각각의 행의 강모(407)는 동일한 행 내의 다른 강모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1 세트(421), 제2 세트(423), 및 제3 세트(425) 내의 강모(407)는 또한, 각각의 세트 내의 강모가 손잡이(403)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태가 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세트(421), 제2 세트(423), 및 제3 세트(425) 내의 강모(407)가, 손잡이(403)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길이방향 행으로 적절히 배열된다. 하나의 세트가 강모(407)의 하나의 길이방향 행을 포함할 수 있거나, 하나의 길이방향 행 내의 모든 강모보다 적게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트(423) 내의 강모(401)는 강모(407)의 다발(419)의 3개의 길이방향 행으로 배열된다. 강모(407)의 제1의 중간 행은 일반적으로 편평한 표면(411)의 중심을 따라 그리고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강모(407)의 제2 및 제3 행은 제1의 중간 행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행 내의 강모(407)로부터 외측으로 각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2 및 제3 행 내의 강모(407)는,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β)(도 24)로 칫솔 헤드(405)의 편평한 표면(411)과 교차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 행 내의 강모는 약 1 내지 약 16도의 수직 축에 대한 각도(β)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β)는 약 8도이다.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407)는 강모(407)의 다발(419)의 하나의 길이방향 행에 의해서 각각 형성된다. 제1 세트(421) 및 제3 세트(425) 내의 강모(407)는, 편평한 표면(411)으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제2 세트(423) 내의 강모로부터 외측으로 각도를 형성하도록 적절히 배향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세트(421) 내의 강모(407)의 기부(413)와 제2 세트(423) 내의 강모의 인접 기부 사이의 거리(D1)는, 제1 세트 내의 강모의 원위 단부(417)와 제2 세트 내의 강모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D2)보다 짧다. 따라서, 제1 세트(421) 내의 강모(407)의 원위 단부(417)와 제2 세트(423) 내의 강모의 원위 단부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또한, 제3 세트(425) 내의 강모(407)의 기부(413)와 제2 세트(423) 내의 강모의 인접 기부 사이의 거리(D1)는, 제3 세트 내의 강모의 원위 단부(417)와 제2 세트 내의 강모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D2)보다 짧다. 따라서, 제2 세트(423) 내의 강모(407)의 원위 단부(417)와 제3 세트(425) 내의 강모의 원위 단부 사이에 다른 간극이 존재한다. 제2 세트(423)와 제1 및 제3 세트(425) 내의 강모(407)의 단부들(417) 사이의 간극은, 손잡이(403)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적절히 배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간극들의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간극은 또한 간극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적절하게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이다.
여전히 도 24를 참조하면, 제1 세트(421) 및 제3 세트(425) 내의 강모(407)는,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α)로 칫솔 헤드(405)의 편평한 표면(411)과 교차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세트(421, 425) 내의 강모는 약 1 내지 약 28도의 수직 축에 대한 각도(α)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6 내지 약 28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6 내지 약 18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제1 세트(421), 제2 세트(423), 및 제3 세트(425) 내의 강모(407)를 위한 편평한 표면(411) 내의 개구부(415)가 어레이로 배열된다. 개구부(415)는, 강모의 제1 세트(421), 제2 세트(423), 및 제3 세트(425)를 형성하는 강모의 다발(419)을 포함한다. 개구부(415)의 어레이는, 강모(407)의 제2 세트(423)와 연관된 둥근 개구부(415A)는 손잡이(403)에 대체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행으로 그리고 손잡이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열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강모(407)의 제2 세트(423)와 연관된 각각의 행 내의 개구부(415A)는 행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강모(407)의 제2 세트(423)와 연관된 각각의 열 내의 개구부(415A)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강모의 10개의 다발(419)을 형성하는 개구부의 중간 열 내에 10개의 개구부(415A)가 있고, 각각의 외측 열 내의 9개의 다발을 형성하는 개구부(415A)의 2개의 외측 열의 각각에 9개의 개구부가 있다. 강모(407)의 제2 세트(423)와 연관된 외측 열 내의 개구부(415A)(도 27)는, 강모가 전술한 각도(β)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각도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부(415A)의 각각의 열은, 각각의 열 내에서 강모의 적어도 3개의 다발을 형성하는 적어도 3개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415)의 어레이는 또한 강모(407)의 제1 및 제3 세트(421, 2425)와 연관된 세장형 개구부(415B)를 포함한다. 제1 세트(421)와 연관된 개구부(415B)는 개구부의 하나의 열에 의해서 형성된다. 제3 세트(425)와 연관된 개구부(415B)는 또한 개구부의 하나의 열에 의해서 형성된다. 