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290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290B1
KR101096290B1 KR1020057008193A KR20057008193A KR101096290B1 KR 101096290 B1 KR101096290 B1 KR 101096290B1 KR 1020057008193 A KR1020057008193 A KR 1020057008193A KR 20057008193 A KR20057008193 A KR 20057008193A KR 101096290 B1 KR101096290 B1 KR 101096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ad
toothbrush
tip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7231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가이베르거
Original Assignee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컨수머 헬쓰케어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226031A external-priority patent/GB0226031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303468A external-priority patent/GB0303468D0/en
Application filed by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컨수머 헬쓰케어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컨수머 헬쓰케어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05006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개의 옆으로 인접한 섹션을 포함하며, 중간 섹션의 선단부가 강모 수반 팁 패드로 확대되며, 헤드의 기단부와 팁 패드 사이의 강모 구비된 중개 패드가 위치하며, 패드와 중개 패드 사이의 좁은 링크 영역을 포함하는 칫솔 헤드 및 핸들에 관한 것이다. 섹션은 가요성 경부에 의해 칫솔 핸들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중 섹션 칫솔 헤드의 강모가 최적으로 분포된다.

Description

칫솔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 헤드 특히, 칫솔질 압력하에 구부러질 수 있는 다수의 섹션을 포함하는 칫솔 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헤드가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칫솔을 쥘 수 있게 하는 그립 핸들 및 강모를 지닌 헤드를 포함하며, 이러한 헤드와 핸들은 세로방향의 헤드-핸들 방향으로 배치된다. 때때로, 헤드는 핸들에 교체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헤드와 그립 핸들 사이에 경부(neck)가 있으며, 이는 헤드 및 핸들의 인접 부분 보다 더 좁다. 헤드는 그립 핸들로부터 이격된 선단부(tip end)와 그립 핸들에 가장 근접한 기단부(base end)를 가지며, 경부는 헤드의 기단부에서 헤드에 연결된다. 헤드의 기단부와 경부 사이의 연접부(junction)는 일반적으로 굴절 지점 즉, 헤드에 구비된 강모를 따라 위에서 평면상으로 내려다볼 경우 헤드와 경부 사이의 급격한 굴곡 지점,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핸들에 가장 인접한 강모 터프트(bristle tuft) 패턴의 에지(edge)를 특징으로 한다.
칫솔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헤드와 그립 핸들은 이들 사이의 세로방향을 규정하고, 이러한 세로방향(직선일 필요는 없음)에 수직인 가로방향을 규정하도록 배치된다. 강모(본 용어는 엘라스토머 박막 또는 핑거와 같은 기타 덴탈 클리닝 요소를 포함함)는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강모 방향으로 헤드로부터 뻗어있다. 헤드는 핸들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선단부, 및 핸들에 가장 근접하며, 강모 클러스터의 말단 및/또는 헤드 형상의 굴곡점에 의해 규정되는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기단부를 갖는다.
칫솔 헤드를 가로질로 옆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 특히, 2개 또는 3개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섹션 형태로, 핸들에 가요성 있게(flexibly) 연결되어 있는 헤드를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공지된 칫솔과 관련된 문제점은 세척을 증진시키기 위해 강모를 최적으로 분포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US-A-1,323,0152에는 3개의 가요성 섹션을 포함하는 칫솔 헤드로서, 중간 섹션은 넓어져서 헤드의 팁에 인접한 패드를 형성하며, 이는 선단부에 인접한 칫솔 헤드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나, 핸들에 이러한 패드를 연결하는 비교적 좁은 "스토크(stalk)"를 갖는 칫솔 헤드가 기재되어 있다. US-D440,404 및 US-D1536,446에는 3개의 섹션을 포함하는 헤드를 갖는 칫솔로서, 각각의 섹션은 이들 각각의 고유의 가요성 경부에 의해 그립 핸들에 연결되고, 각각의 섹션이 길이에 비해 좁은, 칫솔이 기재되어 있다. US-A-4,864,676에는 3개의 섹션 형태의 헤드로서, 두개의 외부 섹션이 양 측면에 위치하는 중간 섹션을 포함하며, 외부 섹션의 말단은 중간 섹션의 말단부 주위의 부분적 고리를 형성하는 핸들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중간 섹션은 이의 말단부에서 작은 터프트에서만 강모를 갖는 헤드가 기술되어 있다. US-A-4,4152,853에는 핸들과 떨어져 있는 이의 말단에서 강모 수반 패드를 각각 갖는 옆으로 인접한 3개의 가요성 경부를 포함하는 칫솔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길이에 비해 불균형적인 폭을 갖는 헤드를 초래한다.
WO-A01/89344, FR-A-2548528 및 US-A-5,499,1521에는 두개의 이러한 섹션을 포함하는 헤드가 기술되어 있다.
