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600A - 헤어 브러쉬 - Google Patents

헤어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600A
KR20080039600A KR1020060107101A KR20060107101A KR20080039600A KR 20080039600 A KR20080039600 A KR 20080039600A KR 1020060107101 A KR1020060107101 A KR 1020060107101A KR 20060107101 A KR20060107101 A KR 20060107101A KR 20080039600 A KR20080039600 A KR 20080039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air
holes
pla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신
Priority to KR102006010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9600A/ko
Publication of KR2008003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솔공(12)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의 몸체(10)를 가지되, 철심(32)에 의해 방사상으로 엮여진 솔(30)이 상기 몸체(10) 내측에 끼워져 솔공 (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며, 별도로 마련된 손잡이(40)가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결합 되어 구성된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다수개의 식모공(22)이 형성된 한 쌍의 식모판(20)이 대향 고정되되, 상기 식모공(22)에 솔뭉치(24)가 식모 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하나의 브러쉬에 다양한 형태로 솔을 배치할 수 있게 되어 빗질의 성능이 향상되며, 더불어 철심에 엮여 형성된 솔 부분에 가해지는 힘이 일정 간격으로 식모 되어 형성된 솔뭉치에 의해 분산되는 효과가 유발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특히 사선 방향으로 줄을 맞추어 솔뭉치가 식모 됨에 따라 머리카락에 접하는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빗질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피로를 최소로 할 수 있는 헤어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헤어, 브러쉬, 솔, 식모.