제1 및 제3 세트(421, 425) 내의 강모(407)와 연관된 개구부(415B)는, 강모가 전술한 각도(α)(도 27)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외측으로 각도를 형성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1 세트(421), 제2 세트(423), 및 제3 세트(425) 내의 강모가 제4 세트와 손잡이(403)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4 세트(427) 내의 강모(407)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4 세트 내의 강모(407)는 칫솔 헤드(405)의 둥근 단부(409) 상에 적절히 배치된다. 제4 세트(427) 내의 강모(407)는 궁형 구성으로 적절히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4 세트(427) 내의 강모(407)는 제1 세트(421)의 단부로부터 제3 세트(425)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궁형 구성으로 연장되는 강모의 밴드를 적절히 포함한다. 따라서, 강모(407)의 제4 세트(427)와 강모의 제2 세트(423) 사이에 궁형 간극(435)이 존재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궁형 구성은, 궁형으로 서로 이격된 강모(407)의 다발(419)의 복수의 선형 행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궁형 구성은 적어도 3개의 강모(407)의 이격된 선형 행에 의해서 형성된다.
강모(407)의 원위 단부(417)가 평면형 솔질 표면을 집합적으로 형성하도록, 제1 내지 제4 세트(421, 423, 425, 427) 내의 강모(107)의 길이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모의 원위 단부(417) 모두가 평면(P2) 내에 놓인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세트(421) 및 제3 세트(425) 내의 강모(407)는 제2 세트(423) 내의 강모보다 길다. 한편, 제4 세트(427) 내의 강모는 또한 제2 세트(423) 내의 강모보다 길다.
도 29 내지 도 31은, 주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칫솔 헤드(40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체적으로 505로 표시된, 칫솔 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헤드(505)의 상부 표면(511)은 볼록하다.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미도시)가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α)로 칫솔 헤드(505)의 볼록한 표면(511)과 교차 배열되도록, 개구부(515)가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약 1 내지 약 28도의 수직 축에 대한 각도(α)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 내지 약 25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8도이다. 또한, 제2 세트의 외부 행 내의 강모가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β)로 칫솔 헤드(505)의 볼록한 표면(511)과 교차 배열되도록, 개구부(515)가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2 세트의 외부 행 내의 강모는 약 1 내지 약 16도의 수직 축에 대한 각도(β)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β)는 약 8도이다.
도 32 내지 도 34는, 주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칫솔 헤드(40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체적으로 605로 표시된, 칫솔 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개구부(615)는 사다리꼴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미도시)가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α)로 칫솔 헤드(605)의 편평한 표면(611)과 교차 배열되도록, 개구부(615)가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약 1 내지 약 28도의 수직 축에 대한 각도(α)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 내지 약 25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8도이다. 또한, 제2 세트의 외부 행 내의 강모가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β)로 칫솔 헤드(605)의 편평한 표면(611)과 교차 배열되도록, 개구부(615)가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2 세트의 외부 행 내의 강모는 약 1 내지 약 16도의 수직 축에 대한 각도(β)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β)는 약 8도이다.
도 35 내지 도 37은, 주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칫솔 헤드(40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체적으로 705로 표시된, 칫솔 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헤드(705)의 상부 표면(711)은 볼록하다. 볼록한 표면(711) 내의 개구부(715)는 사다리꼴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미도시)가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α)로 칫솔 헤드(705)의 볼록한 표면(711)과 교차 배열되도록, 개구부(715)가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약 1 내지 약 28도의 수직 축에 대한 각도(α)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 내지 약 25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8도이다. 또한, 제2 세트의 외부 행 내의 강모가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β)로 칫솔 헤드(705)의 볼록한 표면(711)과 교차 배열되도록, 개구부(715)가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2 세트의 외부 행 내의 강모는 약 1 내지 약 16도의 수직 축에 대한 각도(β)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β)는 약 8도이다.