핸들에 가요적으로 나란히 연결되어 칫솔질 압력하에 구부러질 수 있는 측면 섹션을 포함하는 이러한 칫솔 헤드의 목적은, 치아 윤곽에 헤드가 맞춰지는 능력을 증진시키고, 치아 사이의 갭에 헤드가 도달할 수 있는 효과를 증진시키고, 특히 치아에 과도한 칫솔질 압력을 가하지 않고도 이렇게 증진된 효과를 달성가능하게 하고,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칫솔질 압력을 분포시키고, 헤드를 통해 물이 흘러 사용 후에도 예를 들어, 과도한 치약, 부스러기 등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유형의 개선된 칫솔 특히, 헤드상의 강모의 개선된 분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이점은 하기 설명에 의해 자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칫솔 헤드의 기단부(base end)가 칫솔 그립 핸들(grip handle)에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하여 헤드-핸들(head-handle) 세로방향을 규정하며, 중간 섹션(middle section)과 중간 섹션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한 측면 섹션(lateral section)으로 이루어진 옆으로 인접하여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로부터 강모가 뻗어있으며, 하나 이상의 섹션이 그립 핸들에 탄력적으로 가요성있게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한 칫솔 헤드로서,
헤드의 선단부(tip end)에 인접한 중간 섹션의 말단부가 핸들에 더욱 근접하게 세로방향으로 인접한 중간 섹션의 일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확대되어, 헤드의 선단부에 인접한 강모-구비된 패드를 제공하며, 이러한 패드는 선단부에 인접한 칫솔 헤드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며,
중간 섹션은, 헤드의 기단부와 팁 패드 사이의 중간 섹션의 일부의 최대 폭 영역에 해당하는 강모-구비된 중개 패드(intermediate pad)를 포함하며,
팁 패드(tip pad)와 중개 패드 사이의 섹션의 제 1 링크 영역은 중개 패드와 팁 패드의 인접한 부분 보다 폭이 더 좁으며,
중개 패드와 핸들 사이의 섹션의 제 2 링크 영역은 중개 패드의 인접한 부분보다 폭이 더 좁음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헤드는 단지 3개의 이러한 섹션 즉, 중간 섹션 및 2개의 측면 섹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모든 섹션이 그립 핸들에 탄력적으로 가용성있게 연결되어, 강모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섹션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에 평행한 평면으로부터 탄력있게 구부러질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지 하나의 중개 패드, 단지 하나의 제 1 링크 영역 및 단지 하나의 제 2 링크 영역이 존재한다.
전형적으로, 팁 패드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거의 원형, 반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세로방향으로 이러한 팁 패드의 길이는 기단부와 선단부사이의 칫솔 헤드의 약 10-50%, 예를 들어, 20-30%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팁 패드는, 다수의 강모를 함유하며,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강모 방향으로 뻗어있는 다수의 터프트에 전형적으로 배치된, 강모의 다각형 클로스터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크기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팁 패드는 칫솔 강모 터프트의 전형적인 크기 예를 들어, 1-2mm 직경 또는 가장 큰 단면 치수의 강모 터프트 4-10개를 구비하기에 충분히 크다. 터프트의 적합한 배치는 하나 이상의 중앙 터프트를 둘러싸는 5-8개의 터프트로 이루어진 다각형 형태이다.
중간 섹션의 강모 구비 표면은 사실상 평면이거나 물결 모양일 수 있거나, 강모가 구비되는 측면상에 굴곡이 있으며, 예를 들어, 오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팁 패드의 강모 구비 표면은, 또한 강모가 구비된 핸들에 더욱 근접한 섹션의 인접부의 표면 예를 들어, 제 1 링크 영역의 표면과 180° 이하, 예를 들어, 180°-160°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측면 섹션의 강모 구비된 표면은 사실상 평면이거나 물결 모양일 수 있거나, 예를 들어, 강모가 구비된 표면은 곡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오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팁 패드는 전형적으로 헤드의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칫솔 헤드 길이의 약 15-30%, 예를 들어, 18-25% 예를 들어, 20+/-2%의 간격으로 핸들로부터 가잘 멀리 떨어진 측면 섹션의 말단부를 지나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팁 패드는 선단부에 인접한 칫솔 헤드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으며, 즉 적어도 이러한 세로방향 연장 부분에 있어서, 팁 패드는 측면 섹션에 의해 이의 측면중 어느 옆쪽에도 위치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팁 패드의 폭과 중개 패드의 비는 1:1.5 내지 1.5:1 예를 들어, 1:1.2 내지 1.2:1이다. 바람직하게는, 팁 패드는 중개 패드 보다 더 넓다.
중개 패드의 길이는 예를 들어, 헤드의 선단부와 기단부 사이의 칫솔 헤드의 길이의 20-40%, 예를 들어, 약 30+/-5%에 해당한다. 중개 패드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모든 강모 표면이 헤드의 선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헤드의 세로의 반에 존재하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중개 패드의 가장 넓은 부분은 헤드의 선단부보다 헤드의 기단부에 더욱 근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헤드의 기단부로부터 헤드의 선단부쪽으로의 간격의 20-40%에 해당한다.
팁 패드 및 중개 패드는 사실상 동일한 영역의 강모 함유 표면을 가질 수 있고/거나 사실상 동일한 영역의 엔벨로프(envelope)내에 맞춰지는 강모 터프트의 클러스터가 이러한 표면상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팁 패드 및 중개 패드의 강모 함유 표면은 영역의 20% 이하까지 상이할 수 있다.
중개 패드는 강모 방향으로 내려다 볼 경우 평면상으로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중개 패드는 칫솔 강모 터프트의 전형 적인 크기 예를 들어, 강모 방향을 가로질러 절단할 경우 1-2mm 직경 또는 가장 큰 치수의 4-12개의 강모 터프트를 구비하기에 충분히 큰다. 터프트의 적합한 배열은 중개 패드를 가로지르는 라인에서 예를 들어, 2-4개의 강모 터프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앙 터프트를 둘러싸는 5-10개의 터프트의 다각형이다. 제 1 및 제 2 링크 영역은 예를 들어, 이들의 폭을 가로질러 단지 하나의 강모 터프트만을 구비할 정도로 좁을 수 있다.
중간 섹션은 결론적으로, 핸들방향으로부터 헤드의 기단부로부터 헤드의 상단부로 연장되는 세로방향으로 연속되는 폭이 좁은 영역을 포함하여 제 2 링크 영역을 포함하고, 헤드의 기단부와 팁 패드의 중개 부분에서 폭이 확대되어 중개 패드 영역을 형성하고, 핸들방향으로부터 헤드의 선단부쪽으로 중개 패드로부터 연장된 폭이 좁은 영역을 포함하여 제 1 링크 영역을 포함하고, 헤드의 선단부에 인접하게 폭이 일체적으로 확대되어 이러한 팁 패드를 형성시킨다.