Description

헤어 브러쉬{Hair brush}
도 1은 종래 헤어 브러쉬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어 브러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어 브러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모판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보여주는 요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모판이 몸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솔공,
20 : 식모판, 22 : 식모공, 24 : 솔뭉치,
30 : 솔, 32 : 철심,
40 : 손잡이, 50 : 캡.
본 고안은 헤어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빗질이 용이하여 부드럽고 효율적으로 머리카락을 손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헤어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미용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헤어 브러쉬는 머리카락을 손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여성들의 긴 머리를 손질하기 위해 원통형의 몸체에 솔을 식모하여 브러쉬의 형태를 갖추도록 하여서 구성된 것들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헤어 브러쉬는 몸체를 나무나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는 것이었는데, 이는 무게가 무거워 장시간 사용시 손과 팔에 무리를 주는 구성이었으며, 몸통이 열을 차단하여 열풍으로 머리카락을 손질할 때 효율을 저하시키는 구성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내부가 빈 알루미늄 통체를 마련하고 몸체에 다수개의 솔공을 천공하여 준 다음 철심에 의해 방사상으로 엮여진 솔을 마련하여 상기 알루미늄 통체에 끼워 솔이 솔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브러쉬의 형태를 갖추도록 구성된 헤어 브러쉬가 제안된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헤어 브러쉬의 구성을 국내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1998-0024612호 "헤어 브러쉬 결합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을 통해 상기와 같은 종래 헤어 브러쉬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원통형의 몸체(130)에 다수개의 솔공(140)들이 줄을 맞추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30)의 내측으로 철심(110)에 의해 방사상으로 엮인 솔(120)이 진입되게 된다. 몸체(130) 내측으로 솔(120)이 진입되면 상기 솔공(140)을 통해 솔(120)이 외부로 돌출되어 브러쉬의 형태를 갖추게 되며, 이후 상단에는 캡을 씌우고 하단에는 손잡이(160)를 고정시켜서 헤어 브러쉬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내부가 비어 다수개의 솔공(140)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30)를 통해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열풍으로 머리카락을 말리거나 손질할 때 열 전도율을 높여 효율을 좋게 할 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워져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피로가 적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이점이 있음에 반해 한편으로는 솔공(140)을 통해 불규칙하게 솔(120)이 돌출되게 됨이 필연적인데, 불규칙하게 돌출된 솔(120)들이 머리카락에 걸려 마찰력을 증대시키게 되므로 빗질할 때, 특히 머리카락을 말아서 손질하여 줄 때 강한 힘으로 당겨주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더불어, 솔(120)을 금속 철사 사이에 넣고 꼬아 철심(110)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임에 따라 장기간 동안 사용할 경우 열풍의 열이 철심(110)에 전달되어 꼬임이 약해지며, 철심(110)의 꼬임이 약해진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360도 모든 방향에서 솔(120)이 당겨지게 되어 조금씩 빠져나오게 되는 현상이 발생 되는바, 종국에는 솔(120)이 철심(110)에 빠져 못쓰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헤어 브러쉬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머리카락과의 마찰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빗질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강화되게 구성되어,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편하게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헤어 브러쉬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솔공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의 몸체를 가지되, 철심에 의해 방사상으로 엮여진 솔이 상기 몸체 내측에 끼워져 솔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며, 별도로 마련된 손잡이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 되어 구성된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에 다수개의 식모공이 형성된 한 쌍의 식모판이 대향 고정되되, 상기 식모공에 솔뭉치가 식모 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브러쉬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어 브러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어 브러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모판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보여주는 요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모판이 몸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브러쉬에서 다수개의 솔공(12)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의 몸체(10)와, 철심(32)에 의해 방사상으로 엮여 상기 몸체(10) 내측에 끼워져 솔공(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는 솔(30),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몸 체(10)의 하단에 결합 되는 손잡이(40)의 구성과 재질 등은 종래와 다름없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특징적으로 몸체(10)의 구성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다수개의 식모공(22)이 형성된 한 쌍의 식모판(20)이 대향 고정되는 구성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며, 식모판(20) 한 쌍을 대향 고정하여 줌으로써 전체 몸체(10)가 서로 대칭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식모판(20)은 판상으로서 몸체(10)의 내측 면에 밀착되도록 내측 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볼록한 면을 가지며, 몸체(10)에 형성된 솔공(12)과 일치되는 위치에 식모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식모판(20)을 고정할 때에는 몸체(10) 내측에 식모판(20)을 대어 준 다음 양 끝단에 나사를 박아서 고정하여 줄 수 있으며, 달리 충분한 결합강도 확보가 가능한 다른 고정수단을 써 줄 수 있다.
식모판(20)에 형성되는 식모공(22)은 솔공(12)과 정확히 일치되는 부분에 미리 뚫어 준 다음 식모판(20)을 몸체(10) 내측에 고정하여 식모공(22)과 솔공(12)이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줄 수 있다. 다르게는 식모공(22)이 형성되지 않은 식모판(20)을 몸체(1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솔공(12)을 관통하는 드릴을 이용하여 식모공(22)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하여 줄 수도 있는 것이며,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주는 것이다.
몸체(10) 내측에 식모판(20)이 고정되면, 식모판(20)에 형성된 식모공(22)에 솔뭉치(24)를 심어주게 된다. 솔뭉치(24)는 합성수지 재질의 가는 선을 뭉쳐 구성 할 수 있으며, 달리 동물의 털, 인조 모발 등 공지의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강한 힘을 가지도록 가운데에 두께가 두꺼운 심지를 배치하여 줄 수 있는데, 이러한 솔뭉치(24)의 형태는 종래와 크게 다름없는 구성이다.
솔뭉치(24)를 심어줄 때에는 상기 식모공(22)에 식모 되는 솔뭉치(24)들이 사선 상에 배치되도록 식모 위치를 조절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견고한 고정을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여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솔뭉치(24)가 사선을 형성하게 식모 되면, 솔뭉치(24)들 간의 간격을 형성하여 머리카락과의 마찰을 줄임과 아울러 브러쉬를 회전시키면서 당겨줄 때 사선방향으로 자연스러운 당김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식모판(20)이 고정된 형성된 몸체(10)를 이용하여 브러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철심(32)에 의해 방사상으로 엮인 솔(30)을 마련하여 상기 몸체(10)의 내측으로 밀어넣게 된다. 이렇게 되면, 솔(30)이 상기 식모판(20)이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솔공(12)를 관통하여 외부로 드러나게 되며, 이후 캡(50)과 손잡이(40)를 고정하여서 브러쉬로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솔뭉치(24)가 사선방향으로 정렬되어 식모 된 부분과 솔공(12)을 통해 불규칙하게 드러난 솔(30)이 몸체(10)에 한꺼번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두 부분이 가진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브러쉬의 구성이 가능해 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따라 하나의 브러쉬에 다양한 형태로 솔을 배치할 수 있게 되어 빗질의 성능이 향상된다. 더불어 일정 간격으로 식모 되어 형성된 솔뭉치에 의해 철심에 엮여 형성된 솔 부분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는 효과가 유발되어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사선 방향으로 줄을 맞추어 솔뭉치가 식모 됨에 따라 머리카락에 접하는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빗질이 가능해지는바, 사용자의 피로를 최소로 할 수 있는 헤어 브러쉬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다수개의 솔공(12)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의 몸체(10)를 가지되, 철심(32)에 의해 방사상으로 엮여진 솔(30)이 상기 몸체(10) 내측에 끼워져 솔공 (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며, 별도로 마련된 손잡이(40)가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결합 되어 구성된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다수개의 식모공(22)이 형성된 한 쌍의 식모판(20)이 대향 고정되되, 상기 식모공(22)에 솔뭉치(24)가 식모 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브러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뭉치(24)가 사선을 형성하게 식모 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브러쉬.
KR1020060107101A 2006-11-01 2006-11-01 헤어 브러쉬 KR20080039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101A KR20080039600A (ko) 2006-11-01 2006-11-01 헤어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101A KR20080039600A (ko) 2006-11-01 2006-11-01 헤어 브러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600A true KR20080039600A (ko) 2008-05-07