도 38 내지 도 40은, 주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칫솔 헤드(40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체적으로 805로 표시된, 칫솔 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개구부(815)는 사다리꼴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미도시)가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α)로 칫솔 헤드(805)의 편평한 표면(811)과 교차 배열되도록, 개구부(815)가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약 1 내지 약 28도의 수직 축에 대한 각도(α)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 내지 약 25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7도이다. 또한, 제2 세트의 강모가 수직 각도로 칫솔 헤드(805)의 편평한 표면(811)과 교차 배열되도록, 개구부(815)가 배열된다.
도 41 내지 도 43은, 주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칫솔 헤드(40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체적으로 905로 표시된, 칫솔 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개구부(915)는 사다리꼴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미도시)가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α)로 칫솔 헤드(905)의 편평한 표면(911)과 교차 배열되도록, 개구부(915)가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약 1 내지 약 28도의 수직 축에 대한 각도(α)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 내지 약 25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6도이다. 또한, 제2 세트 내의 강모가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β)로 칫솔 헤드(905)의 편평한 표면(911)과 교차 배열되도록, 개구부(915)가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2 세트의 2개의 행 내의 강모는 약 1 내지 약 16도의 수직 축에 대한 각도(β)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β)는 약 4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세트와 연관된 개구부(915)는 세장형이고, 제1 및 제3 세트와 연관된 개구부는 둥글다.
본 발명의 또는 그 실시예(들)의 요소를 소개할 때, 관사("a", "an", "the" 및 "said")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함하는", "포괄하는", 및 "구비하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으로 의도된 것이고 나열된 요소 이외의 부가적인 요소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전술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서 여러 가지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설명에 포함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것이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을 것이다.

Claims (15)

  1. 칫솔이며:
    손잡이;
    손잡이의 단부에 연결되고 표면을 가지는 헤드; 및
    헤드의 일 측면 상에서만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헤드 상에 장착된 복수의 강모를 포함하고,
    복수의 강모는 제1, 제2, 및 제3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세트로 배열되고, 제1, 제2, 및 제3 세트 각각의 강모는 동일한 각각의 세트 내에서 다른 강모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제2 세트의 강모는 복수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강모의 길이방향 행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2 세트 내의 강모의 각각의 행은, 다수의 강모로 각각 구성되는 적어도 3개의 다발에 의해서 형성되며, 제1 및 제3 세트 각각의 강모는 적어도 하나의 강모의 길이방향 행에 의해서 형성되며,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제2 세트 내의 강모로부터 외측으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향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표면 내의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제2,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를 위한 표면 내의 개구부는, 개구부가 손잡이에 대체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행 및 손잡이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열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어레이로 배열되고, 각각의 행 내의 개구부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제1, 제2,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를 포함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열 내의 개구부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각각의 열 내의 개구부는 제1, 제2, 및 제3 세트 중 단지 하나로부터 강모를 포함하는, 칫솔.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다수의 강모로 구성된 다발로 배열되고, 각각의 다발의 강모는 표면 내의 개구부 중 하나를 통해서 연장되는, 칫솔.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강모의 세트는 제4 세트를 더 포함하고, 제4 세트는, 제1, 제2, 및 제3 세트가 제4 세트와 손잡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4 세트 내의 복수의 강모는 궁형 구성으로 배열되고, 제4 세트 내의 복수의 강모는 다수의 이격된 강모의 선형 행으로 배열되는, 칫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세트 내의 강모는 제1 세트의 단부로부터 제3 세트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궁형 구성으로 연장되는 강모의 밴드를 포함하는, 칫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세트 내의 강모는, 상기 밴드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고 강모의 제2 세트의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강모의 그룹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강모의 그룹은 적어도 3개의 강모의 다발에 의해서 형성되는, 칫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하나 이상의 비-수직 각도로 표면과 교차되도록 배열되는, 칫솔.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약 16 내지 약 28도의 수직 축에 대한 각도로 표면과 교차되도록 배열되는, 칫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평면형 솔질 표면 상에 놓이도록 배치된 원위 단부를 가지는, 칫솔.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오목한 솔질 표면 상에 놓이도록 배치된 원위 단부를 가지는, 칫솔.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볼록한 솔질 표면 상에 놓이도록 배치된 원위 단부를 가지는, 칫솔.