팁 패드 또는 중개 패드와 인접한 제 1 또는 제 2 링크 영역 사이의 연접부는 바람직하게는, 헤드에 의해 구비되는 강모를 따라 위에서 내려다 볼 경우 평면상으로 패드와 링크 영역 사이에 굴절 지점 즉, 가장 예리하게 굴곡진 지점을 특징으로 한다.
팁 패드와 중개 패드 사이의 제 1 링크 영역의 길이는 예를 들어, 각각의 팁 패드 또는 중개 패드의 길이보다 길며, 예를 들어, 팁 패드 또는 중개 패드의 1-1.5 배이다.
제 2 링크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중개 패드와 헤드의 기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하나 이상의 섹션은 다양한 방식으로 그립 핸들에 탄력적으로 가요성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섹션은 칫솔의 그립 핸들과 일체적인 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섹션은 헤드의 선단부로부터 떨어진 칫솔 부분에서 예를 들어, 일체적으로 서로 각각 및/또는 칫솔 핸들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모든 섹션(들)은 탄력적으로 가요성 인 경부에 의해 그립 핸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부는 탄력적일 수 있고/거나, 경부와 섹션 사이 또는 경부와 핸들 사이의 링크가 가요성일 수 있다. 탄력적으로 즉, 탄성의 가요성 경부는 칫솔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의 플라스틱 물질로의 일체적 구조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 예를 들어, 모든 섹션은 각각의 가용성 경부에 의해 그립 핸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부는 섹션의 기단부 즉, 선단부로부터 떨어진 섹션의 말단부와 섹션에 가장 근접한 그립 핸들의 말단부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헤드의 각각의 섹션은, 각각의 경부가 핸들쪽으로 섹션과 일체적으로 연장되므로써 그립 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부는 대략적으로, 섹션의 길이가 예를 들어, 헤드 섹션의 길이의 0.4-1.5 바람직하게는 0.5-0.75에 해당할 정도로 길 수 있다. 이러한 치수는 적합한 탄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경부는 세로방향으로 평행한 옆으로 인접한 측면부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옆으로 인접한 측면부는 이들의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면서 이격되어 핸들에 가장 근접한 이들의 말단부에서는 측면부 사이에 공기 갭이 생기도록 이격되고, 이들 측면부 및/또는 측면부가 연결된 섹션은 팁에 가장 근접한 이들의 말단부에서는 접촉되어 연결된다. 좁아지는 각은 0.5-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핸들에 가장 근접한 경부의 말단에 인접하는 경부의 옆으로 인접한 부분 사이에는 가요성 물질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물질 예를 들어, 이러한 물질의 얇은 가요성 웹이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 예를 들어, 모든 섹션은 그립 핸들로 연장되는 경부로 예를 들어, 헤드의 기단부에서 가요성있게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 예를 들어, 모든 섹션은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인접한 섹션 영역 사이에 예를 들어, 팁 패드와 제 1 링크 영역 사이에 가요성인 예를 들어, 통합된 탄력성 있는 가요성 링크일 수 있다.
섹션의 옆으로 인접하여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측면은 직선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이들은 상보적으로 맞물리는 형상 예를 들어, 상보적으로 굽이진 모양 또는 물결 모양일 수 있다.
각각의 섹션에 강모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렬의 강모 터프트에 배치될 수 있다. 강모는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에 직각이거나 비직각인 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섹션은 가로방향 외쪽으로 그리고 내쪽으로 탄력적으로 가요성을 띨 수 있다. 측면 섹션이 외부로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 섹션 및 인접한 측면 섹션에 접합부(abutment part)가 제공되어, 측면 섹션이 외쪽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측면 섹션의 접합부는 중간 섹션의 접합부에 대해 접하게 되어 측면 섹션이 외쪽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섹션의 말단부를 포함하는 확대된 패드는 그립 핸들 쪽으로 면하는 개구를 갖는 요면(concavity)을 가지며, 요면으로 측면 섹션의 접합부가 맞추어져서 요면의 표면이 상응하는 접합부를 포함하게 된다.
옆으로 인접한 섹션 사이에는, 인접한 섹션의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는 공기 갭이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옆으로 인접한 섹션은 예를 들어,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둘 모두에 수직인 방향으로 섹션이 활주하도록 접촉될 수 있다. 옆으로 인접한 섹션 사이에 가요성 물질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물질 예를 들어, 이러한 물질의 얇은 가요성 충전제 또는 웹이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섹션,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섹션은 강모를 구비하는데 적합하다. 예를 들어, 섹션(들)에는 강모 홀이 구비되어, 강모 터프트가 후속적으로 이러한 홀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강모 터프트는, 터프트의 말단을 몰드강으로 돌출시켜 섹션을 주입 몰드에 생성시키는 공지된 공정에 의해 섹션(들)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칫솔에서,
모든 섹션은 강모를 구비하고 있으며, 경부에 의해 칫솔 핸들에 일체적으로 가요성 있게 연결되며,
헤드의 선단부에 인접한 강모 구비된 팁 패드의 길이는 헤드의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칫솔 헤드의 약 20-30%에 해당하며,
팁 패드는 핸들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측면 섹션의 말단을 지나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선단부에 인접한 칫솔 헤드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고,
중간 섹션은, 강모의 터프트가 뻗어있는, 헤드의 기단부와 팁 패드 사이의 섹션 부분의 최대 폭 영역인, 강모가 구비된 단일의 중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중개 패드는 전체적으로 핸들에 가장 근접한 칫솔 헤드의 세로의 반에 위치하며,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칫솔 헤드의 약 20-4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팁 패드와 중개 패드 사이의 섹션의 제 1 링크 영역은 팁 패드와 중개 패드의 인접 부분 보다 폭이 더 좁으며,
중개 패드와 경부 사이의 섹션의 제 2 링크 영역은 중개 패드의 인접한 부분 보다 폭이 좁으며,
팁 패드의 강모 구비된 표면은 제 1 링크 영역의 표면과 180° 이하의 각을 형성한다.