Family

ID=3964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101A KR20080039600A (ko) 2006-11-01 2006-11-01 헤어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960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71Y1 (ko) * 2008-07-18 2010-06-23 (주)아모레퍼시픽 염색용 빗
KR20150001397U (ko) * 2013-10-01 2015-04-09 박병건 머리카락 끼임 방지용 핫컬링
KR20150124601A (ko) * 2014-04-29 2015-11-06 김창구 헤어브러시
KR102236899B1 (ko) 2020-09-29 2021-04-06 주식회사 상신 플렉서블 헤어 브러쉬
KR20220141579A (ko) 2021-04-13 2022-10-20 (주) 티나뷰티 헤어용 쿠션 브러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71Y1 (ko) * 2008-07-18 2010-06-23 (주)아모레퍼시픽 염색용 빗
KR20150001397U (ko) * 2013-10-01 2015-04-09 박병건 머리카락 끼임 방지용 핫컬링
KR20150124601A (ko) * 2014-04-29 2015-11-06 김창구 헤어브러시
KR102236899B1 (ko) 2020-09-29 2021-04-06 주식회사 상신 플렉서블 헤어 브러쉬
KR20220141579A (ko) 2021-04-13 2022-10-20 (주) 티나뷰티 헤어용 쿠션 브러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9600A (ko) 헤어 브러쉬
KR101254672B1 (ko) 손가락 타입 헤어 브러시
US20020066150A1 (en) Hairbrush
KR200452837Y1 (ko) 헤어 브러시
KR20110006013A (ko) 핫 컬링용 헤어 브러쉬
US8448650B2 (en) Cosmetic applicator
US20090070951A1 (en) Hairbrush
KR101058239B1 (ko) 헤어 브러시
US20090032042A1 (en) Hair volumizing device
KR200286488Y1 (ko) 헤어 브러시
KR101176334B1 (ko) 모근 인접 모발용 헤어 로드 세트
KR101174972B1 (ko) 조립식 빗자루
KR20160001861U (ko) 헤어 브러시의 결합구조
KR200318658Y1 (ko) 헤어 브러쉬의 캡 결합구조
KR200440922Y1 (ko) 웨이브용 헤어 브러쉬
US11957227B2 (en) Hair styling device
GB2422535A (en) Hair brush
KR200433436Y1 (ko) 손잡이와 브러쉬 몸체가 조립되는 조립형 헤어 브러쉬
KR200358529Y1 (ko) 헤어 롤 브러시
KR200349251Y1 (ko) 천연 갈대 빗자루의 손잡이 결합구조
KR100467194B1 (ko) 장식용 헤어피스
KR200318919Y1 (ko) 헤어 브러쉬
KR200187542Y1 (ko) 머리빗
KR101075623B1 (ko) 헤어 브러시
KR20180027959A (ko) 헤어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