  13. 칫솔이며:
    손잡이;
    손잡이의 단부에 연결되고 표면을 가지는 헤드; 및
    헤드의 일 측면 상에서만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헤드 상에 장착된 복수의 강모를 포함하고,
    복수의 강모는 제1, 제2, 및 제3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세트로 배열되고, 제1, 제2, 및 제3 세트 각각의 강모는 적어도 하나의 강모의 길이방향 행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1 및 제3 세트 내의 강모는,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제2 세트 내의 강모로부터 외측으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향되고, 복수의 강모의 세트는, 제1, 제2, 및 제3 세트가 제4 세트와 손잡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제4 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세트 내의 복수의 강모는 적어도 3개의 이격된 강모의 선형 행에 의해서 형성된 궁형 구성으로 배열되는, 칫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세트 내의 강모는 제1 세트의 단부로부터 제3 세트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궁형 구성으로 연장되는 강모의 밴드를 포함하는, 칫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세트 내의 강모는, 상기 밴드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고 강모의 제2 세트의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강모의 그룹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강모의 그룹은 적어도 3개의 강모의 다발에 의해서 형성되는, 칫솔.
KR1020187036334A 2017-12-21 2018-10-09 칫솔 KR201900769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7/117704 2017-12-21
PCT/CN2017/117704 WO2019119344A1 (en) 2017-12-21 2017-12-21 Toothbrush
PCT/CN2018/109457 WO2019119930A1 (en) 2017-12-21 2018-10-09 Toothbru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924A true KR20190076924A (ko) 2019-07-02

Family

ID=669930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7000098U KR20200001696U (ko) 2017-12-21 2018-10-09 칫솔
KR1020187036334A KR20190076924A (ko) 2017-12-21 2018-10-09 칫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7000098U KR20200001696U (ko) 2017-12-21 2018-10-09 칫솔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210219709A1 (ko)
EP (1) EP3525618A4 (ko)
JP (1) JP3224674U (ko)
KR (2) KR20200001696U (ko)
CN (5) CN109938477A (ko)
AR (1) AR113711A1 (ko)
AU (1) AU2018274845A1 (ko)
BR (1) BR112018076041A2 (ko)
CA (1) CA3027634A1 (ko)
CL (1) CL2018003658A1 (ko)
CO (1) CO2018013671A2 (ko)
DE (1) DE212018000052U1 (ko)
ES (1) ES1243880Y (ko)
MX (1) MX2018015917A (ko)
PH (1) PH12018502625A1 (ko)
RU (3) RU2018144273A (ko)
TW (2) TWM580363U (ko)
WO (2) WO2019119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9344A1 (en) * 2017-12-21 2019-06-27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CN304701695S (ko) * 2017-12-21 2018-06-29
USD898369S1 (en) 2018-10-09 2020-10-13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7684S1 (en) 2018-10-09 2020-10-0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8370S1 (en) 2018-10-09 2020-10-13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8371S1 (en) 2018-11-16 2020-10-13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7685S1 (en) 2018-11-16 2020-10-0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7687S1 (en) 2018-12-14 2020-10-0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927191S1 (en) 2018-12-14 2021-08-10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7686S1 (en) 2018-12-14 2020-10-0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906687S1 (en) 2019-01-10 2021-01-05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8372S1 (en) 2019-01-10 2020-10-13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CA194690S (en) * 2020-01-17 2021-02-19 World Wide Daily Holdings Co Ltd Toothbrush hea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6213A (en) * 1990-03-29 1991-09-10 Colgate-Palmolive Company Plaque removing toothbrush
US5392483A (en) * 1994-07-07 1995-02-28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Multi-level bristle tuft toothbrush