강모 방향에 따라 평면상으로 볼 때, 팁 패드, 제 1 링크 영역 및 중개 패드를 포함하는 중간 섹션은 결론적으로 "아령" 형상으로써 불린다.
바람직한 구조는, 중간 섹션상에서, 강모 터프트가 팁 패드 및 중개 패드상에 집중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강모 터프트의 60% 이상, 예를 들어, 60-80%가 팁 패드와 중개 패드상에 위치하고, 나머지 100%가 되게 하는 터프트는 링크 영역상에 위치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두 패드 즉, 팁 패드와 중개 패드는 치아 표면에 적합하게 상응하는 거리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따라서 증가된 세척 효능을 제공한다. 팁 패드의 중앙과 중개 패드의 중앙 사이의 이러한 거리는 예를 들어, 1-2c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 헤드는 탄력적으로 가요성인 플라스틱 물질 예컨대, 칫솔의 제조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으로 일체적으로 제조 될 수 있다. 플라스틱 물질은 섹션 및/또는 경부의 탄성이 최적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교적 뻣뻣한 플라스틱 예를 들어, 섬유 보강 플라스틱 물질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될 수 있다. 섹션(들) 및 경부(들)는 그립 핸들과 일체적으로 상기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립 핸들은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거나, 일반적으로 공지된 유형의 엘라스토머 물질의 그립-증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칫솔 헤드의 저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칫솔 헤드의 저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칫솔 헤드의 저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칫솔 헤드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칫솔 헤드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헤드의 단면도이다.
하기와 같이 넘버링된 부분이 도면에 기입되어 있다:
10 전체적인 칫솔
11 전체적인 칫솔 헤드
12 핸들
13A 헤드의 기단부
13B 헤드의 선단부
14 일체적 경부 영역
15 중간 섹션
151 제 1 링크 영역
152 중개 패드
153 제 2 링크 영역
154 함몰부
16, 17 측면 섹션
18 팁 패드
19 팁 패드의 강모 탑재 표면
20 강모
21,22,23 경부
24 폴드 라인(fold line)
25 경부 사이의 갭
26 강모 홀
30 엘라스토머 그립 패드 (elastomeric grip pad)
31 엘라스토머 물질
도 1에 있어서, 전체적인 칫솔(10)이 도 1A에 도시되어 있으며, 헤드(11)는 전체적으로 평면 투과도(도 1B), 평면 저면도(도 1C), 측면도(도 1D) 및 평면도(도 1E)로서 도시되어 있다. 칫솔 헤드(11) 그립 핸들(12)쪽으로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헤드(11)와 그립 핸들(12)은 세로방향 L-L을 따라 배치되며, 세로방향에 수직인 가로방향 W-W을 가지며, 두께 T-T를 갖는다. 헤드(11)는 그립 핸들(12)에 가장 근접한 강모 패턴 말단부인 기단부(13A)와, 선단부(13B)를 갖는다. 헤드(11)의 기단부(13A)와 핸들(12) 사이에는 세로방향으로 일체적 경부 영역(14)이 있다.
헤드(11)는 3개의 옆으로 인접한 섹션 (15, 16, 17)으로 나누어지며, 중간 섹션(15)의 각각의 가로 측면에 두개의 측면 섹션(16, 17)이 위치한다. 각각의 섹션(15,16,17)은 세로방향 L-L에 평행으로 연장된다. 헤드(11)의 각각의 섹션(15,16,17) 표면으로부터 강모(20)가 폭 방향 W-W에 수직인 강모 방향(B)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간 섹션(15)은 핸들(12)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말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확대되며, 즉 팁 패드(18)를 형성한다. 팁 패드(18)의 표면(19)은 강모(20) 터프트의 다각형 클러스터를 구비하는데 적합한 크기이다. 중간 섹션(15)은 (152)에서 패드(18)와 기단부 사이의 넓어진 부분으로 확대되며, 즉 중개 패드를 형성한다. 측면 섹션(16,17)의 옆으로 인접한 표면은 상응하는 형상을 지닌다. 패드(152)상에는 강모(20)의 터프트가 가로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D에는 강모(20)가 뻗어있는 섹션(15,16,17) 표면이 세로방향으로 오목하게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것이 도시된다.
팁 패드(18)와 중개 패드(152) 사이에는 제 1 링크 영역(151)이 존재하며, 중개 패드(152)와 헤드(13)의 기단부 사이에는 제 2 링크 영역(153)이 존재한다. 패드(18)의 표면(19)은 링크 영역(151)의 인접부 표면과 180°의 각을 형성한다.
평면도 도 1B 및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의 기단부(13)와 경부(14) 사이 의 연접부는 가장 큰 굴절 지점에 의해 구별된다.
강모(20)는 불연속적인 터프트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프트는 헤드를 가로질러 일반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일렬로 그리고, 각각의 섹션(15,16,17)을 따라 일반적으로 세로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헤드(11)의 기단부(13)에서, 3개 섹션(15,16,17) 각각은 각각의 경부(21,22,23)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경부에 의해 섹션은 그립 핸들(12)에 연결된다. 각각의 경부(21,22,23)는 탄력성이 있는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어, 경부(21,22,23)는 이의 섹션(15,16,17)을 그립 핸들(12)에 가요적이고 탄력적으로 연결시킨다. 각각의 경부(21,22,23)의 길이는 섹션(15,16,17)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나, 요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립 핸들(12)은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구조 및 디자인을 가지며, 통상적인 주입 몰딩 공정에 의해 핸들(12)의 공동(미도시됨)으로 유입된 엘라스토머 그립 패드(30)를 통합시킨다.
도 2 내지 5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칫솔 헤드의 대안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의 헤드와 유사한 헤드가 확대된 투시도(도 2A, 2B), 저면도(도 2C), 측면도(도 2D) 및 평면도(도 2E)로서 도시되어 있다. 중간 섹션(15)은 핸들에 더 근접한 섹션(15)의 세로의 반을 점유하는 넓어진 중개 패드(152), 및 패드(152)와 팁 패드(18) 사이의 더 좁은 제 1 링크 영역(151)을 갖는다. 또한, 도 2의 기타 특징부에 독립적일 수 있는, 강모가 뻗어있는 패드(18)의 면(19)은 제 1 링크 영역(151)의 인접한 면과 180° 보다 작은 각을 이룬다. 도 2에서, 패드(18)는 평면으로 다각형 거의 오각형이다. 제 2 링크 영역(153)은 중개 패드(152)를 경부(21)에 연결시킨다.
도 3 (도 3A 평면 투시도; 도 3B 저면도; 도 3C 측면도; 도 3D 평면도)에, 강모가 뻗어있는 팁 패드(18)의 면(19)이 강모가 뻗어있는 인접한 제 1 링크 영역(151)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중간 섹션(15)은 링크 영역 사이에서 넓어져서 중개 패드(15B)를 형성한다. 또한, 이와 독립적으로, 측면 섹션(16,17)의 강모 표면(21)은 가로방향 W-W으로 봤을때 물결 모양을 이룬다.
도 4에서, 도 1의 헤드와 유사한 헤드가 측면도 (도 4A), 투시도 (도 4B) 및 평면도 (도 4C)로서 확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중간 섹션(15)은 일체적으로 확대된 선단부에 인접한 말단부를 가져서 강모가 구비된 팁 패드(18)를 형성하며, 이는 선단부(13A)에 인접한 칫솔 헤드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이러한 팁 패드(18)는 일반적으로 평면에서 원형이며, 이의 세로방향 길이는 선단부(13B)와 기단부(13B) 사이의 칫솔 헤드 길이의 약 20-30%에 해당된다.
팁 패드(18)는 중앙 터프트를 둘러싸는 다각형 패턴의 터프트 형태에서 다각형의 터프트(20) 클러스트를 수반하기에 적합한 크기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 패드(18)의 강모 수반 표면(19)은 핸들에 더욱 인접한 중간 섹션(15)의 인접한 제 1 링크 영역(152)의 표면과 180° 미만의 각을 형성하고, 팁 패드(19)는 핸들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측면 섹션(16,17)의 말단부를 넘어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의 칫솔 헤드에서, 중간 섹션(15)은 단일의 강모 수반 중개 패드(151)를 포함하며, 이는 강모(20)의 다수 터프트가 뻗어있는 헤드의 팁 패드(18)와 기단부(13A) 사이의 섹션(15) 부분의 최대 폭 영역이며, 두개의 중앙 터프트를 둘러싸는 다각형 클러스터에 배열된다. 중개 패드(151)는 평면에서 타원형 (기술된 바와 같이 링크 영역에 의해 중단되는 부분 제외)이며, 팁 패드(19)와 유사한 평면의 영역을 갖는다. 중개 패드(151)의 길이는 헤드의 선단부(13B)와 기단부(13A) 사이의 칫솔 헤드의 길이의 약 20-30%에 해당한다. 중개 패드(151)는 핸들에 가장 근접한 헤드의 세로의 반쪽내에 위치한다. 중개 패드(151)의 가장 넓은 부분은 헤드의 선단부(13B) 보다 헤드의 기단부(13)에 더 근접하다.
팁 패드(18)와 중개 패드(151) 사이의 일체의 제 1 링크 영역(152)은 팁 패드(19)와 중개 패드(151)의 인접한 부분 보다 폭이 좁다.
중개 패드(151)와 헤드의 기단부(13) 사이의 제 2 링크 영역(153)은 중개 패드(151)의 인접한 부분 보다 폭이 좁으며, 경부(21)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패드(18, 151)와 링크 영역(152,153) 사이의 연접부를 규정하는 즉, 가장 크게 굴곡을 이룬 굴절 지점이 있다. 도 4에서, 각각의 링크 영역(152,153)은 평면으로 봤을 때 측면이 평행을 이룬다. 팁 패드(18)와 중개 패드(151) 사이의 제 1 링크 영역(152)의 길이는 팁 패드(18)와 중개 패드(151) 둘 모두의 길이 보다 길다.
중간 섹션(15)상의 대부분의 강모 터프트(20)는 팁 패드(18)와 중개 패드(151)상에 위치하며,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 패드(151)상에 10개 터프 트, 팁 패드(18)상에 7개 터프트, 및 링크 영역(152,153)상에 6개 터프트가 있다.
도 5에 있어서, 이는 본 발명의 칫솔 헤드(11)의 바람직한 구조의 더욱 자세한 평면도이며, 이러한 칫솔 헤드의 각각의 세 섹션(15,16,17)은 각각의 경부(21,22,23)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차례로 이러한 경부는 그립 핸들(12)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도면에서 헤드(11)에 가장 근접한 그립 핸들(12)의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헤드의 구조는 도 4의 헤드와 유사하며, 즉 중간 섹션은 팁 패드(18), 중개 패드(151), 제 1 링크 영역(152) 및 제 2 링크 영역(153)을 포함한다. 강모(20)는 헤드(11)의 섹션상에 배치된 비제한적인 대표적 패턴으로 도시하였다.