US5628082A (en) * 1995-03-22 1997-05-13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with improved efficacy
DE60119769T2 (de) * 2000-12-07 2007-05-24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hcare Gmbh & Co. Kg Bürstenteil für eine elektrische zahnbürste
JP2002345555A (ja) * 2001-05-24 2002-12-03 Kao Corp 歯ブラシ
US7757326B2 (en) * 2003-10-30 2010-07-20 Colo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with enhanced cleaning effects
US8042217B2 (en) * 2004-11-02 2011-10-25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666458B1 (ko) * 2005-03-11 2007-01-09 권영준 압력완화부재가 내장된 칫솔 및 그 제조방법
WO2007016802A1 (de) * 2005-08-08 2007-02-15 Gaba International Ag Zahnbürste mit schräggestellten und zugespitzten borsten
CA2677180C (en) * 2007-02-02 2012-07-03 The Gillette Company Oral hygiene implements having flexible elem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O2010023660A1 (en) * 2008-08-24 2010-03-04 Hadasit Medical Research Services And Development Ltd. A maneuvarable bristle toothbrush
AR074602A1 (es) * 2008-12-15 2011-01-26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 Una cabeza de cepillo de dientes
KR100972388B1 (ko) * 2009-07-31 2010-07-27 주식회사 베스트화성 침투력과 쇄소성이 향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및 그 제조방법
EP3172986B1 (en) * 2009-12-18 2018-10-24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having a closed-loop arrangement of cleaning elements
EP2810581B1 (en) * 2013-06-06 2018-04-18 The Gillette Company LLC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US9456680B2 (en) * 2013-09-18 2016-10-04 Dr. Fresh, Llc Toothbrush with angled bristles
KR200493972Y1 (ko) * 2016-04-15 2021-07-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
CN304701695S (ko) * 2017-12-21 2018-06-29
WO2019119344A1 (en) * 2017-12-21 2019-06-27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2018013671A2 (es) 2019-08-30
TW201927206A (zh) 2019-07-16
WO2019119344A1 (en) 2019-06-27
RU193112U1 (ru) 2019-10-15
MX2018015917A (es) 2019-08-16
CN109938477A (zh) 2019-06-28
CN209171548U (zh) 2019-07-30
CN109938478A (zh) 2019-06-28
RU2018144273A (ru) 2020-06-15
CN209660767U (zh) 2019-11-22
JP3224674U (ja) 2020-01-16
EP3525618A4 (en) 2020-07-15
CA3027634A1 (en) 2019-06-21
CN211242090U (zh) 2020-08-14
DE212018000052U1 (de) 2019-01-11
PH12018502625A1 (en) 2019-10-07
ES1243880Y (es) 2020-08-21
AU2018274845A1 (en) 2019-07-11
US20210219709A1 (en) 2021-07-22
KR20200001696U (ko) 2020-07-30
AR113711A1 (es) 2020-06-03
BR112018076041A2 (pt) 2019-09-03
CL2018003658A1 (es) 2019-08-23
RU191919U1 (ru) 2019-08-28
WO2019119930A1 (en) 2019-06-27
EP3525618A1 (en) 2019-08-21
ES1243880U (es) 2020-03-17
TWM580363U (zh)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6924A (ko) 칫솔
US4033008A (en) Toothbrush
US6886207B1 (en) Toothbrush
RU2530849C1 (ru) Зубная щетка (варианты)
AU2001261646B2 (en) Toothbrush having an efficacious bristle pattern
EP0175084B1 (en) Toothbrush
FI95098B (fi) Hammasharjapää
JPH09502110A (ja) 歯ブラシについての剛毛配列
AU2001261646A1 (en) Toothbrush having an efficacious bristle pattern
US20060010631A1 (en) Toothbrush
ZA200209276B (en) Toothbrush having an efficacious bristle pattern.
JP3211274U (ja) 動物用グルーミングブラシ
MXPA03004753A (es) Cepillo dental con refuerzo de cerdas longitudinales.
JP6712120B2 (ja) 歯ブラシ
US20140345073A1 (en) Toothbrush having bent bristles
US10624724B2 (en) Bristled dental floss
KR200467405Y1 (ko) 칫솔
WO2020191568A1 (en) Toothbrush
RU2267286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с эффективной конфигурацией щетины
JPH07227318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