팁 패드(18)의 표면(19)은 폴드 라인(24)에서 제 1 링크 영역(152)의 인접한 표면과 180° 미만의 각을 이룬다. 팁 패드(18)는 직경이 약 7.5mm인 원형이다. 제 1 링크 영역(151)의 길이는 약 9-10mm이며, 폭은 2-3mm이다. 중개 패드(152)는 타원형으로 길이가 약 9-10mm이며, 폭은 7-8mm이다. 제 2 링크 영역(153)은 길이가 약 5-7mm이며, 폭이 약 2-3mm이다. 섹션의 두께는 약 3-4mm이다. 경부(21,22,23)의 길이는 약 23-25mm이며, 폭은 2-3mm이다. 측면 경부(22,23)의 두께는 약 3-4mm이며, 중간 경부는 약 4-5mm로 약간 더 두껍다. 헤드(11)는 전체적으로 선단부 쪽으로 좁아지는 일반적인 타원형이며, 총 길이는 약 30-32mm이며, 옆으로 인접한 중개 패드(152)의 가장 넓은 지점에서의 폭은 약 13mm로, 통상적인 크기를 갖는다. 통상적인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ABS, 섬유-보강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러한 치수를 제작할 경우, 적합한 가요성이 달성된다.
경부(21,22,23) 사이의 갭(25)은 선단부(13B) 쪽으로 점점 좁아지는 것으로서, 핸들(12)에 가장 근접한 말단부에서 약 0.5-1mm이며, 섹션(15,16,17)이 활주되어 접촉되도록 점차 좁아진다. 헤드(11) 기단부(13A)에 인접한 경부(21,22,23) 부분 또한 활주되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핸들(12)은 엘라스토머 그립 패드(30)와 통합되며, 가요성 엘라스토머 물질(31)은 그립 핸들(12)에 인접한 갭(25)으로 연장된다.
도 1-5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경우, 헤드(11)의 외부 엔벨로프는 고안된 형상의 선단부(13B)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154)에서 얕은 공동을 나타내어, 패드(18)가 치아 표면과 접촉하고, 기단부-선단부의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치아 또는 기타 경구 조직 표면이 팁 패드(18)와 섹션(16 또는 17) 사이의 갭을 포착하지 않아 예를 들어, 섹션(15,16,7)이 분리된다. 엔벨로프의 이러한 영역에서의 유연한 변화는 이러한 이유로 바람직하다.
도 6에 있어서, 도 5의 라인 A--A를 따라 절단된 도 5의 헤드(11)를 통과하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어떻게 강모(20)가 섹션(15,16,17)의 강모 홀(26)에 세팅되거나, 다르게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헤드에 몰딩되었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칫솔질 동안 강모상에 압력이 가해지면, 어떻게 섹션(15,16,17)이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에 평행하게 평면으로부터 탄성있게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에서, 섹션(15,16,17) 사이의 갭은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확대해서 도시한 것으며, 섹션(15,16,17)은 실질적으로 옆으로 인접한 구획사이에 상대적으로 활주하도록 접촉된다.

Claims (23)

  1. 칫솔 헤드의 기단부(base end)가 칫솔 그립 핸들(grip handle)에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하여 헤드-핸들(head-handle) 세로방향을 규정하며, 중간 섹션(middle section)과 중간 섹션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한 측면 섹션(lateral section)으로 이루어진 옆으로 인접하여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로부터 강모가 뻗어있으며, 하나 이상의 섹션이 그립 핸들에 탄력적으로 가요성 있게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한 칫솔 헤드로서,
    헤드의 선단부(tip end)에 인접한 중간 섹션의 말단부가 핸들에 더욱 근접하게 세로방향으로 인접한 중간 섹션의 일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확대되어, 헤드의 선단부에 인접한 강모-구비된 패드를 제공하며, 이러한 패드는 선단부에 인접한 칫솔 헤드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며,
    중간 섹션은, 헤드의 기단부와 팁 패드(tip pad) 사이의 중간 섹션의 일부의 최대 폭 영역에 해당하는 강모-구비된 중개 패드(intermediate pad)를 포함하며,
    팁 패드와 중개 패드 사이의 섹션의 제 1 링크 영역은 중개 패드와 팁 패드의 인접한 부분 보다 폭이 더 좁으며,
    중개 패드와 핸들 사이의 섹션의 제 2 링크 영역은 중개 패드의 인접한 부분보다 폭이 더 좁음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중간 섹션과 2개의 측면 섹션인 3개의 섹션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섹션중 2개 이상이 그립 핸들과 탄력적으로 가요성있게 연결되어, 강모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섹션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에 평행한 평면으로부터 탄력있게 구부러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중개 패드, 단지 하나의 제 1 링크 영역 및 단지 하나의 제 2 링크 영역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팁 패드의 길이가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칫솔 헤드의 10-50%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팁 패드의 강모 구비된 표면이 제 1 링크 영역의 표면 일부에 인접한 부분의 표면과 180°-160°의 각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팁 패드가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칫솔 헤드 길이의 15-30%의 거리만큼, 핸들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측면 섹션의 말단부를 지나 세로방향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중개 패드의 길이가 헤드의 선단부와 기단부 사이의 칫솔 헤드 길이의 20-40%임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강모 표면의 50% 이상이 헤드의 선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헤드의 세로의 반을 차지하도록 중개 패드가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10. 제 9항에 있어서, 강모 표면 모두가 헤드의 선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헤드의 세로의 반을 차지하도록 중개 패드가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11. 제 1항에 있어서, 중간 섹션은 핸들 방향으로부터 헤드의 선단부를 향해 헤드의 기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폭이 좁은 영역을 세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포함하여 제 2 링크 영역을 포함하고, 헤드의 기단부와 팁 패드 사이의 중개 영역에서 가로방향으로 확대되어 중개 패드를 형성하며, 폭이 좁은 영역은 중개 패드로부터 헤드의 선단부쪽으로 핸들 방향으로부터 연장되어 제 1 링크 영역을 포함하고, 헤드의 선단부에 인접하여 가로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확대되어 팁 패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 링크 영역이 헤드의 기단부와 중개 패드 사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옆으로 인접한 섹션은 섹션이 상대적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접촉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14. 하나 이상의 섹션이 칫솔의 그립 핸들에 탄력적으로 가요성있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헤드를 갖는 칫솔.
  15. 제 1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섹션이 일체의 탄력적이고 가요성을 띠는 경부에 의해 그립 핸들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6. 제 15항에 있어서, 섹션 모두가 각각의 가요성 경부에 의해 그립 핸들에 각각 연결되고, 경부는 섹션에 가장 근접한 그립 핸들의 말단과 섹션의 기단부 사이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7. 제 16항에 있어서, 헤드의 각각의 섹션이 핸들쪽으로 섹션의 일체적 연장부인 각각의 경부에 의해 그립 핸들에 연결되며, 경부의 길이는 헤드 섹션 길이의 0.4-1.5배임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8. 제 16항에 있어서, 옆으로 인접한 측면부가 이들의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면서 이격되어 핸들에 가장 근접한 이들의 말단부에서는 측면부 사이에 공기 갭을 갖도록 이격되며, 측면부 및/또는 측면부가 연결된 섹션이 팁에 가장 근접한 이들의 말단부에서는 서로 접촉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9. 제 15항에 있어서, 경부의 옆으로 인접한 부분 사이에 엘라스토머 물질이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0. 제 14항에 있어서,
    모든 섹션이 강모를 구비하고 있으며, 경부에 의해 칫솔 핸들에 일체적으로 가요성 있게 연결되며,
    헤드의 선단부에 인접한, 강모 구비된 팁 패드의 길이는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칫솔 헤드의 20-30%에 해당하며,
    팁 패드는 핸들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측면 섹션의 말단부를 지나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부에 인접한 칫솔 헤드의 전체 폭을 가로질로 연장되며,
    중간 섹션은, 강모의 터프트(tuft)가 뻗어있는, 헤드의 기단부와 팁 패드 사이의 섹션 부분의 최대 폭 영역인, 강모가 구비된 단일의 중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중개 패드는 전체적으로 핸들에 가장 근접한 칫솔 헤드의 세로의 반에 위치하며,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칫솔 헤드의 20-4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팁 패드와 중개 패드 사이의 섹션의 제 1 링크 영역은 팁 패드와 중개 패드의 인접한 부분 보다 폭이 좁으며,
    중개 패드와 경부 사이의 섹션의 제 2 링크 영역은 중개 패드의 인접한 부분 보다 폭이 좁으며,
    팁 패드의 강모 구비된 표면이 제 1 링크 영역의 표면과 180° 이하의 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1. 제 20항에 있어서, 팁 패드 및 중개 패드는 1-2cm의 팁 패드의 중앙과 중개 패드의 중앙간 간격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섬유 보강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23. 제 22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KR1020057008193A 2002-11-07 2003-11-05 칫솔 KR101096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226031.3 2002-11-07
GB0226031A GB0226031D0 (en) 2002-11-07 2002-11-07 Toothbrush
GB0303468.3 2003-02-14
GB0303468A GB0303468D0 (en) 2003-02-14 2003-02-14 Toothbrush
PCT/EP2003/012434 WO2004041023A2 (en) 2002-11-07 2003-11-05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231A KR20050067231A (ko) 2005-06-30
KR101096290B1 true KR101096290B1 (ko) 2011-12-20

Family

ID=3231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193A KR101096290B1 (ko) 2002-11-07 2003-11-05 칫솔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7549186B2 (ko)
EP (1) EP1571942B1 (ko)
JP (1) JP4476931B2 (ko)
KR (1) KR101096290B1 (ko)
CN (1) CN100398032C (ko)
AR (1) AR041900A4 (ko)
AT (1) ATE352226T1 (ko)
AU (1) AU2003300510B2 (ko)
BR (1) BR0315923B1 (ko)
CA (1) CA2505100C (ko)
CY (1) CY1106533T1 (ko)
DE (1) DE60311524T2 (ko)
DK (1) DK1571942T3 (ko)
ES (1) ES2280844T3 (ko)
HK (1) HK1085630A1 (ko)
MX (1) MXPA05004928A (ko)
MY (1) MY137051A (ko)
NZ (1) NZ539896A (ko)
PL (1) PL203670B1 (ko)
PT (1) PT1571942E (ko)
SI (1) SI1571942T1 (ko)
TW (1) TWI301753B (ko)
WO (1) WO20040410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4603B2 (en) 1999-06-11 2010-10-19 Gavney Jr James A Powered toothbrush with polishing elements
US8276231B2 (en) 1999-06-11 2012-10-02 Gavney Jr James A Oral-care device and system
US7743448B2 (en) 1999-06-11 2010-06-29 Gavney Jr James A Device and system with moving squeegee fields
US6859969B2 (en) 1999-06-11 2005-03-01 James A. Gavney, Jr. Multi-directional wiping elements and device using the same
US7877833B2 (en) 1999-06-11 2011-02-01 Gavney Jr James A Oral-care device and system
US6865767B1 (en) 2000-06-05 2005-03-15 James A. Gavney, Jr. Device with multi-structural contact elements
US20060026784A1 (en) * 2002-08-09 2006-02-0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8141194B2 (en) 2002-11-09 2012-03-27 Gavney Jr James A Absorbent structures with integrated contact elements
US7934284B2 (en) 2003-02-11 2011-05-03 Braun Gmbh Toothbrushes
GB0324658D0 (en) 2003-10-22 2003-11-26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 Novel process
GB0415871D0 (en) * 2004-07-15 2004-08-18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 Toothbrush
EP1834605A1 (de) * 2006-03-17 2007-09-19 Trisa Holding AG Elektrisch betriebenes, kontinuierlich einstellbares Körperpflegegerät
DE102006024874A1 (de) * 2006-05-24 2007-11-29 Bürstenmann GmbH Zahnbürste mit einem mehrteiligen Bürstenkopf
CA2677180C (en) * 2007-02-02 2012-07-03 The Gillette Company Oral hygiene implements having flexible elem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420216B1 (ko) * 2008-06-24 2014-07-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GB0822855D0 (en) * 2008-12-15 2009-01-21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h Novel device
BR112012010327A2 (pt) * 2009-11-02 2016-03-29 Braun Gmbh escova de dente
DE102009057483A1 (de) * 2009-12-10 2011-06-16 Braun Gmbh Zahnbürste
US8448287B2 (en) * 2010-10-22 2013-05-28 Mcneil-Ppc, Inc. Replaceable toothbrush head
KR101548838B1 (ko) * 2010-12-21 2015-08-31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기구
TR201806992T4 (tr) * 2011-12-22 2018-06-21 Koninklijke Philips Nv Hareket eden palet elemanları olan elektrikli diş fırçası.
EP2676569B1 (en) * 2012-06-20 2016-11-30 Braun GmbH Oral care implement
US8997298B2 (en) * 2013-05-13 2015-04-07 Harry Krasnick Transversal cleaning apparatus
JP6644710B2 (ja) * 2014-05-22 2020-02-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電動歯ブラシのための毛構造の共振チューニング
CN104490074B (zh) * 2015-01-10 2016-09-14 周荣强 一种易清洗牙刷
CN104490073B (zh) * 2015-01-10 2016-07-06 温州泓呈祥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易清洗牙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38091A (en) * 1933-11-24 1935-11-11 Charles Munch Improvements in tooth brushes with an arrangement for massaging the gums
US4864676A (en) * 1986-06-04 1989-09-12 Heinrich Schaiper Tooth brush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3042A (en) 1919-11-25 Tooth-bbirsh
US4472853A (en) 1982-04-21 1984-09-25 Samuel Rauch Toothbrush
FR2548528A1 (fr) * 1983-07-08 1985-01-11 Jouvin Jean Luc Brosse a dents perfectionnee
BE897485A (fr) 1983-08-08 1983-12-01 Papak Istvan Sommeryns Georges Brosse a dents a tete enveloppant completement les dents
US4520526A (en) * 1984-06-22 1985-06-04 Peters Charles W Resiliently flexible toothbrush
US4864979A (en) * 1987-05-25 1989-09-12 Karl Eickmann Combustion engine
US5499421A (en) 1993-06-15 1996-03-19 Brice; Michael F. Twin-headed toothbrush
DE4435888A1 (de) * 1994-10-07 1996-04-11 Coronet Werke Gmbh Zahnbürste
GB9524580D0 (en) * 1995-12-01 1996-01-31 Unilever Plc A toothbrush with flexibly mounted bristles
GB9616323D0 (en) * 1996-08-02 1996-09-11 Procter & Gamble A toothbrush
GB9912923D0 (en) 1999-06-03 1999-08-04 Unilever Plc Electric brush
USD436446S1 (en) 1999-11-24 2001-01-23 Weland Medical Ab Toothbrush
USD440404S1 (en) * 1999-11-24 2001-04-17 Weland Medical Ab Toothbrush
US6643886B2 (en) * 2000-05-18 2003-11-11 Colgate Palmolive Company Toothbrush having an efficacious bristle pattern
US6564416B1 (en) 2000-05-22 2003-05-20 Gillette Canada Company Toothbrus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38091A (en) * 1933-11-24 1935-11-11 Charles Munch Improvements in tooth brushes with an arrangement for massaging the gums
US4864676A (en) * 1986-06-04 1989-09-12 Heinrich Schaiper Tooth 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41900A4 (es) 2005-06-01
DK1571942T3 (da) 2007-05-21
US20060010631A1 (en) 2006-01-19
TW200418408A (en) 2004-10-01
NZ539896A (en) 2008-01-31
PT1571942E (pt) 2007-05-31
BR0315923A (pt) 2005-09-20
EP1571942A2 (en) 2005-09-14
PL377199A1 (pl) 2006-01-23
WO2004041023A2 (en) 2004-05-21
JP2006505375A (ja) 2006-02-16
WO2004041023A3 (en) 2004-07-08
BR0315923B1 (pt) 2012-10-30
ES2280844T3 (es) 2007-09-16
MXPA05004928A (es) 2005-08-18
JP4476931B2 (ja) 2010-06-09
CA2505100A1 (en) 2004-05-21
CY1106533T1 (el) 2012-01-25
EP1571942B1 (en) 2007-01-24
MY137051A (en) 2008-12-31
TWI301753B (en) 2008-10-11
ATE352226T1 (de) 2007-02-15
DE60311524D1 (de) 2007-03-15
SI1571942T1 (sl) 2007-06-30
AU2003300510B2 (en) 2010-10-07
CN1711044A (zh) 2005-12-21
US7549186B2 (en) 2009-06-23
HK1085630A1 (en) 2006-09-01
PL203670B1 (pl) 2009-10-30
DE60311524T2 (de) 2007-10-31
AU2003300510A1 (en) 2004-06-07
CA2505100C (en) 2012-03-13
CN100398032C (zh) 2008-07-02
KR20050067231A (ko)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290B1 (ko) 칫솔
JP4184966B2 (ja) 歯ブラシ
EP1286608B1 (en) Toothbrush having an efficacious bristle pattern
JP5759380B2 (ja) 歯ブラシ
EP0845956B1 (en) Toothbrush
US6886207B1 (en) Toothbrush
EP0932348B1 (en) A toothbrush
AU2001261646A1 (en) Toothbrush having an efficacious bristle pattern
MXPA01012890A (es) Un cepillo de dientes.
JP3305329B2 (ja) 歯ブラシ
JP2002515789A (ja) 歯ブラシ
ZA200503338B (en) Toothbrush
AU743341B2 (en)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